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7540B1 -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7540B1
KR101947540B1 KR1020177000327A KR20177000327A KR101947540B1 KR 101947540 B1 KR101947540 B1 KR 101947540B1 KR 1020177000327 A KR1020177000327 A KR 1020177000327A KR 20177000327 A KR20177000327 A KR 20177000327A KR 101947540 B1 KR101947540 B1 KR 1019475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period
transmission
reception
dr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03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7524A (ko
Inventor
히사시 후타키
히로아키 아미나카
Original Assignee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0752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752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75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75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1Arrangements for dividing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03Two-dimensional division
    • H04L5/0005Time-frequency
    • H04L5/0007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 H04L5/001Time-frequency the frequencies being orthogonal, e.g. OFDM(A), DMT the frequencies being arranged in component carri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4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by using forward error control
    • H04L1/0045Arrangements at the receiver en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2Distributed allocation, i.e. involving a plurality of allocating devices, each making partial allocation
    • H04L5/0035Resource allocation in a cooperative multipoint enviro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44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allocation of payloa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91Signaling for the administration of the divided path
    • H04L5/0096Indication of changes in allocation
    • H04L5/0098Signalling of the activation or deactivation of component carriers, subcarriers or frequency ban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2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downlink control channe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04W52/022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where the received signal is a wanted signal
    • H04W72/042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00

Abstract

무선 단말(3)은, 제1 무선국(1)의 제1 셀(10) 및 제2 무선국(2)의 제2 셀(20)을 사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할 수 있다. 제1 무선국(1) 또는 제2 무선국(2)은, 무선 단말(3)에 제약 정보를 송신한다. 제약 정보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제1 셀(10) 및/또는 제2 셀(20)에 관한 수신 제한 및/또는 송신 제한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수신 제한/송신 제한은, 프라이머리 셀(10) 및 세컨더리 셀(20)의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이에 따라, 예를 들면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무선 단말에서의 헛된 전력 소비의 저감에 기여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STATION, WIRELESS TERMINAL,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
본 발명은, 무선국과 무선 단말이 복수의 셀을 이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모바일 트래픽의 급격한 증대에 의한 통신 품질의 저하의 개선, 및 가일층의 고속 통신의 실현을 위해, 3GPP LTE(Long Term Evolution)에서는 무선 기지국(eNode B : eNB)과 무선 단말(User Equipment : UE)이 복수의 셀을 사용하여 통신을 행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 CA) 기능의 사양화가 행해지고 있다. UE(User Equipment)가 CA에서 사용 가능한 셀은 1개의 eNB의 복수 셀(즉, eNB가 운용하는 복수 셀)로 한정된다.
CA에 있어서 UE가 사용하는 셀은, CA를 개시하는 시점에서 서빙 셀로서 이미 사용되고 있는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 PCell)과, PCell에 추가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사용되는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 SCell)로 분류된다. SCell은 필요에 따라서 UE에 의해 사용되거나 사용이 중지되거나 할 수 있다. SCell의 사용을 개시하는 것을 활성화함(activate), 또는 액티베이션(activation)이라 부른다. 마찬가지로, SCell의 사용을 중지하는 것을 비활성화함(deactivate) 또는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이라 부른다. PCell을 통해, 무선 접속의 (재)확립(RRC Connection Establishment,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시에, NAS 모빌리티 정보(Non Access Stratum mobility information)나 보안 정보(security input)가 송수신된다(비특허문헌 1). PCell에 대응하는 DL(downlink) Carrier는 "DL PCC(Primary Component Carrier)"라 불리고, UL(uplink) Carrier는 "UL PCC"라 불린다. 마찬가지로, SCell에 대응하는 DL Carrier는 "DL SCC(Secondary Component Carrier)"라 불리고, UL Carrier는 "UL SCC"라 불린다.
CA에 있어서의 다운링크의 데이터(DL data) 송수신의 동작을 도 1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비특허문헌 2). 여기에서는, UE가 eNB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Cell1)을 PCell로서 사용하고, 제2 셀(Cell2)을 SCell로서 사용하는 것을 상정한다. 스텝 S1에서는 eNB가 UE에 SCell(즉, Cell2)의 설정 정보를 송신한다(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Scell configuration)). 스텝 S2에서는 eNB가 UE에 Cell2의 액티베이션(Activation)의 지시를 송신한다(Activation control element(activation of SCell)). 스텝 S3에서는 UE가 SCell의 사용을 개시한다(SCell activation). 스텝 S4 및 S5에서는, eNB가 UE에 PCell 및 SCell을 사용하여 DL data를 송신한다.
스텝 S6에서는, eNB는 UE를 위하여 더 이상 SCell을 사용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SCell의 디액티베이션(Deactivation)의 지시를 송신한다(Deactivation control element(deactivation of SCell)). 스텝 S7에서는, UE가 Cell2의 사용을 중단한다(SCell deactivation). 스텝 S8에서는, eNB 및 UE는 PCell만을 사용하여 DL data를 송수신한다.
스텝 S9에서는, eNB는 다시 UE를 위해서 SCell을 사용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판단하여 SCell의 액티베이션의 지시를 송신한다(Activation control element(activation of SCell)). 스텝 S10에서는 UE가 SCell의 사용을 개시한다(SCell activation). 스텝 S11 및 S12에서는, eNB는 UE에 PCell 및 SCell을 사용하여 DL data를 송신한다.
이상과 같이, eNB는 UE의 데이터량(트래픽량이라고도 불림)에 따라서 SCell을 사용할지(활성화할지)의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UE마다의 스루풋을 향상시키면서, UE가 불필요하게 다운링크 제어 신호(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 PDCCH)를 복호하는 것에 의한 소비 전력의 증가를 회피할 수 있다.
3GPP TS 36.300 V11.3.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and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E-UTRAN); Overall description; Stage 2(Release 11)", Section 7.5, September 2012 3GPP TS 36.321 V11.0.0,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E-UTRA); Medium Access Control(MAC) protocol specification(Release 11)", Section 6.1.3.8, September 2012 3GPP RWS-120046, Samsung Electronics, "Technologies for Rel-12 and Onwards", 3GPP TSG RAN Workshop on Rel-12 and Onwards, Ljubljana, Slovenia, 11-12 June 2012 3GPP RWS-120010, NTT DOCOMO, "Requirements, Candidate Solutions & Technology Roadmap for LTE Rel-12 Onward", 3GPP TSG RAN Workshop on Rel-12 and Onwards, Ljubljana, Slovenia, 11-12 June 2012
또한, 서로 다른 무선 기지국(eNB)의 셀을 동시에 사용하는 기지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eNB CA)의 제안이 있다(비특허문헌 3 및 4). 예를 들면, 매크로 기지국(Macro eNB : MeNB)의 셀을 PCell로 하고, 저전력 기지국(Low Power Node : LPN)의 셀을 SCell로 하여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기지국간(또는 inter-eNB)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PCell과 SCell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베어러가 설정되며, UE와 MeNB 및 UE와 LPN의 사이에서 통신이 행해진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UE)은, PCell에서 음성 통신(VoIP(Voice over IP) 또는 VoLTE(Voice over LTE)라 불림)을 실행하고, SCell에서 데이터 통신(예를 들면, FTP)을 실행한다. 일반적으로, VoIP는 통신 빈도가 낮다. 한편, FTP의 트래픽량은 유저 액티비티에 따라서 증감한다. 이때, 통상의 동일 기지국의 셀들을 사용하는 CA이면, eNB는 FTP의 트래픽량에 따라서 SCell의 액티베이션/디액티베이션을 적응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PCell과 SCell이 서로 다른 eNB에 의하여 관리될 경우, PCell을 관리하는 eNB(예를 들면 MeNb)는, 다른 eNB(예를 들면 LPN)에 의해 관리되는 SCell에 있어서 제공되는 FTP의 트래픽량에 따라서, SCell의 액티베이션/디액티베이션을 적응적으로 제어하는 것이 어렵다. 따라서, 예를 들면 UE는, 통신 빈도가 낮은 SCell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다운링크 제어 신호(PDCCH)를 복호해야만 하여, 헛되게 전력을 소비해버릴 가능성이 있다. 이것은, PCell의 리소스 스케줄링과 SCell의 리소스 스케줄링이 서로 다른 기지국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행해질 경우에 특히 문제로 될지도 모른다. 왜냐하면, 각 무선 기지국이 독립적으로 스케줄링을 행할 경우, PCC의 PDCCH를 SCC에서의 데이터 송신의 스케줄링을 위하여 사용하는 것(소위 cross-carrier scheduling)이 어려울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는, UE가 PCell과의 사이에 액티브한 접속을 갖고 있는 것을 전제로 하여 SCell이 액티베이트된다. 환언하면, SCell은 UE가 PCell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조건으로 하여 추가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액티베이트된다. 따라서, UE는 SCell을 액티베이트한 채로 PCell만을 디액티베이트할 수 없다. 이 때문에, UE는 PCell에 있어서의 VoIP의 통신 빈도가 낮은 경우여도 PCell에 있어서 수신 가능한 상태 또는 송신 가능한 상태를 유지해 두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의 하나는,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무선 단말(UE)의 헛된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에 기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이다.
제1 태양에서는,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 및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사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무선 단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또는 제2 무선국은, 상기 무선 단말에 제약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약 정보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제한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제한이다. 상기 송신 제한은, 상기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제2 태양에서는,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은,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을 사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무선 단말에 제약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약 정보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제한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제한이다. 상기 송신 제한은, 상기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제3 태양에서는,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은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통신 제어부는,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사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무선 단말에 제약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제약 정보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제한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제한이다. 상기 송신 제한은, 상기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제4 태양에서는, 무선 단말은,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을 제1 셀로서 사용하며 또한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을 제2 셀로서 사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는 통신 제어부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통신 제어부는, 상기 제1 또는 제2 무선국으로부터 제약 정보를 수신한다. 상기 제약 정보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제한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제한이다. 상기 송신 제한은, 상기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제5 태양에서는, 제1 셀을 운용하는 제1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무선 단말에 제약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은, 상기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을 사용한다. 상기 제약 정보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제한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제한이다. 상기 송신 제한은, 상기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제6 태양에서는, 제2 셀을 운용하는 제2 무선국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무선 단말에 제약 정보를 송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은,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을 사용한다. 상기 제약 정보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제한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제한이다. 상기 송신 제한은, 상기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제7 태양에서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은, 제1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1 셀 및 제2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제2 셀을 사용하는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것, 및 상기 제1 또는 제2 무선국으로부터 제약 정보를 수신하는 것을 포함한다. 상기 제약 정보는, 상기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 중 적어도 한쪽에 관한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상기 수신 제한은, 상기 제1 셀 및 상기 제2 셀의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제한이다. 상기 송신 제한은, 상기 1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상기 무선 단말에 의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제8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5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한다.
제9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7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한다.
제10 태양에서는, 프로그램은, 전술한 제7 태양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한다.
전술한 태양에 따르면,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무선 단말(UE)의 헛된 전력 소비를 억제하는 것에 기여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프로그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무선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제2 무선국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단말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1).
도 6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2).
도 7은 제1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3).
도 8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4).
도 9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4의 변형).
도 10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5).
도 11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6).
도 12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6의 변형).
도 13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7의 옵션 1).
도 13b는 절차예 7의 옵션 1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ON 기간) 및 비수신 기간(OFF 기간)을 나타내는 시퀀스도.
도 14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7의 옵션 2).
도 14b는 절차예 7의 옵션 2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ON 기간) 및 비수신 기간(OFF 기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5a는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7의 옵션 3).
도 15b는 절차예 7의 옵션 3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ON 기간) 및 비수신 기간(OFF 기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6은 제2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절차예 7의 옵션 1).
도 17은 LTE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 절차를 나타내는 시퀀스도(배경기술).
이하에서는, 구체적인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있어서, 동일 또는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의 부호가 부여되어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 중복 설명은 생략된다.
<제1 실시형태>
도 1은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를 나타내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제1 무선국(1), 제2 무선국(2), 및 무선 단말(3)을 포함한다. 무선국(1 및 2)은 코어 네트워크(4)에 접속되며 제1 셀(10) 및 제2 셀(20)을 각각 운용한다. 무선국(1 및 2)은, 예를 들면 무선 기지국, 기지국 제어국, 또는 통상의 무선 기지국의 일부의 기능(프로토콜 레이어)만을 갖는 간이 무선 기지국이다. 무선 단말(3)은 1개의 무선국의 셀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다른 무선국의 셀도 사용하는 기능을 갖는다. 환언하면, 무선 단말(3)은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또는 셀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한다. 또, 서로 다른 무선국이란, 독립된 서로 다른 무선국이어도 되고, 어느 무선국과 그에 종속하는 다른 무선국이어도 된다. 또한, 서로 다른 무선국은 서로 다른 무선국의 각각이 기능이 서로 다른 종류의 무선국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3)은 제1 셀(10)에 있어서의 제1 무선 접속을 유지한 채로 제2 셀(20)에 있어서의 제2 무선 접속을 확립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3)은 신호(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하여 복수의 셀(예를 들면, 셀(10 및 2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복수의 셀을 동시에 사용함"이란, 실제로 복수의 셀에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이것은, 무선 단말이 복수의 셀의 양쪽에 있어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어느 하나의 셀에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상태, 무선 단말이 복수의 셀 각각에서 종류가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상태, 및 복수의 셀 각각을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는 상태를 포함한다.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는 관점에서,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을 사용하는 기능은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라 부를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은 복수의 셀의 동시 사용의 관점에서,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을 사용하는 기능은, "듀얼 접속(Dual Connection)",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 "멀티 접속(Multi Connection)", "멀티 접속성(Multi Connectivity)" 등으로 부를 수도 있다.
무선 단말(3)은, 무선국(1 또는 2)에 대해서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행하는 능력을 갖는 것(즉,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는 것)을 나타내는 단말 능력 보고를 송신해도 된다. 이것 대신에, 무선 단말(3)은 무선 단말(3)의 카테고리 또는 장치 릴리스 번호 등에 의해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는 것을 우회적으로 나타내도 된다.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의 능력은 "듀얼 접속의 능력", 또는 "멀티 접속의 능력"이라 부를 수도 있다.
도 1은 헤테로지니어스 네트워크(Heterogeneous Network : HetNet) 환경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 기술하면, 도 1에 나타난 제1 셀(10)은 제2 셀(20)에 비해서 넓은 커버리지를 갖는다. 또한, 도 1은 제1 셀(10) 내에 제2 셀(20)이 배치된 계층화 셀 구성을 나타내고 있다. 도 1에 나타난 셀 구성은 일례에 지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셀(10 및 20)은 같은 정도의 커버리지를 가져도 된다. 환언하면,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은 호모지니어스 네트워크(Homogeneous Network) 환경에 적용되어도 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의 동작에 대하여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동안에, 무선 단말(3)이 제1 셀(10) 및 제2 셀(20)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 신호의 송수신 단위 기간(예를 들면 1서브프레임) 이상의 인터벌로 간헐적으로 수신 또는 송신을 행할 수 있도록 한다.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동안이란, 환언하면, 무선 단말(3)이 이미 제1 셀(10)을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제2 셀(20)을 사용하도록 지시되어 있는 기간이다. 또한,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동안이란, 무선 단말이 제1 무선국(1)의 (예를 들면, 적어도 다운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 CC)를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PCC)로 하고, 제2 무선국(2)의 (예를 들면, 적어도 다운링크의) 컴포넌트 캐리어(CC)를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SCC)로 하고 있는 동안이라고 할 수도 있다.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되어 있는 동안은, 무선 단말(3)은 제 1 및 제 2 셀(10 및 20)의 양쪽에 있어서 액티브한 접속을 갖고 있는 상태이다.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설정되어 있을 때의 무선 단말(3)의 간헐적인 수신 또는 송신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본 실시형태의 무선 통신 시스템은 이하와 같이 동작한다. 즉, 무선국(1 또는 2)은 무선 단말(3)에 제약 정보(Constraint information)를 송신한다. 제약 정보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의 제1 셀(10) 및 제2 셀(20)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 요소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수신 제한은, 신호의 송수신 단위(예를 들면 1 이상의 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무선 단말(3)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에 관한 제한이다. 예를 들면, 수신 제한은, 무선 단말(3)이 소정 기간(또는 타이밍)에서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또는 복호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한, 또는 소정 기간(또는 타이밍)에서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 또는 복호해야 하는 것을 나타내는 제한 등을 포함한다.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는, 예를 들면 다운링크 제어 채널(예를 들면, LTE의 PDCCH)을 통해 송신되는 신호, 페이징을 송신하기 위한 신호, 시스템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를 포함한다. 송신 제한은, 신호의 송수신 단위(예를 들면, 1 이상의 서브프레임) 기간 이상에 걸친 무선 단말(3)에 있어서의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관한 제한이다. 예를 들면, 송신 제한은 무선 단말(3)에 의한 업링크 신호(예를 들면, LTE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송신이 소정 기간(또는 타이밍)에 금지되는 것을 나타내는 제한, 또는 업링크 신호의 송신이 소정 기간(또는 타이밍)에 허가될 가능성이 있는 것을 나타내는 제한 등을 포함한다. 1서브프레임 기간이란, 무선 통신 시스템이 준거하는 통신 규격(예를 들면, 3GPP LTE)에 있어서 규정된 TTI(Transmission Time Interval)를 의미한다. LTE의 1서브프레임 기간의 길이는 1밀리초이다.
제약 정보는,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예를 들면 이하의 (a)∼(h) 중 적어도 하나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내도 된다.
(a)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기간(또는 타이밍)
(b)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기간(또는 타이밍)
(c)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또는 타이밍)
(d)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호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또는 타이밍)
(e) 업링크 신호의 송신이 금지되는 기간(또는 타이밍)
(f) 업링크 신호를 송신해도 되는 기간(또는 타이밍)
(g)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기간(또는 타이밍)
(h) 업링크 신호의 송신이 허가될 가능성이 있는 기간(또는 타이밍)
이들 기간 또는 타이밍은, 무선 단말(3)의 관점에서 표현되어 있지만, 무선국(1 및 2)의 관점에서의 표현으로 변환해도 동의(同義)이다.
또한, 가능한 수신 제한의 예로서는, 상기 (c) 또는 (d)를 나타내는 "수신 갭"을 설정하는 것을 포함한다. 혹은, 상기 (a)와 (c)의 조합, 또는 (b)와 (d)의 조합으로 규정되는 "간헐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 DRX)"을 지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a) 또는 (b)에 상당하는 기간을 "수신 기간", "수신 On 기간"(또는 "On 기간"), 또는 "Active 기간"으로 부른다. 또한, (c) 또는 (d)에 상당하는 기간을 "비수신 기간", "수신 Off 기간"(또는 "Off 기간"), 또는 "Inactive 기간"이라 부른다.
송신 제한의 예로서는, 상기 (e)를 나타내는 "송신 갭"을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혹은, (e)와 (f)∼(h) 중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규정되는, 즉 업링크 신호의 송신이 허가되는 타이밍(예를 들면 서브프레임)을 좁혀 가는 "송신 타이밍의 마스킹(Masking)"을 지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e)와 (f)∼(h) 중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규정되는 "간헐 송신(Discontinuous Transmission : DTX)"을 지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 (e)에 상당하는 기간을 "비송신 기간", "송신 Off 기간"(또는 "Off 기간"), 또는 "Inactive 기간"이라 부른다. (f), (g), 또는 (h)에 상당하는 기간을 "송신 기간", "송신 On 기간"(또는 "On 기간"), 또는 "Active 기간"이라 부른다.
또한, 제약 정보는 수신 제한과 송신 제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도 되고 우회적으로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약 정보는 이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A) 수신 제한의 적용의 요구(또는 지시)
(B) 송신 제한의 적용의 요구(또는 지시)
(C) 수신 제한의 내용
(D) 송신 제한의 내용
(E) 수신 제한의 제어 파라미터
(F) 송신 제한의 제어 파라미터
(A)는, 예를 들면 수신 제한이 어떤 종류의 제한을 가리키는지를 미리 무선국(1 및 2)의 사이 혹은 무선국(1 및 2)과 무선 단말(3)의 사이에서 공유하고 있거나, 또는 사양에 규정되어 있을 경우에, 당해 수신 제한을 적용하는 것을 요구할 때에 이용된다. 마찬가지로, (b)는, 예를 들면 송신 제한이 어떤 종류의 제한을 가리키는지를 미리 무선국(1 및 2)의 사이에서 공유하고 있거나, 또는 사양에 규정되어 있을 경우에, 당해 송신 제한을 적용하는 것을 요구할 때에 이용된다.
(C)는, 어떠한 수신 제한을 적용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수신 갭"의 설정인지, 또는 "DRX"의 지시인지 등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D)는, 어떤 종류의 송신 제한을 적용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D)는 "송신 갭"의 설정인지, 또는 "송신 타이밍의 마스킹"의 지시인지 등을 나타낸다.
(E)는, 수신 제한에 있어서 설정하는 제어 파라미터(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E)는 전술한 (a)∼(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F)는, 송신 제한에 있어서 설정하는 제어 파라미터(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F)는 전술한 (e)∼(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무선 단말(3)은, 예를 들면 이하와 같이 동작해도 된다. 무선 단말(3)은 무선국(1 또는 2)으로부터 제약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무선 단말(3)은,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수신 제한을 고려한 수신 동작, 또는 송신 제한을 고려한 송신 동작을 행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3)은, 제약 정보에 포함되는 수신 제한에 의거해서 특정된 제2 셀의 수신 제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제2 셀의 PDCCH의 복호(즉, PDCCH 블라인드 디코딩)를 정지해도 된다. 이 경우에, 수신 제한은, 무선 단말(3)이 소정 기간(또는 타이밍)에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호하지 않아도 되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무선 단말(3)은, 예를 들면 제약 정보에 포함되는 송신 제한에 의거해서 특정된 제2 셀의 송신 제한에 포함되는 1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제2 셀에 관한 송신용의 회로 요소(예를 들면, 증폭기)의 동작을 정지해도 되고, 송신용의 회로 요소를 저전력 모드에의 동작 모드로 전환해도 된다. 이 경우에, 송신 제한은, 무선 단말(3)에 의한 업링크 신호(예를 들면, LTE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의 송신이 소정 기간(또는 타이밍)에/내에 금지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3)은,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이 행해지고 있을 때에, 제약 정보에 의거해서 수신 동작 또는 송신 동작을 휴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약 정보의 대상으로 되는 셀은,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양쪽이어도 되고 어느 한쪽만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3)은, 제1 셀(10)의 수신 제한 또는 송신 제한(예를 들면, 수신 갭, 송신 갭, DRX, 또는 송신 타이밍의 마스킹)을 이용해서, 제2 셀(20)의 수신 제한 또는 송신 제한(예를 들면, 수신 갭, 송신 갭, 수신 기간, 또는 송신 기간)을 구해도 된다. 이 경우, 제약 정보는, 제2 셀(20)의 수신 제한 또는 송신 제한을 특정하기 위하여, 제1 셀(10)에 관한 수신 제한 또는 송신 제한을 나타내는 정보 요소(들)를 포함하고 있으면 충분하다.
제약 정보에 의거한 제2 셀(20)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은 제1 셀(10)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과 독립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이 방법의 이점은, 무선국(1 및 2)에 있어서 같은 무선 단말(3)에 대하여 실행되는 서비스(즉, 데이터 송수신)의 상황을 고려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다.
이것 대신에, 제2 셀(20)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은 제1 셀(10)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에 의존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2 셀(20)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은, 제1 셀(10)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과 적어도 일부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수신 갭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의 선두 위치가 제1 셀(10)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의 선두 위치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송신 갭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의 선두 위치가 제1 셀(10)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의 선두 위치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이 방법의 이점은, 수신 기간의 선두에 무선 단말(3)이 무선국(1 및 2)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필요가 없는 기간, 또는 송신 기간의 선두에 무선국(1 및 2)에의 업링크 신호를 동시에 송신할 필요가 없는 기간을 설정하여, 가능한 한 당해 기간에서 많은 다운링크 데이터 또는 업링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무선 단말(3)의 부하를 경감함과 함께,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의 지연을 억제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은, 제1 셀(10)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과 제2 셀(20)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이 전혀 중복되지 않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이 방법의 이점은, 무선 단말(3)이 무선국(1 및 2)으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를 동시에 수신하는(또는 서로 다른 무선국에의 업링크 신호를 동시에 송신하는) 것을 회피함으로써 무선 단말(3)에 있어서의 부하를 대폭적으로 경감할 수 있는 것이다. 특히, 무선 단말(3)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서 동작하는 복수 셀을 사용하고 있을 경우에 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왜냐하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복수 셀을 사용하는 데에는, 주파수 대역마다의 하드웨어 컴포넌트(예를 들면, 무선 주파수(RF)부)를 무선 단말(3)에 탑재하는 구성을 생각할 수 있지만, 이 경우에 당해 방법에 의해 복수의 하드웨어 컴포넌트가 동시에 동작하는 병렬 처리의 대폭적인 저감을 기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예를 들면 제1 셀(10)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은 제2 셀(20)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에 포함되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이 대신에, 제2 셀(20)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은 제1 셀(10)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에 포함되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의 선두 위치가 제1 셀(10)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의 선두 위치와 중복하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이 방법에 따르면, 무선 단말(3)이 무선국(1 및 2)으로부터의 다운링크 데이터를 수신(또는 서로 다른 무선국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기회를 중복해서 설정하여,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의 지연을 삭감하는 것이 가능한 한편, 무선국(1 및 2)이 무선 단말(3)과 다른 스테이션의 데이터 송수신의 상황을 서로 공유하여, 가능한 한 무선국(1 및 2)이 같은 무선 단말(3)과 데이터 송수신을 동시에 행하는 것을 회피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이 방법은, 무선국(1 및 2)과 무선 단말(3) 사이의 통신에 유연성을 지니게 할 수 있어, 데이터 송수신에 있어서의 지연 삭감을 우선할지 또는 무선 단말에 있어서의 부하 경감을 우선할지를 통신 팔리시에 따라서 구분하여 사용할 수 있다.
제약 정보는, 제1 셀(10)에 있어서 제1 무선국(1)으로부터 무선 단말(3)에 송신되어도 되고, 제2 셀(20)에 있어서 제2 무선국(2)으로부터 무선 단말(3)에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무선국(1)은 무선 단말(3) 및 제2 무선국(2)에 제약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는, 제1 무선국(1)이 제약 정보를 제2 무선국(2)을 통해 무선 단말(3)에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에, 제1 무선국(1)은 제2 무선국(2)에 당해 제약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송신하지만, 제2 무선국(2)은 당해 메시지의 컨텐츠를 몰라도 된다. 또는, 제2 무선국(2)이 메시지의 컨텐츠를 알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제2 무선국(2)은, 제2 셀(20)에 있어서 당해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할 경우, 제약 정보를 제어 정보로서 송신해도 되고, 다른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과 마찬가지로 송신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1 무선국(1)이 무선 단말(3)에 제약 정보를 송신하고, 무선 단말(3)이 제2 무선국(2)에 제약 정보를 전송해도 된다. 또한, 다른 예에 있어서, 제2 무선국(2)이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하고, 제1 무선국(1)이 무선 단말(3)에 제약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제1 무선국(1)과 제2 무선국(2) 사이의 제약 정보의 송신은 코어 네트워크(4)를 통해 행해져도 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국(1 및 2), 및 무선 단말(3)의 구성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제1 무선국(1)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11)는 무선 단말(3)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uplink signal)를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13)는 수신된 업링크 신호를 복원한다. 얻어진 수신 데이터는, 통신부(14)를 경유해서 다른 네트워크 노드, 예를 들면 코어 네트워크(4)의 데이터 중계 장치 혹은 모빌리티 관리 장치, 또는 다른 무선국에 전송된다. 예를 들면, 무선 단말(3)로부터 수신된 업링크 유저 데이터는 상위 네트워크의 데이터 중계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무선 단말(3)로부터 수신된 제어 데이터 중 비액세스층(Non-Access Stratum(NAS))의 제어 데이터는 상위 네트워크의 모빌리티 관리 장치에 전송된다. 또한, 수신 데이터 처리부(13)는, 무선국(2)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하고, 이 제어 데이터를 통신부(14)를 경유해서 무선국(2)에 송신한다.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무선 단말(3)에 보낼 유저 데이터를 통신부(14)로부터 취득하고, 오류 정정 부호화, 레이트 매칭, 인터리빙 등을 행해서 트랜스포트 채널을 생성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데이터 계열에 제어 정보를 부가하여 송신 심볼열을 생성한다. 무선 통신부(11)는, 송신 심볼열에 의거한 반송파 변조, 주파수 변환, 신호 증폭 등의 각 처리를 행해서 다운링크 신호(downlink signal)를 생성하고, 생성된 다운링크 신호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12)는, 무선 단말(3)에 송신되는 제어 데이터를 통신 제어부(15)로부터 수신하고, 제어 데이터를 무선 통신부(11)를 경유해서 무선 단말(3)에 송신한다.
통신 제어부(15)는 제1 셀(10) 및 제2 셀(20)을 사용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15)는 일례에 있어서 전술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해도 된다.
도 3은 제2 무선국(2)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나타난 무선 통신부(21), 송신 데이터 처리부(22), 수신 데이터 처리부(23), 및 통신부(24)의 기능 및 동작은, 도 2에 나타난 무선국(1)의 대응하는 요소, 즉 무선 통신부(11), 송신 데이터 처리부(12), 수신 데이터 처리부(13), 및 통신부(14)와 마찬가지이다.
통신 제어부(25)는 제1 셀(10) 및 제2 셀(20)을 사용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25)는 일례에 있어서 전술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해도 된다.
도 4는 무선 단말(3)의 구성예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무선 통신부(31)는, 서로 다른 무선국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서포트하여, 신호의 송신 또는 수신을 위해서 복수의 셀(예를 들면, 셀(10 및 20))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무선 통신부(31)는 안테나를 통하여 무선국(1) 혹은 무선국(2) 또는 이들 양쪽으로부터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수신 데이터 처리부(32)는 수신된 다운링크 신호로부터 수신 데이터를 복원하고 복원된 수신 데이터를 데이터 제어부(33)에 보낸다. 데이터 제어부(33)는 수신 데이터를 그 목적에 따라서 이용한다. 또한, 송신 데이터 처리부(34) 및 무선 통신부(31)는, 데이터 제어부(33)로부터 공급되는 송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업링크 신호를 생성하고, 생성된 업링크 신호를 무선국(1) 혹은 무선국(2) 또는 이들 양쪽을 향해서 송신한다.
무선 단말(3)의 통신 제어부(35)는 제1 셀(10) 및 제2 셀(20)을 사용하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제어한다. 또한, 통신 제어부(35)는 제1 무선국(1) 또는 제2 무선국(2)으로부터 제약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통신 제어부(35)는, 무선국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제약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에 따른 수신 동작(또는 송신 동작)을 행한다.
계속해서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절차예 1∼3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차예 1)
절차예 1에서는, 제1 무선국(1)은 전술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 및 제2 무선국(2)에 송신한다. 도 5는 절차예 1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스텝 S101 및 S102에서는, 제1 무선국(1)은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 및 제2 무선국(2)에 송신한다. 스텝 S103에서는, 제1 무선국(1) 및 무선 단말(3)은, 제약 정보에 의거해서 특정되는 수신 제한(예를 들면, 수신 갭) 또는 송신 제한(예를 들면, 송신 갭)에 따라서, 제1 셀(10)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스텝 S104에서는, 제2 무선국(2) 및 무선 단말(3)은, 제약 정보에 의거해서 특정되는 수신 제한(예를 들면, 수신 갭) 또는 송신 제한(예를 들면, 송신 갭)에 따라서, 제2 셀(20)에 있어서 신호를 송수신한다.
무선 단말(3)에 통지되는 제약 정보는, 예를 들면 무선 단말(3)이 제1 셀(10)에 있어서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기간에 관한 정보와, 무선 단말(3)이 제2 셀(20)에 있어서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 기간에 관한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무선 단말(3)은, 제약 정보에 의거하여 특정되는 수신 기간에 있어서만, 제1 셀(10) 및 제2 셀(20)에서의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의 수신을 행하면 된다. 이에 따라, 무선 단말(3)이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의 불필요한 수신 동작(또는 복호 동작)을 행하는 것을 회피하여 헛된 전력 소비를 억제(저감)할 수 있다.
제약 정보는 제1 셀(10)과 제2 셀(20)의 어느 한쪽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무선국(1)은, 제1 셀(10)에만 관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 및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되고, 제2 셀(20)에만 관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 및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고려해서 제1 셀(10)에서의 무선 단말(3)에 관한 송신 또는 수신을 행해도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제2 무선국(2)은 제1 셀(10)에 관한 제약 정보를 고려해서 제2 셀(20)에서의 무선 단말(3)에 관한 송신 또는 수신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있어서의 무선 단말(3)의 수신 갭 중에, 무선 단말(3)에의 다운링크 신호를 제1 셀(10)에서 송신해도 된다.
제1 무선국(1)으로부터 무선 단말(3)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는, 제1 무선국(1)으로부터 제2 무선국(2)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와 같은 내용이어도 되고 서로 다른 내용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제1 무선국(1)은, 제1 셀(10) 및 제2 셀(20)의 양쪽에 관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하고, 제2 셀(20)에만 관한 제약 정보를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된다.
(절차예 2)
절차예 2에서는, 제1 무선국(1)이 전술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하고, 무선 단말(3)이 그 제약 정보를 제2 무선국(2)에 제약 정보를 전송한다. 도 6은 절차예 2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스텝 S201에서는, 제1 무선국(1)은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한다. 스텝 S202에서는, 무선 단말(3)은 제약 정보를 제2 무선국(2)에 전송한다. 스텝 S203 및 S204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5의 스텝 S103 및 S104에 있어서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제1 무선국(1)으로부터 무선 단말(3)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는 제1 및 제2 셀(10 및 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한편, 무선 단말(3)로부터 제2 무선국(2)에 전송되는 제약 정보는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그러나, 무선 단말(3)로부터 제2 무선국(2)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는 제1 무선국(1)으로부터 무선 단말(3)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와 같은 내용이어도 된다. 무선 단말(3)은,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자발적으로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되고, 또는 제2 무선국(2)으로부터의 보고 지시에 응답하여 제약 정보를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된다.
(절차예 3)
절차예 3에서는, 무선 단말(3)에의 제약 정보의 통지가 제2 무선국(2)의 요구에 의거해서 행해진다. 제약 정보는 제1 무선국(1) 또는 제2 무선국(2)에 의하여 생성된다. 도 7은 절차예 3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스텝 S301에서는, 제2 무선국(2)은 제2 셀(20)에 있어서 무선 단말(3)에 의한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에 제약을 설정하기 위한 요구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한다. 이 프로세스에서, 제2 무선국(2)은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해도 된다.
스텝 S302에서는, 제1 무선국(1)은, 제1 무선국(1)이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승인할지의 여부, 환언하면 제1 무선국(1)이 제2 셀에의 제약의 적용을 승인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을 제2 무선국(2)에 송신한다. 스텝 S301에서 제1 무선국(1)이 요구 수신 시에 제1 무선국(1)이 제2 무선국(2)으로부터 제약 정보를 수신하고 있지 않을 경우,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된다. 제1 무선국(1)이 제2 셀(20)에의 제약의 적용을 승인할 경우,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한다(스텝 S303). 스텝 S304 및 S305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5의 스텝 S103 및 S104에 있어서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302에 있어서, 제1 무선국(1)은 무선 단말(3)에 대한 제1 셀(10)에 관한 제약 정보를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스텝 S303에 있어서, 제1 무선국(1)은 제1 셀(10)에 관한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해도 된다.
제1 무선국(1)이 제2 무선국(2)으로부터 제2 셀에 관한 제약 정보를 수신했을 경우, 제1 무선국(1)은 당해 제약 정보를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고, 새로이 제2 셀에 관한 제약 정보를 생성(또는 설정)하고 생성(또는 설정)된 제약 정보를 제2 무선국(2)에 송신해도 된다.
(절차예 3의 변형)
제1 무선국(1)은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의 생성(또는 설정)을 제2 무선국(2)에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 제2 무선국(2)이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제1 무선국(1)에 송신하고, 제1 무선국(1)이 수신된 당해 제약 정보를 무선 단말(3)에 송신해도 된다.
<제2 실시형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전술한 제1 실시형태를 3GPP LTE 시스템에 적용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의 구성예는 도 1과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단, 무선국(1 및 2)은 eNB에 상당하며, 무선 단말(3)은 UE에 상당하고, 코어 네트워크(4)는 EPC(Evolved Packet Core)에 상당한다. 무선국간(즉, eNB간)의 정보의 송수신은, 직접 인터페이스인 X2 인터페이스를 이용해도 되고, EPC를 경유하는 인터페이스인 S1 인터페이스를 이용해도 되고, 혹은 새로이 규정되는 인터페이스(예를 들면, X3 인터페이스)여도 된다. 무선 단말(UE)(3)은, 서로 다른 무선국(eNB)에 의하여 운용되는 복수의 셀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eNB CA" 또는 "Inter-Site CA"라 불림)을 서포트한다. 또, 여기에서의 "Inter-eNB CA"란, 실제로 서로 다른 eNB의 셀에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으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즉, 이것은, 무선 단말(UE)이 서로 다른 eNB의 셀의 양쪽에 있어서 신호(예를 들면, 유저 데이터 또는 제어 정보)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것이 가능한 상태로 되어 있지만 실제로는 서로 다른 eNB 중 어느 하나의 eNB의 셀에서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상태, 무선 단말이 서로 다른 eNB의 셀 각각에서 종류가 서로 다른 신호를 수신 또는 송신하는 상태, 및 무선 단말이 서로 다른 eNB의 셀 각각을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 중 어느 하나에 사용하는 상태 등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무선국(1 및 2)을 eNB(1 및 2), 무선 단말(3)을 UE(3)로 하고, 코어 네트워크(4)를 EPC(4)로 하여 설명한다. 또한, UE(3)가, eNB1의 셀(10)을 이미 프라이머리 셀(PCell)로서 사용하고 있는 동안에, eNB2의 셀(20)을 세컨더리 셀(SCell)로서 사용하는 무선 기지국간의 캐리어 애그리게이션(Inter-eNB CA)을 행하는 것을 상정한다. 여기에서, 프라이머리 셀(PCell)은 CA를 개시하기 전에 이미 서빙 셀로서 사용되고 있던 셀이다. 한편, 세컨더리 셀(SCell)은, UE(3)가 이미 프라이머리 셀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전제로 해서, PCell에 추가적으로 또는 종속적으로 사용되는(활성화되는) 셀이다. PCell을 통해, 무선 접속의 확립(즉, RRC Connection Establishment)이나 무선 접속의 재확립(즉, RRC Connection Re-establishment) 시에, NAS 모빌리티 정보(Non Access Stratum mobility information) 및 보안 정보(security input) 등이 송수신된다. PCell에 대해 사용되는 DL Component Carrier가 DL PCC이고, PCell에 대해 사용되는 UL Component Carrier가 UL PCC이다. 마찬가지로, SCell에 대해 사용되는 DL Component Carrier가 DL SCC이고, SCell에 대해 사용되는 UL Component Carrier가 UL SCC이다.
eNB1 또는 2는 UE(3)에 제약 정보(Constraint information)를 송신한다. 제약 정보는, eNB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을 위하여 SCell(제2 셀(20))이 활성화(액티베이션)되어 있을 때의 PCell 및 SCell 중 적어도 한쪽에 있어서의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를 포함한다. UE(3)는 eNB1 또는 2로부터 제약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UE(3)는, eNB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 있어서, 수신 제한에 따른 수신 동작, 또는 송신 제한에 따른 송신 동작을 행한다.
제약 정보는, 예를 들면 수신 제한 및 송신 제한 중 적어도 한쪽을 특정하기 위하여, 이하의 (a)∼(h) 중 적어도 하나를 명시적 또는 암시적으로 나타내도 된다.
(a)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DL Signal)를 수신하기 위한 기간(또는 타이밍)
(b)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호하기 위한 기간(또는 타이밍)
(c)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또는 타이밍)
(d)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를 복호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또는 타이밍)
(e) 업링크 신호(UL Signal)의 송신이 금지되는 기간(또는 타이밍)
(f) 업링크 신호를 송신해도 되는 기간(또는 타이밍)
(g) 업링크 신호를 송신할 가능성이 있는 기간(또는 타이밍)
(h) 업링크 신호의 송신이 허가될 가능성이 있는 기간(또는 타이밍)
이들 기간 또는 타이밍은, UE(3)의 관점에서 표현되어 있지만, eNB1 및 2의 관점에서의 표현으로 변환해도 동의(同義)이다.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DL signal)는, 예를 들면 다운링크 제어 채널인 PDCCH 또는 EPDCCH(Enhanced PDCCH)를 통해 송신되는 신호(L1/2 control signaling)이다. 이 신호는, UE에의 데이터 송신 등을 위하여 할당된 다운링크의 무선 리소스의 스케줄링 정보나, UE가 데이터 송신 등에 사용하는 업링크의 무선 리소스의 사용 허가 정보(UL grant) 등을 포함한다. 또는, 소정의 다운링크 신호(DL signal)는, 페이징(Paging)을 송신하기 위한 신호, 또는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를 송신하기 위한 신호여도 된다.
또한, 가능한 수신 제한의 예로서는, 상기 (c) 또는 (d)를 나타내는 "수신 갭"을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혹은, 상기 (a)와 (c)의 조합, 또는 (b)와 (d)의 조합으로 규정되는 "간헐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 DRX)"을 지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여기에서, DRX를 지시할 경우, 제1 셀(10)(예를 들면, PCell)과 제2 셀(20)(예를 들면, SCell)에서 DRX에 관한 설정의 전부 또는 일부를 공통으로 해도 된다. 또는, DRX에 관한 설정을 제1 셀(10) 및 제2 셀(20)에 전부 독립하여 설정해도 된다. DRX에 관한 설정으로서는, 예를 들면 On-Duration(OnDurationTimer), drx-InactivityTimer, drx-RetransmissionTimer, longDRX-CycleStartOffset, shortDRX-Cycle, drxShortCycleTimer, HARQ RTT Timer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UE(3)는, DRX에 사용하는 전술한 타이머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1 셀(10)과 제2 셀(20)에서 협조시켜서 동작시켜도 된다. 또는, UE(3)는 제1 셀(10)과 제2 셀(20)에서 독립적으로 동작시켜도 된다. 이에 따라, 제1 셀(10) 및 제2 셀(20) 각각의 데이터 송수신 상황에 따른 유연한 DRX를 행할 수 있다. DRX에 사용하는 타이머의 동작은, 일반적으로 무선 단말에 있어서 행해지지만, 무선 기지국에 있어서도 대응하는 동작을 행해도 된다.
송신 제한의 예로서는, 상기 (e)를 나타내는 "송신 갭"을 설정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혹은, (e)와 (f)∼(h) 중 어느 하나의 조합으로 규정되는, 즉 업링크 신호의 송신이 허가되는 타이밍(예를 들면 서브프레임)을 좁혀 가는 "송신 타이밍의 마스킹(Masking)"을 지시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약 정보는, 수신 제한과 송신 제한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직접적으로 나타내도 되고, 우회적으로 나타내도 된다. 예를 들면, 제약 정보는 이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해도 된다.
(A) 수신 제한의 적용의 요구(또는 지시)
(B) 송신 제한의 적용의 요구(또는 지시)
(C) 수신 제한의 내용
(D) 송신 제한의 내용
(E) 수신 제한의 제어 파라미터
(F) 송신 제한의 제어 파라미터
(A)는, 예를 들면 수신 제한이 어떠한 제한을 가리키는지를 미리 eNB1 및 2의 사이 혹은 eNB1 및 2와 UE(3)가 공통 정보로 갖고 있거나, 또는 해당 정보가 사양에 규정되어 있을 경우에, 당해 수신 제한을 적용하는 것을 요구할 때에 이용된다. 마찬가지로, (b)는, 예를 들면 송신 제한이 어떠한 제한을 가리키는지를 미리 eNB1 및 2이 공통 정보로 갖고 있거나, 또는 해당 정보가 사양에 규정되어 있을 경우에, 당해 송신 제한을 적용하는 것을 요구할 때에 이용된다.
(C)는, 어떠한 수신 제한을 적용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C)는, 예를 들면 "수신 갭"의 설정인지, 또는 "DRX"의 지시인지 등을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D)는, 어떠한 송신 제한을 적용할지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D)는, 예를 들면 "송신 갭"의 설정인지, 또는 "송신 타이밍의 마스킹"의 지시인지 등을 나타낸다.
(E)는, 수신 제한에 있어서 설정하는 제어 파라미터(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E)는, 예를 들면 전술한 (a)∼(d)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마찬가지로, (F)는, 송신 제한에 있어서 설정하는 제어 파라미터(들)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F)는, 예를 들면 전술한 (e)∼(h)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나타낸다.
제약 정보는, 제1 셀(10)에 있어서 eNB1로부터 UE(3)에 송신되어도 되고, 또는 제2 셀(20)에 있어서 eNB2로부터 UE(3)에 송신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eNB1은, UE(3) 및 eNB2에 제약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또한, eNB1이 제약 정보를 eNB2를 통해 UE(3)에 송신해도 된다. 이때, eNB1은 eNB2에 당해 제약 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X2 인터페이스(또는 신규 인터페이스)를 통해 송신하지만, eNB2는 당해 메시지의 컨텐츠를 반드시 알아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또는, eNB2는 메시지의 컨텐츠를 알 수 있는 구성으로 해도 된다. eNB2는, 제2 셀(20)에 있어서 당해 제약 정보를 UE(3)에 송신할 경우, 제어 정보로서 SRB(Signaling Radio Bearer)를 사용하여 송신해도 되고, 다른 다운링크 데이터와 마찬가지로 DRB(Data Radio Bearer)를 사용하여 송신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eNB1이 무선 단말(3)에 제약 정보를 송신하고, UE(3)가 eNB2에 제약 정보를 전송해도 된다. 또한, 다른 예에 있어서, eNB2가 제2 셀(20)에 관한 제약 정보를 eNB1에 송신하고, eNB1이 UE(3)에 제약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eNB1과 eNB2의 사이의 제약 정보의 송신은 코어 네트워크(4)를 통해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행해져도 된다.
제약 정보의 대상으로 되는 셀은, PCell(제1 셀(10)) 및 SCell(제2 셀(20))의 양쪽이어도 되고, 어느 한쪽만이어도 된다.
제약 정보에 의거한 SCell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은 PCell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과 독립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이것 대신에, SCell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은 PCell의 수신 제한(또는 송신 제한)에 의존하여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SCell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은 SCell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의 적어도 일부가 PCell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과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PCell 및 SCell의 수신 갭은, SCell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의 선두 위치가 PCell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의 선두 위치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PCell 및 SCell의 송신 갭은, SCell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의 선두 위치가 PCell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의 선두 위치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PCell 및 SCell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은, PCell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과 SCell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이 전혀 중복되지 않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또한, 예를 들면 SCell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은 PCell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에 포함되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PCell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은 SCell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에 포함되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또는, PCell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은 SCell의 수신 갭(또는 송신 갭)에 포함되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SCell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은 PCell의 수신 기간(또는 송신 기간)에 포함되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형태에 따른 무선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제어 방법의 절차예 4∼8에 대하여 설명한다. 절차예 4∼6에서는, 제약 정보에 의거해서 특정되는 수신 갭(Rx gap)이, PDCCH를 복호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1 또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을 나타내는 경우를 예로 이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이하에서는, PDCCH를 수신하여 복호하기 위한 기간을 "ON 기간(또는 Active 기간)"이라 부르고, PDCCH를 복호하지 않아도 되는 기간을 "OFF 기간(또는 Inactive 기간)"이라 부른다. 예를 들면, OFF 기간이 수신 갭(즉, 수신 갭이 유효한 기간)에 상당한다.
(절차예 4)
절차예 4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절차예 1에 대응한다. 즉, eNB1은 수신 갭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약 정보를 UE(3) 및 eNB2에 송신한다. 도 8은 절차예 4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또, 도 8에 있어서, 제1 셀(10)은 CELL1로 표시되고, 제2 셀(20)은 CELL2로 표시되어 있다. 스텝 S401에서는, eNB1은 제약 정보(Constrai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를 UE(3)에 송신한다. 스텝 S402에서는, eNB1은 제약 정보(Constrai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메시지(Constraint indication)를 eNB2에 송신한다.
스텝 S403∼S406에서는, eNB1 및 eNB2는 제약 정보에 의거하여 CELL1 및 CELL2에 있어서 다운링크 데이터(DL data)를 각각 송신하고, UE(3)는 eNB1 및 eNB2로부터 DL data를 수신한다. 예를 들면 CELL1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ON 기간)에 있어서, eNB1은 UE(3)에의 DL data(예를 들면, VoIP data)를 송신하고, UE(3)는 PDCCH를 복호함으로써 DL data(예를 들면, VoIP data)를 수신할 수 있다(스텝 S403 및 S405). 한편, CELL2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ON 기간)에 있어서, eNB2는 UE(3)에의 DL data(예를 들면, FTP data)를 송신하고, UE(3)는 PDCCH를 복호함으로써 DL data(예를 들면, FTP data)를 수신할 수 있다(스텝 S404 및 S406).
CELL1의 수신 갭(OFF 기간)에서는, UE(3), CELL1의 PDCCH를 복호하지 않아도 된다. 마찬가지로, CELL2의 수신 갭(OFF 기간)에서는, UE(3)는 CELL2의 PDCCH를 복호하지 않아도 된다. 이에 따라, 불필요한 PDCCH의 수신(또는 복호)을 회피할 수 있기 때문에 UE(3)의 소비 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도 8에 있어서, CELL1의 수신 갭(OFF 기간)은 CELL1의 ON 기간을 제외한 전체 기간에 상당한다. 마찬가지로, CELL2의 수신 갭(OFF 기간)은 CELL2의 ON 기간을 제외한 전체 기간에 상당한다.
제약 정보는 CELL1과 CELL2의 어느 한쪽의 수신 갭(OFF 기간)을 특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만을 포함해도 된다. 예를 들면, eNB1은, CELL1에만 관한 제약 정보를 UE(3) 및 eNB2에 송신해도 되고, CELL2에만 관한 제약 정보를 UE(3) 및 eNB2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eNB1은,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고려해서 CELL1에서의 UE(3)에 관한 송신 또는 수신을 행해도 된다. 이것과는 반대로, eNB2는, CELL1에 관한 제약 정보를 고려해서 CELL2에서의 UE(3)에 관한 송신 또는 수신을 행해도 된다. 예를 들면, eNB1은, CELL2에 있어서의 UE(3)의 수신 갭(OFF 기간) 중에, UE(3)에의 다운링크 신호를 Cell1에서 송신해도 된다.
eNB1로부터 UE(3)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는, eNB1로부터 eNB2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와 같은 내용이어도 되고 서로 다른 내용이어도 된다. 예를 들면, eNB1은, CELL1 및 CELL2의 양쪽에 관한 제약 정보를 UE(3)에 송신하고, CELL2에만 관한 제약 정보를 eNB2에 송신해도 된다.
제약 정보(Constraint information)를 유효하게 하는 타이밍(즉 제약 정보에서 특정되는 수신 제한이나 송신 제한을 유효하게 하는 타이밍)은, 예를 들면 UE 또는 eNB2가 당해 제약 정보를 eNB1로부터 수신한 시점이어도 되고, UE 또는 eNB2가 당해 제약 정보를 수신하고나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여도 된다. 소정 시간은, 제약 정보와 함께 송신되는 것에 의해 지정되어도 되고, UE(3) 및 eNB2에 미리 설정되어 있어도 된다.
제약 정보의 유효화는, 예를 들면 이하에 나타내는 절차에 따라서 행해도 된다. 도 9는 제약 정보의 유효화 절차의 옵션 1∼3을 나타내고 있다. 도 9의 스텝 S401 및 S402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8의 스텝 S401 및 S402에 있어서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도 9의 스텝 S411 및 S412는 옵션 1을 나타내고 있다. 즉, 스텝 S411에서는, eNB1은 CELL1에 관한 제약 정보를 유효하게 하는 지시를 UE(3)에 송신한다(Activation of constraint on CELL1). 스텝 S412에서는, eNB2는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유효하게 하는 지시를 UE(3)에 송신한다(Activation of constraint on CELL2).
도 9의 스텝 S421 및 S422는 옵션 2를 나타내고 있다. 스텝 S421에서는, eNB1은 CELL1 및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유효하게 하는 지시를 UE(3)에 송신한다(Activation of constraint on CELL1 and CELL2). 이때, 스텝 S42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eNB1은, eNB1가 UE(3)에 대해서 제약 정보를 유효화한 것을 eNB2에 통지해도 된다(Constraint activation indication).
도 9의 스텝 S431 및 S432는 옵션 3을 나타내고 있다. 스텝 S431에서는, eNB1은 CELL1 및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유효하게 하는 지시를 UE(3)에 송신한다(Activation of constraint on CELL1 and CELL2). 스텝 S432에서는, UE(3)는 CELL2에 있어서의 제약 정보의 유효화를 eNB2에 통지한다(Constraint activation report).
(절차예 5)
절차예 5는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절차예 2에 대응한다. 즉, eNB1이 제약 정보를 UE(3)에 송신하고, UE(3)가 eNB2에 제약 정보를 전송한다. 도 10은 절차예 5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10에 있어서, 제1 셀(10)은 CELL1로 표시되고, 제2 셀(20)은 CELL2로 표시되어 있다. 스텝 S501에서는, eNB1은 제약 정보(Constrai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메시지(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를 UE(3)에 송신한다. 스텝 S502에서는, UE(3)는 제약 정보(Constraint information)를 포함하는 메시지(Constraint information report)를 eNB2에 송신한다. UE(3)는,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자발적으로 eNB2에 송신해도 되고, 또는 eNB2로부터 송신된 제약 정보의 보고 지시(Constraint information report request)에 응답하여 eNB2에 송신해도 된다. 도 10의 스텝 S503 및 S505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8의 스텝 S403 및 S404에 있어서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eNB1로부터 UE(3)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는 CELL1 및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포함해도 된다. 한편, UE(3)로부터 eNB2에 전송되는 제약 정보는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만을 포함하고 있으면 된다. 그러나, UE(3)로부터 eNB2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는 eNB1로부터 UE(3)에 송신되는 제약 정보와 같은 내용이어도 된다.
(절차예 6)
절차예 6은 제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절차예 3에 대응한다. 즉, UE(3)에의 제약 정보의 통지가 eNB2의 요구에 의거해서 행해진다. 제약 정보는 eNB1 또는 eNB2에 의하여 생성된다. 도 11은 절차예 6에 따른 통신 제어 방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11에 있어서, 제1 셀(10)은 CELL1로 표시되고, 제2 셀(20)은 CELL2로 표시되어 있다. 스텝 S601에서는, eNB2는, CELL2에 있어서 UE(3)에 의한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에 제약(즉, 수신 제한 또는 송신 제한)을 설정하기 위한 요구를 eNB1에 송신한다(Constraint configuration request(for CELL2)).
스텝 S602에서는, eNB1은, eNB1가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승인할지의 여부, 환언하면 eNB1가 CELL2에의 제약의 적용을 승인할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응답을 eNB2에 송신한다. eNB1이 CELL2에의 제약의 적용을 승인할 경우, eNB1은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eNB2에 송신한다(Constraint information indication). 또한, 스텝 S603에서는, eNB1은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UE(3)에 송신한다(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including Constraint information)). 스텝 S603에서는, eNB1은 CELL1에 관한 제약 정보를 UE(3)에 송신해도 된다. 스텝 S604 및 S605에 있어서의 처리는 도 8의 스텝 S403 및 S404에 있어서의 처리와 마찬가지이다.
스텝 S601에서의 eNB2의 요구 송신 시에, eNB2는 추장(推奬)하는 제약 정보를 송신해도 된다. 이 경우, eNB1은 eNB2로부터 수신한 제약 정보를 승인할지의 여부를 판정한 결과를 eNB2에 송신해도 된다. 또한, eNB1은 eNB2로부터 수신한 제약 정보 대신에 eNB1이 추장하는 제약 정보를 생성(또는 설정)하고, 생성(또는 설정)된 제약 정보를 eNB2에 송신해도 된다.
스텝 S602에 있어서, eNB1은 UE(3)에 대한 CELL1에 관한 제약 정보를 eNB2에 송신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스텝 S603에 있어서, eNB1은 CELL1에 관한 제약 정보를 UE(3)에 송신해도 된다.
(절차예 6의 변형)
eNB1은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의 생성(또는 설정)을 eNB2에 요구해도 된다. 이 경우, eNB2가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eNB1에 송신하고, eNB1이 수신된 제약 정보를 UE(3)에 송신해도 된다. 도 12는 절차예 6의 변형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12에 있어서, 제1 셀(10)은 "CELL1"로 표시되고, 제2 셀(20)은 "CELL2"로 표시되어 있다. 스텝 S611에서는, eNB1은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의 생성(또는 설정)을 eNB2에 요구한다(Constraint configuration request(for CELL2)). 스텝 S612에서는, eNB2는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eNB1에 송신한다(Constraint information indication). 스텝 S613에서는, eNB1은, eNB1이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수신한 것을 나타내는 응답을 eNB2에 송신해도 된다. 스텝 S614에서는, eNB1은 eNB2로부터 수신한 CELL2에 관한 제약 정보를 UE(3)에 송신한다(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including Constraint information)).
(절차예 7)
이 예에서는, CELL1 및 CELL2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비수신 기간(OFF 기간)의 설정에 관한 옵션 1∼3을 나타낸다. 옵션 1에서는, UE(3)에 대한 PCell 및 SCell의 비수신 기간(OFF 기간)은 CELL1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CELL2의 수신 기간(ON 기간)이 전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PCELL의 비수신 기간(OFF 기간)과 SCELL의 비수신 기간(OFF 기간)은 그 일부가 중복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CELL1 및 CELL2의 어느 쪽에 있어서 PDCCH를 수신하지 않아도 되는 비수신 기간(OFF 기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도 13a는 옵션 1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3b는 옵션 1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비수신 기간(OFF 기간)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 및 13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CELL1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CELL2의 수신 기간(ON 기간)은 시간 축을 따라서 번갈아서 배치되어도 된다. 옵션 1에 따르면, UE(3)는 CELL1 및 CELL2에서 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필요는 없으며, 즉 어느 한쪽에서만 신호를 수신하면 된다.
옵션 2에서는, UE(3)에 대한 CELL1의 비수신 기간(OFF 기간)과 CELL2의 비수신 기간(OFF 기간)은 서로 독립하여 설정된다. 환언하면, UE(3)에 대한 CELL1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CELL2의 수신 기간(ON 기간)은 서로 독립하여 설정된다. 옵션 2에서는, CELL1 및 CELL2의 어느 한쪽에만 비수신 기간(들)(OFF 기간(들))이 설정되어도 된다. 도 14a는 옵션 2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4b는 옵션 2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비수신 기간(OFF 기간)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수신 기간(ON 기간) 및 비수신 기간(OFF 기간)은 CELL1 및 CELL2에 있어서 각각 독립하여 설정되므로, CELL1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CELL2의 수신 기간(ON 기간)은 도 14a 및 14b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일부가 중복될지도 모른다. 또한, 우연히, CELL1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CELL2의 수신 기간(ON 기간)은 전혀 중복되지 않을지도 모른다. 옵션 2에 따르면, CELL1 및 CELL2 각각의 송신 패턴에 맞춰서, 수신 기간(ON 기간) 및 비수신 기간(OFF 기간)의 배치를 최적화할 수 있다.
옵션 3에서는, PCell의 수신 기간(ON 기간)은 SCell의 수신 기간(ON 기간)에 포함되도록 설정된다. 도 15a는 옵션 3에서의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의 구체예를 나타내는 시퀀스도이다. 도 15b는 옵션 3에 있어서의 수신 기간(ON 기간)과 비수신 기간(OFF 기간)의 배치의 예를 나타내고 있다. 또, 도 15a 및 15b의 예와는 반대로 SCell의 수신 기간(ON 기간)은 PCell의 수신 기간(ON 기간)에 포함되도록 결정되어도 된다.
여기에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예를 들면 상기 옵션 1 내지 3에 있어서, 비수신 기간(OFF 기간)이, 서빙 셀에 있어서의 수신 갭(Rx gap)에 상당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혹은, 수신 기간(ON 기간)과 비수신 기간(OFF 기간)이, 서빙 셀에 있어서의 DRX cycle의 On-Duration(Wake up period)과 Opportunity for DRX(Sleep period)에 상당할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절차예 8)
전술한 절차예 4∼7에서는, eNB간 캐리어 애그리게이션에서의 다운링크 송신에 관한 수신 기간(ON 기간) 및 비수신 기간(OFF 기간)의 설정에 대하여 설명했다. 절차예 8에서는, 제약 정보(Constraint information)에 의거해서 송신 기간 및 비송신 기간이 설정되는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미 기술한 바와 같이, 송신 기간은, UE(3)에 대해서 업링크 신호(UL signal)의 송신이 허가될 가능성이 있는 ON 기간(또는 Active 기간)이다. 한편, 비송신 기간은, UE(3)가 업링크 신호(UL signal)를 송신해서는 안 되는 OFF 기간(또는 Inactive 기간)이다. 여기에서, 서빙 셀에 있어서의 비송신 기간(OFF 기간)이 송신 갭(Tx gap)에 상당할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혹은, 서빙 셀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ON 기간)이 송신 타이밍의 마스킹에 있어서의 송신 가능 기간에 상당할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또한, 대상으로 하는 서빙 셀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ON 기간)과 비송신 기간(OFF 기간)이, DTX cycle의 On-Duration(Transmission period)과 Opportunity for DTX(Non-transmission period)에 상당할 것으로 생각할 수도 있다.
도 16은 절차예 8을 나타내는 시퀀스도의 일례이다. 도 16에 있어서, 제1 셀(10)은 "CELL1"로 표시되고, 제2 셀(20)은 "CELL2"로 표시되어 있다. 스텝 S801에서는, eNB1, eNB2, 및 UE(3)는 제약 정보에 의거해서 CELL1 및 CELL2의 송신 기간(ON 기간) 및 비송신 기간(OFF 기간)을 설정한다. 송신 기간(ON 기간) 및 비송신 기간(OFF 기간)의 설정은 CELL1 및 CELL2의 어느 한쪽에 있어서만 행해져도 된다. 스텝 S801에서는, UE(3)는 eNB1 또는 eNB2로부터 제약 정보를 수신한다. 스텝 S801의 처리는 절차예 4∼6에서 설명한 제약 정보의 송수신 절차 중 어느 하나와 마찬가지로 하면 된다.
스텝 S802∼S405에서는, UE(3)는 제약 정보에 의거하여 CELL1 및 CELL2에 있어서 업링크 신호를 송신하고, eNB1 및 eNB2는 UE로부터 송신된 업링크 신호를 수신한다. 도 16의 예에서는, CELL1에서 RRC signaling이 송신되고, CELL2에서 업링크 데이터(유저 데이터)가 송신된다. 예를 들면 CELL1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ON 기간) 중에, UE(3)는 eNB1에의 RRC signaling을 송신한다(스텝 S802 및 S804). 한편, CELL2에 있어서의 송신 기간(ON 기간) 중에, UE(3)는 eNB2에 업링크 데이터를 송신한다(스텝 S803 및 S805).
도 18은 절차예 7에 있어서 설명한 옵션 1과 마찬가지의 사상에 따라서, CELL1 및 Cell2의 송신 기간 및 비송신 기간(OFF 기간)이 설정되어 있다. 즉, UE(3)에 대한 PCell 및 SCell의 비송신 기간(OFF 기간)은 CELL1의 송신 기간(ON 기간)과 CELL2의 송신 기간(ON 기간)이 전혀 중복되지 않도록 설정된다. PCELL의 비송신 기간(OFF 기간)과 SCELL의 비송신 기간(OFF 기간)은 그 일부가 중복되어도 된다. 환언하면, CELL1 및 CELL2의 양쪽에 있어서 업링크 송신이 허가되지 않는 비송신 기간(OFF 기간)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것에 의해 UE(3)는, CELL1과 CELL2의 양쪽에서 동시에 업링크 신호(RRC signaling 및 Data)를 송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복잡도(complexity)를 저감할 수 있다. 특히, CELL1과 CELL2가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인 경우, 업링크의 동기를 유지하는 데 적합한 업링크 신호의 송신 타이밍이 서로 다른 것을 생각할 수 있어, 송신 타이밍이 서로 다른 것을 고려한 제어가 필요해진다. 그러나, 도 18의 스텝 S802∼S805에 나타낸 예와 같이 송신 기간(ON 기간)을 설정함으로써, 이 제어의 복잡도가 저감된다.
전술한 절차예 4∼8은, 예를 들면 이하에 기술하는 바와 같이 변형되어도 된다. 절차예 4∼8에서는, 제약 정보에 의거해서 비수신 기간의 예로서 수신 갭(Rx gap) 또는 비송신 기간의 예로서 송신 갭(Tx gap)을 설정하는 것을 나타냈다. 이 경우, 이하에 열거하는 예외 처리를 적용해도 된다.
· UE(3)는, 중요한 정보, 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Master Information Block(MIB), 또는 System Information Block(SIB)), 페이징(Paging indication, 또는 Paging channel : PCH), 및 RRC signaling 등은 수신 갭에 상관없이 수신한다.
· UE(3)는, 다운링크에서 재송신되는 신호는 수신 갭에 상관없이 수신한다.
· UE(3)는, 업링크에서 재송신하기 위한 신호는 송신 갭에 상관없이 송신한다.
UE(3)에의 제약 정보의 송신은 RRC signaling을 통해, 제약 정보(즉, 수신 제한이나 송신 제한)의 유효화(Activation) 및 무효화(Deactivation)의 지시는 MAC(Medium Access Control) signaling이나 L1/L2(Layer 1 and/or Layer 2) control signaling을 통해 행해도 된다.
제약 정보의 송신은 어느 하나의 무선 기지국들 어느 하나(예를 들면, eNB1)가 행하고, 한편 당해 제약 정보(즉, 수신 제한이나 송신 제한)의 유효화 및 무효화는 각 무선 기지국(eNB1 및 eNB2)에서 행해도 된다.
*eNB1과 eNB2 사이의 제약 정보의 송수신은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면, EPC)를 통해 행해져도 된다.
<그 밖의 실시형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제약 정보에 의거한 수신 제한 또는 송신 제한을 무선 단말(UE)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정하는 예를 나타냈다. 그러나, 제약 정보에 의거한 수신 제한 또는 송신 제한은, 예를 들면 복수의 무선 단말(UE)에 공통이어도 되고, 또는 같은 셀 내의 무선 단말(UE) 전부에 공통이어도 된다. 또한, 제약 정보는, 각 무선 단말(UE)에 개별적으로 송신되어도 된다. 또는, 제약 정보는 복수의 무선 단말(UE)에 공통의 메시지로 송신되어도 되고, 같은 셀 내의 무선 단말(UE) 전부에 공통의 메시지(예를 들면, 시스템 정보)로 송신되어도 된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의 적용처로서는, 제1 무선국(1)(eNB1)이 비교적 커버리지가 큰 매크로 셀을 운용(관리)하는 매크로 무선 기지국(Macro eNB(MeNB))이고, 제2 무선국(2)(eNB2)이 커버리지가 작은 셀을 운용(관리)하는 저전력 무선국(Low Power Node(LPN))인 경우를 생각할 수 있다. LPN으로서는, 예를 들면 MeNB와 마찬가지의 기능(프로토콜 레이어)을 지니는 피코 무선 기지국(Pico eNB(PeNB))이나, MeNB에 비해 기능(프로토콜 레이어)이 적은 새로운 종류의 네트워크 노드(New Node)를 포함한다. 혹은, MeNB가 LPN 및 LPN 셀에 있어서의 제어 기능(예를 들면, RRC 레이어)을 관리하는 구성을 채용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제2 셀(20)은,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캐리어(New Carrier Type)를 구성 요소로 하는 종래와는 다른 새로운 종류의 셀(New Cell Type)이어도 된다.
또한,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 기술한 무선국(1)(통신 제어부(15)), 무선국(2)(통신 제어부(25)), 및 무선 단말(3)(통신 제어부(35))에 의한 통신 제어 방법은, 모두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의 반도체 처리 장치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된다. 또는, 이들 방법은, 적어도 1개의 프로세서(예를 들면, 마이크로프로세서, MPU(Micro Processing Unit), 또는 DSP(Digital Signal Processor))를 포함하는 컴퓨터 시스템에 프로그램을 실행시키는 것에 의하여 실현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플로차트 및 시퀀스도에 나타난 알고리즘을 컴퓨터 시스템에 실행시키기 위한 명령군을 포함하는 1 또는 복수의 프로그램을 작성하여, 당해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하면 된다.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를 이용하여 저장되어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는 다양한 타입의 실체가 있는 기록 매체(tangible storage medium)를 포함한다.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의 예는, 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플렉서블 디스크, 자기 테이프,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 광자기 기록 매체(예를 들면 광자기 디스크), CD-ROM(Read Only Memory), CD-R, CD-R/W, 반도체 메모리(예를 들면, 마스크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플래시 ROM, 및 RAM(random access memory))를 포함한다. 또한, 이 프로그램은 다양한 타입의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의하여 컴퓨터에 공급되어도 된다.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의 예는 전기 신호, 광 신호, 및 전자파를 포함한다. 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는 전선 및 광파이버 등의 유선 통신로, 또는 무선 통신로를 통하여 프로그램을 컴퓨터에 공급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형태에서는 주로 LTE 시스템에 관하여 설명을 행했다. 그러나, 이들 실시형태는, LTE 시스템 이외의 무선 통신 시스템, 예를 들면 3GPP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3GPP2 CDMA2000 시스템(1xRTT, HRPD(High Rate Packet Data)),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시스템, 및 WiMAX 시스템 등에 적용되어도 된다.
또한, 전술한 실시형태는 본 건 발명자에 의해 얻어진 기술 사상의 적용에 관한 예에 지나지 않는다. 당해 기술 사상은 전술한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각종 변경이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이 출원은 2013년 2월 22일에 출원된 일본국 출원 특원2013-033703을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며 그 개시의 전부를 여기에 참조에 의해 도입한다.
1 : 제1 무선국
2 : 제2 무선국
3 : 무선 단말
10 : 제1 셀
20 : 제2 셀
15 : 통신 제어부
25 : 통신 제어부
35 : 통신 제어부

Claims (10)

  1. 무선국으로서,
    적어도 상기 무선국의 제 1 셀 및 다른 무선국의 제 2 셀을 사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고,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 및
    상기 제 1 셀에서 RRC 접속의 확립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통신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무선국.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 중 적어도 하나는,
    onDurationTimer의 값,
    drx-InactivityTimer의 값,
    drx-RetransmissionTimer의 값,
    longDRX-CycleStartOffset의 값,
    shortDRX-Cycle의 값, 및
    drxShortCycleTimer의 값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무선국.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는, 상기 무선 단말로 하여금 상기 제 1 셀에서의 상기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서의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를 독립적으로 적용하게 하는, 무선국.
  4. 삭제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무선국으로 상기 제 1 DRX 설정 정보를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무선국.
  6. 제 1 무선국의 제 1 셀 및 제 2 무선국의 제 2 셀을 사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로서,
    상기 제 1 셀에서 RRC 접속의 확립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무선국으로 전송되는, 무선 통신 유닛; 및
    상기 제 1 셀에서의 상기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서의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를 적용하도록 구성되는 제어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무선 단말.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유닛은, 상기 제 1 DRX 설정 정보에 기반한 상기 제 1 셀에서의 DRX와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에 기반한 상기 제 2 셀에서의 DRX를 독립적으로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
  8. 무선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 1 셀을 운용하는 제 1 무선국;
    제 2 셀을 운용하는 제 2 무선국; 및
    상기 제 1 셀 및 상기 제 2 셀을 사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무선국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셀에서 RRC 접속의 확립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무선 단말은, 상기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1 셀에서의 상기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서의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를 적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무선 통신 시스템.
  9. 적어도 무선국의 제 1 셀 및 다른 무선국의 제 2 셀을 사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상기 무선국에서의 방법으로서,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다른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셀에서 RRC 접속의 확립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상기 무선 단말에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무선국에서의 방법.
  10. 제 1 무선국의 제 1 셀 및 제 2 무선국의 제 2 셀을 사용하여 듀얼 접속성(Dual Connectivity)을 행하도록 구성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방법으로서,
    상기 제 1 셀에서 RRC 접속의 확립을 유지하는 동안,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를 포함하는 RRC 접속 재구성(RRC Connection Reconfiguration) 메시지를 수신하고,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가 X2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 2 무선국으로부터 상기 제 1 무선국으로 전송되는 단계; 및
    상기 제 1 셀에서의 상기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서의 상기 제 2 DRX 설정 정보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RRC 접속 재구성 메시지에 포함되는 상기 제 1 셀에 대한 제 1 DRX 설정 정보 및 상기 제 2 셀에 대한 제 2 DRX 설정 정보는 독립적으로 설정되는, 무선 단말에서의 방법.
KR1020177000327A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19475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033703 2013-02-22
JP2013033703 2013-02-22
PCT/JP2013/007094 WO2014128805A1 (ja) 2013-02-22 2013-12-03 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局、無線端末、通信制御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109A Division KR101908416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3626A Division KR102074271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7524A KR20170007524A (ko) 2017-01-18
KR101947540B1 true KR101947540B1 (ko) 2019-02-13

Family

ID=51390645

Famil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0327A KR101947540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57022109A KR101908416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87029166A KR101947543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97003626A KR102074271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207003048A KR102194153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Family Applications After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7022109A KR101908416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87029166A KR101947543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197003626A KR102074271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KR1020207003048A KR102194153B1 (ko) 2013-02-22 2013-12-03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6) US10172083B2 (ko)
EP (4) EP3211821B1 (ko)
JP (7) JP6398968B2 (ko)
KR (5) KR101947540B1 (ko)
CN (5) CN110519829B (ko)
ES (2) ES2906589T3 (ko)
WO (1) WO20141288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47540B1 (ko) * 2013-02-22 2019-02-1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US9635621B2 (en) * 2014-01-17 2017-04-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Adaptations of dual connectivity operation to UE capability
US20150282080A1 (en) * 2014-03-28 2015-10-01 Broadcom Corporation System, device, and method for configuring dual drx cycles
CN106165519B (zh) * 2014-05-08 2020-04-2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数据调度方法及装置
JP2017533665A (ja) * 2014-10-30 2017-11-09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アンライセンスキャリアのための無線ベアラタイプを構成す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6488473B (zh) * 2015-08-26 2021-10-2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通信控制方法及装置
US10356038B2 (en) * 2015-12-14 2019-07-16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Shared multi-tenant domain name system (DNS) server for virtual networks
JP2018191833A (ja) * 2017-05-16 2018-12-0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JP2018191834A (ja) * 2017-05-16 2018-12-06 株式会社三洋物産 遊技機
CN107241166A (zh) * 2017-06-12 2017-10-10 京信通信系统(中国)有限公司 一种长期演进上的语音Volte数据保障方法和设备
US10306536B2 (en) * 2017-06-15 2019-05-28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Bearer split or fast switch capability indicator
WO2020091469A1 (en) * 2018-10-31 2020-05-07 Samsung Electronics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measurement operations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O2020144817A1 (ja) * 2019-01-10 2020-07-16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装置及び電力削減方法
CN114080065A (zh) * 2020-08-10 2022-02-22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非连续发送方法、信号发送处理方法及相关设备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10292851A1 (en) * 2009-06-15 2011-12-01 Mo-Han Fong Method and System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for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Carrier Aggregation
JP2012520626A (ja) * 2009-03-12 2012-09-0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に特化した再構成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596256B2 (ja) * 2005-08-02 2010-12-08 ソニー株式会社 送受信システムおよび方法、送信装置および方法、受信装置および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US8825065B2 (en) * 2007-01-19 2014-09-02 Wi-Lan, Inc. Transmit power dependent reduced emissions from a wireless transceiver
KR101486352B1 (ko) * 2007-06-18 2015-01-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의 단말에서의 상향링크 동기 상태 제어방법
US8498607B2 (en) * 2008-06-12 2013-07-30 Qualcomm Incorporated Methods and systems for power savings using a message indication header
EP2230877A1 (en) * 2009-03-17 2010-09-22 HTC Corporation Method of managing discontinious reception functionality for multiple component carriers and related communication device
EP2244514A1 (en) * 2009-04-23 2010-10-27 Panasonic Corporation Logical channel prioritization procedure for generating multiple uplink transport blocks
US8880083B2 (en) * 2009-04-28 2014-11-04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configuration of femtocells in a wireless network
CN102804885B (zh) 2009-06-17 2015-12-16 富士通株式会社 通信装置、通信系统以及通信方法
US8107440B2 (en) * 2009-08-24 2012-01-3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Transport network congestion control for enhanced uplink communications
US20110164577A1 (en) * 2010-01-06 2011-07-07 Research In Motion Limited Intra-Donor Cell Coordinated Multi-Point Transmission with Type 1 Relay
CN102714877B (zh) 2010-01-08 2016-05-04 交互数字专利控股公司 执行用于多载波/多小区操作的不连续接收和/或不连续传输的方法和设备
CN102123447B (zh) * 2010-01-08 2015-12-16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不连续接收方法及系统
WO2011089674A1 (ja) * 2010-01-25 2011-07-28 日本電気株式会社 移動局装置、基地局装置、無線通信システム、移動局の制御方法、及び基地局の制御方法
KR101614096B1 (ko) 2010-08-12 2016-04-2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멀티 캐리어 구조를 위한 채널 관리 방법
CN103262619B (zh) 2010-12-22 2016-11-09 富士通株式会社 移动台、基站、无线通信系统以及无线通信方法
WO2012096502A2 (en) * 2011-01-11 2012-07-19 Samsung Electronics Co., Ltd. Secondary carrier activation/deactiv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mobile communication system supporting carrier aggregation
KR102073027B1 (ko) * 2011-04-05 2020-02-04 삼성전자 주식회사 반송파 집적 기술을 사용하는 무선통신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타임 정렬 타이머 운용 방법 및 장치
US9681405B2 (en) 2011-05-10 2017-06-1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pplying a time alignment timer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a carrier aggregation technique
US10833994B2 (en) 2011-06-01 2020-11-10 Ntt Docomo, Inc. Enhanced local access in mobile communications
US9462529B2 (en) * 2011-06-21 2016-10-0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apparatus for accounting of cell related data
JP2013033703A (ja) 2011-07-07 2013-02-14 Chugoku Electric Power Co Inc:The コッター挿入補助具
JP2012070394A (ja) * 2011-10-17 2012-04-05 Fujitsu Ltd 基地局、移動通信端末および移動無線通信システム
US8879518B2 (en) * 2012-02-08 2014-11-04 Acer Incorporated Method of timing reference management
US8971298B2 (en) * 2012-06-18 2015-03-03 Ofinno Technologies, Llc Wireless device connection to an application server
US8913518B2 (en) * 2012-08-03 2014-12-16 Intel Corporation Enhanced node B, user equipment and methods for discontinuous reception in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KR102156233B1 (ko) 2012-10-02 2020-09-1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반송파 집성 그룹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2014533900A (ja) 2012-10-02 2014-12-15 クゥアルコム・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Qualcomm Incorporated Tddキャリアアグリゲーションのための半二重/全二重動作
JP6106423B2 (ja) 2012-12-17 2017-03-29 株式会社Nttドコモ ユーザ端末、無線基地局、無線通信方法及び制御装置
US20140177555A1 (en) 2012-12-21 2014-06-26 Samsung Electronics Co., Ltd Inter-enb coordination methods to support inter-enb carrier aggregation for lte-advanced
CN104904254B (zh) 2013-01-11 2018-11-23 Lg 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发送信息的方法和设备
US9699825B2 (en) 2013-01-16 2017-07-04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indic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947540B1 (ko) * 2013-02-22 2019-02-13 닛본 덴끼 가부시끼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무선국, 무선 단말, 통신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가독 매체
US9872334B2 (en) * 2014-01-30 2018-01-16 Intel Corporation Discontinuous reception alignment in dual connectivity network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520626A (ja) * 2009-03-12 2012-09-06 インターデイジタル パテント ホールディングス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コンポーネントキャリアに特化した再構成を行う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US20110292851A1 (en) * 2009-06-15 2011-12-01 Mo-Han Fong Method and System for Discontinuous Reception Operation for Long Term Evolution Advanced Carrier Aggreg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444227B2 (ja) 2024-03-06
JP2023010879A (ja) 2023-01-20
EP2961226B1 (en) 2019-10-30
CN105915321A (zh) 2016-08-31
CN105009646B (zh) 2019-07-09
US20190090188A1 (en) 2019-03-21
US20160007284A1 (en) 2016-01-07
JPWO2014128805A1 (ja) 2017-02-02
JP2019057947A (ja) 2019-04-11
US20200229087A1 (en) 2020-07-16
JP7184112B2 (ja) 2022-12-06
JP6398968B2 (ja) 2018-10-03
EP3614614B1 (en) 2021-11-17
JP6604426B2 (ja) 2019-11-13
EP3211821A1 (en) 2017-08-30
US10932191B2 (en) 2021-02-23
JP2020005317A (ja) 2020-01-09
WO2014128805A1 (ja) 2014-08-28
US11546847B2 (en) 2023-01-03
CN105915321B (zh) 2019-12-24
CN110233704B (zh) 2022-07-08
KR20200015808A (ko) 2020-02-12
JP6881542B2 (ja) 2021-06-02
EP3958498A1 (en) 2022-02-23
KR20170007524A (ko) 2017-01-18
ES2906589T3 (es) 2022-04-19
US20210176706A1 (en) 2021-06-10
JP2021121118A (ja) 2021-08-19
JP6610829B1 (ja) 2019-11-27
JP2019208287A (ja) 2019-12-05
CN110519829A (zh) 2019-11-29
EP2961226A1 (en) 2015-12-30
KR102074271B1 (ko) 2020-02-06
CN105009646A (zh) 2015-10-28
CN110519829B (zh) 2022-07-12
US10728848B2 (en) 2020-07-28
CN110190932A (zh) 2019-08-30
EP3211821B1 (en) 2022-08-17
US20230123167A1 (en) 2023-04-20
US20200084715A1 (en) 2020-03-12
ES2769851T3 (es) 2020-06-29
JP6465235B2 (ja) 2019-02-06
US10624030B2 (en) 2020-04-14
CN110233704A (zh) 2019-09-13
US10172083B2 (en) 2019-01-01
CN110190932B (zh) 2022-07-12
EP2961226A4 (en) 2016-11-09
JP2018102016A (ja) 2018-06-28
KR101947543B1 (ko) 2019-02-13
KR102194153B1 (ko) 2020-12-22
KR20180114247A (ko) 2018-10-17
KR20150110623A (ko) 2015-10-02
KR101908416B1 (ko) 2018-10-16
EP3614614A1 (en) 2020-02-26
KR20190016138A (ko) 2019-02-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444227B2 (ja) 第1の無線局、第2の無線局、無線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CN110463316B (zh) 用于在无线通信系统中处置带宽部分操作的方法及其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