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776B1 -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 Google Patents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776B1
KR101944776B1 KR1020170133511A KR20170133511A KR101944776B1 KR 101944776 B1 KR101944776 B1 KR 101944776B1 KR 1020170133511 A KR1020170133511 A KR 1020170133511A KR 20170133511 A KR20170133511 A KR 20170133511A KR 101944776 B1 KR101944776 B1 KR 101944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bile terminal
scraping
time
appl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35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병운
김향숙
장정규
Original Assignee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정보통신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35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8Payment protocols; Details thereof
    • G06Q20/40Authorisation, e.g. identification of payer or payee, verification of customer or shop credentials; Review and approval of payers, e.g. check credit lines or negative lists
    • G06Q20/401Transaction ver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Financial Or Insurance-Related Operations Such As Payment And Settle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방법은,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안화되어 자동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크래핑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거래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A METHOD FOR PROVIDING NOTIFICATION SERVICE OF SCRAPING ANALYSIS}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의 인터넷 환경에서는,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가 웹을 통하여 제공되고 있다. 사용자는 웹 브라우징을 통해 상기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서비스를 제공하는 주체가 많아지는 경우, 사용자는 상기 각각의 주체로부터 정보를 수집하기 위해 특정한 패턴의 웹 브라우징을 반복해야 하는 부담이 있을 수 있다.
웹 스크래핑(web scrapping) 또는 스크린 스크래핑(screen scraping)을 포함하는 스크래핑 기술은 웹 기반으로 제공되는 임의의 서비스를 사용자의 웹 브라우징(web browsing)이나 별도의 인증입력절차 없이 제공받기 위한 기술을 가리킨다. 따라서 웹 스크래핑 기술이 적용된 서비스를 제공받는 사용자는 반복적인 웹 브라우징 및 인증정보 입력 없이도 원하는 자료를 얻을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분산된 웹 서비스를 통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사용자는 상기와 같은 웹 스크래핑 기술이 적용된 서비스를 통해 다양한 종류의 서비스로부터 제공되는 다양한 정보를 취합하여 제공받을 수 있다.
위와 같이 웹 스크래핑에 의해 추출된 데이터들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였다가 필요할 때, 수시로 열람하거나 사용이 가능하고, 이렇게 추출된 데이터들을 이용하여 비교분석 자료로도 활용된다.
이와 같은 웹 스크래핑 프로그램들은 웹 사이트에서 필요한 정보를 수집해오는 기술과, 일정한 포맷으로 변환하는 기술과 스크래핑 구동 기술이 그 핵심이며, 이러한 웹 스크래핑 프로그램들은 서버에 설치되어 구동되거나 클라이언트에 설치되어 구동되고, 또는 서버와 클라이언트에 혼합 설치되어 구동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웹 스크래핑 기술은 주로 개인의 금융자산에 대한 정보를 일괄로 조회하거나 거래 내역 등을 통합하여 관리하는 데에 사용되거나, 또는 여행사, 항공사, 호텔 및 물류 서비스, 날씨, 뉴스 등의 정보들을 수집하는 용도로도 활용된다.
한편, 최근 스마트폰(smartphone) 등의 모바일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PC(Personal Computer)를 통해 제공되는 스크래핑 서비스가 모바일 단말기를 통해서도 구현되고 있다.
그러나, 특히 금융 기관등에 대한 거래 내역등의 민감정보에 대한 스크래핑은 개인인증정보의 저장을 필요로 하는데, 모바일 단말기에서는 정보 유출이 용이하기 때문에 그 기능 자체가 차단되거나, 또는 매번 보안을 위한 입력절차를 거쳐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예를 들어, 현재의 모바일 단말기에서 스크래핑 서비스를 이용하는 경우, 어플리케이션을 설치하고 개인 인증정보를 입력 저장하더라도, 이후의 스크래핑을 위해 매번 어플리케이션 실행시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로그인 정보를 입력하여야 스크래핑 기능이 동작하여 거래 정보 등을 수집할 수 있는 불편함이 있는 것이다.
(특허문헌 1) KR10-2017-0080768 A1
(특허문헌 2) KR10-1723138 B1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최초 인증정보 입력만으로도, 거래 정보 등의 민감정보에 대한 주기적인 스크래핑을 보안화하여, 별도 어플리케이션의 반복 로그인 없이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그 결과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알림으로서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절차를 최소화하고, 통장이나 매출 확인 등의 주기적인 거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은,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안화되어 자동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크래핑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거래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안화되어 자동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크래핑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거래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한다.
한편,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는,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웹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스크래핑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메모리; 상기 스크래핑을 위한 고객 정보 및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인증 정보를 수집하고, 암호화하여 저장하는 정보 수집부;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암호화 저장된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는 스크래핑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안화되어 자동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스크래핑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를 분석 및 가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의 최초 인증정보 입력만으로도, 거래 정보 등의 민감정보에 대한 주기적인 스크래핑을 보안화하여, 별도 어플리케이션의 반복 로그인 없이 자동적으로 처리할 수 있고, 그 결과정보를 모바일 단말기에 대한 알림으로서 제공하여 사용자의 입력절차를 최소화하고, 통장이나 매출 확인 등의 주기적인 거래 정보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방법, 그를 위한 서버 장치 및 시스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 도시된 시스템은 모바일 단말기(100), 복수의 금융 서버(200) 및 서비스 제공 장치(3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모바일 단말기(100)는 본 발명에 따른 스크래핑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되기 위해 금융 서버(200)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안화되어 자동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획득하고,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제공하는 단말기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기(100)는 스마트폰, 휴대폰, 핸드폰, 개인 휴대용 단말기(PDA), 핸드 헬드(handheld) PC, 아이패드 등 통신이 가능한 모든 이동 통신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안드로이드(Android), iOS, 윈도우 (Windows), 블랙베리(Blackberry), 심비안 (Symbian), 웹OS, 바다(Bada) 등과 같은 운영 체제(OS, Operating System)이 탑재되어 있고, 상기 운영 체제(OS)에서 동작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iton, 이하 '앱(App.)' 이라 함)이 설치되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핑 동작이 구동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면,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상기 탑재된 운영 체제(OS)에서 동작하여, 금융 서버(200)들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제공하는 스크래핑 기능을 가지는 앱(App.)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100)는 스크래핑 서비스에 필요한 고객 정보와,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인증 정보(예를 들어, 정보가 수집될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기 위한 아이디(IDentificaiton) 및 패스워드(Password), 또는 공인 인증서 암호 등)를 사용자로부터 최초 입력받고, 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달하며, 암호화된 개인 인증 정보로서 응답받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바일 단말기(100)에는 실제 개인 인증 정보가 그대로 저장되는 것이 아니라, 최초 입력 정보에 따른 정보가 암호화 및 보안화되어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100)는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상기 암호화된 개인 인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달하고, 그 응답으로 복호화된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여 스크래핑 정보를 수집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여기서,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단말 식별 정보, 고객 정보와 상기 암호화된 개인 인증 정보와, 상기 수집 시간의 매칭여부를 검증하고, 검증된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를 색인하여, 상기 암화된 개인 정보를 복호화 처리한 개인 인증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스크래핑 정보의 수집은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background) 동작으로 처리될 수 있으며, 모바일 단말기(100)의 사용자는 인지하지 못하는 환경에서 동작할 수 있다. 즉, 상기 스크래핑 정보는 보안화된 환경에서 자동적으로 수집되어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달될 뿐, 사용자나 다른 어플리케이션에는 노출되지 않음으로써, 해킹 등을 사전에 차단하고, 백그라운드 내에서의 내부적인 동작만을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별도의 재 로그인을 하거나 할 필요 없이, 자동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만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다.
특히, 상기 스크래핑 서비스는 홈택스 서버, 여신협회 서버, 은행 서버 등에 접속하여 금융 관련 정보를 수집하는 금융 정보 스크래핑 서비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상기 금융 정보에 기초하여 거래 정보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에 따른 거래 정보 가공을 통해 가공된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의 제공은 알림 메시지를 통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알림 메시지는 푸시 메시지, 이메일 메시지, 단문 또는 장문 메시지 또는 SNS 메시지 등 다양한 방식으로 전달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알림 메시지가 전달되어 모바일 단말기(100)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으며, 이 경우 디스플레이되는 어플리케이션은 포그라운드(FOREGROUND)에서 동작될 수 있고, 설정에 따라 사용자의 인증정보 입력이 요구될 수도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제어부(110), 통신부(120), 입력부(130), 저장부(140), 스크래핑부(150),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60), 출력부(170)를 포함한다.
통신부(120)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금융 서버(200) 또는 모바일 단말기(100)와 서비스 제공 장치(300)와 같은 외부 장치간의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통신부(12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대한 사용자 입력을 수신한다.
여기서 입력부(130)는 다양한 버튼의 형태,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센서, 디스플레이 표면에 직접 접속되지 않고 접근하는 모션을 수신하는 근접 센서, 사용자의 음성 입력을 수신하는 마이크로폰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어떠한 형태로 구현되어도 무방하다.
또한, 출력부(170)는 사용자 입력 및 어플리케이션 동작에 따라 처리되는 정보를 출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출력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출력부(170)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플렉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투명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저장부(140)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다양한 데이터 및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저장부(180)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등과 같은 내장된 형태의 저장소자는 물론, USB 메모리 등과 같은 착탈가능한 형태의 저장소자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한편, 제어부(110)는 휴대용 단말기(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특히 제어부(110)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과 연계하여 각 구성요소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제어하기 위한 마이크로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어부(110)는, 웹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스크래핑 어플리케이션을 저장부(140)에 설치하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를 통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는 제어부(110)의 제어에 따라 백그라운드 또는 포그라운드에서 구동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을 위한 고객 정보 및 개인 인증 정보가 입력부(130)를 통해 입력되면, 입력된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인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달하고, 상기 개인 인증 정보의 암호화된 형태의 데이터를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자동적으로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를 통해 상기 스크래핑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구동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110)는 상기 암호화된 형태의 개인 인증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송하고, 그 응답으로 복호화된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며, 이를 이용한 스크래핑 정보의 수집을 스크래핑부(150)를 통해 수행시킬 수 있다.
스크래핑부(150)는 웹브라우징부(151) 및 스크래핑 모듈(152)를 통해, 상기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한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고, 스크래핑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집하여 저장부(140)에 저장한다.
그를 위해, 스크래핑부(150)는 웹 서버에 접속하기 위한 웹 브라우징부(151)와 스크래핑을 위한 스크립트로 구성된 스크래핑 모듈(15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크래핑 모듈(152)은 스크래핑하고자 하는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어들의 집합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은행 계좌를 관리하는 웹 서버(300)의 사용자 계좌 서비스 프로그램으로부터 계좌 잔액 및 입출금 내역 정보 등 수집하는 명령어로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크래핑부(150)는 웹 브라우징부(151)에 의해 실행된 스크래핑 모듈(152)의 명령어들을 이용하여, 금융 서버(200)의 웹서비스 프로그램의 HTML/스크립트로부터 원하는 정보를 추출하여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스크래핑부(150)에서 스크래핑된 정보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를 통해 구동된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보안화된 상태로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달될 수 있으며, 저장된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는 일정 시간 이후 폐기 또는 삭제될 수 있다.
한편, 통신부(120)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부터 상기 스크래핑된 정보에 따라 분석 및 가공된 거래 정보를 알림 메시지로서 수신할 수 있다.
제어부(110)는 수신된 알림 정보를 이용하여, 어플리케이션 구동부(150)를 통해 실행된 포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출력함으로써, 사용자가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알림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수집 시간은 매일 밤 특정 시간일 수 있으며, 상기 알림 메시지가 전송되는 알림 시간은 매일 오전 특정 시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서비스 등록에 따른 개인 인증 정보의 최초 입력정보만 모바일 단말기(100)에 입력하면, 이후 별도 로그인 입력 없이도 자동적으로 알림으로서 매일 오전에 어제의 거래내역 정산내용을 제공받는 등, 매우 편리한 스크래핑 서비스를 제공받을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를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제어부(310), 통신부(320), 고객 정보 관리부(330), 암복호화부(340), 거래 정보 분류부(350), 분석부(360), 가공부(370) 및 저장부(380)를 포함한다.
통신부(320)는 모바일 단말기(100)과의 통신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320)는 근거리 통신망(LAN : Local Area Network) 및 인터넷망을 통해 무선 또는 유선방식으로 접속되는 형태, USB(Universal Serial Bus)포트를 통하여 접속되는 형태, 3G, 4G와 같은 이동 통신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 NFC(Near Field Communication,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Wi-Fi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 통신방식을 통해 접속되는 형태의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고객 정보 관리부(33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 설치된 스크래핑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입력된 등록 정보를 수신하여, 저장부(38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여기서, 등록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기기 식별 정보, 단말 식별 정보 및 고객 ID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고객 식별 정보와, 상기 고객 식별 정보에 매칭되는 금융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금융 정보는 예를 들어, 스크래핑 서비스의 수집 대상으로 식별되는 계좌 번호 정보, 카드 번호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등록 정보는 등록된 고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수집 시간 정보, 알림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 정보 관리부(330)는 상기 수집 시간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하고, 설정 정보를 저장부(380)에 저장 및 관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집 시간은 시간대별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별로 분산 설정될 수 있다 이 경우, 고객 정보 관리부(330)는 모바일 단말기(100) 사용자의 최초 등록 또는 로그인 정보에 대응하여, 미리 분산된 시간 정보를 할당하고, 상기 할당된 수집 시간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제공하여 어플리케이션의 구동 시간을 제어할 수 있다.
한편, 고객 정보 관리부(330)는 상기 수집 시간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별 허용 가능한 시간대를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허용 가능한 시간대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할 수도 있으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입력에 따라 상기 수집 시간을 설정 및 저장할 수 있다.
한편, 암복호화부(340)는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고객 식별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인증 정보를 통신부(320)를 통해 수신하면, 상기 수신된 개인 인증 정보를 소정의 암호화 키로 암호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암복호화부(340)는 암호화 키에 대응하는 복호화 키를 상기 고객 식별 정보 및 수집 시간 정보에 대응시켜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암복호화부(340)는 상기 수집 시간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전송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면, 상기 복호화 키에 따라 복호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의 상기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320)는 상기 복호화되어 제공된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거래 정보 분류부(350)는 상기 스크래핑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를 일정 단위로 누적 집계한 배치(BATCH) 정보를 생성하여 분석부(360)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분석부(360)는 고객 정보 관리부(330)를 통해 등록된 고객 설정 정보에 따라 특정된 거래 정보를 정산하는 분석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거래 정보는 매출내역 정보, 입금내역 정보 및 출금내역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으며, 가공부(370)는 모바일 단말기(100)에서 상기 분석된 정보가 인터페이스상에 표시될 수 있도록 상기 분석 처리된 거래 정보를 알림 메시지 형태로 가공 처리한다.
이에 따라, 가공 처리된 알림 메시지는 통신부(320)를 통해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래더 다이어그램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기(100)는 먼저 스크래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인증절차를 수행한다(S1001).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100)는 사용자의 최초 등록정보 입력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스크래핑을 위한 인증 정보 및 알림 시간 설정정보를 전송한다(S1003).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상기 인증 정보에 대응하여, 암호화된 인증 정보와, 스크래핑을 처리할 수집 시간 정보를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달한다(S1005).
이후, 모바일 단말기(100)는 수집 시간 정보에 대응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백그라운드 구동에 따른 스크래핑 모듈을 실행하고(S1007), 금융 서버(200)에 접속하여 상기 복호화된 인증 정보를 이용한 스크래핑 정보 수집 처리를 수행한다(S1015).
그리고, 모바일 단말기(100)는 거래 정보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300)로 전달한다(S1017).
이후, 서비스 제공 장치(300)는 거래 정보의 집계 분석 처리를 수행하며(S1019), 처리된 분석 정보를 가공하여(S1021), 알림 메시지를 생성한다(S1023).
이후, 생성된 알림 메시지는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알림 시간에 모바일 단말기(100)로 전달되고(S1025), 모바일 단말기(100)는 알림 시간에 대응하여 알림 메시지를 출력함으로써(S1027),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공되는 모바일 단말기 인터페이스 화면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알림 메시지가 출력되는 알림 메시지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알림 메시지는 예를 들어 스크래핑 어플리케이션 '이지샵 굿모닝 알리미'를 통해 출력되거나, 푸시 메시지 등으로 출력될 수 있으며, 거래 정보의 분석 및 가공된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알림 메시지는 카드매출 정보, 입금금액 정보, 입금예정 정보, 수입 정보, 비용 정보, 입금 정보, 출금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금융 서버(200)로부터 스크래핑되어 분석 가공된 거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 설정 인터페이스를 도시한 것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설정 정보는 모바일 단말기(100)의 입력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고객 정보 관리부(330)에 등록 및 관리될 수 있다.
그리고, 설정 정보는 예를 들어, 알림 시간 정보, 수집 시간 정보, 알림 대상 고객 식별 정보, 알림 항목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집 시간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고객 정보 관리부(330)로부터 미리 제공된 분산 시간대 중 어느 하나가 선택적으로 설정되도록 모바일 단말기(100) 인터페이스상에 제공될 수 있으며, 알림 항목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치(300)의 가공부(370)로 전달되어 분석된 거래 정보의 집계 및 가공 기준으로서 설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전 설정된 수집 시간에 따라, 사용자는 어플리케이션에 대한 최초 등록 후 별도의 재로그인이나 입력 없이도 자동적으로 백그라운드에서 스크래핑된 정보를 미리 설정된 알림 시간에 받아볼 수 있게 됨으로써, 모바일 어플리케이션 기반의 스크래핑 서비스 이용의 편의성을 증진시킬 수 있으며, 보안은 유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단말 장치에서 실행되기 위한 설치 데이터 형태로 구현되어 다양한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된 상태로 각 서버 또는 기기들에 제공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휴대용 단말기(100) 또는 결제 단말(200)은 서버 또는 기기에 접속하여, 상기 설치 데이터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15)

  1.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안화되어 자동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스크래핑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를 분석하는 단계; 및
    상기 분석된 거래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된 거래 정보의 알림 시간 및 상기 스크래핑 정보의 자동 수집 시간 정보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며,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자동 수집 시간의 백그라운드 구동에 의해 스크래핑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게는, 상기 설정된 알림 시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석된 거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가공된 거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하여 설정된 알림 시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시간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시간은 시간대별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별로 분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시간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별 허용 가능한 시간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허용 가능한 시간대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한 상기 수집 시간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등록된 고객 정보 및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개인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 시간에 대응하여 자동적으로 전송된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 및 복호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복호화되어 제공된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상기 백그라운드 어플리케이션으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8.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별도의 사용자 입력 없이 보안화되어 자동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상기 스크래핑 정보로부터 거래 정보를 분석하는 분석부; 및
    상기 분석된 거래 정보를 가공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가공부를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어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가공된 거래 정보의 알림 시간 및 상기 스크래핑 정보의 자동 수집 시간 정보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신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자동 수집 시간의 백그라운드 구동에 의해 스크래핑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가공부는 상기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상기 설정된 알림 시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석된 거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가공부는
    상기 가공된 거래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하여 설정된 알림 시간에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전송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시간을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하여 각각 설정하는 고객 정보 관리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시간은 시간대별 네트워크 환경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별로 분산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수집 시간에 대응하여 각 모바일 단말기별 허용 가능한 시간대를 결정하고, 상기 모바일 단말기 사용자가 상기 허용 가능한 시간대 중에서 선택하기 위한 선택 인터페이스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선택 인터페이스에 대응한 입력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 대응한 상기 수집 시간을 결정하여, 상기 고객 정보 관리부로 입력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의 서비스 제공을 위해 최초 등록시 입력된 고객 정보 및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개인 인증 정보를 암호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며, 상기 수집 시간에 대응하는 상기 모바일 단말기의 자동 요청에 따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상기 암호화된 개인 인증 정보를 수신 및 복호화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 제공하는 암복호화부;를 더 포함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부는,
    상기 복호화되어 제공된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기에서 수집된 스크래핑 정보를, 상기 모바일 단말기로부터 수신하는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장치.
  15. 모바일 단말기에 있어서,
    웹 서버에 접속하여 필요한 정보를 수집하기 위한 스크래핑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저장부;
    상기 스크래핑을 위한 고객 정보 및 상기 고객 정보에 대응하는 개인 인증 정보를 수집하고, 상기 개인 인증 정보를 암호화된 형태로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제어부;
    미리 설정된 수집 시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백그라운드에서 구동하는 어플리케이션 구동부;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 구동에 따라, 상기 암호화된 형태로 저장된 개인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필요한 거래 정보를 수집하는 스크래핑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스크래핑 어플리케이션의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상기 수집된 거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장치에서 분석 및 가공된 거래 정보의 알림 시간, 및 상기 스크래핑 정보의 자동 수집 시간 정보를 선택적으로 설정하여, 상기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장치로 설정 정보를 전송하며,
    상기 스크래핑부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상기 선택된 자동 수집 시간의 백그라운드 구동에 의해 스크래핑한 거래 정보를 수집하여 상기 스크래핑 서비스 제공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설정된 알림 시간에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상기 분석된 거래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부를 통해 출력하는
    모바일 단말기.
KR1020170133511A 2017-10-13 2017-10-13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4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11A KR101944776B1 (ko) 2017-10-13 2017-10-13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3511A KR101944776B1 (ko) 2017-10-13 2017-10-13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776B1 true KR101944776B1 (ko) 2019-02-01

Family

ID=653677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3511A KR101944776B1 (ko) 2017-10-13 2017-10-13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77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458A (ko) * 2001-10-18 2003-04-26 주식회사 한국주택은행 가상계좌의 충전/결제 방법
KR101723138B1 (ko) * 2015-12-14 2017-04-04 (주)케이솔루션 가맹점 카드매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0768A (ko) 2015-12-30 2017-07-11 주식회사쿠콘 데이터 스크래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27748A (ko) * 2016-09-07 2018-03-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31878A (ko) * 2016-09-20 2018-03-29 (주) 더존비즈온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458A (ko) * 2001-10-18 2003-04-26 주식회사 한국주택은행 가상계좌의 충전/결제 방법
KR101723138B1 (ko) * 2015-12-14 2017-04-04 (주)케이솔루션 가맹점 카드매출 전송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70080768A (ko) 2015-12-30 2017-07-11 주식회사쿠콘 데이터 스크래핑 시스템, 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20180027748A (ko) * 2016-09-07 2018-03-15 에스케이텔레콤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시스템에서 빔포밍을 위한 방법 및 장치
KR20180031878A (ko) * 2016-09-20 2018-03-29 (주) 더존비즈온 전표 생성 장치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58964B2 (en) Payment terminal operation method and system therefor
US10491605B2 (en) Secure interface using non-secure element processors
EP3314977B1 (en) Systems, methods, and apparatus to configure embedded devices
US9445262B2 (en) Authentication server,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issuing radio frequency card key using authentication server and mobile terminal
CN107077763B (zh) 首次进入通知
KR102587472B1 (ko) 전자 지불 결제를 제어하는 전자 장치 및 이를 위한 방법
CN104915601A (zh) 对装置中的文件夹进行加密的系统和方法
CN105074745A (zh) 用于控制支付装置以选择支付手段的方法
KR20190124344A (ko) 원-클릭 오프라인 구매
US20160210622A1 (en) Payment server devices, payment systems and 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s
CN110679162A (zh) 经由服务位置的热点识别用户
KR101686982B1 (ko) 재프로그램 가능한 보안 암호화 장치
US20220114596A1 (en) Method, apparatus, and system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information by using qr code
US20230252451A1 (en) Contactless card with multiple rotating security keys
KR101761882B1 (ko) 클라우드 id 카드를 이용하여 개인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EP3123665A1 (en) Network node security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KR101780790B1 (ko) 결제 내역 정보를 처리하는 결제 단말 및 결제 단말의 동작 방법
KR101944776B1 (ko) 스크래핑 분석 알림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그 장치
KR20170048767A (ko) 준동형 암호화를 이용한 식별코드 생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1886653B1 (ko) 카드 정보 재사용 방지를 위한 카드 정보 처리 방법, 그 장치 및 금융 서버의 동작 방법
KR101742060B1 (ko) 결제 서비스 제공 방법 및 결제 서비스를 제공하는 휴대용 단말기
KR102161225B1 (ko) 라이프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서비스
JP5798231B1 (ja) 端末装置、データ送信システム、通信端末、共通ポイント管理方法、データ送信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CN113439292B (zh) 用于管理计算机芯片模块中可信应用程序的系统和方法
US20180176007A1 (en) Key selection method for cryptographic data proces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