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687B1 -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 Google Patents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687B1
KR101946687B1 KR1020160022515A KR20160022515A KR101946687B1 KR 101946687 B1 KR101946687 B1 KR 101946687B1 KR 1020160022515 A KR1020160022515 A KR 1020160022515A KR 20160022515 A KR20160022515 A KR 20160022515A KR 101946687 B1 KR101946687 B1 KR 10194668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container
case
holder
holders
carbonated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22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226A (ko
Inventor
윤상만
김호수
박영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60022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6687B1/ko
Publication of KR201701002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2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68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68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2/00Friction-grip releasable fastenings
    • F16B2/02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 F16B2/06Clamps, i.e. with gripping action effected by positive means other than the inherent resistance to deformation of the material of the fastening external, i.e. with contracting action
    • B01F3/04787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00Details of other kinds or types of 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 B65D25/20External fit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313/00Connecting or faste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기에 음료용기를 장착할 때 음료용기의 넥크(neck)를 단단히 고정하여 탄산가스의 주입 시에 음료용기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는, 탄산수 제조기에 메인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음료용기의 상단부가 인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양측에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설치되어, 음료용기의 상단부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홀더와;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가 메인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홀더에 측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Container Clamp Apparatus for Carbonated Water Machine}
본 발명은 탄산수 제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탄산수 제조기에 음료용기를 장착할 때 편리하게 음료용기의 넥크(neck)를 단단히 고정하여 탄산가스의 주입 시에 음료용기가 이탈되지 않고 안정된 고정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에 관한 것이다.
근래 들어 탄산수의 효능이 널리 알려지면서, 물이 담긴 용기에 탄산가스를 주입하는 방식의 탄산수 제조장치가 여러 기업에 의하여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탄산수 제조장치는, 탄산가스가 압축 저장되는 탄산가스 압력용기로부터 용기 내에 탄산가스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탄산수를 제조하게 된다. 특히 탄산수는 고압으로서 음료의 주입시 용기입구의 밀폐 및 고정이 요구된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4-0068952호에는 사용자가 상기 병을 직립 위치를 향해 이동시킬 때 상기 병을 소다 기계(탄산수 제조기)에 부착시키기 위한 갈퀴 조립체(prong assembly), 및 탄산가스를 주입 중에 상기 병을 탄산수 제조기에 직립 자세로 고정시키기 위한 록킹 기구를 구비한 클램프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클램프장치는 병을 고정하기 위한 갈퀴 조립체의 구조가 복잡하고, 갈퀴가 병이나 기타 다른 물체와 충돌했을 때 파손될 위험이 높은 문제가 있다.
공개특허 제10-2014-0068952호(2014.06.09. 공개) 공개특허 제10-2015-0145555호(2015.12.30. 공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를 단순화할 수 있으며, 파손이나 고장의 위험이 적고, 편리하게 음료용기(병)의 확실한 클램핑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는, 탄산수 제조기에 메인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음료용기의 상단부가 인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양측에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설치되어, 음료용기의 상단부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홀더와; 상기 케이스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가 메인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홀더에 측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작동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한 형태에 따른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는, 후방부 상단에 탄산수 제조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회전축이 형성되고, 음료용기의 상단부가 인입되는 개구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양측에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설치되며, 내측면은 음료용기의 상단부와 연접하는 원호형태를 가지고, 외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음료용기의 상단부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홀더와; 상기 케이스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부의 간격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U자형태로 이루어져 양측부 내측면이 상기 한 쌍의 홀더의 외측면과 각각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홀더의 외면을 가압하는 U자형의 가압부재와; 전단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후단부에 전방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탄산수 제조기에 후방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동부재와; 상기 케이스에 대해 한 쌍의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거나 한 쌍의 홀더끼리 서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홀더에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한 쌍의 홀더가 벌어진 상태가 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내측의 개구부로 삽입된 음료용기의 상단부를 파지하고 고정 해제하는 구성부품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으며, 작동메커니즘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케이스 내측에 구성된 한 쌍의 홀더가 음료용기 상단부 양측면을 단단히 감싸쥐면서 고정할 수 있으므로 안정적인 지지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의 케이스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의 주요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에 음료용기가 고정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에 음료용기가 고정되는 상태를 나타낸 측면에서 본 종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내기 위하여 일부 구성을 제거하여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의 작동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는 탄산수 제조기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스(10)와, 상기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되어 음료용기의 상단부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홀더(20), 홀더(20)를 좌우로 이동시키는 홀더작동유닛을 구성하는 가압부재(30)와 연동부재(40), 상기 한 쌍의 홀더(20)에 탄성력을 가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10)는 대략 육면체의 박스 형태로 이루어지는 상부 케이스(11)와,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케이스(12)로 이루어진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와 하부 케이스(12)의 중앙에는 음료용기의 상단부(이하 '넥크부'라 하며, 이해를 돕기 위해 참조부호로 'N'을 병기하여 설명한다)가 하측에서부터 삽입되는 원형의 개구부(13 ; 13a, 13b)가 상하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개구부(13)의 상측에는 탄산가스를 주입하기 위한 탄산가스 주입기가 접속되는데, 상기 탄산가스 주입기의 주입관(I)은 상기 개구부(13)를 통해 하측으로 연장되어 상기 개구부(13)에 삽입되는 음료용기의 넥크부(N)의 상단부를 통해 음료용기 내측으로 삽입된다.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양측면 후방부 상단에는 탄산수 제조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회전축(14)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음료용기의 넥크부(N)가 상기 개구부(13)에 삽입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음료용기를 후방으로 젖히거나 전방으로 드는 동작을 취하면 상부 케이스(11) 및 이에 결합된 하부 케이스(12)가 메인회전축(14)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하게 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는 상부면이 개방된 얇은 박스 형태로 되어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상부 케이스(11)의 하부면에 결합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중앙부에 형성된 개구부(13b)의 양측부에 상기 한 쌍의 홀더(20)가 측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개구부(13b)의 전방측에는 상기 탄성부재 중 전방 스프링(51)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마운트(16)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고, 개구부(13b)의 후방부에 상기 탄성부재 중 후방 스프링(52)을 설치하기 위한 스프링가이드(17)가 상측으로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내측 후방에는 상기 홀더(20)의 외측면과 연접하도록 가압부재(30)가 설치된다.
상기 한 쌍의 홀더(20)는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개구부(13b)의 좌우 양측에 설치되어 상기 가압부재(30)에 의해 가압되면서 개구부(13b)로 삽입된 음료용기의 넥크부(N)를 단단히 파지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 각각의 홀더(20)는 내측면이 음료용기의 넥크부(N)와 연접하는 원호형태를 가지고, 외측면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외측을 향해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된 구조를 갖는다. 상기 홀더(20)의 외측면에는 상기 가압부재(30)의 내측면과 연접하는 'ㄱ' 단면 형태의 단차부(21)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홀더(20)는 상기 탄성부재에 의해 탄성력을 부여받아 가압부재(30)에 의한 가압력이 가해지지 않으면 탄성부재에 의해 벌어진 상태를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상기 탄성부재는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스프링마운트(16)의 양측에 설치되어 하부 케이스(12)에 대해 홀더(20)의 전단부를 지지하는 전방 스프링(51)과, 상기 하부 케이스(12)의 스프링가이드(17) 내측에 설치되며 양단이 각각의 홀더(20)의 후방부에 연결되어 홀더(20) 끼리 탄성력을 가하는 후방 스프링(52)을 포함한다.
상기 가압부재(30)는 상기 케이스(10)의 내측, 구체적으로는 하부 케이스(12)의 내측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부의 간격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U자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가압부재(30)의 양측부 내측면은 상기 한 쌍의 홀더(20)의 외측면과 각각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40)에 의해 케이스(10)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홀더(20)의 외면을 가압하게 된다.
상기 홀더(20)의 외측면에 형성된 단차부(21)와 접촉하는 가압부재(30)의 양측부 내측면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L'형 단면의 단차홈이 형성된다. 상기 단차홈(31)의 바닥면의 높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되어 상기 가압부재(30)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홀더(20)를 내측으로 가압할 때 홀더(20)가 단차홈(31)에 의해 상측으로도 일정 높이 이동할 수 있게 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음료용기의 넥크부(N) 상단이 상기 케이스(10)의 개구부(13) 상측에 설치되는 탄산가스 주입기의 실링재와 밀착되면서 실링을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상기 가압부재(30)는 후단부가 하부 케이스(12)의 외측으로 돌출되게 설치되어, 상기 연동부재(40)의 전단부와 연결된다. 상기 연동부재(40)는 브라켓 형태로 되어, 전단부가 상기 가압부재(30)의 후단부에 전방힌지축(41)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탄산수 제조기에 후방힌지축(4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된다.
상기 연동부재(40)는 케이스(10)에 음료용기가 장착되지 않았을 때 케이스(10)와 소정의 각도를 이루게 되며, 케이스(10)가 음료용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가압부재(30)에 대해 회전하면서 가압부재(30)를 케이스(10)의 전방으로 밀어내는 작용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음료용기 클램프장치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음료용기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 케이스(10)는 도 7 및 도 8의 (A)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지면(地面)에 수평한 면에 대해 일정 각도로 경사진 상태이다. 이 상태에서 케이스(10)의 개구부(13)의 하측에서부터 음료용기의 넥크부(N)를 삽입한다. 이 때 도 8에 도시한 것과 같이 케이스(10)의 내측에 설치된 한 쌍의 홀더(20)는 음료용기의 넥크부(N)에 형성되어 있는 링 형태의 리브(R)의 바로 하측에 위치한다.
이어서 사용자가 음료용기를 뒤쪽으로 젖히면, 도 7 및 도 8의 (B)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케이스(10)가 메인회전축(14)을 중심으로 하측으로 회전하게 된다. 이 때, 연동부재(40)가 회전하면서 가압부재(30)를 전방으로 밀어내게 된다.
상기 가압부재(30)가 하부 케이스(12) 내측에서 전방으로 슬라이딩함에 따라 도 8 및 도 9의 (B) 도면에 도시한 것과 같이 가압부재(30)의 양측부 내측면이 좌우 양측의 홀더(20)를 내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홀더(20)가 음료용기의 넥크부(N) 양측을 단단히 파지하여 고정하게 된다. 이 때 상기 가압부재(30) 양측의 단차홈(31)은 그 바닥면의 높이가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기 때문에 가압부재(30)가 홀더(20)의 외측면을 파고들면서 가압할 때 홀더(20)가 내측으로 오므려짐과 동시에 상측으로도 이동하여 넥크부(N)의 리브(R)를 상측으로 들어올리게 된다. 이에 따라 음료용기가 상측으로 일정 높이 상승하게 되고, 넥크부(N)의 상단 외주연부가 케이스(10)의 개구부(13) 상측에 접촉된 탄산가스 주입기의 실링재(미도시)와 밀착되면서 기밀이 유지될 수 있게 된다.
상술한 것과 같은 과정을 통해서 음료용기의 넥크부(N)가 홀더(20)에 의해 고정되면, 탄산가스 주입기의 주입관(I)을 통해 음료용기 내측으로 탄산가스가 주입되어 탄산수가 만들어진다.
탄산수를 만드는 과정이 완료된 후, 사용자가 음료용기를 분리하기 위하여 음료용기를 전방으로 당겨 회전시키면, 케이스(10)가 메인회전축(14)을 중심으로 이전과는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가압부재(30)는 케이스(10)의 후방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이에 따라 홀더(20)를 가압하는 힘이 제거되고, 홀더(20)는 전방 스프링(51) 및 후방 스프링(52)의 탄성력에 의해 벌어져서 초기 상태로 복귀한다.
상기 홀더(20)가 벌어지게 되면 음료용기의 넥크부(N)가 자유로운 상태가 되므로 사용자가 음료용기를 하측으로 이동시키면 음료용기의 넥크부(N)가 케이스(10)의 개구부(13)에서 빠져 나올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는 케이스(10)를 회전시키는 동작에 의해 연동부재(40)와 가압부재(30) 및 홀더(20)가 연동하여 음료용기의 넥크부(N)를 파지하거나 고정 해제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기재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I : 주입관 N : 넥크부
R : 리브 10 : 케이스
11 : 상부 케이스 12 : 하부 케이스
13 : 개구부 14 : 메인회전축
20 : 홀더 21 : 단차부
30 : 가압부재 31 : 단차홈
40 : 연동부재 41 : 전방힌지축
42 : 후방힌지축 51 : 전방 스프링
52 : 후방 스프링

Claims (10)

  1. 메인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음료용기의 상단부가 인입되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양측에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음료용기의 상단부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홀더; 및
    상기 케이스가 메인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각각의 홀더에 측방향으로 힘을 가하여 홀더를 이동시키는 홀더작동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홀더작동유닛은,
    내측면이 상기 한 쌍의 홀더의 외측면과 각각 접촉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홀더의 외면을 가압하는 가압부재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대해 한 쌍의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거나 한 쌍의 홀더끼리 서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홀더작동유닛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한 쌍의 홀더가 벌어진 상태가 되게 하는 탄성부재를 더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U자형태이며, 상기 홀더작동유닛은 전단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후단부에 전방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탄산수 제조기에 후방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동부재를 더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는 양측부의 간격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며, 상기 각각의 홀더의 외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된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양측부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L'형 단면의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외측면에 상기 단차홈과 대응하여 연접하는 'ㄱ'자형 단차부가 형성된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의 바닥면의 높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홀더를 내측으로 가압할 때 홀더가 단차홈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중앙에 개구부가 형성되고 후방부 상단에 메인회전축이 형성되어 있는 상부 케이스와, 상기 상부 케이스의 하부에 결합되며 중앙에 상기 개구부와 대응하는 개구부가 형성되고 내측에 상기 홀더 및 홀더작동유닛이 수용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8. 후방부 상단에 탄산수 제조기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메인회전축이 형성되고, 음료용기의 상단부가 인입되는 개구부가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어 있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의 개구부 양측에 측방향으로 이동하면서 벌어지거나 오므려지게 설치되며, 내측면은 음료용기의 상단부와 연접하는 원호형태를 가지고, 외측면은 후방에서 전방으로 외측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되어 음료용기의 상단부 외면을 파지하는 한 쌍의 홀더;
    상기 케이스에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가능하게 설치되고, 양측부의 간격이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간격이 넓어지는 U자형태로 이루어져 양측부 내측면이 상기 한 쌍의 홀더의 외측면과 각각 접촉하도록 설치되어, 상기 케이스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하면서 홀더의 외면을 가압하는 U자형의 가압부재;
    전단부가 상기 가압부재의 후단부에 전방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후단부가 탄산수 제조기에 후방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연동부재; 및
    상기 케이스에 대해 한 쌍의 홀더에 탄성력을 가하거나 한 쌍의 홀더끼리 서로 탄성력을 가하여 상기 홀더에 상기 가압부재에 의한 외력이 가해지지 않을 때 한 쌍의 홀더가 벌어진 상태가 되게 하는 탄성부재;
    를 포함하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재의 양측부 내측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L'형 단면의 단차홈이 형성되고, 상기 홀더의 외측면에 상기 단차홈과 대응하여 연접하는 'ㄱ'자형 단차부가 형성된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홈의 바닥면의 높이는 후방으로 갈수록 높아지게 되어 상기 가압부재가 전방으로 이동하여 홀더를 내측으로 가압할 때 홀더가 단차홈에 의해 상측으로 이동하는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KR1020160022515A 2016-02-25 2016-02-25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KR10194668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515A KR101946687B1 (ko) 2016-02-25 2016-02-25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2515A KR101946687B1 (ko) 2016-02-25 2016-02-25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26A KR20170100226A (ko) 2017-09-04
KR101946687B1 true KR101946687B1 (ko) 2019-02-11

Family

ID=599242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22515A KR101946687B1 (ko) 2016-02-25 2016-02-25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68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081A (en) 1992-11-19 1993-11-09 William C. Stumphauzer Process and apparatus for rapidly carbonating a liquid beverage
US7975988B2 (en) 2004-09-29 2011-07-12 Soda-Club Ltd. Device for carbonating a liquid with pressurized gas
US20140097549A1 (en) 2011-06-03 2014-04-10 Richard Hoare Carbonation Device
JP2014524351A (ja) * 2011-08-10 2014-09-22 ソーダストリーム インダストリーズ リミテッド 炭酸化装置のプロング状クランプ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60081A (en) 1992-11-19 1993-11-09 William C. Stumphauzer Process and apparatus for rapidly carbonating a liquid beverage
US7975988B2 (en) 2004-09-29 2011-07-12 Soda-Club Ltd. Device for carbonating a liquid with pressurized gas
US20140097549A1 (en) 2011-06-03 2014-04-10 Richard Hoare Carbonation Device
JP2014524351A (ja) * 2011-08-10 2014-09-22 ソーダストリーム インダストリーズ リミテッド 炭酸化装置のプロング状クラン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226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13174B2 (en) Vehicle lid device
CN109231104B (zh) 一种按压式罐头开盖装置
US9260157B2 (en) Frame adapted to a pedelec
KR100745789B1 (ko) 냉장고용 도어바스켓
KR20090077391A (ko) 냉장고의 도어 개방장치
KR101946687B1 (ko) 탄산수 제조기의 음료용기 클램프장치
US20140124638A1 (en) Container holder device
KR101264929B1 (ko) 김치냉장고의 저장용기 자동 개폐구조
SU890965A3 (ru) Аэрозольный распылительный клапан
KR20160002465U (ko) 개선된 실리콘 건
JP2007097780A (ja) 食器洗浄機
CN204454501U (zh) 红酒开瓶器
CN106585226B (zh) 一种推咀后能自锁的修正带
CN215433304U (zh) 一种钢壳电池注液夹具及电池注液设备
KR200482175Y1 (ko) 컵홀더용 커버 개폐장치
US11513291B2 (en) Optical fiber cleaving apparatus and optical fiber cleaving method
KR20090043694A (ko) 금속용기의 핸들 체결구조
JP2012224386A (ja) ボトル中栓の開閉構造
KR101644134B1 (ko) 주유구 개폐장치
KR100764304B1 (ko) 냉장고용 홈바도어의 잠금장치
US20220388827A1 (en) Corkscrew with Propping Lever and Method for the Extraction of a Cork
CN204017877U (zh) 一次性固定板及安装有该固定板的试管保存盒
KR200487648Y1 (ko) 가변 오프너
CN216469814U (zh) 一种可减小冲击力的气雾剂罐上阀盖用压头组件
EP1476064B1 (fr) Poignee amovible pour ustensile de cuisson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