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916B1 -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 Google Patents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916B1
KR101945916B1 KR1020180103802A KR20180103802A KR101945916B1 KR 101945916 B1 KR101945916 B1 KR 101945916B1 KR 1020180103802 A KR1020180103802 A KR 1020180103802A KR 20180103802 A KR20180103802 A KR 20180103802A KR 101945916 B1 KR101945916 B1 KR 1019459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greenhouse
infrared ray
sunlight
infrar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03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춘
이도익
Original Assignee
이도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도익 filed Critical 이도익
Priority to KR10201801038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9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9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9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01N21/35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 G01N21/3504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using infrared light for analysing gases, e.g. multi-gas analysi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GCAPACITORS;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OF THE ELECTROLYTIC TYPE
    • H01G9/00Electrolytic capacitors, rectifiers, detectors, switching devices, light-sensitive or temperature-sensitive devices; Processes of their manufacture
    • H01G9/20Light-sensitive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3Energy storage mean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a capacitor integrated with a PV cell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54Optical elements directly associated or integrated with the PV cell, e.g. light-reflecting means or light-concentrat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2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 H02S20/22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 H02S20/23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an immovable object specially adapted for buildings specially adapted for roof structures
    • H02S20/25Roof tile elemen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40/00Components or accessories in combination with PV modul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2S10/00 - H02S30/00
    • H02S40/30Electrical components
    • H02S40/38Energy storage means, e.g. batterie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PV modu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10/00Integration of renewable energy sources in buildings
    • Y02B10/10Photovoltaic [PV]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2PV systems with concentrato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70/00Other energy conversion or management systems reducing GHG emissions
    • Y02E70/30Systems combining energy storage with energy generation of non-fossil origi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Greenho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은 복수개의 경사면이 결합되어 지붕을 형성하며, 태양광이 투과되어 양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이중유리로 감싸지는 온실과, 상기 이중유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온실의 외벽을 감싸며 태양광을 투과 및 흡수하는 염료가 흡착되어 형성되는 제 1태양전지와, 직사광이 유입되는 상기 지붕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이중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모듈과, 상기 제 1태양전지와 상기 태양광모듈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Solar Energy Generation Greenhouse Using Solar Cell}
본 발명은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온실을 형성하는 이중유리 사이에 종류가 다른 태양전지가 구비되어 효과적으로 태양광 발전을 할 수 있는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에 관한 것이다.
온실(greenhouse)은 식물(꽃이나 채소, 과일 등)을 재배하기 위하여 투명한 이중유리나 비밀로 구성되어 외부로부터 빛을 투과시키는 전용건물로서, 식물을 날씨나 온도 또는 해충의 영향으로부터 보호하는 것이며, 식물이 순조롭고도 빠르게 성장 가능하도록 한다. 특히, 열대 또는 한대 지역에서는 온실이 제공하는 적당한 온도 및 습도 환경에 의한 식물의 성장촉진 효과가 더욱 현저하다.
이러한 온실은 일반적으로, 빛을 투과할 수 있는 지붕을 구비한다. 태양광은 식물이 광합성 작용을 행할 수 있도록 지붕을 통하여 식물에 조사된다. 나아가, 온실은 온도나 습도 등을 제어하는 공조설비를 몇 개 정도 갖추고, 온실 내의 온도 및 습도가 식물의 성장에 최적상태로 되도록 제어한다. 또한, 스프링클러를 갖추어, 물을 식물에 정기적으로 살포한다.
이들 장치가 작동함에 따라, 온실은 대량의 전력을 소비하게 된다. 그 결과, 온실을 사용하고 있는 사용자(농민 등)에게 전기세는 큰 부담이 된다. 여기서, 온실에 있어서 빛이 가장 강하고, 일사량이 가장 충분한 장소(일반적으로는 지붕)에 투광성 박막 태양전지를 부착하여, 식물에 대한 광조사에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전력을 공급하는 기술이 제안되었다.
그러나, 박막 태양전지는 투광성을 갖추고 있지만 여전히 적잖이 태양광의 차폐 또는 흡수를 초래하며, 태양광이 충분하지 않은 경우, 식물의 성장에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 10-1094972호(2011년 12월 9일 등록)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 10-1090416호(2001년 11월 30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태양광의 유입량이 많은 남향에는 실리콘 태양전지를 사용하고, 온실의 외벽에는 투과되는 파장과 투과율을 선택할 수 있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사용하여 식물의 성장에 필요한 빛을 적절한 세기로 공급함과 태양광 발전을 하여 전기를 발생시킬 수 있는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본 발명은 복수개의 경사면이 결합되어 지붕을 형성하며, 태양광이 투과되어 양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이중유리로 감싸지는 온실과; 상기 이중유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온실의 외벽을 감싸며 태양광을 투과 및 흡수하는 염료가 흡착되어 형성되는 제 1태양전지와; 직사광이 유입되는 상기 지붕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이중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모듈과; 상기 제 1태양전지와 상기 태양광모듈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과; 상기 온실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온실은 상기 외벽 및 상기 지붕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온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양지식물의 부족한 파장을 보완하거나 야간 생육을 조절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온실의 남향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태양전지가 설치된 상기 외벽 및 상기 지붕을 형성하는 상기 이중유리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태양전지에서 흡수되지 않고 투과되는 태양광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투명재료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양지식물로 확산된 태양광을 전달하는 광확산필름과, 상기 광확산필름이 설치된 상기 외벽의 타면에 설치되는 무채색의 제 3태양전지를 투과하여 상기 온실 내부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필름을 구비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또한, 상기 고정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양방향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발 스프링(4a)과, 상기 탄발 스프링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탄발 스프링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밀리면서 하우징(5)에 임시 고정되는 슬라이딩 볼(4b)을 포함하여 구성함이 특징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에 의하면, 온실의 지붕 및 외벽의 이중유리 사이에 구비된 태양전지를 통해 전력을 생산하는 동시에 양지식물 및 음지식물의 생장에 적합한 파장을 선택하여 투과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투과율을 조절함으로써 일조량도 최적화할 수 있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과 설명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하기에 도시되는 도면과 후술되는 설명은 본 발명의 특징을 효과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여러 가지 방법 중에서 바람직한 실시 방법에 대한 것이며, 본 발명이 하기의 도면과 설명만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발명에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루는 기술적 구성요소를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각각의 시스템 기능구성에 이미 구비되어 있거나, 또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으로 구비되는 시스템 기능구성은 가능한 생략하고, 본 발명을 위해 추가적으로 구비되어야 하는 기능구성을 위주로 설명한다.
만약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에 도시하지 않고 생략된 기능구성 중에서 종래에 이미 사용되고 있는 구성요소의 기능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상기와 같이 생략된 구성요소와 본 발명을 위해 추가된 구성요소 사이의 관계도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하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핵심적인 기술적 특징을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명백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용어를 적절하게 변형하여 사용할 것이나, 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결코 아니다.
결과적으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청구범위에 의해 결정되며, 이하 실시예는 진보적인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효율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수단일 뿐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광모듈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단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먼지측정수단 및 경보신호 출력부 구성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을 구성하는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 개념도.
도 8은 본 발명의 적외선 송신수단과 적외선 수신수단을 이용하여 먼지를 측정하는 개념도.
도 9는 본 발명에 있어서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먼지측정수단 제 1 실시예도.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서 발열수단과 열전소자 및 형상기억 스프링을 갖는 제 2 실시예도.
도 11은 본 발명에 있어서 고정부 일실시예도.
도 12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오목렌즈 구성도로서,
먼저,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은 복수개의 경사면이 결합되어 지붕(140)을 형성하며, 태양광이 투과되어 양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이중유리(120)로 감싸지는 온실(100)과, 상기 이중유리(1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온실(100)의 외벽을 감싸며 태양광을 투과 및 흡수하는 염료가 흡착되어 형성되는 제 1태양전지(200)와, 직사광이 유입되는 상기 지붕(140)의 일면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모듈(300)과, 상기 제 1태양전지(200)와 상기 태양광모듈(300)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4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실(100)은 광선,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각종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식물의 생육방식에 따라 온실(100)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온실(100)은 태양광을 공급받는데 그림자나 기타 장애물에 의한 일사량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도록, 외벽 중 특히 지붕(140)에서 태양광에 의한 발전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온실(100)은 상기 외벽 및 상기 지붕(140)을 형성하는 프레임(110)과, 상기 프레임(110)을 감싸며 상기 온실(100) 내부로 태양광을 투과시키기 위하여 이중으로 형성된 상기 이중유리(120)와, 상기 온실(100)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양지식물의 부족한 파장을 보완하거나 야간 생육을 조절하는 조명장치(130)와, 상기 온실(100)의 남향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태양전지(200)가 설치된 상기 외벽의 실내측 방면과 상기 지붕(140)의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태양전지(200)에서 흡수되지 않고 투과되는 태양광을 확산시켜 상기 양지식물로 전달하는 광확산필름(150)과, 상기 광확산필름(150)이 설치된 상기 외벽의 타면에 설치되는 무채색의 제 3태양전지(210)를 투과하여 상기 온실(100) 내부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필름(5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상기 온실(100)의 형태를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도록 지면에서 다양한 형상으로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다. 상기 프레임(110)은 철재, 알루미늄 등 다양한 재질로 형성하여 상기 온실(10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프레임(110)에 의하여 외벽 및 지붕(140)의 형태가 결정되고, 상기 온실(100)의 외측을 감싸는 제 1태양전지(200) 및 태양광모듈(30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이중유리(120)는 상기 프레임(110) 사이 및 외측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태양전지(200) 및 태양광모듈(300)이 내부에 수용될 수 있으며, 상기 이중유리(120)에 의하여 온실(100) 내부의 온도, 습도 등이 유지되어 외부와의 열교현상을 차단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30)는 온실(100) 내에 설치되는 다수의 LED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LED의 조사량(照射量)을 조절하는 장치로써, 온실(100) 내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조사량을 늘이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파장의 LED가 온실(100) 내에 장착될 경우, 필요에 따라 원하는 파장의 LED에만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온실(100)내의 식물에 필요한 파장의 빛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130)는 축전 시스템(400)으로부터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조명장치(130)로 공급한다. 즉, 일사량이 부족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일사량이 부족하면 축전 시스템(400)으로부터 조명장치(13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부족한 일사량을 충당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조명장치(130)에 의하여 일사량이 부족한 야간이나 날씨가 흐린 날에도 양지식물에 다양한 파장의 빛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온실(100)의 프레임(110)과 상기 이중유리(120)에 의하여 형성되는 외벽은 지면에서 상부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지붕(140)은 외벽의 상단에 구비되어 태양광에 의하여 전기를 생산할 수 있다.
상기 지붕(140)은 상기 태양광모듈(300)이 설치되는 제 1지붕(141)과, 상기 제 1지붕(141)의 일 단면에 소정의 각도로 결합되어 상기 제 1태양전지(200)가 설치되는 제 2지붕(142)과, 상기 제 1지붕(141) 및 상기 제 2지붕(142)의 실내측 방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 1태양전지(200) 및 상기 태양광모듈(300)에서 흡수되지 않고 투과되는 태양광을 확산시켜 상기 양지식물로 전달하는 광확산필름(15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 1지붕(141)은 태양광의 유입량이 많은 남향으로 위치될 수 있으며, 직사광선이 상기 태양광모듈(300)에 직접 유입되어 많은 전기에너지가 생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지붕(141)과 상기 제 2지붕(142)은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필름(150)은 상기 지붕(140)이 구비되는 온실(100)의 지붕(140)에 해당하는 이중유리(120)의 내측면에 구비되어 제 1지붕(141)에 구비된 상기 태양광모듈(300)과 제 2지붕(142)에 구비된 상기 제 1태양전지(200)를 투과한 태양광이 확산되어 상기 온실(100) 내부의 양지식물로 전달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광확산필름(150)은 상기 온실(100)의 남향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태양전지(200)가 설치된 상기 외벽의 실내측 방면과 상기 지붕(140)의 실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태양전지(200)에서 흡수되지 않고 투과되는 태양광을 확산시켜 상기 양지식물로 전달할 수 있다.
이러한 광확산필름(150)의 재질은 많은 광투과성과 투명성을 가진 유기물 재료가 될 수 있다. 상기 유기물 재료는 아크릴 레진(acrylic resins), 불포화폴리에스테르 레진(unsaturated polyester resins), 우레탄 레진(urethane resins), 에폭시 레진(epoxy resins), 또는 멜라민 레진(melamine resins)이 될 수 있다.
상기 광확산필름(150)은 빛의 투과도를 위해서 투명재료로 형성되며, 상기 광확산필름(150)에 태양광이 입사하면, 빛이 확산되기에 원하는 파장대의 빛의 투과를 유도할 수 있다. 이러한, 광확산필름(150)을 이용하면 단파장 뿐만 아니라, 장파장의 광흡수도 크게 향상될 수 있다.
상기 제 2지붕(142) 및 상기 온실(100)의 이중유리(120) 사이에서 외벽을 감싸며 구비되는 상기 제 1태양전지(200)는 태양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염료의 종류와 농도 또는 전극층의 종류와 두께를 조절하여 투과되는 광의 파장과 투과율이 선택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Dye-sensitized solar cell; DSSC)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태양전지(200)는 상기 온실(100)의 전체 면적에 걸쳐 사용하는 경우 기존에 셀 간격을 띄어 배열한 태양전지에 비해 온실(100) 내에 균일한 일조 조건을 제공할 수 있다. 온실(100)의 외벽은 곡선이나 직선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제 1태양전지(200)는 유연한 재질로 구현되어 구부림이 가능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 1태양전지(200)에 사용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p-n 접합을 이용하는 웨이퍼 형태의 실리콘이나 화합물 태양전지와 달리 가시광선의 파장을 가지는 빛이 입사하면 이를 받아 전자-홀 쌍을 형성할 수 있는 염료분자와 여기된 전자를 받아들일 수 있는 산화물 반도체 그리고 일을 하고 전지로 돌아오는 전자와 반응하는 전해질을 그 주된 구성성분으로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잘 알려진 염료감응 태양전지는 스위스의 그라첼(Gratzel) 등에 의해 발표되었다. 그라첼 등에 의해 발표된 광전기화학적 태양전지는 가시광선을 흡수하여 전자-홀 쌍(electron-hole pair)을 생성할 수 있는 감광성 염료분자와, 염료분자가 흡착되어 있는 나노입자 이산화티탄(TiO2)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반도체 전극, 백금 혹은 탄소가 코팅된 상대 전극, 그리고 그 사이에 채워진 전해질 용액으로 구성된다. 이 광화학적 전지는 p-n 접합을 이용하는 웨이퍼 형태의 태양전지에 비하여 전력당 제조 원가가 저렴하여 주목받아 왔다.
이처럼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광의 흡수를 통한 전자의 발생은 염료에서 이루어지고 전극으로 사용되는 이산화티탄과 같은 산화물반도체는 단순히 발생한 전자를 전도체로 이루어진 current collector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수행하므로 반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 있게 되고 사용되는 염료를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염료에 흡수되어 전자를 발생시키는 파장대가 달라짐으로 인해 파장의 선택이 가능하다.
아울러, 전극에 흡착되는 염료의 종류 및 농도를 조절하거나 전극층의 종류와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용이하게 투과율을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1태양전지(200)로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경우, 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염료의 종류와 농도 또는 전극층의 종류와 두께를 조절하여 투과되는 광의 파장과 투과율을 선택할 수 있다.. 즉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는 TiO2와 같은 산화물 반도체에 흡착되는 염료를 달리하는 것만으로 투과되는 파장을 조절할 수 있으며, 전극층의 종류와 두께 그리고 염료의 종류와 농도 등을 달리하여 투과율을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염료감응 태양전지에서 전기를 발생시키는 발전에 사용되는 파장은 사용하는 염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제 3태양전지(210)는 상기 제 1태양전지(200)와 같이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태양전지(210)는 북향과 같이 태양광의 유입량이 낮으며, 염료감응 태양전지를 투과하여 온실(100) 내부로 유입되는 태양광이 낮을 경우 염료감응 태양전지의 색이 검정, 회색과 같이 무채색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 3태양전지(210)는 별도의 파장을 발생하지 않으며, 태양광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시키기 위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태양전지(210)가 부착된 상기 온실(100)의 북향방면 외벽에는 차광필름(500)을 부착하여 태양광이 온실(10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광필름(500)은 온실 외벽의 실내측 유리에 부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태양광 모듈을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상기 태양광모듈(300)은 직사광의 유입량이 많은 남향의 제 1지붕(141)의 이중유리(120) 사이에 그리드(Grid) 형태로 설치되어 태양광을 흡수하는 복수개의 제 2태양전지(310)와, 복수개의 상기 제 2태양전지(310) 사이에 형성되어 상기 태양광이 상기 온실(100) 내부로 투과시키는 투과홀(32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 2태양전지(310)는 태양광의 일사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박막 태양전지인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 2태양전지(310)를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및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를 사용하는 것은 상기 제 1태양전지(200)와 같은 염료감응 태양전지가 직사광의 유입량이 높으면 갈라지거나 기능을 발휘하지 못하는 단점이 있기에 온실(100)의 외측에서 직사광의 유입량이 많은 남향의 지붕(140)에 설치할 수 있다.
상기 제 2태양전지(310)에 사용되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실리콘 덩어리를 얇은 기판으로 절단하여 제작하며, 실리콘 덩어리의 제조 방법에 따라 단결정(single crystal) 형태와 다결정(polycrystalline) 형태로 구분되며, 기본적으로 p-n 동종접합(homojunction)으로서 태양전지에 사용된다. 단결정은 순도가 높고 결정결함밀도가 낮은 고품위의 재료로서 높은 효율을 달성할 수 있으나 고가이고, 다결정 재료는 상대적으로 저급한 재료를 저렴한 공정으로 처리하여 상용화가 가능한 정도의 효율의 전지를 생산한다. 이러한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의 이론적 최대 효율은 약 25%이며 이미 실험실 수준에서는 이 한계치에 가까운 효율이 보고된 바 있다. 하지만 단결정 또는 다결정 웨이퍼를사용하며 양산용으로 제작되는 셀의 효율은 대략 14% ~ 17%를 보이고 있다. 이때, 변환효율 100%는 1m2의 너비에서 1KW의 전력생산을 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와 달리, 상기 제 2태양전지(310)에 사용되는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단파장 영역의 빛을 흡수하는 것으로 p형 비정질 실리콘층, i형 비정질 실리콘층, n형 비정질 실리콘층으로 적층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는 비정질 실리콘은 실란(Silane)(SiH4), 디실란(Disilane)(Si2H6), 사이클로펜타실란(Cyclopentasilane)(Si5H10), 사이클로헥사실란(Cyclohexasilane) (Si6H12)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제 2태양전지(310)를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로 형성할 경우 도포가 가능하여 휘어질 수 있으므로 다양한 형상의 온실(100)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투과홀(320)은 복수개의 상기 제 2태양전지(310)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투과홀(320)을 관통하여 상기 온실(100)의 이중유리(120)를 투과한 태양광은 상기 온실(100)의 이중유리(120) 내측에 구비된 상기 광학산필름(150)에 의하여 상기 온실(100) 내부로 확신되어 양지식물에게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실(100)은 제 1태양전지(200), 제 2태양전지(310), 제 3태양전지(210)에 의하여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400)(ESS : Energy Storage System)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축전 시스템(400)은 온실(100)의 외벽 및 지붕(140)에 부착된 제 1태양전지(200)와 제 2태양전지(310)와 제 3태양전지(210)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것으로 빛에너지가 공급되는 시간에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빛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시간에도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이다. 즉,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적할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배분함으로써, 온실(100)내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축전 시스템(400)에 저장된 전기는 지역의 전력 공급 단체에 공급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설명함에 있어 상술한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번호를 사용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은 직사광의 유입량이 많은 남향으로 경사면이 형성되는 지붕(140)을 구비하고 이중유리(120)로 형성되는 온실(100)과, 상기 이중유리(120)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온실(100)의 외벽을 감싸며 태양광을 흡수하는 염료가 흡착되어 형성되는 제 3태양전지(210)와, 상기 지붕(140)의 이중유리(120) 사이에 설치되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모듈(300)과, 상기 제 3태양전지(210)와 상기 태양광모듈(300)의 일면에 구비되며, 태양광을 흡수하는 염료가 흡착되어 최소 일사량을 상기 온실 내부로 유입시키는 제 1태양전지(200)와,
상기 제 3태양전지(210)와 상기 태양광모듈(300)을 투과하여 상기 온실(100) 내부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필름(500)과, 상기 제 1태양전지(200)와 상기 제 3태양전지(210)와 상기 태양광모듈(300)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400)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온실(100)은 일사량이 많이 필요하지 않는 음지식물을 생육하기 위한 것으로 최소한의 일사량이 공급될 수 있도록 직사광이 많이 유입되는 남향에는 태양광모듈(300)을 설치하여 전기에너지를 축전하고 축전한 전기로 내부의 온도 및 습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러한, 온실(100)은 태양광모듈(300)의 면적을 높이도록 지붕(140)의 경사면이 외벽 일 단면에서 타단면으로 사선을 형성하며 연장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실(100)에는 야간에 음지식물을 생육하기 위한 조명장치(13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조명장치(130)는 온실(100) 내에 설치되어 야간에 온실(100)내의 음지식물에 필요한 최소일사량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조명장치(130)는 축전 시스템(400)으로부터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조명장치(130)로 공급한다. 즉, 일사량이 부족한지 여부를 판단한 후, 일사량이 부족하면 축전 시스템(400)으로부터 조명장치(13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부족한 일사량을 충당할 수 있다.
상기 지붕(140)을 사선으로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외벽을 형성하는 일면의 상단에 상부로 연장하는 제 2지붕(142)이 구비되어 상기 외벽의 양면의 높이가 다르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 때, 외벽의 높이는 북쪽이 높게 형성되고, 직사광이 직접 유입되는 남향의 외벽 높이는 낮게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태양전지(210)는 무채색으로 형성된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형성되어 상기 온실(100)의 외벽을 감싸며 구비될 수 있으며, 외벽에 설치되는 제 3태양전지(210)는 이중유리(120) 사이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태양전지(200)는 무채색으로 형성되어 별도의 파장을 발생하지 않으며, 태양광을 활용하여 전기에너지를 발전시키기 위한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 제 1태양전지(200)는 북향에 위치한 상기 온실의 외벽에 설치된 상기 제 3태양전지(210)와 상기 태양광모듈(300)의 일면 사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 3태양전지(210)보다 높게 형성되어 최소한의 일사량이 온실(100)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제 1태양전지(200)는 상기 제 3태양전지(210)와 동일하게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무채색이 아닌 태양광을 흡수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염료의 종류와 농도 또는 전극층의 종류와 두께를 조절하여 투과되는 광의 파장과 투과율이 선택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중유리(120) 사이에 설치되는 제 1태양전지(200)를 투과하여 전달되는 소량의 태양광이 온실(100) 내부의 음지식물로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외벽의 실내측 방면에는 차광필름(500)이 구비될 수 있다.
하지만, 상기 제 2지붕(142)은 이중유리(120) 사이에 설치되는 제 1태양전지(200)에서 온실(100) 내부의 음지식물로 최소 일사량을 공급하기 위하여 제 1태양전지(200)를 투과한 태양광이 제 2지붕(142)의 이중유리(120)를 관통하여 확산시키기 위하여 제 2지붕(142) 내측면에 광확산필름(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태양광모듈(300)은 직사광의 유입량이 많은 남향의 제 1지붕(141)의 이중유리(120) 사이에 그리드(Grid) 형태로 설치되어 태양광을 흡수하는 결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비정질 실리콘 태양전지 중 적어도 하나를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태양광모듈(300)을 통해 투과되는 태양광이 온실(100) 내부의 음지식물로 전달되지 않도록 제 1지붕(141)의 내측방면에는 상기 차광필름(50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온실(100)은 제 1태양전지(200), 제 2태양전지(310) 제 3태양전지(210) 중 적어도 하나에서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400)이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은 태양에너지 온실의 내부 일단에 먼지 측정수단(1000)을 더 설치하며, 상기 먼지 측정수단(1000)의 측정 결과 기준이상의 먼지가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경보신호 출력부(2000)를 통해 경보신호를 출력하여 온실의 내부에 미세먼지가 기준치 이상이므로 작업자가 대피하거나 먼지를 적절히 제거토록 유도한다.
본 발명의 먼지 측정수단(1000)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먼지 측정 제어부(C)로부터 적외선 송신 제어신호를 인가받아 적외선 송신량을 결정하여 변화된 적외선 송신량을 출력한다.
즉, 적외선 수신수단(B)의 결과값을 먼지 측정 제어부(C)에 전송하면,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데이터를 근거로 먼지 발생량을 예측하고, 먼지 발생량에 따라서 적외선 송신수단(A)에 제어신호를 출력하여 적외선 송신량을 조절하여 출력토록 유도하는 것이다.
즉, 먼지 측정 제어부에서 적외선 수신수단에서 출력되는 광량 데이터를 읽고, 이를 근거로 적외선 발광수단의 광량을 자동 제어하여 감도조절이 자동적으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하여 먼지로 인한 오염 상황에서도 먼지 검출을 최적의 감도상태로 유지하여 측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다시말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는 적외선 수신수단(B)의 수신 광량이 미약하면 오염 정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여 보다 정밀한 먼지 측정을 위해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높이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며, 적외선 수신수단(C)의 수신 광량이 너무 세면 오염이 없는 상태이나 정밀한 측정이 어려워지므로 적외선 송신수단(A)의 광량을 낮추도록 제어신호를 출력하는 것이다. 즉, 적외선 송신 광량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 그래야만 적외선 수신수단을 통해 측정되는 적외선량이 정확해져서 먼지 발생량을 보다 정밀하게 예측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먼지 측정 제어부에 의해서 측정되는 먼지량 데이터는 신뢰도가 높은 먼지 측정 결과를 출력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1)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2)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3)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4)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5)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6)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3)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7)와;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8)를 포함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고정부(4)가 위치하는 하우징의 테두리에는 다수개의 홀(5a, 5b 5c)을 형성하고, 상기 홀에는 고정부(4)의 위치를 세팅하기 위한 자석(9)을 삽입 결합하여 이루어진다.
즉, 고정부(4)는 금속으로 구성하며, 자석(9)을 홀에 삽입하여 고정부를 임시 고정시킨다. 이에 따라 기온이 낮은 지역은 자석을 중앙홀(5b) 또는 왼쪽홀(5a)에 위치시켜 세팅하고, 기온이 높은 지역은 자석(9)을 중앙홀(5b) 또는 오른쪽(5c)에 위치시켜 세팅한다.
그러면 최초 송신소자(2) 위치가 오목렌즈군(1)의 중앙에 위치되고, 이후 온도변화에 따라서 적절히 팽창과 수축을 하여 먼지의 농도를 정확하게 판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고정부(4)는 원터치에 의해서 결합토록 구성할 수 있는바, 고정부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는 탄발 스프링(4a)과, 상기 탄발 스프링의 끝단부에 설치되는 슬라이딩 볼(4b)를 설치하여 구성하며, 하우징(5)에 딸깍 하면서 결합되도록 구성한다.
즉, 미리 하우징(5)에 일정 간격으로 홀을 형성하고, 상기 고정부를 움직이면서 슬라이딩 볼(5b)이 홀에 임시 결합되도록하고, 이때 탄발 스프링(4a)의 작용으로 슬라이딩 볼이 좌우로 펼쳐지면서 고정상태가 지속되도록 한 것이다.
이에 따라 고정부의 위치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은 온도의 변화에 따라서 송신소자(2)의 출력이 자동으로 조절되도록 구성하였는바, 형상기억 스프링(3)이 기본 온도로 세팅되어 있으며, 이후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늘어나면서 송신소자의 광을 줄여서 출력시키고,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줄어들면서 송신소자(2)의 광을 낮추어서 출력시킨다.
즉, 먼지는 기체속에 분포되기 때문에 온도가 올라가면 움직임이 활발해져서 송신소자(2)의 출력을 낮추었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채크할 수 있으며, 온도가 낮아지면 움직임이 둔해지기 때문에 송신소자(2)의 출력을 높였을때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체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온도변화를 반영하여 오목렌즈군(1)을 유동시켜 먼지 농도를 보다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실제로의 동작을 살펴보면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송신소자의 빛이 출력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올라가면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낮은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낮추어서 출력하게 된다. 그리고, 주변 온도가 내려가면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면서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위치하며 동시에 함몰각도가 제 3 오목렌즈(1c)보다 높은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2)의 위치에 오게 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 출력을 높여서 출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은 주변 온도에 반응하여 형상기억 스프링(3)이 자동으로 팽창과 수축을 함으로서 먼지의 움직임에 따른 광량 변화를 촉진하여 보다 더 정밀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고, 보다 더 정확한 경보출력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은 먼지 농도에 따라 송신 제어부(8)가 강제로 오목렌즈군(1)을 움직여서 가장 정확한 먼지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구성하는바, 온도 변화가 없더라도 먼지의 농도에 따라 송신소자의 광량을 조절하여 정확한 먼지의 농도를 파악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본 발명은 적외선 송신수단의 광량 변화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먼지 측정 제어부(C)가 제어신호를 출력하면 송신 제어부(8)에서 이를 인지하여 발열수단(6) 및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가장 적절한 적외선 송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였다.
먼저, 기본적으로 오목렌즈군(1)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는 제 3 오목렌즈(1c)를 통해 적외선 광을 출력토록하며,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송신소자(2)가 고정되어 있으므로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는 제 2 오목렌즈(1b)가 송신소자(2) 위치로 움직이면서 송신소자의 출력광이 제 2 오목렌즈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발열수단(6)을 가동시켜 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팽창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1 오목렌즈(1a)가 송신소자(2)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가열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1 오목렌즈(1a)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이 설치되는 제 4 오목렌즈(1d)가 송신소자에 위치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4 오목렌즈(1d)를 통해 출력된다.
그리고,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 송신제어부(8)가 열전소자(7)를 구동하여 냉각열을 더 많이 발생시켜 형상기억 스프링(3)이 더 많이 수축되도록하고 이에 따라 오목렌즈군(1)이 이동하되 제 5 오목렌즈(1e)가 송신소자(2) 위치로 이동되며, 이에 따라 송신소자(2)의 광이 제 5 오목렌즈(1e)를 통해 광을 출력한다.
그리고, 상기 오목렌즈군은 중심부의 함몰 각도에 따라서 적외선 광의 출력 정도를 달리하도록 설계되며, 제 3 오목렌즈(1c)는 기본적으로 작동봉의 가장 중심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2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2 오목렌즈(1b)는 적외선 광을 조금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1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1 오목렌즈(1a)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줄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며 제 2 오목렌즈(1b)의 오른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4 오목렌즈(1d)는 적외선 광을 더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3 오목렌즈(1c)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35도로 형성시킨다.
그리고, 제 5 오목렌즈(1e)는 적외선 광을 더 많이 높여서 출력해야할 경우에 사용되고, 제 4 오목렌즈(1d)의 왼쪽에 설치되며 함몰각도를 45도로 형성시킨다.
100 : 온실 110 : 프레임
120 : 이중유리 130 : 조명장치
140 : 지붕 141 : 제 1지붕
142 : 제 2지붕 150 : 광확산필름
200 : 제 1태양전지 300 : 태양광모듈
310 : 제 2태양전지 320 : 투과홀
400 : 축전 시스템 500 : 차광필름

Claims (4)

  1. 복수개의 경사면이 결합되어 지붕을 형성하며, 태양광이 투과되어 양지식물을 재배하기 위하여 이중유리로 감싸지는 온실과;
    상기 이중유리 사이에 구비되고, 상기 온실의 외벽을 감싸며 태양광을 투과 및 흡수하는 염료가 흡착되어 형성되는 제 1태양전지와;
    직사광이 유입되는 상기 지붕의 일면에 형성된 상기 이중유리 사이에 구비되어 태양광을 흡수하여 전기를 생산하는 태양광모듈과;
    상기 제 1태양전지와 상기 태양광모듈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과;
    상기 온실의 내부 일단에 설치되어 먼지를 측정하고, 기준이상이면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먼지 측정수단과;
    상기 먼지 측정수단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 측정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외부로 경보신호를 출력하는 경보신호 출력부를 포함하여 구성하고;
    상기 온실은 상기 외벽 및 상기 지붕을 형성하는 프레임과,
    상기 온실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양지식물의 부족한 파장을 보완하거나 야간 생육을 조절하는 조명장치와,
    상기 온실의 남향에 설치되는 상기 제 1태양전지가 설치된 상기 외벽 및 상기 지붕을 형성하는 상기 이중유리의 내측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 1태양전지에서 흡수되지 않고 투과되는 태양광을 확산시키기 위하여 투명재료로 형성됨에 따라 상기 양지식물로 확산된 태양광을 전달하는 광확산필름과,
    상기 광확산필름이 설치된 상기 외벽의 타면에 설치되는 무채색의 제 3태양전지를 투과하여 상기 온실 내부로 유입되는 태양광을 차단하는 차광필름을 구비하고;

    상기 먼지 측정수단은,
    적외선을 방출하기 위한 적외선 송신수단(A)과,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과 대향되도록 위치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으로부터 방출된 빛을 수신하여 그 수신량의 정도에 따라 먼지유입을 판단하도록 하기 위한 적외선 수신수단(B)과, 상기 적외선 수신수단(B)의 출력전압이 설정된 값보다 작으면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의 입력전압이 증가되도록 제어하기 위한 먼지 측정 제어부(C)를 포함하여 구성하며;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다수개의 오목렌즈가 탑재되어 적외선의 출력을 제한시키는 오목렌즈군과;
    상기 오목렌즈군에 근접되어 적외선을 출력시키는 적외선 송신소자와;
    상기 오목렌즈군의 일측에 설치되어 오목렌즈군을 유동시켜 적외선 출력이 조절되도록하되 온도의 변화량에 따라서 주변 온도가 높으면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높아지도록 제어하고, 주변 온도가 낮으면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유동시켜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함으로서 적외선 출력이 낮아지도록 제어하는 형상기억 스프링과;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의 우측 끝단에 위치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의 움직임을 지지하는 고정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적외선 송신수단(A)은,
    상기 형상기억 스프링과 고정부를 수납하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일측에 설치되어 발열을 통해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팽창시켜 오목렌즈군을 좌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낮은 렌즈로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높아지도록 유도하는 발열수단과;
    상기 하우징의 내측에 설치하되 형상기억 스프링의 타측에 설치되어 냉각열을 전달하여 형상기억 스프링을 강제로 수축시켜 오목렌즈군을 우측으로 이동시키고, 이에 따라 함몰각도가 높은 렌즈와 적외선이 통과되도록하여 적외선 출력이 강제로 낮아지도록 유도하는 열전소자와;
    상기 발열수단과 열전소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먼지가 많을 경우 발열수단을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높이도록 제어하고, 먼지가 적을 경우 열전소자를 동작시켜 적외선 출력을 낮추도록 제어하는 송신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양방향으로 탄발력을 제공하는 탄발 스프링(4a)과, 상기 탄발 스프링의 끝단부에 설치되어 탄발 스프링에 의해서 상하방향으로 밀리면서 하우징(5)에 임시 고정되는 슬라이딩 볼(4b)을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20180103802A 2018-08-31 2018-08-31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459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802A KR101945916B1 (ko) 2018-08-31 2018-08-31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802A KR101945916B1 (ko) 2018-08-31 2018-08-31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916B1 true KR101945916B1 (ko) 2019-02-08

Family

ID=65365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03802A KR101945916B1 (ko) 2018-08-31 2018-08-31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916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516A (ko) * 2020-06-19 2021-12-29 주식회사 다함 온실 환경 감시 제어 시스템
WO2022102873A1 (ko) * 2020-11-12 2022-05-19 한국전기연구원 광원 추적형 태양전지 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20075560A (ko) * 2020-11-30 2022-06-0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팜 시스템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82B1 (ko) 2012-04-04 2013-10-14 에스피티씨주식회사 원격먼지측정시스템
KR101338333B1 (ko) 2013-05-20 2013-12-06 주식회사 이건창호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101771971B1 (ko) 2015-08-25 2017-09-05 대한민국 축산시설의 모듈형 환경제어장치
KR101875056B1 (ko) 2018-02-26 2018-07-06 (주)파코코리아인더스 실내 환기 시스템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7982B1 (ko) 2012-04-04 2013-10-14 에스피티씨주식회사 원격먼지측정시스템
KR101338333B1 (ko) 2013-05-20 2013-12-06 주식회사 이건창호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101771971B1 (ko) 2015-08-25 2017-09-05 대한민국 축산시설의 모듈형 환경제어장치
KR101875056B1 (ko) 2018-02-26 2018-07-06 (주)파코코리아인더스 실내 환기 시스템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57516A (ko) * 2020-06-19 2021-12-29 주식회사 다함 온실 환경 감시 제어 시스템
KR102423793B1 (ko) * 2020-06-19 2022-07-22 주식회사 다함 온실 환경 감시 제어 시스템
WO2022102873A1 (ko) * 2020-11-12 2022-05-19 한국전기연구원 광원 추적형 태양전지 어레이 및 이를 이용한 태양광발전 시스템
KR20220075560A (ko) * 2020-11-30 2022-06-08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팜 시스템
KR102541333B1 (ko) * 2020-11-30 2023-06-12 숙명여자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재배용 블록 및 이를 이용한 블록팜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08117B1 (ko)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Ghosh Potential of building integrated and attached/applied photovoltaic (BIPV/BAPV) for adaptive less energy-hungry building’s skin: A comprehensive review
KR101945916B1 (ko)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US7858875B2 (en) Radiant energy conversion system
KR101509741B1 (ko) 솔라셀 모듈을 구비한 온실
TW201034562A (en) Photovoltaic greenhouse structure
US20220349541A1 (en) Device and method for light exposure regulation of agricultural goods and energy production
KR101940739B1 (ko) 반투명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온실
JP2005142373A (ja) 集光型太陽光発電装置
JP2015106684A (ja) 太陽光発電システム
KR20190013187A (ko) 태양광 반사판을 이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200487698Y1 (ko) 태양광 발전 온실장치
Rumyantsev Terrestrial concentrator PV systems
US20130111810A1 (en) Photovoltaic modules for an agricultural greenhous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modules
WO2015079094A1 (es) Dispositivo de concentración solar, panel fotovoltaico e invernadero que lo incluyen
Sadhukhan et al. The emergence of concentrator photovoltaics for perovskite solar cells
KR101920254B1 (ko) 교체가 용이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68095B1 (ko) 태양광모듈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JP3558968B2 (ja) 太陽光発電装置
KR101554144B1 (ko) 집광형 태양광발전장치
KR101923048B1 (ko) 태양전지를 구비한 농업용 하우스
KR20230146767A (ko) 스마트팜용 태양전지
KR102575203B1 (ko) 식물 재배 시설
Liu et al. Energy and Thermal Performance Analysis of Quantum Dot Luminescent Solar Concentrators in Greenhouses
KR101950879B1 (ko)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