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8673B1 -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8673B1
KR101948673B1 KR1020120115136A KR20120115136A KR101948673B1 KR 101948673 B1 KR101948673 B1 KR 101948673B1 KR 1020120115136 A KR1020120115136 A KR 1020120115136A KR 20120115136 A KR20120115136 A KR 20120115136A KR 101948673 B1 KR101948673 B1 KR 1019486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cus
determined
state
lens
image picku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51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9209A (ko
Inventor
토시히로 하마루라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1151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8673B1/ko
Priority to US13/679,348 priority patent/US9122129B2/en
Priority to CN201210468731.XA priority patent/CN103124329B/zh
Publication of KR201400492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92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86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86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3/00Viewfinders; Focusing aids for cameras; Means for focusing for cameras; Autofocus systems for cameras
    • G03B13/32Means for focusing
    • G03B13/34Power focusing
    • G03B13/36Autofocus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udio Devices (AREA)
  • Automatic Focus Adjustment (AREA)

Abstract

촬상장치가 개시된다. 본 촬상장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가 매뉴얼 초점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여부에 따라 복수의 초점 감지 방식 중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IMAGE PICKUP APPARATUS, METHOD FOR DRIVING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본 발명은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여부에 따라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달리하여 초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의 상을 전기적 신호로 변환시킨 후 다시 디지털 신호로 바꿔 메모리소자에 기억시키는 카메라는 의미한다. 최근에는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디지털 카메라의 개발 및 보급이 가속화되고 있다.
이와 같은 디지털 카메라는 피사체를 정상적으로 촬상하기 위해서는 피사체의 초점을 맞추는 동작이 필요한데, 이와 같은 동작을 초점 조절(focus)이라고 한다. 이와 같은 초점 조절 방식은 두 가지 방식으로 구분될 수 있는데 하나는 사용자가 직접 초점을 맞추는 수동 초점 방식(또는 매뉴얼 포커싱 모드)과, 디지털 카메라가 자동으로 초점을 맞춰주는 자동 초점 방식(또는 오토 포커싱 모드)이다.
최근의 디지털 카메라는 자동 초점 방식을 채용하여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촬영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복수의 피사체가 있는 경우 또는 유리 밖의 피사체를 촬영하고자 하는 경우에 있어서, 자동 초점 방식은 그 한계가 있어, 고성능의 디지털 카메라는 수동 초점 방식을 함께 지원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디지털 카메라는 수동 초점 방식으로 촬영을 수행하는 중에는 현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지 않았다는 점에서, 수동 초점 방식을 이용하여 촬영을 수행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여부에 따라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달리하여 초점 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상과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는 촬상 소자를 이용하여 피사체를 촬상하는 촬상부,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가 매뉴얼 초점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여부에 따라 복수의 초점 감지 방식 중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결정하는 제어부, 상기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는 판단부, 및,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초점 감지 방식 중 하나는 워블링(wobbling) 동작 방식이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없거나, 초점 조작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조작이면,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으로 상기 워블링 동작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조작이면, 사용자의 초점 조작에 의한 매뉴얼 초점 동작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부는, 렌즈부의 조리개 값 및 초점 상태에 따라 상기 워블링 동작의 구동 진폭 정보를 변환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어부는, 줌 렌즈의 구동시에는 상기 초점 상태의 판단이 수행되지 않도록 상기 판단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줌 렌즈의 구동시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초점 렌즈가 정지 상태이면,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 및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초점 렌즈가 구동 중이면,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 및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에 대한 타당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부는, 서로 다른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초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초점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촬상장치는,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상 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촬상 소자에서 촬상된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은,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가 매뉴얼 초점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여부에 따라 복수의 초점 감지 방식 중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상기 복수의 초점 감지 방식 중 하나는 워블링(wobbling) 동작 방식이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없거나, 초점 조작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조작이면, 상기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상기 워블링 동작 방식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조작이면, 사용자의 초점 조작에 의한 매뉴얼 초점 동작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워블링 동작은, 렌즈부의 조리개 값 및 초점 상태에 따라 구동 진폭 정도가 변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줌 렌즈의 구동시에는 상기 초점 상태의 판단이 수행되지 않도록 결정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줌 렌즈의 구동시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초점 렌즈가 정지 상태이면,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 및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초점 렌즈가 구동 중이면,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 및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에 대한 타당성을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초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초점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방법은,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가 초점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여부에 따라 복수의 초점 감지 방식 중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
도 2는 도 1의 렌즈부 및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초점 상태의 평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 및 도 5는 본 실시 예에 따라 최적의 초점 위치의 산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흐름도,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동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0은 도 9의 줌 트레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1은 도 9의 최적의 초점 위치 및 구동 방향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2는 도 9의 워블링 제어량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3은 초점 상태를 고려하여 워블링 제어량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4는 도 9의 워블링 및 매뉴얼 방식에 의한 초점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15는 도 9의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없는 경우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16은 도 9의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있는 경우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11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 저장부(130), 촬상부(140), 렌즈부(150), 판단부(160), 이미지 처리부(170) 및 제어부(180)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100)는 매뉴얼 초점 방식을 지원하는 디지털 카메라, 캠코더, 휴대폰, PMP, 웹캠 등일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 장치(미도시)와 연결하기 위해 형성되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 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단말장치에 접속되는 형태뿐만 아니라, USB(universal Serial Bus) 포트,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도 가능하다.
그리고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촬상장치(100)가 저장하는 컨텐츠를 외부의 단말장치(미도시)로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10)는 후술할 저장부(130)에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외부의 단말장치(미도시) 또는 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촬상장치(100)가 생성할 수 있는 이미지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등일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촬상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촬상장치(100)에서 제공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다수의 버튼과 같은 입력장치와 LCD 모니터, OLED 모니터 등과 같은 표시 장치를 결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로부터 라이브-뷰 표시 명령, 반 셔터 명령(또는 자동 포커싱 명령), 셔터 명령(또는 촬상 명령) 등과 같은 각종 제어 명령을 입력받는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촬상과 관련된 설정을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촬상된 이미지를 어떠한 파일 포맷으로 저장할 것인지, 촬상 이미지의 해상도, 본 실시 예와 같은 이미지 보정 적용 여부, 디지털 줌 여부, AWB, AF, AE 등의 설정을 입력받을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촬상 명령에 따라 촬상된 이미지를 표시하거나, 후술할 이미지 처리부(170)에서 보정된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재생 명령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각종 컨텐츠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텐츠는 이미지 컨텐츠, 동영상 컨텐츠 등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촬상장치(100)가 동영상 촬영이 가능한 경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저장부(130)에 기저장된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라이브-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사용자의 라이브-뷰 표시 명령에 기초하여, 후술할 촬상부(140)에서 촬상되는 라이브-뷰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라이브-뷰는 촬상부(140)에서 촬상되는 이미지를 뷰파인더가 아닌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에 표시하는 기능이다. 이때,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는 후술할 판단부(160)의 판단된 초점 상태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가 뷰파인더로 촬상을 하고 있는 경우, 이와 같은 초점 상태는 뷰파인터에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6 및 도 7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저장부(130)는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후술할 촬상부(140)에서 촬상된 이미지 또는 후술할 이미지 처리부(170)에서 이미지 처리된 이미지를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저장부(130)는 후술할 판단부(160) 및 제어부(180)에서 산출된 초점 위치, 줌 초점 거리, 초점 상태의 평가값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저장부(130)는 촬상장치(100) 내의 저장매체 및 외부 저장매체, 예를 들어, USB 메모리, 플레쉬 메모리 등을 포함한 Remobable Disk, 촬상장치에 연결된 저장매체, 네트워크를 통한 웹 서버(web server)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촬상부(140)는 촬상소자를 이용하여 상호 이동 변위가 존재하는 복수의 이미지를 연속으로 촬상한다. 구체적으로, 촬상부(140)는 렌즈를 통해 입사되는 빛을 전기 신호로 광전 변환하는 촬상소자 및 촬상소자의 아날로그 형태의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하는 AD 컨버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때, 촬상소자는 CCD(Charge Coupled Device) 촬상소자 및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촬상소자일 수 있다.
촬상부(140)는 촬상장치(100)의 동작 상태에 따라서, 풀-프레임 이미지를 생성하거나, 라이브-뷰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렌즈부(150)는 피사체의 빛을 모아서 촬상 영역에 광학상이 맺히게 한다. 렌즈부(150)의 구체적인 구조 및 동작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판단부(160)는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한다. 초점 상태의 판단 동작에 대해서는 도 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판단부(160)는 서로 다른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초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초점 위치(또는 합초)를 산출하고, 산출된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계산할 수 있다. 초점 위치를 산출하고, 구동 방향을 계산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판단부(160)는 산출된 최적의 초점 위치 및 구동 방향을 제어부(180)에 제공하고, 이에 따라 제어부(180)에서 결정한 초점 감지 방식에 따라서 판단부(160)는 초점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초점 감지 방식은 워블링 동작, 매뉴얼 포커싱 동작, 워블링 동작과 매뉴얼 포커싱 방식이 조합된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판단부(160)는 렌즈부(150)의 조리개 값 및 초점 상태에 따라 워블링 동작의 구동 상태를 변환할 수 있다.
이미지 처리부(170)는 촬상부(140)에서 생성된 이미지에 대해서 보정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미지 처리부(170)는 생성된 이미지에 대해서 포맷 변환과 영상 스케일을 조정하기 위한 디지털 줌, AWB(Auto White Balance), AF(Auto Focus), AE(Auto Exposure) 등의 신호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서는 음성 신호를 수신하는 내용에 대해서 설명하지 않았지만, 이미지 처리부(170)는 별도의 내부의 마이크 또는 외부의 마이크를 통하여 청취된 음성 신호와 촬상된 복수의 이미지를 결합하여 동영상 파일을 생성하고, 생성한 동영상 파일을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제어부(180)는 촬상장치(100) 내의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촬상장치(100)의 전원이 켜지면, 촬상부(140)를 제어하여, 일정 간격(예를 들어, 1/60초 단위: 이후의 이 단위를 1프레임이라고 칭한)으로 노광 및 이미지 데이터를 읽도록 제어하고, 독취된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한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독취된 이미지상에서 휘도 값을 산출하여 촬영된 이미지가 적정한 밝기를 갖도록 조리개, 노출시간, 게인 값 등을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는 사용자가 매뉴얼 초점 모드를 선택한 경우에, 초점 상태에 따라 복수의 초점 감지 방식 중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80)는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없거나, 초점 조작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조작이면,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으로 워블링 동작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80) 초점 조작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조작이면,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으로 매뉴얼 초점 동작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결정에 의하여 판단부(160)에서 초점 상태가 판단되면, 제어부(180)는 판단된 초점 상태가 표시되도록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80)는 줌 렌즈의 구동시에는 초점 감지 방식이 수행되지 않고, 그에 따른 감지 결과가 표시되지 않도록 판단부(160)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2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동작함으로써, 불필요한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100)는 사용자가 매뉴얼 초점 방식으로 촬상하는 과정에서도 초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바,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피사체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량이 기설정된 조작량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별도의 워블링 동작 없이 초점 상태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도 1을 설명함에 있어서, 판단부(160)와 제어부(180)가 별도의 구성인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판단부(160)의 기능 및 제어부(180)의 기능은 하나의 구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대해서는 도 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도 2는 도 1의 렌즈부 및 제어부의 구체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렌즈부(150)는 줌 렌즈(151), 조리개(152), 초점 렌즈(153), 매뉴얼 링(154)으로 구성될 수 있다. 렌즈부(150)의 각 구성의 기능은 널리 알려져 있는바,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제어부(180)는 줌 초점 거리 계산 모듈(181), 초점 위치 검출 모듈(182), 초점 거리 계산 모듈(183), MF 작동 상태 감지 모듈(184), 최적의 초점 위치 및 방향 산출 모듈(185), 초점 구동 모듈(186)을 포함할 수 있다.
줌 초점 거리 계산 모듈(181)은 현재 줌 렌즈(151)의 줌 초점 거리를 계산한다. 구체적으로, 줌 초점 거리 계산 모듈(181)은 줌 렌즈(151)의 가변 저항기의 출력 저항값을 감지하고, 기저장된 감지 저항값 대비 줌 초점 거리의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줌 초점 거리를 계산할 수 있다. 그리고 계산된 줌 초점 거리는 저장부(130)에 저장될 수 있다.
그리고 줌 초점 거리 계산 모듈(181)은 줌 렌즈(151)의 구동 여부를 감지한다. 구체적으로, 줌 초점 거리 계산 모듈(181)은 이전 프레임의 줌 초점 거리와 현재 프레임의 줌 초점 거리를 비교하여, 차이가 있으면 줌 렌즈(151)가 구동된 것으로 감지할 수 있다.
초점 위치 검출 모듈(182)은 초점 렌즈의 위치를 검출한다. 구체적으로, 초점 렌즈가 무한 원에 있는 경우, 전기적으로 단락 접점이 있다. 촬상장치(100)가 시작할 때 단락 상태를 감지할 때까지 초점 렌즈를 구동시키고, 근접 방향으로 초점 위치를 구동시키면서 전기적인 단락 또는 접지 상태를 검출한다.
초점 거리 계산 모듈(183)은 줌 초점 거리, 초점 거리 및 초점 렌즈에 대응하는 룩업 테이블을 저장하고, 저장된 룩업 테이블을 이용하여 앞서 산출된 줌 초점 거리와 검출된 초점 위치를 이용하여 초점 거리를 산출한다.
렌즈부(140)에는 매뉴얼 링(154)이 구비되고, 매뉴얼 링(154)에는 회전 방향과 회전량을 감지하기 위한 감지기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MF 작동 상태 감지 모듈(184)은 기저장된 감지기의 감지 결과와 현재 감지된 감지 결과를 비교하여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유무, 조작 방향 및 조작량을 감지할 수 있다.
최적의 초점 위치 및 방향 산출 모듈(185)은 최적의 초점 위치 및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산출한다. 이와 같은 산출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과 관련하여 후술한다.
초점 구동 모듈(186)은 결정된 감지 방식에 따라 초점 감지를 수행한다. 초점 감지 방식에 대해서는 이하의 도 3 내지 5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3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초점 상태의 평가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촬상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영역(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30x18 블록)을 구분하고, 구분된 영역별로 첨예도를 나타내는 평가값을 산출한다. 그리고 복수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산출된 평가값을 이용하여 각 영역별 초점 상태를 평가한다. 이와 같은 각 영역별 초점 상태의 평가는 상술한 판단부(160) 또는 제어부(180)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평가값만으로는 피사체에 대한 핀트가 맞았는지, 안 맞았는지를 평가할 수 없으며, 그에 따라 구동 방향을 검출할 수도 없다. 따라서, 최적의 초점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적어도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평가값이 필요하다.
이에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있는 경우에는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에 의한 초점 렌즈의 구동을 이용하여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평가값을 이용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워블링 동작을 이용하여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평가값을 이용한다. 다만,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있으나, 그 조작량이 미미한 경우에는 사용자의 조작량에 워블링 동작을 추가하여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평가값을 이용한다.
한편, 평가값은 첨예도를 나타내고 있다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최적의 초점 위치에 가까운 초점 위치의 평가값의 변화는 크지만, 컨트라스트 값 자체가 작은 피사체에서는 최적의 초점 위치에 있더라도 그 평가값 자체가 크지 않기 때문에 최적의 초점 위치를 검출하는데 적합하지 않다. 그리고 너무 멀리 위치하는(즉, 무한원 위치) 초점 위치 및 너무 가깝게 위치하는 초점 위치(즉, 근방 위치) 역시 구동에 의하여 평가값이 거의 변화하지 않기 때문에 최적의 초점 위치를 검출하는데 이용하기에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본 실시 예에서는 여러 초점 위치 중 상술한 바와 같은 이용하기 적절하지 않은 초점 위치는 제외하고 최적의 초점 위치에 가까운 초점 위치를 이용한다.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이와 같은 초점 위치를 선정하는 방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4는 4가지 패턴에서의 평가값 변화를 표시한다.
도 4를 참조하면, 4가지 패턴 중 하나인 최적의 초점 위치에 가까운 초점 위치(410)는 초점 렌즈의 이동에 의하여 평가값이 증가 및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무한원에 위치하는 초점 위치(420)는 거리가 멀수록 평가값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근거리에 위치하는 초점 위치(430)는 거리가 가까울수록 평가값이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거리를 특정할 수 있는 초점 위치(440)는 초점 거리의 변화와 무관하계 평가값이 일정함을 확인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4가지 패턴 중 3가지 패턴은 최적의 초점 위를 판단하는데 적합하지 않은바, 이미지 내의 각 블록별로 3가지 초점 위치에서의 평가값이 4가지 패턴 중 어떤 패턴에 가까운지를 판단하고, 평가값이 증가 및 감소하는 패턴을 갖는 블록 영역을 최적의 초점 위치를 산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블록 영역의 선택이 완료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3개의 평가값 중 최대값과 최소값을 연결하는 제1 직선 및 상기 제1 직선과 대칭되며 중간값을 경유하는 제2 직선이 만나는 교차점을 이용하여 최적의 초점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은 3개의 초점 위치는 허용 초점 범위(피사계 심도) 이상 떨어진 위치로 설정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하여 더욱 정밀한 최적의 초점 위치의 검출이 가능하다.
도 6 및 도 7은 도 1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부에서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다양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600)은 초점 조정이 수행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각 블록별 초점 상태를 표시한다.
여기서 제1 영역(610)은 최적의 초점 위치에 있는 영역으로, 즉, 핀트가 맞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제1 영역(610)은 예를 들어, 노란색(또는 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제2 영역(620)은 최적의 초점 위치보다 후 핀트 위치에 있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제2 영역(620)은 예를 들어, 파란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어긋난 정도에 따라서 색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트 차이가 큰 영역에 대해서는 진한 파란색을 표시하고, 핀트 차이가 크지 않는 영역은 옅은 파란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영역(630)은 최적의 초점 위치보다 앞 핀트 위치에 있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제3 영역(630)은 예를 들어, 청록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어긋난 정도에 따라서 색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트 차이가 큰 영역에 대해서는 진한 청록색(cyan)을 표시하고, 핀트 차이가 크지 않는 영역은 옅은 청록색을 표시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산출된 초점 상태만으로 표시하는 것을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중에는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유효한 것인지에 대한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예에 대해서는 도 7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7을 참조하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700)은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 중에 표시될 수 있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의 일 예이다.
제4 영역(710)의 최적의 초점 위치에 있는 영역으로, 즉, 핀트가 맞는 영역이다. 이와 같은 제4 영역(710)은 예를 들어, 노란색(또는 황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제5 영역(720)은 최적의 초점 위치보다 후 핀트 위치에 있는 영역으로, 현재 사용자가 무한원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면, 즉, 제5 영역과 핀트가 더 안 맞는 방향으로 조작되고 있는바, 사용자의 조작 방향이 유효하지 않음을 표시할 수 다. 이와 같은 제5 영역(720)은 예를 들어, 적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핀트가 안 맞는 정도에 따라서 색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트 차이가 큰 영역에 대해서는 진한 적색으로 표시하고, 핀트 차이가 크지 않은 영역은 옅은 적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6 영역(730)은 최적의 초점 위치보다 앞 핀트 위치에 있는 영역으로, 현재 사용자가 무한원 방향으로 이동하고 있다면, 즉, 제6 영역과 핀트가 맞는 방향으로 조작되고 있는바, 조작 방향이 유효함을 표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6 영역(730)은 예를 들어, 녹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한편, 구현시에는 핀트가 안 맞는 정도에 따라서 색을 구분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핀트 차이가 큰 영역에 대해서는 진한 녹색으로 표시하고, 핀트 차이가 크지 않은 영역은 옅은 녹색으로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제 7 영역(740)은 최적의 초점 위치의 평가가 불가능한 영역이다. 이와 같은 제7 영역(740)은 예를 들어, 흰색으로 표시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인터페이스 창은 매뉴얼 초점 방식으로 구동중인 상태에서도 초점 상태에 대한 정보 및 구동 방향에 대한 유효성을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바, 사용자는 용이하게 초점을 맞출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동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간략한 흐름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먼저,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한다(S810).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포커싱 모드를 오토 포커싱 모드 및 매뉴얼 포커싱 모드 중 어느 모드를 선택하였는지를 판단한다.
그리고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가 매뉴얼 초점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초점 조작 여부에 따라 복수의 초점 감지 방식 중 적용될 초점 감지 방식을 결정한다(S820).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없는 경우에는 워블링 방식을 결정하고,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큰 경우 매뉴얼 방식을 결정할 수 있으며,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미미한 경우에는 워블링 방식 및 매뉴얼 방식이 혼합된 방식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워블링 방식은 기설정된 크기만큼 초점 렌즈를 앞/뒤로 조작하여 3개의 초점 렌즈 위치에서의 평가값을 취득하는 방식으로, 매뉴얼 초점 동작 방식은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에 의하여 가변하는 초점 렌즈 위치에서 평가값을 취득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혼합 방식은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에 의한 초점 렌즈의 이동이 허용 초점 범위(피사계 심도) 이상이 아닌 경우에, 추가적으로 초점 렌즈를 앞/뒤로 조작하여 허용 초점 범위 이상의 3개의 초점 렌즈 위치에서의 평가값을 취득하는 방식이다.
그리고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고(S830),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한다(S840). 초점 상태를 판단하고, 이를 표시하는 동작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7과 관련하여 앞서 설명하였는바 중복 설명은 생략한다.
도 9는 본 실시 예에 따른 촬상장치의 구동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사용자가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매뉴얼 초점 모드로 선택한 경우에, 초점 위치 및 줌 초점 거리를 검출하여 저장한다(S905). 구체적으로, 줌 초점 거리는 렌즈부(150)의 줌 링(151)의 회전 위치에 연동한 저항값을 기초로 검출하고, 초점 위치는 렌즈부(150)의 초점 렌즈(153)의 위치를 기초로 검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검출 동작은 촬상 소자의 제어 단위(프레임 단위)로 수행될 수 있다.
그리고 줌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S910). 구체적으로, 이전 프레임의 줌 초점 거리와 현재 프레임의 줌 초점 거리를 비교하여, 줌 초점 거리가 변화되었으며, 줌 변환 중으로 판단하고, 줌 초점 거리가 변화되지 않았으며, 줌 변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줌 변환 중인 것으로 판단되면(S910-Y), 줌 트레킹 제어를 수행한다(S915). 줌 트레킹 제어 동작에 대해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줌이 변환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면(S910-N), 본 발명의 매뉴얼 포커싱 어시스트 동작을 수행한다.
먼저, 매뉴얼 포커싱 모드의 작동 상태를 감지하고, 초점 상태의 평가값을 취득한다(S920). 여기서 초점 상태의 평가값은 이미지의 각 블록의 컨트라스트(contrast)에 해당하는 평가값이다.
본 실시 예에서는 전전번의 프레임, 이전 프레임 및 현재 프레임 각각의 초점 위치 및 초점 상태의 평가값을 이용하여 최적의 초점 위치 및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방법을 계산하는바, 전전번의 프레임, 이전 프레임 및 현재 프레임 각각의 초점 위치 및 초점 상태의 평가값을 취득한다.
3개의 데이터 값이 취득되지 않으면(S925-N), 본 실시 예에 따른 최적의 초점 위치의 검출이 불가능한바, 사용자의 매뉴얼 포커싱 동작이 있는지를 감지한다(S950).
반대로, 3 개의 데이터 값이 취득되었으면(S925-Y), 최적의 초점 위치 및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구동 방향을 계산한다(S930). 구체적인 최적의 초점 위치 및 구동 방향의 계산 동작에 대해서는 도 11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최적의 초점 위치 및 구동 방향이 계산되었으며, 사용자가 포커스 조작을 수행하는지를 판단한다(S935).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없으면(S935-N), 계산된 최적의 초점 위치 및 구동 방향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S940), 워블링 동작 방식을 수행한다(S940). 구체적으로, 현재의 기준 초점 렌즈의 위치를 계산된 양만큼 무한원 방향 및 근방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이동 제어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워블링 동작 방식에 대해서는 도 12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있으면(S935-Y), 계산된 최적의 초점 위치 및 구동 방향의 타당성을 사용자에게 표시하고(S945),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의 조작량이 기설정된 크기 이상인지를 판단한다(S955).
판단 결과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기설정된 크기 이하의 조작이면(S955-N), 워블링 초점 구동 및 매뉴얼 초점 구동을 동시에 수행한다(S965). 구체적으로, 사용자의 조작량이 워블링에 의한 제어 폭 40 펄스보다 적은 경우에는 최적의 초점 위치 감지에 필요한 포커스 편차량을 얻을 수 없기 때문에, 사용자의 조작량에 워블링 구동량을 추가하여 구동 제어를 수행한다. 이와 같은 동작에 대해서는 도 14를 참조하여 후술한다.
한편,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기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조작이면(S955-Y), 매뉴얼 초점 구동을 수행한다(S970). 즉, 사용자의 조작에 의한 3개의 초점 위치에서의 평가량을 산출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에 의하여 초점이 조정된 이후에, 사용자로부터 릴리즈 작동 명령(즉, 촬상 명령)이 수신되면(S980), 현재 워블링 초점 구동중인지를 판단하고(S985), 현재 워블링 초점 구동중이 아니면(S985-N), 바로 촬상 동작을 수행한다(S990).
한편, 현재 워블링 초점 구동중이면(S985-Y), 워블링 초점 구동을 수행하기 직전의 위치(즉, 기준 위치)로 초점 렌즈의 위치를 구동하고(S990), 촬상 동작을 수행한다(S990). 구체적으로, 본 실시 예에서의 워블링 동작은 촬영자의 의도에 관계없는 작업이기 때문에 촬영자의 본 촬영에 동작시에는 워블링 동작을 해제하고, 워블링 동작 시작 전의 기준 포커스 위치로 구동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구동 제어 방법은 사용자가 매뉴얼 초점 방식으로 촬상하는 과정에서도 초점 상태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바, 사용자는 보다 용이하게 피사체에 대한 포커싱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도 8 및 도 9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촬상장치 상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촬상장치 상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은 상술한 바와 같은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실행 프로그램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행 프로그램은 컴퓨터 판독 기록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각 블록들은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상의 컴퓨터 기록 가능한 코드로써 실시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컴퓨터시스템에 의해 판독될 수 있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 디바이스가 될 수 있다.
도 10은 도 9의 줌 트레킹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구체적으로, 사용자가 줌을 조작하고 있는 경우에는 초점 조작을 수행하지 않는다고 판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과정 중에 초점의 상태 정보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는 것은 무의미하다. 구체적으로, 초점의 위치가 동일하다고 하여도 줌의 조작에 의하여 최적 초점 거리(또는 초점 거리)는 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서, 초점 거리가 줌 조작에 의하여 변화하지 않도록 줌 초점 거리의 변화에 따라 초점 위치를 새롭게 산출할 필요가 있으며, 이를 줌 트레킹 제어라고 한다.
먼저, 기저장된 이전 프레임의 줌 초점 거리를 추출한다(S1010).
그리고 현재 프레임의 초점 위치를 취득하고, 취득된 초점 위치와 이전 프레임의 줌 초점 거리를 이용하여 초점 거리를 산출한다(S1020). 구체적으로, 저장부(130)는 줌 초점 거리 및 초점 거리에 대응되는 초점 위치에 대한 테이블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바, 기저장된 테이블 데이터를 이용하여, 초점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
그리고 이번 프레임의 줌 초점 거리를 추출한다(S1030).
그리고 추출된 이번 프레임의 줌 초점 거리와 산출된 초점 거리를 이용하여 현재 프레임의 초점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S1040).
그리고 이전의 초점 위치와 산출된 초점 위치의 거리 차이를 이용하여 초점 구동을 제어한다(S1050).
도 11은 도 9의 최적의 초점 위치 및 구동 방향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초점 위치에 대한 데이터 그룹을 취득하고(S1105), 해당 초점 위치 각각에 대한 평가값을 취득한다(S1110).
그리고 n=1로 설정하고(S1115),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크면 작업을 종료하고(S1120-N),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작으면 아래의 작업을 수행한다.
그 다음, 초점 위치의 계산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판단하고, 무한원 방향에서의 증가인지, 근접 방향에서의 증가인지를 판단한다(S1130).
판단 결과, 초점 위치의 계산이 가능한 경우(S1130-Y), 최적의 초점 위치를 계산하고(S1135),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방향을 산출한다(S1140).
한편, 초점 위치의 계산이 불가능한 경우(S1130-N), 무한원 방향으로의 증가인지를 판단하고(S1145), 무한원 방향으로의 증가인 경우(S1145-Y), 최적의 초점 위치를 무한원 위치로 확정한다(S1150).
한편, 무한원 방향으로의 증가가 아닌 경우(S1145-N), 근접 방향에서의 증가인지를 판단하고(S1155), 근접 방향으로의 증가인 경우(S1155-Y), 최적의 초점 위치를 근접 위치로 확정한다(S1160).
한편, 근접 방향으로의 증가가 아닌 경우(1155-N), 최적의 초점 위치는 부정확한 것으로 판정한다(S1165).
앞서 판정된 최적의 초점 위치를 저장하고(S1170), n의 값을 1증가하고(S1175), 다음 블록에 대한 평가를 반복한다.
도 12는 도 9의 워블링 방식에 의한 초점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워블링 제어량을 산출한다(S1210). 구체적으로, 워블링 제어량은 피사계 심도를 산출하여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피사계 심도는 이미지상의 차이 값으로 F(조리개)와 δ(허용착란원)의 곱으로 계산될 수 있다. 여기서 허용착락원은 15μm를 이용할 수 있다. 한편, 촬상장치(100)에는 이미지상의 편차량에 대한 초점 편차량의 변환계수를 줌 초점 거리에 대응하여 미리 저장하고 있다. 따라서, 기준 초점의 위치를 180, 조리개가 4, 줌 초점 거리에 대응한 변환계수를 1/12로 하면, 8×1/12가 되어 피사계 심도는 40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4에서의 초점 위치는 140, 180, 220이 될 수 있다. 한편, 워블링 제어량은 초점 상태를 고려하여 산출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실시 예에 대해서는 도 13을 참조하여 후술한다.
그리고 상태가 0인지를 판단한다(S1220). 여기서 상태(state)는 초점 렌지의 위치를 나타내며, 0은 워블링 제어를 수행하기 전의 초점 렌즈의 위치, 1은 워블링 제어를 수행하기 전보다 무한원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 2는 워블링 제어를 수행하기 전보다 근방 방향으로 이동한 위치이다.
판단 결과 상태가 0인 경우(즉, 워블링 구동 초기)에는 무한원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만큼 구동하고(S1230), 상태를 1로 변환한다(S1235).
한편, 판단 결과가 0이 아니면(S1220-N), 상태가 1인지를 판단한다(S1250).
판단 결과 상태가 1이면(S1250-Y), 근방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의 두 배만큼 구동하고(S1260), 상태를 2로 변환한다(S1265).
한편, 판단 결과가 1이 아니면(S1250-N), 무한원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만큼 구동하고(S1270, 즉, 초기 위치로 구동하고), 상태를 0으로 변환한다(S1275).
그리고 상태가 변환되면, 변환된 상태에 따른 워블링 제어를 재차 수행한다(S1240).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워블링 동작 방식을 이용함으로써,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없는 경우에도 세 가지 초점 위치에서 평가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3은 초점 상태를 고려하여 워블링 제어량을 산출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먼저, 피사계 심도(Fδ)를 계산한다(S1305).
그리고 n에 1로 설정하고(S1310),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작은지를 평가한다(S1315).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큰 경우(S1315-N), 최종제어량을 각 블록 최대제어량으로 설정한다(S1320).
한편,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작은 경우(S1315-N), 초점 상태 정보의 결과를 출력하고, 데이터가 부정하면(S1330-Y), 제어량을 8Fδ로 계산할 수 있다(S1335).
한편, 데이터가 정확하면(S1330-Y),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에 대한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1340).
확인 결과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이 존재하지 않으며(S1340_N), 제어량을 8Fδ로 계산할 수 있다(S1335).
한편, 확인 결과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이 존재하면(S1340_Y), 제어량을 최적의 초점 위치와의 차이량의 2배로 설정할 수 있다(S1345).
그리고 설정된 제어량이 8Fδ을 초과하면(S1350-Y), 제어량을 8Fδ로 계산할 수 있다(S1335).
한편, 설정된 제어량이 4Fδ 미만이면(S1355-Y), 제어량을 4Fδ로 계산할 수 있다(S1340).
제어량이 계산되면, n의 값을 1 증가한다(S1365).
도 14는 도 9의 워블링 및 매뉴얼 방식에 의한 초점 구동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먼저, 워블링 제어량을 산출하고, MF 구동량을 계산한다(S1405).
그리고 MF 조작 방향이 무한원 방향인지를 판단한다(S1410).
MF 조작 방향이 무한원 방향이면(S1410-Y), 상태가 0인지를 판단한다(S1415). 여기서 상태(state)는 초점 렌즈의 위치를 나타낸다.
판단 결과 상태가 0인 경우(즉, 워블링 구동 초기)에는 무한원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만큼 구동하고(S1420), 상태를 1로 변환한다(S1425).
한편, 판단 결과가 0이 아니면(S1415-N), 상태가 1인지를 판단한다(S1435).
판단 결과 상태가 1이면(S1250-Y), 근방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의 두 배만큼 구동하고(S1440), 상태를 2로 변환한다(S1445).
한편, 판단 결과가 1이 아니면(S1435-N), 무한원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만큼 구동하고(S1450, 즉, 초기 위치로 구동하고), 상태를 0으로 변환한다(S1455).
한편, MF 조작 방향이 무한원 방향이 아니면(S1410-N)(즉, 근방 방향으로의 조작이면), 상태가 0인지를 판단한다(S1460).
판단 결과 상태가 0인 경우(즉, 워블링 구동 초기)에는 구동방향을 무한원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에서 계산된 MF 구동량을 제외한 만큼 구동하고(S1465), 상태를 1로 변환한다(S1470).
한편, 판단 결과가 0이 아니면(S1460-N), 상태가 1인지를 판단한다(S1475).
판단 결과 상태가 1이면(S1475-Y), 근방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의 두 배만큼 구동하고(S1480), 상태를 2로 변환한다(S1485).
한편, 판단 결과가 1이 아니면(S1475-N), 무한원 방향으로 계산된 워블링 제어량만큼 구동하고(S4790, 즉, 초기 위치로 구동하고), 상태를 0으로 변환한다(S1495).
그리고 상태가 변환되면, 변환된 상태에 따른 워블링 제어를 재차 수행한다(S1430).
이와 같은 실시 예에서는,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초점의 편차량을 얻을 수 있을 정도로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충분한 편차량을 얻을 수 있도록 워블링 동작을 추가적으로 수행하는바, 세 가지 초점 위치에서 평가값을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5는 도 9의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없는 경우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먼저, 피사계 심도(Fδ)를 계산한다(S1505).
그리고 n에 1로 설정하고(S1510),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작은지를 평가한다(S1515).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큰 경우(S1515-N), 표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작은 경우(S1515-N), 초점 상태 정보의 결과를 출력하고(S520), 데이터가 부정하면(S1525-Y), 표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S1530).
한편, 데이터가 정확하면(S1325-Y),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에 대한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1530).
확인 결과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이 존재하지 않으면(S1530-N), 최적의 초점 위치가 무한대 방향인지를 판단하고(S1535), 최적의 초점 위치가 무한원 방향이면(S1535-Y), 앞 핀트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한 청록색을 깜박일 수 있다(S1540).
한편, 최적의 초점 위치가 무한원 방향이 아니면(S1535-N), 후 핀트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진한 파란색을 깜박일 수 있다(S1545).
한편,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이 존재하면(S1530-Y), 피사계 심도 내의 차이인지를 판단하고(S1550), 피사계 심도 내의 차이량이 아니면(S1550-N), 최적의 초점 위치가 무한대 방향인지를 판단하고(S1555), 최적의 초점 위치가 무한원 방향이면(S1555-Y), 가까운 앞 핀트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옅은 청록색을 깜박일 수 있다(S1560).
한편, 최적의 초점 위치가 무한원 방향이 아니면(S1555-N), 가까운 후 핀트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옅은 파란색을 깜박일 수 있다(S1565).
한편, 피사계 심도 내의 차이량이면(S1550-Y), 최적의 초점 위치임을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황색을 깜박일 수 있다(S1570).
그리고 한 블록에 대한 색 처리가 수행되면, n의 값을 1 증가하고(S1575).다는 블록에 대한 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도 16은 도 9의 사용자의 포커스 조작이 있는 경우의 표시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먼저, 피사계 심도(Fδ)를 계산한다(S1605).
그리고 n에 1로 설정하고(S1510),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작은지를 평가한다(S1615).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큰 경우(S1615-N), 표시 동작을 종료한다.
한편, n이 평가 블록 수보다 작은 경우(S1515-N), 최적 정보 결과를 출력하고, MF 조작 방향을 검출한다(S1620).
그리고 최적 정보의 데이터가 존재하는지를 판단한다(S1625). 판단 결과 최적 정보의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으면(S1625-Y), 표시 동작을 수행하지 않는다(S1630).
한편, 최적 정보의 데이터가 존재하면(S1625-N),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에 대한 데이터의 존재 여부를 확인한다(S1635).
확인 결과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이 존재하지 않으면(S1635-N), 사용자의 조작 방향이 계산된 구동 방향인지를 판단하고(S1640), 사용자의 조작 방향이 계산된 구동 방향과 일치하면(S1640-Y), 조작방향이 유효하다는 표시를 할 수 있다(S1645). 예를 들어, 진한 녹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 방향이 계산된 구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면(S1640-N), 조작방향이 잘못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S1650). 예를 들어, 진한 적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최적의 초점 위치의 차이량이 존재하면(S1535-Y), 피사계 심도 내의 차이인지를 판단하고(S1655), 피사계 심도 내의 차이량이 아니면(S1655-N), 사용자의 조작 방향이 계산된 구동 방향인지를 판단하고(S1660), 사용자의 조작 방향이 계산된 구동 방향과 일치하면(S1660-Y), 조작방향이 유효하다는 표시를 할 수 있다(S1665). 예를 들어, 옅은 녹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조작 방향이 계산된 구동 방향과 일치하지 않으면(S1660-N), 조작방향이 잘못되었음을 표시할 수 있다(S1670). 예를 들어, 옅은 적색을 표시할 수 있다.
한편, 피사계 심도 내의 차이량이면(S1655-Y), 최적의 초점 위치임을 표시할 수 있다(S1675). 예를 들어, 황색을 깜박일 수 있다.
그리고 한 블록에 대한 색 처리가 수행되면, n의 값을 1 증가하고(S1680).다른 블록에 대한 색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해서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촬상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부
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30: 저장부
140: 촬상부 150: 렌즈부
160: 판단부 170: 이미지 처리부
180: 제어부

Claims (20)

  1. 촬상장치에 있어서,
    촬상부;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고,
    상기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가 매뉴얼 초점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없거나 초점 조작이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조작이면 워블링(Wobbling) 동작 방식을 초점 감지 방식으로 결정하며,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조작이면 매뉴얼 동작 방식을 초점 감지 방식으로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며,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촬상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렌즈부의 조리개 값 및 초점 상태에 따라 상기 워블링 동작의 구동 진폭 정도를 변환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줌 렌즈의 구동시에는 상기 초점 상태의 판단을 수행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줌 렌즈의 구동시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지 않도록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초점 렌즈가 정지 상태이면,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 및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는,
    초점 렌즈가 구동 중이면,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 및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에 대한 타당성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서로 다른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초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초점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촬상부에서 촬상된 이미지를 저장하는 저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촬상 명령이 입력되면, 촬상 소자에서 촬상된 이미지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상장치.
  11. 촬상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에 있어서,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가 매뉴얼 초점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없거나 초점 조작이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조작이면 워블링(Wobbling) 동작 방식을 초점 감지 방식으로 결정하며,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조작이면 매뉴얼 동작 방식을 초점 감지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동 제어 방법.
  12. 삭제
  13. 삭제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워블링 동작은, 렌즈부의 조리개 값 및 초점 상태에 따라 구동 진폭 정도가 변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줌 렌즈의 구동시에는 상기 초점 상태의 판단이 수행되지 않도록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줌 렌즈의 구동시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초점 렌즈가 정지 상태이면,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 및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하는 단계는,
    초점 렌즈가 구동 중이면,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 및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에 대한 타당성을 함께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서로 다른 3개의 초점 렌즈의 위치에서의 초점 정보를 이용하여 최적의 초점 위치를 산출하고, 상기 산출된 최적의 초점 위치로 이동하기 위한 초점 렌즈의 구동 방향을 계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 제어 방법.
  20. 촬상장치의 구동 제어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구동 제어 방법은,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촬상장치의 동작 모드가 초점 모드인 경우에,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없거나 초점 조작이 기 설정된 크기 이하의 조작이면 워블링(Wobbling) 동작 방식을 초점 감지 방식으로 결정하며, 사용자의 초점 조작이 기 설정된 크기를 초과하는 조작이면 매뉴얼 동작 방식을 초점 감지 방식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초점 감지 방식을 이용하여 피사체에 대한 초점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판단된 초점 상태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20120115136A 2011-11-18 2012-10-17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KR1019486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36A KR101948673B1 (ko) 2012-10-17 2012-10-17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3/679,348 US9122129B2 (en) 2011-11-18 2012-11-16 Image pickup apparatus,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CN201210468731.XA CN103124329B (zh) 2011-11-18 2012-11-19 图像拾取设备、驱动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5136A KR101948673B1 (ko) 2012-10-17 2012-10-17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209A KR20140049209A (ko) 2014-04-25
KR101948673B1 true KR101948673B1 (ko) 2019-04-25

Family

ID=5065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5136A KR101948673B1 (ko) 2011-11-18 2012-10-17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8673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670A (ja) * 2002-04-26 2003-11-06 Nikon Gijutsu Kobo:Kk カメラ
JP2007214845A (ja) * 2006-02-09 2007-08-23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多数ポイント同時合焦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12051A1 (en) 2006-03-13 2007-09-13 Fujinon Corporation Focus information display system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41263A (ko) * 2005-10-14 2007-04-18 엘지전자 주식회사 휴대 단말기의 카메라 조정 장치와 이를 이용하여 카메라의배율을 제어하는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15670A (ja) * 2002-04-26 2003-11-06 Nikon Gijutsu Kobo:Kk カメラ
JP2007214845A (ja) * 2006-02-09 2007-08-23 Casio Comput Co Ltd 電子カメラ、多数ポイント同時合焦枠表示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20070212051A1 (en) 2006-03-13 2007-09-13 Fujinon Corporation Focus information display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9209A (ko) 2014-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47581B2 (en) Focusing apparatus that effectively sets a focus area of an image when a focusing mode is changed
JP6146293B2 (ja) 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システム
US8259214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auto-focus detection method
JP2008009263A (ja) 撮像装置及びそのプログラム
US9531946B2 (en) Image capturing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storage medium
US8896742B2 (en) Image pickup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and program thereof
US11010030B2 (en) Electronic apparatus capable of performing display control based on display mode, control method thereof,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
JP2010057168A (ja) 撮像装置及び撮像方法
US10834326B2 (en) Interchangeable lens apparatus, its control method, and imaging apparatus
JP2012163940A (ja) 撮像装置、撮像方法、及び撮像プログラム
US9122129B2 (en) Image pickup apparatus, driving control method thereof,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US11240423B2 (en) Display control apparatus,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image capturing apparatus, and storage medium
KR101948673B1 (ko) 촬상장치, 그의 구동 방법 및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JP6403473B2 (ja) 撮像装置、そ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CN103124329B (zh) 图像拾取设备、驱动控制方法
JP5091091B2 (ja) 撮像装置及びそのオートフォーカス制御方法、並びに制御プログラム
KR101369752B1 (ko) 디지털 영상 처리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JP5157528B2 (ja) 撮影装置
JP2018098764A (ja) 撮像装置および画像合成方法
US11637966B2 (en) Imaging device and diaphragm mechanism control method
JP2012023468A (ja) 撮像装置
KR20080113997A (ko) 영상 촬영 장치 및 방법
WO2020044844A1 (ja) 信号処理装置、信号処理方法、信号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撮像装置
JP6577820B2 (ja) 撮像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JP5406958B2 (ja) 画像処理装置、方法及び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