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915B1 -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 - Google Patents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915B1
KR101945915B1 KR1020150101150A KR20150101150A KR101945915B1 KR 101945915 B1 KR101945915 B1 KR 101945915B1 KR 1020150101150 A KR1020150101150 A KR 1020150101150A KR 20150101150 A KR20150101150 A KR 20150101150A KR 101945915 B1 KR101945915 B1 KR 1019459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dio frame
communication
vehicle
subframe
sm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11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01528A (ko
Inventor
박상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ublication of KR2017000152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0152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9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9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43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 H04B7/265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using time-division multiple access [TDMA] for structure of frame, burs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04B7/2612Arrangements for wireless medium access control, e.g. by allocating physical layer transmission capac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이 개시된다.
이러한 방법에서 먼저,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제2 무선 프레임을 인지한다. 그 후, 인지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한다. 여기서, 상기 인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METHOD FOR ALLOCATING RESOURCE FOR VEHICLE TO EVERYTHING, AND APPARATUS AND BASEMENT FOR PERFORMING VEHICLE TO EVERYTHING}
본 발명은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데이터 트래픽의 급증으로 인해 기지국 혹은 AP(Access Point)로 집중되는 트래픽의 과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단말간 직접(Device-to-Device, 이하 'D2D'라 칭함) 통신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D2D 통신은 기지국 혹은 AP와 같은 중앙 집중형 접속점으로 구성된 인프라 구조(infrastructure) 없이 인접한 단말들이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D2D 통신 기술을 이동통신 시스템에 융합시키는 경우에는 기지국의 트래픽 수용 능력을 증가시키고 과부하를 줄일 수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즉, 동일한 셀 또는 서로 인접한 셀 내의 단말(User Equipment; UE)들이 서로 간에 D2D 링크를 설정한 후 기지국(evolved NodeB)을 거치지 않고 D2D 링크를 통해서 데이터를 직접 주고받는 경우, 2개의 링크를 1개의 링크로 줄일 수 있는 이점을 얻을 수 있다.
한편, 운전 중 도로 인프라 및 다른 차량과 통신하면서 교통상황 등의 정보를 교환하거나 공유하는 기술인 차량과 모든 개체간 통신인 차량 직접(Vehicle to Everything, 이하 "V2X"라 함) 통신은 현재의 LTE(Logn Term Evolution) 기반의 D2D 통신을 업그레이드하여 적용하려 하고 있다. 여기서, V2X는 Vehicle-to-X의 줄임 말로써, 차량과 차량(Vehicle to Vehicle), 차량과 인프라(Vehicle to Infra) 및 차량과 보행자(Vehicle to Pedestrian)를 포함한다.
상기한 D2D는 디스커버리(Discovery)와 직접 통신(Direct Communication)의 두 가지로 나뉘는데, 직접 통신의 경우 단말간에 직접 데이터를 주고 받는 반면에, 디스커버리의 경우 약 수 백 비트 정도의 매우 작은 정보만 주고 받을 수 있다. 이러한 D2D 통신은 FDD(Frequency Devision Duplexing) 방식의 경우 셀룰라 기지국의 업링크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고, TDD(Time Devision Duplexing) 방식의 경우에는 업링크 서브프레임(Uplink subframe)을 이용하여 송수신이 모두 진행된다. 또한, LTE D2D의 경우 일정 주기마다 D2D를 위한 자원이 할당된 구간에서만 D2D 통신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V2X가 기존 D2D의 기술을 업그레이드하여 진행할 경우, 즉, 셀룰라 기지국의 업링크 리소스를 이용하여 V2X의 직접 통신의 송수신을 모두 진행할 경우, LTE D2D와 마찬가지로 일정 주기마다 V2X의 직접 통신을 위해 자원이 할당된 구간에서만 V2X의 직접 통신을 진행할 수 있게 된다.
그런데, 지연에 민감한(Latency Critical) 서비스가 많이 존재하는 V2X의 경우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주기를 매우 짧게 하지 않으면, V2X의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의 요구 사항을 만족할 수 없게 된다. TDD 방식의 도입이 유력시되는 5G 이동통신망에서도 동일 문제가 예상된다.
따라서, 상기한 요구 사항을 만족시키기 위해 V2X의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주기를 짧게 만들 경우, FDD 방식의 경우 큰 문제가 없다. 하지만, TDD 방식의 경우, V2X의 직접 통신이 셀룰라 기지국의 업링크 자원이 할당된 시간에서 직접 통신을 위해 자원이 할당되는 순간만 가능하기 때문에 셀룰라 기지국의 업링크와 다운링크(Downlink)가 시간 축상에서 일정 패턴으로 번갈아 사용되는 TDD 방식에서는 지연을 증가시키는 추가적인 요소가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차량 직접 통신시 지연 요구를 만족시킬 수 있는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한 특징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은,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제2 무선 프레임을 인지하는 단계; 인지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인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모두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복수의 제1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성에 포함되는 각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구성에 따라 상기 제1 구성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제2 구성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에 따른 차량 직접 통신 장치는,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에 기반하는 제2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2 무선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사용하여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정보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가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에 상기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은,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에 기반하는 제2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2 무선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에 상기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상기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상기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 또는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과의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또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기지국은,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기반하는 제2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2 무선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사용하여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통신을 수행할 단말이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하고,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경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의 통신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은,
기지국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으로서, 통신을 수행할 단말이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을 인지하는 단계;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기반하는 제2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2 무선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됨-에 대해,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이 할당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이 할당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차량 직접 통신시 지연에 민감한 서비스 요구 사항을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에서 사용하는 자원의 낭비없이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할 수 있다.
도 1은 LTE 기반 TDD의 자원 할당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형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형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소형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4에 도시된 소형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적용된 예 중 특수 소형 서브프레임이 묵시적으로 포함되는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1의 자원 할당 구성에 대응하되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2의 자원 할당 구성에 대응되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조와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장치의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의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기",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먼저, V2X의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주기를 짧게 해야 하는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FDD 방식의 경우 상기한 바와 같이 셀룰라 기지국에서 사용하는 업링크 주파수 대역을 사용하기 때문에, V2X 송수신 주기를 짧게 하는데 큰 문제가 없다.
반면에, TDD 방식의 경우 업링크와 다운링크가 동일한 주파수를 사용하기 때문에, 업링크와 다운링크 리소스가 시간 축 상에서 일정 패턴을 가지고 할당된다. 예를 들면, LTE 기반 TDD의 자원 할당 구성을 도시한 도 1을 참조하면, 시간 축상에서 업링크(U)와 다운링크(D)의 서브프레임이 나누어 할당된다. 따라서, 업링크의 자원을 사용하는 V2X 통신의 경우, 데이터 송수신 주기를 빠르게 가져가는데 한계가 있다.
도 2에서, 구성(configuration) 3의 예를 보면, 최악의 경우 무선 프레임(Radio Frame) 구조로 인하여 약 7ms의 기본 지연이 존재한다.
V2X의 경우 D2D와 마찬가지로 하드웨어 구현 이슈로 인하여 FDD 방식보다는 TDD 방식을 선호할 것으로 예상되며, 5G 이동통신에서도 TDD 방식의 도입이 유력시 됨에 따라 이러한 TDD 방식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 프레임 구조 및 이러한 무선 프레임 구조에 따른 자원 할당 방법이 요구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이 적용되는 통신 환경을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차량(21, 22)과 단말(31)은 차량 직접 통신이 가능한 V2X 장치를 탑재하고 있어서 기지국(10)과의 통신(①, ②)은 물론 차량 대 차량 또는 차량 대 단말간 직접 통신(③, ④) 모두가 지원 가능하지만, 단말(32, 33)은 V2X 장치를 탑재하고 있지 않아 기지국(10)과의 통신(①, ②)만이 가능하다. 여기서, 기지국(10)과의 통신(①, ②)은 업링크와 다운링크 자원을 각각 할당받아서 진행되지만, V2X 통신(③, ④)의 경우 기지국(10)의 업링크를 위하여 할당되는 자원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의 송수신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V2X 장치의 경우 기본적으로 직접 통신을 전제로 하며, 차량 또는 인프라에 연결되어 있기 때문에 단말의 경우와 달리 전원이 문제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장치가 사용하는 무선 프레임에 대해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으로, (a)는 V2X를 지원하지 않는 통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이하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라고 함)이고, (b)는 V2X를 지원하는 통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이하 V2X의 무선 프레임 구조"라고 함)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V2X를 지원하지 않는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1ms의 길이를 갖는다. 이러한 구조는 도 2에 기지국(10)이 V2X 장치를 탑재하지 않은 단말(32, 33)과의 통신을 수행하는데 사용되며, 기존의 LTE 기반의 무선 프레임 구조이거나 또는 5G에서 사용될 무선 프레임 구조에 해당될 것이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V2X를 지원하는 통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로써, 도 3의 (a)에 도시된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프레임, 즉 소형 서브프레임(n_subframe)으로 작게 나누어서 추가적으로 업링크 자원을 할당할 수 있는 시간을 확보한다. 특히, V2X 통신은 업링크 자원을 사용하기 때문에 업링크 자원으로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모두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지만, 다운링크 자원으로 할당되는 서브프레임에 대해서는 다운링크 자원만이 아니라 업링크 자원도 할당되도록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한다.
예를 들면, 도 3의 (a) 및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필요에 따라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1)을 모두 다운링크 자원이 할당되는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2)을 다운링크와 업링크 자원이 혼합되어 할당되는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때, 도 3의 (b)에 도시된 다운링크 소형 서브프레임(D3)에 해당되는 자원은 기지국(10)과 V2X 단말(21, 22, 31)의 다운링크 통신을 위하여 사용되고,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에 해당되는 자원은 기지국(10)과 V2X 단말(21, 22, 31)의 업링크 통신 및 V2X 단말(21, 22, 31)간의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된다. 즉, 도 3의 (b)에 도시된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U1)에 해당되는 자원 중에서 전부 또는 일부를 V2X 단말(21, 22, 31)의 직접 통신을 위해 사용한다. 이 경우, 기존 LTE 기반의 D2D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은 정적 주기(Static Period)마다 정적인 구간동안 진행될 수도 있고, 소형 서브프레임의 구성에 따라 준 정적 주기(Semi-static Period)와 구간(Duration)이 정해질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V2X를 지원하지 않는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 기존 LTE 기반의 서브프레임을 복수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되, 특히 기존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포함되도록 분할함으로써 V2X를 위한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 업링크 자원의 할당 주기가 짧아지게 된다. 도 3에서 예를 들면, 기존의 (a)에 따른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는 업링크 서브프레임이 5번의 서브프레임의 주기로 할당되지만, (b)에 따른 V2X를 위한 소형 서브프레임 구조에서는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서브프레임 기준으로 늦어도 2개의 서브프레임 주기 내에 할당됨을 알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소형 서브프레임(n_subframe)의 구성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소형 서브프레임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의 서브프레임의 경우 0.5ms의 타임 슬롯 두 개가 모여 1ms의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TX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 LTE 기반 V2X(여기서는 "LTE-V2X"라고 칭함)의 경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보다 작게 분할하여 새로운 소형 서브프레임(n_subframe)을 생성한다.
그러나, 기존 LTE와의 호환성을 고려하여 소형 서브프레임의 정수배가 하나의 서브프레임(1ms)이 되도록 소형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설정한다. 즉, 도 4를 참조하면, 소형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αms라고 하고,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구성하는 소형 서브프레임의 개수를 N이라고 할 때 α * N = 1이 되도록 소형 서브프레임의 길이를 설정하게 된다.
한편,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소형 서브프레임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소형 서브프레임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해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먼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이 업링크 서브프레임에서만 이루어지므로, 업링크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는 분할되는 소형 서브프레임들이 모두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할당된다.
그러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의 경우에는 V2X 통신을 위한 자원 주기를짧게 하기 위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이 여러 개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U11, U12), 다운링크 소형 서브프레임(D11, D12) 그리고 특수(S:Special) 소형 서브프레임(S11, S12)으로 분할된다. 이 때, 특수 소형 서브프레임의 경우 도 3의 (a)에 도시된 기존의 특수 서브프레임과 같이 다운링크, 보호 구간(guard period), 업링크가 선택 가능한 일정 비율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특수 소형 서브프레임의 경우 몇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모여야 LTE에서 하나의 서브프레임 길이와 같아지냐에 따라 명확하게(explicit) 구별될 수도 있고, 아니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운링크 소형 서브프레임(D21)과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U21) 내에 묵시적(implicit)으로 포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V2X 통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의 구조는 기지국이 5G는 물론 다른 세대의 통신 방식으로 진화할 경우 그에 맞는 크기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 적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과 5G 기반 V2X 통신의 무선 프레임 구조의 관계는 기존 LTE의 경우와 동일하게 적용될 것이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통신을 위한 무선 프레임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은 LTE 기반 TDD의 자원 할당 구성과 같이 여러 개의 구성(Configuration)을 가지게 된다.
이러한 구성은 동적(Dynamic) 또는 준 정적(Semi-static) 방식으로 변경될 수 있다. 이때, 서브프레임에 대한 소형 서브프레임의 분할 방식에 따라서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 대응하여 여러 개의 V2X 통신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이 존재할 수 있다.
도 8은 도 1에 도시된 구성 1(Configuration 1)의 자원 할당 구성에 대응하되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9는 도 1에 도시된 구성 2(Configuration 2)의 자원 할당 구성에 대응되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하나의 서브프레임을 3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것으로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개수의 소형 서브프레임에도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도 8 및 도 9에서는 하나의 구성 1 및 2에 대해 각각 3개의 구성(구성 1.1, 1.2, 1.3, 2.1, 2.2, 2.3)이 존재하는 것으로만 가정하여 설명하지만 그 외에 다양한 구성이 추가로 존재할 수도 있다.
따라서, V2X 단말(21, 22, 31)은 다양한 구성 중에서 V2X 통신 환경이나 조건에 부합되는 구성을 설정하여 V2X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V2X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32, 33)을 위해 사용되는 기존의 무선 프레임 구성, 즉 LTE 기반 TDD의 자원 할당 구성 1의 경우 5개의 서브프레임에 대해, V2X 통신을 위한 구성 2.1(Configuration 2.1)의 경우 4개의 다운링크 소형 서브프레임, 7개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 그리고 4개의 특수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한다. 여기서,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의 경우 총 7개이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서 분할된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더 존재하게 되므로 V2X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의 자원이 확대되는 동시에 업링크 자원의 할당 주기 또한 짧아지게 된다.
한편, 상기한 바와 같이,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와 V2X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다르게 하여 자원을 할당함으로써 기지국의 다운링크 자원과 V2X 통신의 업링크 자원이 중복되는 경우가 발생하며, 이로 인해 두 통신 방식간의 간섭 발생이 야기된다. 이하, 상기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한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조와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 사이에 간섭이 발생하는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도 10의 (a)는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이고, (b)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조이다. 이러한 구조에서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조가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서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31, D32)을 작게 분할하고 그 중에서 일부를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U31, U32)으로 할당하게 된다. 이 경우, V2X 통신을 위해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U31, U32)이 사용되고, 기지국(10)이 V2X를 지원하지 않는 단말(32, 33)과의 통신을 위해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31, D32)를 사용하는 경우 상호 간에 간섭이 발생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이러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도 10에서 기지국의 무선 프레임 구조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D31, D32)에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에서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U31, U32)으로 자원이 할당되는 중복 영역(P31, P32)에서는 레이트 매칭(Rate Matching) 기법이나 펑쳐링(puncturing) 기법 등을 사용하여 자원을 할당하지 않는다. 도 10을 참조하면, 해당되는 중복 영역(P31, P32)에 대해서는 음영 처리를 하여 해당 중복 영역(P31, P32)에는 자원이 할당되지 않음을 나타낸다.
한편, 이 영역(P31, P32)의 경우 필요에 따라 기지국(10)은 컨트롤 신호와 파일롯(Pilot) 신호 등은 할당할 수도 있다. 이 경우, V2X 단말(21, 22, 31)은 해당 영역(P31, P32)에서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의 위치를 확인하고, 그 구간에는 기지국(10)으로의 업링크 데이터 또는 V2X 통신을 위한 통신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도록 한다.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사용하여 V2X 통신을 수행하는 V2X 장치에 대해 설명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장치(10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 때, 도 11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는 V2X 장치(10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장치(100)는 무선 통신부(110), 저장부(120), 사용자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UE)(130) 및 단말 제어부(140)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0)는 상기한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기지국(10)과의 무선 통신 또는 다른 V2X 단말(21, 22, 31)과의 V2X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 정보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 정보를 저장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30)는 V2X 단말(21, 22, 31)의 사용자에 대한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는 디스플레이, 음성 입출력 수단, 키 입력 수단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인터페이스(130)에 대해서는 이미 잘 알려져 있으므로 여기에서는 구체적인 설명을 생략한다.
단말 제어부(140)는 기지국(10)으로부터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반한 구성 정보를 전달받아서 저장부(120)를 통해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선택하고, 선택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에 기반하여 통신부(110)를 사용하여 기지국(10)과의 무선 통신 또는 다른 V2X 단말(21, 22, 31)과의 V2X 통신을 수행한다. 이 때, 단말 제어부(140)는 통신부(110)를 통해 상기에서 선택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 정보를 기지국(10)으로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단말 제어부(140)는 기지국(10)으로부터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또한,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 중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 중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과 중복되는 영역(P31, P32)을 확인하여 해당 영역(P31, P32)에서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의 위치에 해당하는 영역에는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장치(100)의 자원 할당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V2X 장치(100)의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먼저, V2X 장치(100)는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인지한다(S100). 예를 들어, V2X 장치(100)는 상기 단계(S100)에서 V2X 통신을 위한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이 도 1에 도시된 구성 중에서 구성 2(Configuration 2)인 것을 인지하는 것으로 가정한다.
다음, V2X 장치(100)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선택한다(S110). 이러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은 상기 단계(S100)에서 인지된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에 종속적이다. 즉, 상기 단계(S100)에서 인지된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에 대응되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 중에서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상기 예를 들면,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이 구성 2이므로, V2X 장치(10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 2.1 내지 구성 2.3 중에서 하나를 선택하게 된다. 본 예에서는 구성 2.1이 선택되는 것을 가정한다.
다음, V2X 장치(100)는 기지국(10)으로부터 컨트롤 신호 및 파일롯 위치를 확인한다(S120).
그 후, 상기 단계(S100)에서 인지된 구성(이하 "제1 구성"이라 함)과 상기 단계(S110)에서 선택된 구성(이하 "제2 구성"이라 함)에서, 제1 구성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제2 구성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을 확인한다(S130). 상기 예를 참조하면, 중복되는 영역(P31, P32)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다.
그리고, 중복되는 영역(P31, P32)에 상기 단계(S120)에서 확인된 컨트롤 신호 및 파일롯 위치가 포함되어 중복되는지를 판단한다(S140).
만약 상기 단계(S140)에서 중복되는 것으로 판단되면 V2X 장치(100)는 중복되는 영역(P31, P32)에 업링크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다(S150).
상기 단계(S140)에서 중복이 안되는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S150) 이후에는 상기 단계(S110)에서 선택된 제2 구성, 즉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사용하여 기지국(10)과의 통신 또는 V2X 통신을 수행한다(S160).
다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에 대해 설명한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에서도 설명의 편의상 본 발명의 특징과 관련 없는 기지국(10)의 일반적인 구성 및 그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였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은 무선 통신부(11), 저장부(12) 및 기지국 제어부(13)를 포함한다.
무선 통신부(11)는 도 1에 도시된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사용하여 V2X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32, 33)과 무선 통신을 수행하거나 또는 도 3 내지 도 9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조를 사용하여 V2X 단말(21, 22, 31)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저장부(12)는 단말(21, 22, 31, 32, 33)에 대한 정보, 특히 V2X 통신을 지원하는지의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2)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 정보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 정보를 저장한다.
또한, 저장부(12)는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 정보에서 컨트롤 신호와 파일롯의 위치 정보를 저장한다.
기지국 제어부(13)는 무선 통신부(11)를 통해 통신을 수행할 단말이 V2X 통신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하고, V2X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32, 33)인 경우에는 저장부(12)에 저장된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조에 기반한 구성 정보를 선택하여 무선 통신부(11)를 통해서 무선 통신을 수행하지만, 만약 V2X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21, 22, 31)인 경우에는 저장부(12)에 저장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선택하여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부(13)는 V2X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21, 22, 31)인 경우에는 저장부(12)에 저장된 컨트롤 신호와 파일롯 위치 정보를 단말(21, 22, 31)로 전달한다.
또한, 기지국 제어부(13)는 V2X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32, 33)인 경우에는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 중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에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 중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과 중복되는 영역(P31, P32)을 확인하여 해당 영역(P31, P32)에는 다운링크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의 자원 할당 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기지국(10)의 자원 할당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14를 참조하면, 기지국(10)은 무선 통신을 수행할 단말이 V2X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인지 여부를 저장부(12)를 통해 확인한다(S200).
만약 단말이 V2X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32, 33)인 경우(S210), 기지국(10)은 저장부(12)를 통해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인지하고(S220), V2X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21, 22, 31)을 위해 할당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이 있는지를 확인한다(S230).
만약 할당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10)은 상기 단계(S220)에서 인지되는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과 상기 단계(S230)에서 확인되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에서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P31, P32)을 확인한다(S240).
그리고, 확인되는 중복되는 영역(P31, P32)에는 무선 통신을 위한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다(S250).
만약 상기 단계(S230)에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이 할당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거나 또는 상기 단계(S250) 후에는 기지국(10)은 상기 단계(S220)에서 인지되는 기지국(10)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사용하여 V2X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32, 33)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S260).
한편, 상기 단계(S210)에서 V2X 통신을 수행하는 단말(21, 22, 31)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기지국(10)은 단말(21, 22, 31)로부터 선택되거나 또는 기지국(10)이 직접 선택하는 형태로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인지하고(S270), 인지되는 V2X 방식의 무선 프레임 구성을 사용하여 단말(21, 22, 31)과의 무선 통신을 수행한다(S260).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Claims (19)

  1. 차량 직접(Vehicle to Everything:V2X)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되는 제2 무선 프레임을 인지하는 단계;
    인지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서로 다른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사용하는
    자원 할당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지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Downlink)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Uplink)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업링크(Uplink)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모두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이 복수의 제1 구성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구성에 포함되는 각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을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과 다운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구성에 따라 상기 제1 구성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제2 구성이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중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7.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에 있어서,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에 기반하는 제2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2 무선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사용하여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 정보를 수신하여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선택하고, 선택된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사용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가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단말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서로 다른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사용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 제어부는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에 상기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10.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장치가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기지국 사이의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에 기반하는 제2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2 무선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인지하는 단계;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 상에서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의 위치 정보를 전달받는 단계;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에 상기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상기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는 경우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상기 컨트롤 신호나 파일롯이 위치하지 않거나 또는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단계 후에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기지국과의 무선 통신 또는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과의 차량 직접 통신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2. 제10항 또는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3.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을 사용하여 통신을 수행하고,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기반하는 제2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2 무선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사용하여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무선 통신부; 및
    통신을 수행할 단말이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지를 확인하고,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의 경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가 통신을 수행하도록 하고,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경우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에 자원을 할당하여 상기 무선 통신부가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기지국 제어부
    를 포함하며,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서로 다른 무선 프레임의 구조를 사용하는
    기지국.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 제어부는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지 않는 단말과의 통신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
  16. 기지국이 자원을 할당하는 방법에 있어서,
    통신을 수행할 단말이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인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이 아닌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제1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1 무선 프레임은 복수의 서브프레임으로 구성됨-을 인지하는 단계;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에 기반하는 제2 무선 프레임-여기서 제2 무선 프레임은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서브프레임을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으로 분할하는 형태로 구성됨-에 대해,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중복되는 영역에 데이터를 할당하지 않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확인하는 단계는,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을 위해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이 할당되고 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이 할당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의 다운링크 서브프레임과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이 중복되는 영역을 확인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자원 할당 방법.
  18.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프레임을 구성하는 다운링크 서브프레임에 대응되는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의 복수 개의 소형 서브프레임이 적어도 하나의 업링크 소형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인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상기 차량 직접 통신을 지원하는 단말의 통신을 위해 상기 제2 무선 프레임을 할당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원 할당 방법.
KR1020150101150A 2015-06-25 2015-07-16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 KR10194591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50090691 2015-06-25
KR1020150090691 2015-06-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28A KR20170001528A (ko) 2017-01-04
KR101945915B1 true KR101945915B1 (ko) 2019-02-08

Family

ID=578315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1150A KR101945915B1 (ko) 2015-06-25 2015-07-16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91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8700B1 (ko) * 2017-03-21 2021-08-11 주식회사 윌러스표준기술연구소 사용자 장치의 메모리 저장 정보를 이용하는 무선 통신 방법 및 장치
EP3603293B1 (en) 2017-03-23 2023-03-15 Apple Inc. Prioritized messaging and resource selection in vehicle-to-vehicle (v2v) sidelink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81344B1 (ko) * 2012-04-24 2017-09-26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사물 통신을 위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사물 통신 장치
KR20140129911A (ko) * 2013-04-30 2014-11-07 인텔렉추얼디스커버리 주식회사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01528A (ko) 2017-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402269B1 (en) 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device
US10624115B2 (en) Radio resource scheduling method, device and system
JP2023532563A (ja) ビーム失敗決定方法、装置、デバイス及び記憶媒体
KR20200120533A (ko) 사이드링크 통신을 수행하는 방법 및 그 장치
US11800557B2 (en) Transport block size for contention free random access in random access procedure
WO2017128275A1 (zh) 用于副链路数据传输的方法以及终端
US11864194B2 (en) Service data transmission method, user equipment, and network device
US20190069319A1 (en) Preconfigured grants with a distribution pattern
CN112534909B (zh) 用于发送指示信息的方法、设备和系统
WO2018014295A1 (zh) 资源分配的方法和设备
US20220070926A1 (en)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and user equipment
KR101945915B1 (ko) 차량 직접 통신을 위한 자원 할당 방법과, 그 방법을 수행하는 차량 직접 통신 장치 및 기지국
US9374820B2 (en) Dynamic temporary block flow scheduling
KR102155204B1 (ko) 5g 이동통신에서 무상관 빔을 이용한 그룹 기반 빔 보고 방법 및 장치
KR20200050821A (ko) Nr 시스템에서 사이드링크를 위한 자원 풀 구성 방법 및 장치
KR20220071950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추가 pqi를 사용한 데이터의 전송 방법 및 장치
KR20220069853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페이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EP4040904A1 (en) Random access method and terminal device
KR20220046621A (ko) 피드백 채널 할당 및 송신 방법 및 디바이스
WO2023065277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JP5654602B2 (ja) 無線基地局及び通信制御方法
WO2022147716A1 (zh) 数据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23065276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random access procedure
KR20220069856A (ko) 사이드링크 통신에서 페이징을 위한 방법 및 장치
WO2024097471A1 (en) Reference duration definition and contention window adjustment in sidelink-unlicens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