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830B1 -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830B1
KR101945830B1 KR1020120055434A KR20120055434A KR101945830B1 KR 101945830 B1 KR101945830 B1 KR 101945830B1 KR 1020120055434 A KR1020120055434 A KR 1020120055434A KR 20120055434 A KR20120055434 A KR 20120055434A KR 101945830 B1 KR101945830 B1 KR 10194583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ing picture
decoder
clips
processor
decoding
Prior art date
Legal status (The legal status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status listed.)
Expired - Fee Related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54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131695A (ko
Inventor
장도영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554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830B1/ko
Priority to US13/892,490 priority patent/US9497434B2/en
Priority to EP13169238.6A priority patent/EP2667629B1/en
Priority to CN201310196874.4A priority patent/CN103428570B/zh
Priority to AU2013264492A priority patent/AU2013264492B2/en
Priority to RU2014147039A priority patent/RU2619089C2/ru
Priority to PCT/KR2013/004556 priority patent/WO2013176510A1/en
Priority to JP2015513944A priority patent/JP6284931B2/ja
Publication of KR201301316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1695A/ko
Priority to ZA2014/07680A priority patent/ZA201407680B/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8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830B1/ko
Expired - Fee Related legal-status Critical Current
Anticipated expiration legal-status Critical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76Television signal recording
    • H04N5/91Television signal processing therefor
    • H04N5/93Regeneration of the television signal or of selected parts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79Processing of colour television signals in connection with record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10Digital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1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 H04N21/4312Generation of visual interfaces for content selection or interaction; Content or additional data rendering involving specific graphical features, e.g. screen layout, special fonts or colors, blinking icons, highlights or anim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 H04N21/44004Processing of video elementary streams, e.g. splicing a video clip retrieved from local storage with an incoming video stream or rendering scenes according to encoded video stream scene graphs involving video buffer management, e.g. video decoder buffer or video display buff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82End-user interface for program sele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4Content authoring
    • H04N21/8549Creating video summaries, e.g. movie trail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2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 H04N21/4325Content retrieval operation from a local storage medium, e.g. hard-disk by playing back content from the storage mediu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vision Signal Processing For Recording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수의 동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은 동영상을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장치에서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디코더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코더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 2 디코더로써 동영상을 디코딩하여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클립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AYING VIDEOS}
본 발명은 다수의 동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휴대 단말은 현대인에게 필수품이라고 할 수 있다. 즉 휴대 단말은 남녀노소를 막론하고 사용하고 있으며, 무선 음성 통화 및 정보 교환이 가능한 매체로 이용되고 있다. 휴대 단말의 보급 초기에는 단순히 휴대할 수 있고, 무선 통화가 가능한 것으로 인식되었으나, 기술의 발달에 따라 다양한 서비스와 기능을 제공한다. 예를 들어, 휴대 단말은 폰북(phone book), 게임(game),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메일(email), 모닝콜(morning call), 뮤직 플레이어, 일정 관리 기능, 디지털 카메라 및 무선 인터넷 서비스가 가능한 멀티미디어 기기로 발전하여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한다.
휴대 단말은 동영상(예컨대, MPEG, AVI 등)을 디코딩(decoding)하는 하드웨어 디코더와, 디코딩된 동영상을 D/A(Digital to Analog) 변환하여 표시하는 터치스크린을 구비함으로써,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또한 최근에 휴대 단말은 고성능의 프로세서를 탑재하여 다양한 기능을 동시에 그리고 빠르게 처리할 수 있다.
휴대 단말은 여러 개의 동영상을 동시에 재생할 수 있다. 예컨대, 휴대 단말은 터치스크린에서 프리뷰 요청 이벤트(예, 터치스크린에 표시되는 '프리뷰' 버튼을 탭(tab))를 검출할 수 있다. 프리뷰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휴대 단말은 동영상들 시간 분할하여 순차적으로 디코딩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은 디코딩된 동영상들의 크기(즉, 화면에 표시되는 크기)를 하향 변환한 다음, 저장부에 임시 저장한다. 다음으로 휴대 단말은 임시 보관된 동영상들을 동시에 표시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동시 재생 방법은 버퍼링 시간(즉, 디코딩 시간)이 필요하므로 사용자에게 답답한 느낌을 줄 수 있다. 다시 말해, 휴대 단말의 고성능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주기 어렵다.
본 발명은 여러 동영상을 버퍼링 없이 동시 재생함으로써 단말이 고성능임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 줄 수 있도록 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은 동영상을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장치에서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디코더의 사용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코더가 사용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가 제 2 디코더로써 동영상을 디코딩하여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클립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다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은 동영상을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와 이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가지는 장치에서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가 상기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을 챕터들 별로 디코딩하고 축소하여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장치는 동영상 및 이의 축소판인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는 저장부; 동영상을 디코딩하는 제 1 디코더; 디코딩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저장부, 상기 제 1 디코더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 1 디코더가 사용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디코더가 사용 중인 경우 동영상을 디코딩하여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며, 상기 동영상 클립을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장치는 동영상 및 이의 축소판인 동영상 클립을 저장하는 저장부; 동영상의 디코딩을 수행하는 제 1 디코더; 디코딩된 동영상을 표시하는 터치스크린; 및 상기 저장부, 상기 제 1 디코더 및 상기 터치스크린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동영상을 재생하도록 상기 제 1 디코더를 제어하고,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을 챕터들 별로 디코딩하고 축소하여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며, 상기 터치스크린으로부터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상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에 따르면, 본 발명은 여러 동영상을 버퍼링 없이 동시 재생함으로써 단말이 고성능임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 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이하에서 사용되는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아래 설명과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또한, 첨부 도면에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으며,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노트북 PC, 데스크탑 PC, TV, 내비게이션 장치 및 비디오폰 등과 같은 멀티미디어 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또한 멀티미디어 기기가 융합된 기기(예, 통신 기능 및 터치스크린을 가지는 냉장고)에도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동영상 클립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서 '동영상 클립'은 동영상에서 일부 또는 전체가 하드웨어 디코더 또는 소프트웨어 디코더에 의해 디코딩된 것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클립'은 디코딩과 함께 크기가 작게 리사이징(resizing)된 것일 수도 있다. 즉 동영상 클립은 원본의 축소판(thumbnail)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영상 클립의 크기는 304*208 또는 336*208이 될 수 있다. 물론 축소되지 않을 경우, 동영상 클립의 크기는 원본과 동일할 수도 있다. 동영상 클립은 원본과는 별도로,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동영상 클립은 원본이 삭제될 경우 같이 삭제될 수 있다. 또한 원본의 재생이 완료될 경우, 삭제될 수 있다(즉 임시 저장). 또한 동영상 클립의 삭제는 시간, 재생 빈도, 메모리의 사용 공간 등을 바탕으로 삭제될 수 있다. 예컨대, 저장 시간이 2일 경과된 경우 해당 동영상 클립은 삭제될 수 있다. 저장 후 2일 이내에 한 번도 재생되지 않은 경우, 해당 동영상 클립은 삭제될 수 있다. 메모리의 사용 공간이 500MB 이내로 줄어든 경우, 저장 시간이 하루 지난 동영상 클립들은 삭제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제 1 동영상(Video 1) 및 제 2 동영상(Video 2)이 저장부에 저장될 수 있다. 동영상들(Video 1, Video2)은 각각, 다수의 챕터(chapter)(예, C1 내지 C5)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챕터 간의 구분은 시간이 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챕터의 재생 시간은 10분이 될 수 있다. 동영상 클립(110)은 동영상별로 생성되는데, 특히, 동영상의 각 챕터별로 생성될 수 있다. 여기서 한 챕터에서 일 부분만(예컨대, 챕터의 재생 시간 10분 중 처음 부분에서부터 10초) 동영상 클립으로 변환될 수 있다. 물론 동영상 전체가 동영상 클립으로 변환될 수도 있다. 동영상 클립은 장치가 충전 중이며 표시부가 오프(OFF) 상태일 때 생성될 수 있다. 동영상 클립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에서 썸네일 뷰(thumbnail view) 또는 챕터 뷰(Chapter view) 모드가 실행될 때, 생성될 수도 있다. 동영상 클립은 동영상 재생 어플리케이션에서 전체 화면 모드로 동영상이 재생될 때 생성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장치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장치(200)는 표시부(210), 저장부(220), 저장부 인터페이스(225), 오디오 처리부(230), 스피커(SPK), 마이크(MIC), 카메라(240), 무선통신부(245), 주변기기(peripheral device) 인터페이스(250), 코덱(260), 버스(270) 및 제어부(280)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표시부(21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코덱(260) 또는 제어부(280)로부터 입력받은 영상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표시한다. 즉, 표시부(210)은 장치(200)의 이용에 따른 다양한 화면 예를 들면, 잠금 화면, 홈 화면, 어플리케이션(줄여서 '앱(App)') 실행 화면, 키패드 화면 등을 표시할 수 있다. 잠금 화면은 표시부(210)가 켜지면, 표시부(210)에 표시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잠금 해제를 위한 터치 제스처가 검출되면 제어부(280)는 표시되는 영상을 잠금 화면에서 홈 화면 또는 앱 실행 화면 등으로 전환(changing)할 수 있다. 홈 화면은 다수의 앱에 각각 대응되는 다수의 앱 아이콘을 포함하는 영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수의 앱 아이콘 중 하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예, 아이콘을 탭)되면 제어부(280)는 해당 앱(예, 동영상 플레이어)을 실행하고, 그 실행 화면을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동영상 재생 중에, 프리뷰 요청 이벤트(예컨대, 동영상 플레이어 실행 화면에서 '동영상 프리뷰' 버튼에 대한 탭)을 검출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저장부(220)에 저장된 다수의 동영상에 각각 대응되는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에 재생한다. 즉 제어부(28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다수의 동영상 클립을 표시부(210)로 출력한다. 표시패널(112)은 제어부(280)로부터 수신된 동영상 클립들을 D/A 변환하여 표시한다.
표시부(21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상기 화면들 중에서 하나를 배경(background)으로 표시하고 다른 하나를 전경(foreground)으로써 상기 배경에 오버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210)는 앱 실행 화면을 표시하고, 그 위에 키패드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표시부(21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다수의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예컨대, 표시부(210)는 제 1 표시 영역에 동영상을 표시하고 제 2 표시 영역에 상기 표시 중인 동영상과 관련된 각 챕터별 동영상 클립들을 표시할 수 있다.
표시부(210)는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 LCD), OLED(Organic Light Emitted Diode), AMOLED(Active Matrix Organic Light Emitted Diode) 등의 평판 표시 패널의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표시부(210)는 사용자와의 상호 작용을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터치스크린(211)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11)은 표시부(210)에 안착(place on the display unit)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터치스크린(211)은 표시부(210) 위에 위치하는 애드 온 타입(add-on type)이나 표시부(210) 내에 삽입되는 온 셀 타입(on-cell type) 또는 인 셀 타입(in-cell type)으로 구현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211)은 터치스크린(211)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에 응답하여 아날로그 신호(예, 터치이벤트)를 발생하고, 아날로그 신호를 A/D 변환하여 제어부(280)로 전달한다. 제어부(280)는 전달된 터치이벤트로부터 사용자의 제스처를 검출한다. 즉, 제어부(280)는 터치 지점, 터치의 이동 거리, 터치의 이동 방향, 터치의 빠르기 및 터치의 압력 등을 검출하여 상기 구성들을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 제스처는 크게, 터치(Touch)와 터치 제스처(Touch gesture)로 구분된다. 다시 터치 제스처는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롱 탭(Long tap), 드래그(Drag), 드래그 앤 드롭(Drag&Drop), 플릭(Flick) 및 프레스(Press)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터치는 사용자가 화면의 어느 한 지점에 터치 입력 수단(예, 손가락이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접촉하는 조작이고, 탭은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touch-off)하는 조작이며, 더블 탭은 어느 한 지점을 연속적으로 두 번 탭하는 조작이며, 롱 탭은 탭보다 상대적으로 길게 터치한 후 터치 입력 수단의 이동 없이 해당 지점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드래그는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상태에서 터치 입력 수단을 소정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작이며, 드래그 앤 드롭은 드래그한 다음 터치 입력 수단을 터치 해제하는 조작이며, 플릭은 튀기듯이, 드래그에 비해 터치 입력 수단을 빠르게 이동시킨 다음 터치 해제하는 조작을 의미한다. 프레스는 터치 입력 수단으로 어느 한 지점을 터치한 후 해당 지점을 누르는 조작이다. 즉 터치는 터치스크린에 접촉(contact)하고 있는 상태를 의미하고, 터치제스처는 터치가 터치스크린에 접촉(touch-on)해서 터치 해제(touch-off)까지의 터치의 움직임을 의미한다.
터치스크린(211)은 압력 센서를 구비하여 터치된 지점의 압력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된 압력 정보는 제어부(280)로 전달되고, 제어부(280)는 감지된 압력 정보를 바탕으로 터치와 프레스를 구분할 수 있다. 터치스크린(211)은 저항막 방식(resistive type), 정전용량 방식(capacitive type) 및 전자유도 방식(electromagnetic induction type) 등이 적용될 수 있다.
저장부(22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장치(200)에서 생성(예, 카메라(240)의 촬영)되거나 무선통신부(245)를 통해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 특히, 다양한 동영상들(221)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제어부(280) 또는 코덱(260)에 의해 생성된 동영상 클립들(222)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동영상 클립들(222)은 각각, 동영상들(221)에 대응된다. 또한 저장부(220)는 상기 잠금 화면, 홈 화면 및 키패드 화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220)는 장치(200)의 운영을 위한 다양한 설정 값(예, 화면 밝기, 터치 발생 시 진동 여부, 화면의 자동 회전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220)는 다양한 프로그램들을 저장한다. 구체적으로 저장부(220)는 장치(200)의 부팅 운용을 위한 운영체제(OS, Operating System), 통신 프로그램, 이미지 처리 프로그램, 표시 제어 프로그램,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 내재화 어플리케이션(embedded application) 및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3rd party application)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프로그램은 무선통신부(245)를 통해 외부 장치와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은 표시부(210)에 표시될 그래픽을 처리하기 위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예, 이미지의 포맷 변환, 표시될 그래픽의 크기 조절, 랜더링(rendering) 및 표시부(210)의 백라이트유닛의 휘도 결정 등을 위한 모듈들)을 포함한다. 여기서 그래픽은 텍스트, 웹 페이지, 아이콘, 사진(picture), 동영상 및 애니메이션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그래픽 처리 프로그램은 소프트웨어 코덱(223)을 포함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덱(223)은 제어부(280)가 동영상을 디코딩(복호화)하는 디코더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와, 그 반대로 코딩(부호화; 예컨대, AVI, MPEG 등의 포맷으로 압축)하는 코더의 역할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명령어를 포함한다. 즉 제어부(280)는 소프트웨어 코덱(223)을 이용하여 디코더 및 코더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프로그램은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여러 가지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장치(200)에 기본적으로 탑재되어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예컨대 내재화 어플리케이션은 브라우저(browser), 이메일(email), 인스턴트 메신저(instant messenger) 등이 될 수 있다.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온라인 마켓으로부터 장치(200)에 다운로드되어 설치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의미한다. 이러한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설치 및 제거가 자유롭다. 예컨대, 서드파티 어플리케이션은 페이스북 및 트위터 등이 될 수 있다.
저장부 인터페이스(225)는 저장부(220)를 버스(270)를 통해 무선통신부(245), 코덱(260) 및 제어부(280)에 연결한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스피커(SPK) 및 마이크(MIC)와 결합하여 음성 인식, 음성 복제, 디지털 레코딩(recording) 및 전화 기능을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입력 및 출력 기능을 수행한다. 즉, 오디오 처리부(230)는 스피커(SPK)를 통해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MIC)을 통해 오디오 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기능을 수행한다. 오디오 처리부(230)은 제어부(170)로부터 오디오 데이터를 수신하고, 수신한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D/A 변환한 후, 아날로그 신호를 스피커(SPK)로 출력한다. 오디오 처리부(230)는 마이크(MIC)으로부터 아날로그 신호를 수신하여 오디오 데이터로 A/D 변환한 후, 오디오 데이터를 제어부(170)로 제공한다. 스피커(SPK)는 오디오 처리부(230)로부터 수신된 아날로그 신호를 음파(sound wave)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마이크(MIC)는 사람이나 기타 소리원(sound source)들로부터 전달된 음파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한다.
카메라(24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피사체를 촬영하여 제어부(280)로 출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카메라(240)는 빛을 모으기 위한 렌즈와, 이러한 빛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지 센서(예컨대, CMOS(Complementary Metal Oxide Semiconductor) 또는 CCD(Charge Coupled Device))와, 이미지 센서로부터 입력되는 전기 신호를 영상 데이터로 A/D 변환하여 제어부(280)로 출력하는 이미지 신호 처리부(Image Signal Processor; ISP)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카메라(240)의 ISP는 영상 데이터를 프리뷰 이미지로 가공(예컨대, 표시부(210)의 화면 크기에 맞게 해상도를 조절(resizing))하여 제어부(280)로 출력하는 표시 제어 모듈과, 영상 데이터를 코딩(예컨대, MPEG 포맷으로 압축)하여 제어부(280)로 출력하는 코딩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프리뷰 이미지를 표시부(210)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코딩된 동영상을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무선 통신부(245)는 음성 통화, 화상 통화 또는 데이터 통신을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수행한다. 이를 위하여 무선통신부(245)는 송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는 무선주파수 송신부와, 수신되는 신호의 주파수를 저잡음 증폭 및 하강 변환하는 무선주파수 수신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무선 통신부(245)는 이동 통신 모듈(예컨대, 3세대(3-Generation) 이동통신모듈, 3.5(3.5-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또는 4(4-Generation)세대 이동통신모듈 등), 디지털 방송 모듈(예컨대, DMB 모듈) 및 근거리 통신 모듈(예, 와이파이(Wi-Fi) 모듈,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주변기기 인터페이스(250)는 주변기기들(210, 230, 240)을 버스(270)를 통해 저장부(220), 코덱(260) 및 제어부(280)에 연결한다.
코덱(260)은 디코더(261)와 코더(262)를 포함한다. 디코더(261)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저장부(220), 무선통신부(240), 카메라(240) 또는 제어부(28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예, 동영상)을 디코딩하여 터치스크린(210)으로 출력한다. 또한 코더(262)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카메라(240) 또는 제어부(280)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예, 동영상)를 코딩(부호화; 예컨대, AVI, MPEG 등의 포맷으로 압축)하여 저장부(220)로 출력한다.
버스(270)는 상기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위한 전기 회로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버스(270)는 한 번에 처리할 수 있는 데이터의 양에 따라 ISA 버스(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bus), EISA 버스(Extended Industry Standard Architecture bus), VESA 버스(video electronics standards association bus) 및 PCI 버스(Peripheral Component Interconnect Bus) 등으로 구분된다.
제어부(280)는 장치(200)의 전반적인 동작 및 장치(200)의 내부 구성들 간의 신호 흐름을 제어하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그리고 제어부(280)는 배터리에서 내부 구성들로의 전원 공급을 제어한다. 제어부(280)는 CPU(central processing unit)(281)와 GPU(graphic processing unit)(282)를 포함할 수 있다.
주지된 바와 같이 CPU(281)는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컴퓨터 시스템의 핵심적인 제어 유닛이다. GPU(282)는 CPU(281)를 대신하여, 그래픽과 관련한 자료의 연산 및 비교와, 명령어의 해석 및 실행 등을 수행하는 그래픽 제어 유닛이다. 상기 프로세서들(281, 282)은 각각, 두 개 이상의 독립 코어(예, 쿼드 코어(quad-core); 도 2 참조)가 단일 집적 회로로 이루어진 하나의 패키지(package)로 통합될 수 있다. 또한 CPU(281)와 GPU(282)는 하나의 칩으로 통합(SoC; System on Chip)된 것일 수 있다. 또한 CPU(281)와 GPU(282)는 멀티 레이어(multi layer)로 패키징(packaging)된 것일 수도 있다. 좁게는, CPU(281) 및 GPU(282)를 포함하는 구성이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 있다. 넓게는, CPU(281), GPU(282), 버스(270), 코덱(260) 및 인터페이스들(225, 250)을 포함하는 구성이 AP(Application Processor)라고 지칭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은 CPU(281)에서 할 수 있다. 예컨대, CPU(281)의 제 1 내지 제 3 코어(core 0 to 3) 중 적어도 하나가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동영상 클립들을 터치스크린(21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다중 동영상 재생은 GPU(282)에서도 할 수 있다. 예컨대, GPU(282)의 제 1 내지 제 3 코어(core 0 to 3) 중 적어도 하나가 동영상들을 동영상 클립으로 변환하고, 동영상 클립들을 터치스크린(210)으로 출력할 수 있다. 물론,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은 GPU(281) 및 GPU(282) 모두에서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280)의 기능은 아래에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디지털 기기의 컨버전스(convergence) 추세에 따라 변형이 매우 다양하여 모두 열거할 수는 없으나, 본 발명에 따른 장치(200)는 GPS 모듈, 진동 모터, 외부 기기(예, PC 등)와 유선으로 연결하기 위한 유선 통신 모듈 등과 같이 상기에서 언급되지 않은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200)는 그 제공 형태에 따라 상기한 구성들에서 특정 구성이 제외되거나 다른 구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단계 310에서 제어부(280)는 무선통신부(245)를 통해 외부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물론 제어부(280)는 유선으로 연결된 외부 기기(예, PC)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할 수도 있다. 제어부(280)는 외부로부터 수신된 동영상을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단계 310에서 제어부(280)는 카메라(240)로부터 동영상을 수신할 수 있다. 카메라(240)가 로우 데이터(즉, 코딩되지 않은 동영상)를 출력할 경우, 제어부(280)는 카메라(240)로부터 수신한 로우 데이터를 코더(262)에 전달하여 코딩하게 하고, 코더(262)에 의해 코딩된 동영상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여기서 제어부(280)가 직접, 코더로써 로우 데이터를 코딩하고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단계 320에서 제어부(280)는 제 1 디코더(H/W) 즉, 디코더(261)가 사용 중(being used)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다시 말해 제어부(280)는 디코더(261)가 현재 작업 (예, 디코딩, 리사이징 등) 중인지 여부를 결정한다.
제 1 디코더가 사용 중인 경우, 단계 330에서 제어부(280)는 자신이 제 2 디코더로써, 원본(즉,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원본을 축소하여 동영상 클립을 생성한다. 이때,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이, 원본에서 일부분만 또는 전체가 동영상 클립으로 변환될 수 있다. 또한 동영상 클립은 원본에서 축소되지 않고 디코딩만 된 것일 수도 있다. 제어부(280)에서 하나의 코어만 동영상 클립을 생성할 수 있다. 물론 다수의 코어가 동영상 클립의 생성에 참여할 수도 있다. 즉 코어들이 각각 디코더의 역할을 수행한다. 예컨대,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제 1 동영상(Video 1) 및 제 2 동영상(Video 2)이 제어부(280)로 수신된 경우, CPU(281)의 제 1 코어(core 0)가 제 1 동영상(Video 1)의 챕터 C1 및 C2에 대한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CPU(281)의 제 2 코어(core 1)가 제 1 동영상(Video 1)의 챕터 C3 내지 C5에 대한 동영상 클립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GPU(282)의 제 1 코어(core 0)가 제 2 동영상(Video 2)의 챕터 C1 및 C2에 대한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GPU(282)의 제 2 코어(core 2)가 제 2 동영상(Video 2)의 챕터 C3 내지 C5에 대한 동영상 클립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여러 개의 동영상 클립이 동시에 그리고 빠르게 생성될 수 있다.
제 1 디코더가 사용 중이 아닌 경우(예컨대, 재생이 일시 정지된 경우, 화면이 꺼져 있는 경우, 제 1 디코더가 대기 상태(idle state)인 경우 등), 단계 340에서 제어부(280)는 제 1 디코더(261)를 제어하여, 원본(즉, 상기 수신된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디코딩된 원본을 축소(물론, 상술한 바와 같이 축소하지 않을 수도 있음)하여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게 한다. 이때, 단계 340에서 제어부(280)(예컨대, CPU(281)의 코어들 중 적어도 하나)도 동영상 클립의 생성에 참여할 수 있다.
단계 350에서 제어부(280)는 단계 330 또는 단계 340에서 생성된 동영상 클립을 저장부(220)에 저장한다.
단계 360에서 제어부(280)는 프리뷰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표시부(21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동영상 프리뷰'를 위한 버튼이 포함된 앱 실행 화면(예, 동영상 플레이어의 실행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표시부(210)에서 동영상 프리뷰 버튼에 대한 사용자의 제스처(예, 탭) 즉, 프리뷰 요청 이벤트를 검출할 수 있다.
단계 370에서 제어부(280)는 프리뷰 요청 이벤트에 응답하여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에 재생한다. 예컨대, CPU(281)에서 하나 이상의 코어 또는 GPU(282)에서 하나 이상의 코어가 동영상 클립들을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CPU(281) 및 GPU(282)에서 각각 하나 이상의 코어가 동영상 클립들을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동영상 클립들을 표시부(210)로 출력하도록 디코더(26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370에서 제어부(280)는,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이 해당 동영상에서 일부만 디코딩된 것일 경우, 동시 재생을 수행하는 동시에, 디코딩되지 않은 나머지 부분에 대해 새로운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계속 프리뷰(미리보기)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동영상 클립을 생성한다. 이때, 동시 재생은 CPU(281)(또는 GPU(282))의 코어들 중 어느 하나가 처리하고 동영상 클립의 생성 및 저장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코어가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동시 재생은 CPU(281)가 처리하고 동영상 클립의 생성 및 저장은 GPU(282)가 처리할 수도 있다. 또한 그 반대일 수도 있다.
이상으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에서 동영상이 새로 생성되거나 외부로부터 새로 다운로드된 경우, 해당 동영상에 대한 동영상 클립이 자동으로 생성되어 저장부(220)에 저장된다. 즉, 동영상들 각각에 대응되는 동영상 클립들이 미리 저장된다. 제어부(280)는, 하드웨어 디코더가 사용 중인 경우, 자신이 직접 동영상 클립을 생성할 수 있다. 이렇게 동영상 클립들이 미리 저장된 상태에서 프리뷰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28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에 재생한다. 즉, 제어부(280)는 버퍼링 없이(즉,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나아가, 축소하는 과정 없이),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함으로써 단말이 고성능임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 줄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화면 예시도들이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표시부(21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홈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홈 화면에서 동영상 플레이어에 대응되는 아이콘의 선택(예, 해당 아이콘을 탭)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410에서 제어부(280)는 아이콘의 선택에 응답하여 동영상 플레이어를 실행한다. 표시부(210)는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동영상 플레이어의 실행 화면(500)을 표시할 수 있다. 동영상 플레이어의 실행 화면(500)은 동영상 재생 화면(510)과 메뉴 화면(5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80)는 재생 요청 이벤트(예, 재생 버튼(530)에 대한 탭)를 검출할 수 있다. 재생 요청 이벤트가 검출된 경우 단계 420에서 제어부(280)는 제 1 디코더(H/W) 즉, 디코더(261)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재생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의 제어 하에, 디코더(261)는 동영상을 디코딩하여 표시부(210)로 출력하고, 표시부(210)는 동영상을 D/A 변환하여 동영상 재생 화면(510)에 표시한다. 이때 재생되는 동영상은 이전에 재생된 동영상이거나 또는 동영상 리스트에서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동영상일 수 있다. 또한 동영상 재생의 제어는 제어부(28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어(예컨대, CPU(281)의 Core 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단계 430에서 제어부(280)는 제 2 디코더의 역할을 수행한다. 즉 제어부(280)에서 적어도 하나의 코어(예, CPU(281)의 Core 1 내지 3)는 상기 재생 중인 동영상의 각 챕터별로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고, 이를 저장부(220)에 임시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챕터 프리뷰 요청이 있을 경우, 버퍼링 없이(즉,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나아가, 축소하는 과정 없이) 동시에 재생 가능하도록 동영상 클립들을 미리 생성하여 저장한다.
단계 440에서 제어부(280)는 프리뷰 요청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어부(280)는 메뉴 화면(520)에서 챕터 프리뷰 버튼(521)의 선택(예, 탭)을 검출할 수 있다.
단계 450에서 제어부(28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챕터 프리뷰의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에 재생한다. 예컨대, CPU(281)에서 하나 이상의 코어 또는 GPU(282)에서 하나 이상의 코어가 동영상 클립들을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CPU(281) 및 GPU(282)에서 각각 하나 이상의 코어가 동영상 클립들을 표시부(21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280)는 동영상 클립들을 표시부(210)로 출력하도록 디코더(261)를 제어할 수도 있다.
또한 단계 450에서 제어부(280)는, 저장부(220)에 미리 저장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는 동시에, 새로운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여 저장부(220)에 저장할 수 있다. 즉 제어부(280)는 계속 프리뷰(미리보기)가 가능하도록 새로운 동영상 클립을 생성한다. 이때, 동시 재생은 CPU(281)(또는 GPU(282)의 코어들 중 어느 하나가 처리하고 동영상 클립의 생성 및 저장은 다른 적어도 하나의 코어가 처리할 수 있다. 또한 동시 재생은 CPU(281)가 처리하고 동영상 클립의 생성 및 저장은 GPU(282)가 처리할 수도 있다.
이상으로,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실시예에 따르면, 장치(200)에서 하드웨어 디코더에 의해 동영상이 재생될 경우, 제어부(280)는 재생 중인 동영상의 각 챕터별로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여 미리 저장한다. 이렇게 동영상 클립들이 미리 저장된 상태에서 챕터 프리뷰 요청이 있는 경우, 제어부(280)는 저장부(220)에 저장된 각 챕터별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에 재생한다. 즉, 제어부(280)는 동영상 클립들을 버퍼링 없이 동시 재생함으로써 단말이 고성능임을 사용자에게 직관적으로 보여 줄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으로 구현되어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여기서 기록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기록매체에는 하드디스크, 플로피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와,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와,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와, 롬(ROM)과, 램(RAM)과,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프로그램 명령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가 포함될 수 있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는 전술한 실시 예에 국한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가 있다.
210: 표시부 211: 터치스크린
220: 저장부
221: 동영상 222: 동영상 클립
223: 코덱 S/W 225: 저장부 인터페이스
230: 오디오 처리부 240: 카메라
245: 무선통신부 250: 주변기기 인터페이스
260: 코덱 261: 디코더
262: 코더 270: 버스
280: 제어부 281: CPU
282: GPU

Claims (17)

  1. 제 1 디코더와 프로세서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 재생 방법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디코더가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 1 디코더가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는 중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가, 제 2 디코더로서,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하여 다수의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클립들을 저장부에 저장하는 단계; 및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코딩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축소하여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의 다수의 코어들 중 하나가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다수의 코어들 중 다른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가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다수의 코어들 중 하나가 상기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코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코딩된 동영상 클립들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가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에서 동영상이 새로 생성되거나 상기 전자 장치가 외부에서 동영상을 수신한 경우에 수행되는 동영상 재생 방법.
  7. 삭제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이 복수의 챕터들을 가지고,
    제어부가 상기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챕터들 각각을 디코딩하고 축소함으로써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는 상기 프로세서의 다수의 코어들 중 하나가 상기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동영상을 재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다수의 코어들 중 다른 적어도 하나가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동영상 재생 방법.
  10. 저장부;
    제 1 디코더;
    표시부; 및
    상기 저장부, 상기 제 1 디코더 및 상기 표시부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코더가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디코더가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는 중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가, 제 2 디코더로서,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함으로써 다수의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클립들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코딩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축소하여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다수의 코어들 중 하나가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프로세서의 다수의 코어들 중 다른 적어도 하나가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디코더가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다수의 코어들 중 하나가 상기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동영상 클립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코어들 중 적어도 하나가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코딩된 동영상 클립들을 상기 표시부에 표시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5.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동영상의 챕터들 각각을 디코딩하고 축소하여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의 다수의 코어들 중 하나가 상기 제 1 디코더를 제어하여 상기 동영상을 재생하고 상기 다수의 코어들 중 다른 적어도 하나가 상기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도록 구성된 전자 장치.
  17. 제 1 디코더와 프로세서를 가지는 전자 장치에서 구현되는 기록매체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제 1 디코더가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는 중인지 여부를 결정하고,
    상기 제 1 디코더가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하고 있는 중인 것으로 결정된 경우, 상기 프로세서의 적어도 하나의 코어가, 제 2 디코더로서, 상기 동영상을 디코딩함으로써 다수의 동영상 클립들을 생성하고,
    상기 디코딩된 동영상 클립들을 저장부에 저장하고,
    프리뷰 요청 이벤트의 검출에 응답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된 디코딩된 동영상 클립들을 동시 재생하도록 구성된 기록 매체.
KR1020120055434A 2012-05-24 2012-05-24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Expired - Fee Related KR1019458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434A KR101945830B1 (ko) 2012-05-24 2012-05-24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US13/892,490 US9497434B2 (en) 2012-05-24 2013-05-13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aying videos
CN201310196874.4A CN103428570B (zh) 2012-05-24 2013-05-24 用于多重播放视频的方法和设备
AU2013264492A AU2013264492B2 (en) 2012-05-24 2013-05-24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aying videos
EP13169238.6A EP2667629B1 (en) 2012-05-24 2013-05-24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aying videos
RU2014147039A RU2619089C2 (ru) 2012-05-24 2013-05-24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оспроизведения множества видео
PCT/KR2013/004556 WO2013176510A1 (en) 2012-05-24 2013-05-24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aying videos
JP2015513944A JP6284931B2 (ja) 2012-05-24 2013-05-24 多重動画再生方法及び装置
ZA2014/07680A ZA201407680B (en) 2012-05-24 2014-10-22 Method and apparatus for multi-playing video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5434A KR101945830B1 (ko) 2012-05-24 2012-05-24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1695A KR20130131695A (ko) 2013-12-04
KR101945830B1 true KR101945830B1 (ko) 2019-06-11

Family

ID=486282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5434A Expired - Fee Related KR101945830B1 (ko) 2012-05-24 2012-05-24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497434B2 (ko)
EP (1) EP2667629B1 (ko)
JP (1) JP6284931B2 (ko)
KR (1) KR101945830B1 (ko)
CN (1) CN103428570B (ko)
AU (1) AU2013264492B2 (ko)
RU (1) RU2619089C2 (ko)
WO (1) WO2013176510A1 (ko)
ZA (1) ZA20140768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28106A1 (en) * 2014-02-13 2015-08-13 Vixs Systems Inc. Low latency video texture mapping via tight integration of codec engine with 3d graphics engine
US10218981B2 (en) * 2015-02-11 2019-02-26 Wowza Media Systems, LLC Clip generation based on multiple encodings of a media stream
CN105245938B (zh) * 2015-09-30 2019-08-16 努比亚技术有限公司 播放多媒体文件的装置和方法
CN105872707A (zh) * 2015-12-31 2016-08-17 乐视网信息技术(北京)股份有限公司 一种预览播放方法及装置
CN105721921B (zh) * 2016-01-29 2019-07-12 四川长虹电器股份有限公司 一种多窗口视频解码器的自适应选择方法
CN106534922A (zh) * 2016-11-29 2017-03-22 努比亚技术有限公司 视频解码装置及方法
CN107172465B (zh) * 2017-05-23 2019-05-17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视频播放控制方法及移动终端
KR20210152221A (ko) 2020-06-08 2021-12-1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영상 처리 장치, 그를 가지는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CN114697762B (zh) * 2022-04-07 2023-11-28 脸萌有限公司 一种处理方法、装置、终端设备及介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0859A1 (en) * 2002-06-20 2004-12-02 Takashi Karimoto Decoding device and decoding method
GB2481661A (en) * 2010-10-12 2012-01-04 Nds Ltd Picture in picture (PIP) type video content menus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19420A (ja) * 2002-01-23 2003-07-31 Sanyo Electric Co Ltd 画像再生装置
US20040204135A1 (en) * 2002-12-06 2004-10-14 Yilin Zhao Multimedia editor for wireless communication devices and method therefor
JP4066454B2 (ja) * 2003-03-05 2008-03-26 日本電気株式会社 オーサリング機能付き信号処理装置及びオーサリングを含む信号処理方法
KR101061011B1 (ko) 2004-06-23 2011-09-01 엘지전자 주식회사 타이틀 재생 중 이전 및 이후 타이틀 프리뷰 재생방법
DE602005017624D1 (de) * 2004-07-02 2009-12-24 Panasonic Corp Av-strom-wiedergabevorrichtung, decoderumschaltverfahren, verfahren, programm, programmaufzeichnungsmedium und integrierte schaltung
WO2007055445A1 (en) * 2005-11-11 2007-05-18 Daegu Gyeongbuk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A pre-viewing method of multiple movies or movie-clips in multimedia apparatus
US9196304B2 (en) * 2006-01-26 2015-11-24 Sony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dailies and edited video to users
JP4297121B2 (ja) 2006-03-01 2009-07-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方法
JP4476261B2 (ja) * 2006-09-13 2010-06-09 株式会社ソニー・コンピュータエンタテインメント 復号装置および復号方法
JP4360390B2 (ja) 2006-09-21 2009-11-11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並びに記録媒体
WO2008139476A2 (en) * 2007-05-14 2008-11-20 Sandisk Il Ltd Dual decoder portable media device
JP2009044537A (ja) * 2007-08-09 2009-02-26 Osaka Univ 映像ストリーム処理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記録媒体
KR101392349B1 (ko) 2007-08-23 2014-05-19 삼성전자주식회사 비디오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9131240B2 (en) 2007-08-23 2015-09-08 Samsung Electronics Co., Ltd. Video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which uses double buffering
US8144233B2 (en) * 2007-10-03 2012-03-27 Sony Corporation Display control device, display control method, and display control program for superimposing images to create a composite image
KR101425620B1 (ko) 2007-12-17 2014-07-31 삼성전자주식회사 멀티 코어 프로세서 기반의 비디오 디코딩 방법 및 장치
US8675739B2 (en) 2007-12-17 2014-03-18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video decoding based on a multi-core processor
JP4656199B2 (ja) * 2008-07-22 2011-03-23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サムネイル動画作成方法及びサムネイル動画作成プログラム
JP4924575B2 (ja) 2008-08-29 2012-04-25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4585589B2 (ja) * 2008-09-22 2010-11-24 株式会社東芝 映像データ処理装置及び映像データ処理方法
JP2015039045A (ja) * 2008-11-28 2015-02-26 株式会社東芝 放送受信装置および番組再生方法
KR100998547B1 (ko) 2008-12-09 2010-12-07 주식회사 어니언텍 다중화면표시를 위한 방송 시스템 및 방법
JP2010257509A (ja) 2009-04-22 2010-11-11 Toshiba Corp オーサリング装置、オーサリング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076239B2 (en) * 2009-04-30 2015-07-07 Stmicroelectronics S.R.L. Method and systems for thumbnail generation, and corresponding computer program product
US8010692B1 (en) * 2009-11-05 2011-08-30 Adobe Systems Incorporated Adapting audio and video content for hardware platform
GB201103200D0 (en) * 2011-02-24 2011-04-13 Isis Innovation An optical device for the visually impaired
CA3089869C (en) * 2011-04-11 2022-08-16 Evertz Microsystems Ltd. Methods and systems for network based video clip generation and management
US9043800B2 (en) * 2011-05-26 2015-05-26 Adobe Systems Incorporated Video player instance prioritization
US9131257B2 (en) * 2011-11-04 2015-09-08 Peekaboo Corporation Method and system for remote video monitoring and remote video broadcast
US20130279877A1 (en) * 2012-04-19 2013-10-24 Qnx Software Systems Limited System and Method Of Video Decoder Resource Shari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240859A1 (en) * 2002-06-20 2004-12-02 Takashi Karimoto Decoding device and decoding method
GB2481661A (en) * 2010-10-12 2012-01-04 Nds Ltd Picture in picture (PIP) type video content men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2013264492B2 (en) 2018-02-08
JP6284931B2 (ja) 2018-02-28
RU2619089C2 (ru) 2017-05-11
CN103428570A (zh) 2013-12-04
RU2014147039A (ru) 2016-06-10
JP2015517777A (ja) 2015-06-22
KR20130131695A (ko) 2013-12-04
CN103428570B (zh) 2018-06-05
US20130315570A1 (en) 2013-11-28
EP2667629A2 (en) 2013-11-27
EP2667629B1 (en) 2019-04-10
US9497434B2 (en) 2016-11-15
WO2013176510A1 (en) 2013-11-28
EP2667629A3 (en) 2015-01-07
ZA201407680B (en) 2016-09-28
AU2013264492A1 (en) 2014-10-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5830B1 (ko) 다중 동영상 재생 방법 및 장치
CN110572722B (zh) 视频剪辑方法、装置、设备及可读存储介质
TWI592021B (zh) 生成視頻的方法、裝置及終端
US10705682B2 (en) Section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CN106233706B (zh) 用于提供具有标准动态范围和高动态范围两者的视频的向后兼容的装置和方法
KR102026717B1 (ko) 사진 촬영 가이드 방법 및 이를 구현하는 휴대 단말
KR102049784B1 (ko) 데이터 표시 방법 및 장치
CN110362246B (zh) 控制电子设备的方法、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30346865A1 (en) Dynamic wallpaper of mobile systems
EP267013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laying video in portable terminal
KR20150007760A (ko) 수신 데이터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을 운영하는 전자 장치
CN103853427A (zh) 运行多个应用的显示设备及其控制方法
KR101964914B1 (ko) 컨텐트에 대한 오토 네이밍 방법 및 이 기능을 갖는 장치와 기록 매체
KR20140111088A (ko) 문지르기 제스처를 검출하여 미리보기를 제공하는 모바일 장치 및 그 제어 방법
US10296184B2 (en) Webpage navigation method, mobile terminal using the same, and volatile storage medium recording the same
US11249619B2 (en) Sectional user interface for controlling a mobile terminal
CN114845152B (zh) 播放控件的显示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JP7646997B2 (ja) 注釈方法及び電子デバイス
KR101970154B1 (ko) 휴대 단말에서 일정 관리 방법 및 장치
HK40018608A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a readable storage medium for editing video
HK40018608B (en) Method, apparatus, device, and a readable storage medium for editing video
KR20150025655A (ko) 객체 디스플레이 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120524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20170524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1R01I

Patent event date: 20120524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180511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181105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190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190131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211229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2311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