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3508B1 -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3508B1
KR101943508B1 KR1020110072595A KR20110072595A KR101943508B1 KR 101943508 B1 KR101943508 B1 KR 101943508B1 KR 1020110072595 A KR1020110072595 A KR 1020110072595A KR 20110072595 A KR20110072595 A KR 20110072595A KR 101943508 B1 KR101943508 B1 KR 1019435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composition
fatigue
muscle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072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11440A (ko
Inventor
전병배
권미정
최지영
서형제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10072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3508B1/ko
Publication of KR201300114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114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35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3508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함유함으로써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Cosmetic compositions having relaxing effect of fatigued muscle}
본 발명은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함유함으로써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에서 사람들은 갖가지 종류의 스트레스와 피로에 노출되어 있다. 특히 과도한 업무로 야기된 피로는 팔, 다리, 손, 발, 등의 근육 부위에 부종을 일으키기도 하고, 미세한 경련을 일으키기도 하여 생활에 많은 불편을 초래한다. 또 적절한 치료를 하지 않는다면 근육의 피로는 단시간에 회복되지 않고, 뻐근함 등의 통증으로 인해 일상생활을 영위하는데 방해가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근육 통증으로 인한 근력 감소, 관절운동 범위의 감소 등을 유발하게 된다.
따라서, 근육 피로의 진정은 일상의 업무 및 운동 등으로 인해 일과 후 팔, 다리, 손, 발 등의 근육 부위에 피로로 인한 부기나 경직, 미세한 경련으로 인한 불편 등이 발생한 경우 이를 진정시켜 통증을 완화하고 불편을 없애는데 그 목적을 둔다.
종래에도 이런 피로한 근육을 회복시키기 위해 화학요법, 운동요법, 한방요법 등의 대체 생활요법 등이 활용되고 있지만, 피부에 크고 작은 자극이 발생하기도 하고, 치료 과정이 불편하여 많이 이용되고 있지 않다. 예를 들면, 민간요법적으로 부은 발을 냉수나 냉온수를 교환해 발 마사지를 행하거나 누운 채로 의자에 다리를 올려놓는 등의 회복방법을 사용해 왔으나 번거로움 등의 이유로 효과에 비해 불편한 면이 있었다.
한편, 최근 들어 식물에서 추출한 향기 성분들을 이용해 특정 질병을 치료하는 아로마테라피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고 있고, 근육 통증이나 근육 피로를 진정시키고 해소시키기 위해서도 천연향료가 이용되고 있다. 다만, 현재 근육피로 진정을 목적으로 한 피부용 화장료 조성물에 파인버드 추출물, 파파야 추출물, 카모마일 추출물, 위치하젤 추출물, 알로에 추출물 등 각종 수용성 식물추출물에 멘톨, 아데노신 등의 합성물질 등을 첨가해 사용하고는 있으나, 피부에 대한 크고 작은 자극성에 비해 만족할 만한 근육 피로 진정의 효과를 제공하지 못하고 부가적인 향취의 측면에서도 만족감을 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여전히 존재하고 있다.
미국공개특허 : 2006-105955
이에 본 발명자들은 기존의 근육피로 진정용 화장료 조성물의 부작용과 같은 문제점이 없으면서 민간요법의 불편함을 해결하고 간편하게 피로한 근육을 진정시키기 위해 수많은 천연향료를 대상으로 연구한 결과,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 향료가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함유할 경우 우수한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가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혼합시켜 함유함으로써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고 부작용이 없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향료가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을 피로한 근육부위에 도포함으로써 근육의 피로를 진정시키는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천연향료를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페퍼민트 오일 5~20중량%, 레몬 오일 5~20 중량%, 유칼립투스 오일 5~20 중량%, 베르가못 오일 5~20 중량%, 로즈마리 오일 1~10 중량% 및 파인 오일 1~10 중량%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함유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향료가 혼합된 화장료 조성물로서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첨가함으로써 부작용이 없고 사용이 간편한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페퍼민트 오일(Peppermint oil), 레몬 오일(Lemon oil), 유칼립투스 오일(Eucalyptus oil), 베르가못 오일(Bergamot oil), 로즈마리 오일(Rosemary oil) 및 파인 오일(Pine oil)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이 제공하는 화장료 조성물은 피로 진정 효과를 가지며, 이로써 특히 과중한 업무나 과격한 운동으로 피로한 근육을 빠르게 회복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페퍼민트 오일은 박하의 지상부를 잘라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지는 노란색의 유동성이 있는 액체로 진통, 항염, 항균, 방부, 살균, 항경련, 항바이러스 등의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레몬 오일은 레몬즙을 짜낸 레몬을 강하게 압착하여 얻어지는 진한 노랑색의 액체로 항균, 방부, 해독, 관절염 치료, 괴혈병 치료, 수렴 등의 효과가 있는 오일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칼립투스 오일은 유칼리 나무의 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지는 연한 노란색의 오일로 진통, 방부, 살균, 항균, 상처 치유 효과, 소취, 이뇨, 해열 등의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베르가못 오일은 베르가못 과일을 압착해서 얻어지는 연한 노란색의 액체로 진통, 구충, 항우울, 해독, 강장, 상처 치료효과 등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로즈마리 오일은 로즈마리를 자른 다음 음지에서 말린 후 수증기 증류하여 뽑아낸 연황색의 액체로 진통, 항박테리아, 방부, 수렴, 진정, 상처 치유 효과가 있는 천연향료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파인 오일은 소나무 잎을 수증기 증류하여 얻어지는 오일로 연한 노란색의 액체이다. 이 파인 오일은 진통, 항류마티즘, 살균, 항박테리아, 거담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바람직하게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페퍼민트 오일 5~20중량%, 레몬 오일 5~20 중량%, 유칼립투스 오일 5~20 중량%, 베르가못 오일 5~20 중량%, 로즈마리 오일 1~10 중량% 및 파인 오일 1~10 중량%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2종 이상의 천연향료를 함유한다. 상기 오일들의 함량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기대하는 근육 피로 진정 효과가 나타나지 않고, 상기 범위 초과인 경우에는 피부 자극이 일어나 제품의 가치를 떨어뜨리게 된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은 향수, 화장품 등의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에 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화장료 조성물의 배합량은 당업계에 통상적인 기술에 따라 목적하는 효과를 이루기 위해 적절하게 선택하여 배합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피부 외용제 화장료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1~1.5 중량%로 함유될 수 있다.
조합향료의 함량이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 중량% 미만일 경우에는 근육 피로 진정 효과가 나타나지 않으며, 1.5 중량%를 초과할 경우에는 피부 자극 및 제형 분리 현상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그 제형에 있어서 한정적이지 않고 당업계에 주지된 어떠한 제형에도 배합할 수 있다. 제형의 예로는 팩, 연고, 로션, 가용화상, 현탁액, 에멀젼, 크림, 젤, 스프레이, 파프제, 경고제, 패치제 또는 물파스 등을 포함한다.
이하, 실시예 및 시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이들 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의 예로서, 하기 표1의 조성에 따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고, 그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 각각을 하기 표1의 중량%로 평량하여 첨가한 후에 잘 혼합될 수 있도록 10분간 교반하여 제조하였다.
근육 피로 진정 향료 조성물
성분명 실시예 1
(함량;중량%)
페퍼민트 오일 20
레몬 오일 20
유칼립투스 오일 20
베르가못 오일 20
로즈마리 오일 10
파인 오일 10
총합 100
[제형예 1] 바디 로션 화장료 조성물 제조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하기 표2의 조성에 따라 피부 외용제 조성물로서 바디 로션을 제조했다. 향료의 경우 온도에 따른 휘발을 막기 위해 제조 맨 마지막에 첨가했으며, 최종 점도가 5,000 ~ 15,000 센티 포아즈(centi Poise)가 되도록 제조했다.
바디 로션 화장료 조성물(단위; 중량%)
성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비교제형예4 비교제형예5 비교제형예6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유동파라핀 5.0 5.0 5.0 5.0 5.0 5.0 5.0
트리(카프릴, 카프린산)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5.0
세틸옥타노에이트 5.0 5.0 5.0 5.0 5.0 5.0 5.0
농글리세린 3.0 3.0 3.0 3.0 3.0 3.0 3.0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오스디스테아레이트 2.0 2.0 2.0 2.0 2.0 2.0 2.0
사이클로메치콘 2.0 2.0 2.0 2.0 2.0 2.0 2.0
디메치콘 1.0 1.0 1.0 1.0 1.0 1.0 1.0
스테아린산 0.8 0.8 0.8 0.8 0.8 0.8 0.8
세토스테아릴알코올 0.7 0.7 0.7 0.7 0.7 0.7 0.7
친유형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0.6 0.6 0.6 0.6 0.6 0.6 0.6
트리에탄올아민 0.2 0.2 0.2 0.2 0.2 0.2 0.2
카르복시비닐폴리머 0.15 0.15 0.15 0.15 0.15 0.15 0.15
에틸렌디아민테트라초산나트륨 0.02 0.02 0.02 0.02 0.02 0.02 0.02
페녹시에탄올 0.3 0.3 0.3 0.3 0.3 0.3 0.3
향료(실시예 1) 1.0 - - - - - -
향료(페퍼민트 오일) - 1.0 - - - - -
향료(레몬 오일) - - 1.0 - - - -
향료(유칼립투스 오일) - - - 1.0 - - -
향료(베르가못 오일) - - - - 1.0 - -
향료(로즈마리 오일) - - - - - 1.0 -
향료(파인 오일) - - - - - - 1.0
[시험예 1] 혈액 중 젖산 수치
본 발명에 참가한 실험 대상자는 20~30대의 여성 70명으로, 이들 70명을 각 그룹당 10명씩 총 7개의 그룹으로 나누었다.
먼저 피험자들의 건강 상태를 알아보기 위해 실험에 앞서 모든 피험자들의 체성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지연성 근육 통증이라 불리는 DOMS(delayed onset of muscle soreness)를 유발하기 전에 객관적인 피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을 채취하여 혈액젖산분석기(YSI 1500)를 통하여 젖산 수치를 측정하였다. 젖산 수치는 몸의 피로도를 나타내는 지표 물질로 피로가 심할 경우에는 젖산 수치가 높고, 피로가 적을 경우에는 젖산 수치가 낮다.
그런 다음 모든 피험자들에게 윗몸 일으키기 60회, 팔 굽혀 펴기 60회, 아령을 이용한 양팔 운동 50회를 시켜 지연성 근육 통증을 유발시킨 후에 상기 제형예 1또는 비교 제형예 1~6인 바디 로션을 나누어 주고,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씩 하지, 어깨 등 통증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단, 도포 시 마사지 효과를 최소로 하도록 했다. 바디 로션은 각 그룹마다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했다. 젖산수치의 측정은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전과 유발 직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총 5회 측정하여 각 그룹별로 평균값을 구했으며,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혈액 중 젖산 수치 (단위: mmol/L)
구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비교제형예4 비교제형예5 비교제형예6
운동 전 0.87 0.86 0.85 0.86 0.85 0.87 0.85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직후 1.30 1.50 1.71 1.52 1.64 1.65 1.70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24시간 후 1.62 1.94 1.79 2.28 1.92 2.07 1.89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48시간 후 1.24 1.88 1.52 1.90 1.39 1.74 1.64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72시간 후 0.91 1.66 1.30 2.17 1.25 1.58 1.44
상기 표 3을 보면, 근육 피로 진정 향료가 함유되어 있는 제형예 1의 젖산 수치가 비교제형예 1 ~ 비교제형예 6에 비해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72시간 후 운동 전의 상태로 확연히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2] 좌전굴 측정
시험예 1과 동일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체성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지연성 근육 통증이라 불리는 DOMS를 유발하기 전에 피로에 따른 신체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좌전굴을 측정하였다. 좌전굴은 근육이 피로할 경우 수치가 낮고, 근육이 피로하지 않을 경우에는 수치가 높다.
그런 다음 모든 피험자들에게 윗몸 일으키기 60회, 팔 굽혀 펴기 60회, 아령을 이용한 양팔 운동 50회를 시켜 지연성 근육 통증을 유발시킨 후에 바디 로션을 나누어 주고,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씩 하지, 어깨 등 통증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단, 도포 시 마사지 효과를 최소로 하도록 했다. 바디 로션은 각 그룹마다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했다. 좌전굴의 측정은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전과 유발 직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 총 5회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좌전굴은 전용 체력측정기구를 이용하였으며 매 회 2회씩 측정했고, 측정에 앞서 적응을 위해 한 번씩 연습하도록 하였다.
좌전굴 수치 (단위: cm)
구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비교제형예4 비교제형예5 비교제형예6
운동 전 17.16 15.99 18.04 16.31 19.08 18.57 17.96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직후 17.28 12.19 14.86 13.28 17.19 16.26 15.14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24시간 후 13.18 7.74 13.51 8.89 12.74 11.55 10.49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48시간 후 10.71 5.07 10.70 5.57 8.48 9.45 7.67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72시간 후 16.34 9.01 10.69 5.25 13.48 11.43 10.78
상기 표 4를 보면, 근육 피로 진정 향료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되어 있는 제형예 1의 좌전굴 수치가 비교제형예 1 ~ 비교제형예 6에 비해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72시간 후에 운동 전의 상태로 뛰어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3] 허벅지 둘레 측정
시험예 1과 동일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체성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지연성 근육 통증이라 불리는 DOMS를 유발하기 전에 피로에 따른 신체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허벅지둘레를 측정하였다. 이때 양발을 자연스럽게 벌리고 선 자세를 취하도록 한 후, 팔을 자연스럽게 늘어뜨려 중지가 닿는 부위의 둘레를 줄자로 측정하였다. 허벅지 둘레는 몸의 부종 여부를 판단하는 중요한 수치로 근육이 피로하거나 과격한 운동을 한 후에는 둘레가 길어지지만, 평상시에는 둘레가 늘어나지 않는다.
그런 다음 모든 피험자들에게 윗몸 일으키기 60회, 팔 굽혀 펴기 60회, 아령을 이용한 양팔 운동 50회를 시켜 지연성 근육 통증을 유발시킨 후에 바디 로션을 나누어 주고,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씩 하지, 어깨 등 통증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단, 도포 시 마사지 효과를 최소로 하도록 했다. 바디 로션은 각 그룹마다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했다.
허벅지 둘레의 측정은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전, 유발 직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에 총 5회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허벅지 둘레 (단위: cm)
구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비교제형예4 비교제형예5 비교제형예6
운동 전 104.70 103.59 107.00 101.51 105.81 104.48 104.98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직후 106.69 104.50 107.59 102.07 107.65 104.65 104.02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24시간 후 102.98 102.57 107.36 99.70 105.90 103.02 103.87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48시간 후 101.50 101.31 105.26 99.77 103.49 102.55 103.08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72시간 후 104.14 101.83 105.27 100.11 103.58 102.78 102.74
상기 표 5를 보면, 근육 피로 진정 향료의 화장료 조성물이 함유되어 있는 제형예 1의 허벅지 둘레가 비교제형예 1 ~ 비교제형예 6에 비해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72시간 후에 운동 전의 상태로 뛰어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4] 고관절 가동 범위 측정
시험예 1과 동일한 피실험자를 대상으로 동일한 체성분 검사를 실시하였다. 그리고 인위적으로 지연성 근육 통증이라 불리는 DOMS를 유발하기 전에 근육 피로에 따른 주요 하지 관절의 기능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고관절 가동 범위(ROM; range of motion)를 측정하였다. 피험자가 누운 자세에서 골반을 고정하고 외측 고관절 중앙선 대퇴외측 중앙선에 고니어미터(goniometer)의 한 팔을 고정시키고 고관절을 완전히 굴곡 시킨 후 각을 2번씩 측정하였다. 근육이 피로할 경우에는 고관절의 각도가 감소하지만, 근육이 피로하지 않을 경우에는 고관절의 각도가 증가한다.
그런 다음 모든 피험자들에게 윗몸 일으키기 60회, 팔 굽혀 펴기 60회, 아령을 이용한 양팔 운동 50회를 시켜 지연성 근육 통증을 유발시킨 후에 바디 로션을 나누어 주고, 아침, 저녁으로 하루에 두 번씩 하지, 어깨 등 통증 부위에 도포하도록 하였다. 단, 도포 시 마사지 효과를 최소로 하도록 했다. 바디 로션은 각 그룹마다 동일한 제품을 사용하도록 했다.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전, 유발 직후, 24시간 후, 48시간 후, 72시간 후에 총 5회 측정하였고, 그 결과를 표 6에 나타내었다.
고관절 가동 범위 (단위: 각도)
구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1 비교제형예2 비교제형예3 비교제형예4 비교제형예5 비교제형예6
운동 전 169.13 155.43 152.43 166.29 171.63 163.45 168.74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직후 164.25 147.00 128.14 150.71 154.33 144.78 146.56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24시간 후 154.88 141.14 135.43 148.71 146.00 136.23 138.74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48시간 후 148.13 142.86 145.57 129.86 150.50 140.43 145.98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72시간 후 169.08 124.14 150.12 144.43 155.75 145.65 155.65
상기 표 6을 보면, 근육 피로 진정 향료가 함유되어 있는 제형예 1의 고관절 가동 범위가 비교제형예 1 ~ 비교제형예 6에 비해 지연성 근육 통증 유발 72시간 후에 운동 전의 상태로 뛰어나게 회복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Claims (6)

  1.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의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근육 피로 진정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5~20:5~20:5~20:5~20:1~10:1~10의 혼합비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피로 진정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페퍼민트 오일, 레몬 오일, 유칼립투스 오일, 베르가못 오일, 로즈마리 오일 및 파인 오일을 중량 기준으로, 2:2:2:2:1:1의 혼합비로 혼합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피로 진정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5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피로 진정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근육 피로로 인한 근육 통증을 완화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피로 진정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에 적용가능한 화장료 조성물로 제형화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근육 피로 진정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0110072595A 2011-07-21 2011-07-21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435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95A KR101943508B1 (ko) 2011-07-21 2011-07-21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072595A KR101943508B1 (ko) 2011-07-21 2011-07-21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40A KR20130011440A (ko) 2013-01-30
KR101943508B1 true KR101943508B1 (ko) 2019-01-30

Family

ID=4784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072595A KR101943508B1 (ko) 2011-07-21 2011-07-21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350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672754B2 (en) 2020-06-16 2023-06-13 Mary Kay Inc. Cosmetic compositio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6752A3 (en) 1998-09-18 2000-06-08 Lavipharm Lab Inc Transdermal devices comprising essential oils for aromatherapy
US20050207982A1 (en) 2004-03-19 2005-09-22 Jendrucko Mary L Aromatherapy delivery system
US20090149361A1 (en) 2007-12-11 2009-06-11 Emily Kathleen Adkison Personal cleansing kit for promoting relaxation and sleep, reducing stress and decreasing muscle tightnes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80676A (ko) * 1998-04-20 1999-11-15 서경배 근육피로 진정효과가 있는 천연향료 함유 화장료 조성물
US20040018237A1 (en) 2002-05-31 2004-01-29 Perricone Nicholas V. Topical drug delivery using phosphatidylcholine
KR20050003599A (ko) * 2003-06-27 2005-01-12 윤명길 향조성물 및 이 향조성물이 함침된 물티슈
KR100625741B1 (ko) * 2004-04-30 2006-09-20 이상범 천연허브로부터 추출된 에센셜 오일을 유효성분으로함유하는 통증완화용 스프레이조성물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6752A3 (en) 1998-09-18 2000-06-08 Lavipharm Lab Inc Transdermal devices comprising essential oils for aromatherapy
US20050207982A1 (en) 2004-03-19 2005-09-22 Jendrucko Mary L Aromatherapy delivery system
US20090149361A1 (en) 2007-12-11 2009-06-11 Emily Kathleen Adkison Personal cleansing kit for promoting relaxation and sleep, reducing stress and decreasing muscle tightnes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11440A (ko) 2013-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04115B1 (en) Antipruritic compositions and compositions promoting wound healing
US20060083708A1 (en) Composition using mineral salts for cosmetic or therapeutic treatment
KR101908978B1 (ko) 스트레스 완화 및 피로 회복 효과를 갖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EP2275113A1 (en) Skin circulation-improving agent and skin temperature-elevating agent
CN106074239A (zh) 一种金银花面膜精华液及制备方法
CN110339331A (zh) 一种植物舒缓精油
KR102316168B1 (ko) 프랑킨센스오일을 포함하는 아로마 오일세럼 조성물
KR102234762B1 (ko)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787406B1 (ko) 브로멜라인, 부처브룸, 포도씨, 아르니카 및 레몬밤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07184483A (zh) 高渗透力活血通络的山茶按摩精油及其制备方法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080110054A (ko) 피부삼림욕 성분 및 이를 포함하는 스킨 케어 조성물
KR101943508B1 (ko) 근육 피로 진정 효과를 갖는 화장료 조성물
CN104644535A (zh) 洗发沐浴粉
CN110339256A (zh) 一种疼痛冷敷凝胶
CN105769619A (zh) 一种平衡油脂复方精油
CN107625666A (zh) 一种有效舒缓敏感的复方油
KR102127771B1 (ko) 한방복합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항산화, 항염증, 항노화 또는 피부진정을 위한 조성물
CN105853340A (zh) 一种护足霜及其制备方法
JPH11343497A (ja) 化粧料
CA2620242A1 (en) Topical soothing bruise healing preparation
KR20210075420A (ko) 복합 천연추출물 함유 통증완화용 조성물
KR102607583B1 (ko) 근육 피로 회복 및 근육통 완화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194637B1 (ko) 로즈마리 정유와 비자나무 잎 정유를 포함하는 향료 조성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CN113995701B (zh) 一种祛痘和消除痘印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