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5069B1 - 제초 조성물 - Google Patents

제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5069B1
KR101945069B1 KR1020137033595A KR20137033595A KR101945069B1 KR 101945069 B1 KR101945069 B1 KR 101945069B1 KR 1020137033595 A KR1020137033595 A KR 1020137033595A KR 20137033595 A KR20137033595 A KR 20137033595A KR 101945069 B1 KR101945069 B1 KR 10194506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lt
herbicidal
compound
sodium
herbicidal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33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41564A (ko
Inventor
류 야마다
히로유키 오카모토
다카시 데라다
Original Assignee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하라 산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400415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415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0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06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7/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 A01N47/08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not being member of a ring and having no bond to a carbon or hydrogen atom, e.g. derivatives of carbonic acid the carbon atom having one or more single bonds to nitrogen atoms
    • A01N47/28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 A01N47/36Ureas or thioureas containing the groups >N—CO—N< or >N—CS—N< containing the group >N—CO—N< directly attached to at least one heterocyclic ring; Thio analogu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43/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 A01N43/72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 A01N43/8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rings with nitrogen atoms and oxygen or sulfur atoms as ring hetero atoms five-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nd either one oxygen atom or one sulfur atom in positions 1,2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est Control & Pesticides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현재, 다수의 제초 조성물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제하고자 하는 잡초는 종류가 많고, 이의 발생이 장기간에 걸친다. 따라서, 폭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가지며 고활성이며 지속 효과가 긴 제초 조성물의 출현이 요구된다. 본 발명은 (A) 플라자설퓨론, 니코설퓨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상승적 제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승적 제초 조성물에 따르면, 폭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가지며 고활성이며 지속 효과가 긴 제초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제초 조성물{HERBICIDAL COMPOSITION}
본 발명은 (A) 플라자설퓨론, 니코설퓨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상승적 제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농경지 또는 비농경지에 있어서의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하, 간단히 "잡초"라고 지칭함)을 방제하기 위해, 다수의 제초 조성물이 검토되고 있다. 예컨대, 특허문헌 1 및 2는 이소옥사졸린 유도체 또는 이의 염, 및 일정한 공지 제초제를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을 개시하며, 공지 제초제의 예로서, 특허문헌 1은 니코설퓨론을, 특허문헌 2는 플라자설퓨론을 각각 기재한다. 특허문헌 3은 피록사술폰 및 아세토히드록시산 합성 효소 저해제를 함유하는 제초 조성물을 개시하며, 아세토히드록시산 합성 효소 저해제의 예로서, 특허문헌 3은 니코설퓨론 및 플라자설퓨론을 기재한다.
그러나, (A) 플라자설퓨론, 니코설퓨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제초 조성물이 상승적 제초 효과를 나타내는 것은 공지되어 있지 않다.
특허문헌 1: WO-A-2004-014138 특허문헌 2: WO-A-2008-075743 특허문헌 3: WO-A-2009-112454
현재, 다수의 제초 조성물이 개발 및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방제하고자 하는 잡초는 종류가 많고, 이의 발생이 장기간에 걸친다. 따라서, 폭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가지며 고활성이며 지속 효과가 긴 제초 조성물의 출현이 요구된다.
(A) 플라자설퓨론, 니코설퓨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조합함으로써, 폭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가지며 고활성이며 지속 효과가 긴 제초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A) 플라자설퓨론, 니코설퓨론 및 이들의 염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하 "화합물 A"라고 약칭함)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이하 "화합물 B"라고 약칭함)을 포함하는 상승적 제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상승적 제초 조성물의 유효량을 잡초 또는 이것이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함으로써, 잡초를 방제 또는 이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화합물 A 및 화합물 B의 상승적 제초 유효량을 잡초 또는 이것이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함으로써, 잡초를 방제 또는 이의 생육을 억제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폭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가지며 고활성이며 제초 성분의 적용량이 저감되며 지속 효과가 긴 제초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2가지 유효 성분이 조합된 경우의 제초 활성이 2가지 유효 성분의 각각의 제초 활성의 단순 합(기대 활성)보다 클 경우, 이를 상승적 효과라고 한다. 2가지 유효 성분의 조합에 의해 기대된 활성은 하기와 같이 계산될 수 있다(Colby S.R., "Weed", vol. 15, p. 20-22, 1967).
E = α + β - (α × β ÷ 100)
식 중 α: x(g/ha)의 제초제 X로 처리시의 생육 억제율,
β: y(g/ha)의 제초제 Y로 처리시의 생육 억제율,
E: x(g/ha)의 제초제 X 및 y(g/ha)의 제초제 Y로 처리시의 생육 억제율.
즉, 실제 생육 억제율(실측치)이 상기 계산에 의한 생육 억제율(계산치)보다 클 경우, 조합에 의한 활성이 상승적 효과를 나타낸다고 간주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상기 식에 의해 계산시 상승적 효과를 나타낸다.
화합물 A로서, 플라자설퓨론(일반명)은 1-(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3-(3-트리플루오로메틸-2-피리딜술포닐)우레아이고, 니코설퓨론(일반명)은 2-(4,6-디메톡시피리미딘-2-일카르바모일술파모일)-N,N-디메틸니코틴아미드이다.
화합물 B로서, 피록사술폰(일반명)은 3-[5-(디플루오로메톡시)-1-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피라졸-4-일메틸술포닐]-4,5-디히드로-5,5-디메틸-1,2-옥사졸이다.
화합물 A 및 화합물 B에 포함되는 염은 농업상 허용되는 한 임의의 염일 수 있다. 이의 예는 알칼리 금속 염, 예컨대 나트륨 염 및 칼륨 염; 알칼리 토금속 염, 예컨대 마그네슘 염 및 칼슘 염; 암모늄 염, 예컨대 모노메틸암모늄 염, 디메틸암모늄 염 및 트리에틸암모늄 염; 무기산 염, 예컨대 염산염, 과염소산염, 황산염 및 질산염, 및 유기산 염, 예컨대 아세트산염 및 메탄술포네이트를 포함한다.
화합물 A와 화합물 B의 혼합 비율은 제제 형태, 기상 조건, 방제하고자 하는 잡초의 유형 및 생육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야 하며, 절대적으로 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예컨대 이는 화합물 A:화합물 B 중량비로 27: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8:1 내지 1:30이다.
화합물 A가 플라자설퓨론일 경우, 플라자설퓨론과 화합물 B의 혼합 비율은 화합물 A:화합물 B 중량비로 예컨대 27: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15:1 내지 1:40, 더욱 바람직하게는 8:1 내지 1:30이다. 플라자설퓨론 및 피록사술폰을 8:1 내지 1:30의 상기 비율로 혼합시, 다른 혼합 비율에 비해 특히 우수한 효과(예컨대, 상승적 제초 효과)가 나타난다.
화합물 A가 니코설퓨론일 경우, 니코설퓨론과 화합물 B의 혼합 비율은 화합물 A:화합물 B 중량비로 예컨대 15:1 내지 1:50, 바람직하게는 4:1 내지 1:30, 더욱 바람직하게는 2:1 내지 1:15이다. 니코설퓨론 및 피록사술폰을 2:1 내지 1:15의 상기 비율로 혼합시, 다른 혼합 비율에 비해 특히 우수한 효과(예컨대, 상승적 제초 효과)가 나타난다.
화합물 A 및 화합물 B 각각의 적용량은 화합물 A와 화합물 B의 혼합 비율, 제제 형태, 기상 조건, 방제하고자 하는 잡초의 유형 및 생육 상태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되어야 하며, 절대적으로 정할 수는 없다. 그러나, 예컨대 화합물 A의 적용량은 10 내지 300 g/h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0 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g/ha이고; 화합물 B의 적용량은 7.5 내지 500 g/h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50 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300 g/ha이다.
화합물 A가 플라자설퓨론일 경우, 화합물 A의 적용량은 10 내지 200 g/h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50 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100 g/ha이고; 화합물 B의 적용량은 7.5 내지 500 g/ha,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400 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12.5 내지 300 g/ha이다.
화합물 A가 니코설퓨론일 경우, 화합물 A의 적용량은 10 내지 300 g/ha, 바람직하게는 15 내지 200 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100 g/ha이고; 화합물 B의 적용량은 20 내지 500 g/ha,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450 g/ha, 더욱 바람직하게는 50 내지 300 g/ha이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잡초에 적용할 수 있거나, 또는 잡초가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이는 잡초 발생 전후의 임의의 시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토양 처리, 경엽 처리, 관수(irrigation) 처리 및 담수 처리(submerged application)와 같은 다양한 산포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밭, 과수원 및 논과 같은 농경지, 및 밭두둑, 휴경지, 운동장, 골프장, 공터, 휴림, 공장 부지, 선로변 및 도로변과 같은 비농경지에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1년생 잡초 및 다년생 잡초와 같은 광범위한 잡초를 방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에 의해 방제하고자 하는 잡초는 예컨대 사초과 잡초(cyperaceae), 예컨대 파대가리[green kyllinga(Cyperus brevifolia var. leiolepis)], 향부자[purple nutsedge(Cyperus rotundus L.)], 기름골[yellow nutsedge(Cyperus esculentus L.)], 또는 금방동사니[amur cyperus(Cyperus microiria Steud.)]; 벼과 잡초(gramineae), 예컨대 돌피[barnyardgrass(Echinochloa crus - galli L., Echinochloa oryzicola vasing.)], 바랭이[crabgrass(Digitaria sanguinalis(L). Scop., Digitaria ischaemum Muhl., Digitaria adscendens Henr., Digitaria microbachne Henr., Digitaria horizontalis Willd.)], 강아지풀(Setaria viridis L.)], 갈퀴덩굴[goosegrass(Eleusine indica L.)], 존슨그라스[johnsongrass(Sorghum halepense L.)], 새포아풀[annual bluegrass(Poa annua L.)], 기장[panic grass(Panicum spp.)], 기니아그라스[guinea grass(Panicum maximum Jacq.)], 브라치아리아[marmeladegrass 또는 signal grass(Brachiaria spp.)], 브라치아리아 데컴벤스[surinam grass(Brachiaria decumbens Stapf)], 참새피[paspalum(Paspalum spp.)], 잇치그라스[itchgrass(Rottboellia cochinchinensis(LOUR.) W.D.CLAYTON)], 또는 야생 귀리(Avena fatua L.); 현삼과 잡초(scrophulariaceae), 예컨대 개불알풀[persian speedwell(Veronica persica Poir.)], 또는 선개불알풀[corn speedwell(Veronica arvensis L.)]; 국화과 잡초(compositae), 예컨대 서양도깨비바늘[beggar ticks(Bidens spp.)], 도깨비바늘[hairy fleabane(Conyza bonariensis(L.) Cronq.)], 쥐꼬리망초[horseweed(Erigeron canadensis L.)], 민들레(Taraxacum officinale Weber), 또는 우엉(Xanthium strumarium L.); 콩과 잡초(leguminosae), 예컨대 흰토끼풀(Trifolium repens L.)]; 석죽과 잡초(caryophyllaceae), 예컨대 유럽점나도나물[sticky chickweed(Cerastium glomeratum Thuill.)], 또는 별꽃나물[common chickweed(Stellaria media L.)]; 대극과 잡초(euphorbiaceae), 예컨대 털땅빈대[garden spurge(Euphorbia hirta L.)], 또는 깨풀[threeseeded copperleaf(Acalypha australis L.)]; 질경이과 잡초(plantaginaceae), 예컨대 질경이[asiatic plantain(Plantago asiatica L.); 괭이밥과 잡초(oxalidaceae), 예컨대 괭이밥[creeping woodsorrel(Oxalis corniculata L.); 미나리과 잡초(apiaceae), 예컨대 피막이풀[lawn pennywort(Hydrocotyle sibthorpioides Lam.)]; 제비꽃과 잡초(violaceae), 예컨대 제비꽃(Viola mandshurica W. Becker); 붓꽃과 잡초(iridaceae), 예컨대 등심붓꽃[blue-eyedgrass(Sisyrinchium rosulatum Bicknell)]; 쥐손이풀과 잡초(geraniaceae), 예컨대 캐롤라이나 제라늄[carolina geranium(Geranium carolinianum L.); 꿀풀과 잡초(labiatae), 예컨대 자주광대나물[purple deadnettle(Lamium purpureum L.)], 또는 광대나물[henbit(Lamium amplexicaule L.)]; 아욱과 잡초(malvaceae), 예컨대 어저귀[velvetleaf(Abutilon theophrasti MEDIC.)], 또는 공단풀[prickly sida(Sida spinosa L.)]; 메꽃과 잡초(convolvulaceae), 예컨대 둥근잎나팔꽃[tall morningglory(Ipomoea purpurea L.)], 또는 서양메꽃[field bindweed(Convolvulus arvensis L.)]; 명아주과 잡초(chenopodiaceae), 예컨대 흰명아주[common lambsquarters(Chenopodium album L.)]; 쇠비름과 잡초(portulacaceae), 예컨대 쇠비름[common purslane(Portulaca oleracea L.)]; 비름과 잡초(amaranthaceae), 예컨대 털비름[redroot pigweed(Amaranthus retroflexus L.)]; 가지과 잡초(solanaceae), 예컨대 까마종이[black nightshade(Solanum nigrum L.)]; 마디풀과 잡초(polygonaceeae), 예컨대 흰여뀌[spotted knotweed(Polygonum lapathifolium L.)], 또는 명아주여뀌[green smartweed(Polygonum scabrum MOENCH)]; 십자화과 잡초(cruciferae), 예컨대 황새냉이[flexuous bittercress(Cardamine flexuosa WITH.)]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예컨대 다년생 벼과 잡초, 예컨대 존슨그라스 또는 참새피; 사초과 잡초, 예컨대 파대가리, 향부자, 기름골 또는 금방동사니에 대해 높은 방제 효과를 나타내는 것; 또는 잡초의 생육을 장기간 동안 억제하는 것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상기 기재한 유효 성분 외에 1 이상의 다른 제초성 화합물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방제하고자 하는 잡초의 범위, 제초 조성물의 적용 시기, 제초 활성 등을 더욱 바람직한 방식으로 개선시킬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다른 제초성 화합물은 예컨대 하기 화합물(ISO에 의한 일반명 등, 또는 시험 코드, 여기서 "ISO에 의한 승인 신청 하에서"는 일반적임을 의미함)을 포함하며, 이들 중 1 이상을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여기서 특정하게 언급하지 않는 경우라도, 이러한 화합물이 염, 알킬 에스테르, 수화물, 상이한 결정 형태, 다양한 구조 이성체 등을 갖는 경우에는, 물론 이들이 모두 포함된다.
(1) 식물의 호르몬 작용을 교란하여 제조 효과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것들, 예컨대 페녹시계, 예컨대 2,4-D, 2,4-D-부토일, 2,4-D-부틸, 2,4-D-디메틸암모늄, 2,4-D-디올아민, 2,4-D-에틸, 2,4-D-2-에틸헥실, 2,4-D-이소부틸, 2,4-D-이소옥틸, 2,4-D-이소프로필, 2,4-D-이소프로필암모늄, 2,4-D-나트륨, 2,4-D-이소프로판올암모늄, 2,4-D-트롤아민, 2,4-DB, 2,4-DB-부틸, 2,4-DB-디메틸암모늄, 2,4-DB-이소옥틸, 2,4-DB-칼륨, 2,4-DB-나트륨, 디클로르프롭(dichlorprop), 디클로르프롭-부토일, 디클로르프롭-디메틸암모늄, 디클로르프롭-이소옥틸, 디클로르프롭-칼륨, 디클로르프롭-P, 디클로르프롭-P-디메틸암모늄, 디클로르프롭-P-칼륨, 디클로르프롭-P-나트륨, MCPA, MCPA-부토일, MCPA-디메틸암모늄, MCPA-2-에틸헥실, MCPA-칼륨, MCPA-나트륨, MCPA-티오에틸, MCPB, MCPB-에틸, MCPB-나트륨, 메코프롭(mecoprop), 메코프롭-부토일, 메코프롭-나트륨, 메코프롭-P, 메코프롭-P-부토일, 메코프롭-P-디메틸암모늄, 메코프롭-P-2-에틸헥실, 메코프롭-P-칼륨, 나프로아닐리드(naproanilide) 또는 클로메프롭(clomeprop); 방향족 카르복실산계, 예컨대 2,3,6-TBA, 디캄바(dicamba), 디캄바-부토일, 디캄바-디글리콜아민, 디캄바-디메틸암모늄, 디캄바-디올아민, 디캄바-이소프로필암모늄, 디캄바-칼륨, 디캄바-나트륨, 디클로베닐(dichlobenil), 피클로람(picloram), 피클로람-디메틸암모늄, 피클로람-이소옥틸, 피클로람-칼륨, 피클로람-트리이소프로판올암모늄, 피클로람-트리이소프로필암모늄, 피클로람-트롤아민, 트리클로피(triclopyr), 트리클로피르-부토일, 트리클로피르-트리에틸암모늄, 클로피랄리드(chlopyralid), 클로피랄리드-올아민, 클로피랄리드-칼륨, 클로피랄리드-트리이소프로판올암모늄 또는 아미노피랄리드; 및 다른 것들, 예컨대 납탈람(naptalam), 납탈람-나트륨, 베나졸린(benazolin), 베나졸린-에틸, 퀸클로락(quinclorac), 퀸메락(quinmerac), 디플루펜조피르(diflufenzopyr), 디플루펜조피르-나트륨, 플루록시피르(fluroxypyr), 플루록시피르-2-부톡시-1-메틸에틸, 플루록시피르-멥틸(meptyl), 클로르플루레놀(chlorflurenol), 클로르플루레놀-메틸,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aminocyclopyrachlor),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메틸 또는 아미노시클로피라클로르-칼륨.
(2) 식물의 광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과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것들, 예컨대 우레아계, 예컨대 클로로톨루론(chlorotoluron), 디우론(diuron), 플루오메투론(fluometuron), 리누론(linuron), 이소프로투론(isoproturon), 메토벤주론(metobenzuron), 테부티우론(tebuthiuron), 디메푸론(dimefuron), 이소우론(isouron), 카르부틸레이트(karbutilate), 메타벤즈티아주론(methabenzthiazuron), 메톡수론(metoxuron), 모노리누론(monolinuron), 네부론(neburon), 시두론(siduron), 테르부메톤(terbumeton), 트리에타진(trietazine) 또는 메토브로무론(metobromuron); 트리아진계, 예컨대 시마진(simazine), 아트라진(atrazine), 아트라톤(atratone), 시메트린(simetryn), 프로메트린(prometryn), 디메타메트린(dimethametryn), 헥사지논, 메트리부진(metribuzin), 터부틸아진(terbuthylazine), 시아나진(cyanazine), 아메트린(ametryn), 시부트린(cybutryne), 트리아지프람(triaziflam), 인다지플람(indaziflam), 터부트린(terbutryn), 프로파진(propazine), 메타미트론(metamitron) 또는 프로메톤(prometon); 우라실계, 예컨대 브로마실(bromacil), 브로마실-리늄, 레나실(lenacil) 또는 터바실(terbacil); 아닐리드계, 예컨대 프로파닐(propanil) 또는 시프로미드(cypromid); 카르바메이트계, 예컨대 스웹(swep), 데스메디팜(desmedipham) 또는 펜메디팜(phenmedipham); 히드록시벤조트릴계, 예컨대 브로목시닐(bromoxynil), 브로목시닐-옥타노에이트, 브로목시닐-헵타노에이트, 이옥시닐(ioxynil), 이옥시닐-옥타노에이트, 이옥시닐-칼륨 또는 이옥시닐-나트륨; 및 다른 것들, 예컨대 피리데이트, 벤타존(bentazone), 벤타존-나트륨, 아미카르바존(amicarbazone), 메타졸(metazole) 또는 펜타노클로르(pentanochlor).
(3) 4급 암모늄 염계, 예컨대 그 자신이 식물체 중에서 프리 라디칼로 전환되어 활성 산소를 형성시켜 빠른 제초 효능을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파라쿼트(paraquat) 또는 디쿼트(diquat).
(4) 식물의 클로로필 생합성을 저해하고 광증감 과산화 물질을 식물체 중에 이상 축적시킴으로써 제초 효과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것들, 예컨대 디페닐에테르계, 예컨대 니트로펜(nitrofen), 클로메톡시펜(chlomethoxyfen), 비페녹스(bifenox), 아시플루오르펜(acifluorfen), 아시플루오르펜-나트륨, 포메사펜(fomesafen), 포메사펜-나트륨, 옥시플루오르펜(oxyfluorfen), 락토펜(lactofen), 아클로니펜(aclonifen), 에톡시펜(ethoxyfen)-에틸(HC-252), 플루오로글리코펜(fluoroglycofen)-에틸 또는 플루오로글리코펜; 환식 이미드계, 예컨대 클로르프탈림(chlorphthalim), 플루미옥사진(flumioxazin), 플루미클로락(flumiclorac), 플루미클로락-펜틸, 시니돈(cinidon)-에틸, 플루티아셋(fluthiacet) 또는 플루티아셋-메틸; 및 다른 것들, 예컨대 옥사디아르길(oxadiargyl), 옥사디아존(oxadiazon), 설펜트라존(sulfentrazone), 카르펜트라존(carfentrazone)-에틸, 티디아지민(thidiazimin), 펜톡사존(pentoxazone), 아자페니딘(azafenidin), 이소프로파졸, 피라플루펜(pyraflufen)-에틸, 벤즈펜디존(benzfendizone), 부타페나실(butafenacil), 사플루페나실(saflufenacil), 플루폭삼(flupoxam), 플루아졸레이트(fluazolate), 프로플루아졸(profluazol), 피라클로닐(pyraclonil), 플루펜피르(flufenpyr)-에틸, 벤카르바존(bencarbazone), 에틸 [3-(2-클로로-4-플루오로-5-(3-메틸-2,6-디옥소-4-트리플루오로메틸-3,6-디히드로-2H-피리미딘-1-일)페녹시)피리딘-2-일옥시]아세테이트(SYN-523).
(5) 식물의 색소 합성을 저해하는 것에 의한 백화 작용을 특징으로 하는 제초 효과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것들, 예컨대 카로티노이드, 예컨대 피리다지논계, 예컨대 노르플루라존(norflurazon), 클로리다존(chloridazon) 또는 메트플루라존(metflurazon); 피라졸계, 예컨대 피라졸리네이트(pyrazolynate), 피라족시펜(pyrazoxyfen), 벤조페납(benzofenap), 토프라메존(topramezone) 또는 피라술포톨(pyrasulfotole); 및 다른 것들, 예컨대 아미트롤(amitrole), 플루리돈(fluridone), 플루르타몬(flurtamone), 디플루페니칸(diflufenican), 메톡시페논, 클로마존(clomazone), 술코트리온(sulcotrione), 메소트리온(mesotrione), 템보트리온(tembotrione), 테푸릴트리온(tefuryltrione, AVH-301), 비시클로피론(bicychlorpyrone), 이속사플루톨(isoxaflutole), 디펜조쿼트(difenzoquat), 디펜조쿼트-메틸설페이트(metilsulfate), 이속사클로르톨(isoxachlortole), 벤조비시클론(benzobicyclon), 피콜리나펜(picolinafen) 또는 베플루부타미드(beflubutamid).
(6) 벼과 식물에 대해 특이적으로 강한 제초 효과를 나타내는 것들, 예컨대 아릴옥시페녹시프로피온산계, 예컨대 디클로폽(diclofop)-메틸, 디클로폽, 피리페놉(pyriphenop)-나트륨, 플루아지폽(fluazifop)-부틸, 플루아지폽, 플루아지폽-P, 플루아지폽-P-부틸, 할로옥시폽(haloxyfop)-메틸, 할로옥시폽, 할로옥시폽-에토틸(etotyl), 할로옥시폽-P, 할로옥시폽-P-메틸, 퀴잘로폽(quizalofop)-에틸, 퀴잘로폽-P, 퀴잘로폽-P-에틸, 퀴잘로폽-P-테푸릴(tefuryl), 시할로폽(cyhalofop)-부틸, 페녹사프로폽(fenoxaprop)-에틸, 페녹사프로폽-P, 페녹사프로폽-P-에틸, 메타미폽(metamifop)-프로필, 메타미폽, 클로디나폽(clodinafop)-프로파르길, 클로디나폽 또는 프로파퀴자폽(propaquizafop); 시클로헥산디온계, 예컨대 알록시딤(alloxydim)-나트륨, 알록시딤, 클레토딤(clethodim), 세톡시딤(sethoxydim), 트랄콕시딤(tralkoxydim), 부트록시딤(butroxydim), 테프랄옥시딤(tepraloxydim), 프로폭시딤(profoxydim) 또는 시클록시딤(cycloxydim); 및 다른 것들, 예컨대 플람프롭(flamprop)-M-메틸, 플람프롭-M 또는 플람프롭-M-이소프로필.
(7) 식물의 아미노산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과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것들, 예컨대 술포닐우레아계, 예컨대 클로리무론(chlorimuron)-에틸, 클로리무론, 술포메투론(sulfometuron)-메틸, 술포메투론, 프리미설퓨론(primisulfuron)-메틸, 프리미설퓨론, 벤설퓨론(bensulfuron)-메틸, 벤설퓨론, 클로르설퓨론(chlorsulfuron), 메트설퓨론(metsulfuron)-메틸, 메트설퓨론, 시노설퓨론(cinosulfuron), 피라조설퓨론(pyrazosulfuron)-에틸, 피라조설퓨론, 아짐설퓨론(azimsulfuron), 플라자설퓨론, 림설퓨론(rimsulfuron), 니코설퓨론, 이마조설퓨론(imazosulfuron), 시클로술파무론(cyclosulfamuron), 프로설퓨론(prosulfuron), 플루피르설퓨론(flupyrsulfuron)-메틸-나트륨, 플루피르설퓨론, 트리플루설퓨론(triflusulfuron)-메틸, 트리플루설퓨론, 할로설퓨론(halosulfuron)-메틸, 할로설퓨론, 티펜설퓨론(thifensulfuron)-메틸, 티펜설퓨론, 에톡시설퓨론(ethoxysulfuron), 옥사설퓨론(oxasulfuron), 에타메트설퓨론(ethametsulfuron), 에타메트설퓨론-메틸, 요오도설퓨론(iodosulfuron), 요오도설퓨론-메틸-나트륨, 술포설퓨론(sulfosulfuron), 트리아설퓨론(triasulfuron), 트리베누론(tribenuron)-메틸, 트리베누론, 트리토설퓨론(tritosulfuron), 포람설퓨론(foramsulfuron), 트리플록시설퓨론(trifloxysulfuron), 트리플록시설퓨론-나트륨, 메소설퓨론(mesosulfuron)-메틸, 메소설퓨론, 오르토술파무론(orthosulfamuron), 플루세토설퓨론(flucetosulfuron), 아미도설퓨론(amidosulfuron), 프로피리설퓨론(propyrisulfuron, TH-547), 메타조설퓨론(metazosulfuron), 또는 WO2005092104의 청구 범위에 개시된 화합물; 트리아졸로피리미딘술폰아미드계, 예컨대 플루메트술람(flumetsulam), 메토술람(metosulam), 디클로술람(diclosulam), 클로란술람(cloransulam)-메틸, 플로라술람(florasulam), 페녹사술람(penoxsulam) 또는 피록스술람(pyroxsulam); 이마다졸리논계, 예컨대 이마자피르(imazapyr), 이마자피르-이소프로필암모늄, 이마제타피르(imazethapyr), 이마제타피르-암모늄, 이마자퀸(imazaquin), 이마자퀸-암모늄, 이마자목스(imazamox), 이마자목스-암모늄, 이마자메타벤즈(imazamethabenz), 이마자메타벤즈-메틸 또는 이마자픽(imazapic); 피리미디닐살리실산계, 예컨대 피리티오박(pyrithiobac)-나트륨, 비스피리박(bispyribac)-나트륨, 피리미노박(pyriminobac)-메틸, 피리벤족심(pyribenzoxim), 피리프탈리드(pyriftalid) 또는 피리미설판(pyrimisulfan); 술포닐아미노카르보닐트리아졸리논계, 예컨대 플루카르바존(flucarbazone), 플루카르바존-나트륨, 프로폭시카르바존(propoxycarbazone)-나트륨, 프로폭시카르바존 또는 티엔카르바존(thiencarbazone); 및 다른 것들, 예컨대 글리포세이트(glyphosate), 글리포세이트-나트륨, 글리포세이트-칼륨, 글리포세이트-암모늄, 글리포세이트-디암모늄, 글리포세이트-이소프로필암모늄, 글리포세이트-트리메시움(trimesium), 글리포세이트-세스퀴나트륨, 글루포시네이트(glufosinate), 글루포시네이트-암모늄, 글루포시네이트-P, 글루포시네이트-P-암모늄, 글루포시네이트-P-나트륨, 빌라나포스(bilanafos), 빌라나포스-나트륨 또는 신메틸린(cinmethylin).
(8) 식물의 세포 유사 분역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과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것들, 예컨대 디니트로아닐린계, 예컨대 트리플루랄린(trifluralin), 오리잘린(oryzalin), 니트랄린(nitralin), 펜디메탈린(pendimethalin), 에탈플루랄린(ethalfluralin), 벤플루랄린(benfluralin), 프로디아민(prodiamine), 부트랄린(butralin) 또는 디니트라민(dinitramine); 아미드계, 예컨대 벤술리드(bensulide), 나프로파미드(napropamide), 프로피자미드(propyzamide) 또는 프로나미드(pronamide); 유기 인계, 예컨대 아미프로포스(amiprofos)-메틸, 부타미포스(butamifos), 아닐로포스(anilofos) 또는 피페로포스(piperophos); 페닐 카르바메이트계, 예컨대 프로팜(propham), 클로르프로팜(chlorpropham), 바르벤(barban) 또는 카르베타미드(carbetamide); 쿠밀아민계, 예컨대 다이무론(daimuron), 쿠밀루론(cumyluron), 브로모부티드(bromobutide) 또는 메틸다임론(methyldymron); 및 다른 것들, 예컨대 아술람(asulam), 아술람-나트륨, 디티오피르(dithiopyr), 티아조피르(thiazopyr), 클로르탈(chlorthal)-디메틸, 클로르탈 또는 디펜아미드(diphenamid).
(9) 식물의 단백질 생합성 또는 지질 생합성을 저해함으로써 제초 효과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것들, 예컨대 클로로아세트아미드계, 예컨대 알라클로르(alachlor), 메타자클로르(metazachlor), 부타클로르(butachlor), 프레틸라클로르(pretilachlor), 메톨라클로르(metolachlor), S-메톨라클로르, 테닐클로르(thenylchlor), 펜톡사미드(pethoxamid), 아세토클로르(acetochlor), 프로파클로르(propachlor), 디메텐아미드(methenamid), 디메탄아미드-P, 프로피소클로르(propisochlor) 또는 디메타클로르(dimethachlor); 티오카르바메이트계, 예컨대 몰리네이트(molinate), 디메피페레이트(dimepiperate), 피리부티카르브(pyributicarb), EPTC, 부틸레이트, 베르놀레이트(vernolate), 페불레이트(pebulate), 사이클로에이트(cycloate), 프로술포카르브(prosulfocarb), 에스프로카르브(esprocarb), 티오벤카르브(thiobencarb), 디알레이트(allate), 트리-알레이트 또는 오르벤카르브(orbencarb); 및 다른 것들, 예컨대 에토벤자니드(etobenzanid), 메페나셋(mefenacet), 플루페나셋(flufenacet), 트리디판(tridiphane), 카펜스트롤(cafenstrole), 펜트라자미드(fentrazamide), 옥사지클로메폰(oxaziclomefone), 인다노판(indanofan), 벤푸레세이트(benfuresate), 페녹사술폰(fenoxasulfone), 달라폰(dalapon), 달라폰-나트륨, TCA-나트륨 또는 트리클로로아세트산.
(10) MSMA, DSMA, CMA, 엔도탈(endothall), 엔도탈-디칼륨, 엔도탈-나트륨, 엔도탈-모노(N,N-디메틸알킬암모늄), 에토푸메세이트(ethofumesate), 염소산나트륨, 펠라르곤산(노난산), 포사민(fosamine), 포사민-암모늄, 피녹사덴(pinoxaden), 입펜카르바존(ipfencarbazone, HOK-201), 아클로레인(aclolein), 술팜산암모늄, 보락스(borax), 클로로아세트산, 클로로아세트산나트륨, 시안아미드(cyanamide), 메틸아르손산(methylarsonic acid), 디메틸아르신산, 디메틸아르신산나트륨, 디노테르브(dinoterb), 디노테르브-암모늄, 디노테르브-디올아민, 디노테르브-아세테이트, DNOC, 황산제1철, 플루프로파네이트(flupropanate), 플루프로파네이트-나트륨, 이속사벤(isoxaben), 메플루이디드(mefluidide), 메플루디드-디올아민, 메탐(metam), 메탐-암모늄, 메탐-칼륨, 메탐-나트륨, 이소티오시안산메틸, 펜타클로로페놀, 펜타클로로페놀나트륨, 펜타클로로페놀 라우레이트, 퀴노클라민(quinoclamine), 황산, 우레아 설페이트, 메티오졸린(methiozolin, MRC-01) 등.
(11) 식물에 기생함으로써 제초 효과를 나타낸다고 여겨지는 것들, 예컨대 크산토모나스 캄페스트리스(Xanthomonas campestris), 에피코코시루스 네마토소루스(Epicoccosirus nematosorus), 에피코코시루스 네마토스페루스(Epicoccosirus nematosperus), 엑세로힐룸 모노세라스(Exserohilum Monoseras) 또는 드레크스렐라 모노세라스(Drechsrela Monoceras).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은 유효 성분으로서의 화합물 A 및 화합물 B를 통상적인 농약의 제제 방법에 따라 다양한 농약 첨가제와 혼합하여, 분제, 입제(granule), 과립 수화제(water dispersible granule), 수화제(wettable powder), 정제, 환제, 캡슐(수용성 필름으로 포장된 제제 포함), 수계 현탁제, 유계 현탁제, 마이크로에멀젼, 서스포에멀젼(suspoemulsion), 수용성 분말, 유화성 농축제, 가용성 농축제 또는 페이스트와 같은 다양한 제제로 적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한, 이를 당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제제로 형성할 수 있다.
제제화시에, 화합물 A 및 화합물을 함께 혼합하여 제제화하거나, 또는 이들을 별도로 제제화한 후, 적용시에 혼합할 수 있다.
제제에 사용되는 첨가제는 예컨대 고형 담체, 예컨대 카올리나이트, 세리사이트, 규조토, 소석회, 탄산칼슘, 탈크, 화이트 카본, 카올린, 벤토나이트, 클레이, 탄산나트륨, 중탄산나트륨, 황조광(mirabilite), 제올라이트 또는 전분; 용제, 예컨대 물, 톨루엔, 크실렌, 솔벤트 나프타, 디옥산, 디메틸술폭시드, N,N-디메틸포름아미드, 디메틸아세트아미드, N-메틸-2-피롤리돈 또는 알콜; 음이온계 계면 활성제, 예컨대 지방산의 염, 벤조에이트, 폴리카르복실레이트, 알킬황산 에스테르의 염, 알킬 황산염, 알킬아릴 황산염, 알킬 디글리콜 에테르 황산염, 알콜 황산 에스테르의 염, 알킬 술포네이트, 알킬아릴 술포네이트, 아릴 술포네이트, 리그닌 술포네이트, 알킬디페닐에테르 디술포네이트, 폴리스티렌 술포네이트, 알킬인산 에스테르의 염, 알킬아릴 포스페이트, 스티릴아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황산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황산 에스테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포스페이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인산 에스테르의 염, 폴리옥시에틸렌 아릴 에테르 인산 에스테르의 염, 포름알데히드와 축합된 나프탈렌 술폰산 또는 포름알데히드와 축합된 알킬나프탈렌 술폰산의 염; 비이온계 계면 활성제, 예컨대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지방산 폴리글리세리드, 지방산 알콜 폴리글리콜 에테르, 아세틸렌 글리콜, 아세틸렌 알콜, 옥시알킬렌 블록 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 알킬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알킬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스티릴아릴 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콜 알킬 에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폴리옥시에틸렌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또는 폴리옥시프로필렌 지방산 에스테르; 및 식물유 또는 광유, 예컨대 올리브유, 카폭유(kapok oil), 피마자유, 팜유, 동백 기름, 코코넛유, 참기름, 옥수수유, 쌀겨 기름, 낙화생유, 면실유, 대두유, 포도씨유, 아마인유, 동유(tung oil) 또는 액상 파라핀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에 부합되는 한, 이들 첨가제를 단독으로 또는 이들 중 2 이상의 혼합물로서 함께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언급한 것들 이외의 첨가제를 당분야에 공지된 것들로부터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충전제, 증점제, 침강 방지제, 동결 방지제, 분산 안정제, 약해 경감제(safener), 곰팡이 방지제, 발포제, 붕괴제 및 결합제와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다양한 첨가제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의 유효 성분과 이러한 다양한 첨가제의 중량 기준 혼합 비율은 0.001:99.999 내지 95:5, 바람직하게는 0.005:99.995 내지 90:10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초 조성물의 적용 방법으로서, 적용 장소, 제제 형태, 및 방제하고자 하는 유해 식물의 종류 및 생육 상태와 같은 다양한 조건에 따라 다양한 방법 중에서 적절한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며, 예컨대 하기 방법을 언급할 수 있다.
1. 화합물 A 및 화합물 B를 함께 제제화하여, 제제를 그대로 적용한다.
2. 화합물 A 및 화합물 B를 함께 제제화하고, 제제를 예컨대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고, 필요할 경우, 전착제(spreader)(예컨대, 계면 활성제, 식물유 또는 광유)를 첨가하여 적용한다.
3. 화합물 A 및 화합물 B를 별도로 제제화하여, 그대로 적용한다.
4. 화합물 A 및 화합물 B를 별도로 제제화하고, 이들을 예컨대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하고, 필요할 경우, 전착제(예컨대, 계면 활성제, 식물유 또는 광유)를 첨가하여 각각 적용한다.
5. 화합물 A 및 화합물 B를 별도로 제제화하고, 예컨대 물로 소정 농도로 희석시 제제를 혼합하고, 필요할 경우, 전착제(예컨대, 계면 활성제, 식물유 또는 광유)를 첨가하여 적용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양태를 하기에 기재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상승적 제초 조성물.
(2)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과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혼합 비율이 (A):(B) 중량비로 27:1 내지 1:50인 (1)에 기재된 바의 조성물.
(3)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과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혼합 비율이 (A):(B) 중량비로 15:1 내지 1:20인 상기 (1)에 기재된 바의 조성물.
(4)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과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혼합 비율이 (A):(B) 중량비로 8:1 내지 1:12인 (1)에 기재된 바의 조성물.
(5)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상승적 제초 조성물의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방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생육의 억제 방법.
(6)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상승적 제초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방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생육의 억제 방법.
(7)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을 10 내지 200 g/ha의 양으로 적용하고,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7.5 내지 500 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5) 또는 (6)에 기재된 바의 방법.
(8)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을 20 내지 150 g/ha의 양으로 적용하고,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10 내지 400 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5) 또는 (6)에 기재된 바의 방법.
(9)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을 25 내지 100 g/ha의 양으로 적용하고,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12.5 내지 300 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5) 또는 (6)에 기재된 바의 방법.
(10)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상승적 제초 조성물.
(11)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과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혼합 비율이 (A):(B) 중량비로 15:1 내지 1:50인 (10)에 기재된 바의 조성물.
(12)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과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혼합 비율이 (A):(B) 중량비로 4:1 내지 1:30인 (10)에 기재된 바의 조성물.
(13)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과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혼합 비율이 (A):(B) 중량비로 2:1 내지 1:15인 (10)에 기재된 바의 조성물.
(14)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는 상승적 제초 조성물의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방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생육의 억제 방법.
(15)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상승적 제초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방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생육의 억제 방법.
(16)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을 10 내지 300 g/ha의 양으로 적용하고,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20 내지 500 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14) 또는 (15)에 기재된 바의 방법.
(17)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을 15 내지 200 g/ha의 양으로 적용하고,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50 내지 450 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14) 또는 (15)에 기재된 바의 방법.
(18) (A) 니코설퓨론 또는 이의 염을 20 내지 100 g/ha의 양으로 적용하고,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을 50 내지 300 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14) 또는 (15)에 기재된 바의 방법.
실시예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 위해, 하기에 실시예를 기재하지만,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시험예 1
1/1,000,000-ha 포트(pot)에 밭 토양을 채우고, 까마종이(Solanum nigrum L.)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까마종이가 2.3 내지 2.5 엽기(leaf stage)에 도달했을 때, 유효 성분으로서 플라자설류폰을 포함하는 과립 수화제(상표명: SHIBAGEN DF, Ishihara Sangyo Kaisha, Ltd. 제조) 및 유효 성분으로서 피록사술폰을 포함하는 수화제의 소정량을 농업용 보조제(상표명: KUSARINOH, NIHON NOHYAKU Co., Ltd. 제조)를 0.05 용량% 포함하는 물(1,000 L/ha 상당)로 희석하여,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처리 후 21 일째에, 까마종이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조사한 후, 하기 평가 기준에 따라 평가하였다. 생육 억제율(%)(실측치) 및 상기 콜비(Colby)의 방법에 따라 계산된 바의 생육 억제율(%)(계산치)을 하기 표 1에 나타낸다.
생육 억제율(%) = 0%(비처리구 동등) 내지 100%[완전 고살(complete kill)]의 잡초 방제율
Figure 112013115756812-pct00001
시험예 2
1/1,000,000-ha 포트에 밭 토양을 채우고, 바랭이(Digitaria sanguinalis(L.) Scop.)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바랭이가 4.0 내지 4.5 엽기에 도달했을 때, SHIBAGEN DF(상표명) 및 유효 성분으로서 피록사술폰을 포함하는 수화제의 소정량을 KUSARINOH(상표명)를 0.05 용량% 포함하는 물(1,000 L/ha 상당)로 희석하여,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처리 후 21 일째에, 바랭이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 바의 생육 억제율(%)을 하기 표 2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115756812-pct00002
시험예 3
1/1,000,000-ha 포트에 밭 토양을 채우고, 어저귀(Abutilon theophrasti Medic.)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1 일 후, SHIBAGEN DF(상표명) 및 유효 성분으로서 피록사술폰을 포함하는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1,000 L/ha 상당)로 희석하여,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처리 후 21 일째에, 어저귀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 바의 생육 억제율(%)을 하기 표 3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115756812-pct00003
시험예 4
1/1,000,000-ha 포트에 밭 토양을 채우고, 흰명아주(Chenopodium album L.)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1 일 후, 유효 성분으로서 니코설퓨론을 포함하는 수계 현탁제 및 유효 성분으로서 피록사술폰을 포함하는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300 L/ha 상당)로 희석하여,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처리 후 27 일째에, 흰명아주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 바의 생육 억제율(%)을 하기 표 4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115756812-pct00004
시험예 5
1/3,000,000-ha 포트에 밭 토양을 채우고, 까마종이(Solanum nigrum L.)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1 일 후, SHIBAGEN DF(상표명) 및 유효 성분으로서 피록사술폰을 포함하는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1,000 L/ha 상당)로 희석하여,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처리 후 14 일째에, 까마종이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 바의 생육 억제율(%)을 하기 표 5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115756812-pct00005
시험예 6
1/3,000,000-ha 포트에 밭 토양을 채우고, 야생 귀리(Avena fatua L.)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1 일 후, SHIBAGEN DF(상표명) 및 유효 성분으로서 피록사술폰을 포함하는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1,000 L/ha 상당)로 희석하여,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처리 후 28 일째에, 야생 귀리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 바의 생육 억제율(%)을 하기 표 6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115756812-pct00006
시험예 7
1/3,000,000-ha 포트에 밭 토양을 채우고, 어저귀(Abutilon theophrasti Medic.)의 종자를 파종하였다. 1 일 후, 유효 성분으로서 니코설퓨론을 포함하는 유계 현탁제(상표명: ONEHOPE NYUZAI, Ishihara Sangyo Kaisha, Ltd. 제조) 및 유효 성분으로서 피록사술폰을 포함하는 수화제의 소정량을 물(1,000 L/ha 상당)로 희석하여, 소형 스프레이로 경엽 처리하였다.
처리 후 28 일째에, 어저귀의 생육 상태를 육안으로 관찰하고 조사하였다. 상기 시험예 1에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계산된 바의 생육 억제율(%)을 하기 표 7에 나타낸다.
Figure 112013115756812-pct00007
본 발명을 상세히 그리고 이의 특정 양태를 참고로 하여 설명했지만,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변화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이 당업자에게는 명백할 것이다.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을 본 명세서에서 참고로 인용하는, 2011년 6월 24일 출원된 일본 특허 출원 제2011-140452호를 기초로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모든 참고문헌은 그 전체를 인용한다.
산업상 이용가능성
본 발명에 따르면, 폭넓은 살초 스펙트럼을 가지며 고활성이며 지속 효과가 긴 제초 조성물이 제공될 수 있다.

Claims (9)

  1. (A) 플라자설퓨론(flazasulfuron)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pyroxasulfone) 또는 이의 염을 포함하고, (A)와 (B)의 혼합 비율이 (A):(B) 중량비로 8:1 내지 1:30인 상승적 제초 조성물.)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상승적 제초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A)를 10 내지 100 g/ha의 양으로 적용하고; (B)를 12.5 내지 300 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방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생육의 억제 방법.
  2. (A) 플라자설퓨론 또는 이의 염, 및 (B) 피록사술폰 또는 이의 염의 상승적 제초 유효량을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이 생육하는 장소에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고,
    (A)를 10 내지 100 g/ha의 양으로 적용하고; (B)를 12.5 내지 300 g/ha의 양으로 적용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방제 또는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의 생육의 억제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은 식물은 다년생 벼과 잡초(gramineae) 또는 사초과 잡초(cyperaceae)인 방법.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37033595A 2011-06-24 2012-06-22 제초 조성물 KR10194506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1-140452 2011-06-24
JP2011140452 2011-06-24
PCT/JP2012/066629 WO2012176938A1 (en) 2011-06-24 2012-06-22 Herbicidal compositio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41564A KR20140041564A (ko) 2014-04-04
KR101945069B1 true KR101945069B1 (ko) 2019-04-18

Family

ID=4650841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33595A KR101945069B1 (ko) 2011-06-24 2012-06-22 제초 조성물

Country Status (25)

Country Link
US (1) US9370185B2 (ko)
EP (1) EP2723174B1 (ko)
JP (1) JP5927055B2 (ko)
KR (1) KR101945069B1 (ko)
CN (1) CN103732069B (ko)
AR (1) AR086726A1 (ko)
AU (1) AU2012274296B2 (ko)
BR (1) BR112013033394B1 (ko)
CA (1) CA2839833C (ko)
CL (1) CL2013003707A1 (ko)
CO (1) CO6842023A2 (ko)
ES (1) ES2627042T3 (ko)
GT (1) GT201300317A (ko)
HU (1) HUE033372T2 (ko)
IL (1) IL230038B (ko)
MA (1) MA35282B1 (ko)
MX (1) MX360026B (ko)
MY (1) MY162969A (ko)
PE (1) PE20140861A1 (ko)
PT (1) PT2723174T (ko)
RU (1) RU2594522C2 (ko)
UA (1) UA111211C2 (ko)
UY (1) UY34158A (ko)
WO (1) WO2012176938A1 (ko)
ZA (1) ZA201309690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501A (ko) 2021-01-27 2022-08-03 광저우 바이윈 시징 싱첸 엘티디 살균 유화성 농축액
KR20220149045A (ko) 2021-04-30 2022-11-08 광저우 바이윈 시징 싱첸 엘티디 살균 조성물의 용도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72298B2 (en) * 2013-11-01 2015-07-07 Rotam Agrochem Intrnational Company Limited Synergistic herbicidal composition
MA40840A (fr) 2014-10-22 2017-08-29 Ishihara Sangyo Kaisha Composition herbicide
CN104396991B (zh) * 2014-11-30 2016-05-04 南京华洲药业有限公司 一种含啶嘧磺隆、氟草烟与氟乐灵的混合除草剂
CN104397000B (zh) * 2014-11-30 2016-05-04 南京华洲药业有限公司 一种含啶嘧磺隆、氟草烟与稗草畏的混合除草剂
US20160345582A1 (en) * 2015-05-29 2016-12-01 Valent U.S.A., Corporation Herbicide compositions for weed control
AU2016200567B1 (en) 2016-01-29 2017-01-12 Rotam Agrochem International Company Limited A synergistic herbicidal composition and the method of controlling the growth of undesired plants
CN107743974A (zh) * 2017-09-12 2018-03-02 河南省农业科学院植物保护研究所 一种含有砜吡草唑和烟嘧磺隆的玉米田除草组合物
RU2650295C1 (ru) * 2017-10-11 2018-04-11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Щелково Агрохим" Синергетическая гербицидная композиция для борьбы с сорняками в посевах кукурузы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7928A (ja) 2007-02-15 2009-06-25 Ishihara Sangyo Kaisha Ltd 除草組成物
WO2009112454A2 (en) 2008-03-10 2009-09-17 Basf Se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pyroxasulfon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267134B2 (ja) * 1999-07-30 2009-05-27 石原産業株式会社 芝生中の多年生イネ科雑草を防除する方法
JP5000810B2 (ja) * 2000-04-26 2012-08-15 石原産業株式会社 固形除草組成物
UA78071C2 (en) * 2002-08-07 2007-02-15 Kumiai Chemical Industry Co Herbicidal composition
ATE420557T1 (de) 2004-03-27 2009-01-15 Bayer Cropscience Ag Verwendung von sulfonylharnstoffen
US8404618B2 (en) * 2004-04-30 2013-03-26 Syngenta Limited Herbicidal composition
TW200803736A (en) * 2005-09-15 2008-01-16 Ishihara Sangyo Kaisha Herbicidal composition
UA87950C2 (uk) * 2006-05-03 2009-08-25 Дау Агросайенсиз Ллс Спосіб розпилення пестициду зі зменшеним знесенням аерозолю
US8110530B2 (en) * 2006-12-21 2012-02-07 Kumiai Chemical Industry Co., Ltd. Herbicidal composition
DE102007008528A1 (de) * 2007-02-21 2008-08-28 Bayer Cropscience Ag Herbizid-Kombinationen mit speziellen Pyrazolyloxyphenyl-Derivaten
AU2009226931A1 (en) * 2008-03-17 2009-09-24 Basf Se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pyroxasulfone V
CA2716930A1 (en) * 2008-03-20 2009-09-24 Basf Se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pyroxasulfone iv
JP5822055B2 (ja) 2010-01-06 2015-11-24 日産化学工業株式会社 農薬活性成分の放出が制御される固型農薬製剤
JP2012017319A (ja) * 2010-06-10 2012-01-26 Ishihara Sangyo Kaisha Ltd 除草組成物
JP5927007B2 (ja) * 2011-04-11 2016-05-25 石原産業株式会社 除草組成物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37928A (ja) 2007-02-15 2009-06-25 Ishihara Sangyo Kaisha Ltd 除草組成物
WO2009112454A2 (en) 2008-03-10 2009-09-17 Basf Se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pyroxasulfone
US20110015067A1 (en) * 2008-03-10 2011-01-20 Basf Se Herbicidal Compositions Comprising Pyroxasulfon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08501A (ko) 2021-01-27 2022-08-03 광저우 바이윈 시징 싱첸 엘티디 살균 유화성 농축액
KR20220149045A (ko) 2021-04-30 2022-11-08 광저우 바이윈 시징 싱첸 엘티디 살균 조성물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76938A1 (en) 2012-12-27
MX2013015288A (es) 2014-04-14
CO6842023A2 (es) 2014-01-20
NZ619162A (en) 2015-02-27
EP2723174A1 (en) 2014-04-30
GT201300317A (es) 2014-11-13
US20140228217A1 (en) 2014-08-14
MX360026B (es) 2018-10-18
JP5927055B2 (ja) 2016-05-25
AU2012274296A1 (en) 2014-01-16
CA2839833C (en) 2018-07-31
RU2014102235A (ru) 2015-07-27
HUE033372T2 (en) 2017-12-28
JP2013028589A (ja) 2013-02-07
IL230038B (en) 2019-11-28
US9370185B2 (en) 2016-06-21
ES2627042T3 (es) 2017-07-26
RU2594522C2 (ru) 2016-08-20
AR086726A1 (es) 2014-01-15
MY162969A (en) 2017-07-31
KR20140041564A (ko) 2014-04-04
MA35282B1 (fr) 2014-07-03
ZA201309690B (en) 2014-08-27
PT2723174T (pt) 2017-06-09
UY34158A (es) 2013-01-31
CN103732069B (zh) 2016-03-02
CL2013003707A1 (es) 2014-06-06
CA2839833A1 (en) 2012-12-27
PE20140861A1 (es) 2014-08-01
BR112013033394A2 (pt) 2016-08-16
CN103732069A (zh) 2014-04-16
AU2012274296B2 (en) 2015-03-19
UA111211C2 (uk) 2016-04-11
BR112013033394B1 (pt) 2018-11-13
EP2723174B1 (en) 2017-04-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43666B2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flazasulfuron and an inhibitor of protoporphyrinogen oxidase
KR101945069B1 (ko) 제초 조성물
US10092002B2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nicosulfuron or its salt and S -metolachlor or its salt
US8921272B2 (en) Herbicidal composition
AU2011332638B2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flazasulfuron and nicosulfuron
AU2012243715B2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flazasulfuron and metribuzin
EP2823707B1 (en) Herbicidal composition
NZ617467B2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flazasulfuron and an inhibitor of protoporphyrinogen oxidase
OA19776A (en) Herbicidal Composition Comprising Flazasulfuron and an Inhibitor of Protoporphyrinogen Oxidas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