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672B1 - 마우스피스형 칫솔 - Google Patents

마우스피스형 칫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672B1
KR101944672B1 KR1020180080642A KR20180080642A KR101944672B1 KR 101944672 B1 KR101944672 B1 KR 101944672B1 KR 1020180080642 A KR1020180080642 A KR 1020180080642A KR 20180080642 A KR20180080642 A KR 20180080642A KR 101944672 B1 KR101944672 B1 KR 1019446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ooth
teeth
brush
swiv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06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정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브
Priority to KR10201800806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67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6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6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9/00Arrangements of the bristles in the brush body
    • A46B9/02Position or arrangement of bristles in relation to surface of the brush body, e.g. inclined, in rows, in groups
    • A46B9/04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 A46B9/045Arranged like in or for toothbrush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a plurality of tooth surfaces simultaneously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13/00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 A46B13/02Brushes with driven brush bodies or carriers power-driven carr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228Self-contained intraoral toothbrush, e.g. mouth-guard toothbrush without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18Rotation around the axis of the toothbrush hand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7/00Devices for cleaning, polishing, rinsing or drying teeth, teeth cavities or prostheses; Saliva removers; Dental applian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C17/16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 A61C17/2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 A61C17/32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 A61C17/34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 A61C17/3409Power-driven cleaning or polishing devices with brushes, cushions, cups, or the like reciprocating or oscillating driven by electric motor characterized by the movement of the brush body
    • A61C17/3454Translation along the axis perpendicular of the axis of toothbrush handle and in the plane defined by the bristle hold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3/00Gum massage
    • AHUMAN NECESSITIES
    • A46BRUSHWARE
    • A46BBRUSHES
    • A46B2200/00Brushes characterized by their functions, uses or applications
    • A46B2200/10For human or animal care
    • A46B2200/1066Toothbrush for cleaning the teeth or den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형 칫솔을 제안한다. 상기 마우스피스형 칫솔은 제1 치아 및 상기 제1 치아와 연접한 제2 치아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몸체부; 제1 단위 브러쉬가 결합된 제1 단위 회전대, 및 상기 제1 단위 회전대와 연동 회전 가능하며 제2 단위 브러쉬가 결합된 제2 단위 회전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부; 및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위 회전대 및 상기 제2 단위 회전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는 상기 제2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Description

마우스피스형 칫솔 {Mouthpiece type toothbrush}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형 칫솔에 관한 것이다.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 및 치아 배열에 따라 맞춤 가능한 마우스피스형 칫솔에 관한 것이다.
양치질(tooth brushing)은 구강 내에 존재하는 이물질 및 병균을 제거하고 청결을 유지하기 위한 목적으로, 물이나 치약을 이용하여 치아를 닦아낸 뒤 물로 헹구어 내뱉는 행위를 의미한다. 이와 같은, 양치질의 방법으로는 회전법, 스틸맨법, 챠터법 및 바스법 등이 존재한다.
회전법(roll technique)은 칫솔의 강모가 치아 장축에 평행하되, 강모단이 치근단부에 위치할 정도로 칫솔을 깊이 넣고, 강모 측면으로 치은에 압력을 가하며 교합면을 향하여 칫솔을 이동시키다가, 강모 단면이 치경부에 이르면 칫솔의 이동을 중지시키고 칫솔대를 축으로 하여 교합면을 향하여 칫솔을 회전시켜 치아의 협설면을 세척하는 방법이다.
스틸맨법(Stillman′s technique)은 칫솔의 강모단면이 치근단을 향하고, 강모와 치아 장축이 약 45도가 되며, 강모단이 치경부에 위치하도록 칫솔을 치아의 협면이나 설면에 대고, 치면을 향하여 약간의 압력을 가하며 칫솔을 전후로 진동시켜 치아 표면을 세척하는 방법이다.
챠터법(Charter′s technique)은 강모 단면이 교합면을 향하고, 강모와 치아 장축이 약 45도가 되며, 강모단이 치경부 법랑질과 치은 조직에 접촉되도록 칫솔을 대고, 치간을 향하여 압력을 가하며 칫솔을 전후로 진동시키며, 강모단을 치간에 넣어 치간 인접면을 세척하는 방법이다.
바스법(Bass brushing technique)은 칫솔모의 단부가 치은열구 내에 삽입되도록 칫솔을 치아의 장축에 대하여 약 45가 되도록 삽입시킨 후, 짧게 진동을 준 후 칫솔대를 축으로 협설면을 향하여 칫솔을 회전시켜 치은열구를 세척하고 치은을 마사지하는 방법이다.
한편, 최근에는 칫솔 내부에 구비된 전동기에 의해 칫솔모가 진동하거나 또는 회전하여 치아를 세척할 수 있는 전동 칫솔(electric toothbrush)이 많이 사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전동 칫솔을 이용하여 양치질 하는 경우, 전동 칫솔의 칫솔모가 구강 내 여러 치아를 각각 닦아낼 수 있도록, 사용자는 손목 또는 손가락을 움직여야 한다. 이와 같은, 불편함을 해소하기 위하여 마우스피스형(mouthpiece type) 칫솔이 등장하였다. 마우스피스형 칫솔은 사용자의 구강 내에 삽입 가능한 마우스피스 구조를 포함하며 마우스피스 구조 내부로 사용자의 치아를 삽입하면, 마우스피스 구조 내부의 칫솔모가 회전하거나 또는 초음파 진동을 발생시켜 사용자의 치아를 세척할 수 있다.
그러나, 사람의 구강 구조는 상악골(maxilla)과 하악골(mandibula)의 모양 또는 상악골과 하학골의 교합(bite occlusion) 위치 및 방향에 따라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한 구강 구조를 가진 사람이라 할지라도, 식습관(food habit) 또는 생활습관(life habit)에 따라 치아의 배열 및 치아의 개수가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동일한 구조 및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마우스피스형 칫솔은 다양한 구강 구조 및 다양한 치아 배열을 가지는 사람들에게 정확한 양치질을 제공할 수 없는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20-0470142호,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 (2013.08.09. 공고)
본 명세서의 일 개시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 및 치아 배열에 따라 맞춤형 마우스피스형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다른 개시는 치면(surface of tooth)을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와 치은열구(gingival sulcus)을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를 각각 구비하는 마우스피스형 칫솔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마우스피스형 칫솔을 제안한다. 상기 마우스피스형 칫솔은 제1 치아 및 상기 제1 치아와 연접한 제2 치아가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몸체부; 제1 단위 브러쉬가 결합된 제1 단위 회전대, 및 상기 제1 단위 회전대와 연동 회전 가능하며 제2 단위 브러쉬가 결합된 제2 단위 회전대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부 내부에 설치되는 브러쉬부; 및 상기 제1 치아 및 제2 치아를 세척하기 위하여, 상기 제1 단위 회전대 및 상기 제2 단위 회전대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는 상기 제2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는 상기 제1 단위 회전대와 상기 제1 치아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며, 상기 제2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는 상기 제2 단위 회전대와 상기 제2 치아 사이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2 치아가 상기 제1 치아보다 설측(lingual)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제2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는 상기 제1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회전대는 일 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이루어진 직선부재, 상기 직선부재의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2 단위 회전대는 일 측에 상기 제1 단위 회전대의 돌기가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된 삽입공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단위 브러쉬는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결합된 제1 방향모 및 제2 방향모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방향모 및 제2 방향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치아를 향하도록 상기 제1 단위 회전대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 방향모의 길이는 상기 제1 치아의 치면(surface of tooth)에서부터 상기 제1 단위 회전대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며, 상기 제2 방향모의 길이는 상기 제1 치아의 치은열구(gingival sulcus)에서부터 상기 제1 단위 회전대까지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방향모는 평면헤드, 및 상기 평면헤드의 수직 방향으로 식모된 칫솔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방향모는 상측헤드, 상기 상측헤드로부터 만곡 연장된 하측헤드, 및 상기 상하측헤드에 각각 수직 방향으로 식모된 칫솔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측헤드는 상기 상측헤드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 단부로 갈수록 모의 길이가 길어지게 상기 칫솔모가 식모되고, 상기 하측헤드는 상기 하측헤드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 단부로 갈수록 모의 길이가 짧아지게 상기 칫솔모가 식모될 수 있다.
기타 실시 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마우스피스형 칫솔 내부에 치아를 양치하기 위한 브러쉬의 모가 다양한 너비와 길이를 가지고 있어, 사용자의 구강 구조 및 치아 배열에 따라 정확한 양치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마우스피스형 칫솔 내부에 치면을 양치하기 위한 브러쉬와 별도로 치은열구를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가 구비되어, 치은열구의 오염에 의해 발생되는 잇몸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아니하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증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강 건강 증진기의 I-I 선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증진기의 논리적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회전대의 사시도이다.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위 회전대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부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롤러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증 배출 기능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를 이용한 구강 건강 증진기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님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 용어는 본 명세서에서 특별히 다른 의미로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포괄적인 의미로 해석되거나,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가 본 발명의 사상을 정확하게 표현하지 못하는 잘못된 기술적 용어일 때에는, 당업자가 올바르게 이해할 수 있는 기술적 용어로 대체되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바에 따라, 또는 전후 문맥상에 따라 해석되어야 하며, 과도하게 축소된 의미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 요소는 제2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 요소도 제1 구성 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 반면에,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 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됨을 유의해야 한다. 본 발명의 사상은 첨부된 도면 외에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에 까지도 확장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설명하기에 앞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고 있는 몇몇 용어를 설명한다.
치아(teeth)는 사람의 상악(upper jaw, maxilla)과 하악(jaw, mandible)에 상하 짝을 이루며, 활 모양(치열궁, dental arch)으로 배열된 구조물이다. 치아는 입안에 들어온 음식물을 잘게 씹고 부수는 소화기 역할과, 정확한 발음을 형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반적으로, 성인은 상악과 하악에 각각 16개의 영구치를 가진다. 상악(또는 하악)에 배열된 16개의 치아는 정중선(median line)을 기준으로, 각각 8개의 치아로 구성된 상악 우측(또는 하악 우측)과 상악 좌측(또는 하악 좌측)으로 구분될 수 있다.
상악 우측(또는 상악 좌측, 하악 우측, 하악 좌측)의 8개의 치아는 정중선을 기준으로, 중절치(maxillary incisor), 측절치(lateral incisor), 견치(canine teeth), 제1 소구치(first premolar), 제2 소구치(second premolar), 제1 대구치(first molar), 제2 대구치(second molar), 제3 대구치(third molar) 순서대로 배열된다. 또한, 상악 우측(또는 상악 좌측, 하악 우측, 하악 좌측)의 8개의 치아는 그 위치에 따라, 전치부(anterior region)와 구치(posterior region)으로 구분된다. 이 중 전치부에는 중절치, 측절치 및 견치가 포함되고, 구치는 1 소구치, 제2 소구치 제1 대구치, 제2 대구치 및 제3 대구치가 포함된다.
치면(surface of tooth)은 치아의 치경선(cervical line) 윗쪽 부분인 치관(crown)의 면(surface)이다. 즉, 치면은 치은에 의해 감추어져 있지 않고 육안으로 관찰될 수 있는 부분의 면을 가리킨다.
치면 중 순면(labial surface)은 전치부(anterior region)에 위치한 치아의 입술쪽을 향한 면을 가리킨다. 설면(lingual surface)은 전치부에 위치한 치아의 혀쪽을 향한 면을 가리킨다. 인접면(proximal surface, 또는 접촉면)은 전치부에 위치한 두 치아가 맞닿는 면을 가리킨다. 그리고, 절단면(incisal surface)은 전치부에 위치한 상악의 치아와 하악의 치아가 맞닿는 면을 가리킨다.
치면 중 협면(buccal surface)은 구치(posterior region)에 위치한 치아의 뺨쪽을 향한 면을 가리킨다. 설면은 구치에 위치한 치아의 혀쪽을 향한 면을 가리킨다. 접촉면(contact surface)은 구치에 위치한 두 치아가 맞닿는 면을 가리킨다. 그리고, 교합면(occlusal surface, 또는 저작연)은 구치에 위치한 상악의 치아와 하악의 치아가 맞닿는 면을 가리킨다.
치은(gingiva)은 치아의 목 부분(치경)에서 치아의 뿌리방향으로 치조골을 덮고 있는 분홍색 점막 조직이다. 치은은 하부 치조골에 의해 단단히 부착되어 있으며, 음식물을 씹을 때 점막에 가해지는 마찰력에 저항하고 치아를 보호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치은선(gingival line)은 치은이 치아로 연장되는 위치에 의해 결정되는 선이다. 치은선은 치경선의 만곡을 따라가는 경향이 있으나, 치경선과 일치하지는 않는다.
치은열구(gingival sulcus)는 한쪽으로는 치면, 다른 한쪽으로는 변연치은(marginal gingiva)의 상피에 의해 경계되는, 치아를 둘러싸는 V자 형태의 좁은 틈이다. 일반적으로 치은열구의 틈은 2mm 이내이나, 내부에 치석(dental calculus)이 쌓여 그 틈이 벌어지면, 치은염(gingivitis), 치주염(periodontal disease) 또는 치수염(pulpitis)과 같은 잇몸 질환이 발생할 수 있다.
한편, 구강 내의 건강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치아의 건강 및 치은의 건강 모두 중요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치아의 건강 유지를 위한 양치 기능과, 치은의 건강 유지를 위한 마사지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구강 건강 증진기를 제안한다.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강 건강 증진기는 사용자의 목적에 따라 칫솔로 지칭되거나, 또는 마사지기로 지칭될 수도 있을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고자 하는 구강 건강 증진기의 외관 및 구성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증진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구강 건강 증진기의 I-I 선 단면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증진기의 논리적 구성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몸체부(110), 제어부(120), 통신부(130) 및 제어부(14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구성 요소들은 기능적으로 구분되는 요소들을 나타낸 것에 불과하므로, 어느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가 실제 물리적 환경에서는 서로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설명하면, 몸체부(110)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주된 몸체를 이루는 구성으로, 치아(10)의 건강 유지를 위한 양치 기능 및 치은(30)의 건강 유지를 위한 마사지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몸체부(110)는 상부에는 상악의 치아(10a) 및 치은(30a)이 삽입될 수 있는 상부홈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10)의 하부에는 하악의 치아(10b) 및 치은(30b)이 삽입될 수 있는 하부홈이 형성되어 있다. 몸체부(110)의 상부홈 및 하부홈 각각에는 서로 연접한 복수 개의 치아(20)가 동시에 삽입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 개의 치아를 보호하기 위한 치은(30)이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즉, 몸체부(110)는 마우스피스(mouthpiece)와 유사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몸체부(110)는 상부홈 및 하부홈에 각각 삽입된 사용자의 치아(10)의 치면을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부(111)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러쉬부(111)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여 치아(10)의 치면 중 순면, 협면 및 설면을 닦아주기 위한 회전대(1100) 및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치아(10)의 절단면 및 교합면을 닦아주기 위한 진동판(1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브러쉬부(111)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 도 4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부(110)는 상부홈 및 하부홈에 각각 삽입된 치은(30)을 마사지하기 위한 마사지부(112)를 필수적으로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사지부(112)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치은(30)을 접촉 압박 마사지 하기 위한 마사지 롤러(13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마사지부(112)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추후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부(110)는 상부홈 및 하부홈에 각각 삽입된 치아(10) 및 치은(30)을 살균 또는 라이트 테라피(light therapy)하기 위하여, 광 방출부(113)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광 방출부(113)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악 치아(10a) 및 치은(30a), 하악 치아(10b) 및 치은(30b)을 향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는 상악 LED(113a) 및 하악 LED(113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악 LED(113a)는 상악의 치은선(gingival line, 40)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악 LED(113a)는 몸체부(110)의 상부홈 내에서 브러쉬부(111)와 마사지부(112) 사이에 위치하여, 상악의 치아(10a) 및 치은(30a)을 향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하악 LED(113b)는 하악의 치은선(40)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리고, 하악 LED(113b)는 몸체부(110)의 하부홈 내에서 브러쉬부(111)와 마사지부(112) 사이에 위치하여, 하악의 치아(10b) 및 치은(30b)을 향하여 광을 방출할 수 있다.
상악 LED(113a) 및 하악 LED(113b)는 제어부(120)에 의해 방출할 광의 파장을 250nm 이상, 400nm 이하로 결정되면, 250nm 이상, 400nm 이하의 자외선(ultraviolet rays)을 치아(10) 및 치은(30)을 향해 방출하여, 치아(10) 및 치은(30)을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악 LED(113a) 및 하악 LED(113b)에 의해 방출된 자외선은 치아(10) 또는 치은(30)에 존재하는 스트렙토쿠스 무탄스(streptococcus mutans)균 및 기타 미생물을 제거할 수 있다. 즉, 광 방출부(113)는 자외선을 방출하여, 치아(10)의 충치 또는 잇몸 질환을 발생시킬 수 있는 세균들을 살균할 수 있다.
상악 LED(113a) 및 하악 LED(113b)는 제어부(120)에 의해 방출할 광의 파장을 450nm 이상, 495nm 이하로 결정되면, 450nm 이상, 495nm 이하의 청색광(blue light)을 치아(10) 및 치은(30)을 향해 방출하여, 치아(10) 및 치은(30)을 살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악 LED(113a) 및 하악 LED(113b)에 의해 방출된 청색광은 치은(30)에 존재하는 염증의 방출을 유도할 수 있다. 즉, 광 방출부(113)는 청색광을 방출하여, 임플란트(dental implant) 치료 과정에서 발생된 치은의 염증 또는 잇몸 질환에 의해 발생된 치은의 염증을 방출시킬 수 있다.
몸체부(110)는 상부홈 및 하부홈에 각각 삽입된 치은(30)에 온열 마사지를 제공하기 위하여, 온열부(114)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온열부(114)는 몸체부(1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악 치은(30a) 및 하악 치은(30b)을 향하여 열을 방출할 수 있는 상악 열선(114a) 및 하악 열선(114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악 열선(114a)은 상악의 치은선(40)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악 열선(114a)은 몸체부(110)의 상부홈 내에서 브러쉬부(111)와 마사지부(112)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열선으로 구성되어, 상악의 치은(30)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또는, 상악 열선(114a)은 몸체부(110)의 상부홈 내에서 브러쉬부(111)와 마사지부(112)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열선 및 마사지부(112)의 상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상악의 치은(30)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하악 열선(114a) 또한 하악의 치은선(40)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된 하나 이상의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하악 열선(114a)은 몸체부(110)의 하부홈 내에서 브러쉬부(111)와 마사지부(112)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열선으로 구성되어, 하악의 치은(30)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또는, 하악 열선(114a)은 몸체부(110)의 하부홈 내에서 브러쉬부(111)와 마사지부(112) 사이에 위치하는 하나의 열선 및 마사지부(112)의 하측에 위치하는 다른 하나의 열선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하악의 치은(30)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온열부(114)는 제어부(120)에 의해 결정된 전류의 세기에 따라 상악 열선(114a) 및 하악 열선(114b)에 전류를 공급하여 치은(30)에 열을 방출할 수 있다. 즉, 온열부(114)는 치은(30)에 대한 마사지에 앞서 또는 마사지 과정에서 열을 방출하여, 경직된 치은(30)을 이완시키고 치은(30)에 존재하는 통증을 완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몸체부(110)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상태를 외부에 알리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인디케이터(116)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디케이터(116)는 사용자가 마우스피스와 유사한 형상인 구강 건강 증진기(100)를 구강 내에 삽입하였을 때 구강 외부로 돌출되는 외면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LED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116)는 제어부(120)의 지시에 따라, LED가 방출하는 광의 세기, 광의 색상, 광의 점멸 간격 등을 달리할 수 있다. 즉, 인디케이터(116)는 LED가 방출하는 광의 세기, 광의 색상, 광의 점멸 간격 등을 달리, 구강 건강 증진기(100)에 대한 전원의 인가 여부, 통신의 수행 여부, 세척 동작의 수행 여부, 마사지 동작의 수행 여부, 라이트 테라피 기능의 수행 여부, 살균 기능의 수행 여부 또는 온열 기능의 적용 여부를 외부에 알릴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제어부(120)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주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몸체부(110), 통신부(130) 및 전원부(140)를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는 몸체부(110)의 브러쉬부(111)를 구성하고 있는 모터를 제어하여, 회전대(1100)를 상하 방향으로 회전 운동시켜, 치아(10)의 순면, 협면 및 설면을 닦을 수 있다. 제어부(120)는 브러쉬부(111)를 구성하고 있는 모터를 제어하여, 진동판(1200)을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시켜, 치아(10)의 절단면 및 교합면을 닦을 수 있다. 특히,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양치 기능을 지시하는 값이 수신된 경우, 브러쉬부(11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몸체부(110)의 마사지부(112)를 구성하고 있는 모터를 제어하여, 마사지 롤러(1300)를 레일(1400)에 따라 이동시켜, 치은(30)을 접촉 압박 마사지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마사지 기능을 지시하는 값 또는 염증 배출 대상 치아를 지정하는 값이 수신된 경우, 마사지부(112)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몸체부(110)의 광 방출부(113)를 구성하고 있는 LED가 방출할 광의 파장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광 방출부(113)를 제어하여, LED가 치아(10) 또는 치은(30)을 향하여 상기 결정된 파장을 가지는 광을 방출시킬 수 있다. 특히,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치은 살균 기능을 지시하는 값이 수신된 경우, 광 방출부(113)의 LED가 방출할 광의 파장을 250nm 이상, 400nm 이하로 결정하고, 광 방출부(113)의 LED가 250nm 이상, 400nm 이하의 자외선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라이트 테라피 기능을 지시하는 값이 수신된 경우, 광 방출부(113)의 LED가 방출할 광의 파장을 450nm 이상, 495nm 이하로 결정하고, 광 방출부(113)의 LED 가 450nm 이상, 495nm 이하의 청색광을 방출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몸체부(110)의 온열부(114)를 구성하고 있는 열선에 공급되는 전류의 세기를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원부(140)를 제어하여, 온열부(114)의 열선에 상기 결정된 세기를 가지는 전류가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20)는 통신부(130)를 통해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마사지 온도의 값이 수신된 경우, 수신된 마사지 온도의 값에 대응되는 온열 마사지를 수행할 수 있는 전류의 세기를 결정하고, 결정된 세기를 가지는 전류가 온열부(114)의 열선에 공급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전원부(140)로부터의 전원 인가 여부, 통신부(130)의 통신 수행 여부, 브러쉬부(111)의 세척 동작 수행 여부, 마사지부(112)의 마사지 동작의 수행 여부, 광 출력부(113)의 라이트 테라피 기능 수행 여부 또는 살균 기능의 수형 여부, 온열부(114)의 온열 기능 적용 여부에 따라, 몸체부(110)의 인디케이터(116)를 구성하고 있는 LED가 방출할 광의 세기, 광의 색상, 광의 점멸 간격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20)는 상기 결정된 광의 세기, 광의 색상, 광의 점멸 간격에 따라 인디케이터(116)의 LED가 발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하나 이상의 메모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상주된 명령어를 기초로,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및 기능을 구현할 수 있다. 메모리는 상술한 바와 같은 동작 및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상주(loading)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는 상주된 프로그램을 실행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API), 라이브러리(library) 파일, 리소스(resource)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20)의 프로세서는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및 논리 회로 및/또는 데이터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메모리는 ROM(Read-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플래쉬 메모리, 메모리 카드, 저장 매체 및/또는 다른 저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음 구성으로, 통신부(13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하고, 제어부(120)로부터 전달된 데이터를 사용자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신부(13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양치 기능, 마사지 기능, 치은 살균 기능, 라이트 테라피 기능, 온열 기능의 수행 여부를 지시하는 값을 수신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통신부(13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염증 배출 대상 치아를 지정하는 값 또는 마사지 온도를 지정하는 값을 수신하여 제어부(120)에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부(13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양치 기능의 시작 후 진행 시간, 양치 기능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 마사지 기능의 시작 후 진행 시간, 마사지 기능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 치은 살균 기능의 수행 여부, 라이트 테라피 기능의 수행 여부 및 온열 기능의 설정 여부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사용자 장치(200)에 송신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통신을 수행하기 위하여, 통신부(130)는 블루투스(Bluetooth)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블루투스 모듈을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통신부(130)는 사용자 장치(200)와 페어링(pairing)을 선행적으로 수행하여 연결을 수립하고, 수립된 연결을 이용하여 페어링된 사용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통신부(130)는 블루투스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지그비(Zigbee), NFC(Near Field Communication), 와이파이(Wi-Fi), 와이맥스(Wimax), 와이브로(Wibro) 등과 같은 근거리 무선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거나, 또는 코드 분할 다중 접속(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 와이드 밴드 코드 분할 다중 접속(Wideband CDMA, WCDMA), 고속 패킷 접속(High Speed Packet Access, HSPA),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등과 같은 이동 통신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치(200)와 통신을 수행하도록 변경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다음 구성으로, 전원부(140)는 몸체부(110), 제어부(120) 및 통신부(130)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원부(140)는 니켈-카드뮴, 리튬 이온, 니켈-수소, 리튬폴리머의 이차 전지(rechargeable battery)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원부(140)는 교체 가능한 일차 전지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간 건강 증진기(100)의 브러쉬부(111)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브러쉬부(111)의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위 회전대(1110)의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a 및 도 6b는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에 따른 단위 회전대(1110)의 결합 상태도이다.
도 4 내지 도 6b를 참조하면, 브러쉬부(111)는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네 개의 회전대(1100) 및 하나의 진동판(1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브러쉬부(111)를 구성하고 있는 네 개의 회전대(1100) 중 제1 회전대(1100)는 상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여 상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을 닦아줄 수 있다. 제2 회전대(1100)는 상악 치아(10)의 설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여 상악 치아(10)의 설면을 닦아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회전대(1100) 및 제2 회전대(1100)는 상악 우측의 제2 대구치(17)에서 상악 좌측의 제2 대구치(17)까지의 치경선(20)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되어 있다.
브러쉬부(111)를 구성하고 있는 제3 회전대(1100)는 하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여 하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을 닦아줄 수 있다. 그리고, 제4 회전대(1100)는 하악 치아(10)의 설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하 방향으로 왕복 회전 운동하여 하악 치아(10)의 설면을 닦아줄 수 있다. 이와 같은, 제3 회전대(1100) 및 제4 회전대(1100)는 하악 우측의 제2 대구치(17)에서 하악 좌측의 제2 대구치(17)까지의 치경선(20)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되어 있다.
즉, 브러쉬부(111)는 상악 및 하악 각각에 대하여 순면/협면 및 설면을 양치하기 위한 총 네 개의 회전대(111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판(1200)은 좌우 방향으로 왕복 운동하여, 치아(10)의 절단면 및 교합면을 닦아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브러쉬부(111)를 구성하고 있는 하나의 회전대(1100)는 복수 개의 단위 회전대(1110)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회전대(1100)를 구성하고 있는 복수 개의 단위 회전대(1110)는 서로 연동 회전 가능하다. 즉, 제어부(120)의 모터 제어에 의해 브러쉬부(111)의 제1 단위 회전대(1110)가 회전되는 경우, 제1 단위 회전대(1110)가 속한 회전대(1100)를 구성하고 있는 모든 단위 회전대는 제1 단위 회전대(1110)와 연동하여 동일하게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회전대(1100)는 사용자의 치아의 개수와 대응되는 개수의 단위 회전대(1110)로 구성될 수 있다. 즉, 상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을 양치할 회전대 및 상악 치아(10)의 설면을 양치할 회전대는 사용자의 상악에 존재하는 치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단위 회전대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하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을 양치할 회전대 및 하악 치아(10)의 설면을 양치할 회전대는 사용자의 하악에 존재하는 치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단위 회전대로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하나의 회전대(1100)는 사용자의 치아의 개수보다 많은 수의 단위 회전대(1110)로 구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의 상악의 제3 대구치(18, 사랑니)가 치경선 위로 돌출되지 않은 경우, 상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을 양치할 회전대는 총 14개의 단위 회전대(1110)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을 양치할 회전대(1100)는 상악 우측의 제2 대구치(17)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우측의 제1 대구치(16)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우측의 제2 소구치(15)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우측의 제1 소구치(14)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우측의 견치(13)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우측의 측절치(12)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우측의 중절치(11)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좌측의 중절치(11)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좌측의 측절치(12)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좌측의 견치(13)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좌측의 제1 소구치(14)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좌측의 제2 소구치(15)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상악 좌측의 제1 대구치(16)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 및 상악 좌측의 제2 대구치(17)를 양치하기 위한 단위 회전대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회전대(1100)를 구성하고 있는 각각의 단위 회전대(1110)는 해당 단위 회전대가 양치할 치아(10)의 치경선(20)의 만곡율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될 수 있다. 복수 개의 단위 회전대(1110)는 만곡된 상태에서도 용이하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유동 가능한 유동핀(1117)에 의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회전대(1110)의 일 측에는 유동핀(1117)이 형성되어 있고, 다른 일 측에는 유동핀(1117)이 삽입 결합될 수 있는 삽입공(111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단위 회전대(1110)의 유동핀(1117)과 제2 단위 회전대(1110)의 삽입공(1111)은 서로 원활한 체결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스냅핏(snap fit)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단위 회전대(1110)의 유동핀(1117)은 일 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이루어진 직선부재, 상기 직선부재의 끝단에 전방에서 후방으로 갈수록 두께가 점점 두꺼워지는 경사면이 형성된 돌기(1119)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삽입공(1111)은 유동핀(1117)의 돌기(1119)가 대응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대(1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회전대(1110)는 서로 다른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회전대(110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단위 회전대의 길이(L1)와 상기 회전대(1100)를 구성하고 있는 제2 단위 회전대의 길이(L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사람의 치아는 사람의 성별, 연령 또는 신체 크기 등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또한, 동일인의 치아라 할지라도, 구강 내 치아의 위치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사용자(즉, 착용자)의 각 치아 너비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단위 회전대로 구성된 맞춤형 회전대(1100)를 이용하여 양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예를 들어, 치과 의사, 치위생사)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사용자의 구강 구조를 기초로, 각 치아의 너비에 대응되는 단위 회전대(1110)를 결합하여 맞춤형 회전대(1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맞춤형 회전대(1100)를 포함하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사용자의 구강 구조와 무관하게 정확한 양치질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하나의 단위 회전대(1110)에는 하나 이상의 단위 브러쉬(1120, 1130)가 결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위 회전대(1110)의 외면에는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가 결합할 수 있는 제1 끼움홈(1113)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단위 회전대(1110)의 외면에 형성된 제1 끼움홈(1113)에는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의 끼움대(1123)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단위 회전대(1110)의 다른 외면에는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가 결합할 수 있는 제2 끼움홈(111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회전대(1110)의 다른 외면에 형성된 제2 끼움홈(1115)에는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의 끼움대(1133)가 끼워져 결합될 수 있다.
특징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회전대(1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회전대(1110)에 결합할 수 있는 단위 브러쉬(1120, 1130)의 모의 길이는 서로 다른 길이(l)를 가질 수 있다. 즉, 하나의 회전대(1100)를 구성하고 있는 제1 단위 회전대에 결합된 제1 단위 브러쉬(1120, 1130)의 모의 길이(l1)와 상기 회전대(1100)를 구성하고 있는 제2 단위 회전대에 결합된 제2 단위 브러쉬(1120, 1130)의 모의 길이(l2)는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대(1100)를 구성하는 각각의 단위 회전대(1110)에는 해당 회전대(1110)와 사용자의 치아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모의 길이를 가지는 단위 브러쉬(1120, 1130)가 결합될 수 있다. 즉, 제1 치아를 양치할 제1 단위 회전대에 결합되는 제1 단위 브러쉬(1120, 1130)의 모의 길이는 제1 단위 회전대와 제1 치아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제2 치아를 양치할 제2 단위 회전대에 결합되는 제2 단위 브러쉬(1120, 1130)의 모의 길이는 제2 단위 회전대와 제2 치아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치아가 제1 치아보다 설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즉, 제1 치아와 제2 치아의 배열이 비뚤어진 경우), 치아의 순면에 위치하며 제2 치아를 양치할 제2 단위 회전대에 결합되는 제2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는, 치아의 순면에 위치하며 제1 치아를 양치할 제1 단위 회전대에 결합된 제1 단위 브러쉬의 모의 길이보다 길 수 있다.
사람의 치아는 사람의 성장 과정, 생활 습관, 유전적 요인 또는 안면의 충격 유무 등에 따라 불규칙한 배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한계를 극복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사용자의 치아 배열에 따라 서로 다른 모의 길이를 가지는 단위 브러쉬(1120, 1130)가 결합된 맞춤형 회전대(1100)를 이용하여 양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사용자 또는 관리자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사용자의 치아 배열을 기초로, 각 치아와 회전대 사이의 거리에 대응되는 모의 길이를 가지는 단위 브러쉬(1120, 1130)를 결합하여 맞춤형 회전대(1100)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맞춤형 회전대(1100)를 포함하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불규칙한 치아를 가진 사용자라 할지라도 치아 교정의 여부와 무관하게 정확한 양치질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간 건강 증진기(100)의 회전대(1100)에 결합할 수 있는 브러쉬의 종류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7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의 평면도이고, 도 7b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의 평면도이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단위 회전대(1110)의 제1 끼움홈(1113)에는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가 결합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 회전대(1110)의 제2 끼움홈(1115)에는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가 결합할 수 있다.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와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는 서로 역방향을 향하도록 단위 회전대(1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120)는 단위 회전대(1110)를 회전시켜,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 및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 중 어느 하나가 치아를 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는 평면헤드(1121), 평면헤드(1121)의 일면에 수직 방향으로 식모된 칫솔모(1123) 및 단위 회전대(1110)의 제1 끼움홈(111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된 끼움대(112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의 칫솔모(1123)는 모의 선단이 전체적으로 평탄하도록 평면헤드(1121)에 식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는 치아의 치면(11a)을 닦아 양치하기 위한 브러쉬다. 따라서, 제1 치아를 양치할 제1 단위 회전대(1110)에 결합된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의 칫솔모(1123)의 길이는 제1 치아의 치면(11a)에서부터 제1 단위 회전대(1110)까지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치면 양치용 단위 브러쉬(1120)가 결합된 단위 회전대(1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회전하여, 회전법(roll technique)에 따라 치아의 치면(11a)을 양치할 수 있다.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는 상측헤드(1131a), 상측헤드(1131a)로부터 만곡 연장된 하측헤드(1131b), 상측헤드(1131a) 및 하측헤드(1131b) 각각의 일면에 수직 방향으로 식모된 칫솔모(1135), 및 단위 회전대(1110)의 제2 끼움홈(1115)에 끼움 결합될 수 있는 단턱이 형성된 끼움대(11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의 상측헤드(1131a)는 상측헤드(1131a)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 단부로 갈수록 모의 길이가 길어지게 칫솔모(1135)가 식모되고, 하측헤드(1131b)는 하측헤드(1131b)의 상측 단부에서 하측 단부로 갈수록 모의 길이가 짧아지게 칫솔모(1135)가 식모될 수 있다. 따라서,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의 칫솔모(1135)는 모의 선단의 단면이 삼각형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는 치아(10)와 치은(30) 사이에 존재하는 치은열구(30a)를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다. 따라서, 제1 치아를 양치할 제1 단위 회전대(1110)에 결합된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의 칫솔모(1133)의 길이는 제1 치아의 치은열구(30a)에서부터 제1 단위 회전대(1110)까지의 거리에 대응될 수 있다.
또한, 치은열구 양치용 단위 브러쉬(1130)가 결합된 단위 회전대(1110)는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상하 방향으로 왕복 진동 및 회전하여, 바스법(Bass brushing technique)에 따라 치아의 치은열구(30a)를 세척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치면을 양치하기 위한 브러쉬(1120) 이외에도, 치은열구(30a)를 세척하기 위한 브러쉬(1130)를 별도로 구비하고 있어, 치은열구(30a)의 오염에 의해 발생되는 잇몸 질환을 예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마사지부(112)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부(112)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 롤러(1300)의 평면도이다. 그리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염증 배출 기능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면, 마사지부(112)는 몸체부(110) 내부에 설치되며, 네 개의 마사지 롤러(1300) 및 네 개의 레일(1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마사지부(112)를 구성하고 있는 네 개의 마사지 롤러(1300) 중 제1 마사지 롤러(1300)는 상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 방향에 위치하며, 레일(1400)에 따라 좌우 이동하여 상악 치은(30)의 순면 및 협면을 접촉 압박할 수 있다. 제2 마사지 롤러(1300)는 상악 치아(10)의 설면 방향에 위치하며, 레일(1400)에 따라 좌우 이동하여 상악 치은(30)의 설면을 접촉 압박할 수 있다. 제3 마사지 롤러(1300)는 하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 방향에 위치하며, 레일(1400)에 따라 좌우 이동하여 하악 치은(30)의 순면 및 협면을 접촉 압박할 수 있다. 그리고, 제4 마사지 롤러(1300)는 하악 치아(10)의 설면 방향에 위치하며, 레일(1400)에 따라 좌우 이동하여 하악 치은(30)의 설면을 접촉 압박할 수 있다.
마사지부(112)를 구성하고 있는 네 개의 레일(1400) 중 제1 레일(1400)은 상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1 마사지 롤러(1300)의 이동 궤도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2 레일(1400)은 상악 치아(10)의 설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2 마사지 롤러(1300)의 이동 궤도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3 레일(1400)은 하악 치아(10)의 순면 및 협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3 마사지 롤러(1300)의 이동 궤도를 가이드할 수 있다. 제4 레일(1400)은 하악 치아(10)의 설면 방향에 위치하며, 상기 제4 마사지 롤러(1300)의 이동 궤도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 레일(1400) 및 제2 레일(1400)은 상악 우측의 제3 대구치(18)를 감싸는 치은에서 상악 좌측의 제3 대구치(18)를 감싸는 치은까지의 치은선(40)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되고, 제3 레일(1400) 및 제4 레일(1400)은 하악 우측의 제3 대구치(18)를 감싸는 치은에서 하악 좌측의 제3 대구치(18)를 감싸는 치은까지의 치은선(40)에 대응되게 만곡 형성되어 있다.
즉, 마사지부(112)는 상악 및 하악 각각에 대하여 순면/협면 및 설면을 마사지하기 위한 총 네 개의 마사지 롤러(1300) 및 레일(1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마사지부(112)를 구성하고 있는 마사지 롤러(1300)는 일 측이 개구된 납작한 박스 형상을 가지는 지지 프레임(1310), 후단부를 포함한 몸체 일부가 지지 프레임(1310) 내부에 진퇴 가능하게 삽입되며 선단부에 롤러(1330)가 설치되는 완충 프레임(1320), 지지 프레임(1310) 내부에 설치되어 완충 프레임(1320)이 지출하는 경향을 가지도록 탄성 지지하는 탄성체(1340), 및 마사지 롤러(1300)가 레일(1400) 내의 랙 기어(rack gear, 1410)에 따라 이동하도록 회전하는 피니언 기어(pinion gear, 1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마사지 롤러(1300)의 롤러(1330)는 탄성체(1340)에 의해 지지되는 완충 프레임(1320)에 의해 치은(30)을 일정한 크기의 힘으로 압박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마사지 롤러(1300)가 이동하여 치은(30)으로부터 롤러(1330)에 일정 이상의 힘이 가해지면, 완충 프레임(1320)은 지지 프레임(1310) 내부로 후퇴하여, 치은(30)에 상기 일정한 크기 이상의 힘으로 압박하지 않을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탄성체(1340)는 지지 프레임(1310) 내부에서 납작한 형성을 유지하며 코일 스프링에 비해 높은 탄성 지지력을 발휘하기 위하여 라인형 판스프링(line type leaf spring)으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라인형 판스프링은 사각 단면을 갖는 라인 형상의 금속(철)을 지그재그 형상으로 구부려 제작된 스프링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마사지 롤러(1300) 및 레일(1400)을 포함하는 마사지부(112)는 치은(30)을 접촉 압박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마우스피스 형태를 가지고 있으므로, 사용자가 구강 내 치은(30)에 대한 마사지를 매우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사지 롤러(1300)가 동일한 위치에서 동일한 압력으로 치은(30)을 압박하여, 언제나 동일한 마사지 효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부(112)는 여덟 개의 마사지 롤러(1300) 및 네 개의 레일(14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즉, 마사지부(112)는 하나의 레일(1400)을 따라 두 개의 마사지 롤러(1300)가 좌우 이동하며 하나의 치은(30)을 접촉 압박하도록 변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마사지부(112)가 하나의 레일(1400)을 따라 두 개의 마사지 롤러(1300)가 이동하며 치은(30)을 접촉 압박하도록 변형된 경우,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염증 배출 대상 치아를 감싸는 치은을 좌우에서 압박 마사지하는 염증 배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마사지부(112)는 치은(30)의 순면 및 협면 방향에 위치한 제1 레일(1400-1)에 따라 이동하며 치은(30)의 순면 및 협면 방향을 접촉 압박하기 위한 제1 마사지 롤러(1300-1) 및 제2 마사지 롤러(1300-2)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마사지 롤러(1300-1)는 구강 내 우측에 존재하는 제2 대구치(17)를 감싸는 치은에서 구강 내 좌측에 존재하는 제1 대구치를 감싸는 치은까지 제1 레일(1400-1)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제2 마사지 롤러(1300-2)는 구강 내 좌측에 존재하는 제2 대구치(17)를 감싸는 치은에서 구강 내 우측에 존재하는 제1 대구치를 감싸는 치은까지 제1 레일(1400-1)에 따리 이동 가능할 수 있다.
마사지부(112)는 치은(30)의 설면 방향에 위치한 제2 레일(1400-2)에 따라 이동하며 치은(30)의 설면 방향을 접촉 압박하기 위한 제3 마사지 롤러(1300-3) 및 제4 마사지 롤러(1300-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3 마사지 롤러(1300-3)는 구강 내 우측에 존재하는 제2 대구치(17)를 감싸는 치은에서 구강 내 좌측에 존재하는 제1 대구치를 감싸는 치은까지 제2 레일(1400-2)에 따라 이동 가능하고, 제4 마사지 롤러(1300-4)는 구강 내 좌측에 존재하는 제2 대구치(17)를 감싸는 치은에서 구강 내 우측에 존재하는 제1 대구치를 감싸는 치은까지 제2 레일(1400-2)에 따리 이동 가능할 수 있다.
염증 배출 기능을 수행하기에 앞서, 통신부(130)를 통해 염증 배출 대상 치아로 제1 치아(11)를 지정하는 값이 수신된 경우, 마사지부(112)는 상기 구강 내 우측에 존재하는 제2 대구치(17)를 감싸는 치은에서 상기 제1 치아(11)를 감싸는 치은까지 제1 마사지 롤러(1300-1)를 제1 레일(1400-1)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마사지부(112)는 상기 구강 내 좌측에 존재하는 제2 대구치(17)를 감싸는 치은에서 상기 제1 치아(11)를 감싸는 치은까지 제2 마사지 롤러(1300-2)를 제1 레일(1400-1)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마사지부(112)는 상기 구강 내 우측에 존재하는 제2 대구치(17)를 감싸는 치은에서 상기 제1 치아(11)를 감싸는 치은까지 제3 마사지 롤러(1300-3)를 제2 레일(1400-2)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마사지부(112)는 상기 구강 내 좌측에 존재하는 제2 대구치(17)를 감싸는 치은에서 상기 제1 치아(11)를 감싸는 치은까지 제4 마사지 롤러(1300-4)를 제2 레일(1400-2)에 따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마사지부(112)는 염증 배출 대상 치아가 지정되면, 제어부(120)의 제어에 따라 치은(30) 내에 존재하는 염증을 쥐어 짜내듯, 염증 배출 대상 치아를 감싸는 치은(30)을 좌우에서 압박 마사지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는 사용자 장치(200)로부터 지시 또는 데이터 값을 수신하고, 수신된 지시 또는 데이터 값을 기초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를 사용자 장치(200)에 의해 제어되는 사물 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 기반으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하, 사물 인터넷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장치(200)를 이용한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00)를 이용하여 구강 건강 증진기(100)를 제어하고, 사용자 장치(200)의 디스플레이(210)를 통해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00)의 입출력장치(예를 들어, 터치스크린)를 통하여, 구강 건강 증진기(100)에게 양치 기능, 마사지 기능, 치은 살균 기능, 라이트 테라피 기능, 온열 기능 동작의 수행 또는 동작의 정지를 지시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00)의 입출력장치를 통하여, 구강 건강 증진기(100)에게 염증 배출 대상 치아를 지정하는 값 또는 마사지 온도를 지정하는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용자 장치(200)의 입출력장치를 통해,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상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사용자 장치(200)의 입출력장치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의 상태 정보에는 양치 기능의 시작 후 진행 시간, 양치 기능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 마사지 기능의 시작 후 진행 시간, 마사지 기능의 종료까지 남은 시간, 치은 살균 기능의 수행 여부, 라이트 테라피 기능의 수행 여부, 온열 기능의 설정 여부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사용자 장치(200)는 구강 건강 증진기(100)와 통신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입출력할 수 있는 컴퓨팅 장치라면 어떠한 장치도 허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치(200)는 스마트폰(smart phone), 태블릿(tablet), 패블릿(phablet), 휴대용 멀티미디어 재생장치(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개인용 휴대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 또는 전자책 단말기(E-book reader) 등과 같은 이동식 컴퓨팅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데스크탑(desktop), 워크스테이션(workstation) 또는 서버(server) 등과 같은 고정식 컴퓨팅 장치 중 어느 하나가 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명세서와 도면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개시하였으나,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 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와 도면에서 특정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일반적인 의미에서 사용된 것이지,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술한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선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특정한 순서로 도면에서 동작들을 묘사하고 있지만, 이는 바람직한 결과를 얻기 위하여 도시된 그 특정한 순서나 순차적인 순서대로 그러한 동작들을 수행하여야 한다거나 모든 도시된 동작들이 수행되어야 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특정한 경우, 멀티태스킹과 병렬 프로세싱이 유리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형태의 다양한 시스템 컴포넌트의 분리는 그러한 분리를 모든 실시형태에서 요구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되며, 설명한 프로그램 컴포넌트와 시스템들은 일반적으로 단일의 소프트웨어 제품으로 함께 통합되거나 다중 소프트웨어 제품에 패키징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하여야 한다.
치아: 10 치경선: 20
치은: 30 치은선: 40
구강 건강 증진기: 100 몸체부: 110
브러쉬부: 111 마사지부: 112
광 출력부: 113 온열부: 114
제어부: 120 통신부: 130
전원부: 140 회전대: 1100
진동판: 1200 마사지 롤러: 1300
레일: 1400

Claims (10)

  1. 사용자의 상악의 치아 및 하악의 치아가 각각 삽입될 수 있는 홈이 형성된 몸체부;
    상기 상악 치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단위 회전대로 구성된 제1 회전대와, 상기 하악 치아의 개수와 동일한 개수의 단위 회전대로 구성된 제2 회전대를 포함하는 브러쉬부; 및
    상기 상악의 치아 및 하악의 치아를 세척하기 위하여, 모터를 제어하여 상기 제1 회전대와 제2 회전대를 회전 운동시키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제1 회전대를 구성하는 단위 회전대 각각의 길이는 상기 사용자의 상악에 존재하는 치아의 너비에 각각 대응되며,
    상기 제1 회전대를 구성하는 제1 단위 회전대에는 상기 제1 회전대에서 상기 상악의 제1 치아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칫솔모가 식모된 제1 단위 브러쉬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1 회전대를 구성하는 제2 단위 회전대에는 상기 제1 회전대에서 상기 상악의 제2 치아까지의 거리에 대응되는 길이를 가지는 칫솔모가 식모된 제2 단위 브러쉬가 끼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칫솔.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치아가 상기 제1 치아보다 상기 사용자의 설측(lingual) 방향으로 돌출되어 있는 경우, 상기 제2 단위 브러쉬의 칫솔모의 길이는 상기 제1 단위 브러쉬의 칫솔모의 길이보다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칫솔.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회전대는
    일 측에 외팔보 형상으로 이루어진 직선부재, 상기 직선부재의 끝단에 경사면이 형성된 돌기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형 칫솔.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단위 회전대는
    일 측에 상기 제1 단위 회전대의 돌기가 대응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된 삽입공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 피스형 칫솔.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회전대는 제1 끼움홈과 제2 끼움홈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끼움홈에는 상기 제1 단위 브러쉬가 끼움 결합되고, 상기 제2 끼움홈에는 제3 단위 브러쉬가 끼움 결합되며,
    상기 제1 단위 브러쉬에는 상기 제1 치아의 치면(surface of tooth)을 세척하기 위한 칫솔모가 식모되고, 상기 제3 단위 브러쉬에는 상기 제1 치아의 치은열구(gingival sulcus)를 세척하기 위한 칫솔모가 식모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단위 브러쉬 및 제3 단위 브러쉬 중 어느 하나가 상기 제1 치아가 위치하는 방향을 향하도록 상기 제1 단위 회전대를 회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칫솔.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위 회전대는
    상기 제3 단위 브러쉬가 바스법(Bass brushing technique)에 따라 회전하여 상기 제1 치아의 치은열구를 세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우스피스형 칫솔.
  8. 삭제
  9. 삭제
  10. 삭제
KR1020180080642A 2018-07-11 2018-07-11 마우스피스형 칫솔 KR1019446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42A KR101944672B1 (ko) 2018-07-11 2018-07-11 마우스피스형 칫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0642A KR101944672B1 (ko) 2018-07-11 2018-07-11 마우스피스형 칫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672B1 true KR101944672B1 (ko) 2019-01-31

Family

ID=653233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0642A KR101944672B1 (ko) 2018-07-11 2018-07-11 마우스피스형 칫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6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12A1 (ko) * 2020-07-29 2022-02-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마우스피스형 세정장치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434A (ko) * 2008-12-30 2011-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상이한 치아 영역을 위한 상이한 강모 섹션을 갖는 치아 세척 마우스피스
KR20110128581A (ko) * 2010-05-24 2011-11-30 이건영 마우스피스형 칫솔
KR200470142Y1 (ko) 2012-02-01 2013-11-29 류창한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111434A (ko) * 2008-12-30 2011-10-11 코닌클리케 필립스 일렉트로닉스 엔.브이. 상이한 치아 영역을 위한 상이한 강모 섹션을 갖는 치아 세척 마우스피스
KR20110128581A (ko) * 2010-05-24 2011-11-30 이건영 마우스피스형 칫솔
KR200470142Y1 (ko) 2012-02-01 2013-11-29 류창한 마우스피스형 전동칫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25412A1 (ko) * 2020-07-29 2022-02-03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마우스피스형 세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91471B1 (ko) 마우스피스형 치은 마사지기
US9848959B2 (en) Massaging or brushing bite plates
US20080233541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s
US5027463A (en) Toothbrush
KR101944714B1 (ko) 마우스피스형 구강 세정장치
WO2008016342A1 (en) Full mouth ultrasonic toothbrush implement
KR20150090208A (ko) 교정용 칫솔
KR20130057688A (ko) 양치 패턴 분석용 칫솔 및 분석 시스템
WO2024040862A1 (zh) 一种抑制口腔菌斑形成的多功能近红外正畸加速器
KR101944672B1 (ko) 마우스피스형 칫솔
US20170280864A1 (en) Three toothbrush designed to adapt to the 3 different mouth shapes (narrow, average, wide)
WO2005107636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hancing the treatment of teeth and gum
Borker et al. Recent advancements in toothbrush systems for improved mechanical plaque control
KR101294137B1 (ko) 전동칫솔
JP4198740B1 (ja) 歯ブラシ
JP2533443B2 (ja) 歯ブラシ
CN103859782A (zh) 快速高效牙齿清洁器
JP7472159B2 (ja) 歯科衛生用装置
CA3106397C (en) Device for cleaning teeth
CN203723625U (zh) 快速高效牙齿清洁器
CN210185724U (zh) 个人专属无痛洁牙组合套装
CN211750204U (zh) 个人专属洁牙组合套装
CN211911866U (zh) 中重度牙周病患者与口内有植牙患者适用的电动牙刷结构
JP2676335B2 (ja) 歯ブラシ
JP3148794U (ja) 歯茎磨き重視の歯ブラ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