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773B1 -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 Google Patents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773B1
KR101947773B1 KR1020180023113A KR20180023113A KR101947773B1 KR 101947773 B1 KR101947773 B1 KR 101947773B1 KR 1020180023113 A KR1020180023113 A KR 1020180023113A KR 20180023113 A KR20180023113 A KR 20180023113A KR 101947773 B1 KR101947773 B1 KR 1019477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magnetic body
end cap
cap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31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주
Original Assignee
유병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병주 filed Critical 유병주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7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7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9/00Rollers, e.g. drive rollers, or arrangements thereof incorporated in roller-ways or other types of mechanical conveyors 
    • B65G39/02Adaptations of individual rollers and supports there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48Wear protection or indication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2326/00Articles relating to transporting
    • F16C2326/58Conveyor systems, e.g. rollers or bearings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롤러의 일단에 척력이 작용하도록 자성체가 체결된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으로, 롤러가 비대칭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각 부품의 분리 결합이 용이하여 손상된 부품만 교체할 수 있으며, 롤러의 내부가 밀폐되어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A CONVEYOR WITH ROLLERS}
본 발명은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보다 자세하게는 롤러의 일단에 자성체를 체결하여 롤러가 비대칭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컨베이어는 이송물을 한 지점에서 다른 지점으로 쉽게 이동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이러한 컨베이어는 사용 목적에 따라 다양 형태의 컨베이어가 사용되며, 대표적으로는 벨트 컨베이어와 롤러 컨베이어 등이 있다.
사용 목적에 따라 컨베이어의 형태가 차이는 있으나, 어떠한 형태의 컨베이어든 회전이 가능한 롤러가 장착된다.
산업 발달에 따라 산업현장이 대형화되고 그에 따라 다양한 이송물을 옮기는데 컨베이어가 주로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컨베이어의 사용 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송물의 무게나 크기 등에 상관 없이 컨베이어의 일측을 기준으로 이송물을 배치하여 이송한다. 따라서, 롤러의 일측에서 이송물과의 접촉 및 마찰이 집중되어 롤러의 일측 부분의 마모가 특히 심각하게 발생한다.
그러나, 종래의 컨베이어의 롤러는 일측과 다른 측이 특정하게 구분되지 않았고, 대칭되는 형상으로 구성되었다. 또한, 내마모성이 요구되는 특수한 사업장의 경우 롤러의 외장 재질을 내마모성 재질로 구성하기도 하였지만 이는 막대한 비용 부담이 문제점으로 지적되었다.
다른 한편으로 롤러의 외경이 어느 한쪽 측면으로 점점 지름이 가늘어 지는 형태의 롤러가 사용되었으나, 이는 이송물품의 하중이 가해지는 상태에서는 롤러의 일측 부분이 처짐 현상이 발생하여 실제 컨베이어를 운전할 때, 롤러와 이송물의 접촉이 매우 불안정한 형태로 접촉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야외에서 대형 목재 등을 이송하기 위해 사용되는 경우, 롤러의 내부에 분진 등이 삽입되어 손상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등록특허 제10-0878029호 (2009.01.05.) 대한민국공개특허 제10-2011-0085087호 (2011.07.2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내마모성이 개선된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무게가 집중되는 일측이 강화된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내부에 이물질이 삽입되지 않는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분해 및 조립이 수월하고, 손상된 부품만 교체가 가능한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예시적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중심이 개구된 형상의 롤러부, 상기 롤러부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부 및 상기 롤러부의 양 끝단에 체결되어 롤러의 내부로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제 1 고정부 및 제 2 고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 1 고정부는 3중으로 이루어져 제 2 고정부 보다 강화되고, 제 1 고정부에 제 1 자성체 및 제 2 자성체가 서로 같은 극을 마주보도록 체결되어 척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의 일 측만 마모되는 현상을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의 내부에 이물질이 삽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롤러의 분해 및 조립이 수월하여 부품의 일부가 손상되었을 경우, 손상된 부품만 교체가 가능한 효과가 있다.
또한, 척력이 작용하는 자성체로 인해, 롤러 내부의 손상이 적은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대형 물체도 적층이 가능하며, 다양한 사이즈와 무게의 이송물을 이송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최종적으로,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여 본 발명의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의 사용도를 증가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의 이송물을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롤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롤러의 결합된 내부를 나타낸 절단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롤러와 제 1 고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제 1 고정부의 수직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어, 이하에서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본 발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부호들은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자연스럽게 이해되거나 보다 분명해질 수 있으며, 하기의 기재만으로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에 이송물을 이송하는 과정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일반적으로 롤러(10)를 구비하는 컨베이어에 이송물(20)을 이송할 때, 크기와 무게에 상관 없이 모두 일 측을 기준으로 이송하게 된다. 따라서, 롤러(10)의 일 측이 특히 마모가 심하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 측에만 무게가 쏠려 롤러(10)가 불균형이 일어나 장기간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 들을 해결하기 위해 개선된 본 발명의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를 이하,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고자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결합 관계를 나타낸 분해도이다.
도 2에 의하면, 본 발명의 롤러(10)는 롤러부(400), 상기 롤러부(400)의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부(100), 상기 롤러부(400)의 일단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200) 및 상기 롤러부(400)의 타단에 삽입되는 제 2 고정부(300)를 포함한다.
롤러부(400)는 중심이 개구된 관형상으로, 롤러(10)의 가장 외측에 형성되어 이송물(20)과 직접 닿을 수 있다. 상기 롤러부(400)는 내마모성이 강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표면에 열처리를 통해 내마모성을 강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표면이 크롬, 무전해 니켈 등으로 내마모성 도금이 될 수 있다. 롤러부(400)는 일단과 타단의 외직경이 동일한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이송물(20)의 이송기준 위치가 되는 일단의 외직경이 타단의 외직경보다 큰 뿔대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롤러부(400)가 뿔대형상으로 이루어질 경우, 이송물(20)이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송되기 때문에 일단에 무게가 쏠려 비대칭적으로 마모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상세하게, 일단을 기준으로 이송되는 이송물(20)이 롤러부(400)가 뿔대형상인 경우, 일단의 외직경보다 작은 외직경을 갖는 롤러부(400)의 타단 방향으로 이동되며 이송될 수 있다. 이때 이송물(20)이 롤러부(400)의 일단에서 타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각도 및 속도는 이송물(20)의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송물(20)의 무게가 롤러부(400)의 일단에 쏠리지 않으며 이송물(20)의 무게에 따라 타단 방향으로 이동되는 각도 및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롤러부(400)의 어느 한 위치에 이송물(20)의 무게가 쏠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 롤러부(400)의 표면 재질은 이송물(20)이 쉽게 타단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이 높은 연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단의 외직경이 타단의 외직경보다 크되 이송물(20)이 타단 방향으로 천천히 이동할 수 있도록 일단 및 타단의 외직경은 미세한 차이를 갖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트부(100)는 상기 롤러부(400)의 중심을 관통하여 삽입되며, 롤러(10)의 중심축 역할을 할 수 있다. 샤프트부(100)는 두께가 일정한 원기둥의 봉 형상일 수 있으며, 도 2와 같이 두께가 일정한 원기둥의 봉 형상의 중심에 양끝단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의 봉 형상이 결합된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샤프트부(100)는 중심으로부터 양측이 서로대칭되는 형상으로 이루어 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고정부(200) 및 제 2 고정부(300)는 상기 롤러부(400)의 일단 및 타단에 삽입되어, 롤러부(400)와 샤프트부(100)가 움직이지 않고 고정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움직이지 않는 것은 롤러부(400)와 샤프트부(100)가 서로 이탈되거나 헛도는 현상이 없는 것을 말한다. 롤러부(400)와 샤프트부(100)가 서로 고정되는 경우, 롤러부(400)가 샤프트부(100)로부터 이탈되어 이송물(20)이 이송 위치로부터 벗어나게 되거나, 롤러부(400)가 헛도는 현상에 의해 이송물(20)이 일정 속도로 이송되지 못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고정부(200)와 제 2 고정부(300)는 롤러부(400)와 샤프트부(100)사이의 빈 공간이 밀폐되도록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롤러(10)의 내부로 먼지, 분진 등의 이물질이 삽입되어 롤러(10)의 내부가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고정부(200)는 제 1 앤드캡(210), 제 1 가압 부재(220) 및 보강캡(230)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자성체(211) 및 제 2 자성체(23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 1 앤드캡(210)은 내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외주연의 반지름이 롤러부(400)의 내주연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1 앤드캡(210)의 외주연의 반지름과 롤러부(400)의 내주연의 반지름이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앤드캡(210)의 일단에 상기 롤러부(400)의 내주연의 반지름보다 크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1 앤드캡(210)의 내주연에 제 1 자성체(211)가 체결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제 1 가압 부재(220)는 내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외주연의 반지름이 상기 제 1 앤드캡(210)의 내주연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1 가압 부재(220)의 외주연의 반지름이 제 1 앤드캡(210)의 내주연의 반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가압 부재(220)의 일단에는 상기 제 1 앤드캡(210)의 내주연의 반지름보다 크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보강캡(230)은 제 1 앤드캡(2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보강캡(230) 또한 내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형성되며, 외주연의 반지름이 상기 제 1 가압부재(220)의 내주연의 반지름보다 작거나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보강캡(230)의 내주연의 반지름은 상기 샤프트부(100)의 반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보강캡(230)의 내주연에는 제 2 자성체(231)가 체결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제 1 가압부재(220)를 생략하는 실시예의 경우, 보강캡(230)의 외주연의 반지름은 제 1 앤드캡(210)의 내주연의 반지름과 동일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 1 자성체(211)는 제 1 앤드캡(210)의 내주연의 홈에 체결되며, 제 2 자성체(231)는 보강캡(230)의 내주연의 홈에 체결된다. 제 1 자성체(211) 및 제 2 자성체(231)는 서로 같은 극을 마주보도록 체결되어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되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제 1 자성체(211)는 바깥쪽으로 멀어지려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무거운 이송물을 적재시켜도 제 1 고정부(200)의 내부에 무게가 덜 작용하여 파손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제 2 고정부(300)는 제 2 앤드캡(310) 및 제 2 가압 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 2 앤드캡(310)은 제 1 앤드캡(210)과 같이 롤러부(400)와 샤프트부(100)를 고정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제 2 앤드캡(310)은 내부가 개구된 형상으로, 외주연의 반지름이 롤러부(400)의 내주연의 반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 2 앤드캡(310)의 외주연의 반지름과 롤러부(400)의 내주연의 반지름이 동일할 수 있다. 상기 제 2 앤드캡(310)의 일단에 상기 롤러부(400)의 내주연의 반지름보다 크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제 2 가압 부재(320)는 제 2 앤드캡(310)을 가압시켜줌과 동시에 제 2 고정부(300)를 강화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제 2 가압부재(230)는 제 2 앤드캡(310)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제 2 가압 부재(320)는 제 2 앤드캡(310)과 같이 내부가 개구된 형상이며, 일단에 상기 제 2 앤드캡(310)에 걸려 가압할 수 있도록 걸림턱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가압 부재(320)의 외주연의 반지름은 제 2 앤드캡(310)의 내주연의 반지름과 동일하고, 제 2 가압 부재(320)의 내주연의 반지름은 샤프트부(100)의 반지름과 동일하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의 결합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 의하면, 본 발명의 롤러(10)는 제 1 고정부(200)가 제 2 고정부(300)보다 여러 층으로 이루어져있다. 따라서, 제 1 고정부(200)가 삽입된 쪽의 롤러부(400)를 기준으로 이송물(20)을 적재하여도, 롤러(10)가 기울거나 흔들리지 않고 버틸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200)의 제 1 앤드캡(210) 및 제 1 가압 부재(220)가 제 2 고정부(300)의 제 2 앤드캡(310) 및 제 2 가압 부재(320)보다 길이가 길어, 롤러부(400) 내측에서 보다 깊이 삽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고정부(200)쪽을 기준으로 크기가 다양한 이송물(20)을 적재하였을 때, 제 1 고정부(200)가 힘을 분산시켜 버틸 수 있다.
제 1 자성체(211) 및 제 2 자성체(231)는 같은 길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같은 극성을 마주보도록 형성하기 위함이다.
이하, 제 1 자성체(211) 및 제 2 자성체(231)는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롤러와 제 1 고정부를 확대하여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고정부는 제 1 앤드캡(210), 제 1 가압 부재(220) 및 보강캡(230)으로 3중 구조로 이루어 질 수 있다. 경우에 따라서, 제 1 가압 부재(220)를 생략하고 제 1 앤드캡(210)의 내주연에 보강캡(230)이 직접 삽입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앤드캡(210)에는 제 1 자성체(211)가, 보강캡(230)에는 제 2 자성체(231)가 체결 될 수 있다. 상기 자성체는 하나의 원통형상으로 체결될 수 있으며, 원통을 세로로 자른 형상의 복수개의 자성체(211, 231)들이 결합하여 하나의 원통형상을 이룰 수도 있다.
제 1 자성체(211)와 제 2 자성체(231)는 도 4와 같이 같은 극성끼리 서로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체결될 수 있다. 여기서, S극과 N극은 서로 위치가 바뀌어도 무관하다.
이처럼, 제 1 자성체(211)와 제 2 자성체(231)가 같은 극을 마주보고 있으므로, 서로 밀어내는 척력이 작용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자성체(211)는 바깥으로 밀어내려는 힘이 작용하여, 롤러(10)에 무거운 이송물(20)을 적재하여도 제 1 자성체(211)의 내측에 구비된 제 1 가압 부재(220)와 보강캡(230)은 비교적 힘을 덜 받게 된다. 이로 인해, 롤러(10)의 내부가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 1 앤드캡(210)은 복원력이 있는 연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연성의 재질은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앤드캡(210)이 복원력이 있는 연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제 1 자성체(211) 및 제 2 자성체(231)의 척력에 의해 제 1 자성체(211)가 외측 방향 즉, 제 1 앤드캡(210) 방향으로 멀어지도록 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 1 자성체(211)와 제 2 자성체(231)가 서로 같은 극성끼리 대응되어 마주보도록 체결되면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제 1 자성체(211)는 외측 방향으로, 제 2 자성체(231)는 내측 방향으로 밀려나게 되는데 이 때, 제 1 앤드캡(210)이 복원력이 있는 연성의 재질로 구비되는 경우 제 1 자성체(211)가 외측 방향으로 밀려나는 정도가 커질 수 있다. 따라서, 제 1 자성체(211)의 내측에 구비된 제 1 가압 부재(220)와 보강캡(230)이 이송물(20)의 무게에 의해 받는 힘이 비교적 적어질 수 있다.
또한, 롤러부(400)에서 제 1 고정부(200)가 위치한 이송물(20)을 적재하는 기준이 되는 부분에 돌기부(41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돌기부(410)는 이송물(20)이 미끄러지지 않도록 마찰력을 증가시켜줌과 동시에, 롤러부(400)가 직접적으로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돌기부(410)는 따로 교체가 가능한 고무, 실리콘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있어 마모가 되었을 때, 돌기부(410)만 교체하면 컨베이어의 원활한 재작동이 가능하다.
이하, 도 4의 a-a'부분을 수직으로 절단한 단면도인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에 의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 1 자성체(211) 및 제 2 자성체(231)가 각각 4개씩 결합하여 원통형을 이루는 형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자성체(211) 및 제 2 자성체(231)는 하나의 원통형상일 수도 있으며, 여러 개의 자성체가 합쳐진 원통형상일 수도 있다. 단, 제 1 자성체(211)와 제 2 자성체(231)는 서로 같은 극이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자성체(211)와 제 2 자성체(231)간에 서로 척력이 작용하여 제 1 자성체(211)가 바깥으로 밀어내는 힘이 작용하기 때문에 무거운 이송물(20)이 적재되어도 롤러(10)의 내부에 힘을 덜 받게 된다.
더불어, 본 발명에서 제 1 고정부(200) 및 제 2 고정부(300)는 각각 쉽게 결합하고 분리할 수 있는 형태로 이루어져, 일부 부품이 파손되거나 손상되었을 경우 해당 부품만 교체할 수 있다. 또한, 제 1 고정부(200) 및 제 2 고정부(300)에 의해 롤러부(400)와 샤프트부(100)사이의 공간이 밀폐될 수 있어, 롤러(10)의 내부로 먼지나 분진 등의 이물질이 들어가 쉽게 부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롤러부(400)와 샤프트부(100)사이의 밀폐를 위해 제 1 고정부(200) 및 제 2 고정부(300)의 각각의 구성의 일단에 돌출된 걸림턱이 밀착될 수 있는 고무, 실리콘 등의 패킹 부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구체적인 설명을 위한 예시의 목적으로 기재된 것이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는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안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부가가 가능할 것이며, 이러한 수정, 변경 및 부가는 상기의 특허 청구범위 안에 속하는 것으로 보아야 할 것이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Claims (5)

  1. 중심이 개구된 관형상의 롤러부(400);
    상기 롤러부(400) 중심을 관통하는 샤프트부(100);
    상기 롤러부(400)의 일단에 삽입되는 제 1 고정부(200); 및
    상기 롤러부(400)의 타단에 삽입되는 제 2 고정부(30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고정부(200)는 제 1 앤드캡(210) 및 상기 제 1 앤드캡(2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보강캡(230)을 포함하며,
    상기 제 2 고정부(300)는 제 2 앤드캡(310) 및 상기 제 2 앤드캡(310)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2 가압 부재(320)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앤드캡(210), 보강캡(230), 제 2 앤드캡(310) 및 제 2 가압부재(320)는 각각 중심이 개구되고, 일단에 둘레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돌출된 걸림턱을 구비하고,
    제 1 고정부(200)는 상기 제 1 앤드캡(210) 및 보강캡(230) 사이에 삽입되는 제 1 가압 부재(220)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롤러부(400)는 외주면의 일단에 돌기부(410)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 1 앤드캡(210) 및 보강캡(230)은 내주면에 자성체(211, 231)가 체결될 수 있는 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앤드캡(210)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 1 자성체(211) 및
    상기 보강캡(230)의 내측에 체결되는 제 2 자성체(231)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 1 자성체(211) 및 제 2 자성체(231)는 서로 동일한 둘레 방향을 따라 서로 같은 극이 대응 되도록 체결되어,서로 척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80023113A 2017-11-20 2018-02-26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KR1019477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54481 2017-11-20
KR1020170154481 2017-11-20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7773B1 true KR101947773B1 (ko) 2019-02-13

Family

ID=65366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3113A KR101947773B1 (ko) 2017-11-20 2018-02-26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7773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363A (ja) 2001-01-26 2002-08-14 Showa Mfg Co Ltd ハースローラ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28363A (ja) 2001-01-26 2002-08-14 Showa Mfg Co Ltd ハースローラ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997975B2 (en) Sprockets for a flexible conveyor belt and conveyor belt system
CA2923266C (en) Conveyor belt positive drive roller
US6279729B1 (en) Article conveyance having mechanical drive
KR101947773B1 (ko) 롤러를 구비하는 컨베이어
US4193493A (en) Roller conveyor
AU2014272653B2 (en) A segmented idler for use in a conveyor belt installation
US3258097A (en) Low friction flow roller assembly
KR100826138B1 (ko) 컨베이어용 내마모성 롤러
US2725974A (en) Conveyor rollers
JP6875617B2 (ja) 搬送装置
CN102458958A (zh) 手推车
JP2004270920A (ja) 封止チェーンリンクアセンブリ
KR20170003821A (ko) 이물질 부착방지, 컨베이어 벨트 미끄러짐 방지 및 윙커버 교환이 가능한 윙풀리
CN207390254U (zh) 一种防滑型传送带
US4802519A (en) Rubber tired roller bearing
KR101770037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102432666B1 (ko) 마그네틱 이송롤러
KR200496845Y1 (ko) 벨트 컨베이어
KR101956477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101849006B1 (ko) 컨베이어용 프릭션 롤러
KR102202430B1 (ko) 벨트 컨베이어
KR200419879Y1 (ko) 어큐뮬레이션 컨베이어
KR20020029726A (ko) 분리결합이 용이한 벨트 컨베이어용 롤러
JP3970300B2 (ja) ベルトコンベア装置
US20080110721A1 (en) Roller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