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505B1 -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101942505B1 KR101942505B1 KR1020120020884A KR20120020884A KR101942505B1 KR 101942505 B1 KR101942505 B1 KR 101942505B1 KR 1020120020884 A KR1020120020884 A KR 1020120020884A KR 20120020884 A KR20120020884 A KR 20120020884A KR 101942505 B1 KR101942505 B1 KR 101942505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injection
- antenna
- rear body
- mobile terminal
- region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33—Hand-held transceiver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 H01Q1/24—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 H01Q1/241—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 H01Q1/242—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 H01Q1/243—Supports; Mounting means by 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quipment or articles with receiving set used in mobile communications, e.g. GSM specially adapted for hand-held use with built-in antennas
-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3—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transmitters or receivers, e.g. telephone hand-s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에 실장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가 실장된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바디의 일면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출지지공과, 상기 바디의 타면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출지지공이 위치하되,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은 상호 관통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1,2 사출지지공이 상호 관통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내부의 음향이 외부로 유출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바디에 안테나를 단사출성형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나아가, 단말기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여 원가를 절감하고자 하는 시도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발명은 바디에 안테나를 단사출성형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에 실장된 안테나 패턴을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가 실장된 적어도 일 영역에는, 상기 바디의 일면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출지지공과, 상기 바디의 타면측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출지지공이 위치하되,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은 상호 관통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은, 상기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대향되지 않는 위치에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이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바디를 구성하는 사출물이 충진(充塡)될 수 있다.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 중 상기 내장된 안테나가 위치한 공간은, 상기 스피커에서 생성된 음향의 공명(resonance) 영역일 수 있다.
상기 안테나 패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및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에 마련된 안테나를 포함하되, 상기 바디는, 상기 안테나를 내장(內藏)하여 단사출성형(單射出成形)될 수 있다.
상기 바디는, 상기 내장된 안테나의 일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출지지공과, 상기 내장된 안테나의 타측면에 형성된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출지지공을 포함하며,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은, 상기 내장된 안테나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출지지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사출성형을 위한 사출물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에서 이격되는 사출고정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사출고정핀은, 상기 사출고정핀을 상기 안테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출지지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사출성형의 진행 전에 동작부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된 사출고정핀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안테나의 일 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의 표면에 노출될 수 있다.
스피커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바디의 내부 공간 중 상기 내장된 안테나가 위치한 공간은, 상기 스피커에서 생성된 음향의 공명(resonance) 영역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바디에 안테나를 단사출성형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하고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 리어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리어 바디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 리어 바디의 차폐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 바디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2 리어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리어 바디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도 2 리어 바디의 차폐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 바디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바디일 수 있다. 바 형태의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프론트 바디(101)와 배터리커버(102)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는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 부분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에는 디스플레이(151)와,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121a), 사용자 입력부(131), 마이크(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프론트 바디(101)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1)는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화음을 출력하거나,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52)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카메라(121a)는 사용자 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면카메라(121a)를 통하여 촬영한 자신의 영상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정전식으로 감지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면 빛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131)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131)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마이크(122)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후면에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된 후면에는, 후면 카메라(121b)와 사이드키버튼(170)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b)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b)는, 입체화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left eye)용 영상과 우안(right eye)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후면 카메라(121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영상의 촬영시에 작동할 수 있다.
사이드키버튼(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볼륨조절스위치(170)의 상측 또는 하측을 푸쉬(push)하는 동작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리어 바디(103)와 프론트 바디(101)를 포함하는 바디(104)와, 리어 바디(103) 측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102)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는, 교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250)를 차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으로 잡아당겨 결합이 해제되는 풀타입(pull type)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이 해제되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 또는 버튼을 누르면 결합이 해제되는 팝업 타입(pop-up type) 방식일 수도 있다.
바디(104)는, 리어 바디(103)와 프론트 바디(101)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103)에는 배터리(250)의 결합을 위한 배터리 결합공(251)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는, 리어 바디(103)에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에는 PCB(230)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PCB(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자 부품 및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 4는 도 2 리어 바디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리어 바디(103)에는 안테나(111)가 내장(內藏)되어 있을 수 있다.
안테나(111)는, 이동 단말기(100)가 다른 디바이스와 무선으로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따라 안테나(111)가 무선신호를 송출하거나 수신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테나(111)는, 리어 바디(103)에 내장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안테나(111)를 포함하는 캐리어(carrier) 등이 별도로 마련된 것이 아니라, 리어 바디(103)의 내부에 안테나(111)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테나(111)를 위한 별도의 캐리어를 포함하지 않고 리어 바디(103) 내부에 안테나(111)의 패턴이 형성되어 있음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 전체의 볼륨(volume)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이하에서는, 안테나(111)가 리어 바디(103)에 내장된 경우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안테나(111)는 프론트 바디(101) 등 이동 단말기(100)의 각종 지점에 위치될 수 있다.
안테나(111)는 리어 바디(103)의 하단부, 상단부,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바디(103)의 하단부, 상단부, 측면부 중 적어도 어느 한 영역에 위치하는 안테나(111)는, 리어 바디(103)를 사출성형(射出成形)하는 과정에서 일체로 사출될 수 있다. 즉, 안테나(111)가 리어 바디(103)에 인서트(insert) 사출성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리어 바디(103)에 인서트 사출성형된 안테나(111)는, 리어 바디(103)의 외관을 통해서는 관찰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해의 편의를 위해서 도 4에서는 안테나(111)의 형상을 표현하였으나, 안테나(111)는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안테나(111)는, 리어 바디(103)에 단사출성형될 수 있다. 즉, 리어바디(103)를 사출하는 과정에서 안테나(111)를 함께 사출성형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안테나 케리어를 별도로 성형하는 종래에 비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나아가, 안테나 캐리어를 별도로 성형한 후 2중 사출을 통하여 리어 바디(103)와 일체화하던 종래의 방법에 비하는 경우에도 제조공정 및 제조원가를 단순화할 수 있다.
도 5 및 도 6은 도 2 리어 바디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사출기(200)를 통하여 안테나(111)와 함께 사출성형될 수 있다.
도 5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기(200)는 제1 금형(210)과 제2 금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2 금형(210, 230)은, 형합(形合)되면 리어 바디(103)의 외형을 가지도록 설계될 수 있다. 즉, 제1,2 금형(210, 230)의 형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사출물(300)이 주입된 후 고형화되면, 리어 바디(103)가 성형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금형(210)에는 제1 사출고정핀(212)과, 사출로(216)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제1 사출고정핀(212)은, 제1,2 금형(210, 230) 내부에 인서트(inset)된 안테나(111)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즉, 설계된 위치에 인서트된 안테나(111)가 사출물(300)의 압력에 의하여 최초 위치에서 이탈되지 않도록, 안테나(111)의 위치를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 사출고정핀(212)은, 탄성체(214)에 의하여 탄성력을 전달받고 있을 수 있다.
탄성체(214)는, 제1 사출고정핀(212)이 외측으로 돌출되도록 탄성력을 전달할 수 있다. 즉, 제1 사출고정핀(212)이 아랫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함을 의미한다. 탄성체(214)는, 코일스프링, 판스프링 등의 형태일 수 있다.
사출로(216)는, 사출물(300)의 주입경로일 수 있다. 사출로(216)를 통하여 용융된 액사의 사출물(300)이 형합된 제1,2 금형(210, 230)의 내부로 주입될 수 있다.
제2 금형(230)은, 제2 사출고정핀(2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사출고정핀(232)은, 제1 사출고정핀(212)과 함께, 제1,2 금형(210, 230)의 내부에 위치한 안테나(11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도 5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형합된 제1,2 금형(210, 230)의 내부에는 안테나(111)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안테나(111)는 제1,2 금형(210, 230) 내부에 위치하여, 사출되는 리어 바디(103)의 내부에 위치하게 될 수 있다. 리어 바디(103)를 사출하며 안테나(111)를 동시에 내장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즉, 안테나 케리어를 사출한 후, 사출한 안테나 케리어를 리어 바디(103)에 다시 인서트 사출하던 종래의 2중 사출과 달리, 안테나(111)를 리어 바디(103)에 단사출성형(單射出成形)할 수 있음으로 인하여 제조공정을 단순화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안테나(111)는, 제1,2 사출고정핀(212, 232)에 의하여 특정 위치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제1 사출고정핀(212)은 안테나(111)를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가압하고, 제2 사출고정핀(232)은 안테나(111)를 아래에서 위 방향으로 가압하여 안테나(111)가 설계된 위치에서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있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금형(210, 230)이 형합되면, 사출로(216)를 통하여 사출물(300)이 제1,2 금형(210, 230)의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
도 6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로(216)를 통하여 사출물(300)이 유입되면, 사출물(300)에 의하여 제1,2 금형(210, 230) 내부의 압력이 상승할 수 있다. 제1,2 금형(210, 230) 내부의 압력이 상승되면, 제1 사출고정핀(212)이 최초 위치에서 후방으로 후퇴될 수 있다. 즉, 제1 사출고정핀(212)을 지지하던 탄성체(214)의 탄성력보다 사출물(300)에 의한 내부의 압력이 크면, 제1 사출고정핀(212)이 후방으로 후퇴하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때, 내부는 사출물이 이미 채워져 있는 상태이므로, 안테나(111)의 위치는 쉽게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사출고정핀(212)이 후퇴하면, 제1 사출고정핀(212)의 말단(末端)과 안테나(111)의 표면 사이에도 사출물(300)이 채워진다.
도 6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주입된 사출물(300)의 고형화가 진행된 후에 제1,2 금형(210, 230)의 형합을 해제할 수 있다. 즉, 제1,2 금형(210, 230) 중 적어도 하나를 다른 하나에 대해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금형(210, 230)의 형합이 해제되면, 사출물(300)이 고형화된 리어 프레임(103)이 완성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03)에는, 제1,2 사출지지공(H1, H2)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제1,2 사출고정핀(212, 232)에 의하여 지지된 지점의 형상이 리어 프레임(103)에 남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사출고정핀(212, 232)은, 안테나(111)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지 않은 위치에서 안테나(111)를 지지한다. 즉, 제1,2 사출고정핀(212, 232)이 동일한 선상에 위치하지 않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제1, 사출고정핀(212, 232)에 의하여 형성된 제1,2 사출지지공(H1, H2)의 위치도 대향되지 않도록 위치될 수 있다. 즉, 제1 사출지지공(H1)과 제2 사출지지공(H2)이 지그재그(zig-zag) 형태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서로 이격된 제1,2 사출지지공(H1, H2)의 사이에는 고형화된 사출물이 충진(充塡)되어 있을 수 있다.
제1,2 사출지지공(H1, H2)이 서로 대향되지 않은 위치에 마련됨으로 인하여, 제1,2 사출지지공(H1, H2)에 의하여 리어 프레임(103)이 관통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안테나(111)가 위치한 영역에 관통공(hole)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7은 도 2 리어 바디의 차폐효과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리어 바디(103)에 관통공이 존재하지 않음으로 인하여, 음향의 차폐성이 증가될 수 있다.
도 7의 (a)에는, 종래의 방법으로 생산한 리어 바디(103a)를 도시하고 있다. 종래의 리어 바디(103a)는, 사출과정에서 관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사출에 필요한 사출고정핀이 상호 대향되어 위치함으로 인하여, 사출이 종료되면 사출고정핀의 위치에 관통공이 형성됨을 의미한다.
이동 단말기(100a)의 내부에는, 스피커(SPK)가 위치할 수 있다.
리어 바디(103a)의 내부 공간은, 스피커(SPK)에서 생성된 음향의 공명(resonance) 영역으로 제공될 수 있다. 즉, 스피커(SPK)에서 발생된 음향이 내부의 공명 영역에서 보다 풍부한 음향으로 가공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종래의 리어 바디(103a)에 존재하는 관통공으로 인하여, 스피커(SPK)에서 발생된 음향의 누출(sound leakage)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음향의 누출 형상이 발생하면, 스피커(SPK)에서 생성된 음향이 효과적으로 공명되지 못할 수 있다. 사출성형 중에 생긴 관통공의 개수가 증가되면 좀 더 큰 영향을 미칠 수 있다.
도 7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리어 바디(103)에 관통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안테나(111)의 상하에 위치한 사출지지공들이 상호 대향된 위치에 있지 않음으로 인하여, 관통공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리어 바디(103)의 내부가 효과적인 울림통(soundbox)의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8 내지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 바디의 제조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리어 바디(103)는, 다양한 방법을 통하여 제조될 수 있다.
도 8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기(200)는, 제1 금형(210)과 제2 금형(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금형(210)은, 외금형(211), 내금형(215), 외금형(211)과 내금형(215)을 연결하는 결합부(213)를 포함할 수 있다.
외금형(211)은, 제1 금형(210)의 외부 형상을 구성할 수 있다.
내금형(215)은, 제1 금형(210)을 통하여 사출할 사출물의 형상에 대응된 내형상(217)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결합부(213)는, 외금형(211)과 내금형(215)의 사이에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외금형(211)과 내금형(215)의 사이에 마련된 결합부(213)는, 탄성부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외력이 가해지면 결합부(213)가 수축되어, 외금형(211)과 내금형(215) 사이의 이격공간(207)의 체적이 감소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2 금형(230)은, 사출고정핀(231)과, 고정핀동작부(213)와, 바디(215)를 포함할 수 있다.
사출고정핀(231)은, 바디(215)에서 제1 금형(210)의 방향으로 돌출된 형태일 수 있다. 사출고정핀(231)은, 제2 금형(230)에 안착된 안테나(111)에 결합되어 안테나(111)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111)의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공에 사출고정핀(231)이 결합되도록 하여, 자연스럽게 안테나(111)가 정위치에 위치되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정핀동작부(233)는, 사출고정핀(231)을 전방으로 돌출되도록 하거나 후방으로 후퇴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안테나(111)를 설계된 위치에 고정시키기 위하여 전방으로 돌출되어 안테나(111)에 결합되거나, 특정한 시점에서 후퇴하여 리어 바디(103)에 관통공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8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기(200)의 제1,2 금형(210, 230)은 상호 접근하여 형합(形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금형(210)이, 안테나(111)가 위치하고 있는 제2 금형(230) 방향으로 진행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제1,2 금형(210, 230)이 형합되면, 제1 금형(210)의 내형상(217)이 안테나(111)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안테나(111)의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도 9의 (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사출고정핀(231)은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다. 사출고정핀(231)의 후퇴는 고정핀동작부(233)에 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어부(미도시)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동작하는 고정핀동작부(233)에 의하여 사출고정핀(231)이 후방으로 후퇴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고정핀동작부(233)가 후방으로 후퇴하면, 형합된 제1 금형(210)과의 사이에 사출공간(240)이 확보될 수 있다. 사출물(300)은, 사출공간(240)에도 채워질 수 있다. 사출공간(240)에 사출물(300)이 채워지면, 사출고정핀(231)으로 인하여 사출물에 관통공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도 9의 (b)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금형(210)은 좀 더 근접될 수 있다. 제1 금형(210)이 근접되면, 탄성재질인 결합부(213)가 압축되며 제1 금형(210)의 외금형(211)과 내금형(215) 사이의 이격공간(207)이 사라질 수 있다.
제1,2 금형(210, 230)이 형합되어 생긴 내부 공간에 사출물(300)이 주입될 수 있다. 액상의 사출물(300)은 내부 공간의 형상에 대응되도록 사출된 후 고형화 되어 리어 프레임(103)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03)에는 사출로 인한 관통동이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안테나(111)와 함께 리어 프레임(103)을 사출하는 과정에, 안테나(111)의 위치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핀이 상호 대응된 위치에 마련되지 않음은 물론, 적어도 일부의 고정핀이 일정 거리 후퇴하여 사출공간(240)을 형성함으로 인하여 고정핀으로 인한 관통공이 발생지 않음을 의미한다.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2금형(210, 230)의 형합이 해제될 수 있다. 제1,2 금형(210, 230)의 형합이 해제되면, 제1,2 금형(210, 230)에 의한 사출물인 리어 프레임(103)이 노출될 수 있다.
리어 프레임(103)의 후방면에는 안테나(111)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안테나(111)가, 리어 프레임(103)의 후방면인 이동 단말기(100)의 내측면 측에 사출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리어 프레임(103)에는, 제1,2 사출지지공(H1, H2)이 생성될 수 있다. 제1,2 사출지지공(H1, H2)은 상호 대향된 지점에 위치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2 사출지지공(H1, H2)으로 인한 관통공이 생기지 않을 수 있다. 리어 프레임(103)에 관통공이 생기지 않음으로 인하여, 내부의 스피커(SPK)에서 발생된 음향이 설계되지 않은 지점을 통화여 이동 단말기(100)의 외부로 누출되지 않을 수 있다.
전술한 실시예에 에서는, 안테나가 리어 바디에 위치한 경우에 대하여 주로 설명하였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안테나의 위치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프론트 바디 등 사출성형되는 구성물이라면 어느 위치에라도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이동 단말기 101: 프론트 바디
102 : 배터리커버 103 : 리어 바디
151 : 디스플레이부
102 : 배터리커버 103 : 리어 바디
151 : 디스플레이부
Claims (12)
- 프론트 바디와 리어 바디를 포함하는 바디;
상기 바디의 일부 영역인 제1 영역에 실장된 안테나 패턴; 및
상기 바디의 후방에 배치되는 커버;를 포함하고,
상기 리어 바디는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커버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 바디의 일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출지지공과 상기 리어 바디의 타면에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제2 사출지지공을 포함하고,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면서, 상기 리어 바디를 상호 관통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은,
상기 리어 바디를 중심으로 하여 상호 대향되지 않는 위치에 이격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이 이격된 공간에는,
상기 리어 바디를 구성하는 사출물이 충진(充塡)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제1 영역 사이 공간은,
상기 스피커에서 생성된 음향의 공명(resonance)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 패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리어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의 표면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리어 바디는,
상기 안테나를 내장(內藏)하여 단사출성형(單射出成形)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2 사출지지공은,
상기 내장된 안테나를 중심으로 상호 대향되지 않은 위치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출지지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사출성형을 위한 사출물의 압력에 의하여, 상기 안테나에서 이격되는 사출고정핀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고정핀은,
상기 사출고정핀을 상기 안테나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체로부터 탄성력을 전달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제1 사출지지공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단사출성형의 진행 전에 동작부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이동된 사출고정핀에 의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의 일 면 중 적어도 일부는,
상기 바디의 적어도 일 영역의 표면에 노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리어 바디 사이에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배치되는 스피커를 포함하며,
상기 내부 공간 중 상기 프론트 바디와 상기 제1 영역 사이 공간은,
상기 스피커에서 생성된 음향의 공명(resonance) 영역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0884A KR101942505B1 (ko) | 2012-02-29 | 2012-02-29 | 이동 단말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120020884A KR101942505B1 (ko) | 2012-02-29 | 2012-02-29 | 이동 단말기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401A KR20130099401A (ko) | 2013-09-06 |
KR101942505B1 true KR101942505B1 (ko) | 2019-01-25 |
Family
ID=494507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120020884A KR101942505B1 (ko) | 2012-02-29 | 2012-02-29 | 이동 단말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101942505B1 (ko) |
Family Cites Familie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1050078B1 (ko) * | 2009-03-16 | 2011-07-19 | 주식회사 모비텍 | 케이스 일체형 필름안테나 제조 방법 |
KR20100132575A (ko) * | 2009-06-10 | 2010-12-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휴대용 단말기의 스피커 장치 |
KR101101491B1 (ko) * | 2010-02-25 | 2012-01-03 | 삼성전기주식회사 | 안테나 패턴 프레임, 전자장치 케이스 및 이의 제조금형 |
-
2012
- 2012-02-29 KR KR1020120020884A patent/KR101942505B1/ko active IP Right Gran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130099401A (ko) | 2013-09-06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CN105187700A (zh) | 摄像头自动弹出装置和终端 | |
US20100271281A1 (en) | Housing with built-in antenna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 |
KR101977080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케이스 제조 방법 | |
KR20090007166A (ko) |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 |
KR101810463B1 (ko) | 이동 단말기 | |
US9086846B2 (en) | Mobile terminal | |
US9565278B2 (en) | Method for manufacturing mobile terminal and light guide unit | |
KR20140051720A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커버 | |
KR101942505B1 (ko) | 이동 단말기 | |
WO2016095836A1 (zh) | 具有金属壳体的电子通讯设备及其制作方法 | |
KR101976464B1 (ko) |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 |
KR101869771B1 (ko) |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키 패드 제조방법 | |
KR101976180B1 (ko) | 이동 단말기 | |
KR20130075303A (ko) | 안테나 어셈블리, 안테나 어셈블리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KR101880220B1 (ko) |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KR101972156B1 (ko) | 엘시디 프레임,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조방법 | |
KR101976182B1 (ko) | Fpcb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KR20130065079A (ko) | 단말기 | |
KR20130055310A (ko) | 터미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CN215341120U (zh) | 一种按键模组 | |
KR20140016472A (ko) | 인서트핀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
TW201039365A (en) | Side key and electronic device using the same | |
KR20130054551A (ko) | 이동 단말기 | |
KR102422549B1 (ko) | 입출력 포트 및 이를 구비한 이동 단말기 | |
KR101804915B1 (ko) | 이동 단말기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