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6534B1 -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및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 Google Patents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및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6534B1
KR101946534B1 KR1020170010085A KR20170010085A KR101946534B1 KR 101946534 B1 KR101946534 B1 KR 101946534B1 KR 1020170010085 A KR1020170010085 A KR 1020170010085A KR 20170010085 A KR20170010085 A KR 20170010085A KR 101946534 B1 KR101946534 B1 KR 1019465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ridge
case
accommodation space
disinfecting
steriliz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100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00420A (ko
Inventor
이성원
박민혜
이준형
유선욱
신문기
최경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하이로닉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하이로닉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하이로닉
Publication of KR201701004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004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65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65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16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chemical substances
    • A61L2/18Liquid substances or solutions comprising solids or dissolved ga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02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2/08Radiation
    • A61L2/10Ultraviolet radi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 A61L2/24Apparatus using programmed or automatic ope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7/00Ultrasound therapy
    • A61N7/0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 A61N7/022Localised ultrasound hyperthermia intracavita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2Apparatus for isolating biocidal substances from the environment
    • A61L2202/122Chambers for sterilis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10Apparatus features
    • A61L2202/14Means for controlling sterilisation processes, data processing, presentation and storage means, e.g. sensors, controllers, progr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2/00Aspects relating to 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 A61L2202/20Targets to be treated
    • A61L2202/24Medical instruments, e.g. endoscopes, catheters, sharp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pparatus For Disinfection Or Sterilis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에 관한 것으로,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상기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를 소독시키는 소독부를 포함하여, 손쉽고 간편하게 카트리지를 소독할 수 있다.

Description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및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MOUNTING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AND TREATMENT DEVICE HAVING A FUNCTION OF DISINFECTION}
본 발명은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및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에 관한 것이다.
피부 미용, 부인과 질환 치료 등 다양한 목적으로 인체에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는 시술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특히, 특허문헌1에는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되어 각종 부인과 질환 치료를 위하여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조사하는 장치가 소개되어 있다.
이러한 시술 장치에 세균 등의 미생물이 잔류될 경우, 시술 대상자들 사이 또는 시술 대상자와 시술자 사이의 감염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감염 문제를 감소시키기 위해서, 시술 장치 중 여성의 질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에 위생막을 씌워 시술을 수행하고, 시술 이후에는 상기 위생막을 제거하는 방법이 사용되고 있었으나, 이러한 방식을 적용할 경우 시술의 편의성이나 효율성이 감소시된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15-0108654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손쉽고 간편하게 카트리지를 소독할 수 있는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손쉽고 간편하게 카트리지를 소독할 수 있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는,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상기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를 소독시키는 소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소독액을 제공하는 약품 소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이 밀봉되며, 상기 소독부는, 밀봉된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압 멸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살균광을 제공하는 광 살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장비 본체;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되는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를 갖는 시술 핸드피스; 및 상기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상기 카트리지를 향해 소독액을 분사시키는 소독액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을 감지한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카트리지에 대해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장비 본체;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되는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를 갖는 시술 핸드피스; 및 상기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배기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시키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공압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공압라인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을 감지한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장비 본체;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되는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를 갖는 시술 핸드피스; 및 상기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부를 포함하되,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케이스; 및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상기 케이스 내부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을 감지한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케이스 내부로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장비 본체; 인체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카트리지를 갖는 시술 핸드피스;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부; 및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카트리지를 소독시키는 소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소독액을 제공하는 약품 소독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살균광을 제공하는 광 살균부;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이 밀봉되며, 상기 소독부는, 밀봉된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압 멸균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소독부는, 일단이 상기 장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에 상기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되면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술 핸드피스는 사용자의 손잡이로 제공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핸드피스에 탈부착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핸드피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상기 카트리지를 향해 소독액을 분사시키는 소독액 분사노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 조사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배기구가 구비된 제1 케이스;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시키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공압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공압라인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상기 제1 케이스 내부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손쉽고 간편하게 카트리지를 소독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카트리지가 거치된 상태에서 소독과정이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위생막을 사용하지 않고도 감염 문제를 감소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는 카트리지에서 발생되는 고강도 집속 초음파의 손실률의 감소, 시술시간의 단축 및 시술 편의성의 향상 등의 효과를 감염문제 해결과 동시에 구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세균 번식 등에 의한 카트리지의 마모 또는 변형 등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발췌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의 제2 거치부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들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명세서 전문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단계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예시도인 단면도 및/또는 평면도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각 구성들의 세부 크기, 형태, 두께, 곡률 등은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되거나 도식화된 것으로서, 허용 오차 등에 의해 그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속 초음파 시술 장치(1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블럭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의 주요부를 설명하기 위한 일부발췌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일실시예에서,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는 장비 본체(10), 핸드피스(40) 및 카트리지(5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장비 본체(10)는 시술자(미도시됨)에게 시술 관련 정보를 제공하고, 시술자가 장치를 동작 또는 조작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수 있다. 장비 본체(10)에는 시술 관련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미도시됨), 시술자가 장치를 동작 또는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1) 등이 장비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50)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기(2), 소독액을 저장하기 위한 소독액 탱크(3), 공압을 발생시키기 위한 컴프레셔(4) 등이 장비 본체(10)에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핸드피스(40)는 시술자의 손잡이로 활용될 수 있고, 카트리지(50)는 여성의 질 내에 삽입 가능하게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카트리지(50)는 핸드피스(40)에 탈부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핸드피스(40)는 제1 케이블(30)에 의하여 장비 본체(10)와 연결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50) 내부에 고강도 집속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트랜스듀서(미도시됨)가 구비될 수 있다. 트랜스듀서를 통해 발생된 고강도 집속 초음파는 윈도우(51)를 통해 카트리지(50) 외부로 조사되어 열적 초점을 형성할 수 있다. 카트리지(50) 내부에는 물 등의 매질이 충진될 수 있는데, 이러한 매질은 트랜스듀서에서 발생된 고강도 집속 초음파가 윈도우(51)를 거쳐 목표지점까지 잘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또한, 트랜스듀서에서 고강도 집속 초음파가 발생되면 트랜스듀서의 온도가 상승하게 되는데, 이 매질이 트랜스듀서의 과열 현상을 방지하는 일종의 냉각수단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전술한 냉각기(2)와 카트리지(50) 사이에 매질이 교환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는 소독부(60)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서 소독부(60)는 약품 소독부(61), 공압 멸균부(62), 광 살균부(63)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약품 소독부(61)는 소독액에 의하여 카트리지(50)를 소독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공압 멸균부(62)는 카트리지(50) 주변에 고압환경 또는 저압환경을 조성하여 카트리지(50)에 잔류된 미생물을 소멸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광 살균부(63)는 각종 광원을 이용하여 카트리지(50)에 잔류된 미생물을 소멸시키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일실시예에서 약품 소독부(61)는 후술될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 소독액 라인(135), 저장부(170), 제어부(180) 및 전술된 소독액 탱크(3)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공압 멸균부(62)는 후술될 배기구(160), 공압라인(165), 밀봉부재(112), 제어부(180) 및 전술된 컴프레셔(4)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에서 광 살균부(63)는 후술될 제1 살균광 조사부(140), 제1 신호라인(145) 및 제어부(180) 등을 포함하여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50) 또는 카트리지(50)와 핸드피스(40)를 거치하기 위한 제1 거치부(100)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거치부(100)는 제1 케이스(11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거치부(100)에는 제1 케이스(110) 외부에 구비되는 제2 케이스(120), 카트리지(50)가 제1 케이스(110)에 삽입되어 거치될 때 핸드피스(40)가 거치되는 핸드피스 거치대(116)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10) 내부에는 소정의 공간이 구비되며, 그 공간에 카트리지(50)가 삽입될 수 있다. 이렇게 카트리지(50)가 삽입되는 공간임을 고려하여 제1 케이스(110) 내부의 공간을 제1 수용공간(111)이라고 칭할 수 있다.
한편, 제1 케이스(110)에는 카트리지(50)의 소독을 위한 구성요소들이 구비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케이스(110)에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이 구비되고,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을 통해 제1 수용공간(111)에 위치된 카트리지(50)를 향하여 소독액이 분사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소독액으로써는 이소프로필알코올(IPA) 등 통상적인 소독용 알코올류가 활용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0)에 제1 살균광 조사부(140)가 구비되고, 제1 살균광 조사부(140)를 통해 제1 수용공간(111)에 위치된 카트리지(50)를 향하여 소정의 빛 에너지가 조사될 수 있다. 이 빛 에너지는 카트리지(50)에 잔류된 미생물을 소멸시킬 수 있는 특성을 가질 수 있으며, 소정의 미생물을 소멸시킬 수 있다면 적외선이나 자외선 등 다양한 파장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빛 에너지는 다양한 형태의 LED 소자나 기타 광원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살균광은 대략 400nm 내지 500nm 파장 범위를 가지는 블루 엘이디(LED)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400 내지 500nm의 파장을 갖는 LED 광은 살균, 오존 탐지, 표면이나 물 오염 제거, 단백질 분석, DNA스?싱, 약 개발, 광학 센스, 이미지 색조 측정, UV 경화, 광학 치료 등에 활용되고 있다. 한편, 410 nm의 파장을 갖는 LED 광의 살균 성능이 비교적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블루 LED광은 피부 염증성 병변 감소 효과가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살균광은 대략 265nm 내지 340nm 파장 범위를 갖는 자외선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0)에 기체가 유입되거나 배출될 수 있는 배기구(160)가 구비되어 제1 케이스(110) 내부에 고압 환경을 조성하거나 음압 환경을 조성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10) 내부의 압력은 멸균을 위하여 약 1~3kgf/㎠에 도달할 수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1) 내부에는 고압환경과 함께 약 100℃ 정도의 증기가 함께 제공되어 멸균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전술된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 제1 살균광 조사부(140) 및 배기구(160) 중 선택되는 복수의 수단이 제1 케이스(110)에 구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2가지 이상의 방식으로 카트리지(50)에 잔류된 미생물이 소멸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에는 소독액 라인(135)이 결합되어 소독액이 분사노즐로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소독액 라인(135)은 저장부(170)에 일단이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독액 라인(135)은 후술될 제2 케이블(190)을 통해 장비 본체(10)에 구비된 소독액 탱크(3)와 연결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살균광 조사부(140)에 전원 또는 제어신호가 인가될 수 있도록 제1 신호라인(145)이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배기구(160)에는 기체의 유입 및 배출을 위한 공압라인(165)이 연결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소독액의 분사 여부, 살균광의 조사 여부, 배기구(160)를 통한 기체의 유출입 여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부(180)가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어부(180)는 소독액 라인(135)에 공급될 소독액이 저장되는 저장부(170)를 제어하거나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의 개폐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전술한 제1 신호라인(145)과 연결되어 제1 살균광 조사부(140)가 작동되도록 하는 전원을 인가 또는 차단하거나, 제1 살균광 조사부(140)의 작동 여부 및/또는 살균광의 강도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제1 신호라인(145)에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80)는 배기구(160)의 개폐여부를 제어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10) 내부에 밀봉부재(112)가 구비될 수 있다. 이 밀봉부재(112)는 카트리지(50)가 제1 케이스(110)의 제1 수용공간(111) 내부로 삽입되면 제1 수용공간(111)을 밀봉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밀봉부재(112)는 적당한 탄성을 가지는 유연성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50)가 삽입되면 밀봉부재(112)의 모양이 변형되면서 카트리지(50)의 외면에 밀착됨으로써 밀봉부재(112) - 카트리지(50)의 외면 - 제1 케이스(110)의 내면으로 둘러싸인 영역이 밀봉될 수 있다. 이렇게 제1 수용공간(111)이 밀봉된 상태에서 소독액이 분사되면 소독액의 누출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제1 수용공간(111)이 밀봉된 상태에서 배기구(160)를 통해 기체가 주입되면 제1 수용공간(111) 내부에 고압 환경이 조성될 수 있다.
한편, 제1 수용공간(111)으로 분사된 소독액에 의한 카트리지(50) 소독과정이 완료된 이후에는 제1 수용공간(111) 내부에서 소독액을 제거할 필요가 발생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전술된 배기구(160)를 활용하여 제1 케이스(110) 내부의 소독액이 제1 케이스(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제1 케이스(110)로부터 제거된 소독액이 전술한 공압라인(165)을 따라 장비 본체(10)로 이동되어 수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공압라인(165) 및 배기구(160)를 통해 제1 케이스(110) 내부를 가압하기 위한 기체가 이동되어야 하는 실시예에서는 공압라인(165)의 일단에 분배기 등의 수단이 결합되어 공압라인(165)으로 소독액이 이동되거나 가압용 기체가 이동되도록 하는 기능을 선택적으로 구현하도록 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도시되지 않은 별도의 수단을 통해서 사용된 소독액이 제1 케이스(110)로부터 제거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10) 외부에 제2 케이스(120)가 구비되고, 전술한 소독액 라인(135), 제1 신호라인(145), 공압라인(165), 제어부(180), 저장부(170) 등이 제1 케이스(110)와 제2 케이스(120) 사이의 공간에 구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케이스(110)는 각종 라인 및 부품을 보호함과 동시에 제1 거치부(100)가 수려한 외관을 연출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2 케이스(120)의 외부에는 제2 케이블(190)이 연결되어 전술한 장비 본체(10)와 제1 거치부(100)를 물리적 및 기능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기체의 운반, 전원 또는 제어신호의 인가, 소독액의 운반 등을 위한 라인들이 제2 케이블(19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전술한 장비 본체(10)에 제어부(180)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전술한 제어기(1)가 제어부(180)의 역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1 케이스(110)에 센서(150)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센서(150)는 제1 수용공간(111)에 카트리지(50)가 삽입된 상태인지를 감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센서(150)에서 카트리지(50)의 삽입을 감지하면 제2 신호라인(155)을 통해서 제어부(180)로 감지결과를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카트리지(50)가 삽입된 상태임을 의미하는 신호를 제어부(180)가 수신하면, 제어부(180)는 소독액이 분사되도록 하거나,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하거나, 배기구(160)를 통해서 기체가 유입되도록 하는 명령 중 적어도 하나를 인가하여 카트리지(50)의 소독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전술한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은 제1 케이스(110)의 둘레를 따라 방사상으로 배치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은 카트리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복수 개가 구비될 수도 있다. 이때,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 등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지 않는 경우에는 카트리지(50)가 회전되도록 하거나, 제1 케이스(110) 자체가 회전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 등이 방사상으로 배치되지 않더라도 카트리지(50) 전체 표면이 고르게 소독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제1 살균광 조사부(140), 배기구(160), 센서(150) 등도 제1 소독액 분사노즐(130)의 경우와 유사하게 방사상으로 배치되거나 카트리지(5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편, 도 1 내지 도 4에 예시되지는 않았지만, 카트리지가 핸드피스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카트리지만 제1 수용공간에 삽입된 상태로 소독과정이 수행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의 작동원리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 1000″)는, 카트리지의 소독기능 구현을 위하여 날개부(120-1, 120-2)가 구비되는 점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일실시예에서, 카트리지를 덮는 형태로 날개부(120-1)가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에 예시된 바와 같이 카트리지가 핸드피스(40)에 결합된 상태로 핸드피스(40)가 핸드피스 거치대(116)에 거치되면 카트리지가 위치하는 영역의 상방에 날개부(120-1)가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도 6a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1 램프(140-1)가 살균광을 발생시켜 카트리지를 소독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날개부(120-1)는 카트리지를 감싸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날개부(120-1) 중 카트리지를 향하는 면을 제1 면이라 정의하면, 제1 램프(140-1)는 날개부(120-1)의 제1 면에 적어도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날개부(120-1)는 장비 본체에 결합될 수 있고, 더 나아가, 날개부(120-1)의 일단이 장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 6b예 예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20-1)의 타단이 상승하거나 하강할 수 있으며, 그 결과 카트리지를 거치하는 과정에서 날개부(120-1)로 인하여 방해받지 않도록 하면서도 소독과정 진행시 살균광이 시술자나 피시술자를 향해 조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날개부(120-1)의 타단이 상승한 상태에서는 살균광이 조사되지 않고, 날개부(120-1)의 타단이 하강한 상태에서만 살균광이 조사되도록 할 수도 있으며, 이러한 제어는 장비 본체(10)에 구비되는 제어기 등에서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비 본체(10)에서 카트리지를 향하는 방향으로 제2 램프(140-2)가 구비될 수도 있으며, 이에 따라 살균광이 카트리지에 도달하지 못하는 음영 영역이 감소될 수 있다.
또 다른 한편으로는, 도 7에 예시된 바와 같이 날개부(120-2)가 카트리지 뿐만 아니라 핸드피스의 상부도 덮는 형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장비 본체(10)에 결합되는 날개부(120-2)의 일단에 제3 램프(140-3)가 구비되도록 할 수도 있다. 이때, 제3 램프(140-3)는 도시된 바와 같이 막대 형상으로 날개부(120-2)의 길이 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제3 램프(140-3) 복수 개가 날개부(120-2)의 일단에 배치될 수도 있으며, 이에 한정하지 않는다.
그 밖에도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해서 설명한 다양한 기술적 사상들이 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20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의 제2 거치부(200)를 개략적으로 예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2000)는, 제1 핸드피스(40-1)나 제2 핸드피스(40-2)에서 분리된 카트리지(50, 50-1)가 제2 거치부(200)에 삽입되어 소독될 수 있는 점, 장비 본체의 일부가 인입되고 그 내부에 제2 거치부(200) 및 소독부가 구현될 수 있다는 점 등에서 전술한 실시예들과 차이가 있다.
일실시예에서, 장비 본체(10-1)는 제2 거치부(200)를 포함한다. 제2 거치부(200)는 제2 수용공간(211)을 형성하는 보관케이스(21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수용공간(2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트리지(50, 50-1)가 삽입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수용공간(211)에 삽입되는 카트리지는 인체 삽입을 위하여 바 형상으로 이루어진 카트리지(50), 인체에 삽입되지는 않지만 피부 등에 접촉되는 다양한 형상의 카트리지(50-1)일 수 있다.
한편,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50)는 제1 핸드피스(40-1)에 결합되어 여성의 질 등에 삽입되어 부인과 질환 치료 또는 질 수축 시술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일반 카트리지(50-1)는 제2 핸드피스(40-2)에 결합되어 지방분해, 페이스 리프팅, 스킨 타이트닝 등의 시술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카트리지(50, 50-1)가 핸드피스(40-1, 40-2)로부터 분리된 상태로 제2 거치부(200)에 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핸드피스(40-1) 및 제2 핸드피스(40-2)를 장비 본체(10-1)에 거치할 수 있도록 제3 거치부(300)가 더 구비될 수도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거치부(200)에는 소독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소독부는 제2 소독액 분사노즐(230) 및 제2 살균광 조사부(24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술한 공압 멸균부(도 2의 62)도 소독부로써 제2 거치부(200)에 구비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살균광 조사부(240)는 제2 수용공간(211)을 향하여 살균광을 조사하는 UV램프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제2 수용공간(211)의 공간 효율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별도의 하우징(241)이 보관케이스(210)에 구비되어 제2 살균광 조사부(240)를 내포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서, 제2 거치부(200)를 차폐하기 위한 덮개(212)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이 덮개(212)는 도 8에 예시된 바와 같이 장비 본체(10-1)에 경첩 결합되어 제2 거치부(200)를 개폐할 수 있다. 또한, 덮개(212)가 투명 또는 반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져 제2 거치부(200) 내부가 손쉽게 확인되도록 할 수도 있다.
도 8 등에서는 제2 거치부(200)가 장비 본체(10-1)의 내부로 인입된 경우가 예시되어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2 거치부(200)가 장비 본체(10-1) 외부로 돌출되게 구비될 수도 있고, 서랍장 등과 같이 제2 거치부(200)가 장비 본체(10-1) 내부로 삽입되거나 도출되도록 할 수도 있다.
지금까지 본 발명에 따른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1000, 1000′, 1000″, 2000)에 관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는 여러 가지 실시 변형이 가능함은 자명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어서는 안될 것이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전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그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0, 1000′, 1000″, 2000 :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0, 10-1 : 장비 본체
1 : 제어기
2 : 냉각기
3 : 소독액 탱크
4 : 컴프레셔
30 : 제1 케이블
30-1 : 연결케이블
40 : 핸드피스
40-1 : 제1 핸드피스
40-2 : 제2 핸드피스
50, 50-1 : 카트리지
51 : 윈도우
60 : 소독부
61 : 약품 소독부
62 : 공압 멸균부
63 : 광 살균부
100 : 제1 거치부
110 : 제1 케이스
111 : 제1 수용공간
112 : 밀봉부재
116 : 핸드피스 거치대
120 : 제2 케이스
120-1 : 날개부
120-2 : 날개부
130 : 제1 소독액 분사노즐
135 : 소독액 라인
140 : 제1 살균광 조사부
140-1 : 제1 램프
140-2 : 제2 램프
140-3 : 제3 램프
145 : 제1 신호라인
150 : 센서
155 : 제2 신호라인
160 : 배기구
165 : 공압라인
170 : 저장부
180 : 제어부
190 : 제2 케이블
200 : 제2 거치부
210 : 보관케이스
211 : 제2 수용공간
212 : 덮개
230 : 제2 소독액 분사노즐
240 : 제2 살균광 조사부
241 : 하우징
300 : 제3 거치부

Claims (20)

  1.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를 갖는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소독시키는 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 가능한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소독부를 보호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되는 핸드피스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소독액을 제공하는 약품 소독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이 밀봉되며,
    상기 소독부는, 밀봉된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압 멸균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살균광을 제공하는 광 살균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5. 장비 본체;
    여성의 질 내에 삽입되는 인체 삽입형 카트리지를 갖는 시술 핸드피스;
    상기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에 구비되어 상기 카트리지를 소독시키는 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케이스;
    상기 제1 케이스의 외부에 형성되며 상기 제1 케이스와 사이에 배치되는 상기 소독부를 보호하는 제2 케이스; 및
    상기 제1 케이스 및 상기 제2 케이스의 일단에 결합되며 상기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되는 핸드피스 거치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소독액을 제공하는 약품 소독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밀봉된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압 멸균부를 포함하고,
    상기 거치부는,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배기구가 구비된 케이스;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시키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공압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공압라인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내부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 및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을 감지한 상기 센서가 송신하는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카트리지에 대한 소독을 진행 하는 명령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9.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살균광을 제공하는 광 살균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0. 삭제
  11. 장비 본체;
    인체에 초음파를 조사하는 카트리지를 갖는 시술 핸드피스;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되는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거치부; 및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카트리지를 소독시키는 소독부;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는,
    일단이 상기 장비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날개부; 및
    상기 날개부에서 상기 거치부 방향으로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 조사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소독부는,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소독액을 제공하는 약품 소독부; 및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살균광을 제공하는 광 살균부; 중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공간이 밀봉되며,
    상기 소독부는, 밀봉된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를 주입하여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을 증가시키는 공압 멸균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4. 삭제
  15.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에 상기 시술 핸드피스가 거치되면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6.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시술 핸드피스는 사용자의 손잡이로 제공되는 핸드피스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핸드피스에 탈부착되며,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핸드피스에서 분리되어 상기 수용공간으로 삽입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7.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에 위치되는 상기 카트리지를 향해 소독액을 분사시키는 소독액 분사노즐을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8.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는 제1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소독부는, 상기 제1 케이스에 구비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에 살균광을 조사하는 살균광 조사부를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19.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거치부는,
    상기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배기구가 구비된 제1 케이스;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수용공간을 밀봉시키는 밀봉부재; 및
    상기 배기구와 연결되는 공압라인;을 포함하며,
    상기 카트리지가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삽입되면 상기 공압라인 및 상기 배기구를 통해 상기 수용공간 내부로 기체가 주입되어 상기 수용공간 내부의 압력이 증가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20. 청구항 17 내지 청구항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케이스 내부로의 상기 카트리지의 삽입여부를 감지하는 센서를 더 포함하는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KR1020170010085A 2016-02-24 2017-01-20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및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KR1019465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21857 2016-02-24
KR20160021857 2016-02-2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420A KR20170100420A (ko) 2017-09-04
KR101946534B1 true KR101946534B1 (ko) 2019-02-12

Family

ID=59924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10085A KR101946534B1 (ko) 2016-02-24 2017-01-20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및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65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1718B1 (ko) * 2018-08-31 2020-09-03 김동수 카트리지 보관용 홀더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hifu 장치
WO2020075906A1 (ko) * 2018-10-11 2020-04-16 주식회사 메딕콘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 및 카트리지
KR102008869B1 (ko) * 2018-10-11 2019-08-08 (주)메딕콘 휴대용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
KR102155114B1 (ko) * 2019-06-14 2020-09-11 (주)메딕콘 휴대용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
KR102262266B1 (ko) * 2019-07-30 2021-06-08 (주)메딕콘 Hifu 스킨케어 디바이스용 카트리지 내에 설치되는 초음파 트랜스듀서 이송 메커니즘 장치
KR102433662B1 (ko) * 2019-12-06 2022-08-18 (주)메딕콘 초음파 발생 장치
KR102505552B1 (ko) * 2020-08-20 2023-03-03 주식회사 이루다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및 이에 이용되는 핸드피스 거치대
CN112057652B (zh) * 2020-09-19 2022-12-09 宁夏福长惠宁医药科技发展有限公司 一种农业生产用于玉米种子处理的消毒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71565B2 (ja) * 1992-12-28 1995-08-02 満美 安藤 ハンドピース滅菌装置
US5667753A (en) * 1994-04-28 1997-09-16 Advanced Sterilization Products Vapor sterilization using inorganic hydrogen peroxide complexes
KR20070067044A (ko) * 2007-06-05 2007-06-27 씨알텔레콤주식회사 치과병원용 핸드피스 초음파살균기
KR20100053028A (ko) * 2008-11-12 2010-05-20 유화정 자외선 살균 장치
KR101020518B1 (ko) * 2008-11-24 2011-03-09 최은경 의료용 기구의 멸균 및 건조 장치
KR20110085346A (ko) * 2010-01-20 2011-07-27 엠엔엠(주) 핸드피스 소독장치 및 소독방법
KR101620159B1 (ko) 2014-03-18 2016-05-12 주식회사 하이로닉 부인과 질환 치료 또는 질 수축 시술을 위한 고강도 집속 초음파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00420A (ko) 2017-09-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6534B1 (ko) 소독 기능을 갖는 거치 장치 및 소독 기능을 갖는 시술 장치
US2022040991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Treatment of Wounds and Skin Medical Conditions at a Predetermined Skin Area
US11000607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the sterilization of endoscopes
JP6907244B2 (ja) 細胞噴霧のためのモジュール式装置
KR101103758B1 (ko) 내시경 멸균장치 및 멸균방법
CN1297361A (zh) 消毒物件的装置和方法
KR20190080220A (ko) 초음파 프로브 자동 살균장치
WO2020123679A1 (en) Endoscopic instrument and disinfection system
US11529181B2 (en) Plasma skin care device
KR20220069257A (ko) 초음파 프로브 소독 장치
JP2021176561A (ja) 組織照射装置、ならびにそれを用いた方法およびキット
KR102151718B1 (ko) 카트리지 보관용 홀더 및 살균 기능을 구비하는 hifu 장치
ES2684350T3 (es) Aparato de protección y método para lavar instrumentos médicos endoscópicos, tales como sondas transesofágicas o similares
CN115551556A (zh) 远程根除病原体
RU2358781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льтразвуковой обработки небных миндалин при консервативном лечении хронического тонзиллита
US20060229597A1 (en) Ultrasound medical device and related methods of use
JP2019136005A (ja) 無菌サンプリング流路キット及びそれを用いた細胞培養装置
CN101227930B (zh) 冷消毒器
KR102346073B1 (ko) 연성 내시경 저온 플라즈마 멸균시스템
JP3850394B2 (ja) 内視鏡システム
RU101920U1 (ru) Стерилизатор
CN109475649B (zh) 现场灭菌器和血管连接器套件
CN201350127Y (zh) 带消毒装置的耳鼻喉综合治疗台
JP2004283475A (ja) 送気システム
CN219662339U (zh) 一种医用肠窥镜护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