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956B1 - 동공감지센서 - Google Patents

동공감지센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956B1
KR101946956B1 KR1020170159144A KR20170159144A KR101946956B1 KR 101946956 B1 KR101946956 B1 KR 101946956B1 KR 1020170159144 A KR1020170159144 A KR 1020170159144A KR 20170159144 A KR20170159144 A KR 20170159144A KR 101946956 B1 KR101946956 B1 KR 101946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upil
intermediate member
detection sensor
sensing line
lower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9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상조
윤대훈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위드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위드원
Priority to KR1020170159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95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1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specially adapted for well-logging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1/00Component parts of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1/24Housings ; Casings for instruments
    • G01D11/245Housings for sens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3/00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 G01V3/08Electric or magnetic prospecting or detecting; Measuring magnetic field characteristics of the earth, e.g. declination, deviation operating with magnetic or electric fields produced or modified by objects or geological structures or by detecting de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2Signal generation
    • G01V2210/129Source location
    • G01V2210/1299Subsurface, e.g. in borehole or below weathering layer or mud lin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VGEOPHYSICS; GRAVITATIONAL MEASUREMENTS; DETECTING MASSES OR OBJECTS; TAGS
    • G01V2210/00Details of seismic processing or analysis
    • G01V2210/10Aspects of acoustic signal generation or detection
    • G01V2210/14Signal detection
    • G01V2210/142Receiver location
    • G01V2210/1429Subsurface, e.g. in borehole or below weathering layer or mud lin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emote Sens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ology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phys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ophysics And Detection Of Obje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동공감지센서에 관한 것으로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는 상광하협의 구성을 가지고 상기 하부부재의 중앙부에 구성된 원통형 원기둥;
상기 원통형 원기둥의 상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신호감지부;
상기 신호감지부의 상부에는 신호감지선을 삽입할 수있도록 구성한 감지선삽입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부재;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신호감지선의 통로로 구성된 감지선 통과홀;
상기 중간부재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원통형 원기둥이 통과하도록 구성한 제1홀;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구성한 상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지센서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동공감지센서{The hole detection sensor}
본 발명은 싱크홀이 발생하기 전에 미세한 공동이 발생하는 것을 지상에서 확인할 수 있게 하는 것으로 상세하게는 지하에 매립하는 동공감지센서의 작동으로 인하여 신호감지선의 단선을 통하여 싱크홀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지상의 감시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으로 동공감지센서를 이용하여 싱크홀의 방지에 관한 기술분야이다.
도 13은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홀 감지 센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홀 감지 센서(10)는 도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몸체(3), 커버(2), 압력감지수단, 신호발생기(5)를 포함할 수 있다.
싱크홀 감지 센서(10)는 구형으로 이루어진 몸체(3)를 갖고, 몸체(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2)가 몸체(3)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압력감지수단은 몸체(3)의 내측에 마련되어 커버(2)와 연결되며, 커버(2)에 가해진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감지수단은 고정축(6), 스프링(1), 신호전달부(7)를 포함한다.
고정축(6)은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커버(2)에 결합되고, 타측이 몸체(3)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1)은 몸체(3)의 내측에서 고정축(6)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커버(2)에 가해진 압력 변화에 의해 커버(2)의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스프링(1)은 예컨대, 압축스프링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으로 커버(2)의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9)가 부설될 수 있다.
커버(2)는 고정축(6)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축(6)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1)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커버(2)는 기계적인 이동을 통해 센서(10)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 변화를 스프링(1)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커버(2)의 기계적인 이동이라 함은 외부 힘에 의한 커버(2)의 압착 정도에 따라 몸체(3) 주위에 가깝도록 위치하거나 압착된 커버(2)가 몸체(3)로부터 소정 간격 벌어질 수 있도록 이동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커버(2)의 기계적인 이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2)가 외부 힘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는 커버(2)와 고정축(6)으로 연결된 스프링(1)도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이 이루어져 몸체(3) 주위에 가깝게되고, 센서(10)의 커버(2)에 가해진 압력 변화로 커버(2)에 가해진 압력이 느슨해지게 되면, 스프링(1)의 복원력이 발생하여 느슨해지면서 고정축(6)에 연결된 커버(2)도 몸체(3) 주위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신호발생기(5)는 압력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시킨다.
신호발생기(5)는 내부에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센서(10)의 매립된 위치를 알 수 있는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위치정보는 센서(10)의 고유식별코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신호발생기(5)는 알림 신호를 생성시키는 기준을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신호발생기(5)는 생성된 알림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RF 신호 등의 무선 신호로 변환해주는 모뎀(미도시)과 안테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안테나는 신호발생기(5)와 별도로 구비되어, 신호발생기(5)로부터 생성된 알림 신호를 지상에 설치되는 감시시스템(2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압력감지수단은 어느 하나가 고장나거나 오동작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가외성(redundancy)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압력감지수단이 센서(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3에는 압력감지수단이 네 개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설치되면, 가외성을 고려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각 커버(2)는 센서(10)의 외주면을 덮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각 커버(2)간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버(2)가 몸체(3)의 외주면 일부 면적만을 덮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3에 도시된 커버(2)는 고정축(6), 스프링(1) 및 신호전달부(7)가 각각 네 개씩 구비됨에 따라 고정축(6)을 센서(10)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배치하게 되면,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대략 'X'자 형상
으로 배치됨에 따라, 이 고정축(6)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2)도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축(6)이 대략'X'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예는 도13에 도시된 것이다.
또한, 커버(2)가 배치되는 위치는 몸체(3)가 구형이므로, 입체적으로는 정사면체의 각 꼭짓점 방향으로 뻗어져 배치됨으로써, 각 커버(2)가 몸체(3)를 덮는 면적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싱크홀 감지 센서(10)를 매립하여 설치하기 전에 센서(10)가 작동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안전핀(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안전핀(8)은 센서(10)에 설치되었을 때 스프링(1)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1)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핀(8) 제거시 스프링(1)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는 부분을 해제하여 커버(2)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스프링(1)의 탄성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종래기술에 사용되는 안전핀(8)의 체결 구조는 예컨대 공지된 등록특허 10-1519801호의 소화기의 안전핀 체결구조나 공개실용신안 실1994-9440호의 안전핀 구조를 참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축(6) 외주면에 삽입되는 스프링(1)의 위치에 안전핀(8)과 연결되는 별도의 가이드(미도시)가 스프링(1)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스프링(1) 단부에 설치되고, 안전핀(8)을 제거하였을 때 가이드가 스프링(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스프링(1) 움직임의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14는 종래기술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싱크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종래기술의 싱크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U)에 매립되는 복수의 싱크홀 감지 센서(10), 지상에 위치하는 감시시스템(20)을 구축한 관제센터, 지상의 교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싱크홀 감지 센서(1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싱크홀 감지 센서(1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등록특허지하(U)에 매립되는 싱크홀 감지 센서(10)는 예컨대 지하(U)의 상하수도관 하부나 열차(40)가 이동하는 터널 주변에 설치된다.
싱크홀 감지 센서(10)는 센서(10)가 매립된 위치에 공동(空洞, A)이나 지형의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면, 최초 매립시 센서(10)에 가해진 압력이 줄어들게 되고, 압력이 줄어들면 센서(10)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1)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1)과 연결된 신호전달부(7)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감지신호가 신호발생기(5)로 전달된다. 센서(10) 내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신호발생기(5)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감시시스템(20)에 전송한다.
감시시스템(20)은 싱크홀 감지 센서(10)로부터 알림 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 또는 경보장치 등에 의해 확인하고, 수신된 알림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상에 설치된다.
감시시스템(20)은 각 센서(10)마다 매립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각 센서(10)의 해당 위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연동할 수 있다.
교통수단은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알림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수신된 알림 신호를 감시시스템(20)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구비하여 알림 신호를 감시시스템(2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무인 정찰기(30), 열차(40), 버스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통수단은 감시시스템이 알림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를 고려하여, 비교적 가까운 수신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알림 신호를 감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같은 구성은 복잡할 뿐만아니라 비용도 많이 소요되고 기존의 지하매설관의 하부에 두어야 하므로 공사로 인한 불편함과 오히려 공사를 하면서 하자가 발생할 확률이 높아지는 등의 문제점으로 인하여 실제로 사용하는 제품으로는 한계가 있다.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번호 :10-1680846(2016.12.13) 대한민국특허청특허등록특허 :10-1519801(2015.05.12)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첫번 째 과제로는 싱크홀로 인하여 불측의 사고를 줄이는 것이 요구되어 싱크홀로 인한 우려구간을 주변 사용자들에게 알림을 주어 대형인재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자 하는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두번째 과제로는 광케이블 탐지장치,TDR등의 고가 장비가 없이도 작은 공동을 확인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장치로 매우 저렴하고 경제적인 시스템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어떠한 크기의 동공일지라도 감지하도록 하는 것이 요구된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구성을 가진다.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외형은 상광하협의 구성을 가지고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는 상기 하부부재의 중앙부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구성된 원통형 원기둥;
상기 원통형 원기둥의 상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신호감지부;
상기 신호감지부의 상부에는 신호감지선을 삽입할 수있도록 구성한 감지선삽입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부재;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신호감지선의 통로로 구성된 감지선 통과홀;
상기 중간부재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원통형 원기둥이 통과하도록 구성한 제1홀;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구성한 상부부재;로 구성하여 동공감지센서를 구성한다.
여기서 상기 상부부재의 내부에는 요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외주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수밀부를 구성하고 상기 요홈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접촉하는 상기 중간부재의 외부에는 결착돌기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결착하기 위하여 각각의 측면부에 부착부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에 제2감지선 거치부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감지선통과홀은 4개로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밀착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부재의 하부에 단턱부를 구성하여 상기 단턱부는 상기 하부부재와 결합시에 하부부재의 내부면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는 것이 좋다.
여기서 상기 감지선삽입부는 상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성되어있어 하부에는 상기 감지선삽입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첫번째 효과로는 싱크홀 우려구간을 주변 사용자들에게 알림을 주어 대형인재사고를 사전에 예방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효과로는 광케이블 탐지장치,TDR등의 고가 장비가 없이도 공동을 확인하여 운영할 수 있는 장치로 매우 저렴하여 경제적으로 설치와 운영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세번째 효과로는 하부부재의 크기를 조절하여 수요자가 원하는 크기의 동공감지가 가능한 것이다.
제1도는 동공감지센서의 전체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2도는 동공감지센서의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다.
제3도는 상부부재를 보이는 구성도이다.
제4도는 신호감지부를 보이는 도이다.
제5도는 제4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6도는 중간부재를 보이는 도이다.
제7도는 제6도의 이면을 보이는 도이다.
제8도는 하부부재를 보이는 도이다.
제9도는 제4도와 제8도를 결합한 도이다.
제10도는 제6도와 제9도를 결합한 도이다.
제11도는 동공감지센서를 이용한 것으로 회로연결이 이루어진 것을 보이는 도이다.
제12도는 동공감지센서를 이용한 신호처리도를 보이는 도이다.
제13도는 종래의 기술인 싱크홀감지센서를 보이는 도이다.
제14도는 종래의 기술인 싱크홀 감지센서를 지하에 매설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이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1 내지 도8에 의하여 설명하면 하기와 같다.
동공감지센서는 파손되지 않는 복합PP,나일론 및 PE 등의 재질로 설계한다.
동공감지센서는 관이음부의 직상부에 설치하여 누수가 발생하면 즉시 관리자에게 알려주어 사전에 싱크홀을 예방하는 것이다.
물론 필요에 따라서 관이음부의 하부 뿐만 아니라 관 이음부 이외의 관의 주위에도 설치할 수 있다.
하부부재(400)
상기 하부부재의 외형은 상광하협의 구성을 가지고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는 상기 하부부재의 중앙부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구성된 원통형 원기둥;(470)
상기 원통형 원기둥의 상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신호감지부(200)
상기 신호감지부의 상부에는 신호감지선을 삽입할 수있도록 구성한 감지선삽입부는 제1감지선 제1삽입부(210), 제1감지선제2삽입부(220)로 구성한다.
외부에서 신호감지선이 신호감지부로 입력되되 제1감지선 삽입부(210)와 제1감지선제2삽입부(220)에 연결한다.
상기 하부부재(400)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부재(300)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신호감지선의 통로로 구성된 감지선 통과홀(310,320)을 구성한다.
상기 중간부재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원통형 원기둥이 통과하도록 구성한 제1홀(370)을 구성한다.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구성한 상부부재(100)로 동공감지센서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부재의 내부에는 요홈부(110)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외주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수밀부(120)를 구성하여 외부에서 물등이 침투되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요홈부(110)에 상당하는 부분에 접촉하는 상기 중간부재의 외부에는 결착돌기부(350,360)를 구성하여 상부부재와 중간부재가 결착시에 밀착되도록 하여 수밀이 되도록 하며 손 쉽게 이탈되지 못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중간부재(300)와 상기 하부부재(400)를 결착하기 위하여 각각의 측면부에 부착부(330,440)를 구성하여 동공이 발생할 수 있는 영역에 동공감지센서(100)를 설치하는 과정에서 부착되어있도록 임시적으로 결합밴드 또는 결착끈을 사용하여 결합하는 것이다.
물론 동공이 발생이 염려되는 영역에 상기 동공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부착부에 부착된 결합밴드나 결착끈을 해제시켜 매립을 하게 된다. 관이음부의 상부에 동공감지센서를 설치하여 동공이 발생하게 되면 상광하협의 형상을 가진 하부부재(400)가 동공이 발생한 곳으로 낙하되어 신호감지선이 수직으로 삽입되었으므로 손쉽게 신호감지선을 단선시키도록 구성한다.
여기에 하부부재의 외부케이스와 원통형 원기둥의 주위인 중공부에는 모래 또는 비중있는 재질로 채워 하부부재의 직하부에 작은 동공이 발생하게 되면 즉시 상기 하부부재가 수직으로 낙하되어 신호감지선이 단선되며 외부에서는 신호감지선이 단선된 부위를 미리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지하가 공동으로 크게 확대되기 전에 발생부위에 대하여 사전에 조치를 취할 수 있어 매몰사고와 같은 싱크홀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중간부재(300)의 측면에 제2감지선 거치부(340)를 구성하는 것으로 지하매설에 대한 감시를 위하여 여러 신호감지선이 설치될 경우에 지하에 작은 동공이 생기게 되면 하부부재(400)가 낙하되지만 중간부재는 일반적으로 제 위치에 있게 되어 제2감지선 거치부(340)는 중간부재에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감지선 통과홀(310,320)은 4개로 구성하여 신호감지선이 외부에서 두 가닥이 입력될 경우에 중간부재(300)의 일측면과 타측면에 각각 두개씩 구성한다.
상기 중간부재(300)와 상기 하부부재(400)를 밀착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부재의 하부에 단턱부(380)를 구성하여 상기 단턱부는 상기 하부부재와 결합시에 하부부재의 내부면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공동이 발생하기 전에는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진입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접하게 접촉하도록 구성한다.
상기 감지선삽입부(210,220)는 상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성되어있어 하부에는 상기 감지선삽입부 사이를 ㄷ 자형 감지선을 삽입하여 외부신호선을 상부에 삽입하므로 외부신호선이 서로 서로 연결되도록 구성하는 것이다.
제9도는 제4도와 제8도를 결합한 도로써 하부부재(400)와 신호감지부(200)를 결합한 것이다 신호감지부(200)를 하부부재의 내부중앙부에 구성한 원통형 원기둥(470)의 내부로 삽입하는 것이다.신호감지부는 상부에 단턱을 주어 하부부재에 삽입할 때에 신호감지부의 상부의 단턱에 의하여 고정 지지되도록 구성한 것이다.
제10도는 제6도와 제9도를 결합하여 제1감지선이 삽입된 상태의 도이다.
즉 제9도에 중간부재를 삽입결합한 상태를 보이는 도이다.
하부부재의 내부에 형성되는 경사진 용기입구(480)은 중간부재의 하부에 형성된 경사진 단턱부(380)를 포함하여 삽입되도록 구성하여 결합시 밀접하게 결합하도록 한다.
제1감지선(215,225)은 감지선 삽입부(210,220)에 삽입하여 각 감지선(241,251)과 또 다른 감지선(242,252)이 연결되고 동공감지센서(1000)의 하부에 동공이 발생하면 하부부재(400)와 신호감지부(200)이 낙하하여 감지선들 끼리 단선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외부에서 단선된 위치를 점검하여 싱크홀이 발생하기 전에 도로를 보수하게 되는 것이다.
제1감지선 제1삽입부에 감지선(241,242)를 삽입하고 제1감지선 제2삽입부에 감지선(251,252)을 삽입하는 것이다.
신호감지부(200)가 하부부재(400)의 제2홀(410)에 견고하게 삽입하도록 고무링(230)을 삽입할 수 있다.
신호감지부와 하부부재는 동공홀이 발생할 때에 한꺼번에 낙하되어야 하므로 견고하게 부착하도록 한다.
제11도는 동공감지센서를 이용한 것으로 회로연결이 이루워진 것을 보이는 도이다.
붉은 원으로 있는 부분에 미세한 동공이 발생하여 하부부재가 신호감지부와 함께 낙하하여 단선이 일어나고 전원부의 전원에서 전원이 공급된다.
원거리와 정전을 대비하여 태양전지로 전원을 사용할 수 있다.
메인보드에서는 해당부위를 체크하여 전송하고 LED로 상황을 알려주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제12도는 동공감지센서(1000)를 이용한 신호처리도를 보이는 도이다.
본 발명에서는 평소에는 신호감지선을 통하여 장거리 통신으로 동공발생여부를 체크하다가 동공이 발생하면 보드에서 메인컨트롤러를 이용하여 동공위치를 체크한 후 이상신호와 위치를 전송하는 것이다.
장거리 통신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서는 485통신을 활용하였다.
동공이 발생하면 하부지지부가 동공발생방향으로 낙하되어 단선이 발생되는 것으로 메인 콘트롤러 동공위치를 체크하여 위치를 전송하여 주면 관리자는 해당개소를 작은 동공이 발생하여 통행에 전혀 지장을 주지 않는 상황에서 사전에 도로를 정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관의 누수 또는 누유로 인하여 발생하는 비용을 절약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일실시예로 케이블거리측정기를 사용하였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 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은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스프링 2 : 커버 3 : 몸체 4 : 배터리
5 : 신호발생기 6 : 고정축 7 : 신호전달부 8 : 안전핀
9 : 가이드부 10 : 싱크홀 감지 센서 20 : 감시시스템
A : 공동 U : 지하
100:상부부재 110:요홈부 120수밀부
200:신호감지부 210:제1감지선 제1삽입부 215,225:제1감지선
220:제1감지선제2삽입부 230:고무링 241,242,251,252:감지선
300:중간부재 310,320:감지선통과홀 330,440:부착부
340:제2감지선거치부 350,360:결착돌기부 370:제1홀 380:단턱부
400:하부부재 410:제2홀 470:원통형기둥 480:경사진 용기입구
500:메인보드 600:전원(배터리) 700:LED알림부
1000:동공감지센서

Claims (9)

  1. 하부부재;
    상기 하부부재의 외형은 상광하협의 구성을 가지고 상기 하부부재의 내부는 상기 하부부재의 중앙부의 바닥면에서 상부로 구성된 원통형 원기둥;
    상기 원통형 원기둥의 상부에 삽입하여 고정시키는 신호감지부;
    상기 신호감지부의 상부에는 신호감지선을 삽입할 수있도록 구성한 감지선삽입부:
    상기 하부부재의 상부에 결합되는 중간부재;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에는 상기 신호감지선의 통로로 구성된 감지선 통과홀;
    상기 중간부재의 중앙부위에는 상기 하부부재의 원통형 원기둥이 통과하도록 구성한 제1홀;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를 커버하기 위하여 구성한 상부부재;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지센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부재의 내부에는 요홈부를 구성하고 상기 상부부재의 외주연부에는 상기 중간부재의 상부외주연부를 포함하도록 구성한 수밀부를 구성하고 상기 요홈부에 상당하는 부분에 접촉하는 상기 중간부재의 외부에는 결착돌기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지센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결착하기 위하여 각각의 측면부에 부착부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지센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의 측면에 제2감지선 거치부를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지센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통과홀은 4개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지센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부재와 상기 하부부재를 밀착결합하기 위하여 상기 중간부재의 하부에 단턱부를 구성하여 상기 단턱부는 상기 하부부재와 결합시에 하부부재의 내부면으로 삽입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지센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선삽입부는 상하부가 관통하는 관통홀로 구성되어있어 하부에는 상기 감지선삽입부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지센서.
  8. 동공이 발생하기 쉬운 부위에 제 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항의 상기 동공감지센서를 지하에 매설하되, 복수의 상기 동공감지센서를 상기 신호감지선으로 연결하여 장거리 통신 방법으로 동공발생유무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동공이 발생하면 메인콘트롤러에 의하여 동공위치를 체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공감시시스템.
KR1020170159144A 2017-11-27 2017-11-27 동공감지센서 KR101946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44A KR101946956B1 (ko) 2017-11-27 2017-11-27 동공감지센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9144A KR101946956B1 (ko) 2017-11-27 2017-11-27 동공감지센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6956B1 true KR101946956B1 (ko) 2019-02-12

Family

ID=653691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9144A KR101946956B1 (ko) 2017-11-27 2017-11-27 동공감지센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95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49B1 (ko) * 2005-12-13 2006-12-22 주식회사 위스코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JP2009041269A (ja) * 2007-08-09 2009-02-26 Tokyu Construction Co Ltd 原位置地盤のモニタリング方法
KR101519801B1 (ko) 2014-10-24 2015-05-12 문종인 분리가 용이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KR101680846B1 (ko) 2015-06-17 2016-1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싱크홀 감지 센서, 싱크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9771A (ko) *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흥인이엔씨 케이블을 이용한 지중변위측정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60649B1 (ko) * 2005-12-13 2006-12-22 주식회사 위스코 누수감지관의 연결부위 누수감지 장치
JP2009041269A (ja) * 2007-08-09 2009-02-26 Tokyu Construction Co Ltd 原位置地盤のモニタリング方法
KR101519801B1 (ko) 2014-10-24 2015-05-12 문종인 분리가 용이한 안전핀을 구비한 소화기
KR101680846B1 (ko) 2015-06-17 2016-1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싱크홀 감지 센서, 싱크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160149771A (ko) * 2015-06-19 2016-12-28 주식회사 흥인이엔씨 케이블을 이용한 지중변위측정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846B1 (ko) 싱크홀 감지 센서, 싱크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1105262B (zh) 用于双胎体软管的泄漏检测系统和方法
KR100966892B1 (ko) Rfid를 이용한 건설현장의 안전관리장치
US10089846B2 (en) Monitoring device
KR101794968B1 (ko) 소화전을 이용한 상수도의 누수감지장치
KR101275665B1 (ko) 지그비 네트워크를 이용한 자전거 도난 이원 경보시스템
WO2008010955A3 (en) Remote device for a monitoring system
KR20190047240A (ko) 지하 맨홀을 활용한 지하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
JP2021533393A (ja) 水文地質学的リスク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CN106023532B (zh) 一种山体滑坡报警系统
SK287297B6 (sk) Pozorovací a diaľkový signálny systém pre osoby podliehajúce obmedzeniu slobody pohybu
WO2017087119A4 (en) Underwater positioning system for scuba divers
RU2019134168A (ru) Система мониторинга кабельных, трубных или тросовых проходок и используемый в ней контрольный блок проходки
KR101946956B1 (ko) 동공감지센서
CN105910764A (zh) 变压器储油柜胶囊破裂检测装置及方法
KR20110030735A (ko) 상수도관 누수 측정장치
KR101733530B1 (ko) 감시 관제 장치의 플러그 앤드 플레이 기능을 지원하는 보안 플랫폼 시스템
CN104504831B (zh) 一种野外监测设备防护的方法
US20110148638A1 (en) Security monitor method utilizing a rfid tag and the monitor apparatus for the same
JP3888746B2 (ja) 斜面崩壊検知装置
KR102376633B1 (ko)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KR102020123B1 (ko) 송전선로의 중장비 접근 감지 시스템 및 방법
CN205754667U (zh) 一种移动视频监控系统
KR102247225B1 (ko) 지중 배전선로의 실시간 원격진단 시스템
KR101883809B1 (ko) 복합 감지 장치, 이를 이용한 시설물 관리 장치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