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910B1 -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 Google Patents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910B1
KR101947910B1 KR1020170097557A KR20170097557A KR101947910B1 KR 101947910 B1 KR101947910 B1 KR 101947910B1 KR 1020170097557 A KR1020170097557 A KR 1020170097557A KR 20170097557 A KR20170097557 A KR 20170097557A KR 101947910 B1 KR101947910 B1 KR 10194791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duit
unit
conduit portion
outer diameter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75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3231A (ko
Inventor
허경욱
Original Assignee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700975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7910B1/ko
Publication of KR201900132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32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9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9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1/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ars or hearing sense; Non-electric hearing aids; Methods or devices for enabling ear patients to achieve auditory perception through physiological senses other than hearing sense; Protective devices for the ear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11/20Ear surgery
    • A61F11/202Surgical middle-ear ventilation or drainage, e.g. permanent; Implants therefor
    • A61F11/002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00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i.e. artificial substitutes or replacements for parts of the body; Appliances for connecting them with the body;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 A61F2/02Prostheses implantable into the body
    • A61F2/18Internal ear or nose parts, e.g. ear-drum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Otolaryng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Transplantation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Cardi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관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로를 가지는 제1도관부; 및 상기 중이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1도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관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도관부가 상기 이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는 제2도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Conduit unit for improve obstacle of eustachian tube}
본 발명은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중이와 인두를 연결하는 이관의 기능 장애로 인해 발생되는 문제점들을 해소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이관(Eustachian tube; ET)은 중이(middle ear)의 압력 조절, 환기 및 배액 등의 기능을 가지며 그 중이와 인두(pharynx)를 연결하는 공간으로써, 비인두에 가까운 연골부와 중이에 가까운 골부로 나뉜다. 이관은 일상 생활 중에 대부분의 시간동안 닫혀있는 상태이나 입을 벌리거나 침을 삼킬 경우 순간적으로 열림으로써, 중이에 있던 공기가 비인두(nasopharynx)로 빠져나가도록 하고 그 비인두에 있는 공기를 중이로 이동시킨다. 이때, 이관은 중이에 있던 공기가 비인두로 빠져 나갈 때 중이내 세포들에 의해 만들어진 대사산물을 비인두로 배액시키는 기능을 가진다.
이관의 기능에 장애가 발생될 경우, 삼출성 중이염, 유착성 중이염, 고막 천공, 진주종성 중이염 등이 발병할 수 있음으로, 이관의 기능 유지와 기능 개선을 위해 많은 노력이 있었다. 1970년대에는 이관의 골부에 대한 이관성형술이 시행되어 왔으나, 이는 이관의 골부협착 시에만 시행할 수 있는 제한점 이외에 시술후 시술유닛인 스텐트의 이동, 자연방출 등이 발생시켰다.
이후에는 비인두를 통하여, 연골부를 포함한 이관 기능 개선에 초점을 맞춘 치료가 시도되었는데, 1980년대 테플론, 젤폼(gelform), 지방 등을 이용한 이관 융기 주입술이 시행되었다. 하지만, 이관 융기 주입술은 시술결과가 우수하지 못하거나 합병증의 발생과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널리 시술되지 못했다.
최근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풍선 확장 시술유닛(30)을 이용하여 비인강쪽 입구(40)를 통한 풍선 확장술이 시도되고 있으나, 그 풍선 확장술은 시술 후 이관(A)의 기능을 다시 저하시킨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이관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시술들은 스텐트와 풍선 등의 시술유닛을 이용함으로써, 시술후(술후) 그 시술유닛이 이관측에서 이동 또는 자연방출되어 이관의 기능을 개선 및 회복시키기 어렵고 합병증을 발생시킬 수 있으며 이관 기능을 다시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가진다.
종래기술로는 일본등록특허 제4162407호 「중이 임플란트」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이관의 기능장애 개선을 위한 시술후 이관 개방을 위한 시술유닛이 이관측에서 이동 또는 자연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관의 기능을 개선 및 회복시킬 수 있도록 하고, 이관기능 장애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방지하며 이관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는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은, 중이와 비인두를 연결하는 이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이와 이관 사이에 형성된 이관강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관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로를 가지는 제1도관부; 및 상기 중이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1도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관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도관부가 상기 이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는 제2도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2도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 중이 측 조직 내측에 걸어지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도관부의 외경은, 상기 이관 측에서 중이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제1도관부와 제2도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외부 도관; 및 상기 외부 도관 내측에 배치되고, 유체의 이동로를 가지는 내부 도관;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 도관은, 인체 조직과의 접촉시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내부 도관은, 상기 유체의 이동로가 상기 이관을 감싸는 연골에 의해 막히지 않고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도관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은 상기 외부 도관과 내부 도관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의한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은, 제1도관부가 이관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이동로를 가지고, 제2도관부가 중이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제1도관부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제1도관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져, 제1도관부가 이관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이관의 기능장애 개선을 위한 시술후 이관 개방을 위한 시술유닛인 도관유닛이 이관측에서 이동 또는 자연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관의 기능을 개선 및 회복시키고, 이관기능 장애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방지하며 이관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풍선 확장 시술유닛을 이용한 이관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시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에 채용된 외부 도관 및 내부 도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에 채용된 충진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Ⅲ-Ⅲ 단면도이며, 도 4는 본 발명 일실시예의 사용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이다.
이들 도면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은, 중이(X)와 비인두를 연결하는 이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중이(X)와 이관 사이에 형성된 이관강에 배치되는 것으로 제1도관부(100)와 제2도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져서, 만성적인 이관폐쇄로 인한 이관 기능장애에 따른 문제점과 합병증을 치료 및 예방 가능하게 한다.
상기 제1도관부(100)는, 이관(A)에 가깝게 위치되고 이동로를 가짐으로써 세포들에 의해 만들어진 대사산물 등의 유체를 이동시킨다. 상기 제1도관부(100)는 파이프와 같은 구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관(A)을 향해 길게 형성된다.
상기 제1도관부(100)는 고막(1)이 위치한 중이(X)와, 이관(A)에 연결된 비인두를 서로 소통시키고, 그 이관(A) 측의 내부 공간을 개방 및 유지시킨다. 상기 제1도관부(100)는 시술 시, 이관(A) 측 내부에 위치된 이후 비인두를 통해 관찰되고 그 이관(A)의 구조나 길이에 따라 시술자에 의해 절단됨으로써, 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의 길이가 확정되도록 한다.
상기 제1도관부(100)는, 도 4를 기준으로 고막(1)이 위치한 중이(X) 쪽의 일측이 제2도관부(200)와 연결된다. 상기 제1도관부(100)는 제2도관부(2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이동로(101)가 중이(X) 쪽을 향해 연장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제1도관부(100)의 타측은, 비인두를 향해 위치되어 상기 이동로(101)가 길게 형성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비인두는 도 4에 표시된 화살표가 지시하는‘V’측 방향에 위치된다.(도 4 참조)
상기 제2도관부(200)는, 상기 중이(X)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제1도관부(100)의 일측에 일체형으로 형성되며, 제1도관부(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도관부(100)가 이관(A) 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다.
상기 제2도관부(200)는 외경이 제1도관부(100)의 외경보다 큼으로써, 외면이 중이(X)와 연결되는 골성 이관의 내면과 밀착되어 위치고정됨으로써, 중이(X)에 있는 공기를 포함한 유체가 안정되게 비인두로 배액되도록 한다.
이관(A)의 기능 장애 개선을 위한 수술 시, 상기 제1도관부(100)와 제2도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본 실시예는, 외이도(6)를 통과해 절개된 고막(1)을 경유하여 이관 측에 삽입된다. 이때, 본 실시예는 제1도관부(100)가 연골성 이관측에 배치되어 이동로(101)를 형성하고, 제2도관부(100)가 골성 이관에 배치되어 그 이동로(101)를 연장하게 된다.
이로 인해, 상기 제1도관부(100)와 제2도관부(200)는 중이(X)를 비인두와 소통시키고, 그 중이(X)에 있던 유체를 비인두로 배액시키며 그 비인두에 있던 새로운 공기를 중이로 이동시킨다. (도 4 참조)
이러한 구성을 가지는 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은, 제1도관부(100)가 이관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이동로를 가지고, 제2도관부(200)가 제1도관부(1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며 그 제1도관부(100)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져 상기 제1도관부(100)가 이관(A)측에서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킴으로써, 이관의 기능장애 개선을 위한 시술후 이관 개방을 위한 시술유닛인 도관유닛이 이관측에서 이동 또는 자연방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이관의 기능을 개선 및 회복시키고, 이관기능 장애로 인한 합병증 발생을 방지하며 이관기능을 효과적으로 유지시키는 장점을 도출한다.
한편, 상기 제2도관부(200)의 외경은 상기 이관(A) 측에서 중이(X)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는 상기 제2도관부(200)의 중이(X)측 외경이 제1도관부(100)의 이관(A)측 외경보다 큼으로써, 제1도관부(100) 및 제2도관부(200)를 이관강 측에 안정되게 배치시키고, 중이(X) 측의 공기 및 대사산물 등과 같은 유체를 효과적으로 제1도관부(100)의 이동로(101)로 유입시켜 중이의 압력 조절, 환기 및 배액 효율을 증대시킨다.
본 실시예는 도 4를 기준으로 중이(X)를 향하는 제2도관부(200)의 일측에 걸림부(30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걸림부(300)는 제2도관부(200)의 일측 단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다. 상기 걸림부(300)는 제1도관부(100) 및 제2도관부(200)가 절개된 고막(1)을 경유하여 이관(A) 측에 삽입될 경우 중이 측 조직 내측에 걸어짐으로써, 그 제1도관부(100)와 제2도관부(200)가 그 조직 내측에 안정되게 위치 고정될 수 있도록 하여 도관유닛이 이관(A) 측에서 이동이나 이탈되지 않도록 하는 효과를 가진다.
상기 걸림부(300)는 제2도관부(200)와 일체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조직 내측을 향하는 단부가 제1도관부(100)를 향하는 방향으로 절곡되어 걸림돌기를 형성할 수도 있을 것이다. 상기 걸림돌기(미도시)는 걸림부(300)와 함께 상기 조직 내측에 걸리게 됨으로써, 제1도관부(100) 및 제2도관부(200)와 조직 내측 간의 위치 고정력을 증대시키는 장점을 기대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에 채용된 외부 도관 및 내부 도관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와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도관 유닛이 이중 구조로 이루어진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는 외부 도관(B)과 내부 도관(C)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그 외부 도관(B)의 내부에 내부 도관(C)이 배치된 이중구조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 도관(B)은, 상기 제1도관부(100)와 제2도관부(2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중이(X)을 향하는 일측의 외경이 이관(A)을 향하는 타측의 외경보다 크다.
아울러, 상기 외부 도관(B)은 중이(X)를 향하는 일측에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된 걸림부(300)를 구비하고, 내부 도관(C)을 감싸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유체의 이동을 위한 이동로(101)가 마련된 내부 도관(C)이 중이(X)와 이관(A) 상이에 안정되게 배치되어 이동이나 이탈되지 않도록 한다.
상기 외부 도관(B)은 실리콘이나 테프론 등의 신체 적합도가 높고 조직 자극이 매우 낮은 연성 재질로 형성됨으로써, 인체 조직과 그 외부 도관(B)의 접촉 시 그 인체 조직에 긁힘이나 염증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한다.
나아가 상기 외부 도관(B)의 내면에는 윤활 코팅층(미도시)이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윤활 코팅층은 외부 도관(B)과 내부 도관(C)이 서로 접촉되는 접촉면에 형성됨으로써, 외부 도관(B)과 내부 도관(C)의 마찰에 의한 마모 현상을 방지할 수 있고 상기 내부 도관(C)을 외부 도관(B)에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하며, 그 내부 도관(C)의 성능이 저하될 경우 시술자가 비인두를 통해 그 내부 도관(C)을 용이하게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도출한다.
상기 내부 도관(C)은, 외부 도관(B)의 내측에 배치되고 상기 유체의 이동로(101)를 가진다. 상기 내부 도관(C)은 그 외부 도관(B)의 형태와 대응되는 형태로 이루어지고, 외부 도관(B) 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내부에 이동로(101)를 구비한다.
상기 내부 도관(C)은 스테인레스 스틸과 같이 내부식성의 금속 소재로 형성됨으로써, 상기 이동로(101)를 안정되게 유지하여 이관을 감싸는 연골에 의해 그 이동로(101)가 폐쇄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내부 도관(C)은 금속 소재로 이루어짐으로써, 중이에 있던 공기와 분비물 등의 유체가 비인두 측으로 일정하게 통과할 수 있도록 하며, 중이염 등의 발병시 내부 도관(C)을 통해 치료장치 삽입 후 흡인 등의 치료를 시도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도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을 설명하였다. 이하에서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에 채용된 충진재를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는 앞에서 설명한 실시예들과 대부분의 구성이 유사하나, 상기 외부 도관(B)과 내부 도관(C)의 사이 공간에 충진재(F)가 구비된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즉, 본 실시예에 채용된 충진재(F)는 실리콘이나 윤활젤 등으로 이루어져 상기 사이 공간에 충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충진재(F)는 외부 도관(B)과 내부 도관(C)의 사이에서 완충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며, 마찰로 인한 마모발생을 방지할 수 있음으로써, 도관 유닛의 지속적인 사용을 가능하게 하고 그 내부 도관(C)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여 만성적인 이관 폐쇄에 의한 합병증을 예방함과 동시에 이관의 기능을 효과적으로 개선 및 회복시키는 장점을 도출한다.
이상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실시예 및 본 명세서에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명확하게 나타내고 있는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이 자명하다고 할 것이다.
100: 제1도관부 101: 이동로
200: 제2도관부 300: 걸림부
B: 외부 도관 C: 내부 도관
F: 충진재

Claims (6)

  1. 중이와 비인두를 연결하는 이관의 막힘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중이와 이관 사이에 형성된 이관강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이관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유체의 이동이 가능한 이동로를 가지는 제1도관부; 및
    상기 중이 측에 가깝게 위치되고, 상기 제1도관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제1도관부의 외경보다 큰 외경을 가짐으로써 상기 제1도관부가 상기 이관 측으로 이탈되는 것을 억제시킬 수 있게 하는 제2도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1도관부와 제2도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외부 도관; 및 상기 외부 도관 내측에 배치되고, 유체의 이동로를 가지는 내부 도관;을 포함하고,
    상기 외부 도관은, 인체 조직과의 접촉시 손상을 일으키지 않도록 연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 도관은, 상기 유체의 이동로가 상기 이관을 감싸는 연골에 의해 막히지 않고 개방 상태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기 외부 도관보다 강성이 큰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관부로부터 반경방향 외측으로 연장형성됨으로써, 상기 중이 측 조직 내측에 걸어지는 걸림부;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도관부의 외경은, 상기 이관 측에서 중이 측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커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관과 내부 도관 사이에 충진되는 충진재;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KR1020170097557A 2017-08-01 2017-08-01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KR1019479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57A KR101947910B1 (ko) 2017-08-01 2017-08-01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7557A KR101947910B1 (ko) 2017-08-01 2017-08-01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31A KR20190013231A (ko) 2019-02-11
KR101947910B1 true KR101947910B1 (ko) 2019-02-13

Family

ID=653663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7557A KR101947910B1 (ko) 2017-08-01 2017-08-01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910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4467A (ja) * 2002-11-01 2006-02-09 ポリガニックス ビー. ブイ. 医療用の生分解性ドレイン
JP2008061983A (ja) * 2006-09-05 2008-03-21 Hisao Fujiwara 鼓膜ドレーンチューブ
US20120191030A1 (en) 2007-06-26 2012-07-26 Galit Avior Eustachian tube device
WO2013077438A1 (ja) 2011-11-25 2013-05-30 Morita Masahiro 耳管鼓膜チューブ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504467A (ja) * 2002-11-01 2006-02-09 ポリガニックス ビー. ブイ. 医療用の生分解性ドレイン
JP2008061983A (ja) * 2006-09-05 2008-03-21 Hisao Fujiwara 鼓膜ドレーンチューブ
US20120191030A1 (en) 2007-06-26 2012-07-26 Galit Avior Eustachian tube device
WO2013077438A1 (ja) 2011-11-25 2013-05-30 Morita Masahiro 耳管鼓膜チューブ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3231A (ko) 2019-02-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35422B2 (en) Tympanic membrane pressure equalization tube
US10376416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non-ventilating middle ear by providing a gas pathway through the nasopharynx
JPH0354729Y2 (ko)
US10143591B2 (en) Low profile eustachian tube dilation system
JP4959550B2 (ja) 副鼻腔炎および耳、鼻、および/または、喉の各種疾病を診断および治療する装置、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5483976A (en) Mechanically actuated urethral plug assembly and method for controlling urinary incontinence
US20050240280A1 (en) Ureteral stent
JP7250460B2 (ja) 耳管開放症のステント
US20150374963A1 (en) Vent Cap for a Eustachian Tube Dilation System
US20160302910A1 (en) Pancreatic stent drainage system
AU783830C (en) Facilitating drainage
CN101232857A (zh) 耳管
JP2005312894A (ja) 可撓性要素を有するステント
KR102084146B1 (ko) 이관 기능부전 치료를 위한 이관 내 삽입 스텐트
JP2005312896A (ja) 腎部カール付きステント
US201303039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treatment of non-ventilating middle ear by providing a gas pathway through the nasopharynx
KR101947910B1 (ko) 이관기능 장애 개선용 도관 유닛
BR112021015196A2 (pt) Trocartes flexíveis com pontas cegas e conectores para avançar cateteres para drenagem de ferimento através do tecido
Dazert et al. Stapes revision surgery
JP2006263061A (ja) ドレーンチューブ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