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277B1 -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 Google Patents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277B1
KR101945277B1 KR1020170045483A KR20170045483A KR101945277B1 KR 101945277 B1 KR101945277 B1 KR 101945277B1 KR 1020170045483 A KR1020170045483 A KR 1020170045483A KR 20170045483 A KR20170045483 A KR 20170045483A KR 101945277 B1 KR101945277 B1 KR 10194527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d
bearing
shaft
bearing housing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4548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3843A (ko
Inventor
임종호
임경찬
Original Assignee
임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종호 filed Critical 임종호
Priority to KR102017004548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277B1/ko
Publication of KR201801138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38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2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27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7/00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 F16C17/02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 F16C17/03Sliding-contact bearings for exclusively rotary movement for radial load only with tiltably-supported segments, e.g. Michell bearing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33/00Parts of bearings; Special methods for making bearings or parts thereof
    • F16C33/02Parts of sliding-contact bearings
    • F16C33/04Brasses; Bushes; Linings
    • F16C33/06Sliding surface mainly made of metal
    • F16C33/10Construction relative to lubr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Sliding-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은 내주면에 중공부를 가지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축을 지지하는 것으로, 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부곡면부를 가지며 베어링하우징과 대응되는 외주면이 축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율반경을 가지는 외부곡면부를 구비하여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에 대해 길이 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틸팅되는 복수개의 패드들과,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패드의 외주곡면부에 설치되어 패드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패드와 베어링하우징의 접촉부위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패드지지부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양단부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들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journing bearing having double tilting pads and shaft supporting apparatus}
본 발명은 베어링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패드에 작용하는 축의 하중분포을 균일하게 유지할 수 있는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군함, 원유운반선, 가스 운반선, 컨테이너 운반선 등, 선박의 중, 대형화는 엔진과 추진 축계의 중, 대형화를 동반하게 되고 추진축계에 작용하는 하중 또한 증가하게 된다. 이에 따라 베어링에 작용하는 평균 압력을 균일화시키기 위하여 추진축계의 베어링 개발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선박의 추진축계에 설치되는 베어링은 선박의 운항 중에 프로펠러의 추력, 프로펠러의 자중, 선체의 변형에 의한 하중, 해수와 접하는 축계의 부력 등 다양한 하중을 받게 된다. 특히, 추진축계에 설치되는 베어링은 축의 굽힘 강성에 의해 베어링 내부의 특정부위에 국부하중이 집중하게 되고 나아가서는 축과 베어링 내부와의 유막이 손상되면서 발열/압착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선박의 추진을 위한 축계정렬은 축계를 지지하는 베어링의 높낮이(옵셋)을 적절히 조절하여 원하는 베어링 반력의 분포를 얻고 이를 추정 및 모델링하여 이루어지게 되는데, 선박의 축에 작용하는 다양한 하중분포에 의해 정확한 하중 및 패드에 작용하는 하중의 해석이 어렵다. 따라서 하중을 받는 축계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가는 여러 가지 기준으로 판단하게 되는데 그중에 가장 중요한 기준은 각 베어링 특히, 저어널 베어링의 패드에 작용하는 반력의 분포를 균일하게 하는 것이다.
일본 공개특허 제 2004-156690호에는 횡축 회전기용 틸팅패드 접동 베어링 장치가 게시되어 있으며, 일본공개 특허 제 2009-30704호에는 틸팅 패드 저널 베어링 장치가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틸팅 패드 저널 베어링 장치는 회전축 주위에 배치되는 복수개의 패드와, 상기 복수의 패드를 수용하는 베어링 하우징을 구비하며, 상기 패드는 각각 상기 회전축과의 슬라이드면의 원주방향 후단부에 형성한 급유홈 및 상기 금유홈과 측면을 연통하는 구멍이 형성된다.
그리고 미국특허 제 5482380호에는 패드가 원주 및 축방향으로 요동하는 구조가 게시되어 있으며,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7-0098126호에는 축진동 및 메탈온도를 줄이기 위한 터빈 발전기용 5-틸팅패드 저널 베어링이 게시되어 있다.
또한 일본특허 평 10-503827호에는 경동 패드식 저널 베어링이 게시되어 있으며, WO2013/046404호에는 직접윤활방식 틸팅패드 저널 베어링이 게시되어 있다.
게시된 저어널 베어링은 회전축의 외주 측에 배치되고 피봇에 의해 요동 가능하게 설치된 복수의 패드와 상기 복수의 패드 사이에 설치되고, 상기 회전축의 외주면과 상기 패드의 내주면 사이에 기름을 직접 공급하는 복수의 노즐을 구비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저어널 베어링은 패드가 피봇에 의해 지지되어 있으므로 피봇의 지지부에 하중의 집중됨으로써 응력의 분산이 이루어지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또한 축방향으로 추력 발생 시 패드의 위치가 고정됨으로써 축력에 대한 완충력이 상대적으로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으며, 하중에 대한 베어링의 반력이 상대적으로 저하되는 문제점 있다. 또한 축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지지력 즉, 압력분포의 불균일로 인하여 윤활이 균일하게 이루어지지 않음으로써 베어링 발열의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미국특허 제 5482380호 일본특허 평 10-503827호 WO2013/046404호 대한민국 공개 특허 제 2007-0098126호
본 발명의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베어링 하우징에 대해 패드를 원주방향과 축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베어링의 패드에 작용하는 하중 즉, 압력 분포를 균일하게 할 수 있으며, 축에 작용하는 축추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선박에 회전축에 작용하는 진동의 편하중에 대응할 수 있으며, 축추력이 선박의 엔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은 내주면에 중공부를 가지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축을 지지하는 것으로, 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부곡면부를 가지며 베어링하우징과 대응되는 외주면이 축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율반경을 가지는 외부곡면부를 구비하여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에 대해 길이 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틸팅되는 복수개의 패드들과,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패드의 외주곡면부에 설치되어 패드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패드와 베어링하우징의 접촉부위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패드지지부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양단부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들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각 패드들의 단부와 커버의 사이에는 패드들을 지지하고 패드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추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추력완충부를 더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는 윤활유저장공간과 트러스트 베어링지지부와 저어널베어링 지지부를 가지는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트러스트베이렁지지부에 설치된 트러스트베어링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어 축추력에 대해 대응하기 위한 디스크와 상기 디스크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저어널베이링부에 지지되는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에 의해 지지되는 축수부를 가진 축을 구비하며,
상기 더블틸팅 저어널베어링은 내주면에 중공부를 가지는 베어링하우징과,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축을 지지하는 것으로, 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부곡면부를 가지며 베어링하우징과 대응되는 외주면이 축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율반경을 가지는 외부곡면부를 구비하여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에 대해 길이 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틸팅되는 복수개의 패드들과, 베어링하우징의 내주면과 상기 패드의 외주곡면부에 설치되어 패드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패드와 베어링하우징의 접촉부위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패드지지부와, 상기 베어링하우징의 양단부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들을 구비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는 축을 지지하는 패드를 지지하는 베어링의 하우징에 대해 원주방향과 축방향으로 틸팅되도록 함으로써 진동 및 탄성변형되는축을 능동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축에 의해 패드에 작용하는 압력의 분포를 균일하게 있으므로 윤활작용을 극대화시켜 부분적으로 열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저어널 베어링을 이용한 축지지장치는 축의 진동에 대해 패드가 능동적으로 지지됨으로써 진동과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을 이용한 축지지장치의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을 도시한 분리사시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을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더블 틸팅 패드를 발췌하여 도시한 일부절제 사시도.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 틸팅 배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의 작동상태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7은 추력완충부를 발췌하여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에 따른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을 이용한 축지지장치는 중대형 선박의 추진축, 발전소의 구동축 등의 축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그 일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5에 나타내 보였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을 이용한 축지지장치(10)는 윤활유저장공간(11)과 트러스트베어링지지부(12) 및 저어널 베어링지지부(13)을 가지는 하우징(15)을 구비한다. 상기 하우징(15)은 베이스하우징(15a)와 커버하우징(15b)이 상호 결합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5)에 형성되는 윤활저장공간(11)과 트러스트베어링지지부(12) 및 저어널베이링지지부(13)는 상호 연통되는 단일의 공간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이 공간에 지속적인 윤활유가 공급될 수 있도록 윤활유공급통로(미도시)들이 하우징(15)에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15)에는 디스크(21)를 가지는 축(20)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데, 상기 축(20)의 양단부측에는 플랜지부(22)(23)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5)에 대한 축(20)의 회전 가능한 지지는 상기 디스크(21)의 양측이 하우징(15)의 트러스트베이링지지부(12)에 지지되는 트러스트베어링(30)(30)들에 의해 지지되어 축(20)에 작용하는 축추력에 대해 대응하는 구조를 가진다.
그리고 상기 축(20)의 양측 중 적어도 일측은 하우징(15)의 저어널베어링지지부(13)에 지지되는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60)에 의해 지지되어 축(20)의 길이 방향에 대해 직각 방향으로의 하중에 대응하는 축수부의 구조를 가진다.
상기 축(20)에 형성된 디스크(21)는 상기 윤활유저장공간(11)에 노출되어 축의 회전 시 윤활유저장공간(11)에 저장된 윤활유가 하우징의 상부측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하우징(15)의 상부측에는 상기 축(20)의 디스크(21)에 의해 공급되는 윤활유를 구동부 및 트러스트베어링과 후술하는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레퍼(40)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각 구동부의 윤활을 위한 윤활유의 공급은 상술한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지 않고, 강제순환방식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이 조합되어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상기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60)은 내주면에 중공부를 가지는 베어링하우징(6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축(20)을 지지하는 것으로, 축(20)의 외주면에 접촉되어 축(20)의 회전을 지지하는 패드(70)들을 구비한다.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에는 이를 따라 6개의 패드(70)가 배열될 수 있다.
상기 패드(70)는 축(20) 외주면의 일부와 미끄럼 가능하게 접촉되는 내부곡면부(71)과 베어링하우징(61)과 대응되는 외주면이 축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율반경을 가지는 외부곡면부(75)를 구비한다. 상기 외부곡면부(75)는 패드(70)의 외측방향으로 볼록하게 형성될 수 있도록 소정의 곡율반경을 가지는데, 상기와 같이 곡면이 패드(70)의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곡면부의 정점은 패드의 외측면 중앙부 즉, 길이 방향의 중앙부와 원주방향의 중앙부가 교차하는 부위에 형성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곡면부(75)의 곡면은 단일의 곡률 반경으로 이루어지지 않고 복합곡률반경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외부곡면부(75)가 복합적인 곡율반경을 가지는 경우, 외부공면부의 정점은 상술한 바와 같은 위치에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은 패드(70)의 외부곡면부(75)는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과 선접촉이 이루어져 축(20)의 변위 즉, 축의 회전에 의한 탄성변형 또는 선채의 변형에 의한 탄성변형, 축추력 또는 축하중에 의한 변형 및 위치이동시 하우징의 내주면의 길이 방향 및 원주방향에 대해 틸팅이 이루어지게 된다.
그리고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과 상기 패드(70)의 외주면 사이에는 패드(70)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패드(70)와 베어링하우징(61)의 접촉부위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패드지지부(80)와,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양단부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65)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패드(70)의 단부와 이와 대응되는 커버부재(65)의 사이에는 패드(70)들을 지지하고 패드(70)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추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추력완충부(90)를 더 구비한다.
상기 패드지지부(80)는 패드(70)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함과 아울러 패드(70)와 베어링하우징(61)의 접촉부위의 하중을 분산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패드의 외부공면부(75)의 중심부에 나사 결합되며 돌출되는 돌출부(82)를 가지는 지지핀부재(81)를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하우징(61)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핀부재(81)의 돌출부(82)가 삽입되는 핀삽입공(84)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핀부재(81)의 돌출부(82)의 직경은 상기 핀삽입공(84)의 직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패드(70)에 지지된 돌출부(82)가 핀삽입공(84)의 내주면에서 충분히 유동가능 하야야 한다. 그리고 상기 돌출부(82)의 외주면에는 면취부(83)가 형성되어 상기 핀삽입공(84)와의 결합 시 윤활유저장공간을 형성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추력완충부(90)는 상기 패드(70)들의 단부와 대응되는 커버부재(65)의 내면에 원형의 궤적을 따라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형성되고, 상기 각 패드(70)의 양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완충돌기부(91)와 결합되는 완충가이드홈(95)이 각각 형성된다. 상기 완충가이드홈(95)은 상기 가이드환충돌기부(91)의 궤적과 동일한 궤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가이드완충돌기부(91)의 두께(T)보다 상기 완충가이드홈(95)의 폭(W)이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된다. 그리고 이들의 사이에는 윤활유가 충전된다. 상기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완충가이드홈(95)의 결합 시 이들의 사이에 충분히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65)에는 가이드완충돌기부(91)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100)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완충가이드홈(95)이 형성된 패드(70)의 측면에는 윤활유를 저장하기 위한 제 2관통공(10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패드(70)의 내부곡면부(71) 즉, 축(20)의 외주면과 접촉되어 미끄럼마찰이 이루어진 부위에는 별도의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이 코팅층의 재질은 Pb-Sn-Sb계, Sn-Sb계 합금으로, 융점이 낮고 부드러우며 마찰이 적은 화이트메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은 HM07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패드의 베이스는 SS400을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패드(70)의 길이 방향의 양측가장자리에는 윤활유를 저장하기 위한 윤활유 저장홈((72)가 형성된다. 이 윤활유저장홈(72)은 축(20)의 회전시 이에 저장된 윤활유를 지속적으로 패드(70)와 축(20)의 접촉부위에 공급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축지지장치(10)의 축(20)은 일측이 엔진의 동력을 전달하는 축과 연결되고, 축(20)의 타측은 선박의 프로펠러와 연결되어 엔진의 동력을 스크류 측에 전달하게 된다.
이러한 선박의 추진축계에 설치되는 더블틸팅 저어널 베어링(60)은 선박의 운항 중에 프로펠러의 축추력, 프로펠러의 자중, 선체의 변형에 의한 하중, 해수와 접하는 축계의 부력, 회전 및 진동에 의한 탄성변형 등에 의한 다양한 하중을 받게 된다. 특히, 추진축계에 설치되는 더블틸팅 저어널 베어링(60)의 패드(70)에는 축(20)의 휨(굽힘) 강성에 의해 내부곡면부(71)의 특정부위에 국부하중이 집중하게 된다. 따라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패드(70)가 축(20)의 변형에 따라 길이 방향인 축방향 또는 원주방향으로 틸팅되게 된다. 따라서 패드(70)가 축(20)의 변형에 대응하여 틸팅됨으로써 작용하는 하중의 분포가 균일하게 됨과 아울러 패드(70)에 의해 축(20)에 작용하는 반력의 분포가 균일하게 된다. 이러한 작용은 패드(70)의 특정부위에 하중이 집중됨으로써 유활유에 의한 유막이 손상되어 발열 또는 압착되는 것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패드(70)는 패드지지부(80)에 의해 베어링 하우징(61)에 축방향 및 원주방향을 유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술한 바와 같은 축(20)의 변위발생으로 인한 패드(70)의 더블 틸팅시 간섭을 최소화 시킬 수 있으며, 나아가서는 패드(70)가 원주방향 또는 축방향으로 이동이 제한되어 축(20)을 지지하는 패드의 특정부위에 하중과 응력이 집중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드지지부(80)를 이루는 돌출부(82)는 하우징(61)에 형성된 핀삽입공(84)에 삽입된 상태이므로 상기 패드(70)의 회동 시 상기 핀삽입공(84)의 가장자리를 힌지점으로 하여 회동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패드(70)의 회전 시 힌지부위에 하중과 응력을 분산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축(20)에 축추력이 발생되면, 패드(70)가 축(20)의 길이 방향을 미세하게 이동될 수 있는데, 상기 패드(70)의 가장자리와 커버부재(65)의 사이에는 추력완충부(9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패드(70)에 작용하는 추력을 완충시킬 수 있다. 패드(70)에 형성된 완충가이드홈(95)에 커버부재(65)에 형성된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삽입되고, 이의 내부에는 윤활유가 충진되어 있으므로 패드(70)의 축방향으로이의 이동을 완충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는 축을 지지하는 패드에 작용하는 반력과 하중의 분포를 균일하게 베어링의 내구성과 축지지에 따른 신뢰성을 높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등록 청구 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Claims (8)

  1. 내주면에 중공부를 가지는 베어링하우징(6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축을 지지하는 것으로, 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부곡면부(71)를 가지며 베어링하우징(61)과 대응되는 외주면이 축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율반경을 가지는 외부곡면부(75)를 구비하여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에 대해 길이 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틸팅되는 복수개의 패드(70)들과,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과 상기 패드(70)의 외주곡면부(75)에 설치되어 패드(70)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패드(70)와 베어링하우징(61)의 접촉부위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패드지지부(80)와,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양단부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65)들을 구비하며,
    각 패드(70)들의 단부와 커버부재(65)의 사이에는 패드(70)들을 지지하고 패드(70)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 추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패드(70)들의 단부와 대응되는 커버부재(65)의 내면에 원형의 궤적을 따라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형성되고, 상기 각 패드(70)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가이드홈(95)이 형성된 추력완충부(90)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완충가이드홈(95)의 결합 시 이들의 사이에 충분히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65)에는 가이드완충돌기부(91)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100)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가이드홈(95)이 형성된 패드(70)의 측면에는 윤활유를 저장하기 위한 제 2관통공(101)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지지부(80)는 상기 패드(70)의 외부곡면부(75)의 중심부에 나사 결합되며 돌출되는 돌출부(82)를 가지는 지지핀부재(81)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핀부재(81)의 돌출부(82)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핀삽입공(84)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82)의 외주면에는 면취부(83)가 형성되어 상기 핀삽입공(84)과의 결합 시 윤활유저장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윤활유저장공간(11)과 트러스트 베어링지지부(12)와 저어널베어링 지지부(13)를 가지는 하우징(15)과, 상기 하우징(15)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으로, 상기 트러스트베어링지지부(12)에 설치된 트러스트베어링(30)에 의해 양측면이 지지되어 축추력에 대해 대응하기 위한 디스크(21)와 상기 디스크(21)로부터 양측으로 연장되며 저어널베이링부(13)에 지지되는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60)에 의해 지지되는 축수부를 가진 축(20)이 구비되며,
    상기 하우징(15)의 상부측에는 상기 축(20)의 디스크(21)에 의해 공급되는 윤활유를 구동부 및 트러스트베어링과 더블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 베어링(60)에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레퍼(40)가 설치되며,
    상기 더블틸팅패드 저어널베어링은 내주면에 중공부를 가지는 베어링하우징(61)과,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에 설치되어 축을 지지하는 것으로, 축의 외주면에 접촉되는 내부곡면부(71)를 가지며 베어링하우징(61)과 대응되는 외주면이 축방향과 대응되는 길이 방향으로 소정의 곡율반경을 가지는 외부곡면부(75)를 구비하여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에 대해 길이 방향 및 원주방향으로 틸팅되는 복수개의 패드(70)들과,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과 상기 패드(70)의 외주곡면부(75)에 설치되어 패드(70)를 유동가능하게 지지하며 패드(70)와 베어링하우징(61)의 접촉부위의 하중을 분산시키는 패드지지부(80)와,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양단부측에 설치되는 커버부재(65)들을 구비하며,
    각 패드(70)들의 단부와 커버부재(65)의 사이에는 패드(70)들을 지지하고 패드(70)에 축방향으로 작용하는추력을 완충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상기 패드(70)들의 단부와 대응되는 커버부재(65)의 내면에 원형의 궤적을 따라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형성되고, 상기 각 패드(70)의 단부에는 상기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유동가능하게 결합되는 완충가이드홈(95)이 형성된 추력완충부(90)를 더 구비하며,
    상기 가이드완충돌기부(91)가 완충가이드홈(95)의 결합 시 이들의 사이에 충분히 윤활유를 공급할 수 있도록 상기 커버부재(65)에는 가이드완충돌기부(91)로 관통하는 제1관통공(100)이 형성되고, 상기 완충가이드홈(95)이 형성된 패드(70)의 측면에는 윤활유를 저장하기 위한 제 2관통공(101)이 형성되며,
    상기 패드지지부(80)는 상기 패드(70)의 외부곡면부(75)의 중심부에 나사 결합되며 돌출되는 돌출부(82)를 가지는 지지핀부재(81)를 구비하고, 상기 베어링하우징(61)의 내주면에는 상기 지지핀부재(81)의 돌출부(82)가 유동가능하게 삽입되는 핀삽입공(84)가 형성되며, 상기 돌출부(82)의 외주면에는 면취부(83)가 형성되어 상기 핀삽입공(84)과의 결합 시 윤활유저장공간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7. 삭제
  8. 삭제
KR1020170045483A 2017-04-07 2017-04-07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KR1019452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83A KR101945277B1 (ko) 2017-04-07 2017-04-07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45483A KR101945277B1 (ko) 2017-04-07 2017-04-07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43A KR20180113843A (ko) 2018-10-17
KR101945277B1 true KR101945277B1 (ko) 2019-04-17

Family

ID=64099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5483A KR101945277B1 (ko) 2017-04-07 2017-04-07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27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20208821A1 (de) * 2020-07-15 2022-01-20 Robert Bosch Gesellschaft mit beschränkter Haftung Kippsegmentlager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1670A1 (en) * 2001-03-28 2002-10-03 Nicholas John C. Sleeve bearing with bypass cooling
JP2011179609A (ja) * 2010-03-02 2011-09-15 Ihi Corp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ジャーナル軸受
JP2012117608A (ja) * 2010-11-30 2012-06-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ラスト軸受装置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292192B (en) 1994-08-06 1997-12-10 Glacier Metal Co Ltd Journal bearings
US5482380A (en) 1994-08-24 1996-01-09 Corratti; Anthony A. Double tilting pad journal bearing
KR100764635B1 (ko) 2006-03-31 2007-10-12 (주)터보링크 축 진동 및 메탈 온도를 줄이기 위한 터빈발전기용 5-패드틸팅패드 저널베어링
WO2013046404A1 (ja) 2011-09-29 2013-04-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直接潤滑方式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ジャーナル軸受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20141670A1 (en) * 2001-03-28 2002-10-03 Nicholas John C. Sleeve bearing with bypass cooling
JP2011179609A (ja) * 2010-03-02 2011-09-15 Ihi Corp ティルティングパッドジャーナル軸受
JP2012117608A (ja) * 2010-11-30 2012-06-21 Mitsubishi Heavy Ind Ltd スラスト軸受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3843A (ko) 2018-10-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68094A (en) Radial and thrust-type hydrodynamic bearing capable of accommodating misalignment
US6767133B2 (en) Tilting pad bearing arrangement
US4097094A (en) Journal bearing assembly with flexible support and viscous damping
US4243274A (en) Hydrodynamic bearing with radial, thrust and moment load capacity
JP5197977B2 (ja) ジャーナル軸受装置
WO2015175341A1 (en) Five-axial groove cylindrical journal bearing with pressure dams for bi-directional rotation
US11193528B2 (en) Bearing pad for tilting-pad bearing, tilting-pad bearing, and rotary machine
CN105114446A (zh) 可变阶梯阻尼推力轴承
KR101945277B1 (ko) 더블 틸팅 패드를 가진 저어널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US5549392A (en) Resilient mount pad journal bearing
JP2017172697A (ja) ラジアル軸受装置、及び、回転機械
CN101675258B (zh) 轴承
US5399024A (en) Face seal with hydrodynamic thrust pads
US3610711A (en) Tilting pad bearing and seal
US10077803B2 (en) Ball-socket type tilting pad journal bearing
KR102340555B1 (ko) 틸팅 패드 베어링
US6431553B1 (en) Radially pressure balanced floating seal system
EP0021711B1 (en) Fluid-lubricated foil bearings, and foils for such bearings
JPS62288719A (ja) 動圧スラスト軸受
KR20190043229A (ko) 복수의 지지방식을 사용하는 틸팅 패드 베어링
US4555187A (en) Foil bearing alignment
CN109863082A (zh) 由驱动轴制动及锁定系统构成的用于船舶的驱动单元
KR20180113842A (ko) 틸팅패드를 갖는 스러스트 베어링과 이를 이용한 축지지장치
JP6824229B2 (ja) 軸受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回転動機
GB1594672A (en) Radial and thrust-type hydrodynamic bearing capable of accommodating misalign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