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370B1 -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370B1
KR101945370B1 KR1020170147338A KR20170147338A KR101945370B1 KR 101945370 B1 KR101945370 B1 KR 101945370B1 KR 1020170147338 A KR1020170147338 A KR 1020170147338A KR 20170147338 A KR20170147338 A KR 20170147338A KR 101945370 B1 KR101945370 B1 KR 1019453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siloxane
polycarbonate
group
carbon atoms
independently represen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지은
최대현
허성현
신경무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삼양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삼양사
Priority to KR102017014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3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3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37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42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08G77/445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 C08G77/448Block-or graft-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containing polyester sequences containing polycarbonat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18Block or graft polymers
    • C08G64/186Block or graft polymers containing polysiloxane sequenc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esters Or Polycarbonat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개의 말단-히드록시기 및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특정 구조의 폴리실록산; 상기 폴리실록산과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단위로 포함함으로써, 충격강도 및 투명성 등 폴리카보네이트의 고유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탁월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Polysiloxane-polycarbonate copolymer with improved flame retardancy and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and molded article comprising the same}
본 발명은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4개의 말단-히드록시기 및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특정 구조의 폴리실록산; 상기 폴리실록산과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단위로 포함함으로써, 충격강도 및 투명성 등 폴리카보네이트의 고유 장점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동시에 탁월한 난연성을 나타내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및 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내열성, 기계적 물성(특히, 충격강도) 및 투명성이 우수하여 전기부품, 기계부품 및 산업용 수지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되고 있다. 특히 전기전자 분야 중에서 열이 많이 발산되는 TV 하우징, 컴퓨터 모니터 하우징, 복사기, 프린터, 노트북 배터리, 리튬 전지의 케이스 재료 등으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내열성 및 기계적 물성뿐만 아니라 우수한 난연성이 요구된다.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난연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되는 가장 통상적인 방법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에 할로겐 난연제인 브롬계 또는 염소계 화합물을 혼합하는 것이다. 그러나, 할로겐 난연제를 사용하는 경우 화재 발생시 난연의 기능은 충분히 발휘되지만 수지 가공 중에 할로겐화수소 가스가 발생하여 금형 부식과 환경오염 문제를 일으킬 뿐만 아니라, 연소시 인체에 유해한 독성가스인 다이옥신을 생성하게 되므로 이에 대한 사용 규제 움직임이 확대되고 있다. 이에 대처하고자, 비할로겐 난연제로서 알칼리 금속염 및 적하 방지제(anti-dripping agent)로서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동시에 사용하는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이 개발되었다. 그러나, 이 경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난연성을 확보하기 위해 사용되는 불소화 폴리올레핀계 수지(특히 불소화 에틸렌계 수지) 및 금속염계 난연제로 인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장점 중 하나인 투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이러한 투명성의 저하 현상을 극복하기 위하여 실리콘계 첨가물 및 실리콘계 공중합체와의 합금 등이 제안되었다(예컨대, 미국특허공개공보 제2003/0105226호). 그러나, 본 발명자들의 연구결과에 따르면, 실리콘계 첨가물을 사용하는 기술은 비할로겐 난연제로서 환경친화적이라는 장점은 있으나, 투명성이 여전히 저조하고 비교적 고가이며 외장재로 사용시 다양한 색상 구현이 제한된다는 단점을 지니고 있다. 아울러 대형 물품으로 사출하기에는 그 유동성이 부족하여 대형 제품에의 적용이 제한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난연성을 충분히 발휘하면서도 우수한 투명성, 유동성 및 저온충격강도 등 조화로운 물성을 구현할 수 있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에 대한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한 것으로, 우수한 투명성 및 저온 충격강도 등을 가지는 동시에 난연성이 현저히 개선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하는 것을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측면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을 제공한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3의 아실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2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3]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3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제2측면은,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6의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공한다:
[화학식 6]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4
상기 화학식 6에서,
R4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서,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의 함량은, 상기 공중합체의 총 중량 기준으로 0.5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15,000 내지 200,000의 점도평균분자량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측면은,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계면반응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중간체를 제 1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0.5:99.5 내지 20:80의 중량 비율로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혼합물은 상전이 촉매, 분자량 조절제 및 제2 중합 촉매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에서 유기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중합 촉매를 상기 추출된 유기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27,00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측면은,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특정 구조의 폴리실록산을 반복단위로 포함함으로써 내충격성 및 투명성 등 폴리카보네이트 고유의 우수한 물성을 양호하게 유지하면서 별도의 난연제 사용 없이도 우수한 난연성을 확보할 수 있으므로, 건설, 자동차 부품 및 전기/전자 부품 등 다양한 용도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인 "반응 생성물"은 둘 이상의 반응물이 반응하여 형성되는 물질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중합 촉매를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상기 중합 촉매가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단지 중합 촉매들을 서로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예를 들어, 제1 중합 촉매와 제2 중합 촉매는 서로 같은 종류의 촉매일 수도 있고, 서로 다른 종류의 촉매일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기재된 화학식에서 수소, 할로겐 원자 및/또는 탄화수소기 등을 대표하여 표현하기 위해 사용된 영문자 "R"은 숫자로 표시되는 하첨자를 갖지만, 상기 "R"이 이 같은 하첨자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R"은 서로 독립적으로, 수소, 할로겐 원자 및/또는 탄화수소기 등을 나타낸다. 예를 들어, 둘 이상의 "R"이 같거나 다른 숫자의 하첨자를 갖는지에 상관없이, 이 "R"들은 같은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고, 다른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도 있다.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 실록산
본 발명에 따른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예를 들어, F, Cl 또는 Br 등),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또는 헵틸기 등),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 등),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예를 들어, 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벤질 또는 톨릴기 등)를 나타낼 수 있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기 또는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사이클로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킬기 또는 아르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기 또는 알크아릴옥시기일 수 있으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고,
Y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방향족기를 나타낼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Y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기; 주쇄에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기; 또는 예컨대,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2,4,5-benzenetetracarboxylic acid), 나프탈렌-1,4,5,8-테트라카르복실산(Naphthalene-1,4,5,8-tetracarboxylic acid), 바이페닐-3,3',5,5'-테트라카르복실산(Biphenyl-3,3',5,5'-tetracarboxylic acid), 1,2,4,5-테트라키스-아세톡시메틸-벤젠(1,2,4,5-tetrakis-acetoxymethyl-benzene), 1,1,2,2,-테트라(4-카르복시페닐)에틸렌(1,1,2,2-Tetra(4-carboxylphenyl)ethylene), 벤젠-1,2,3,5-테트라카르복실산(benzene-1,2,3,5-tetracarboxylic acid), 1,2,4,5-벤젠테트롤(1,2,4,5-Benzenetetrol) 또는 1,2,4,5-테트라클로로벤젠(1,2,4,5-Tetrachlorobenzene), 1,2,3,4-벤젠테트롤(1,2,3,4-Benzenetetrol) 또는 1,2,3,4-테트라클로로벤젠(1,2,3,4-Tetrachlorobenzene), (1,1'-바이페닐)-3,3',5,5'-테트롤((1,1'-Biphenyl)-3,3',5,5'-tetrol)과 같이 4개의 말단 반응성 치환기(예컨대,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할로겐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방향족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Y는 하기 화학식 4a 내지 4i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화학식 4a]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6
[화학식 4b]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7
[화학식 4c]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8
[화학식 4d]
Figure 112017110354512-pat00009
[화학식 4e]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0
[화학식 4f]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1
[화학식 4g]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2
[화학식 4h]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3
[화학식 4i]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4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아실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5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예를 들어, F, Cl 또는 Br 등),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또는 헵틸기 등),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 등),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예를 들어, 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벤질 또는 톨릴기 등)를 나타낼 수 있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기 또는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사이클로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킬기 또는 아르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기 또는 알크아릴옥시기일 수 있으며,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n은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아실 화합물은 예를 들어, 방향족, 지방족 또는 방향족과 지방족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형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실 화합물이 방향족, 또는 방향족과 지방족을 모두 포함하는 혼합형일 경우 6 내지 30의 탄소수를 가질 수 있고, 지방족일 경우 1 내지 20의 탄소수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아실 화합물은 할로겐,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아실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을 가질 수 있다.
[화학식 3]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6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나타낼 수 있고,
Y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방향족기를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어, Y는 할로겐 원자로 치환된 또는 비치환된 지방족기; 주쇄에 산소, 질소, 또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지방족기; 또는 예컨대, 1,2,4,5-벤젠테트라카르복실산(1,2,4,5-benzenetetracarboxylic acid), 나프탈렌-1,4,5,8-테트라카르복실산(Naphthalene-1,4,5,8-tetracarboxylic acid), 바이페닐-3,3',5,5'-테트라카르복실산(Biphenyl-3,3',5,5'-tetracarboxylic acid), 1,2,4,5-테트라키스-아세톡시메틸-벤젠(1,2,4,5-tetrakis-acetoxymethyl-benzene), 1,1,2,2,-테트라(4-카르복시페닐)에틸렌(1,1,2,2-Tetra(4-carboxylphenyl)ethylene, 벤젠-1,2,3,5-테트라카르복실산(benzene-1,2,3,5-tetracarboxylic acid), 1,2,4,5-벤젠테트롤(1,2,4,5-Benzenetetrol) 또는 1,2,4,5-테트라클로로벤젠(1,2,4,5-Tetrachlorobenzene), 1,2,3,4-벤젠테트롤(1,2,3,4-Benzenetetrol) 또는 1,2,3,4-테트라클로로벤젠(1,2,3,4-Tetrachlorobenzene), (1,1'-바이페닐)-3,3',5,5'-테트롤((1,1'-Biphenyl)-3,3',5,5'-tetrol)과 같이 4개의 말단 반응성 치환기(예컨대, 카르복실기, 히드록시기, 할로겐기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방향족 화합물로부터 유래될 수 있는 방향족기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 화학식 3에서 Y는 상기 화학식 4a 내지 4i 중 어느 하나로 나타내어질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은 예를 들어, 히드록시기 및 이중 결합을 가지고 있는 하기 화학식 5a의 화합물과, 실리콘을 함유하고 있는 하기 화학식 5b의 화합물을 플라티늄 촉매를 이용하여 2:1의 몰비로 합성하여 제조될 수 있다.
[화학식 5a]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7
상기 화학식 5a에서,
R1은 할로겐 원자(예를 들어, F, Cl 또는 Br 등), 히드록시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예를 들어,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또는 헵틸기 등),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예를 들어, 메톡시, 에톡시, 프로폭시 또는 부톡시 등), 또는 탄소수 6 내지 12의 아릴기(예를 들어, 페닐기, 클로로페닐기, 벤질 또는 톨릴기 등)를 나타낼 수 있고,
m은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으며,
k는 1 내지 7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화학식 5b]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8
상기 화학식 5b에서,
R2는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 또는 히드록시기를 나타낼 수 있으며, 여기서 탄소수 1 내지 13의 탄화수소기는 탄소수 1 내지 13의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 탄소수 2 내지 13의 알케닐기 또는 알케닐옥시기, 탄소수 3 내지 6의 사이클로알킬기 또는 사이클로알콕시기, 탄소수 6 내지 10의 아릴옥시기, 탄소수 7 내지 13의 아르알킬기 또는 아르알콕시기, 또는 탄소수 7 내지 13의 알크아릴기 또는 알크아릴옥시기일 수 있으며,
n은 2 내지 1,000의 정수, 바람직하게는 2 내지 500의 정수, 더욱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0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의 제조와 관련하여 미국특허 US 6,072,011호를 참조할 수 있다.
폴리실록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화학식 1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과 함께 하기 화학식 6의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 단위로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6]
Figure 112017110354512-pat00019
상기 화학식 6에서,
R4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기, 탄소수 3 내지 20의 사이클로알킬기,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기, 탄소수 1 내지 20의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기는 하기 화학식 7의 화합물로부터 유도될 수 있다.
[화학식 7]
Figure 112017110354512-pat00020
상기 화학식 7에서,
X는 알킬렌기; 작용기를 갖지 않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 또는 설파이드, 에테르, 설폭사이드, 설폰, 케톤, 나프틸 또는 이소부틸페닐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작용기를 갖는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를 나타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X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렌기일 수 있으며,
R5 및 R6은 각각 독립적으로 할로겐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직선형, 분지형 또는 환형 알킬기를 나타낼 수 있고,
m 및 n은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7의 화합물은, 예를 들어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페닐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나프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4-이소부틸페닐)메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에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페닐-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나프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2-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1,10-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2-메틸-1,1-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헥산, 2,2-비스(4-히드록시페닐)노난,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플루오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4-메틸-2,2-비스(4-히드록시페닐)펜탄, 4,4-비스(4-히드록시페닐)헵탄, 디페닐-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 레소시놀(Resorcinol),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 4,4'-디히드록시페닐 에테르[비스(4-히드록시페닐)에테르], 4,4'-디히드록시-2,5-디히드록시디페닐 에테르, 4,4'-디히드록시-3,3'-디클로로디페닐 에테르,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에테르,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에테르, 1,4-디히드록시-2,5-디클로로벤젠, 1,4-디히드록시-3-메틸벤젠, 4,4'-디히드록시디페놀[p,p'-디히드록시페닐], 3,3'-디클로로-4,4'-디히드록시페닐,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헥산, 1,1-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사이클로도데칸, 1,1-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데칸, 1,4-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1,4-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1,4-비스(4-히드록시페닐)이소부탄,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메탄, 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메탄,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4,4'-티오디페놀[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설폰,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설파이드, 비스(3,5-디브로모-4-히드록시페닐)설폭사이드, 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3,3',5,5'-테트라메틸-4,4'-디히드록시벤조페논, 4,4'-디히드록시 디페닐, 메틸히드로퀴논, 1,5-디히드록시나프탈렌 및 2,6-디히드록시나프탈렌 중에서 선택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대표적으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비스페놀 A)을 들 수 있다. 이외의 작용성 2가 페놀류들(dihydric phenol)은 미국특허 US 2,999,835호, US 3,028,365호, US 3,153,008호 및 US 3,334,154호 등을 참조할 수 있으며, 상기 2가 페놀류들은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 조합되어 사용될 수 있다.
카보네이트 전구체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다른 모노머로서, 예를 들어 카보닐 클로라이드(포스겐), 카보닐 브로마이드, 비스 할로 포르메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또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함량은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3 내지 1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폴리카보네이트의 함량은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80 내지 99.5 중량%, 바람직하게는 85 내지 98 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내지 97 중량%일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함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0 중량%를 초과하면 난연성은 향상되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MV)은 15,000 내지 200,000,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0 내지 100,000일 수 있다.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이 15,000 미만이면 기계적 물성이 현저히 저하될 수 있으며, 200,000을 초과하면 용융점도의 상승으로 수지의 가공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과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알칼리 수용액 및 유기상으로 이루어지는 계면 반응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1); 및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제 1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2);를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통해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한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1)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 대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0.5:99.5 내지 20:80, 바람직하게는 2:98 내지 15:85, 보다 바람직하게는 3:97 내지 10:90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중량 비율이,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과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합계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0.5 중량부 미만이면 난연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0 중량부를 초과하면 난연성은 향상되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에 사용되는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전술한 2가 페놀류 화합물을 알칼리 수용액에 첨가하여 페놀염 상태로 만든 다음, 염 상태의 페놀류를 포스겐 가스를 주입한 디클로로메탄에 넣어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올리고머 제조를 위해서는 포스겐 대 비스페놀의 몰비를 약 1:1 내지 1.5:1,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1:1 내지 1.2:1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스페놀 1몰에 대한 포스겐의 몰비가 1 미만이면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비스페놀에 1몰에 대한 포스겐의 몰비가 1.5를 초과하면 과도한 분자량 상승으로 인해 가공성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 형성 반응은 일반적으로 약 15 내지 60℃ 범위의 온도에서 수행될 수 있으며, 반응 혼합물의 pH를 조절하기 위해 알칼리금속 수산화물(예컨대, 수산화나트륨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평균분자량은 1,000 내지 27,000, 바람직하게는, 1,000 내지 15,000일 수 있다.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평균분자량이 1,000 미만이면 분자량 분포가 넓어지고 제반 물성이 저하될 수 있으며, 27,000을 초과하면 반응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1)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상전이 촉매, 분자량 조절제 및 제2 중합 촉매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1)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반응이 완료된 후 결과 혼합물에서 유기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중합시키는 단계(2)는, 제 1 중합 촉매를 상기 추출된 유기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함유하는 유기상-수상 혼합물에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을 첨가하고, 단계적으로 분자량 조절제 및 촉매를 투입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분자량 조절제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제조에 사용되는 모노머와 유사한 단일 작용성 물질(monofunctional compound)이 사용될 수 있다. 단일 작용성 물질은, 예를 들어 p-이소프로필페놀, p-tert-부틸페놀(p-tert-butylphenol, PTBP), p-큐밀(cumyl)페놀, p-이소옥틸페놀, 및 p-이소노닐페놀과 같은 페놀을 기본으로 하는 유도체, 또는 지방족 알콜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p-tert-부틸페놀(PTBP)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촉매로는 중합 촉매 및/또는 상전이 촉매가 사용될 수 있다. 중합 촉매로는, 예를 들어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을 사용할 수 있으며, 상전이 촉매로는, 예를 들어 하기 화학식 8의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화학식 8]
(R7)4Q+X-
상기 화학식 8에서,
R7은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Q는 질소 또는 인을 나타내며,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OR8을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R8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를 나타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전이 촉매는, 예를 들어 [CH3(CH2)3]4NX, [CH3(CH2)3]4PX, [CH3(CH2)5]4NX, [CH3(CH2)6]4NX, [CH3(CH2)4]4NX, CH3[CH3(CH2)3]3NX, CH3[CH3(CH2)2]3NX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들에서, X는 Cl, Br 또는 -OR8을 나타내며, 여기서 R8은 수소 원자, 탄소수 1 내지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18의 아릴기를 나타낼 수 있다.
상전이 촉매의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 및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혼합물 총 중량에 대하여 약 0.01 내지 10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전이 촉매의 함량이 0.01 중량% 미만이면 반응성이 떨어질 수 있으며, 그 함량이 10 중량%를 초과하면 침전물로 석출되거나 투명성이 저하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한 다음,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분산된 유기상을 알칼리 세정한 후 분리시킬 수 있다. 계속해서 상기 유기상을 0.1N 염산 용액을 사용하여 세척한 후 증류수로 2 내지 3회 반복하여 세정할 수 있다. 세정이 완료되면 메틸렌클로라이드에 분산된 상기 유기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조정하여 70 내지 80℃ 범위에서 일정량의 순수를 이용하여 조립화(Granulation)할 수 있다. 순수의 온도가 70℃ 미만이면 조립속도가 늦어져 조립시간이 매우 길어질 수 있으며, 순수의 온도가 80℃를 초과하면 일정한 크기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형상을 얻는 것이 어려워질 수 있다. 조립이 완결되면 1차로 100 내지 110℃에서 5 내지 10시간, 2차로 110 내지 120℃에서 5 내지 10시간 동안 건조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제조>
실시예 A-1
500ml 3구 플라스크에 콘덴서를 장착하고, 질소 분위기 하에서 다우 코닝사(Dow corning)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모노머(BY16-799) 600g을 클로로포름(chloroform) 300ml에 녹인 후 트리에틸아민(tri-ethylamine, TEA) 촉매 67ml를 첨가하였다.
상기 용액을 환류시키는 상태에서 1,2,4,5-벤젠 테트라카르복실산(1,2,4,5- benzene tetracarboxylic acid) 40.6g을 클로로포름 1,000ml에 녹인 후, 1시간 동안 천천히 첨가하고 12시간 동안 환류시켰다. 반응이 끝난 용액의 용매를 제거한 후, 아세톤(acetone)에 녹이고 뜨거운 증류수를 이용하여 세척하였다. 진공 오븐에서 24시간 건조시킴으로써 하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이 제조되었다.
[화학식 9]
Figure 112017110354512-pat00021
< 폴리실록산 -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B-1
수용액상의 비스페놀 A와 포스겐 가스를 메틸렌클로라이드 존재 하에서 계면 반응시켜 점도평균분자량이 약 1,000인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수득한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 중 유기상을 채취하고,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에 용해된 상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 2 중량%, 테트라부틸암모늄클로라이드(tetrabutyl ammonium chloride, TBACl) 1.8ml, 메틸렌클로라이드 186μl 및 p-tert-부틸페놀(PTBP) 1.5g을 혼합한 후 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 반응시킨 유기상에,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 혼합물 중 유기상만이 채취되고 남은 수상과 트리에틸아민을 투입하여 3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층 분리가 일어난 후 유기상만 채취하여 여기에 수산화나트륨 수용액, 메틸렌클로라이드 및 트리에틸아민을 혼합하여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층 분리 후 점도가 상승한 유기상을 알칼리 세정한 후 분리시켰다. 계속해서 상기 유기상을 0.1N 염산 용액으로 세척한 후 증류수로 2 내지 3회 반복하여 세정하였다. 세정이 완료되고 상기 유기상의 농도를 일정하게 76℃에서 일정량의 순수를 이용하여 조립하였다. 조립이 완결된 후, 1차로 110℃에서 8시간, 2차로 120℃에서 10시간 동안 건조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다.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B-2
상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함량을 2 중량%에서 5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B-3
상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함량을 2 중량%에서 7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B-4
상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함량을 2 중량%에서 10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B-5
상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함량을 2 중량%에서 15 중량%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실시예 B-6
상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의 함량을 2 중량%에서 5 중량%로 변경하고, 분자량 조절제인 p-tert-부틸페놀(PTBP)의 함량을 1.5g에서 0.198g(1.32mmol)으로 변경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B-1
점도평균분자량이 31,200인 선형 폴리카보네이트(삼양사, 3030IR)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B-2
상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을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점도평균분자량이 70,900인 선형 폴리카보네이트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비교예 B-3
상기 화학식 9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의 폴리실록산 2 중량% 대신 하기 화학식 10의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5 중량%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B-1과 동일한 방법으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제조하였고,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물성을 측정하여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화학식 10]
[표 1]
Figure 112017110354512-pat00023
상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 B-1 내지 B-6에 따라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는 비교예 B-1 및 B-2에 따라 제조된 선형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비교예 B-3에 따라 제조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에 비해 동등 또는 그 이상의 투명성을 유지하면서도, 매우 우수한 난연성을 나타낸 것을 알 수 있다.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한 성능 평가방법은 다음과 같다.
(a) H-NMR(핵자기 공명 분광기): 브루커(Bruker)사의 Avance DRX 300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H-NMR로 0.2ppm에서 관찰되는 디메틸실록산의 메틸기의 피크와 2.6ppm에서 관찰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결합부의 메틸렌기의 피크 및 3.9ppm에서 관찰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결합부의 메톡시기의 피크로 공중합체를 확인하였다.
(b) 점도평균분자량(MV): 우베로드 점도계(Ubbelohde Viscometer)를 사용하여 20℃에서 메틸렌클로라이드 용액의 점도를 측정하고 이로부터 극한점도 [η]를 다음 식에 의해 산출하였다.
[η]=1.23x10-5 Mv0.83
(c) 투과율: 헤이즈 미터(Haze meter: BYK GARDNER사의 HAZE-GARD PLUS)를 사용하여 투과율을 측정하였다.
(d) 난연성: 미국의 언더 라이터스 래버러터리즈(UL: Underwriter's Laboratories)가 규정하는 방법인 UL-94 난연 시험방법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이 방법은 수직으로 고정된 일정 크기의 시편에 버너의 불꽃을 10초간 붙인 후의 연소 시간이나 드립성으로부터 난연성을 평가하는 방법이다. 연소시간은 불꽃을 멀리 떨어뜨린 후 시편이 유염 연소를 계속하는 시간의 길이이고, 드립에 의한 솜의 인화는 시편의 하단으로부터 약 300mm 아래에 있는 표지용의 솜이 시편으로부터의 적하물에 의해 인화되는 것에 의해 결정되며, 난연성의 등급은 하기 표 2에 따라 나누어진다.
[표 2]
Figure 112017110354512-pat00024

Claims (11)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화학식 1]
    Figure 112019004409797-pat00025

    상기 화학식 1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방향족기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각각 독립적으로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낸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은 하기 화학식 2의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3의 아실 화합물의 반응 생성물인,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
    [화학식 2]
    Figure 112019004409797-pat00026

    상기 화학식 2에서,
    R1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1 내지 4의 알킬기를 나타내고,
    R3은 각각 독립적으로 탄소수 2 내지 8의 알킬렌기를 나타내고,
    m은 각각 독립적으로 0 내지 4의 정수를 나타내고,
    n은 2 내지 1,000의 정수를 나타내고;
    [화학식 3]
    Figure 112019004409797-pat00027

    상기 화학식 3에서,
    X는 각각 독립적으로 히드록시기 또는 할로겐기를 나타내고,
    Y는 탄소수 1 내지 20의 선형 또는 분지형 지방족기, 또는 탄소수 6 내지 30의 단핵 또는 다핵의 방향족기를 나타낸다.
  3. 제1항 또는 제2항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하기 화학식 6의 폴리카보네이트 블록을 반복단위로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화학식 6]
    Figure 112017110354512-pat00028

    상기 화학식 6에서,
    R4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이거나, 또는 알킬기, 사이클로알킬기, 알케닐기, 알콕시기, 할로겐 원자 또는 니트로로 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방향족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의 함량이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총 중량에 대하여, 0.5 내지 20 중량%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공중합체의 점도평균분자량이 15,000 내지 200,000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6. 제1항 또는 제2항의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계면반응 조건 하에서 반응시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제1 중합 촉매를 이용하여 중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0.5:99.5 내지 20:80의 중량 비율로 혼합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물은 상전이 촉매, 분자량 조절제 및 제2 중합 촉매를 더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형성하는 단계는,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폴리실록산과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반응이 완료된 후 상기 혼합물에서 유기상을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중간체를 중합시키는 단계는, 상기 제1 중합 촉매를 상기 추출된 유기상에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올리고머성 폴리카보네이트의 점도평균분자량이 1,000 내지 27,000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 방법.
  11. 제3항에 따른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0170147338A 2017-11-07 2017-11-07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19453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38A KR101945370B1 (ko) 2017-11-07 2017-11-07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7338A KR101945370B1 (ko) 2017-11-07 2017-11-07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370B1 true KR101945370B1 (ko) 2019-02-07

Family

ID=65367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7338A KR101945370B1 (ko) 2017-11-07 2017-11-07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37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19A (ko)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발광 가니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48819A (ko) 2019-10-24 2021-05-04 주식회사 서연이화 차량용 발광 가니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32677B1 (ko)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41684B1 (ko) 투명성 및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448058B1 (ko)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89201B1 (ko) 에스테르 결합을 갖는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 방법
KR101432613B1 (ko) 난연성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의 성형품
KR101663555B1 (ko) 난연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492956B1 (ko)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의 제조방법
TWI738059B (zh) 具有優異抗衝擊性、阻燃性及透光度之聚矽氧烷-聚碳酸酯共聚物及製備該共聚物之方法
KR101400348B1 (ko) 포스페이트-함유 히드록시 말단 실록산,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37613B1 (ko) 투명성 및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45370B1 (ko) 난연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성형품
KR102115799B1 (ko) 투명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528362B1 (ko) 투명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895384B1 (ko) 우수한 난연성을 가진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938746B1 (ko) 우수한 난연성 및 내충격성을 지닌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이의 제조방법 및 이의 성형품
KR102213376B1 (ko) 내충격성, 난연성 및 유동성이 우수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184801B1 (ko) 실록산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분지상 폴리카보네이트
KR20160002485A (ko) 투명성 및 저온 내충격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20230007182A (ko) 히드록시페닐-말단 폴리실록산, 이를 반복 단위로서 포함하는 투명성이 우수하고 난연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공중합체 제조방법
KR20200071172A (ko) 폴리에스테르-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727253B1 (ko) 내열성과 투명성이 우수한 열가소성 공중합체 수지 및 그 제조방법
KR20150012149A (ko) 투명성이 향상된 폴리실록산-폴리카보네이트 공중합체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