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624B1 -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624B1
KR101944624B1 KR1020170096600A KR20170096600A KR101944624B1 KR 101944624 B1 KR101944624 B1 KR 101944624B1 KR 1020170096600 A KR1020170096600 A KR 1020170096600A KR 20170096600 A KR20170096600 A KR 20170096600A KR 101944624 B1 KR101944624 B1 KR 10194462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opening
bottled
closing member
blis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66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근태
Original Assignee
김근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근태 filed Critical 김근태
Priority to KR10201700966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62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6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62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03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automatic fluid contro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29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 B67D3/0035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provided with holders for bottles or similar containers the bottle or container being held upside down and not provided with a closure, e.g. a bottle screwed onto a base of a dispen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3/00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 B67D3/0038Apparatus or devices for controlling flow of liquids under gravity from storage containers for dispensing purposes the liquid being stored in an intermediate container prior to dispens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발명은 복수개의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그 구성은 탑커버(20)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에 각각의 생수병(70)을 거꾸로 세워져 결합되어 생수가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본체(11)내에 있는 저수조(80)로 유입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20)와 상기 저수조(80) 사이에 위치하며, 관 형상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물유입관(41)과, 상기 물유입관(41)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이 집수되는 물집수관과, 상기 물집수관 하부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물배출관(43)으로 구비되는 제1물집수기(40)와; 상기 물배출관(43)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저수조(80)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제1물집수기(40)에 저장된 물을 배출,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제1밸브(50)와;
상기 제1물집수기(4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생수병(70) 순번대로 생수가 전량 차례대로 배출되게 상기 물유입관(41) 내부에 서로 단차가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부재(60);로 구비된다.
이에 의해 본 발명은 첫째, 생수병을 개별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위생적이며, 둘째, 생수병의 내용물이 동시에 세균 증식에 따른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셋째, 사용량이 적은 장소나 가정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넷째, 용량이 작은 생수병의 사용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생수가 생수병 내부에서 정체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생수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a cold and hot dispenser with a PET bottle is discharged in order}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온수기의 탑커버에 돌출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에 생수병을 각각 거꾸로 결합한 상태에서 탑커버와 본체내의 저수조 사이에 마련되는 물집수기 내부의 소정 위치에 개폐수단을 각각 단차를 두어 설치함으로써 복수 개의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도록 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냉온수기는 합성수지재의 경질로 된 대용량 물통을 냉온수기 본체의 상판에 마련된 탑커버의 물통 삽입구에 토출구가 삽입되게 장착한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냉온수기의 물통은 반복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물통 내부에 각종 물때, 이물질 등이 생성되고, 세균 등이 침투, 번식될 뿐만 아니라, 물통의 허술한 관리로 인해 도저히 섭취할 수 없을 정도의 비위생적인 음용수를 공급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일회용 생수병을 다수 개를 동시에 이용하여 냉온수기에 적용함으로써, 물통의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각종 문제점 및 물통의 세척, 교체에 따른 과다한 비용 소모 문제 등을 해결할 수 있도록 국내 특허출원 제10-2016-0170010호를 출원하였다.
그러나 이것은 복수 개의 생수병내에 들어 있는 생수가 동시에 배출되므로 사용량이 적은 장소에서 이용할 때에는 물이 저수조에 머무는 시간이 길어지게 되므로 복수 개의 생수병 전체의 물이 세균 증식을 하는데 원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회용 생수병을 복수 개 적용하여 복수 개의 생수병에서 순번대로 어느 한 개의 생수가 모두 배출된 다음 다른 생수병의 생수가 순차적으로 배출되도록 냉온수기에 적용함으로써, 생수병을 개별적으로 사용 가능함으로써 위생적이며, 전체적으로 세균 증식을 억제할 수 있고, 사용량이 적은 장소나 가정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또 다른 발명의 목적은, 용량이 작은 생수병의 사용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생수가 생수병 내부에서 정체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생수를 섭취할 수 있도록 함을 과제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은, 탑커버(20)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소정의 간격을 두고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에 각각의 생수병(70)을 거꾸로 세워져 결합되어 생수가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본체(11)내에 있는 저수조(80)로 유입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20)의 바닥판 하부에 위치하며, 상기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물유입관(41)과, 상기 물유입관(41)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이 집수되는 물집수통(42)과, 상기 물집수통(42) 하부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물배출관(43)으로 구비되는 제1물집수기(40)와;
상기 물배출관(43)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저수조(80)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제1물집수기(40)에 저장된 물을 배출,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제1밸브(50)와;
상기 제1물집수기(4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생수병(70) 순번대로 생수가 전량 차례대로 배출되게 상기 물유입관(41) 내부에 서로 단차가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부재(60);로 구비된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를 제공함으로써 본 발명의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60)는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 및 상,하단 걸림턱(61)(62) 사이에 부력재(63)가 장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재(60)는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의 위치는 동일하고 부력재(63)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재(60)는 부력재(63)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의 유격 거리는 일정하면서 상단 걸림턱(61)을 각각 순차적으로 소정 높이로 단차를 주되 어느 하나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또 다른 실시예로서, 탑커버(20)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에 각각의 생수병(70)을 거꾸로 세워져 결합되어 생수가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본체(11)내에 있는 저수조(80)로 유입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20)의 바닥판 하부에 위치하며, 통 형상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의 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홀(44)이 각각 마련되며, 하부 소정 위치에 물배출관(43)으로 구비되는 제2물집수기(90)와;
상기 물배출관(43)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저수조(80)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제2물집수기(90)에 저장된 물을 배출,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제1밸브(50)와;
상기 제2물집수기(9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생수병(70) 순번대로 생수가 전량 배출되게 상기 제2물집수기(90) 내부에 서로 단차가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부재(60);로 구비된 생수병(70)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를 제공함으로써 그 목적은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개폐부재(60)는 상기 제2물집수기(90) 내부로 인입되어 하부로 연장된 길이가 서로 다른 워터가이드(30)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개폐부재(60)는 상기 각각의 워터가이드(30) 내부에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이 설치되고, 상기 상,하단 걸림턱(61)(62) 사이에 부력재(63)가 장착되어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개폐부재(60)는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의 위치는 동일한 유격을 두고 동일한 수평선상에 있으며 부력재(63)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으로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개폐부재(60)는 부력재(63)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이 동일한 유격을 두고 워터가이드(30) 내부 각각에 단차를 주어 설치되되 상,하단 걸림턱(61)(62)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냉온수기의 상부에 위치한 탑커버 바닥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에 각각의 생수병을 거꾸로 결합된 복수 개의 생수병이 순번대로 생수가 전량 차례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첫째, 생수병을 개별적으로 사용 가능하므로 위생적이며, 둘째, 생수병의 내용물이 동시에 세균 증식에 따른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고, 셋째, 사용량이 적은 장소나 가정에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으며, 넷째, 용량이 작은 생수병의 사용으로 취급이 용이하며, 생수가 생수병 내부에서 정체되는 시간이 단축되므로 항상 오염되지 않은 생수를 섭취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부분 종단면도
도 3은 도 2에서 발췌한 물집수기의 확대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로서 도 2의 “A"부분 확대 단면도
도 5는 도 4에서 개폐부재가 각각 단차진 상태의 단면도
도 6은 도 4에서 개폐부재중 부력재의 길이가 서로 다른 상태의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로서 요부의 종단면도
도 8은 도 7에서 물집수기를 발췌한 사시도
도 9는 도 7에서 워터가이드의 하부가 단차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0은 도 7에서 워터가이드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가 단차진 상태의 단면도
도 11은 도 7에서 워터가이드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중 부력재의 길이가 서로 다른 상태의 단면도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자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냉온수기의 상단부에 탑커버(20)가 결합되되 상기 탑커버(20)는 소정간격으로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가 돌출되고, 하부에는 냉온수기 본체(11) 내부에 장착되는 저수조(80)의 상단부에 삽입 결합되어 생수병(70)의 내용물인 생수가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저수조(80)로 이동되도록 제1물집수기(40)가 설치된다.
상기 제1물집수기(40)는 도 3과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물유입관(41)과, 상기 물유입관(41)과 연결되어 물유입관(41)으로 유입된 물이 집수되는 물집수통(42)과, 상기 물집수통(42) 하부 소정 위치에는 저수조(80)로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관(43)으로 마련된다.
제1물집수기(40)는 관형상으로 마련될 수도 있고, 원통형 또는 사각박스 형상으로도 마련될 수도 있다.
제1물집수기(4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는 물배출관(43)은 하부에 저수조(80)의 수위 변동에 따라 볼탑(51)이 상하로 이동되면서 볼탑(51)의 일단부에 연결된 지지대(52)가 함께 상하로 이동되면서 지지대(52)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물배출구를 개폐하는 제1밸브(50)를 설치하여 상기 제1물집수기(40)에 저장된 물을 저수조(80)로 배출, 차단되게 한다.
상기 복수 개의 물유입관(41) 내부에는 개폐부재(60)가 단차가 있도록 각각 설치되는데 개폐부재(60)는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 및 상,하단 걸림턱(61)(62) 사이에 부력재(63)가 장착되어 마련된다.
단차가 진 개폐부재(60)는 제1물집수기(40)의 수위에 따라 제일 아래에 있는 개폐부재(60)부터 닫히게 되므로 워터가이드(30)에 각각 결합된 생수병(70) 순번대로 생수가 전량 차례대로 배출된다.
실시예로써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개폐부재(60) 부력재(63)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을 동일한 유격을 두고 각각 순차적으로 단차를 주어서 각 개폐부재(60)는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않는다.
또 다른 실시예로써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상기 개폐부재(60)는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의 위치는 동일하고 부력재(63)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을 장착하여 부력재(63)의 길이에 의한 단차를 줄 수도 있는 것이다.
부력재(63)는 항상 물에서 뜰 수 있게 비중이 낮은 것일수록 적당하나 여기서는 0.1~0.8 정도로 사용되어도 무방하다.
이와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도 5에 도시된 바와같이 물유입관(41)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60)는 높낮이 차가 각각 다르기 때문에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제1물집수기(40) 내부의 수위가 점점 상승하면서 맨 하부에 설치된 개폐부재(60)부터 순차적으로 물유입관(41)을 막으면서 물유입이 차단하게 된다.
즉 도 5에서 살펴보면, 1번부터 4번까지 물유입관(41) 내부에 차례대로 높낮이 차가 있게 개폐부재(60)가 장착되어 있는데,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이 제1물집수기(40)내에 저장되면서 수위가 올라가게 되면 수위면과 제일 먼저 접하게 되는 (a)번 개폐부재(60)의 부력재(63)가 상승하면서 상단 걸림턱(61)에 걸리게 되어 물유입구를 차단하게 된다.
그 다음에는 제1물집수기(40)의 수위가 올라가면서 (b)번, (c)번, (d)번 순서대로 개폐부재(60)가 막히게 된다.
사용자가 생수를 마시기 위해 콕을 통하여 물이 배출되면 저수조(80)의 수위가 내려가면서 물배출관(43) 하부에 결합된 제1밸브(50)가 열리고 이것으로 인하여 제1물집수기(40)에 저장된 물이 배출되면서 함께 수위가 내려간다.
이때 맨 위쪽에 있는 (d)번 개폐부재(60)가 개방되면서 1번 물유입관(41)으로 워터가이드(30)에 결합된 생수병(70)의 생수가 하부로 배출된다.
이와같이 1번쪽 생수병(70)의 생수가 전량 배출되고 나면 2번쪽 생수병(70)의 생수가 배출되고 그 다음은 3번쪽, 4번쪽 순서대로 배출된다.
한편, 도 6에 도시된 것은 물유입관(41)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60)에서 부력재(63)의 길이가 다른 것을 장착하여 개폐부재(60)의 높낮이 차를 둔 것으로서, 이것 또한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제1물집수기(40) 내부로 유입된 물의 수위가 점점 상승하면서 부력재(63)의 길이가 가장 긴 개폐부재(60)부터 짧은 개폐부재(60) 순서대로 순차적으로 상승하여 상단 걸림턱(61)에 걸리면서 유입구를 막게되고 이로 인하여 물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제1물집수기(40)의 물이 배출될 때에는 부력재(63)가 짧은 것부터 긴 순서대로 하단 걸림턱(62) 쪽으로 내려오면서 유입구가 개방되고 이로 인해 부력재(63)가 짧은 쪽에 있는 생수병(70) 물부터 부력재(63)가 긴 쪽에 있는 생수병(70) 물이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따라서 도 5와 같이 1번쪽 생수병(70)의 생수가 전량 배출되고 나면 2번쪽 생수병(70)의 생수가 배출되고 그 다음은 3번쪽, 4번쪽 순서대로 배출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냉온수기의 상단부에 결합되는 탑커버(20)는 소정간격으로 바닥면을 관통하여 상부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가 돌출되고, 하부에는 통 형상의 제2물집수기(90)가 마련된다.
상기 제2물집수기(90)는 상부면에 상기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가 설치된 위치에 삽입홀(44)이 마련되며, 하부면의 소정 위치에 물배출관(43)이 마련되되 상기 물배출관(43) 하부에는 저수조(80)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제2물집수기(90)에 저장된 물을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제1밸브(50)가 설치된다.
여기서 탑커버(20)의 워터가이드(30) 각각에 결합된 복수 개의 생수병(70)에서 순서대로 물이 배출되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도 9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물집수기(90)의 삽입홀(44)에 삽입되는 워터가이드(30)의 하부는 제2물집수기(90) 내에서 길이가 서로 다르게 구성하여 제2물집수기(90)의 수위 변화에 따라 길이가 긴 것부터 짧은 것까지 순차적으로 잠기도록 한다.
제2물집수기(90)의 수위가 낮아져 생수병(70)의 물이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제2물집수기(90)로 유입될 때 워터가이드(30)의 하부 길이가 가장 짧은 순서부터 생수병(70) 물이 먼저 배출되며 물이 전량 배출이 되고 나면 그 다음 짧은 워터가이드(30)에 결합된 생수병(70)의 물이 전량 배출된다.
이렇게 제2물집수기(90)에 삽입된 워터가이드(30)의 하부가 짧은 것부터 긴 순서로 생수병(70)의 물이 유입되는 것이다.
즉 워터가이드(30) 하부가 물이 잠기면 물의 저항을 받기 때문에 물이 잠기지 않는 워터가이드(30)부터 물이 배출된다.
한편, 도 10과 도 11은 워터가이드(30) 내부에 개폐부재(60)를 설치한 것으로서 도 10은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과, 상,하단 걸림턱(61)(62) 사이에 삽입된 동일한 길이를 갖는 부력재(63)로 구성된 개폐부재(60)를 단차가 있도록 한 구성으로서, 워터가이드(30) 내부에 설치된 개폐부재(60)는 각각 단차를 두고 있기 때문에 제2물집수기(90) 내부로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유입된 물은 수위가 점점 상승하면서 맨 하부에 설치된 개폐부재(60)부터 순차적으로 물유입관(41)을 막으면서 물유입을 차단하게 된다.
제2물집수기(90)로부터 물이 배출될 때에는 반대로 맨 상부에 설치된 개폐부재(60)부터 아래쪽에 있는 개폐부재(60)까지 설치 위치가 높은 순으로 차례대로 개방되면서 생수병(70) 물이 제2물집수기(90)로 유입된다.
또한, 도 11은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은 동일한 유격을 가지면서 워터가이드(30) 내부에 동일한 위치에 있고 오직 부력재(63)의 길이에 차이를 둔 것으로서, 이것 또한 부력재(63)의 길이가 짧은 것부터 긴 순서대로 하단 걸림턱(62) 방향으로 내려오면서 유입구가 개방되며, 이로 인해 부력재(63)가 짧은 쪽에 있는 생수병(70) 물부터 물이 배출되기 시작하여 전량 배출이 되고나면 부력재(63)가 긴 쪽에 있는 생수병(70) 물로 순차적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에 각각 결합된 복수 개의 생수병(70)이 개폐부재(60)의 설치 위치 또는 워터가이드(30)의 하부 연장된 길이의 단차에 의해 순번대로 생수가 전량 차례대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생수병(70)을 개별적으로 생수를 전량 순서대로 소진 가능하므로 복수 개의 생수병(70) 전체 내용물이 동시에 세균에 오염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으며, 생수병(70)들의 용량이 적으므로 회전율이 빨라서 항상 위생적인 음용수를 마실 수 있으며, 또한 사용량이 적은 장소나 가정에서 위생적으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유익한 발명인 것이다.
이상같이 본 발명은 상술한 특성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 다양한 변동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 냉온수기 11 : 본체
20 : 탑커버 30 : 워터가이드
40 : 제1물집수기 41 : 물유입관
42 : 물집수통 43 : 물배출관
44 : 삽입홀 50 : 제1밸브
51 : 볼탑 52 : 지지대
60 : 개폐부재 61 : 상단 걸림턱
62 : 하단 걸림턱 63 : 부력재
70 : 생수병 80 : 저수조
90 : 제2물집수기

Claims (9)

  1. 탑커버(20)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에 각각의 생수병(70)이 거꾸로 세워져 결합되어 생수가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본체(11)내에 있는 저수조(80)로 유입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20)와 상기 저수조(80) 사이에 위치하며, 관 형상으로서, 상기 복수개의 워터가이드(30)의 하단부와 각각 결합되는 물유입관(41)과, 상기 물유입관(41)과 연결되어 유입된 물이 집수되는 물집수통(42)과, 상기 물집수통(42) 하부 소정 위치에 마련되는 물배출관(43)으로 구비되는 제1물집수기(40)와;
    상기 물배출관(43)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저수조(80)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제1물집수기(40)에 저장된 물을 배출 또는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제1밸브(50)와;
    상기 제1물집수기(4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생수병(70) 순번대로 생수가 전량 차례대로 배출되게 상기 물유입관(41) 내부에 서로 단차가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부재(60);로 구비되되 상기 개폐부재(60)는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 및 상,하단 걸림턱(61)(62) 사이에 부력재(63)가 장착되어 마련됨을 특징으로하는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60)는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과의 유격과 위치는 동일하고 부력재(63)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으로 마련됨을 특징으로하는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60)는 부력재(63)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 사이의 유격은 동일하며 상,하단 걸림턱(61)(62)의 위치를 각각 순차적으로 단차를 주어서 마련됨을 특징으로하는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5. 탑커버(20)의 바닥판을 관통하여 상부로 돌출된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에 각각의 생수병(70)이 거꾸로 세워져 결합되어 생수가 워터가이드(30)를 통하여 본체(11)내에 있는 저수조(80)로 유입되는 냉온수기에 있어서,
    상기 탑커버(20)의 바닥판 하부에 위치하며, 통 형상으로서, 상기 복수 개의 워터가이드(30)의 하부와 대응되는 위치에 삽입홀(44)이 각각 마련되며, 하부 소정 위치에 물배출관(43)으로 구비되는 제2물집수기(90)와;
    상기 물배출관(43) 하부에 마련되며, 상기 저수조(80)의 수위 변동에 따라 상기 제2물집수기(90)에 저장된 물을 배출, 차단되도록 개폐되는 제1밸브(50)와;
    상기 제2물집수기(90)의 수위에 따라 상기 복수 개의 생수병(70) 순번대로 생수가 전량 배출되게 상기 제2물집수기(90) 내부에 서로 단차가 있도록 설치되는 개폐부재(60);로 구비되되 상기 개폐부재(60)는 상기 각각의 워터가이드(30) 내부에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이 설치되고, 상기 상,하단 걸림턱(61)(62) 사이에 부력재(63)가 장착되어 마련됨을 특징으로하는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60)는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의 위치는 동일한 유격을 두고 동일한 수평선상에 있으며 부력재(63)의 길이가 서로 다른 것으로 마련됨을 특징으로하는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개폐부재(60)는 부력재(63)의 길이는 동일하고 상단 걸림턱(61)과 하단 걸림턱(62)이 동일한 유격을 두고 워터가이드(30) 내부 각각에 단차를 주되 상,하단 걸림턱(61)(62)이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되지 않도록 마련됨을 특징으로하는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KR1020170096600A 2017-07-29 2017-07-29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KR10194462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00A KR101944624B1 (ko) 2017-07-29 2017-07-29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6600A KR101944624B1 (ko) 2017-07-29 2017-07-29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624B1 true KR101944624B1 (ko) 2019-04-17

Family

ID=662816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6600A KR101944624B1 (ko) 2017-07-29 2017-07-29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62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2821A (ja) * 2007-07-05 2009-01-22 Unitech Medical Co Ltd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給水器具
JP2010228807A (ja) * 2009-03-30 2010-10-14 Cosmo Life:Kk 飲料ディスペンサ
JP3170185U (ja) * 2011-06-14 2011-09-08 祥行 西岡 ウォーターサーバ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2821A (ja) * 2007-07-05 2009-01-22 Unitech Medical Co Ltd ウォーターサーバー用給水器具
JP2010228807A (ja) * 2009-03-30 2010-10-14 Cosmo Life:Kk 飲料ディスペンサ
JP3170185U (ja) * 2011-06-14 2011-09-08 祥行 西岡 ウォーターサーバ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875944B2 (en) Beverage dispenser
KR101728277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JP5043231B2 (ja) ワインディスペンサ
RU2014133046A (ru) Контейнер для жидкости и система выталкивания жидкости
KR20090014078A (ko) 음료수용 서버
US9637369B2 (en) Multiple channel single spike for a liquid dispensing system
US2913734A (en) Liquid dispensing apparatus
KR101972810B1 (ko) 첨가물 수납공간이 구비된 텀블러
KR101944624B1 (ko) 생수병 물이 순서대로 배출되는 냉온수기
CN209366870U (zh) 一种塑料坛
US7641076B2 (en) Liquid dispensing system
CN111308111A (zh) 一种试剂盒
US9656850B2 (en) Device and method for preventing the overflow of a fluid reservoir
KR20090057098A (ko) 워터 디스펜서용 물이송 제어수단
US8474407B2 (en) Poultry watering system and method
US20010035436A1 (en) Double opening container
JP2013092333A (ja) 液体供給装置
KR20180091130A (ko) 페트병 적용 냉온수기
KR102475563B1 (ko) 가축용 급수장치
KR200357545Y1 (ko) 물통용 급수장치
CN210947002U (zh) 一种带有杀菌功能的水箱
RU76895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ачи жидкости
US5388621A (en) Pressurized transfer tank security system
KR100226345B1 (ko) 액즙 자동포장기의 액즙 정량 주입장치
US662168A (en) Dispensing device for water-cool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