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6633B1 -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 Google Patents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6633B1
KR102376633B1 KR1020210126120A KR20210126120A KR102376633B1 KR 102376633 B1 KR102376633 B1 KR 102376633B1 KR 1020210126120 A KR1020210126120 A KR 1020210126120A KR 20210126120 A KR20210126120 A KR 20210126120A KR 102376633 B1 KR102376633 B1 KR 1023766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nkhole
panel
cover
driving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61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승현
Original Assignee
(주) 자연과환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자연과환경 filed Critical (주) 자연과환경
Priority to KR10202101261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766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66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66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MTESTING STATIC OR DYNAMIC BALANCE OF MACHINES OR STRUCTURES; TESTING OF STRUCTURES OR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M3/00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 G01M3/02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 G01M3/26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 G01M3/28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 G01M3/2807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 G01M3/2815Investigating fluid-tightness of structures by using fluid or vacuum by measuring rate of loss or gain of fluid, e.g. by pressure-responsive devices, by flow detectors for pipes, cables or tubes; for pipe joints or seals; for valves ; for welds for pipes using pressure measur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20/00Water conservation; Efficient water supply; Efficient water use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Sewa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싱크홀 발생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지역에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을 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을 통해 감지된 싱크홀 발생위험이 존재하는 부분žo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은, 구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설치되되,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 상기 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와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에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가해진 압력의 변화에 따라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부를 가져 상기 커버에 가해진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 및 상기 압력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알림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OPERATION METHOD FOR SENSING SINK HOLE}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의 압력 변화를 통하여 싱크홀을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지상의감시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싱크홀을 관측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하수도, 지하전력 및 통신시설, 도시철도 건설과 관련된 부실시공과 노후화로 인해 지하수에 의한 지반침하가 사회적 이슈가 되고 있으며, 특히 싱크홀(땅꺼짐)로 인한 사고는 국민안전에 큰 위협이 되고 있다. 종래의 싱크홀의 조기예측 방법은 상하수도 연결부위, 도시철도 침출수 발생지역 등 싱크홀의 발생 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엑스선 등을 이용한 지하공간 스캐닝이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지하공간 스캐닝을 이용한 싱크홀 예측 방법은 스캐닝의 특성상 장시간의 측정시간이 소요되고, 스캐닝에 의한 화상정보의 판독시 측정의 정확도가 떨어지는 문제점도 있다. 또한, 스캐닝 측정 과정에서 장시간 도로 통제가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국민 불편이 발생되고 있다. 이러한 요인들 때문에 스캐닝 방법은 싱크홀의 사전 예방보다는 싱크홀 발생 후의 해당 지역 조사 위주로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1553599호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지하에 매립하여 주변 지형의 변화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통해 싱크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를 제공하며,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통해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지상에 설치된 감시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싱크홀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된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의 설치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집수받이의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이상발생과 파손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싱크홀 발생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지역에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을 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을 통해 감지된 싱크홀 발생위험이 존재하는 부분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은, 구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설치되되,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 상기 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와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에 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가해진 압력의 변화에 따라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 부를 가져 상기 커버에 가해진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 및 상기 압력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알림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본 발명은 지하에 매립하여 주변 지형의 변화에 따라 가해지는 압력 변화를 통해 싱크홀 여부를 감지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를 제공하며,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통해알림 신호를 출력한 후 지상에 설치된 감시시스템으로 전송하여 싱크홀에 대한 주기적인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된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의 설치에 따른 각종 작업과정과 시공 관련 작업의 규정대로 이루어졌는지 여부 및 필요한 전반적 사항을 모니터 및 검증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이상발생에 따른 책임여부와 여러가지 분쟁, 원안피악 등의 문제를 보다 분명하게 할 수 있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통해 집수받이의 설치상의 품질을 높이고 그 이후의 모든 과정에서 안정적 관리를 통하여 즉각적인 유지보수관리 등이 가능하여 추가적인 이상발생과 파손 등으로 악화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잇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모니터와 검증을 위한 수단을 다양한 구도와 구조환경에서 설치제공하여 모니터와 검증을 보다 효과적으로 다양하게 운영할 수 잇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은 도 1에 따른 구성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수 있는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 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도면 전체에 걸쳐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사용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몸체(3), 커버(2), 압력감지수단, 신호발생기(5)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는 구형으로 이루어진 몸체(3)를 갖고, 몸체(3)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2)가 몸체(3)의 외측을 감싸도록 마련된다. 압력감지수단은 몸체(3)의 내측에 마련되어 커버(2)와 연결되며, 커버(2)에 가해진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압력감지수단은 고정축(6), 스프링(1), 신호전달부(7)를 포함한다.
고정축(6)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이 커버(2)에 결합되고, 타측이 몸체(3)의 중심부에 결합될 수 있다. 스프링(1)은 몸체(3)의 내측에서 고정축(6)의 외주면을 따라 배치되며, 커버(2)에 가해진 압력 변화에 의해 커버(2)의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탄성력 또는 복원력을 제공한다. 스프링(1)은 예컨대, 압축스프링이 될 수 있다. 또한, 스프링(1)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으로 커버(2)의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가이드하는 가이드부(9)가 부설될 수 있다.
신호전달부(7)는 스프링(1)의 일측에 배치되고, 스프링(1)에 탄성력 또는 복원력이 발생함에 따라 신호발생기(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한다. 나아가 신호전달부(7)는 신호발생기(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전선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스프링(1)과 신호전달부(7)는 도 1의 실시예에서는 신호전달부(7)의 상측에 스프링(1)이 결합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지만, 이와 반대로 신호전달부(7)의 하측에 스프링(1)이 위치하도록 결합되거나 몸체(2)의 중심부에
단일로 스프링(1) 및 신호전달부(7)를 구성하고, 커버(2)가 배치된 위치에 대응하여 고정축(6)이 연결되어, 그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신호전달부(7)는 신호발생기(5)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데, 예컨대 평상시 접점이 개방되어 있다가 스프링(1)의 탄성 변화에 따라 접점이 접촉되는 a접점을 이용하여 설계될 수 있다.
커버(2)는 고정축(6)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으며, 고정축(6)에 삽입 설치되는 스프링(1)의 탄성력 또는 복원력에 의해 상하로 기계적인 이동이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커버(2)는 기계적인 이동을 통해 센서(10) 외부에서 가해진 압력 변화를 스프링(1)에 전달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커버(2)의 기계적인 이동이라 함은 외부 힘에 의한 커버(2)의 압착 정도에 따라 몸체(3) 주위에 가깝도록 위치하거나 압착된 커버(2)가 몸체(3)로부터 소정 간격 벌어질 수 있도록 이동함을 의미하는 것이다. 커버(2)의 기계적인 이동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커버(2)가 외부 힘에 의해 가압된 상태에서는 커버(2)와 고정축(6)으로 연결된 스프링(1)도 탄성력에 의해 가압되어 압축이 이루어져 몸체(3) 주위에 가깝게 되고, 센서(10)의 커버(2)에 가해진 압력 변화로 커버(2)에 가해진 압력이 느슨해지게 되면, 스프링(1)의 복원력이 발생하여 느슨해지면서 고정축(6)에 연결된 커버(2)도 몸체(3) 주위로부터 멀어지게 되는 것이다.
신호발생기(5)는 압력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시킨다. 신호발생기(5)는 내부에 저장수단을 구비하여 센서(10)의 매립된 위치를 알 수 있는 위치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예컨대 위치정보는 센서(10)의 고유식별코드가 될 수 있다. 나아가, 신호발생기(5)는 알림 신호를 생성시키는 기준을 설정할 수 있으며, 예컨대 압력감지수단이 복수 개가 설치되는 경우 각 압력감지수단에 포함된 신호전달부(7)에서 전달받은 복수의 신호를 기준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신호발생기(5)는 생성된 알림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RF 신호 등의 무선 신호로 변환해주는 모뎀(미도시)과 안테나(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안테나는 신호발생기(5)와 별도로 구비되어, 신호발생기(5)로부터 생성된 알림 신호를 지상에 설치되는감시시스템(20)으로 전송할 수도 있다. 한편, 압력감지수단은 어느 하나가 고장나거나 오동작이 발생하더라도 다른 압력감지수단에 의해 정상적인 동작이 가능하도록 가외성(redundancy)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압력감지수단이 센서(10) 내에 설치될 수 있다. 도 1에는 압력감지수단이 네 개가 설치된 구조를 도시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적어도 두 개 이상이 설치되면, 가외성을 고려할 수 있게 된다.
각 압력감지수단에는 고정축(6), 스프링(1) 및 신호전달부(7)가 각각 구비되며, 이에 대응하여 커버(2)도 각 고정축(6)에 결합되도록 그 개수에 대응하는 개수로 구비된다. 또한 각 커버(2)는 센서(10)의 외주면을 덮도록 마련되기 때문에, 각 커버(2)간에 서로 겹치지 않도록 도 1에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커버(2)가 몸체(3)의 외주면 일부 면적만을 덮도록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된 커버(2)는 고정축(6), 스프링(1) 및 신호전달부(7)가 각각 네 개씩 구비됨에 따라 고정축(6)을 센서(10) 내부에서 일정한 간격을 두고 상호 배치하게 되면, 단면상에서 보았을 때 대략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자 형상으로 배치됨에 따라, 이 고정축(6)의 위치에 대응하여 커버(2)도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고정축(6)이 대략'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자 형상으로 배치되는 예를 도 1에 도시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하고 고정축이 배치되는 형상은 당업자가 필요에 따라 어떤 형태로든 변형이 가능하며, 본 발명이 특정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커버(2)가 배치되는 위치는 몸체(3)가 구형이므로, 입체적으로는 정사면체의 각 꼭짓점 방향으로 뻗어져배치됨으로써, 각 커버(2)가 몸체(3)를 덮는 면적을 일정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는 지하(U)에 매립된 센서(10)를 장기간 구동할 수 있도록 신호전달부(7), 신호발생기(5)에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4)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를 매립하여 설치하기 전에 센서(10)가 작동하지 않도록 보호하기 위해 안전핀(8)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안전핀(8)은 센서(10)에 설치되었을 때 스프링(1)과 물리적으로 연결되어 스프링(1)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설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안전핀(8) 제거시 스프링(1)의 움직임을 제한하고 있는 부분을 해제하여 커버(2)의 압력 변화에 따라 스프링(1)의 탄성 변화가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안전핀(8)의 체결 구조는 예컨대 공지된 등록특허 10-1519801호의 소화기의 안전핀 체결구조나 공개실용신안 실1994-9440호의 안전핀 구조를 참조하여 설계될 수 있다. 예컨대 고정축(6) 외주면에 삽입되는 스프링(1)의 위치에 안전핀(8)과 연결되는 별도의 가이드(미도시)가 스프링(1)의 움직임을 제한하도록 스프링(1) 단부에 설치되고, 안전핀(8)을 제거하였을 때 가이드가 스프링(1)으로부터 분리되면서 스프링(1) 움직임의 제한을 해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의 전체적인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은 지하(U)에 매립되는 복수의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 지상에 위치하는 감시시스템(20)을 구축한 관제센터, 지상의 교통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의 구조에 대한 설명은 전술한 바와 같으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의 작동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지하(U)에 매립되는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는 예컨대 지하(U)의 상하수도관 하부나 열차(40)가 이동하는 터널 주변에 설치된다.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는 센서(10)가 매립된 위치에 공동(空洞, A)이나 지형의 물리적 변형이 발생하면, 최초 매립시 센서(10)에 가해진 압력이 줄어들게 되고, 압력이 줄어들면 센서(10) 내부에 위치한 스프링(1)의 복원력에 의해 스프링(1)과 연결된 신호전달부(7)가 전기적으로 연결됨으로써, 감지신호가 신호발생기(5)로 전달된다.
센서(10) 내부의 감지신호를 전달받은 신호발생기(5)는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의 감시시스템(20)에 전송한다. 감시시스템(20)은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로부터 알림 신호의 수신여부를 모니터 또는 경보장치 등에 의해 확인하고, 수신된 알림 신호에 포함된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지상에 설치된다. 감시시스템(20)은 각 센서(10)마다 매립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기 위해 각 센서(10)의 해당 위치 정보를 별도로 저장하여 관리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여 연동할 수 있다. 교통수단은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수신기를 구비하고, 수신기로부터 수신한 알림 신호를 모니터링하거나 수신된 알림 신호를 감시시스템(20)에 송신하기 위한 송신기를 구비하여 알림 신호를 감시시스템(20)으로 전송할 수 있는 수단으로서, 예컨대 무인 정찰기(30), 열차(40), 버스 등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교통수단은 감시시스템이 알림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거리를 고려하여, 비교적 가까운 수신 가능한 범위 내에 있는 센서(10)로부터 수신한 알림 신호를 감시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방법의 순서도이다.
먼저, 지하(U)에 매립된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 중 특정 지역에 위치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센서(10)에 압력 변화가 발생하여 싱크홀 감지가 이루어질 수 있다(S100). 즉,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는 매립된 상태에서 지반 침하 등에 의해 압력 변화가 발생하면 지상에 위치하는 감시시스템(20)에 전파로 알리기 위한 무선 RF 신호인 알림 신호를 생성하여 외부로 전송한다(S102).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센서(10)의 알림 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지상에 위치하는 감시시스템(20), 교통수단으로부터 알림신호 수신 여부를 판단한다(S104). 교통수단에서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감시시스템(20)과 연계된 통신망을 통하여 알림 신호를 전송할 수도 있다. 알림 신호 수신 여부를 주기적으로 모니터링하는 감시시스템(20)은 알림 신호를 수신하면, 알림 신호에 포함된센서(10) 위치 정보를 토대로 발생 지역을 데이터베이스를 통하여 검색하고, 지역 조사를 통해 싱크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6).
전술한 내용에 기반하여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싱크홀 발생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지역에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을 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을 통해 감지된 싱크홀 발생위험이 존재하는 부분žo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은, 구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설치되되,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 상기 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와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에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가해진 압력의 변화에 따라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부를 가져 상기 커버에 가해진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 및 상기 압력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알림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한다.
싱크홀 발생사능성이 있는 지역 또는 상기 보수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는 싱크홀 발생모니터링과 싱크홀에 의한 추가피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리설비가 설치되며, 상기 관리설비는 관리설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관리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가동체(312)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고,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가동체(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된다.
한편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한다.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고,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1-1출몰돌기(511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1접촉몸체(511)와, 상기 제1-1접촉몸체(51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1이동구(5112)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통해 상기 제1-1접촉몸체(51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중간부에 접하는 제1-2접촉몸체(512)와, 상기 제1-2접촉몸체(51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1-2이동구(5121)와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통해 상기 제1-2접촉몸체(51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단부에 접하되 제1-2출몰돌기(5131)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되는 제1-3접촉몸체(513)를 포함하는 제1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에 하방이 연동설치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접하되 내측으로 출몰되는 제2-1출몰돌기(521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1접촉몸체(521)와, 상기 제2-1접촉몸체(521)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1이동구(5212)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통해 상기 제2-1접촉몸체(521)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중간부에 접하는 제2-2접촉몸체(522)와, 상기 제2-2접촉몸체(522)에서 상부로 이동하는 제2-2이동구(5221)와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통해 상기 제2-2접촉몸체(522)와 연결되고 내측면이 상기 제2구동패널(321) 상단부에 접하되 제2-2출몰돌기(5231)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되는 제2-3접촉몸체(523)를 포함하는 제2접촉고정모듈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접촉몸체(511)가 상기 제1-1이동구(5112)를 매개로 상기 제1-2접촉몸체(51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1동작과 상기 제1-2접촉몸체(512)는 상기 제1-2이동구(5121)를 매개로 상기 제1-2출몰돌기(5131)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1-3접촉몸체(51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1-2동작을 수행한다.
아울러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2-1접촉몸체(521)가 상기 제2-1이동구(5212)를 매개로 상기 제2-2접촉몸체(522)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1동작과 상기 제2-2접촉몸체(522)는 상기 제2-2이동구(5221)를 매개로 상기 제2-2출몰돌기(5231)가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상기 제2-3접촉몸체(523)를 상부 또는 하부로 이동시키는 제2-2동작을 수행한다.
상기 제1접촉고정모듈과 상기 제2접촉고정모듈은, 상기 제1-1 내지 상기 제2-2동작을 기반으로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을 상기 하판패널부(421) 및 상기 최하판패널부(422)와 연동고정시킨다.
상기 하부파츠는 인접영역 혹은 서로 상이한 별개의 영역에 다수로 구비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각 하부파츠에 선택적으로 장착되거나, 상기 각 하부파츠들에 대응하여 각각 장착된다.
상기 하부파츠는 상부설치면에 설치되어 상하반전형으로 위치되거나, 일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거나 타측설치면에 설치되어 수평형으로 위치되고, 상기 제1-1출몰돌기(5111), 상기 제1-2출몰돌기(5131), 상기 제2-1출몰돌기(5211) 및 상기 제2-2출몰돌기(5231)는 각기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에 장착된 상태에서 냉각 기능 또는 히팅기능을 수행하여 상기 제1구동패널(311), 상기 제2구동패널(321) 및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의 주변부에 대한 온도조건이 설정되도록 한다. 이상에서 전술한 물리적 구성들의 구동방식은 모터, 엑츄에이터 등을 기반으로 전후유동, 회전이동이 이루어지며 각 구성부의 형상과 크기는 설치 현장과 구현하고자하는 자재들에 따라 다양하게 선택되어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하여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 : 본체 101 : 걸림부
102,103,202,203 : 배수공 103 : 개방부

Claims (2)

  1.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으로서,
    싱크홀 발생가능성이 있는 지역을 선정하는 단계;
    선정된 상기 지역에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을 운용하는 단계; 및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을 통해 감지된 싱크홀 발생위험이 존재하는 부분에 대한 보수작업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싱크홀 감지시스템은,
    구형의 몸체;
    상기 몸체의 외주면을 전체적으로 덮도록 설치되되, 상기 몸체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어 배치되는 커버;
    상기 몸체의 내측에 마련되어 상기 커버와 연결되되, 일측이 상기 커버에 결합되고, 타측이 상기 몸체의 내측에결합되는 고정축과, 상기 몸체의 내측에서 상기 고정축의 외주면에 배치되는 스프링 및 상기 스프링의 일측에 배치되어 상기 커버에 가해진 압력의 변화에 따라 신호발생기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신호를 전달하는 신호전달부를 가져 상기 커버에 가해진 압력 변화를 감지하는 압력감지수단; 및 상기 압력감지수단으로부터 감지된 신호를 전달받아 외부에 알리기 위한 알림 신호를 생성하며, 상기 알림 신호를 외부로 전송하는 신호발생기를 포함하며,
    싱크홀 발생사능성이 있는 지역 또는 상기 보수작업이 수행되는 지역에는 싱크홀 발생모니터링과 싱크홀에 의한 추가피해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관리설비가 설치되되,
    상기 관리설비는,
    모니터링 기능을 포함하는 하부파츠와 상기 하부파츠에 장착되는 상부파츠를 포함하되,
    상기 상부파츠는,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제1구동패널(311)과 상측의 제1연결바(331)와 하측의 제2연결바(341)를 통해 진퇴이동 가능하게 연동되는 제2구동패널(321)과,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1베이스패널(333)을 기반으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연동되는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상에 장착되는 제1촬영감시모듈(332)을 포함하는 제1유동체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제공하는 제3가동체(313)와, 상기 제1구동패널(311)에 구비되어 제2베이스패널(343)을 기반으로 상기 제3가동체(313)와 연동되는 제4가동체(323)와,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상에 장착되는 제2촬영감시모듈(342)을 포함하는 제2유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1베이스패널(333)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은 상기 제1가동체(312)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진퇴이동을 기반으로 상기 제2베이스패널(343)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은 상기 제3가동체(313)내부로 수납되어 외부화경으로부터 보호 관리되며,
    상기 상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상에서 상기 제1가동체(312)와 상기 제3가동체(313)사이로 구비되는 제1보조구동체(411)와,
    상기 제1보조구동체(4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1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1분사구동체(412)와,
    상기 제2구동패널(321)상에서 상기 제2가동체(322)와 상기 제4가동체(323)사이로 구비되는 제2보조구동체(511)와,
    상기 제2보조구동체(511)에 연동설치되며 상하둘레부와 길이방향 단부로 설정온도의 제2유체를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주변공간으로 분사하여 상기 제1촬영감시모듈(332)과 상기 제2촬영감시모듈(342)의 촬영 및 구동에 적합한 온도환경이 조성되도록 하는 제2분사구동체(512)를 포함하되,
    상기 하부파츠는,
    상기 제1구동패널(311)과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하판패널부(421)와,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설치되고 상기 하판패널부(421)가 둘레부로 회전가능하게 구비되는 최하판패널부(422)를 더 포함하되,
    상기 하판패널부(421)는,
    중앙의 중앙하판패널부(4211)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일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1구동패널(311)이 삽입장착되는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의 타측에 출몰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제2구동패널(321)이 삽입장착되는 타측하판패널부(4213)를 포함하며,
    상기 일측하판패널부(4212)와 상기 타측하판패널부(4213)는 상기 중앙하판패널부(4211)상에서 상기 진퇴이동이 대응하여 유동되는 것인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2. 삭제
KR1020210126120A 2021-09-24 2021-09-24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KR1023766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120A KR102376633B1 (ko) 2021-09-24 2021-09-24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6120A KR102376633B1 (ko) 2021-09-24 2021-09-24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76633B1 true KR102376633B1 (ko) 2022-03-23

Family

ID=809633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6120A KR102376633B1 (ko) 2021-09-24 2021-09-24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7663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706B1 (ko) * 2023-08-09 2024-05-03 김준혁 온라인 거래시스템 제공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99B1 (ko) 2015-03-31 2015-09-17 이호준 폐관침하에 의한 싱크홀 방지 공법
KR101680846B1 (ko) * 2015-06-17 2016-1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싱크홀 감지 센서, 싱크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3599B1 (ko) 2015-03-31 2015-09-17 이호준 폐관침하에 의한 싱크홀 방지 공법
KR101680846B1 (ko) * 2015-06-17 2016-12-13 한국철도기술연구원 싱크홀 감지 센서, 싱크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3706B1 (ko) * 2023-08-09 2024-05-03 김준혁 온라인 거래시스템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80846B1 (ko) 싱크홀 감지 센서, 싱크홀 감지 센서를 이용한 싱크홀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US6155292A (en) Method and a synthetic danger predicting and disaster preventing monitor system in which pipelines laid under the ground or through a structure are employed in their entirety for a synthetic danger predicting alarm sensor
KR101880472B1 (ko) LPWA(Low-Power Wide-Area) 네트워크 기반의 지하시설물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맨홀 커버
CA3028482A1 (en) Sensing device for a rock bolt
KR102376633B1 (ko) 상하수도관의 누수에 의한 싱크홀 감지시스템 운용방법
JP2021533393A (ja) 水文地質学的リスクを監視するためのシステムおよび方法
KR101662050B1 (ko) 누출 감지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누출 감지 시스템
JP5673593B2 (ja) 漏水検知方法および漏水検知装置
KR102331056B1 (ko) 지하시설물 상태 모니터링을 위한 스마트 맨홀 및 이를 이용한 스마트 맨홀 관제 시스템
KR20100042179A (ko) 맨홀 뚜껑 및 맨홀 관리 시스템
KR20110013580A (ko) 지자기센서를 이용한 옥외 주차구획 점유 검지 장치
KR102080629B1 (ko) 스마트 맨홀 뚜껑의 모뎀 설치부 방수 및 매립 구조
AU2024203061A1 (en) Monitoring system for a section or a component of a pipeline for the transport of hydrocarbons in a hazard site
KR100836215B1 (ko) 배전용 지중전선의 매설구조물
KR102562794B1 (ko) 맨홀 안전관리장치의 상부판
CA2515882A1 (en) Over flow sensor
CN216527522U (zh) 一种城市内涝监测装置
KR101704527B1 (ko) 도로 땅 꺼짐 감지장치
JP5300303B2 (ja) 損傷未然検知システム、及び傾斜検出装置
KR101587403B1 (ko) 교량 소화전 시스템
US20180051453A1 (en) Water backup prevention system
KR101904072B1 (ko) 씽크홀 감지가 가능한 수배전반 시스템
KR102567025B1 (ko) 맨홀 안전관리장치
KR20140032371A (ko) 지중 매설물 보호 및 피해 예방 시스템
CN106149758A (zh) 电缆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