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4222B1 -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 Google Patents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4222B1
KR101944222B1 KR1020180124404A KR20180124404A KR101944222B1 KR 101944222 B1 KR101944222 B1 KR 101944222B1 KR 1020180124404 A KR1020180124404 A KR 1020180124404A KR 20180124404 A KR20180124404 A KR 20180124404A KR 101944222 B1 KR101944222 B1 KR 1019442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hole
support body
magnet mem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24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서희주
Original Assignee
서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희주 filed Critical 서희주
Priority to KR1020180124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42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42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422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5/00Other forms of jewellery
    • A44C15/001Jewels transformable into other jewels, e.g. finger rings transformable into ear-rings
    • AHUMAN NECESSITIES
    • A44HABERDASHERY; JEWELLERY
    • A44CPERSONAL ADORNMENTS, e.g. JEWELLERY; COINS
    • A44C17/00Gems or the like
    • A44C17/02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 A44C17/0208Settings for holding gems or the like, e.g. for ornaments or decorations removable

Landscapes

  • Adorn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본 발명은 수납케이스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양측으로 NS의 극성이 배치되는 제1자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의 중앙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개구된 상단부에 결합플레이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중앙에 결합돌기가 일측으로 돌출된 중심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구비되어진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와 착탈가능하게 대응되면서 장신구에 따라 여러 형상일 수 있는 장신구지지체의 중앙에 수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부의 내부에 양측으로 NS의 극성이 배치되는 제2자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수납홈부의 개구부를 차단할 수 있게 고정플레이트가 소정 깊이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지지몸체의 중심축공으로 관통되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지지몸체의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의 상단부에는 제1자석부재의 걸림공과 대응되는 걸림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플레이트 결합공과 대응되는 결합돌기부가 구성되어진 장신구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Description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removable jewelry that can be converted into necklaces or rings}
본 발명은 필요에 따라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하여 적절히 사용할 수 있도록 한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에 관한 것이다.
주지된 바와 같이, 많은 사람들은 목걸이, 반지등의 장신구를 착용함으로서 자신의 외관을 더 미려하고 화려하게 한다.
그러나, 종래에는 값비싼 장신구가 목걸이용 또는 반지용으로 확연하게 구분되어 제작되기 때문에 이들을 각각 구매하여야 하므로 많은 비용이 지출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그래서, 근자에는 각양 각색의 아름다운 장신구를 반지링체로부터 분리하여 목걸이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착탈식 장신구를 본인이 특허등록(대한민국 특허 등록번호 10-1021146호)을 하였었다.
이의 구성을 도 1 및 도2를 토대로 간략히 설명하면, 장신구용 스톤 지지체(210)는 제2베이스체(260)의 결합 돌기(263)가 상기 제1베이스체의 가이드홈(253)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제2베이스체(260)가 상기 제1베이스체의 부재안착부(251)의 홀로 유도되어 안착되면 제1베이스체의 제1자석(252)과 제2베이스체의 제2자석(262)이 서로 끌어당기는 인발력에 의하여 제2베이스체가 제1베이스체의 부재안착부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2베이스체의 결합 돌기(263)가 제1베이스체의 걸림 홈(254) 쪽으로 이동하여 체결된다.
따라서, 제2베이스체(260)가 제1베이스체의 부재안착부(251)로부터 이탈될 염려 없이 스톤(201)이 고정된 제2베이스체(260)를 손쉽게 장신구(200)에 고정할 수 있다.
싱기 스톤(201)이 고정된 제2베이스체(260)를 제1베이스체(250)로부터 해체할 경우에는 제2베이스체(260)를 강제로 회전시켜 가이드 홈(253)에 결합 돌기(263)가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제2베이스체(260)를 위로 잡아당기면 간단히 해체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특허는 제1베이스체(250)의 제1자석(252)과 제2베이스체(260)의 제2자석(262)이 서로 끌어당기는 인발력에 의하여 제2베이스체(260)가 제1베이스체(250)의 부재안착부(251)로부터 소정 각도 회전하여 제2베이스체(260)의 결합 돌기(263)가 제1베이스체(250)의 걸림홈(254) 쪽으로 이동하여 체결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외부의 힘에 의해 제2베이스체(260)가 회전하게 되면 제2베이스체(260)의 결합 돌기(263)가 제1베이스체(250)의 걸림홈(254)으로부터 이탈함과 동시에 제2베이스체(260)의 결합 돌기(263)가 제1베이스체(250)의 가이드홈(253)을 통해 이탈함으로써 제1베이스체(250)와 제2베이스체(260)가 분리되어 귀중한 장신구가 있는 제2베이스체(260)를 분실하는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지지몸체의 결합돌기가 장신구몸체의 안내홈을 통과하는 순간 자석의 인발력에 의해 결합돌기가 회전하여 장신구몸체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한 후 지지몸체의 다수의 고정홈에 장신구몸체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지지몸체와 장신구몸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몸체를 장신구몸체로부터 든 상태에서 이를 회전시킨 후 지지몸체의 결합돌기를 장신구몸체의 안내홈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이중의 안전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값비싼 장신구가 설치되어진 장신구몸체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한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수납케이스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양측으로 NS의 극성이 배치되는 제1자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의 중앙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개구된 상단부에 결합플레이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중앙에 결합돌기가 일측으로 돌출된 중심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구비되어진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와 착탈가능하게 대응되면서 장신구에 따라 여러 형상일 수 있는 장신구지지체의 중앙에 수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부의 내부에 양측으로 NS의 극성이 배치되는 제2자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수납홈부의 개구부를 차단할 수 있게 고정플레이트가 소정 깊이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지지몸체의 중심축공으로 관통되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지지몸체의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의 상단부에는 제1자석부재의 걸림공과 대응되는 걸림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플레이트 결합공과 대응되는 결합돌기부가 구성되어진 장신구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 상기 장신구몸체의 일측에 목걸이줄을 끼울 수 있는 목걸이줄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은 지지몸체의 결합돌기가 장신구몸체의 안내홈을 통과하는 순간 자석의 인발력에 의해 결합돌기가 회전하여 장신구몸체의 걸림턱에 걸리도록 한 후 지지몸체의 다수의 고정홈에 장신구몸체의 고정돌기가 삽입되도록 하여 지지몸체와 장신구몸체가 회전하지 못하도록 하고, 상기 지지몸체를 장신구몸체로부터 든 상태에서 이를 회전시킨 후 지지몸체의 결합돌기를 장신구몸체의 안내홈으로부터 분리시킴으로써 이중의 안전 고정수단을 구비하여 값비싼 장신구가 설치되어진 장신구몸체를 분실하는 것을 방지한 매우 유용한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종래기술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요부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일차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이차 결합된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분해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결합전 상태를 보인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착탈식 장신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이다.
본 발명인 착탈식 장신구는 크게 나누어 지지몸체(400)와 장신구몸체(500)로 구성된다.
상기 지지몸체(400)는 도 3과 같이 손가락에 착용할 수 있는 반지링체(410)일 수 있으며, 목걸이줄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일 수 있으며, 상기 장신구몸체(500) 역시 반지나 목걸이, 또는 목걸이줄의 단부에 설치되는 연결수단일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과 같이 상기 지지몸체(400)에는 상부에 수납케이스(4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411)의 하단부에는 반지링체(410)가 형성되며, 상기 수납케이스(411)의 중앙에는 관통공(412)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몸체(400)의 수납케이스(411) 내부에는 양측으로 NS의 극성이 배치되는 제1자석부재(420)가 설치되는데, 상기 제1자석부재(420)의 중앙에는 걸림공(421)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케이스(411)의 개구된 상단부에는 제1자석부재(420)가 보이지 않도록 결합플레이트(430)가 설치되는데, 상기 결합플레이트(430)의 중앙에 결합돌기(432)가 일측으로 돌출된 중심축공(431)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430)에 다수의 결합공(433)이 형성된다.
상기 지지몸체(400)와 착탈가능하게 대응하는 장신구몸체(500)는 보석류인 장신구에 따라 여러 형상일 수 있는 장신구지지체(510)의 중앙에 수납홈부(511)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부(511)의 내부에 양측으로 NS의 극성이 배치되는 제2자석부재(520)가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수납홈부(511)의 개구부를 차단할 수 있게 고정플레이트(530)가 소정 깊이 고정 설치되는데, 상기 고정플레이트(530)의 중앙부에 지지몸체(400)의 중심축공(431)으로 관통되는 고정축(531)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531)의 상단에는 지지몸체(400)의 결합돌기(432)와 대응되는 결합홈(533)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턱(532)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532)의 상단부에는 제1자석부재(420)의 걸림공(421)과 대응되는 걸림축(534)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530)의 일면에 결합플레이트(430)의 결합공(433)과 대응되는 결합돌기부(535)가 다수 형성된다.
한편, 도 7과 같이 상기 장신구몸체(500)의 일측에 목걸이줄(미도시)을 끼울 수 있도록 목걸이줄공(513)을 구비한 결합부(512)를 형성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착탈식 장신구의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4와 같이, 분리된 지지몸체(400)와 장신구몸체(500)를 상호 결합하고자 하면, 장신구몸체(500)의 수납홈부(511)에 지지몸체(400)의 수납케이스(411)를 삽입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몸체(400)의 결합돌기(432)와 장신구몸체(500)의 결합홈(533)을 일치시킨 상태에서 지지몸체(400)를 누른다.
상기 지지몸체(400)를 장신구몸체(500) 방향으로 누르면, 수납홈부(511)의 제2자석부재(520)와 수납케이스(411)의 제1자석부재(420)가 근접되는데 도 8과 같이 두 자석부재(420)(520)가 같은 극성끼리 근접되기 때문에 반발력이 발생함과 동시에 지지몸체(400)의 결합플레이트(430)에 장신구몸체(500)의 결합돌기부(535)가 접촉됨과 동시에 두 자석부재(420)(520)가 서로 다른 극성을 끌어당기는 인발력으로 인하여 지지몸체(400)가 회전하게 된다.
이와 동시에, 지지몸체(400)의 결합돌기(432)가 장신구몸체(500)의 결합턱(532)에 걸려 일차 고정된다.
또한, 상기 지지몸체(400)가 회전하게 되면, 도 9와 같이 장신구몸체(500)의 결합돌기부(535)가 결합플레이트(430)의 결합공(433)에 삽입됨과 동시에 두 자석부재(420)(520)가 강한 인발력에 의해 상호 면접밀착됨과 동시에 장신구몸체(500)의 걸림축(534)이 제1자석부재(420)의 걸림공(421)과 결합하여 지지몸체(400)와 장신구몸체(500)가 안정적으로 결합된다.
즉, 장신구몸체(500)의 결합돌기부(535)가 결합플레이트(430)의 결합공(433)에 삽입되어 지지몸체(400)가 장신구몸체(500)로부터 회전하지 않게 됨으로써 외부의 강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지지몸체(400)를 회전되지 않아 지지몸체(400)와 장신구몸체(50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지몸체(400)를 장신구몸체(500)로 부터 분리하고자 하면, 인발력이 작용하고 있는 장신구몸체(500)로부터 지지몸체(400)를 들어 올려 장신구몸체(500)의 결합돌기부(535)를 결합플레이트(430)의 결합공(433)으로 부터 분리한 후 지지몸체(400)를 회전시켜 지지몸체(400)의 결합돌기(432)가 장신구몸체(500)의 결합턱(532)으로부터 분리되게 한 다음, 장신구몸체(500)의 결합홈(533)을 따라 지지몸체(400)의 결합돌기(432)를 들어 올림으로 지지몸체(400)와 장신구몸체(500)가 분리된다
400:지지몸체 410:반지링체
411:수납케이스 412:관통공
420:제1자석부재 421:걸림공
430:결합플레이트 431:중심축공
432:결합돌기 500:장신구몸체
510:장신구지지체 511:수납홈부
520:제2자석부재 530:고정플레이트
531:고정축 532:결합턱
533:결합홈 535:결합돌기부

Claims (2)

  1. 수납케이스가 상부에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내부에 양측으로 NS의 극성이 배치되는 제1자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제1자석부재의 중앙에는 걸림공이 형성되고, 상기 수납케이스의 개구된 상단부에 결합플레이트가 설치됨과 아울러 상기 결합플레이트의 중앙에 결합돌기가 일측으로 돌출된 중심축공이 형성되고, 상기 결합플레이트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결합공이 구비되어진 지지몸체와;
    상기 지지몸체와 착탈가능하게 대응되면서 장신구에 따라 여러 형상일 수 있는 장신구지지체의 중앙에 수납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수납홈부의 내부에 양측으로 NS의 극성이 배치되는 제2자석부재가 설치되며, 상기 수납홈부의 개구부를 차단할 수 있게 고정플레이트가 소정 깊이 고정 설치되는 한편,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중앙부에 지지몸체의 중심축공으로 관통되는 고정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축의 상단에 지지몸체의 결합돌기와 대응되는 결합홈이 일측으로 형성되는 결합턱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턱의 상단부에는 제1자석부재의 걸림공과 대응되는 걸림축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플레이트의 일면에 결합플레이트의 결합공과 대응되는 결합돌기부가 구성되어진 장신구몸체;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장신구몸체의 일측에 목걸이줄을 끼울 수 있는 목걸이줄공을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KR1020180124404A 2018-10-17 2018-10-17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KR1019442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04A KR101944222B1 (ko) 2018-10-17 2018-10-17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24404A KR101944222B1 (ko) 2018-10-17 2018-10-17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4222B1 true KR101944222B1 (ko) 2019-01-30

Family

ID=6527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24404A KR101944222B1 (ko) 2018-10-17 2018-10-17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4222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246A (zh) * 2019-09-20 2019-12-2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组件和具有该连接组件的穿戴设备
KR102537047B1 (ko) 2022-09-15 2023-05-26 송지은 반지 및 목걸이로 가변되는 장신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942U (ko) * 1990-04-06 1991-12-26
KR200271413Y1 (ko) * 2001-12-29 2002-04-09 임건환 회전형 장신구
JP2011250936A (ja) * 2010-06-01 2011-12-15 Seberu Piko:Kk クラスプ
KR20180002696U (ko) * 2017-03-07 2018-09-17 김신영 장신구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29942U (ko) * 1990-04-06 1991-12-26
KR200271413Y1 (ko) * 2001-12-29 2002-04-09 임건환 회전형 장신구
JP2011250936A (ja) * 2010-06-01 2011-12-15 Seberu Piko:Kk クラスプ
KR20180002696U (ko) * 2017-03-07 2018-09-17 김신영 장신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594246A (zh) * 2019-09-20 2019-12-20 歌尔科技有限公司 一种连接组件和具有该连接组件的穿戴设备
KR102537047B1 (ko) 2022-09-15 2023-05-26 송지은 반지 및 목걸이로 가변되는 장신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7527B2 (en) Magnetic jewelry clasp
US6883211B2 (en) Clasp and process for producing the same
US11388962B2 (en) Jewelry piece with a magnetic closure for an in interchangeable ornament
KR101944222B1 (ko) 목걸이나 반지로 전환이 가능한 착탈식 장신구
US6981391B2 (en) Connector for accessories
US6116054A (en) Openable gem setting
US11369170B2 (en) Clasp for item of jewelry and methods of use
US20210386164A1 (en) Interchangeable Head for Jewelry
US9532629B1 (en) Clasp held by opposing magnetic forces
US20100257898A1 (en) Magnetic Jewelry Clasp and Interchangeable Pendant System
KR101556116B1 (ko) 장신구의 체결구조
WO2012117577A1 (ja) 挿入式クラスプ
US20190082801A1 (en) Customizable ring
EP1767114A1 (en) Jewelry piece with a replaceable-exchangeable setting
KR101837024B1 (ko) 장신구용 착용줄 체결장치 및 이를 구비한 장신구
US20140020214A1 (en) Magnetic Clasp
DK1916921T3 (en) Interchangeable jewelry effort and element for taking action
US2237935A (en) Sliding clasp fastener
JPH09224724A (ja) 指 輪
KR102617781B1 (ko) 결합구조가 개선된 장신구용 잠금장치
KR101756595B1 (ko) 보석알물림장치
KR102641357B1 (ko) 착탈식 핀을 이용한 교체형 귀걸이
KR102666294B1 (ko) 이중 걸이 구조를 활용한 악세사리 체결구
US11653726B1 (en) Necklace keeper
US1707780A (en) Interchangeable jewel mount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