KR101948884B1 -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 Google Patents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884B1
KR101948884B1 KR1020180097037A KR20180097037A KR101948884B1 KR 101948884 B1 KR101948884 B1 KR 101948884B1 KR 1020180097037 A KR1020180097037 A KR 1020180097037A KR 20180097037 A KR20180097037 A KR 20180097037A KR 101948884 B1 KR101948884 B1 KR 1019488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suction
shaft
gap
fl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7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용석
Original Assignee
(주)대한중전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대한중전기 filed Critical (주)대한중전기
Priority to KR102018009703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8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8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8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18Rotors
    • F04D29/2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 F04D29/2261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with special measures
    • F04D29/2272Rotors specially for centrifugal pumps with special measures for influencing flow or boundary lay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2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04D29/4293Details of fluid inlet or outle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2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for radial or helico-centrifugal pumps
    • F04D29/44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 F04D29/4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 F04D29/466Fluid-guiding means, e.g. diffusers adjustable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fl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임펠러와 케이싱의 사이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주에 설치되어 유체의 흡입 및 토출을 가이드하는 흡입케이싱, 상기 흡입케이싱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케이싱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흡입가이드를 포함하는 펌프에 설치되는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가이드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결합된 구동축의 하단 부분을 유압에 의해 출몰하는 실린더축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입케이싱에서 상기 임펠러의 사이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실린더를 포함한다. 따라서, 펌프를 해체하거나, 집수정의 내부로 진입하여 간극을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으며, 전기소모를 최소화하고,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A Impeller gap control device of pump}
본 발명은 임펠러와 케이싱의 사이 간극을 조절하기 위한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집수정에는 저장된 유체를 펌핑하여 다른 곳으로 이송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된다.
이러한 집수정에 설치되는 펌프는 임펠러가 수중에 위치된 형태의 수중펌프가 대부분 설치되는데, 수중펌프는 임펠러와 흡입케이싱의 사이 간격이 좁기 때문에 슬러지가 쌓이거나, 사이 간극에 따라 양정의 차이가 발생한다.
이에 따라 종래에는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130708호(2012.4.2.공고)의 "웨어링 조절형 수중모터펌프"가 개시된 바가 있다.
종래의 웨어링 조절형 수중모터펌프는 하측의 펌프(Pump)부와 상측의전동모터(Motor)부가 동일한 구동축에 의해 일체로 일체형으로 조립형성되고, 상기 전동모터부의 상단에 챔버부가 장착되며, 상기 전동모터부의 작동에 의해 펌프부의 임펠러가 작동(회전)하면서 하측의 물을 상측으로 펌핑하도록 하되, 상기 펌프부에서 상측케이싱과 하측케이싱과의 사이에웨어링을 설치하여서 된 수중모터펌프(Submerged Motor Pump)에 있어서, 상기 상측케이싱과 하측케이싱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웨어링의 높낮이를 높낮이조절장치에 의해 조절하여 임펠러 날개와의 유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
이러한 종래의 웨어링 조절형 수중모터펌프는 펌프부에서 상측케이싱과 하측케이싱과의 사이에 설치되는 웨어링의 높낮이를 높낮이조절장치에 의해 조절하여 임펠러 날개와의 유격을 적정간 간격으로 유지(조절)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펌프부의 효율이 저하되는 것을 방지하고, 임펠러(임펠러 날개)와 웨어링과의 사이에 이물질(협작물)이 끼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력이 상승하는 것을 방지하며, 임펠러와 웨어링의 마모와 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면서 베어링의 소손 및 소음발생을 방지하여, 모터부의 수명을 단축시키는 것을 방지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웨어링 조절형 수중모터펌프는 웨어링의 높낮이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펌프를 해체하거나, 집수정의 내부로 진입해야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하였다.
또한, 웨어링의 높낮이에 따라 펌프의 양정을 조절할 수 있는데, 양정을 실시간으로 조절하기 어려우며, 슬러지의 제거 기능을 수행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펌프를 해체하거나, 집수정의 내부로 진입할 필요 없이 임펠러의 간극을 조절할 수 있으며, 실시간으로 간극을 조절하여 펌프를 효율적으로 운전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임펠러의 사이에 끼인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는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주에 설치되어 유체의 흡입 및 토출을 가이드하는 흡입케이싱, 상기 흡입케이싱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케이싱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흡입가이드를 포함하는 펌프에 설치되는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가이드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결합된 구동축의 하단 부분을 유압에 의해 출몰하는 실린더축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입케이싱에서 상기 임펠러의 사이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축은 상기 임펠러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슬라이딩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실린더축이 출몰하여 상기 슬라이딩축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실린더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입케이싱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유체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양정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간극조절실린더는 상기 양정측정기에서 측정되는 토출량을 기초로 상기 실린더축이 출몰하여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간극조절실린더를 제어하는 간극조절컨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실린더축을 출몰시키기 위해 상기 간극조절실린더로 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관, 상기 흡입가이드에서 상기 임펠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체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임펠러와 상기 흡입케이싱의 사이에 고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흡입가이드에 형성되는 유체분사공, 및 상기 유체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유체를 상기 간극조절실린더 또는 상기 유체분사공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유체의 공급방향을 설정하는 방향설정밸브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간극조절실린더가 임펠러를 상하로 밀어 위치를 조절하는 형태로 간극을 조절하기 때문에 펌프를 해체하거나, 집수정의 내부로 진입하여 간극을 조절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간극조절실린더가 양정측정기에서 실시간으로 측정되는 양정에 따라 사이 간극을 조절하는 형태로 양정을 조절하여 최대 작동의 부하에 따른 전기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미사용시에는 흡입가이드의 유체분사공을 통해 간극조절실린더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흡입구를 향해 분사하여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가 설치된 펌프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가 설치된 펌프의 흡입구의 부분을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실린더축이 돌출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으로서, 슬러지를 제거하는 상태를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의 흡입가이드의 평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100)가 설치되는 펌프(200)는 입축 사류펌프에 설치된 것으로 설명하지만, 입축 축류펌프 뿐만 아니라, 수중 사류 또는 수중 축류펌프에도 적용하여 설치될 수도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100)가 설치되는 펌프(200)는 구동모터(210), 임펠러(250), 흡입케이싱(230), 및 흡입가이드(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구동모터(210)는 전기에 의해 구동축이 회전하며, 임펠러(250)는 구동축에 결합되어 구동모터(210)에 의해 회전할 수 있다.
한편, 흡입케이싱(230)은 임펠러(250)가 회전 가능하도록 내주에 설치될 수 있으며, 흡입케이싱(230)은 유체가 흡입되는 흡입구(231)와 흡입된 유체가 토출되는 토출구(233)가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흡입케이싱(230)을 관의 형상으로 형성하여 임펠러(250)가 위치되는 하단부분에 흡입구(231)를 형성하고, 흡입구(231)로 흡입된 유체가 집수정의 외부로 토출되도록 집수정의 상부까지 연장된 부분에 토출구(233)를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되었다.
그리고, 흡입케이싱(230)의 하단 부분에는 구동축을 지지하기 위한 축지지부(235)가 형성될 수 있으며, 축지지부(235)는 흡입케이싱(230)의 내주에서 방사상으로 배치된 가이드날개(237)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흡입가이드(130)는 흡입구(231)의 하단에 설치되어 유체가 흡입구(231)로 용이하게 흡입될 수 있도록 흡입구(231)로 흡입되는 유체를 가이드할 수 있다.
한편, 흡입가이드(130)는 집수정의 바닥에 설치되거나, 흡입구(231)의 하단에 결합될 수 있으며, 흡입가이드(130)는 흡입구(231)의 주변둘레에서 흡입구(231)를 향해 방향이 전환되어 흡입될 수 있도록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점점 면적이 좁아지는 콘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가이드(130)의 외주면은 내측으로 오목한 곡면으로 형성되어 흡입가이드(130)의 둘레에 위치된 유체가 흡입구(231)로 용이하게 방향전환되어 흡입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임펠러(250)에 의해 흡입구(231)로 회전하는 유체의 방향을 가이드하기 위한 가이드날개(237)가 돌출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흡입가이드(130)에는 하기에 설명될 작동유체를 흡입구(231)를 향해 분사하여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유체를 분사하는 유체분사공(131)이 흡입구(231)의 하부에 복수 개가 방사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100)는 간극조절실린더(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간극조절실린더(110)는 흡입가이드(130)의 내부 중앙에 설치되어 유압에 의해 실린더축(111)이 출몰하도록 구성되며, 간극조절실린더(110)의 실린더축(111)은 구동축의 하단에서 구동축을 상부로 밀어 흡입케이싱(230)의 내주와 임펠러(250)의 베인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은 치수공차와 임펠러(250)의 높이조절을 위해 축방향으로 일부 이동 가능하도록 설계되어 설치되기 때문에 간극조절실린더(110)의 실린더축(111)이 출몰할 경우, 구동축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어 구동축에 결합된 임펠러(250)가 상하로 이동함으로써, 흡입케이싱(230)의 내주와 임펠러(250)의 베인의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때, 임펠러(250)의 베인과 흡입케이싱(230)의 내주 사이가 가까워질수록 공극이 최소화되면서 양정이 상승하며, 멀어질수록 양정이 하락된다.
그리고, 간극조절실린더(110)의 내부에는 실린더축(111)을 탄성력에 의해 지지하는 탄성스프링(115)이 설치되며, 유입된 작동유체가 배출되는 배출밸브(117)가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간극조절실린더(110)는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유체가 공급되면, 유압이 탄성력을 극복하면서 실린더축(111)이 상승하고, 배출밸브(117)가 개방되면, 간극조절실린더(110)에 공급되었던 작동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면서 탄성스프링(115)의 탄성력에 의해 실린더축(111)이 하향이동하는 형태로 실린더축(111)이 출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100)는 슬라이딩축(1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슬라이딩축(120)은 구동축의 이동거리의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구동축의 하부에 끼워져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될 수 있으며, 슬라이딩축(120)에는 임펠러(250)가 결합되어 흡입케이싱(230)에서 간극(G)을 조절하기 위해 간극조절실린더(110)에 의해 임펠러(250)의 높낮이를 조절할 때, 구동축의 제작시 발생하는 치수공차보다 더 큰 거리로 임펠러(25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슬라이딩축(120)의 일단은 구동축의 끝단에 삽입되고, 슬라이딩축(120)의 타단은 축지지부(235)에 삽입되어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축지지부(235)에는 간격조절실린더의 실린더축(111)이 축지지부(235)를 관통하여 슬라이딩축(120)을 지지하도록 실린더축(111)이 출몰하는 축삽입공(23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슬라이딩축(120)과 구동축이 서로 끼워지는 부분에는 구동축의 회전 시 슬라이딩축(120)이 정확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슬라이딩축(120)과 구동축 중 어느 하나에는 가이드돌출부가 형성되고, 다른 하나는 가이드돌출부가 가이드되어 이동하는 가이드홈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100)는 유체공급관(150)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유체공급관(150)은 간극조절실린더(110)가 유압에 의해 실린더축(111)이 출몰하도록 유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유체공급관(150)은 집수정의 외부에서 간극조절실린더(110)까지 연장되어 작동유체를 공급할 수 있으며, 유체공급관(150)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는 집수정의 외부 급수시설에서 공급되는 청수일 수 있다.
그리고, 유체공급관(150)은 흡입가이드(130)의 유체분사공(131)으로 분기되는 분기관(155)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체공급관(150)과 분기°(155)의 사이에는 유체공급관(150)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간극조절실린더(110)로 공급되거나, 유체분사공(131)으로 통해 분사되도록 공급되는 방향을 설정하는 방향설정밸브(160)가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100)는 양정측정기(170) 및 간극조절컨트롤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양정측정기(170)는 흡입구(231)로 흡입되는 유체의 양정을 측정할 수 있다.
헌편, 양정측정기(170)는 유체가 흡입되어 토출되는 압력을 측정하는 형태로 양정을 측정하도록 흡입케이싱(230)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부분에 설치될 수 있으며, 실시예에서는 토출되는 유체가 방향을 전환하는 지점, 즉, 실시예에서 흡입케이싱(230)의 절곡된 부분에 수직으로 흡입되어 직교되는 방향으로 유체가 토출되는 부분에 압력판을 설치하고, 이 압력판에 유체가 충돌하는 힘을 측정하는 형태로 양정을 측정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간극조절컨트롤러(180)는 양정측정기(170)에서 측정되는 양정에 따라 실시간으로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간극조절실린더(110)로 공급되는 유체의 량을 조절하는 형태로 실린더축(111)의 출몰되는 거리를 조절하여 임펠러(250)의 베인과 흡입케이싱(230)의 내주 사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집수정인 펌프(200)장에 설치되는 펌프(200)는 통상 최대 기동하도록 설치되는데, 필요 양정에 상관없이 최대 양정으로 토출하도록 기동하기 때문에 유체에 의한 부하가 크게 발생하여 전기의 소모가 증대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간극조절컨트롤러(180)는 필요 양정이 발생하도록 베인과 흡입케이싱(230)의 사이 간격을 조절하여 유체를 토출함으로써, 최대 기동된 상태라고 할지라도 간극조절컨트롤러(180)가 양정을 적게 토출하도록 설정하면, 부하를 감소시켜 전기의 소모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펌프(200)가 임펠러(250)가 마모되어 노후화된 경우, 최대 기동을 하더라도, 원하는 양정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원하는 양정을 얻기 위해 간극조절컨트롤러(180)가 간극조절실린더(110)를 작동시켜 베인과 흡입케이싱(230)의 사이를 최대한 근접시킴으로써, 원하는 양정을 얻을 수도 있다.
또한, 간극조절컨트롤러(180)은 유체공급관(150)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분기관(155)을 통해 유체분사공(131)으로 제공하거나, 간극조절실린더(110)로 공급하도록 방향설정밸브(16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상에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100)는 펌프(200)가 기동하면, 집수정의 유체가 흡입가이드(130)를 통해 흡입구(231)로 흡입되고, 흡입된 유체는 흡입케이싱(230)의 토출구(233)를 통해 토출되어 토출구(233)에 연결된 토출관을 통해 외부로 토출된다.
한편, 유체가 토출될때, 양정측정기(170)에서 가이드판에 충돌되는 유체의 압력에 의해 양정을 측정하고, 양정측정기(170)에서 측정되는 양정이 간극조절컨트롤러(180)에 미리 설정된 양정 미만일 경우에는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간극조절실린더(110)를 작동시켜 베인과 흡입케이싱(230)의 내주가 서로 근접하도록 실린더축(111)을 실시간으로 출몰시킨다.
그리고, 양정측정기(170)에서 측정되는 양정이 미리 설정된 양정을 초과할 경우에는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간극조절실린더(110)를 작동시켜 베인과 흡입케이싱(230)의 내주가 서로 멀어지도록 실린더축(111)을 실시간으로 출몰시킨다.
이때, 실린더축(111)의 작동 시 구동축에서 슬라이딩축(120)만 슬라이딩 이동하기 때문에 실린더축(111)의 가압에 따른 구동축의 부하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펌프(200)가 기동하지 않을 때에는 방향설정밸브(160)가 분기관(155)을 개방하고, 유체공급관(150)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체가 흡입가이드(130)의 유체분사공(131)을 통해 분사시킴으로써, 임펠러(250)와 흡입케이싱(230)에 고착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100)는 임펠러(250)의 베인과 흡입케이싱(230)의 내주의 사이 간극(G)을 조절하여 양정을 조절함으로써, 최적의 양정으로 유체를 토출함으로써, 전기의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으며, 효율적인 운전이 가능하다.
또한, 펌프(200)의 미기동시에는 흡입가이드(130)를 통해 작동유체를 흡입구(231)를 향해 분사함으로써, 임펠러(250) 또는 흡입케이싱(230)의 내주에 고착된 슬러지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110: 간극조절실린더
111: 실린더축 115: 탄성스프링
117: 배출밸브 120: 슬라이딩축
130: 흡입가이드 131: 유체분사공
150: 유체공급관 155: 분기관
160: 방향설정밸브 170: 양정측정기
180: 간극조절컨트롤러 200: 펌프
210: 구동모터 230: 흡입케이싱
231: 흡입구 233: 토출구
235: 축지지부 236: 축삽입공
237: 가이드날개 250: 임펠러
G: 간극

Claims (5)

  1. 전기에 의해 작동하는 구동모터,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하는 임펠러, 상기 임펠러가 내주에 설치되어 유체의 흡입 및 토출을 가이드하는 흡입케이싱, 상기 흡입케이싱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흡입케이싱의 흡입구로 흡입되는 유체의 이동을 가이드하는 흡입가이드를 포함하는 펌프에 설치되는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흡입가이드의 중앙에 설치되어 상기 임펠러가 결합된 구동축의 하단 부분을 유압에 의해 출몰하는 실린더축에 의해 상기 구동축의 축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흡입케이싱에서 상기 임펠러의 사이 간극을 조절하는 간극조절실린더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축은 상기 임펠러가 결합되어 상기 구동축에서 축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딩축을 포함하며,
    상기 흡입케이싱은 상기 슬라이딩축을 지지하는 축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축지지부는 상기 실린더축이 출몰하여 상기 슬라이딩축의 높낮이를 조절하도록 상기 실린더축이 삽입되는 축삽입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입케이싱에서 유체가 토출되는 부분에 설치되어 유체의 토출량을 측정하는 양정측정기를 포함하고,
    상기 간극조절실린더는 상기 양정측정기에서 측정되는 토출량을 기초로 상기 실린더축이 출몰하여 간극을 조절하도록 상기 간극조절실린더를 제어하는 간극조절컨트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린더축을 출몰시키기 위해 상기 간극조절실린더로 작동유체를 공급하는 유체공급관,
    상기 흡입가이드에서 상기 임펠러가 위치되는 방향으로 상기 유체공급관을 통해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분사하여 상기 임펠러와 상기 흡입케이싱의 사이에 고착된 슬러지를 제거하도록 상기 흡입가이드에 형성되는 유체분사공, 및
    상기 유체공급관으로 공급되는 작동유체를 상기 간극조절실린더 또는 상기 유체분사공으로 선택적으로 공급하도록 작동유체의 공급방향을 설정하는 방향설정밸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KR1020180097037A 2018-08-20 2018-08-20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KR1019488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37A KR101948884B1 (ko) 2018-08-20 2018-08-20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7037A KR101948884B1 (ko) 2018-08-20 2018-08-20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8884B1 true KR101948884B1 (ko) 2019-02-15

Family

ID=65367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7037A KR101948884B1 (ko) 2018-08-20 2018-08-20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8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1542A (ja) * 2002-06-07 2004-01-15 Hitachi Metals Ltd ジェットポンプならびにその揚程及び吐出量設定方法
KR101407653B1 (ko) * 2014-03-18 2014-06-16 (주)대한중전기 흡입조건 및 효율을 증대시키는 부양탱크를 구비한 펌프
KR101434503B1 (ko) * 2014-03-07 2014-08-26 (주)대한중전기 자력에 의해 성능을 향상시킨 입축펌프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011542A (ja) * 2002-06-07 2004-01-15 Hitachi Metals Ltd ジェットポンプならびにその揚程及び吐出量設定方法
KR101434503B1 (ko) * 2014-03-07 2014-08-26 (주)대한중전기 자력에 의해 성능을 향상시킨 입축펌프
KR101407653B1 (ko) * 2014-03-18 2014-06-16 (주)대한중전기 흡입조건 및 효율을 증대시키는 부양탱크를 구비한 펌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2061453A (ja) 研削式竪型精穀機
CN111577608B (zh) 一种离心泵
KR101948884B1 (ko) 펌프의 임펠러 간극조절장치
CN102261338A (zh) 内置液环真空泵的自吸式离心泵
CN210231601U (zh) 一种水泵泵壳安装孔钻取装置
JP5205324B2 (ja) プルアウト形立軸ポンプ及びその羽根車とケーシングの隙間調整方法
CN108757369A (zh) 旋转叶轮结构及泵抽机构
KR101234992B1 (ko)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한 양수기
EP0474475B1 (en) Centrifugal pump
JP6404593B2 (ja) ポンプ装置
KR101434503B1 (ko) 자력에 의해 성능을 향상시킨 입축펌프
CN205478370U (zh) 流量优先延时自控稳压全扬程冷热水自吸泵
US11808269B2 (en) Drainage pump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drainage pump
CN108223290B (zh) 一种风力提水装置
KR101613145B1 (ko) 펌프용 웨어링 간극조절장치
KR101948886B1 (ko) 멀티 노즐부와 노즐제어부에 의해 슬러지제거성을 향상시킨 펌프
CN209294076U (zh) 全调节潜水泵
CN110073113B (zh) 旋流泵
KR102435463B1 (ko) 이물질 제거가 가능한 흡입커버를 갖는 수중펌프
KR102405634B1 (ko) 원심 압축기
CN217080661U (zh) 一种便捷调节的无法兰水轮机转轮
CN219432024U (zh) 一种可灵活调节水压的水泵
CN216157914U (zh) 一种泵盖带导翼片的液下渣浆泵
KR101990264B1 (ko) 단일패널구조를 갖는 수중펌프용 임펠러
RU167238U1 (ru) Жидкостно-кольцевая машин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