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338333B1 -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 Google Patents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338333B1
KR101338333B1 KR1020130056272A KR20130056272A KR101338333B1 KR 101338333 B1 KR101338333 B1 KR 101338333B1 KR 1020130056272 A KR1020130056272 A KR 1020130056272A KR 20130056272 A KR20130056272 A KR 20130056272A KR 101338333 B1 KR101338333 B1 KR 1013383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ar cell
pattern
electrode pattern
dye
electr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562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양계용
안정혁
엄재용
정성훈
박노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건창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건창호
Priority to KR102013005627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3833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383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383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4Devices or systems for heating, ventilating, regulating temperature, illuminating, or watering, in greenhouses, forcing-frames, or the like
    • A01G9/243Collecting solar energy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14Greenhouses
    • A01G9/1469Greenhouses with double or multiple wal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SPRING, WEIGHT, INERTIA OR LIKE MOTORS; MECHANICAL-POWER PRODUCING DEVICES OR MECHANIS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USING ENERGY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G6/00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solar energy
    • F03G6/001Devices for producing mechanical power from solar energy having photovoltaic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1/00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1/04Semiconductor devices sensitive to infrared radiation, light, electromagnetic radiation of shorter wavelength or corpuscular radiation and specially adapted either for the conversion of the energy of such radiation into electrical energy or for the control of electrical energy by such radiat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adapted as photovoltaic [PV] conversion devices
    • H01L31/042PV modules or arrays of single PV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1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agriculture
    • Y02A40/25Greenhouse technology, e.g. cooling systems theref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40Solar thermal energy, e.g. solar towers
    • Y02E10/46Conversion of thermal power into mechanical power, e.g. Rankine, Stirling or solar thermal engin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 Y02E10/542Dye sensitized solar cel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2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using renewable energies, e.g. solar water pumping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은 복층 유리 패널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장착된 외벽,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 및 상기 축전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장치에 공급하는 전력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복층 유리 패널의 형태로 이루어진 외벽을 구비하여 외부의 찬 외기는 막고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일조량은 충분히 제공하므로,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 및 단차 없이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들을 동일한 높이로 병렬 및 직렬로 서로 간단하게 연결한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로 이루어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GREENHOUSE HAVING SOLAR CELL MODULE}
본 발명은 유리 온실에 관한 것으로, 특히 편차 없이 단위셀의 연결 패턴을 통해 전극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한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하고,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기 위한 복층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 온실에 관한 것이다.
태양 전지란 빛이 조사되었을 때 전자와 정공을 발생시키는 광-흡수 물질을 사용하여 직접적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소자를 의미한다. 1839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Becquerel이 최초로 빛으로 유도된 화학적 반응을 통해 전류를 발생시키는 광기전력을 발견하였고, 그 후 셀레늄과 같은 고체에서도 유사한 현상이 발견된 사실에 기인한다. 그 후, 1954년 Bell 연구소에서 약 6%의 효율을 보인 실리콘 계열의 태양전지가 최초로 개발된 이후에 무기 실리콘을 중심으로 태양 전지의 연구가 계속되었다.
이와 같은 무기계 태양 전지 소자는 실리콘과 같은 무기물 반도체를 이용한 p-n 접합으로 이루어진다. 태양 전지의 소재로 사용된 실리콘은 크게 단결정 또는 다결정 실리콘과 같은 결정 실리콘 계열과 비정질 실리콘 계열로 구분될 수 있다. 이 중 결정 실리콘계열은 태양 에너지를 전기 에너지로 전환하는 에너지 전환 효율이 비정질 실리콘계열에 비하여 우수하지만 결정을 성장시키기 위하여 소용되는 시간과 에너지로 인하여 생산성이 떨어진다. 한편, 비정질 실리콘 계열의 경우 결정 실리콘과 비교하여 광흡수성이 좋고 대면적화가 용이하고 생산성이 좋지만 진공 프로세서가 요구되는 등 설비 면에서 비효율적이다. 특히, 무기계 태양 전지 소자의 경우, 제조비용이 높고 소자가 진공 상태에서 제조되기 때문에 가공 및 성형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은 문제점으로 실리콘을 대신하여 유기물질의 광기전 현상을 이용한 태양전지 소자에 대한 연구가 시도된 바 있다. 유기물 광기전 현상이란 유기물질에 빛을 조사하면 광자(photon)를 흡수하여 전자(electron)-정공(hole) 쌍이 생성되어 이를 분리하여 각각 음극 및 양극으로 전달하고 이와 같은 전하의 흐름에 의하여 전류를 발생시키는 현상이다. 즉, 통상적으로 유기계 태양전지에 있어서 전자 공여체(electron donor)와 전자 수용체(electron acceptor) 물질의 접합구조로 이루어진 유기물질에 빛을 조사하였을 때, 전자 공여체에서 전자-정공쌍이 형성되고 전자 수용체로 전자가 이동함으로써 전자-정공의 분리가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상 “빛에 의한 전하 캐리어(charge carrier)의 여기”또는 “광여기 전하 이동현상(photoinduced charge transfer, PICT)”라고 하는데, 빛에 의하여 생성된 캐리어들은 전자-정공으로 분리되고 전력을 생산하게 된다.
그런데 통상적인 유기물질을 이용한 태양전지의 경우에 에너지 전환효율이 떨어지고 내구성에도 문제가 있었으나, 1991년 스위스의 그라첼(Gr) 연구팀에 의하여 염료를 감광제로 이용하여 광전기화학형의 태양전지인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개발된 바 있다. 그라첼 등에 의하여 제안된 광전기화학형의 태양전지는 감광성 염료 분자와 나노 입자의 이산화티탄으로 이루어지는 산화물 반도체를 이용한 광전기화학형 태양 전지이다.
즉,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라 하면 투명 전극과 금속 전극 사이에 염료가 흡착된 산화티타늄과 같은 무기 산화물층에 전해질을 삽입하여 광전기화학 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되는 태양전지이다. 일반적으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2가지 전극(광전극과 대향전극)과, 무기 산화물, 염료 및 전해질로 구성되어 있는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환경적으로 무해한 물질/재료를 사용하기 때문에 환경친화적이고, 기존의 무기 태양전지 중 비정질 실리콘 계열의 태양전지에 버금가는 10% 정도의 높은 에너지 전환효율이 있고, 제조단가가 실리콘 태양전지의 20% 정도에 불과하여 상업화의 가능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보고된 바 있다.
이러한 태양전지를 온실 구조에 적용한 발명들이 개시된 바 있어서, 예를 들어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모듈을 구비한 온실이 태양전지모듈을 통해 얻어진 전기 에너지를 사용하여 통풍 및 냉,난방을 수행하는 기술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온실은 단층 유리판으로 조립된 구조물이기 때문에 태양전지모듈을 적용하여 에너지를 생산한다고 해도, 온실의 유리판을 통해 손실되는 에너지가 상당히 많은 단점이 있다.
또한, 종래의 온실에 구비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모듈은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바와 같이 태양전지 단위 셀들을 직렬이나 병렬로 연결한 모듈 형태로 제작하고, 예컨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전극판(10, 20) 사이에 전해질층(30)을 구비하고 (-)전극(13) 및 (+)전극(21)은 단차를 갖는 전극판(10, 20) 각각에 구비한 태양전지 단위 셀을 서로 연결하기 위해 도전성 접착제(50)를 인접한 단위 셀의 (-)전극(13)과 (+)전극(21)이 접하는 면에 삽입하여 접합하는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접합 방법에 의하면 접착제의 저항값에 의해 태양 전지 모듈의 성능이 저하될 수 있고, 태양 전지 모듈의 조립시 단위 셀과 단위 셀 사이의 단차 부분은 전력을 생산하지 않는 부분으로 태양 전지 모듈 면적에 상당 부분을 차지한다.
또한, 종래의 접합 방법은 단위 셀과 단위 셀을 일 방향으로만 접합해서 태양 전지 모듈을 제작하므로, 다른 방향의 연결을 위해 별도의 접속 수단을 필요로 하는 문제가 있다.
특허문헌 1: 등록특허공보 제 10-1094972호(2011년 12월 9일 등록) 특허문헌 2: 등록특허공보 제 10-1090416호(2001년 11월 30일 등록)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단위 셀과 단위 셀 사이의 접합을 위한 단차 부분을 제거하고 직렬과 병렬로 단위 셀과 단위 셀 사이를 동시에 연결한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하고,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기 위한 복층 유리로 이루어진 유리온실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은 복층 유리 패널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장착된 외벽;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 및 상기 축전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장치에 공급하는 전력제어 시스템;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복층 유리 패널은 상부 유리판; 상기 상부 유리판과 대향하는 하부 유리판; 상기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 사이의 공간에 진공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을 밀봉하는 실링부; 및 상기 진공층 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 사이의 갭을 유지시키고, 상기 진공층 내의 습기 또는 가스를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터용 필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게터용 필러는 가스 흡착 재질로서, Ta, Cb, Zr, Th, Mg, Ba, Ti, Al, Nb, Fe, Li, Pd, Pt, 및 Au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상기 금속들 중 적어도 두 가지의 합성물, 또는 상기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게터용 필러는 습기 흡착 재질로서, 산화칼슘, 염화칼슘,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알루미나, 및 활성탄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다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어레이(array) 형태이고,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은 네 개의 꼭지 부분에 형성된 연결 패턴; 및 상기 연결 패턴의 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을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 패턴의 전극 패턴을 서로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한 다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단위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태양 전지 단위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또는 제 2 전극 패턴을 노출시키는 사각형의 개구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전도성 패턴은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리본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직렬연결용 리본;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1 전극 패턴 사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병렬연결용 리본;을 포함하며, 상기 직렬연결용 리본과 병렬연결용 리본은 서로 분리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태양 전지 단위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또는 제 2 전극 패턴을 노출시키는 체크 무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가로 개구 패턴;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1 전극 패턴 사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세로 개구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개구 패턴과 세로 개구 패턴은 서로 분리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가로 개구 패턴과 세로 개구 패턴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태양 전지 단위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원형 반지의 단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유리 온실에서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가로 굴곡 패턴;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1 전극 패턴 사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세로 굴곡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굴곡 패턴과 상기 세로 굴곡 패턴은 서로 분리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가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복층 유리 패널의 형태로 이루어진 외벽을 구비하여 외부의 찬 외기는 막고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일조량은 충분히 제공하므로,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단차 없이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들을 동일한 높이로 병렬 및 직렬로 서로 간단하게 연결한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로 이루어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조립하여 태양 전지 모듈을 제조하는 과정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실의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라 냉각수 수로가 배치된 온실의 개략도.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복층 유리 패널의 평면도.
도 4b는 도 4a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의 평면도.
도 5b는 도 5a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
도 5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조립한 태양 전지 모듈의 평면도.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의 평면도.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조립한 태양 전지 모듈의 평면도.
도 7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의 평면도.
도 7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조립한 태양 전지 모듈의 평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실의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면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가 장착된 외벽(110), 태양전지(120)로부터 발생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130), 축전 시스템(130)으로부터 송출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서 가동되며, LED 조명장치(150)를 가동하는데 필요한 전기에너지를 공급하는 LED조명제어 시스템(140); 및 상기 축전 시스템(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서 가동되는 LED 조명장치(150)를 포함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햇볕을 공급받는데 그림자나 기타 장애물에 의한 일조량 사각지대를 최소화하도록, 외벽 중 특히 지붕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를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온실은 광선, 온도, 습도 등을 조절하여 각종 식물을 재배하기 위한 구조물로써, 식물의 생육방식에 따라 온실 내부의 온도를 조절할 수 있다.
특히, 온실의 외벽(110)은 찬 외기는 막고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일조량은 충분히 제공할 수 있도록, 후술하는 복층 유리 패널의 형태로 구비된다.
이때, 태양전지(120) 역시 빛을 투과할 수 있도록, 예컨대 반투명하고 광전기화학반응을 이용하는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를 사용할 수 있다.
축전 시스템(130)은 외벽(110)에 부착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것으로 빛에너지가 공급되는 시간에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뿐만 아니라 빛에너지가 공급되지 않는 시간에도 전기에너지를 사용할 수 있도록 전기에너지를 축적하는 것이다. 즉, 생산된 전기에너지를 축적할 뿐만 아니라 원활하게 배분함으로써, 온실내의 환경을 조절할 수 있다.
LED 조명제어 시스템(140)은 온실 내에 설치되는 LED에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LED의 조사량(照射量)을 조절하는 장치로써, 온실 내에서 재배되는 식물의 종류에 따라 조사량을 늘이거나 감소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다양한 파장의 LED가 온실 내에 장착될 경우, 필요에 따라 원하는 파장의 LED에만 전기를 공급함으로써, 온실 내의 식물에 필요한 파장의 빛을 공급할 수 있다.
이와 같이 LED 조명제어 시스템(140)은 축전 시스템(130)으로부터 축전된 전기에너지를 LED 조명장치(150)로 공급한다. 즉, 일조량이 부족한지 여부를 LED 조명제어 시스템(140)에서 판단한 후, 일조량이 부족하면 축전 시스템(130)으로부터 LED 조명장치(150)로 전기에너지를 공급함으로써 부족한 일조량을 충당할 수 있다.
또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가 부착된 외벽(110)의 타면에 냉각수가 순환되는 수로(162)를 배치하며, 냉각수는 축전 시스템(13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 에너지에 의해서 구동되는 펌프(164)에 의해서 순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과의 경우, 단순히 일조량이 많아야 하는 것 이외에도 일교차가 커야 당도가 높고 과육이 단단해진다. 즉, 일조량이 많음과 동시에 빛에너지가 제거된 이후에는 온도가 낮아져야 한다.
이와 같이 온실의 온도를 조절하거나, 태양전지(112)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태양전지(112)가 설치된 온실 외벽(110)의 내측에는 냉각수가 순환되는 수로(162)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수로(162)는 펌프(164)에 의해 냉각수가 유동하게 되는데, 이때 펌프(164)는 구동모터(150)와 마찬가지로 축전 시스템(120)으로부터 공급되는 전기에너지에 의해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외벽(110)을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복층 유리 패널의 형태로 구비하여, 외부의 찬 외기는 막고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일조량은 충분히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외벽(110)을 통해 에너지가 손실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을 구성하는 외벽(110)에 대해 도 4a와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본 발명에 따른 온실의 외벽을 구성하는 복층 유리 패널의 평면도이고, 도 4b는 도 4a의 A-A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구체적으로, 외벽(110)을 이루는 복층 유리 패널은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유리판(111), 하부 유리판(112), 실링부(113) 및 다수의 게터용 필러(115)를 포함한다.
상부 유리판(111) 및 하부 유리판(112)은 서로 평행하게 대향하도록 이격 배치된다. 이러한 상부 유리판(111)과 하부 유리판(112)은 플레이트 형상을 갖고, 동일한 면적으로 설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실링부(113)는 상부 유리판(111)과 하부 유리판(112)의 가장자리를 따라 예컨대, 글라스 프리트(glass frit)를 이용하여 형성되고, 상부 유리판(111)과 하부 유리판(112)의 사이 공간에 진공층(V)이 마련되도록 상부 유리판(111)과 하부 유리판(112)을 밀봉한다. 따라서, 상부 유리판(111)과 하부 유리판(112)은 실링부(113)에 의해 상호 대향하여 합착된 형태로 구비된다.
게터용 필러(115)는 상부 유리판(111)과 하부 유리판(112) 사이의 진공층(V) 내에 개재되어, 상부 유리판(111)과 하부 유리판(112) 사이를 일정한 간격(g)으로 유지시키고, 진공층(V)의 잔류 가스 또는 습기를 흡착하는 역할을 한다. 여기서, 게터용 필러(115)는 진공층(V)의 잔류 가스 또는 습기를 흡착하여, 복층 유리 구조의 단점인 결로 현상과 습기 발생 등을 방지한다.
이러한 게터용 필러(115)는 진공층(V) 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으로 매트릭스 배열(matrix arrangement)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게터용 필러(115)들 사이의 이격 거리(d)는 상부 및 하부 판유리(111, 112)의 넓이, 두께 등에 따라 조정될 수 있다.
이러한 게터용 필러(115)의 배치는 진공층(V)의 간격을 일정하게 유지하기 위한 부수적인 목적을 위한 것으로, 진공압에 의해 발생하는 게터용 필러(115)의 주변부 응력이 유리 재질의 장기 허용 응력 이하가 되도록 설계 배치되어야 한다.
또한, 게터용 필러(115)는 잔류 가스 및 습기를 흡착하는 혼합물 재질로 형성될 수 있어서, 가스 흡착 재질로서 예를 들어 Ta, Cb, Zr, Th, Mg, Ba, Ti, Al, Nb, Fe, Li, Pd, Pt, Au 등의 금속, 이런 금속의 합성물, 또는 산화물을 포함하고, 습기 흡착 재질로서 예컨대, 산화칼슘, 염화칼슘,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알루미나, 활성탄 중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을 갖는 게터용 필러(115)는 도 4a와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기둥 형태로 도시하지만, 이에 국한되지 않고 예컨대 팔면체, 십이면체 등 다양한 기둥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복층 유리 패널을 갖는 외벽(110)은 내부에 게터용 필러(115)를 구비한 복층 유리 패널의 구조에 따라, 진공층(V)을 통해 단열을 형성하여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온실의 외벽(110)은 지붕과 같은 일측에 반투명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가 구비된다. 반투명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는 태양광의 특정 파장만을 투과시키고 투과되지 않은 나머지 파장의 태양광을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온실의 외벽(110) 일측에 구비된 반투명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에 대해 도 5a 내지 도 5c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의 평면도이고, 도 5b는 도 5a의 B-B 선을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며, 도 5c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조립한 태양 전지 모듈의 평면도이다.
구체적으로, 반투명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는 다수의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121)이 서로 병렬 또는 직렬 연결된 태양 전지 모듈을 기본구성요소로 어레이(array)를 형성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121)에 대해 먼저 설명한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은 서로 대향하고 투명한 재질로 이루어진 제 1 기판(121-10)과 제 2 기판(121-20)을 구비하고, 제 1 기판(121-10)의 상부면에는 제 1 투명 전극(121-11) 및 반도체 산화물층(121-12)이 형성되며, 반도체 산화물층(121-12)의 표면에는 염료분자(미도시)가 흡착되어 있다. 제 2 기판(121-20)의 하부면에는 제 2 투명전극(121-21) 및 백금층(121-22)이 형성되고, 제 1 기판(121-10)과 제 2 기판(121-20) 사이의 공간에는 전해질(121-30)이 각 영역별로 충진된다.
이러한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은 제 1 기판(121-10), 제 2 기판(121-20) 및 전해질(121-30) 등으로 이루어진 복수개의 단위 영역에 금속 그리드(121-40)에 의하여 단위 영역 각각이 직렬 형태로 연결 구비된다. 이때, 각 영역의 벽면은 밀봉부재(121-41)로 마감되어 전해질(121-30)의 외부 누출을 방지한다.
특히,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은 4개의 각 꼭지점 부분에 대해 제 2 기판(121-20)과 제 2 투명전극(121-21)을 에칭(etching)하여 제 1 전극 패턴(121-50)과 제 2 전극 패턴(121-60)을 노출한 연결 패턴(Ⅰ)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패턴(Ⅰ)은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태양 전지 단위셀의 각 꼭지점 부분을 사각형 형태로 에칭하여 양측의 제 1 전극 패턴(121-50)과 제 2 전극 패턴(121-60)을 각각 노출할 수 있다. 이러한 연결 패턴(Ⅰ)은 태양 전지 단위셀과 다른 태양 전지 단위셀을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리본(120-71,120-72,120-73,120-74,120-75)을 장착하거나 또는 전도성 패턴을 구비하기 위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후술할 리본(120-71,120-72,120-73,120-74,120-75) 또는 전도성 패턴의 전기적 연결을 용이하게 이루기 위해, 연결 패턴(Ⅰ)의 폭은 제 1 전극 패턴(121-50)과 제 2 전극 패턴(121-60) 각각의 단축 길이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은 제 1 기판(121-10)과 제 2 기판(121-20)으로 예컨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아미드(PI, polyamide),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아세테이트(TAC),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nonate: CAP)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또는 유리로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제 1 기판(121-10)과 제 2 기판(121-20)은 전술한 재질에 한정되지 않고, 태양광을 투과시켜 광전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투광도가 높은 재질이면 특별히 제한할 필요는 없다.
제 1 투명 전극(121-11)과 제 2 투명전극(121-21)은 제 1 기판(121-10)과 제 2 기판(121-20)의 일면에 투명 전도성 재질에 의하여 형성되는 전극층으로 ITO(indium-tin oxide), IZO(indium-zinc oxide), 산화인듐(In2O3), 이산화주석, 플로린 도핑된 인듐틴옥사이드(FTO, fluorine doped tin oxide), ZnO-(Ga2O3 또는 Al2O3), SnO2-Sb2O3 등에서 임의로 선택될 수 있으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ITO 또는 FTO를 이용할 수 있다.
반도체 산화물층(121-12)은 나노 입자 형태의 전이금속 산화물로서, 예를 들어 티타늄 산화물, 스칸듐 산화물, 바나듐 산화물, 아연 산화물, 갈륨 산화물, 이트륨 산화물, 지르코늄 산화물, 니오브 산화물, 몰리브덴 산화물, 인듐 산화물, 주석 산화물, 란탄족 산화물, 텅스텐 산화물, 이리듐 산화물과 같은 전이금속 산화물은 물론이고, 마그네슘 산화물, 스트론튬 산화물과 같은 알칼리토금속 산화물 및 알루미늄 산화물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물을 스크린 프린팅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 나노 입자 형태의 티타늄 산화물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들은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패턴(Ⅰ)에 전기적 연결을 위한 리본(120-71,120-72,120-73,120-74,120-75)을 중첩 장착하여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도 5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4개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직렬과 병렬로 연결하여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이때, 리본(120-71,120-72,120-73,120-74,120-75)이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 각각의 연결 패턴(Ⅰ)에 구비되어 제 1 전극 패턴(121-50) 또는 제 2 전극 패턴(121-60)에 중첩 장착되고, 태양 전지 단위셀 사이에 직렬 또는 병렬의 전기적 연결을 이룰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5c에 도시된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은 태양 전지 단위셀 각각의 연결 패턴(Ⅰ)이 모인 중앙 부분에서, 위,아래 태양 전지 단위셀을 병렬로 연결한 병렬 연결용 리본(120-71) 및 좌,우 태양 전지 단위셀을 직렬로 연결한 직렬 연결용 리본(120-72)을 이용하여, 인접한 연결 패턴(Ⅰ) 사이에서 제 1 전극 패턴(121-50) 또는 제 2 전극 패턴(121-60)에 중첩 장착될 수 있다.
예컨대, 병렬 연결용 리본(120-71)은 위,아래 태양 전지 단위셀의 연결 패턴(Ⅰ)에서 각각 제 2 전극 패턴(121-60)을 병렬로 연결하고, 좌측의 병렬 연결용 리본(120-73)은 위,아래 태양 전지 단위셀의 연결 패턴(Ⅰ)에서 각각 제 1 전극 패턴(121-50)을 병렬로 연결한다.
이에 따라 도 5c에 도시된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은 제 3 실시예에 따른 4개의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연결 패턴(Ⅰ)과 리본(120-71,120-72,120-73,120-74,120-75)을 이용하여 직렬과 병렬로 서로 용이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후, 리본(120-71,120-72,120-73,120-74,120-75)을 구비한 연결 패턴(Ⅰ)에 대해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 등과 같은 절연재가 충진되어 마감 처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은 인접한 연결 패턴(Ⅰ) 사이에 리본(120-71,120-72,120-73,120-74,120-75)을 연장 장착하여,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생하는 단차 문제를 해소하고,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들을 동일한 높이로 병렬 및 직렬로 서로 간단하게 연결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과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해 도 6a와 도 6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a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의 평면도이고, 도 6b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조립한 태양 전지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은 도 5a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과 유사한 구조를 갖지만, 각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연결 패턴(Ⅱ)의 형태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에 관한 설명에 대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에 관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한다.
도 6a에 도시된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은 각 꼭지점 부분에서 제 2 기판(121-20)과 제 2 투명전극(121-21)을 에칭(etching)하여 제 1 전극 패턴(121-50)과 제 2 전극 패턴(121-60)을 노출하는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을 위한 연결 패턴(Ⅱ)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패턴(Ⅱ)은 체크 무늬 형태로 개구부를 교대 형성하여, 제 1 전극 패턴(121-50)과 제 2 전극 패턴(121-60) 사이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가로 개구 패턴(Ⅱ-1) 및 제 1 전극 패턴(150) 사이 또는 제 2 전극 패턴(121-60) 사이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세로 개구 패턴(Ⅱ-2)을 서로 분리하여 구비한다.
이에 따라 연결 패턴(Ⅱ)은 가로 개구 패턴(Ⅱ-1)과 세로 개구 패턴(Ⅱ-2)을 통해 제 1 전극 패턴(121-50) 또는 제 2 전극 패턴(121-60)을 노출한다.
이러한 연결 패턴(Ⅱ)에 대해 예컨대, 스퀴즈를 이용한 프린팅 방법으로 전도성 페이스트를 충진하고 경화시키면,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아래 태양 전지 단위셀을 병렬로 연결한 병렬 연결용 전도 패턴(220-71) 및 좌,우 태양 전지 단위셀을 직렬로 연결한 직렬 연결용 전도 패턴(220-72,220-74)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위,아래 태양 전지 단위셀의 좌측에 형성된 병렬 연결용 전도 패턴(220-73)이 제 1 전극 패턴(121-50)을 서로 병렬로 연결하고, 우측에 형성된 병렬 연결용 전도 패턴(220-75)이 제 2 전극 패턴(121-60)을 서로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전도 패턴(220-71,220-72,220-73,220-74,220-75)은 내부에 리본을 함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로 이루어진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은 연결 패턴(Ⅱ)에 형성된 전도 패턴(220-71,220-72,220-73,220-74,220-75)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직렬 또는 병렬로 태양 전지 단위셀 사이를 연결하므로, 전기적 접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로 이루어진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은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생하는 단차 문제를 해소하고, 제 4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들을 동일한 높이로 병렬 및 직렬로 서로 간단하게 연결한다.
이하,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과 태양 전지 모듈에 대해 도 7a와 도 7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을 조립한 태양 전지 모듈의 평면도이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은 도 5a에 도시된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과 유사한 내부 구조를 갖지만, 각 꼭지점 부분에 형성된 연결 패턴(Ⅲ)의 형태가 다르다는 점에서 차이점이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에 관한 설명에 대해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에 관한 설명과 동일한 부분은 생략한다.
도 7a에 도시된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은 각 꼭지점 부분에서 제 2 기판(121-20)과 제 2 투명전극(121-21)을 에칭(etching)하여 제 1 전극 패턴(121-50)과 제 2 전극 패턴(121-60)을 노출하여 직렬 연결 및 병렬 연결을 위한 연결 패턴(Ⅲ)을 형성한다.
구체적으로, 연결 패턴(Ⅲ)은 원형 반지의 단편 형태로서, 제 1 전극 패턴(121-50)과 제 2 전극 패턴(121-60) 사이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가로 굴곡 패턴(Ⅲ-1) 및 제 1 전극 패턴(121-50) 사이 또는 제 2 전극 패턴(121-60) 사이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세로 굴곡 패턴(Ⅲ-2)을 포함하여 구비한다.
이에 따라 연결 패턴(Ⅲ)은 가로 굴곡 패턴(Ⅲ-1)과 세로 굴곡 패턴(Ⅲ-2)을 통해 제 1 전극 패턴(121-50) 또는 제 2 전극 패턴(121-60)을 노출한다.
이러한 연결 패턴(Ⅲ)에 대해 예컨대, 스퀴즈를 이용한 프린팅 방법으로 전도성 페이스트를 충진하고 경화시키면,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위,아래 태양 전지 단위셀을 병렬로 연결한 병렬 연결용 전도 패턴(320-71) 및 좌,우 태양 전지 단위셀을 직렬로 연결한 직렬 연결용 전도 패턴(320-72,320-74)을 포함한 태양 전지 모듈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도 7b에 도시된 태양 전지 모듈은 위,아래 태양 전지 단위셀의 좌측에 형성된 병렬 연결용 전도 패턴(320-73)이 제 1 전극 패턴(121-50)을 서로 병렬로 연결하고, 우측에 형성된 병렬 연결용 전도 패턴(320-75)이 제 2 전극 패턴(121-60)을 서로 병렬로 연결할 수 있다.
물론, 이러한 전도 패턴(320-71,320-72,320-73,320-74,320-75)은 내부에 리본을 함침하여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로 이루어진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은 연결 패턴(Ⅲ)에 형성된 전도 패턴(320-71,320-72,320-73,320-74,320-75)이 서로 전기적으로 분리되어 직렬 또는 병렬로 태양 전지 단위셀 사이에 단면적을 넓혀 연결하므로, 전기적 접합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로 이루어진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은 종래의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에서 발생하는 단차 문제를 해소하고, 제 5 실시예에 따른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들을 동일한 높이로 병렬 및 직렬로 서로 간단하게 연결한다.
이러한 다양한 실시예의 연결구조를 갖는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로 어레이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는 광의 흡수를 통한 전자의 발생을 반도체 산화물층(121-12)의 표면에 흡착된 염료에서 이루어지므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는 반투명한 성질을 가질 수 있다.
이때, 반도체 산화물층(121-12)의 표면에 흡착되는 염료를 무엇으로 하느냐에 따라 염료에 흡수되어 전자를 발생시키는 파장 범위가 달라지므로, 파장의 선택이 가능하다.
아울러, 반도체 산화물층(121-12)에 흡착되는 염료의 종류 및 농도를 조절하거나 또는 반도체 산화물층(121-12)의 재질과 두께를 변화시킴으로써, 투과율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이러한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는 반도체 산화물층(121-12)의 표면에 흡착되는 염료의 종류와 농도, 또는 반도체 산화물층(121-12)의 재질과 두께를 조절하여, 반투명한 성질을 갖고 투과되는 광의 파장과 투과율을 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온실은 복층 유리 패널의 형태로 이루어진 외벽(110)을 통해 외부의 찬 외기는 막고 식물의 광합성에 필요한 일조량은 충분히 제공하여 전도와 대류에 의한 에너지 손실을 방지하며, 단차 없이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단위셀들을 동일한 높이로 병렬 및 직렬로 서로 간단하게 연결한 염료감응형 태양 전지 모듈로 이루어진 염료감응형 태양전지(120)를 이용하여 태양광 발전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전술한 실시예들은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양한 실시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10: 외벽 111: 상부 유리판
112: 하부 유리판 113: 실링부
115: 게터용 필러 120: 태양전지
121: 단위셀 121-10: 제 1 기판
121-11: 제 1 투명 전극 121-12: 반도체 산화물층
121-20: 제 2 기판 121-21: 제 2 투명 전극
121-22: 백금층 121-30: 전해질
121-40: 금속 그리드 121-41: 밀봉부재
121-50: 제 1 전극 패턴 121-60: 제 2 전극 패턴
130: 축전 시스템 140: LED 조명제어 시스템
150: LED 조명장치 162: 수로
164: 펌프 Ⅰ,Ⅱ,Ⅲ: 연결패턴

Claims (12)

  1. 복층 유리 패널로 이루어지고, 일면에 염료감응형 태양전지가 장착된 외벽;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로부터 발생한 전기에너지를 축전하는 축전 시스템; 및
    상기 축전 시스템으로부터 송출되는 전기에너지를 전기장치에 공급하는 전력제어 시스템;
    을 포함하고,
    상기 복층 유리 패널은
    상부 유리판;
    상기 상부 유리판과 대향하는 하부 유리판;
    상기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 사이의 공간에 진공층을 형성하도록, 상기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의 가장자리를 따라 상기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을 밀봉하는 실링부; 및
    상기 진공층 내에 개재되어 상기 상부 유리판과 하부 유리판 사이의 갭을 유지시키고, 상기 진공층 내의 습기 또는 가스를 흡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게터용 필러;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터용 필러는 가스 흡착 재질로서, Ta, Cb, Zr, Th, Mg, Ba, Ti, Al, Nb, Fe, Li, Pd, Pt, 및 Au 중 어느 하나의 금속, 상기 금속들 중 적어도 두 가지의 합성물, 또는 상기 금속의 산화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게터용 필러는 습기 흡착 재질로서, 산화칼슘, 염화칼슘, 제올라이트, 실리카겔, 알루미나, 및 활성탄 중 어느 하나 또는 혼합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는 다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을 직렬 또는 병렬로 연결한 어레이(array) 형태이고,
    상기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모듈은
    네 개의 꼭지 부분에 형성된 연결 패턴; 및
    상기 연결 패턴의 전극 패턴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전도성 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전도성 패턴을 매개로 하여 상기 연결 패턴의 전극 패턴을 서로 병렬 또는 직렬로 연결한 다수의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단위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태양 전지 단위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또는 제 2 전극 패턴을 노출시키는 사각형의 개구 패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7.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은 리본을 포함하고,
    상기 리본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직렬연결용 리본;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1 전극 패턴 사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병렬연결용 리본;
    을 포함하며,
    상기 직렬연결용 리본과 병렬연결용 리본은 서로 분리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8.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태양 전지 단위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 또는 제 2 전극 패턴을 노출시키는 체크 무늬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가로 개구 패턴;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1 전극 패턴 사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세로 개구 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개구 패턴과 세로 개구 패턴은 서로 분리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패턴은 상기 가로 개구 패턴과 세로 개구 패턴에 전도성 페이스트를 충진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11.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전극 패턴은 상기 태양 전지 단위셀의 양측에 각각 구비된 제 1 전극 패턴과 제 2 전극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연결 패턴은 원형 반지의 단편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 패턴은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직렬 연결하기 위한 가로 굴곡 패턴; 및
    상기 제 1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1 전극 패턴 사이 또는 상기 제 2 전극 패턴과 인접한 태양 전지 단위셀의 제 2 전극 패턴 사이를 병렬 연결하기 위한 세로 굴곡 패턴;
    을 포함하고,
    상기 가로 굴곡 패턴과 상기 세로 굴곡 패턴은 서로 분리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 온실.

KR1020130056272A 2013-05-20 2013-05-20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10133833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272A KR101338333B1 (ko) 2013-05-20 2013-05-20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056272A KR101338333B1 (ko) 2013-05-20 2013-05-20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38333B1 true KR101338333B1 (ko) 2013-12-06

Family

ID=49987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6272A KR101338333B1 (ko) 2013-05-20 2013-05-20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38333B1 (ko)

Cited B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5950A (zh) * 2014-05-20 2014-09-10 张家港永联天天鲜配送有限公司 一种温室大棚
CN104509414A (zh) * 2014-12-15 2015-04-15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能量自给型智能温室大棚控制系统及方法
WO2016093397A1 (ko) * 2014-12-11 2016-06-16 장민준 솔라셀 모듈을 구비한 온실
KR20160074120A (ko) * 2014-12-18 2016-06-28 김동수 통풍용 개폐기구가 구비되는 유리 엘이디 패널 온실
KR101808117B1 (ko) * 2016-03-30 2017-12-13 주식회사 선우시스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20254B1 (ko) 2016-11-07 2018-11-20 주식회사 선우시스 교체가 용이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23048B1 (ko) 2018-08-31 2018-11-28 이도훈 태양전지를 구비한 농업용 하우스
KR101940739B1 (ko) * 2018-08-31 2019-01-24 (주)효성에너지 반투명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온실
KR101945916B1 (ko) 2018-08-31 2019-02-08 이도익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46210B1 (ko) 2018-08-31 2019-02-08 이도훈 제설 및 방풍 기능이 구비된 투명하우스
KR101946209B1 (ko) 2018-08-31 2019-02-08 이도익 박막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온실
KR101950879B1 (ko) * 2018-08-31 2019-02-21 (주)효성에너지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101950880B1 (ko) * 2018-08-31 2019-02-21 (주)효성에너지 에너지 자립형 온실
KR101968095B1 (ko) * 2017-11-30 2019-04-11 주식회사 선우시스 태양광모듈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74004B1 (ko) * 2017-12-07 2019-08-2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다공성 태양광발전용패널
KR102134092B1 (ko) * 2019-02-18 2020-07-15 조창희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20220101266A (ko) * 2021-01-11 2022-07-19 한솔테크닉스(주) 식물 재배 시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468B1 (ko) 2008-10-27 2011-11-2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장치, 휴대 전자 기기, 및 위성 항법 시스템 장치
KR101090416B1 (ko) 2009-06-30 2011-12-06 주식회사 티지에너지 염료감응 태양전지 단위 셀의 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
KR101089758B1 (ko) 2009-12-16 2011-12-07 심병선 에너지 자립형 온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7468B1 (ko) 2008-10-27 2011-11-25 샤프 가부시키가이샤 태양 전지 장치, 휴대 전자 기기, 및 위성 항법 시스템 장치
KR101090416B1 (ko) 2009-06-30 2011-12-06 주식회사 티지에너지 염료감응 태양전지 단위 셀의 구조 및 그의 연결방법
KR101089758B1 (ko) 2009-12-16 2011-12-07 심병선 에너지 자립형 온실

Cited By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025950A (zh) * 2014-05-20 2014-09-10 张家港永联天天鲜配送有限公司 一种温室大棚
WO2016093397A1 (ko) * 2014-12-11 2016-06-16 장민준 솔라셀 모듈을 구비한 온실
CN104509414A (zh) * 2014-12-15 2015-04-15 中国科学院广州能源研究所 一种能量自给型智能温室大棚控制系统及方法
KR20160074120A (ko) * 2014-12-18 2016-06-28 김동수 통풍용 개폐기구가 구비되는 유리 엘이디 패널 온실
KR101656152B1 (ko) * 2014-12-18 2016-09-08 김동수 통풍용 개폐기구가 구비되는 유리 엘이디 패널 온실
KR101808117B1 (ko) * 2016-03-30 2017-12-13 주식회사 선우시스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20254B1 (ko) 2016-11-07 2018-11-20 주식회사 선우시스 교체가 용이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68095B1 (ko) * 2017-11-30 2019-04-11 주식회사 선우시스 태양광모듈을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74004B1 (ko) * 2017-12-07 2019-08-23 한국남동발전 주식회사 다공성 태양광발전용패널
KR101940739B1 (ko) * 2018-08-31 2019-01-24 (주)효성에너지 반투명한 태양전지를 이용한 온실
KR101946210B1 (ko) 2018-08-31 2019-02-08 이도훈 제설 및 방풍 기능이 구비된 투명하우스
KR101946209B1 (ko) 2018-08-31 2019-02-08 이도익 박막 태양 전지 모듈 및 이를 구비한 태양광 온실
KR101950879B1 (ko) * 2018-08-31 2019-02-21 (주)효성에너지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101950880B1 (ko) * 2018-08-31 2019-02-21 (주)효성에너지 에너지 자립형 온실
KR101945916B1 (ko) 2018-08-31 2019-02-08 이도익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923048B1 (ko) 2018-08-31 2018-11-28 이도훈 태양전지를 구비한 농업용 하우스
KR102134092B1 (ko) * 2019-02-18 2020-07-15 조창희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20220101266A (ko) * 2021-01-11 2022-07-19 한솔테크닉스(주) 식물 재배 시설
KR102575203B1 (ko) * 2021-01-11 2023-09-06 한솔테크닉스(주) 식물 재배 시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38333B1 (ko)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US7737356B2 (en) Solar cell device
KR101314790B1 (ko) 태양전지 모듈
US20120042930A1 (en) Dye-sensitized solar cell and dye-sensitized solar cell module
JP4606777B2 (ja) 湿式太陽電池
US20160351344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US20110277807A1 (en) Photoelectric conversion module
KR101219351B1 (ko) 염료감응 태양전지 모듈 및 그 제조방법
KR101400207B1 (ko) 단열용 태양전지 구조물 및 그 제조방법
JP2008123894A (ja) 光電変換素子モジュール
KR101950879B1 (ko)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101479533B1 (ko) 삽입형 리본 전극을 갖는 태양 전지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KR102134092B1 (ko) 태양 전지 모듈을 구비한 유리 온실
KR101044338B1 (ko) 염료 및 다원자음이온이 흡착된 나노 산화물층을 포함한 음극계 전극을 포함하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이의 제조방법
WO2010042170A2 (en) Interconnection of adjacent devices
CN202949381U (zh) 一种用于光伏太阳能建筑一体化的光伏电池装置
JP5969844B2 (ja) 色素増感太陽電池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920254B1 (ko) 교체가 용이한 태양전지를 활용한 태양광 발전 온실
KR101071699B1 (ko) 염료감응형 태양전지
JP2009009851A (ja) 光電変換装置
KR101163198B1 (ko) 복층형 광기전력 모듈 및 그 제조 방법
CN220420579U (zh) Led显示模组及具有其的led显示装置
KR101422509B1 (ko) 표면구조화 azo 글래스 투명전극을 구비한 금속 플렉시블 염료감응 태양전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30006982A (ko) 태양전지 결합형 한식 창호
US20180358185A1 (en) Electrolyte of dye-sensitize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for low illuminance and dye-sensitized photoelectric conversion element for low illuminance us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23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129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