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81543B1 -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 Google Patents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81543B1
KR101181543B1 KR1020110139153A KR20110139153A KR101181543B1 KR 101181543 B1 KR101181543 B1 KR 101181543B1 KR 1020110139153 A KR1020110139153 A KR 1020110139153A KR 20110139153 A KR20110139153 A KR 20110139153A KR 101181543 B1 KR101181543 B1 KR 10118154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ture
pile
tip member
tip
sto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39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규철
Original Assignee
황규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황규철 filed Critical 황규철
Priority to KR1020110139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8154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815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8154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7/00Foundations as substructures
    • E02D27/10Deep foundations
    • E02D27/12Pile found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46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in situ by forcing bonding agents into gravel fillings or the soil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6Screw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4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resilient or elastic
    • E02D2200/146Spr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200/00Geometrical or physical properties
    • E02D2200/16Shapes
    • E02D2200/1692Shapes conical or conv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선단지지력을 보다 확실하게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주면마찰력의 강화를 함께 꾀할 수 있는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에 관한 것으로서,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는 장봉의 파일체와, 상기 파일체의 선단면을 밑면으로 하고, 상면이 상기 파일체의 선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선단부재와, 각각이 독립된 복수의 고정부재로서 원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각각이 방사상으로 면접하면서 결합되고,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선단부재의 외경면에 면접하도록 상기 선단부재가 상부에서 쐐기 결합되며, 상기 선단부재의 하강시 각각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각각의 외주면이 상기 천공홀의 내주면을 압박하여 고정되는 지압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MICROPILE COMPRISING FUNCTION OF COMPRESSION AND INFLATION FOR ENDS}
본 발명은 구조물이 설치되는 지반의 기초를 지지하기 위해 소정 깊이로 천공하여 그라우팅과 함께 말뚝으로 사용하기 위한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기초 지반의 지지력은 지반의 강도와 기초의 크기 및 기초의 근입 등에 의해 결정되는데 지반의 강도가 부족한 경우 기초의 근입을 늘이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나, 기초에 전달되는 하중이 대단히 큰 경우에는 기초의 근입이 상당히 늘어나야 하므로 그에 따라 기초 전체를 깊게 근입해야 하는데 이는 시공 코스트(cost)의 상승을 가져온다.
따라서, 이 경우 강성이 큰 스틸이나 콘크리트, 목재 등을 지층 깊숙히 관입하여 단단한 심층에서 기초가 지지 되도록 하는 말뚝공법을 사용한다. 말뚝 공법은 중간 토층에서의 관입이 용이해야 하고, 말뚝 선단부의 지지력이 확실해야 한다.
그러나, 하천 인접유역과 같은 지역에서는 타격에 의한 말뚝 근입이 불가능하고, 세굴작용이 발생하므로 오거장비 등을 이용하여 미리 천공을 한 후, 현장에서 콘크리트를 치는 현장 말뚝 공법을 사용한다. 이러한 현장 말뚝 공법 중 연약지반에 사용되는 마이크로파일 공법이 있다.
마이크로파일(Micro Pile)이란 소규모의 천공장비(crawler drill) 등을 이용하여 지반에 소정의 깊이까지 천공한 후 파일 및 철근을 조립, 설치한 후 펌프를 이용하여 저압(7~20 Bar)으로 그라우팅을 실시하여 설치하는 소구경 현장타설 말뚝을 말한다.
상기와 같은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시공방법은 일반 말뚝보다 주면마찰에 의한 지지력이 증대되고, 실제 천공경 보다 큰 주변의 마찰 저항 효과를 얻게 된다. 아울러 선단부에도 확실한 지지 효과가 있으므로 지지력도 증가하게 된다.
이와 같은 특성상 마이크로파일은 점성토보다 마찰저항이 큰 사질토 지반에서 설치되는 것이 시공효과가 우수하다. 또한, 소규모 천공장비를 사용함으로써 타입시공이나 대구경 천공말뚝에 비해 진동 및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어 도심지 기초 말뚝 또는 공장지역 기초말뚝으로서 활용도가 높으며, 연약지반에서의 시공이 용이한 이점이 있다.
도 1 내지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파일(30)을 이용한 시공과정을 도시한 측면도로서, 도 1은 지반(10)의 드릴 천공 및 케이싱(20) 삽입과정이고, 도 2는 마이크로파일(30)의 삽입 설치과정이며, 도 3은 케이싱(20) 제거 및 그라우팅(40) 과정이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3의 그라우팅(40) 과정 후 지반으로 돌출된 마이크로파일(30)을 상부고정부(미도시)를 통해 고정하고, 기초 콘크리트 양생을 통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단순한 마이크로파일(30)은 선단면적에 비해 비교적 지반 침하량이 크게 나타나 선단지지력이 약하고, 기초지반이 이완되어 말뚝 주변의 마찰이 크게 감소한다. 말뚝 주변의 마찰이 감소하면 주면마찰력이 부족하게 되어 말뚝 본래의 강도를 충분히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즉, 종래의 단순한 마이크로파일(30)만으로는 선단지지력과 주면마찰력이 연약지반의 경우 쉽게 약해진다는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이러한 종래의 마이크로파일(30)에 대한 선단지지력을 강화시키기 위해 마이크로파일(30)의 선단부에 마이크로파일(30)의 직경보다는 넓고, 지반(10)의 천공홀(11) 직경보다는 작은 원형 플레이트를 구비한 마이크로파일(30)에 관한 기술(등록특허공보 제10-0666678호)도 있다. 즉, 마이크로파일(30)의 선단면에 직경이 큰 원형 플레이트를 통해 선단지지력을 강화시키고자 하는 것이다.
그러나, 상기 원형 플레이트를 구비한 마이크로파일(30)의 경우에도 다소나마 선단지지력은 강화될지라도 주면마찰력의 강화를 꾀할 수는 없고, 더욱이 원형 플레이트가 지반(10)의 천공홀(11) 직경보다는 작게 형성되므로 선단면과 접촉되는 천공홀(11) 바닥의 지면 형상에 따라 선단지지력이 제대로 작용하지 못할 염려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단지지력을 보다 확실하게 강화할 수 있음은 물론, 주면마찰력의 강화를 함께 꾀할 수 있는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은,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는 장봉의 파일체와, 상기 파일체의 선단면을 밑면으로 하고, 상면이 상기 파일체의 선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선단부재와, 각각이 독립된 복수의 고정부재로서 원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각각이 방사상으로 면접하면서 결합되고,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선단부재의 외경면에 면접하도록 상기 선단부재가 상부에서 쐐기 결합되며, 상기 선단부재의 하강시 각각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각각의 외주면이 상기 천공홀의 내주면을 압박하여 고정되는 지압고정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파일체는,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는, 상단부 내경면을 따라 상기 파일체의 돌기와 형합되는 환형의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 외경면을 따라 환형의 링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의 링결합홈에 탄성적으로 압박 결합되는 환형의 고무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지압고정구에 쐐기 결합된 상기 선단부재의 원뿔대 형상의 상면이 상기 지압고정구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까지만 하강하도록 상기 파일체의 선단면으로부터 상방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의 상단에 접촉하여 상기 선단부재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1 스톱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제1 스톱퍼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파일체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스톱퍼와, 상기 제1 스톱퍼 및 제2 스톱퍼 사이에 탄력 지지되고, 상기 파일체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천공홀의 직경보다 작은 압축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은, 복수의 고정부재로 이루어진 지압고정구가 파일체의 선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선단부재와 쐐기 결합되면서 선단부재의 하강시 벌어져 지반의 천공홀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됨과 동시에 선단면적을 최대한 확장하여 쐐기수평력과 벽면마찰력에 의한 선단지지력 및 주면마찰력의 강화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스톱퍼 및 제2 스톱퍼 사이에 탄력 지지된 압축코일스프링에 의하여 그라우팅 작업 후 기초 지반에 가해지는 수직력을 분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라우팅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의 개재로 인한 주면마찰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도 1 내지 3은 종래 기술에 따른 마이크로파일을 이용한 시공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의 일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5는 도 4의 실시예의 분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측단면도이며,
도 7은 도 6의 실시예에서 선단부재의 하강 상태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실시예에서 지압고정구가 받는 힘의 상태를 도시한 요부 측단면도이며,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측면도이고,
도 10 내지 13은 도 9의 실시예를 이용한 시공과정을 도시한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은,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체(100), 선단부재(200), 지압고정구(3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고무링(400) 및 제1 스톱퍼(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스톱퍼(600) 및 압축코일스프링(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압고정구(300)는 복수의 고정부재(310)로 구성되고, 각각이 돌기홈(320) 및 링결합홈(330)이 형성된다.
파일체(100)는 도 4 내지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장봉의 형상으로 지반(10)의 천공홀(11)에 삽입된다. 파일체(100)는 종래의 일반적인 마이크로파일과 동일한 몸체를 가지는데, 외주면이 매끈한 것과 외주면에 스크류가 형성된 것이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체(100)의 외주면에 스크류를 형성하는 것은 도 13의 그라우팅 작업시 그라우팅(40)과의 접촉면적을 늘여 주면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천공홀(11)의 깊이가 깊은 경우 파일체(100)를 복수로 직렬 연결할 수 있으며, 도면에 도시되지 않았으나 파일체(100)의 직렬 연결시 상호 간에 커플링(미도시)을 통해 결합된다.
선단부재(200)는 도 5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뿔대 형상으로 상기 파일체(100)의 선단면을 밑면으로 하고, 상면이 상기 파일체(100)의 선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다. 원뿔대란 원뿔을 밑면에 평행하는 평면으로 잘랐을 때, 꼭짓점이 있는 위쪽을 뺀 나머지 부분으로 이루어진 입체형상으로서, 선단부재(200)의 형상이 이러한 원뿔대 형상을 가진다. 이때, 파일체(100)의 선단면을 선단부재(200)의 원뿔대 형상에서 밑면으로 하므로 상면은 파일체(100)의 선단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형성된다. 선단부재(200)의 측면은 당연히 경사면이 형성되고, 후술할 지압고정구(300)의 내측에 삽입되어 상기 선단부재(200)의 측면은 슬라이딩하는 면이 된다.
지압고정구(300)는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각이 독립된 복수의 고정부재(310)로서 원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각각이 방사상으로 면접하면서 결합되고,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선단부재(200)의 외경면에 면접하도록 상기 선단부재가 상부에서 쐐기 결합되며, 상기 선단부재(200)의 하강시 각각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각각의 외주면이 상기 천공홀(11)의 내주면을 압박하여 고정된다. 지압고정구(3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3개의 고정부재(310)로 이루어질 수 있고, 이때 각각의 고정부재(310)는 120도 간격으로 상호 간 결합하여 원기둥 형상을 이룬다. 또한, 지압고정구(300)의 상부로 선단부재(200)가 쐐기 결합되는데, 선단부재(200)의 외경면이 상기 각각의 고정부재(310)의 내측면에 면접하도록 삽입된다. 지압고정구(300)의 경우 복수의 고정부재(310)가 각각 독립된 개체로 이루어지므로 선단부재(200)가 하강하게 되면 고정부재(310) 각각이 방사상으로 벌어지게 된다. 즉, 선단부재(200)의 하강은 고정부재(310)의 원주방향으로의 팽창을 의미한다.
지압고정구(300)가 선단부재(200)에 쐐기 결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서,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파일체(100)는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돌기(110)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300)는 상단부 내경면을 따라 상기 파일체(100)의 돌기와 형합되는 환형의 돌기홈(320)이 형성된다. 즉, 선단부재(200)는 파일체(100)의 선단면으로부터 돌출 형성되어 있어 하나의 몸체로서 기능하므로 지압고정구(300)가 파일체(100)에 결합되어 있다 하더라도 선단부재(200)에 결합된 것과 동일하게 고정될 수 있다. 이 경우 파일체(100)의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돌기(110)가 지압고정구(300)의 상단부 내경면을 따라 형성된 환형의 돌기홈(320)에 형합되어 도 4 및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체(100), 선단부재(200) 및 지압고정구(300)가 결합된다. 다만, 지압고정구(300)는 복수의 독립된 고정부재(310)로 이루어지므로 고정부재(310)가 면접한 상태로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해야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지압고정구(300)는 도 4 내지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단부 외경면을 따라 환형의 링결합홈(330)이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300)의 링결합홈(330)에 탄성적으로 압박 결합되는 환형의 고무링(400)이 설치된다. 즉, 지압고정구(300)를 이루는 각각의 고정부재(310)가 서로 이탈되지 않도록 고무링(400)이 링결합홈(330)에 탄성적으로 압박 결합되어 있어 각각의 고정부재(310)는 고무링(400)의 탄성력에 의해 상호 면접한 채 고정 결합되는 것이다.
상기의 구성을 통하여 파일체(100), 선단부재(200) 및 지압고정구(300)는 각각이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고무링(400)을 통해 압박 고정되고, 이때 파일체(100)를 지반의 천공홀(11)의 바닥면에 상기 지압고정구(300)의 바닥면이 접촉하도록 천공홀(11)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파일체(100)를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게 되면 도 7 및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단부재(200)가 지압고정구(300)의 내주면을 따라 하강하게 되고, 지압고정구(300)를 이루는 각각의 고정부재(310)는 원주방향으로 벌어지면서 천공홀(11)의 내주면에 접촉하여 압박 고정되는 것이다. 이를 통하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압고정구(300)의 바닥면이 확장되면서 파일체(100)의 선단지지력 강화를 극대화시킬 수 있고, 더욱이 원주방향으로의 쐐기수평력이 더해져 선단지지력의 축방향과 함께 원주방향으로 압력을 분산시켜 더 큰 압력에도 견딜 수 있는 선단지지력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선단부재(200)가 지압고정구(300)로부터 하강시 상기 지압고정구(300)의 바닥면으로부터 선단부재(200)의 하방을 향한 상면이 돌출되기보다는 지압고정구(300)의 바닥면과 선단부재(200)의 상면이 동일 평면상에 놓이게 된다면 최종 선단면의 단면적 확보에 있어서도 좋을 것이다. 이를 위하여, 도 4 내지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지압고정구(300)에 쐐기 결합된 상기 선단부재(200)의 원뿔대 형상의 상면이 상기 지압고정구(300)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까지만 하강하도록 상기 파일체(100)의 선단면으로부터 상방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300)의 상단에 접촉하여 상기 선단부재(200)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1 스톱퍼(500)를 설치한다.
또한, 파일체(100)의 외주면에 스크류를 형성하여 그라우팅 작업시 그라우팅(40)과의 주면마찰력을 높이기 위한 또 다른 방편으로,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스톱퍼(500)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파일체(100)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스톱퍼(600)와, 상기 제1 스톱퍼(500) 및 제2 스톱퍼(600) 사이에 탄력 지지되고, 상기 파일체(100)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천공홀(11)의 직경보다 작은 압축코일스프링(70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압축코일스프링(700)의 경우 파일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와 함께 그라우팅 작업시 그라우팅(40)과의 접촉면적을 더욱 확장하여 주면마찰력을 강화시킴은 물론이거니와, 그라우팅 작업 이후 파일체(100)에 수직방향으로 압력이 작용시 압축코일스프링(700)의 스프링력으로 댐퍼로서 작용하면서 수직방향의 압력을 그라우팅(40)으로 분산시키는 기능도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파일의 시공과정을 도 10 내지 14를 참고하여 살펴본다.
먼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초를 다지고자 하는 지반(10)에 천공장비를 이용하여 소정의 깊이까지 천공홀(11)을 천공하면서, 경질의 정착부(rock부)를 제외한 연질의 비정착부(soil부)에 케이싱(20)을 설치한다.
다음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체(100) 및 선단부재(200)에 지압고정구(300)를 고무링(400)을 이용하여 결합 고정한 후 상기 천공홀(11)의 바닥면까지 상기 지압고정구(300)의 바닥면이 닿을 때까지 삽입한다.
그 다음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파일체(100)를 하방으로 압력을 가하여 지압고정구(300)를 이루는 각각의 고정부재(310)가 원주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선단부재(200)를 하강시킨다. 이때, 제1 스톱퍼(500)가 지압고정구(300)의 상면에 접촉하여 선단부재(200)의 하강길이를 제한하고, 선단부재(200)의 원뿔대 형상의 상면이 천공홀(11)의 바닥면에 접촉하게 된다. 지압고정구(300)의 고정부재(310) 각각의 외주면은 천공홀(11)의 내주면에 접촉 압박되면서 고정되고, 지압고정구(300)의 바닥면은 확장되어 천공홀(11)의 바닥면과 넓은 면적으로 지지된다. 그에 따라 선단지지력의 극대화를 이루어낼 수 있다.
마지막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11)에 그라우팅(40)을 주입하하고, 이때 파일체(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스크류와 그라우팅(40)과의 주면마찰력과 함께 제1 스톱퍼(500) 및 제2 스톱퍼(600) 사이에 탄성 지지된 압축코일스프링(700)을 통하여 주면마찰력의 극대화를 꾀할 수 있다.
물론,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도 13의 그라우팅(40) 주입 후 지반(10)으로 돌출된 파일체(100)의 상단을 상부고정부(미도시)를 통해 고정하고, 기초 콘크리트 양생을 통하여 작업을 완료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은, 복수의 고정부재(310)로 이루어진 지압고정구(300)가 파일체(100)의 선단면에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선단부재(200)와 쐐기 결합되면서 선단부재(200)의 하강시 벌어져 지반(10)의 천공홀(11) 바닥면에 완전히 밀착됨과 동시에 선단면적을 최대한 확장하여 쐐기수평력과 벽면마찰력에 의한 선단지지력 및 주면마찰력의 강화를 더욱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제1 스톱퍼(500) 및 제2 스톱퍼(600) 사이에 탄력 지지된 압축코일스프링(700)에 의하여 그라우팅(40) 주입 후 기초 지반에 가해지는 수직력을 분산시킬 수 있음은 물론, 그라우팅(40) 사이에 압축코일스프링(700)의 개재로 인한 주면마찰력을 더욱 극대화시킬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10 : 지반 11 : 천공홀
20 : 케이싱
30 : 마이크로파일
40 : 그라우팅
100 : 파일체 110 : 돌기
200 : 선단부재
300 : 지압고정구 310 : 고정부재
320 : 돌기홈 330 : 링결합홈
400 : 고무링
500 : 제1 스톱퍼
600 : 제2 스톱퍼
700 : 압축코일스프링

Claims (4)

  1. 지반의 천공홀에 삽입되는 장봉의 파일체와,
    상기 파일체의 선단면을 밑면으로 하고, 상면이 상기 파일체의 선단으로부터 돌출 형성된 원뿔대 형상의 선단부재와,
    각각이 독립된 복수의 고정부재로서 원기둥 형상을 가지도록 각각이 방사상으로 면접하면서 결합되고, 각각의 내측면이 상기 선단부재의 외경면에 면접하도록 상기 선단부재가 상부에서 쐐기 결합되며, 상기 선단부재의 하강시 각각이 방사상으로 벌어지면서 각각의 외주면이 상기 천공홀의 내주면을 압박하여 고정되는 지압고정구를 포함하고,
    상기 파일체는,
    선단부 외주면을 따라 환형의 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는,
    상단부의 내경면을 따라 상기 파일체의 돌기와 형합되는 환형의 돌기홈이 형성되며, 상기 상단부의 외경면을 따라 환형의 링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의 링결합홈에 탄성적으로 압박 결합되는 환형의 고무링과,
    상기 지압고정구에 쐐기 결합된 상기 선단부재의 원뿔대 형상의 상면이 상기 지압고정구의 바닥면과 동일한 평면까지만 하강하도록 상기 파일체의 선단면으로부터 상방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되고, 상기 지압고정구의 상단에 접촉하여 상기 선단부재의 하강을 제한하는 제1 스톱퍼와,
    상기 제1 스톱퍼보다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파일체의 외주면에 환형으로 돌출 형성된 제2 스톱퍼와,
    상기 제1 스톱퍼 및 제2 스톱퍼 사이에 탄력 지지되고, 상기 파일체가 내부로 삽입되도록 상기 천공홀의 직경보다 작은 압축코일스프링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10139153A 2011-12-21 2011-12-21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KR1011815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53A KR101181543B1 (ko) 2011-12-21 2011-12-21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39153A KR101181543B1 (ko) 2011-12-21 2011-12-21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81543B1 true KR101181543B1 (ko) 2012-09-10

Family

ID=470741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39153A KR101181543B1 (ko) 2011-12-21 2011-12-21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18154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6198A1 (en) * 2015-07-16 2017-01-19 DR. SPANG Ingenieurgesellschaft für Bauwesen, Geologie und Umwelttechnik mbH Apparatus for activating the lateral friction of pile-like load-bearing members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9448A (ja) 2007-07-13 2009-01-29 Eto Construction Industry Co Ltd 鋼管杭の先端拡張構造及び鋼管杭の先端拡張施工方法
KR100954613B1 (ko) * 2008-08-20 2010-04-28 이인귀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19448A (ja) 2007-07-13 2009-01-29 Eto Construction Industry Co Ltd 鋼管杭の先端拡張構造及び鋼管杭の先端拡張施工方法
KR100954613B1 (ko) * 2008-08-20 2010-04-28 이인귀 확장형 그라운드 앵커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70016198A1 (en) * 2015-07-16 2017-01-19 DR. SPANG Ingenieurgesellschaft für Bauwesen, Geologie und Umwelttechnik mbH Apparatus for activating the lateral friction of pile-like load-bearing members
US10030348B2 (en) * 2015-07-16 2018-07-24 DR. SPRANG Ingenieurgesellschaft für Bauwesen, Geologie und Umwelttechnik mbH Apparatus for activating the lateral friction of pile-like load-bearing member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13593B1 (ko) 선단지지력 및 주면마찰력 확보가 가능한 복합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20160025180A (ko) 헬리컬 파일 및 이의 시공방법
KR101065626B1 (ko) 마이크로파일 및 수직지반과 사면 지반 보강 시공방법
KR100923587B1 (ko) 마이크로 파일용 정착장치를 이용한 파일시공방법
KR100956879B1 (ko) 응력분산형 마이크로파일
KR101147976B1 (ko) 기초말뚝 지지력을 강화하는 말뚝부재
KR101191286B1 (ko) 상부지반 주면마찰력 증가를 위한 이중 헬리컬파일의 시공공법
KR101191289B1 (ko) 압밀침하에 따른 부주면 마찰력 저감을 위한 이중 헬리컬파일의 시공공법
KR101560681B1 (ko) 무진동, 무소음, 비배토가 가능한 구조물지지용 파일 및 그 시공방법
KR20120111554A (ko) 압착콘을 간격재로 이용한 강관네일과 이의 시공방법
KR101181543B1 (ko) 선단 압축 및 팽창 기능을 구비한 마이크로파일
KR101843379B1 (ko) 연약지반 보강장치 및 이를 이용한 연약지반 보강공법
KR100892322B1 (ko) 쐐기형 대나무 네일링 구조체
KR101735816B1 (ko) 비탈면 보강용 소일네일
CN110337513B (zh) 打桩用前端靴
CN102691295A (zh) 丁齿混凝土管桩及其施工方法
KR20150085602A (ko) 기초 구조물의 시공방법
KR20100054354A (ko)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KR101791211B1 (ko) 좌굴 보강용 헬릭스 강관 말뚝의 시공 방법
KR101997342B1 (ko) 수평하중 저항성능이 향상된 복합마이크로 파일
KR101951684B1 (ko) 확장형 현장타설말뚝 시공방법
KR20160087190A (ko) 부력저항력을 가진 압축인장구가 장착된 마이크로파일
KR20170133673A (ko) 주면마찰력 향상을 위한 말뚝 그라우팅 장치
KR100935235B1 (ko) 사면보강장치
KR20100121109A (ko) 확장쐐기형 선단부를 가지는 말뚝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705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0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25

Year of fee payment: 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