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945B1 -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 Google Patents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945B1
KR101944945B1 KR1020180065981A KR20180065981A KR101944945B1 KR 101944945 B1 KR101944945 B1 KR 101944945B1 KR 1020180065981 A KR1020180065981 A KR 1020180065981A KR 20180065981 A KR20180065981 A KR 20180065981A KR 101944945 B1 KR101944945 B1 KR 1019449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joint
power supply
waterproof
heating element
mois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9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훈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기센추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기센추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기센추리
Priority to KR10201800659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9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4Waterproof or air-tight seals for heat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3Electrod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02Details
    • H05B3/06Heater elements structurally combined with coupling elements or holder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10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 H05B3/12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 H05B3/14Heat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materials or by the arrangement of the conductor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or nature of the conductive material the material being non-metallic
    • H05B3/145Carbon only, e.g. carbon black, graphit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00Ohmic-resistance heating
    • H05B3/20Heating elements having extended surface area substantially in a two-dimensional plane, e.g. plate-heater

Landscapes

  •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Resistance Heat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는 통전시 열을 발생하는 면상발열모듈; 상기 면상발열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며 융착되는 방수부재; 및 상기 면상발열모듈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Plate heater with waterproof and dampproof function and Plate heater system }
본 발명은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상면에 차폐시트를 구비한 면상발열모듈에 비닐로 구성된 방수부재를 융착시켜 구성함으로써,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곳은 물론 화장실이나 욕실에서도 장착이 가능한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원을 공급받아 전기 통전에 의해 발생하는 방사열을 이용하는 면상 발열체는, 매트, 장판, 카펫트, 침대 매트리스, 바닥 난방, 전기 온돌 판넬, 욕실 거울등에 적용되어 온열을 요하는 제품 등 다양하게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면상 발열체는 내열성 및 절연성을 가지는 필름 또는 섬유에 전도성 카본 잉크를 일정패턴으로 인쇄 또는 함침하고, 양단에 실버페이스트를 인쇄한 후 금속전극으로 구리 박판을 사용하거나 동선을 평직으로 직조하고, EVA(Ethylene Vinyl Acetate) 및 PE(Polyethylene)와 같은 열가소성 수지의 핫멜트가 코팅된 PET 필름을 열압착시켜 제조되고 있다.
종래기술에서의 면상발열체는 바닥에 면상발열체를 깔고 그 상면에 보호패드를 덮은 후 그 상면에 장판이나 마루등의 바닥재를 시공하는 형태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상발열체 시공의 종래 기술의 경우 온도차에 의해 바닥재에서 습기나 수분이 발생하게 되면 이러한 습기나 수분이 전류에 흡수되어 쇼트가 빈번하게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쇼트는 전선의 불필요한 접촉 등으로 인해 전류가 본래 흐르려는 루트 밖으로 흐르는 것으로, 전원 관계에서는 불꽃, 과열 등이 생기는 위험이 발생하며 이것 말고도 회로에 부담을 주게 되어 최악의 경우 파손될 수도 있다.
따라서, 화장실이나 목욕탕 및 주방등 물기가 많은 곳에서는 종래의 면상발열체를 설치하는데 많은 제약이 따르게 된다.
상기와 같이 습기가 많은 곳이나 온도차가 심한 곳, 예를들어,비닐하우스, 양어장, 습식난방용 이나 시멘트양생덮개 등에서 사용하는 경우에는 사용후 면상발열체의 표면에 습기나 온도차로 인한 이슬이 맺히게 되어 결로가 발생하므로 전기누전이나 감전으로 인한 안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방수가 필수적인 곳에서의 작업이나 상대적으로 방수나 방습에 취약한 야외의 작업환경에서도 전기 누전이나 감전의 걱정없이 안전하고 부담없이 사용이 가능한 제품의 수요가 꾸준히 요구되고 있다.
[특허문헌] KR 20-2010-0005758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상면에 전자파 차폐시트를 위치시킨 면상발열모듈을 방수부재로 커버 후 고주파융착에 의해 압착시키고 사용자가 각각의 면상발열모듈을 간편하고 안전하게 연결시킬 수 있는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화장실이나 욕실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는 통전시 열을 발생하는 면상발열모듈; 상기 면상발열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며 융착되는 방수부재; 및 상기 면상발열모듈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모듈은 전도성 카본발열체로 이루어진 난방필름; 상기 난방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선과 연결되는 동박판; 및 상기 난방필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필름을 커버하는 차폐시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박판은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있다.
또한, 상기 차폐시트는 전도성 카본이 함침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압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terephthalate)필름;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난방필름과 상기 차폐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단자와 접지되는 접지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동박판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선; 및 상기 동박판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동박판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선; 상기 동박판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선; 및 상기 난방필름과 상기 차폐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단자와 접지되는 접지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는 고주파 융착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는 비닐재로 구성된 봉지 또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한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는 복수의 면상발열체; 및 상기 면상발열체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는 전원공급선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이음부와 연결되는 제2이음부; 이웃하는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이음부; 상기 제2이음부와 제3이음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부와 제3이음부를 연결하는 연결이음부; 및 상기 제2이음부와 연결이음부 사이 및 제3이음부와 연결이음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이음전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이음부는 이웃하는 커넥터의 제3이음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면상발열체는 전원공급선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복수개의 제2이음부; 상기 제2이음부와 연결되는 연결이음부; 및 상기 제2이음부와 연결이음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음전선;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이음부는 상기 제1이음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에 의하면, 면상발열모듈에 방수부재를 융착함으로써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전기 누전이나 감전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전원공급선 및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면상발열장치의 설치 공정을 간소화하여 상기 면상발열장치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의 구성 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의 면상발열모듈 및 전원공급선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제1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의 면상발열모듈 및 전원공급선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제2분해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구성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제3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4구성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한다. 우선,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의 구성요소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의 면상발열모듈 및 전원공급선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제1분해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의 면상발열모듈 및 전원공급선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제2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1)는 도 1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모듈(100), 방수부재(200) 및 전원공급선(300)을 포함한다.
상기 면상발열모듈(100)은 통전시 전기저항을 갖는 발열부인 카본발열체를 매개로 하여 전기 에너지를 열에너지로 전환하여 열을 발생하는 것으로 통상의 열선 방식에 비해 면적으로 발열하므로 발열률이 우수하며 전력소모율이 적고 유해 전자파의 발생이 거의 없으며 평활성과 내구성을 가지고 있어 상당히 유용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면상발열모듈(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난방필름(110), 동박판(120), 차폐시트(130) 및 접지선(14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난방필름(110)은 전도성 카본이 인쇄된 카본(carbon)발열체(미도시) 및 상기 카본발열체(미도시)의 상면 및 하면에 각각 압착되는 절연성 필름(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본발열체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제 1 절연성 필름의 일면에 카본 잉크가 인쇄되어 통전시 발열하는 카본막과, 상기 카본막의 양끝단에 실버페이스트가 인쇄되어 상기 카본막과 구리박판의 스파크를 방지하는 실버막과, 상기 실버막 상에 배치되어 상기 카본막에 전류를 제공하는 구리박판 및 일면에 접착제가 도포되어 상기 제 1필름의 일면과 압착되는 제 2 절연성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카본 물질은 예를 들어 우레탄계 수지를 주바인더로 사용하는 카본 잉크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혼합된 경화형 카본 잉크 일 수 있다.
한편, 상기 절연성 필름은 내열성이 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필름 또는 내열도가 높은 합성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한, 카본발열체의 상면 및 하면에 배치되는 각 절연성 필름은 우레탄계 수지와 이소시아네이트계 경화제가 혼합된 경화형 접착제를 도포하여 서로 접착될 수 있다.
이러한, 경화제 접착제를 사용함으로써, 난방필름에 대한 내습성 및 내열성을 확보할 수 있어, 면상발열부재의 내구 수명을 향상시킬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상기 동박판(120)은 상기 난방필름(11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선(300)과 연결되는 것으로 전류를 상기 난방필름(110)에 제공하는 전극으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동박판(120)은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박판(120)은 배치되는 난방필름(110)의 크기와 형태에 따라 그 굵기와 크기가 필요에 따라 다르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차폐시트(130)는 통전시 상기 난방필름(110)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하여 상기 난방필름(110)의 상면에 결합되어 상기 난방필름(130)을 덮도록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차폐시트(130)는 습기가 많은 곳, 샌드위치 판넬과 같은 금속성 벽체가 설치된 곳의 경우 필름을 가동시키면 유도전류가 인체에 느껴지는 경우가 있는데 이럴 때 필름 위에 전선을 연결하여 콘센트의 접지 부분 또는 기타 접지가 가능한 곳에 연결해 주면 유도 전류가 빠져 나가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상기 차폐시트(130)는 전도성카본이 함침된 부직포(131) 및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압착되는 PET필름(13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접지선(140)은 상기 난방필름(110)과 상기 차폐시트(130)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단자와 접지되면 상기 난방필름(110)에서 발생하는 유도전류가 상기 접지선(140)을 통해 빠져 나가게 하는 것이다.
상기 접지선(14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선(300)에 포함되어 상기 전원공급선(300)에 의해 전원단자로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접지선(140)이 상기 전원공급선(300) 내부에서 구비되어 난방필름(110)의 전원 공급을 위해 상기 전원공급선(300)을 전원단자에 접속하게 되면 전원 공급과 동시에 접지선(140)의 접지가 가능해져 사용자가 간편하고 용이하게 접지선(140)을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복수개의 상기 면상발열체(1)가 설치되는 면상발열장치(2)의 경우 상기 면상발열체(1) 외부로 다수개의 전선들이 빠져나오지 않게 되어 사용자가 간편하게 면상발열장치(2)를 설치하고 사용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한편, 상기 접지선(14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전원공급선(300)과 별도의 선으로 구성되어 전원단자에 연결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접지선(140)은 일단에 전원단자와 직접 연결될 수 있도록 제1접속단자(14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접속단자(141)는 온도조절장치와 같은 제어부(500)에 접속되어 통전시 발생할 수 있는 유도전류를 제거하게 되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상기 접지선(140)이 전원공급선(300)과 연결되지 않은 상태로 상기 면상발열장치(2)에 설치되는 경우 면상발열체(1) 각각에 연결되는 복수개의 접지선(140)은 후술할 접지선커넥터(600)를 구비하여 각각의 접지선(140)이 하나로 연결되어 전원단자에 접속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부재(200)는 상기 면상발열모듈(100)을 내부에 수용하여 상기 면상발열모듈(100)의 방수 및 방습을 제공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200)는 특히, 동절기나 온도차가 심한 작업환경에서 발생되는 결로 또는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장소에서의 습기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전기의 누전이나 감전없이 안전하게 상기 면상발열체(1)를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상기 방수부재(200)는 방수 및 방습기능이 뛰어난 비닐재 즉, 폴리염화비닐(PVC, Polyvinyl chloride)로 구성된 시트 또는 봉지 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방수부재(200)는 일단에 밀봉부(210)를 구비한 봉지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밀봉부(210)로 상기 면상발열모듈(100)을 유입하고 상기 면상발열모듈(100)에서 빠져나오는 전원공급선(300) 또는 접지선(140)이 상기 밀봉부(210)로 빠져 나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방수부재(200)는 밀봉부(210)로 빠져나오는 상기 전원공급선(300) 또는 접지선(140)에 의해 발생될 수 있는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고주파 융착에 의해 상기 밀봉부(210)를 압착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수부재(200)는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방수 및 방습기능이 구비된 시트형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경우, 방수부재(200)는 상기 면상발열모듈의 상단을 차폐하는 제1시트(미도시)와 상기 면상발열모듈의 하단을 차폐하는 제2시트(미도시)로 구성되며, 상기 제1시트의 테두리와 상기 제2시트의 테두리가 맞닿은 상태로 고주파 융착에 의해 압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방수부재(200)는 상기 면상발열체의 작업이나 설치 환경에 따라 여러겹으로 적층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비 균등하게 적층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전원공급선(300)은 상기 면상발열모듈(100)에 연결되어 상기 면상발열모듈(100)에 전원을 공급하도록 구비된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선(300)은 일단에 상기 동박판(120)의 양극(121)에 연결되는 양극선(310) 및 상기 동박판(120)의 음극(122)에 연결되는 음극선(320)이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공급선(300)은 일단에 상기 동박판(120)의 양극(121)에 연결되는 양극선(310), 상기 동박판(120)의 음극(122)에 연결되는 음극선(320) 및 상기 난방필름(110)과 상기 차폐시트(130) 사이에 설치되는 접지선(140)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선(300)은 타단에 전원단자 또는 이웃하는 전선과의 접속을 위한 제1이음부(330)가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이음부(330)는 전원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플러그 일 수 있고 이웃하는 전선과의 접속을 위한 다양한 형태의 전선접속부재일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전원공급선(300)은 피복으로 감싸진 전원공급선(300)의 내부에 양극선(310), 음극선(320) 및 접지선(140)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공급선(300)은 피복으로 감싸진 전원공급선(300)의 내부에 양극선(310) 및 음극선(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전원공급선(300)은 일단에 양극선(310), 음극선(320) 및 접지선(140)이 구비되고, 타단에 제1이음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양극선(310), 음극선(320) 및 접지선(140)은 일정 위치에서 합쳐져서 피복으로 감싸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전원공급선(300)은 일단에 양극선(310) 및 음극선(320)이 구비되고, 타단에 제1이음부(330)가 구비되며, 상기 양극선(310) 및 음극선(320)은 일정 위치에서 합쳐져서 피복으로 감싸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도 4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제1구성도이다.
상기 면상발열장치(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체(1) 및 커넥터(400)를 포함한다.
상기 면상발열체(1)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전도성카본이 함침된 난방필름(110) 양단에 길이방향을 따라 각각 배치되는 양극(121) 및 음극(122)으로 구성된 동박판(120)을 배치하고, 상기 난방필름(110) 및 동박판(120) 상면에서 난방필름(110)을 커버하여 난방필름(110)에서 배출될 수 있는 유해 전자파를 차단하기 위한 차폐시트(130)를 배치하며, 상기 난방필름(110), 동박판(120) 및 차폐시트(130)로 구성된 면상발열모듈(100)을 일체로 감싸 융착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방수부재(200)가 배치되고, 상기 면상발열모듈(100)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300)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00)는 상기 면상발열체(1)를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400)는 모듈화가 되어 있는 상기 면상발열체(1)를 설치하고자 하는 장소에 적합하게 복수개 설치해야 하는 경우 상기 면상발열체(1)를 전기적으로 서로 연결하기 위해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상기 커넥터(400)는 제2이음부(410), 제3이음부(420), 연결이음부(430) 및 이음전선(440)을 포함한다.
상기 제2이음부(410)는 전원공급선(300)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이음부(330)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1이음부(330)와 접속이 가능한 전선접속단자 일 수 있다.
상기 제3이음부(420)는 상기 커넥터(4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커넥터(400)와의 연결을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이음부(420)는 이웃하는 커넥터(400)의 제3이음부(420)와 접속되어 커넥터(400)와 커넥터(400)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이음부(420)는 좌, 우에 구비되는 커넥터(4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커넥터(400)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이음부(420)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커넥터(400)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곳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이음부(420)는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는 전선연결단자일 수 있으며 전원단자와 접속되는 플러그 일 수도 있다.
상기 연결이음부(430)는 상기 제2이음부(410)와 제3이음부(4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부(410)와 상기 제3이음부(420)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이음부(430)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두개 내지 세개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한 각도를 갖는 T자형 또는 Y자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커넥터(400)는 상기 연결이음부(430)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2이음부(410)를 구비하고, 타측의 양단에 제3이음부(420)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기 이음전선(440)은 상기 제2이음부(410)와 연결이음부(430) 사이 및 상기 제3이음부(420)와 연결이음부(430)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을 연결하는 전선일 수 있다.
상기 이음전선(440)은 상기 면상발열체(1)를 연결 할 수 있는 적정한 길이와 굵기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음전선(440)은 피복으로 감싸진 이음전선(440)의 내부에 양극선(310), 음극선(320) 및 접지선(140)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면상발열장치(2)는 면상발열체(1)의 제1이음부(330)와 커넥터(400)의 제2이음부(410)를 연결하고 상기 커넥터(400)의 제3이음부(420)를 이웃하는 커넥터(400)의 제3이음부(420)와 연결하여 설치한 후 상기 면상발열장치(2)의 일측에 구비된 제3이음부(420)를 제어부(500)와 접속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5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2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면상발열장치(2)의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커넥터(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음부(410), 연결이음부(430) 및 이음전선(4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커넥터(400)는 복수개의 제2이음부(410), 복수개의 제2이음부(410)를 하나로 연결하는 연결이음부(430) 및 상기 제2이음부(410)와 연결이음부(430) 사이 및 연결이음부 사이에 구비되어 각각을 연결하는 복수개의 이음전선(440)으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2이음부는 상기 제1이음부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면상발열장치(2)는 면상발열체(1)의 제1이음부(330)와 커넥터(4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이음부(410)를 각각 연결하여 설치한 후 상기 면상발열장치(2)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500)와 접속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면상발열장치(2)는 면상발열체(1)가 복수개 설치되어야 하는 현장에서 양극선(310), 음극선(320) 및 접지선(140)이 복잡하게 연결되는 것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면상발열체(1)의 전원을 공급함과 동시에 온도를 조절하는 전원및온도조절장치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500)는 상기 면상발열체(1)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단자일 수도 있다.
도 6는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의 구성요소를 나타내는 제3구성도이다.
상기 면상발열장치(2)는 또다른 실시예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면상발열체(1), 커넥터(400) 및 접지선커넥터(6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지선커넥터(600)는 상기 접지선(140)이 전원공급선(300) 내부에 구비되지 않고 별도의 선으로 구성되는 경우 각각의 면상발열체(1)에서 빠져나온 접지선(140)을 연결하는 것으로 적어도 하나 이상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지선커넥터(600)는 제2접속단자(610), 제3접속단자(620) 및 접지연결단자(6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접속단자(610)는 상기 접지선(140)의 일단에 구비된 제1접속단자(141)와 연결되는 것으로 제1접속단자(141)와 접속이 가능한 전선접속단자일 수 있다.
상기 제3접속단자(620)는 상기 접지선커넥터(600)의 일단에 구비되어 이웃하는 접지선커넥터(600)와의 연결을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3접속단자(620)는 이웃하는 접지선커넥터(600)의 제3접속단자(620)와 접속되어 접지선커넥터(600)와 접지선커넥터(600)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접속단자(620)는 좌, 우에 구비되는 접지선커넥터(600)와의 연결을 위하여 상기 접지선커넥터(600)의 좌측과 우측에 모두 구비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3접속단자(620)는 설치되는 위치에 따라 상기 접지선커넥터(600)의 좌측과 우측 중 어느 한 곳에만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제3접속단자(620)는 전선과 전선을 연결하는 전선연결단자일 수 있으며 전원단자와 접속되는 플러그 일 수도 있다.
상기 접지연결단자(630)는 상기 제2접속단자(610)와 제3접속단자(620)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접속단자(610)와 상기 제3접속단자(620)를 연결하기 위하여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접지연결단자(630)는 일정한 각도를 이루는 두개 내지 세개의 전선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정 각도를 갖는 T자형 또는 Y자형의 형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선커넥터(600)는 상기 접지연결단자(630)를 중심으로 일측에 제2접속단자(610)를 구비하고, 타측 양단에 제3접속단자(620)를 구비하는 구성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접지선커넥터(600)는 접지선(140)의 제1접속단자(141)와 접지선커넥터(600)의 제2접속단자(610)를 연결하고 상기 접지선커넥터(600)의 제3접속단자(620)를 이웃하는 접지선커넥터(600)의 제3접속단자(620)와 연결하여 설치한 후 상기 면상발열장치(2)의 일측에 구비된 제3접속단자(620)를 제어부(500)와 접속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면상발열장치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른 제4구성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면상발열장치(2)의 또다른 실시예로 상기 접지선커넥터(600)는 제2접속단자(610) 및 접지연결단자(6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지선커넥터(600)는 복수개의 제2접속단자(610) 및 복수개의 제2연결단자(610)와 하나로 연결되는 접지연결단자(630)로 구성되고, 각각의 상기 제2접속단자(610)는 상기 제1접속단자(141)와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상기 접지선커넥터(600)는 접지선(140)의 제1접속단자(141)와 접지선커넥터(600)에 구비된 복수개의 제2접속단자(610)를 각각 연결하여 설치한 후 상기 면상발열장치(2)의 일측에 구비된 제어부(500)와 접속함으로써 간편하게 설치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접지선커넥터(600)는 면상발열체(1)가 복수개 설치되어야 하는 현장에서 복잡하게 연결되는 접지선(140)을 간편하고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에 의하면, 면상발열모듈에 방수시트를 융착함으로써 수분이나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전기 누전이나 감전으로 인한 사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여 습기가 많은 곳에서도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고, 전원공급선 및 커넥터를 구비함으로써 면상발열장치의 설치 공정을 간소화하여 상기 면상발열장치의 설치 작업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이상에 설명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되는 용어 및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도면 및 실시 예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1 : 면상발열체
2 : 면상발열장치
100 : 면상발열모듈
110 : 난방필름
120 : 동박판
121 : 양극
122 : 음극
130 : 차폐시트
131 : 부직포
132 : PET필름
140 : 접지선
141 : 제1접속단자
200 : 방수부재
210 : 밀봉부
300 : 전원공급선
310 : 양극선
320 : 음극선
330 : 제1이음부
400 : 커넥터
410 : 제2이음부
420 : 제3이음부
430 : 연결이음부
440 : 이음전선
500 : 제어부
600 : 접지선커넥터
610 : 제2접속단자
620 : 제3접속단자
630 : 접지연결단자

Claims (13)

  1. 통전시 열을 발생하는 면상발열모듈;
    상기 면상발열모듈을 내부에 수용하며 융착되는 방수부재; 및
    상기 면상발열모듈에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공급선;을 포함하고,
    상기 면상발열모듈은,
    전도성 카본발열체로 이루어진 난방필름;
    상기 난방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양 단에 각각 배치되어 상기 전원공급선과 연결되는 동박판; 및
    상기 난방필름의 상면에 배치되어 상기 난방필름을 커버하는 차폐시트;를 포함하며,
    상기 동박판은,
    양극 및 음극으로 각각 구성되고,
    상기 차폐시트는,
    전도성 카본이 함침된 부직포; 및
    상기 부직포의 상면에 압착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Polyethyleneterephthalate)필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난방필름과 상기 차폐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단자와 접지되는 접지선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동박판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선; 및
    상기 동박판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공급선은,
    상기 동박판의 양극에 연결되는 양극선;
    상기 동박판의 음극에 연결되는 음극선; 및
    상기 난방필름과 상기 차폐시트 사이에 설치되어 전원단자와 접지되는 접지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고주파 융착에 의해 압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비닐재로 구성된 봉지 또는 시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10. 제 1항 및 제 5항 내지 제 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면상발열체; 및
    상기 면상발열체를 서로 연결하는 적어도 하나의 커넥터;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는,
    전원공급선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상기 제1이음부와 연결되는 제2이음부;
    이웃하는 커넥터와의 연결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제3이음부;
    상기 제2이음부와 제3이음부 사이에 구비되어 상기 제2이음부와 제3이음부를 연결하는 연결이음부; 및
    상기 제2이음부와 연결이음부 사이 및 제3이음부와 연결이음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이음전선;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장치.
  12. 제 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이음부는 이웃하는 커넥터의 제3이음부와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장치.
  13.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면상발열체는,
    전원공급선의 일단에 구비되는 제1이음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넥터는,
    복수개의 제2이음부;
    상기 제2이음부와 연결되는 연결이음부; 및
    상기 제2이음부와 연결이음부 사이 및 연결이음부 사이에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이음전선;을 포함하고,
    각각의 상기 제2이음부는 상기 제1이음부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장치.
KR1020180065981A 2018-06-08 2018-06-08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KR101944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81A KR101944945B1 (ko) 2018-06-08 2018-06-08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981A KR101944945B1 (ko) 2018-06-08 2018-06-08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945B1 true KR101944945B1 (ko) 2019-02-07

Family

ID=653670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981A KR101944945B1 (ko) 2018-06-08 2018-06-08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9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489Y1 (ko) * 2004-10-28 2005-01-14 주식회사 디스테크 면상발열체
KR100659499B1 (ko) * 2006-01-27 2006-12-20 주식회사 디에스티 면상발열체
KR101108219B1 (ko) * 2010-11-05 2012-01-31 앤에이오에스 주식회사 단열성과 접지기능이 구비된 면상발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상발열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72489Y1 (ko) * 2004-10-28 2005-01-14 주식회사 디스테크 면상발열체
KR100659499B1 (ko) * 2006-01-27 2006-12-20 주식회사 디에스티 면상발열체
KR101108219B1 (ko) * 2010-11-05 2012-01-31 앤에이오에스 주식회사 단열성과 접지기능이 구비된 면상발열체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면상발열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3417229A (en) Electrical resistance heating articles
EP1638371B1 (en) Roll-up heating for a floor, or wall
KR20110010738A (ko) 바닥 난방용 평면형 발열재
CA1232313A (en) Floorcoverings having built-in heater
US10775050B2 (en) Sectionable floor heating system
KR101944945B1 (ko) 방수 및 방습 기능을 구비한 면상발열체 및 이를 포함한 면상발열장치
JP2005294237A (ja) 面状ヒーター
KR200439942Y1 (ko) 온열조끼용 면상발열체 및 그것을 구비한 온열조끼
KR102374783B1 (ko) 접지 가능한 면상발열필름
KR20060086061A (ko) 난방용 보드
KR101559087B1 (ko) 전열패널 및 그 전열패널의 전자파 차폐방법
KR101569507B1 (ko) 전자파 차폐수단이 구비된 매트 컨트롤러를 갖는 전기매트
KR20130083603A (ko) 면상발열체
CN111396967A (zh) 易安装的模块化石墨烯地板
CN111396969A (zh) 模块化石墨烯地暖结构及地暖系统
KR100422095B1 (ko) 가요성 불연면제어 면발열체
KR102646335B1 (ko) 접지필름 및 이를 포함하는 바닥 마감 시공 구조
KR20030080953A (ko) 보온 공기 층을 갖는 면상 발열체
KR101469062B1 (ko) 전자파 차폐수단을 갖는 전기매트
RU201394U1 (ru) Электрообогреватель инфракрасный гибкий пленочный
CN114698162A (zh) 无电磁辐射的低压电加热集成板材
US11054149B2 (en) Sectionable floor heating system
KR101102041B1 (ko) 온열매트
JPH10339463A (ja) 壁暖房方法及び壁暖房用ヒータ
JP3138537U (ja) 暖房畳床、暖房畳セット及び暖房畳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