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776B1 -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 Google Patents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776B1
KR101942776B1 KR1020180088586A KR20180088586A KR101942776B1 KR 101942776 B1 KR101942776 B1 KR 101942776B1 KR 1020180088586 A KR1020180088586 A KR 1020180088586A KR 20180088586 A KR20180088586 A KR 20180088586A KR 101942776 B1 KR101942776 B1 KR 1019427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r
guide
guide member
portions
anchor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85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상식
Original Assignee
신상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상식 filed Critical 신상식
Priority to KR10201800885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77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7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7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32Foundations for special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SGENERATION OF ELECTRIC POWER BY CONVERSION OF INFRARED RADIATION, VISIBLE LIGHT OR ULTRAVIOLET LIGHT, e.g. USING PHOTOVOLTAIC [PV] MODULES
    • H02S20/00Supporting structures for PV modules
    • H02S20/10Supporting structures directly fixed to the groun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50Photovoltaic [PV] energy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타격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뾰족한 선단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 고정되어 앵커부재를 변형시켜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안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변형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앵커부재를 "ㄴ"형태로 변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재는 복수 개의 앵커부들과, 상기 앵커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앵커부재가 굽혀져 상기 본체부재의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해, 지반에 관입 설치된 상태에서 보다 큰 지내력으로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말뚝을 정해진 위치에 신뢰성 있게 관입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과정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SPIRAL TYPE POST FOR SUNLIGHT GENERATION STRUCTURE}
본 발명은 태양광 구조물 또는 기타의 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지지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해진 지반 위치에 신뢰성 있게 고정 설치가 가능하면서도 지내력을 증대시키도록 구성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에 관한 발명이다.
최근 태양광 발전 구조물을 비롯한 풍력발전기 또는 조류발전기와 같은 친환경적인 발전 설비들이 연약지반 상에 구축되는 경우가 많아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상기와 같은 설비들을 구축하는데 이용되는 기초 구조물들은 지중에 매설되는 말뚝 상에 축조된다.
상기와 같은 구조물의 지지를 위한 말뚝으로서 다양한 종류가 개시되어 있으며, 그 한 종류로서 스파이럴 파일(말뚝)이 공지되어 있다.
그런데, 스파이럴 말뚝이 연약지반에 관입 설치된 상태에서는 조류와 바람 으로 인한 인발력이 작용하게 되고, 장기간의 경과 후 상기 말뚝과 지반의 결합력이 약해지는 경우에는 구조물의 안전을 저해하거나 심지어 붕괴를 초래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상기 스파이럴 말뚝의 관입 깊이를 증가시키거나 말뚝의 설치 갯수를 늘려야 하는데, 구조물의 설치 현장 상황에 따라서는 상기 말뚝의 관입 깊이 증대가 지극히 어려운 경우도 있다.
이러한 점은 결국 시공 기간과 비용의 비약적 상승 요인이 된다.
또한, 지반에 관입되는 말뚝은 소정의 설계 위치에 관입 고정되어야 하며, 말뚝의 위치가 변경되거나 관입 과정에서 파손이 발생될 경우에는 소정의 설계 지지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지반에 관입 설치되는 경우, 보다 큰 지내력을 발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말뚝을 정해진 위치에 신뢰성 있게 관입 설치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타격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뾰족한 선단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 고정되어 앵커부재를 변형시켜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안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변형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앵커부재를 "ㄴ"형태로 변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재는 복수 개의 앵커부들과, 상기 앵커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앵커부재가 굽혀져 상기 본체부재의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안내부재는 복수의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내부는 중심안내부와 상기 중심안내부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안내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안내부들의 하부 사이의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상기 앵커부가 변형되는 때에 인접하는 앵커부들이 서로 겹쳐져 배치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본체부재의 내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앵커부재에는 평면 상 네 방향으로 중심앵커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앵커부의 양 측부에 측부앵커부가 배치되며, 상기 중심앵커부는 평면 상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앵커부의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관통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관통개구 부분에는 상기 안내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기키 위한 관통개구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앵커부의 표면에는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방향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앵커부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되, 측단면 상 만곡된 곡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본체부재 내면에는 안내오목부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에는 안내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오목부 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측부앵커부는 상기 중심앵커부에 결합되어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상기 측부앵커부가 상기 중심앵커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안내부재의 내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안내부재의 내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상기 안내부재 내부에는 합성수지재의 완충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완충부재 내부에는 불연속적인 개구부가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지반에 관입 설치된 상태에서 보다 큰 지내력으로 태양광 구조물을 지지할 수 있으므로, 구조물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말뚝을 정해진 위치에 신뢰성 있게 관입 설치할 수 있으며, 설치 과정에서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첨부의 하기 도면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은 하기 도면에 도시된 사항에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의 측면도(a, b)와 평면도(b, b-1)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의 측면도(a, b)와 평면도(a-1)이며,
도 3 은 상기 지지체에서 앵커부재가 변형되기 전의 측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지지체에서 앵커부재가 변형된 후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지지체에서 앵커부재가 변형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지지체의 평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지지체에서 앵커부재가 변형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지지체에 포함되는 안내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앵커부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부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는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자신의 발명을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히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 및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표현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존재할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의 측면도(a, b)와 평면도(b, b-1)이며, 도 2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의 측면도(a, b)와 평면도(a-1)이며, 도 3 은 상기 지지체에서 앵커부재가 변형되기 전의 측면도이며, 도 4 는 상기 지지체에서 앵커부재가 변형된 후의 측면도이며, 도 5 는 상기 지지체에서 앵커부재가 변형된 상태의 평면도이며, 도 6 은 상기 지지체의 평면도이며, 도 7 은 상기 지지체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8 은 상기 지지체에서 앵커부재가 변형된 상태의 사시도이며, 도 9 는 상기 지지체에 포함되는 안내부재의 사시도이며, 도 10 은 앵커부의 사시도이며, 도 11 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앵커부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는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타격부(2)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뾰족한 선단부(4)가 형성되는 본체부재(10)와, 상기 본체부재(10) 내부에 고정되어 앵커부재(50)를 변형시켜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안내부재(30)와, 상기 본체부재(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안내부재(30)에 의해 변형되는 앵커부재(50)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30)는 상기 앵커부재(50)를 "ㄴ"형태로 변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재(50)는 복수 개의 앵커부들(52)과, 상기 앵커부(5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부(54)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부재(50)는 상기 본체부재(10) 내부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30)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재(30)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앵커부재(30)가 굽혀져 상기 본체부재(10)의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체부재(10)는 금속재 강으로 형성되되, 내부에는 상기 안내부재(30)와 앵커부재(50)를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된다.
상기 본체부재(10)의 상단부에는 유압 해머 등으로 타격하여 누르는 힘을 가하기 위한 타격부(2)가 형성되고, 그 하단부에는 뾰족한 선단부(4)가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타격부(2)를 타격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재(10)가 지중의 일정 깊이에 관입 설치된다.
상기 앵커부재(50)는 상기 본체부재(10) 내부에 배치되며, 복수 개의 앵커부(52)들과 상기 앵커부(52)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부(54)를 포함한다.
상기 앵커부재(50)는 상기 본체부재(10) 내부에 배치된 상태에서, 유압 해머 등에 의해 작용되는 압력이 상기 가압부(54)에 작용되어 하방으로 이동된다.
상기 안내부재(30)는 전체적으로 "ㄴ" 형태로 형성된 상태에서, 상기 본체부재(10) 내부에 고정 설치되며, 바람직하게는 용접 방식에 의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앵커부(52)의 하단부는 애초 상기 안내부재(30) 내부에 배치된 상태가 되며, 상기 가압부(54)에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앵커부(52)가 하방으로 이동되는 과정에서 상기 안내부재(30)를 통과하도록 구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앵커부(52)가 상기 안내부재(30)에 의해 "ㄴ" 형태로 변형되어, 도 1(b)에서와 같이 상기 본체부재(10)의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나간다.
상기 본체부재(10)의 내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으로서는 합성수지재 층 또는 금속재 층이 이용될 수 있으며, 상기 합성수지재 층 또는 금속재 층이 상기 본체부재(10)의 내면에 매끄럽게 도포되어 코팅층을 형성함으로써, 상기 본체부재(10) 내면과 상기 가압부(54)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켜, 상기 앵커부재(50)가 보다 원활히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코팅층으로 이용될 수 있는 합성수지재 층은 테프론 코팅층이 이용될 수 있으며, 금속재 층으로서는 구리합금 코팅층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형성이 용이하도록 상기 본체부재(10)의 선단부(4) 부근에는 개구(6)가 형성된다.
상기 코팅층으로서 금속재 코팅층이 이용될 경우에는, 도금 방식으로 상기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는데, 상기 선단부(4) 부근에 상기 개구(6)를 형성함으로써 도금액의 유동성을 증대시켜, 코팅층이 보다 원활히 형성될 수 있도록 하여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도 6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부재(10) 내면에는 상기 가압부(54)를 슬라이딩 안내하기 위한 안내오목부(12)가 복수 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압부(54)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안내오목부(12)에 부합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안내돌출부(542)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가압부(54)에 압력을 작용시키는 경우, 상기 가압부(54)에 형성되는 안내돌출부(542)가 상기 안내오목부(12) 내에서 하방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므로, 상기 앵커부(52)들의 위치가 흐트러지지 않고 하방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가압부(54) 타격 과정에서 작용되는 압력에 의해 상기 앵커부(52)들이 회전되거나, 평면도를 기준으로 한 본래의 위치로부터 방사상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여, 상기 앵커부(52)들이 소정의 위치에 신뢰성 있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안내오목부(12) 내에는 상기 안내돌출부(542)와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오목부(1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122)에 의해 상기 안내돌출부(542)와 상기 안내오목부(12) 사이의 접촉 면적을 최소화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안내오목부(12)를 통해 상기 안내돌출부(542)가 형성된 가압부(54)를 하방으로 곧게 안내하면서도, 상기 오목부(122)에 의해 보다 작은 마찰력이 작용되도록 하여 원활히 하방으로 이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 내지9 에 도시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서는, 상기 안내부재(30)는 복수의 안내부(302, 304, 306)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내부는 중심안내부(304)와 상기 중심안내부(304)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안내부(302, 306)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앵커부재(50)에는 평면 상 네 방향으로 중심앵커부(524)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앵커부(524)의 양 측부에 측부앵커부(522, 526)가 배치된다.
상기 측부앵커부(522, 526)는 상기 중심앵커부(524)에 애초 접합된 상태로 상기 본체부재(10)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재(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측부앵커부(522, 526)들이 상기 중심앵커부(524)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중심앵커부(524)들은 평면 상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중심앵커부(524)는 상기 중심안내부(304)로 진입되고, 측부앵커부(522, 526)들은 측부안내부(302, 306)로 진입되도록 구성된다.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중심안내부(304)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안내부(302, 306)들의 하부 사이의 각도(a)는 둔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30)에 의해 상기 앵커부(522, 524, 526)들이 본체부재(10)의 방사상으로 돌출되는 때에, 도 5 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평면도를 기준으로 측부앵커부(522, 526)들 사이의 각도(a) 역시 둔각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평면 상 네 방향으로 중심앵커부(524)가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엥커부(524)의 양 측부에 각각 측부앵커부(522, 526)들이 배치되므로, 상기 앵커부들이 본체부재(10)의 방사상 방향으로 돌출되는 때에는 인접하는 측부앵커부(522, 526)들이 서로 겹쳐져 배치된다.
상기와 같이 앵커부(522, 526)들이 서로 겹쳐진 상태로 지중에 관입되는 경우에는 앵커부들이 상호 간섭되므로, 각 앵커부들이 서로 이격되어 지중에 관입되는 경우보다 큰 지내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조류 또는 바람에 의해 불규칙적인 방향으로 상기 앵커부들에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앵커부들이 서로 간섭된 상태로 하중에 대한 저항력을 제공하므로, 본원발명에 따른 지지체의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본체부재(10)의 내면과 같이 상기 안내부재(30)의 내면에도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합성수지재 코팅층이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9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의 내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붉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에 의해 상기 안내부재 내면과 앵커부 사이의 접촉 면적을 미시적으로 감소시켜, 앵커부와 안내부재(30) 내면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리하여, 상기 앵커부(52)가 보다 원활히 상기 안내부재(30)를 통과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상기 안내부재(30)와 앵커부(52) 사이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상기 안내부재(30) 내부에 합성수지재의 완충부재(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70)는 예를 들어 합성수지재 테이프의 형태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는 불연속적인 개구부(74)가 형성되어, 상기 완충부재(70)와 앵커부(52) 표면의 접촉면적을 감소시켜 결과적으로 마찰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70)는 예를 들어 PET 소재와 같은 매끄러운 표면을 갖는 합성수지재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완충부재(70)의 작용에 의해 상기 앵커부(52)가 안내부재(30) 내면과 접촉되는 때에 상기 두 구성의 표면 손상을 방지하고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앵커부(52)와 안내부재(30) 내면 간의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해, 도 7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부(52)의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는 예를 들어, 샌드 블러스트 공정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샌드 블러스트 공정은 경도가 높은 모래 입자 또는 금속 입자를 상기 앵커부(52)의 표면에 분사하는 방식으로서, 이에 의해 상기 앵커부(52)의 표면에 미세한 오목부들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는 도 11 에 도시된 나선방향오목부(58)와는 구분되는 구성으로서, 상기 미세한 오목부들에 의해 결국 상기 앵커부(52) 표면과 안내부재(30) 내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미시적으로 감소시켜, 작용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해, 도 10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부(52)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관통개구(57)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앵커부(52)의 표면에서 상기 관통개구(57) 부분에 관통개구오목부(59)를 형성하여, 상기 안내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도 11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부(52)의 표면에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방향오목부(58)가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하여, 상기 나선방향오목부(59)에 의해서도 상기 앵커부(52)와 안내부재 표면 간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작용되는 마찰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앵커부(52)가 지중에 관입된 상태에서는, 상기 관통개국(57)와 관통개구오목부(59) 및 나선방향오목부(59)에 지중의 모래 또는 뻘 등이 침입되므로, 상기 모래 또는 뻘과의 접촉 면적을 전체적으로 증대시켜 보다 큰 지내력을 발휘할 수 있다.
한편, 도 4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앵커부(52)의 단부(528)는 뾰족하게 형성되되, 측단면 상 만곡된 곡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그리하여, 상기 앵커부(52)가 상기 안내부재(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상기 단부(528)와 안내부재(30) 내면 사이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켜 원활히 슬라이딩되도록 하면서도, 상기 단부(528)에 의해 안내부재(30) 내면에 작용되는 압력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러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하기 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 실시가 가능할 것이다.
10: 본체부재
30: 안내부재
50: 앵커부재
70: 완충부재

Claims (18)

  1.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며, 상단부에는 타격부가 형성되고, 하단부에는 뾰족한 선단부가 형성되는 본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 고정되어 앵커부재를 변형시켜 진행 방향을 변화시키기 위한 안내부재와;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변형되는 앵커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안내부재는 상기 앵커부재를 "ㄴ"형태로 변형하도록 형성되며,
    상기 앵커부재는 복수 개의 앵커부들과, 상기 앵커부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가압부를 포함하며,
    상기 앵커부재는 상기 본체부재 내부에서 하방으로 이동되는 동안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안내부재를 통과하는 동안 상기 앵커부재가 굽혀져 상기 본체부재의 방사상 방향으로 뻗어나가도록 구성되고,
    상기 안내부재는 복수의 안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안내부는 중심안내부와 상기 중심안내부의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안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2. 제 1 항에 있어서,
    평면도를 기준으로 상기 양 측부에 형성되는 측부안내부들의 하부 사이의 각도는 둔각으로 형성되어,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상기 앵커부가 변형되는 때에 인접하는 앵커부들이 서로 겹쳐져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의 내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며, 상기 선단부에는 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재에는 평면 상 네 방향으로 중심앵커부가 배치되고, 상기 중심앵커부의 양 측부에 측부앵커부가 배치되며, 상기 중심앵커부는 평면 상 등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의 표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에는 내부를 관통하여 경사지게 형성되는 관통개구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개구 부분에는 상기 안내부재와의 접촉 면적을 감소시기키 위한 관통개구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의 표면에는 나선 방향으로 형성되는 나선방향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부의 단부는 뾰족하게 형성되되, 측단면 상 만곡된 곡면의 단면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부재 내면에는 안내오목부가 복수 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압부는 원판형으로 형성되되, 상기 가압부에는 안내돌출부가 외측으로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오목부 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3.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측부앵커부는 상기 중심앵커부에 결합되어 배치되며, 상기 안내부재에 의해 상기 측부앵커부가 상기 중심앵커부로부터 분리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내면에는 마찰력을 감소시키기 위한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의 내면에는 불규칙적인 미세한 오목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안내부재 내부에는 합성수지재의 완충부재가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부재 내부에는 불연속적인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18. 삭제
KR1020180088586A 2018-07-30 2018-07-30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KR1019427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86A KR101942776B1 (ko) 2018-07-30 2018-07-30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8586A KR101942776B1 (ko) 2018-07-30 2018-07-30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776B1 true KR101942776B1 (ko) 2019-04-17

Family

ID=66281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8586A KR101942776B1 (ko) 2018-07-30 2018-07-30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77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487A (ko) * 2001-07-09 2003-01-23 금호엔지니어링 (주) 어스 앵커 공법 및 이에 적합한 강선 가이드
JP2007262686A (ja) * 2006-03-27 2007-10-11 Ana-Tec:Kk 杭構造体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05487A (ko) * 2001-07-09 2003-01-23 금호엔지니어링 (주) 어스 앵커 공법 및 이에 적합한 강선 가이드
JP2007262686A (ja) * 2006-03-27 2007-10-11 Ana-Tec:Kk 杭構造体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6513B2 (en) Helical screw pile and soil displacement device with curved blades
EP2662497A1 (en) Wind turbine foundation
CN109555137A (zh) 一种高陡边坡联合支挡结构及其施工方法
US20230097145A1 (en) Multi-stage control negative Poisson self-expanding anchor apparatus
CN106498944A (zh) 结构得到改善的永久锚固施工方法用前端锚固锚
JPS62501087A (ja) コンダクターパイプのための打ち込みシュー
KR101942776B1 (ko) 태양광 구조물 지지용 스파이럴 형태의 지지체
KR20130032654A (ko) 합성 목재 지지 보강 및 하중분배 보강 구조체
CN105604068B (zh) 基坑工程锯齿式预应力围檩及其施工方法
JP2003003465A (ja) テーパー基礎杭
KR101145429B1 (ko) 앵커볼트
JP3170756B1 (ja) ねじ込み式鋼管杭及びその施工方法
CN204530723U (zh) 一种用于方坑的基坑支护结构
CN110886291B (zh) 一种珊瑚沙环境下的桩结构及施工方法
JP6586873B2 (ja) 地盤安定構造及び地盤安定工法
KR101624897B1 (ko) 기초파일
KR101961650B1 (ko) 건축공사용 부력에 따른 인발 저항 말뚝 구조
CN104294838A (zh) 一种高压输电线路铁塔桩基结构
CN108442383A (zh) 桩顶支撑结构及基坑支护体系
KR102259937B1 (ko) 관입성 향상 헬리컬 파일
KR101398910B1 (ko) 선단확장형 파일
JP5416051B2 (ja) アンカー
KR101181543B1 (ko)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JP6631189B2 (ja) 地盤安定構造
US4283162A (en) Piling anchor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