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00054354A -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 Google Patents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00054354A
KR20100054354A KR1020080113256A KR20080113256A KR20100054354A KR 20100054354 A KR20100054354 A KR 20100054354A KR 1020080113256 A KR1020080113256 A KR 1020080113256A KR 20080113256 A KR20080113256 A KR 20080113256A KR 20100054354 A KR20100054354 A KR 201000543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anchor
stressed
fixing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1132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013736B1 (ko
Inventor
임철웅
Original Assignee
(주) 신풍컨설턴트
(주)에이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신풍컨설턴트, (주)에이에스 filed Critical (주) 신풍컨설턴트
Priority to KR10200801132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736B1/ko
Publication of KR201000543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543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7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7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74Means for anchoring structural elements or bulkheads
    • E02D5/80Ground anchor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3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 E02D5/38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 E02D5/44Concrete or concrete-like piles cast in position ; Apparatus for making same making by use of mould-pipes or other moulds with enlarged footing or enlargements at the bottom of the pil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5/00Bulkheads, piles, or other structural elements specially adapted to foundation engineering
    • E02D5/22Piles
    • E02D5/54Piles with prefabricated supports or anchoring parts; Anchoring pil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DFOUNDATIONS; EXCAVATIONS; EMBANKMENTS; UNDERGROUND OR UNDERWATER STRUCTURES
    • E02D2600/00Miscellaneous
    • E02D2600/30Miscellaneous comprising anchoring detai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Paleontology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iles And Underground Anch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천공홀에 시공되는 앵커에 있어서, 테이퍼를 갖는 원추형의 앵커헤드; 앵커헤드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앵커헤드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테이퍼를 갖는 복수의 쐐기; 앵커헤드의 일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인장재; 앵커헤드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헤드캡; 헤드캡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밀핀; 밀핀을 헤드캡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헤드캡 및 밀핀 사이에 구비되어 쐐기를 고정하는 쐐기 고정부; 및 쐐기 고정부와 헤드캡의 하부의 자중에 의해 고정되고, 종단이 쐐기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구현한 바,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의 정착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없이 작동신뢰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정착부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해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별도의 그라우팅 작업 없이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기간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지반, 건물 또는 사면 등의 붕괴를 빠르고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앵커, 쐐기, 연결판

Description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A Pre - Stressed Extension Anchor}
본 발명은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정착부에 그라우팅 작업이 없이도 인장력을 받을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천공홀을 작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앵커는 절개지 등에서의 절개면의 붕괴 방지 및 사면안정, 빌딩 또는 댐 등과 같은 대형 구조물의 지하수에 의한 부상방지, 대형 건물의 지하층 토목 공사 시 굴착 벽면의 붕괴방지 등에 사용되며, 또한 지진 발생지 등의 건축물이나 대형 철탑 시공 시 구축물의 이동이나 왜곡을 방지하기 위해 설치된다.
앵커 공법은 붕괴우려가 있는 지반에 천공기를 이용하여 앵커공을 천공하고, 이 천공된 공간 내부를 공기를 이용하여 천공홀을 청소한 후에 그라우트 호스(Grout Hose)와 복수 개의 인장재 및 내하체를 하나의 유닛으로 마련하여 삽입한다. 그 다음, 인장재를 유입장비 등을 사용하여 설계하중에 맞도록 인장한 후 지압판 및 지지헤드에 고정시켜 대상 구조물을 안정시키고, 그라우트 호스를 통해 1차 그라우트(Grout)를 주입하며, 주입된 그라우트가 내하체와 함께 시킨다.
이와 같은 앵커는 그라우팅의 지압력 또는 지반과의 마찰력에 의하여 표면으로부터의 인장력을 지지하게 된다. 이때, 앵커는 지반 고정력이 확고하게 이루어져야 하고, 그 인장력을 신뢰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구조가 간단해야 제작비용을 절감할 수 있고 시공 단축이 가능해야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다.
그러나 종래의 쐐기식 앵커의 경우 앵커헤드부의 구조가 복잡하고, 지압력이 미약하여 제품의 크기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하중이 크므로 설치시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천공홀에 안착되는 부분이 면 접촉으로 이루어져 천공홀에서 고정력의 확보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고, 천공홀이 큰 경우 별도로 금형제작이나 가공을 해야하므로 자재관리가 필요 이상으로 증가하여 시공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정착부에 그라우팅 작업이 없이도 인장력을 받을 수 있고, 공기를 단축할 수 있으며, 천공홀을 작게 시공할 수 있도록 하여 시공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은 천공홀에 시공되는 앵커에 있어서, 테이퍼를 갖는 원추형의 앵커헤드; 앵커헤드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앵커헤드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테이퍼를 갖는 복수의 쐐기; 앵커헤드의 일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인장재; 앵커헤드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헤드캡; 헤드캡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밀핀; 밀핀을 헤드캡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 헤드캡 및 밀핀 사이에 구비되는 쐐기 고정부; 및 쐐기 고정부와 헤드캡의 하부의 자중에 의해 고정되고, 종단이 쐐기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앵커헤드 상부 일측에는 정착 파이프가 더 구비되고, 정착 파이프의 상부 일측의 테이퍼가 형성된 외주면에 결합되고, 정착 파이프의 상부 일측과 대응되도록 내부에 테이퍼를 갖는 복수의 보조 쐐기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앵커의 정착부의 구조가 간단하여 고장 없이 작동신뢰도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정착부의 구조가 간단하기 때문에 시공기간이 짧아지고, 이로 인해 시공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별도의 그라우팅 작업 없이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시공 기간 및 시공비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로 인해, 지반, 건물 또는 사면 등의 붕괴를 빠르고 원활하게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인장 후 그라우팅 공정을 더 추가함으로써 충분한 인장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확장형 쐐기의 구성>
(제 1 실시예)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쐐기의 분해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앵커헤드(10)는 삽입되는 하부로 갈수록 지름이 더 넓게 형성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 원추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앵커헤드(10)에 형성된 테이퍼의 각도는 10°내지 20°로 기울어진 것이 좋다. 또한, 내부 일측에는 하나 이상의 인장재(30)가 결합될 수 있는 다수의 홈이 구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20)는 앵커헤드(10)의 외주면과 대응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 내주면을 갖고, 외주면 일측에는 천공홀에 결합하였을 경우 보다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 톱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쐐기(20)의 외주면 하부 일측에는 쐐기(20)가 앵커헤드(10)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고정링(90)이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22)이 형성된다. 또한, 쐐기(20)의 외주면 하부 일측에는 결합돌기(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쐐기(20)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의 사용 양태 등에 따라서 2개 내지 8개로 이루어진 것이 좋고, 바람직하게는 4개의 쐐기(20)가 앵커헤드(10)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고정링(90)은 각각의 쐐기(20)에 구비된 결합홈(22)에 구비되어 앵커헤드(10)에서 각각의 쐐기(20)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해주는 것으로서, 탄성을 가진 탄성 재질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바람직하게는 고무링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인장재(30)는 일측 종단이 앵커헤드(10)의 내부로 소정간격 삽입되어 고정핀(미도시) 등과 같은 고정 부재로 결합되고, 앵커헤드(10)와 결합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은 지면의 천공홀의 입구에 구비된 지지헤드(100)에 결합된다. 이러한 인장재(30)는 철근 또는 PC 강연선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러한 인장재(30)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의 사용양태에 따라 2개 내지 10개의 인장재(30)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헤드캡(40)은 앵커헤드(10) 하부에 연결되어 연결판(80)을 당겨주는 경로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상부는 앵커헤드(10)와 결합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고정부(41)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고정부(41)의 하부 일측에는 스프링(71)이 구비될 수 있는 가이드홀이 형성된 직육면체 또는 원기둥 형상의 누름부(45)가 돌출 형성된다. 이때, 누름부(45)의 하단에는 결합부(60)가 결합할 수 있는 나사산이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밀핀(50)은 천공홀의 종단과 접촉하여 앵커가 정확한 위치에 구비되기 전까지 쐐기(20)가 테이퍼를 따라 이동하지 않도록 지지하는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밀핀(5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부 일측에는 스프링(71)이 이탈하지 않고, 고정될 수 있는 고정 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밀핀(50)의 상단은 밀핀(50)의 외주면보다 확장되도록 단턱이 형성된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결합부(60)는 헤드캡(40)에 돌출 형성된 누름부(45) 하단에 형성된 나사산에 결합된다. 이러한 결합부(60)는 밀핀(50)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나사인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쐐기 고정부는 전술한 헤드캡(40)의 하단과 밀핀(50)의 상단에 구비되어 헤드캡(40)이 임의로 하강하여 쐐기(20)가 천공홀에 고정되지 않도록 탄성을 제공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이라면 어떠한 것을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하지만, 바람직하게는 스프링(71)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본 발명에 따른 연결판(80)은 밀핀(50)과 스프링(71)이 결합하는 면을 기준축으로 하여 쐐기(20)에 구비된 결합돌기(21)와 연결되어 헤드캡(40)의 이동에 따라 쐐기(20)를 당겨주는 것이다. 이러한 연결판(80)은 밀핀(50)과 스프링(71)이 결합하는 면을 중심축으로 하여 앵커에 구비된 복수의 쐐기(20)의 개수와 동일한 수만큼 방사형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는 전체적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정착 파이프(110) 및 보조 쐐기(120)가 더 구비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정착 파이프(110)는 앵커헤드(10)의 상부에 구비되어 보조 쐐기(120)를 고정해주는 것으로서, 중공인 원통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정착 파이프(110)는 상부 일측에 테이퍼가 형성된다. 이러한, 테이퍼의 각도는 10°내지 20°로 기울어진 것이 좋다. 또한, 고정력을 확보하기 위해 정착 파이프(110)의 내부에 그라우팅 작업을 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정착 파이프(110) 내부에 그라우트 파이프(115)를 삽입하고, 그라우트 파이프(115)를 이용하여 그라우팅한다. 이때, 정착 파이프(110)에는 사용양태에 따라 다수의 관통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보조 쐐기(120)는 정착 파이프(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된 테이퍼와 대응되도록 테이퍼가 형성된 내주면을 갖고, 외주면 일측에는 천공홀에 결합되었을 경우 보다 결합을 견고하게 하기 위해 톱니 형상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보조 쐐기(120)의 외주면 하부 일측에는 결합돌기(121)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 보조 쐐기(120)의 결합돌기(121)는 쐐기(20)의 상부에 더 형성된 결합돌기(21)와 보조 연결판(80')으로 연결되어, 쐐기(20)의 움직임에 따라 이동한다. 이러한, 보조 쐐기(120)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의 사용 양태 등에 따라서 쐐기(20)의 수와 대응되도록 2개 내지 8개로 이루어진 것이 좋다. 이때, 보조 쐐기(120)의 외부 일측에도 제 1 실시예의 쐐기(120)와 동일한 결합홈(미도시)이 구비되어 고정링(미도시)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는 전체적으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으로 이루어지고, 쐐기 고정부가 스프링(71)이 아닌 쐐기 고정 와이어(72)를 사용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쐐기 고정부는 쐐기 고정 와이어(72)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쐐기 고정와이어(72)는 밀핀(50)의 종단부터 헤드캡(40), 앵커헤드(10)를 거쳐 앵커의 상부 종단까지 연결된다. 이때, 쇄기 고정와이어(72)는 밀핀(50)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밀핀(50)의 상부 일측과 나사를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의 사용 양태>
(제 1 실시예)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3a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b는 도 3a의 A 부분 확대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천공홀의 종단에 밀핀(50)의 하부가 접촉하도록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천공홀 내부로 삽입한다.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가 천공홀 내부로 삽입되어 정확한 위치에 구비되기 전까지는 스프링(71)이 헤드캡(40)과 밀핀(50) 사이에서 탄성을 부여하여 쐐기(20)가 앵커헤드(10)의 테이퍼를 따라 하부로 미끄러지지 않고 고정된다.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에 소정의 힘을 가해주면 헤드캡(40)이 하향 이동하게 되고, 하향 이동하는 헤드캡(40)의 누름부(45)에 의해 연결판(80)이 당겨지게 되어 쐐기(20)를 앵커헤드(10)의 테이퍼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킨다. 이렇게 슬라이드 이동되는 쐐기(20)는 하부가 상부보다 넓게 형성된 앵커헤드(10)에 의해 앵커헤드(10)와 천공홀의 벽면 사이에 압착되어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게 된다.
(제 2 실시예)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 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과 순서에 의해 고정된다.
쐐기(20)가 고정되는 과정에서 정착 파이프(110)의 상부에 형성된 테이퍼를 따라 쐐기(20)와 연결된 보조 쐐기(120)는 보조 연결판(80')을 따라 이동하여 천공홀에 고정된다. 그리고 그라우트 파이프(115)를 통해 그라우팅되어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의 고정력을 확보한다.
(제 3 실시예)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3 실시예는 전체적으로 제 2 실시예와 동일한 방법과 순서에 의해 고정된다.
하지만,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시키는 방법에서 차이가 있다.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가 정확한 위치에 설치되는 경우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쐐기 고정와이어(72)를 상부로 당겨주게 되면 상승하는 쐐기 고정와이어(72)를 따라 밀핀(50)이 상승한다. 밀핀(50)이 상승함에 따라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와 천공홀의 바닥면이 이격되고,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는 자중에 의해 천공홀의 바닥면으로 하강한다. 또한, 쐐기(50)는 밀핀(50)이 상승함에 따라 헤드캡(40)의 누름부(45)에 의해 연결판(80)이 당겨지게 되어 앵커헤드(10)의 테이퍼를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며 하강하여 천공홀의 벽면과 고정된다. 쐐기(50)와 보조 연결판(80')으로 연결된 보조 쐐기(120) 역시 함께 당겨지며 천공홀의 벽면과 고정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확장형 쐐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a는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3b는 도 3a의 A 부분 확대도,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하기 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를 고정한 후의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앵커헤드 20 : 쐐기
21 : 결합돌기 22 : 결합홈
30 : 인장재 40 : 헤드캡
41 : 고정부 45 : 누름부
50 : 밀핀 60 : 결합부
71 : 스프링 72 : 쐐기 고정 와이어
80 : 연결판 80' : 보조 연결판
90 : 고정링 100 : 지지헤드
110 : 정착 파이프 111 : 관통홀
115 : 그라우트 파이프 120 : 보조 쐐기
121 : 결합돌기

Claims (17)

  1. 천공홀에 시공되는 앵커에 있어서,
    테이퍼를 갖는 원추형의 앵커헤드(10);
    상기 앵커헤드(10)의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앵커헤드(10)의 테이퍼와 대응되도록 내부에 테이퍼를 갖는 복수의 쐐기(20);
    상기 앵커헤드(10)의 일측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인장재(30);
    상기 앵커헤드(1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헤드캡(40);
    상기 헤드캡(40)의 하부 일측에 구비되는 밀핀(50);
    상기 밀핀(50)을 상기 헤드캡(40)에 결합시키기 위한 결합부(60);
    상기 헤드캡(40) 및 상기 밀핀(50) 사이에 구비되어 쐐기를 고정하는 쐐기 고정부; 및
    상기 쐐기 고정부 및 헤드캡(40)의 하부의 자중에 의해 고정되고, 종단이 쐐기(20)의 하부 일측에 결합되는 연결판(8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헤드(10) 및 쐐기(20)의 테이퍼 각도는 10°내지 2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0)의 개수는 2개 내지 8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0)의 일측에는 상기 쐐기(20)를 앵커헤드(10)에서 이탈하지 않도록 고정하는 하나 이상의 고정링(90)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0)의 하부 일측에는 상기 연결판(80)과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링(90)이 결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결합홈(22)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캡(40)은,
    상기 앵커헤드(10) 및 상기 인장재(30)를 고정하기 위한 공간을 제공하는 원통형상의 고정부(41); 및
    상기 고정부(41)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밀핀(50)의 이동경로를 제공하고 연결판(80)을 당겨주기 위해 돌출형성되고 그 내부에 가이드홀이 형성된 누름부(4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밀핀(50)은 원기둥형상으로 이루어지고, 상단면 일측에 상기 쐐기 고정부가 고정될 수 있는 고정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60)는 상기 밀핀(50)의 외주면과 동일한 내경을 갖는 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 고정부는 스프링(71) 또는 쐐기 고정 와이어(72)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판(80)은 상기 밀핀(50)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상기 쐐기(20)와 동일한 수만큼 방사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인장재(30)가 상기 앵커헤드(10)와 연결된 일측과 대향되는 타측에는 천공홀 입구에 지지되는 지지헤드(10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헤드(10) 상부 일측에는 정착 파이프(110)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파이프(110)의 상부 일측은 테이퍼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정착 파이프(110)의 상부 일측의 상기 테이퍼가 형성된 외주면에 결합되고, 상기 정착 파이프(110)의 상부 일측과 대응되도록 내부에 테이퍼를 갖는 복수의 보조 쐐기(120)를 더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쐐기(120)는 하부 일측에 상기 쐐기(20)와 결합하기 위한 결합돌기(12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쐐기(20)는 상기 보조 쐐기(120)와 결합하기 위해 상부 일측에 결합돌기(21)가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보조 쐐기(120)의 결합돌기(121)와 상기 쐐기(20)의 상부에 형성된 결합돌기(21)는 보조 연결판(80')에 의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KR1020080113256A 2008-11-14 2008-11-14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KR1010137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56A KR101013736B1 (ko) 2008-11-14 2008-11-14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113256A KR101013736B1 (ko) 2008-11-14 2008-11-14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54354A true KR20100054354A (ko) 2010-05-25
KR101013736B1 KR101013736B1 (ko) 2011-02-14

Family

ID=42279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113256A KR101013736B1 (ko) 2008-11-14 2008-11-14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73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466B1 (ko) * 2013-02-13 2014-01-27 (주)세종이엔씨 이중쐐기에 의해 확장되는 영구앵커 구조체
US9091720B2 (en) 2010-08-19 2015-07-28 Lg Life Sciences Ltd. Detection system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EP2719858A4 (en) * 2011-06-13 2015-12-16 Univ China Mining CONSTANT AND HIGH DEFORMATION RESISTANCE ANCHOR CABLE AND CONSTANT RESISTANCE DEVICE
CN106638655A (zh) * 2017-02-22 2017-05-10 北京健安诚岩土工程有限公司 锥头筋体后张桩基础及施工工艺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3101288U (ko) * 1990-02-02 1991-10-22
KR100394542B1 (ko) * 2000-02-07 2003-08-21 씨엠엔지니어링(주) 그라운드 앵커
JP3101288U (ja) 2003-10-29 2004-06-10 日本コムシス株式会社 支線アンカ
KR100598024B1 (ko) 2005-07-08 2006-07-07 주식회사 홍익기술단 쐐기식 앵커
KR100746879B1 (ko) 2006-11-15 2007-08-08 이종수 지압식 영구 앵커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091720B2 (en) 2010-08-19 2015-07-28 Lg Life Sciences Ltd. Detection system using magnetic resistance sensor
EP2719858A4 (en) * 2011-06-13 2015-12-16 Univ China Mining CONSTANT AND HIGH DEFORMATION RESISTANCE ANCHOR CABLE AND CONSTANT RESISTANCE DEVICE
US9797248B2 (en) 2011-06-13 2017-10-24 China University Of Mining & Technology (Beijing) Constant-resistance and large deformation anchor cable and constant-resistance device
KR101354466B1 (ko) * 2013-02-13 2014-01-27 (주)세종이엔씨 이중쐐기에 의해 확장되는 영구앵커 구조체
CN106638655A (zh) * 2017-02-22 2017-05-10 北京健安诚岩土工程有限公司 锥头筋体后张桩基础及施工工艺
CN106638655B (zh) * 2017-02-22 2019-04-05 北京健安诚岩土工程有限公司 锥头筋体后张桩基础及施工工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013736B1 (ko) 2011-02-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60731B1 (ko) 확장형 날개가 장착된 내하체를 이용한 연약지반용 제거식 그라운드 앵커의 시공방법
KR100749012B1 (ko) 쐐기식 선단정착 앵커세트
KR101013736B1 (ko) 프리 - 스트레스드 확장형 앵커
KR100847358B1 (ko) 압축형 영구 앵커
KR101584054B1 (ko) 압축과 인장력을 받는 복합형 프리텐션용 마이크로파일 시공방법
KR101453303B1 (ko) 재인장용 정착구
KR101040038B1 (ko) 암반층 정착용 쐐기식 확장형 앵커
KR100953865B1 (ko) 네일 분리가 용이한 제거식 록볼트
KR100864084B1 (ko) 스프링의 압축력을 이용한 정착부 팽창 가압식 앵커 및시공방법
KR101633289B1 (ko) 소구경 파일의 두부 정착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존 기초콘크리트의 보강 방법
KR101253496B1 (ko) 확장형 앵커의 내하체 구조 및 시공방법
KR20090110399A (ko) 선단마찰력이 강화된 마이크로파일
KR102325946B1 (ko) 확장형 네일링 및 앵커 시공방법
KR101059945B1 (ko) 다단계 압축식 앵커 및 이 시공 방법
KR100941669B1 (ko) 지중 앵커파일 압력 재주입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시공방법
KR20160099768A (ko) 추가파일 시공방법
KR100666678B1 (ko) 선단지지 라운드 플레이트를 가지는 마이크로파일
KR20090019189A (ko) 확장형 앵커
KR100912482B1 (ko) 이중 날개형 앵커
KR101853185B1 (ko) 주면마찰력 향상을 위한 말뚝 그라우팅 장치
KR101017412B1 (ko) 마찰 지압형 영구 앵커 및 이 시공 방법
KR100370339B1 (ko) 해체 가능한 가설지반 앵커체 및 인장재 해체 방법
KR100997671B1 (ko) 연약층 정착용 패커식 확장형 앵커
KR200443047Y1 (ko) 그라운드 앵커용 앵커체
KR20060027954A (ko) 영구 앵커의 재긴장공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18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