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80220B1 -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 Google Patents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80220B1
KR101880220B1 KR1020110119991A KR20110119991A KR101880220B1 KR 101880220 B1 KR101880220 B1 KR 101880220B1 KR 1020110119991 A KR1020110119991 A KR 1020110119991A KR 20110119991 A KR20110119991 A KR 20110119991A KR 101880220 B1 KR101880220 B1 KR 1018802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on terminal
wiring
motor assembly
vibration motor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101199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54552A (ko
Inventor
임장현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101199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80220B1/ko
Publication of KR20130054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54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802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802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6Means for converting reciprocating motion into rotary motion or vice versa
    • H02K7/065Electromechanical oscillators; Vibrating magnetic driv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22Auxiliary parts of casings not covered by groups H02K5/06-H02K5/20, e.g. shaped to form connection boxes or terminal boxes
    • H02K5/225Terminal boxes or connection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11/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measuring or protective devices or electric components
    • H02K2211/03Machines characterised by circuit boards, e.g. pcb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Abstract

이동 단말기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이동 단말기는, 진동자를 수용한 진동몸체; 및 상기 진동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된 판형(板形)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진동자와의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통로인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의 각 끝단에 위치하여 솔더링(slodring) 포인트를 제공하는 결합공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진동몸체에서 연장된 판형의 접속단자를 통하여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결합됨으로 인하여, 진동모터 어셈블리의 결합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VIBRATION MOTOR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COMPRISING IT}
본 발명은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진동몸체에서 연장된 판형의 접속단자를 통하여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결합됨으로 인하여, 진동모터 어셈블리의 결합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개인용 컴퓨터, 노트북, 휴대폰 등과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되고 있다.
종래의 단말기는, 진동을 발생시키는 진동모터 어셈블리를 PCB에 결합하기 위한 공정이 복잡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진동몸체에서 연장된 판형의 접속단자를 통하여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결합됨으로 인하여, 진동모터 어셈블리의 결합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이동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 어셈블리는, 진동자를 수용한 진동몸체; 및 상기 진동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된 판형(板形)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진동자와의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통로인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의 각 끝단에 위치하여 솔더링(slodring) 포인트를 제공하는 결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 각 끝단에 복수 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PCB; 및 상기 PCB에 결합되는 진동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는, 진동자를 수용한 진동몸체; 및 상기 진동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된 판형(板形)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진동자와의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통로인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의 각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PCB와의 솔더링(slodring) 포인트를 제공하는 결합공을 포함할 수 있다.
콜(call) 수신 이벤트,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수신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는, 진동몸체에서 연장된 판형의 접속단자를 통하여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결합됨으로 인하여, 진동모터 어셈블리의 결합공정을 단순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도 4는 도 3 프론트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도 5는 도 3 진동모터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도 3 진동모터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도 7은 도 3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PCB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 특징들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통해 보다 분명해질 것이다. 다만,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들을 가질 수 있는 바, 이하에서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원칙적으로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또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의 설명 과정에서 이용되는 숫자(예를 들어, 제1, 제2 등)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한 식별기호에 불과하다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이동 단말기에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이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의 전면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바 형태의 바디일 수 있다. 바 형태의 바디는, 합성수지를 사출하여 형성되거나 금속 재질, 예를 들어 스테인레스 스틸(STS) 또는 티타늄(Ti) 등과 같은 금속 재질을 갖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발명은 여기에 한정되지 않고, 2 이상의 바디들이 상대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는 슬라이드 타입, 폴더 타입, 스윙 타입, 스위블 타입 등 다양한 구조에 적용이 가능하다.
이동 단말기(100)는, 조립이 완료된 상태에서 전면프레임(101)와 배터리커버(102)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프레임(101)은 이동 단말기(100)의 전면(前面) 부분일 수 있다. 전면프레임(101)에는 디스플레이(151)와, 음향출력부(152), 전면카메라(121a), 사용자 입력부(131), 마이크(122) 등이 배치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전면프레임(101) 전면(前面)에 위치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 과정에 필요한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1)는 2D 영상 및/또는 3D 영상을 표현할 수 있다.
음향출력부(152)는 수화음 등을 출력하는 스피커일 수 있다. 음향출력부(151)는 복수 개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수화음을 출력하거나, 벨소리를 출력하기 위한 음향출력부(152)가 복수개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전면카메라(121a)는 사용자 측을 촬영할 수 있도록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전면카메라(121a)를 통하여 촬영한 자신의 영상에 기초하여 다른 사용자와 화상통화를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입력받기 위해 조작되는 것으로서, 복수의 조작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정전식으로 감지되고 사용자의 입력이 가해지면 빛이 발생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31)는 조작부(manipulating portion)로도 통칭 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촉각 적인 느낌을 가면서 조작하게 되는 방식(tactile manner)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물리적인 버튼(physical button)일 수 있음을 의미한다.
사용자 입력부(131)에는 사용빈도가 높거나 주요한 기능이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 및/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시작, 종료, 음향 조절 등의 기능이 사용자 입력부(131)에 할당되어 있을 수 있다.
마이크(122)는 사용자의 음성 등을 획득하는 장치일 수 있다. 마이크(122)는 이동 단말기(100)의 하측에 위치하여 있을 수 있다.
도 2는 도 1 이동 단말기의 후면 사시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후면에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되어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가 노출된 후면에는, 이어폰잭(171)과, 안테나(124)와, 후면 카메라(121b), 사이드키버튼(170)이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이어폰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에서 출력되는 음향이 출력되도록 할 수 있다. 이어폰잭(171)은, 음향신호를 전달하는 단자 뿐 아니라, 이어폰에 마련된 버튼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기능을 조절할 수 있는 조작신호의 수신을 위한 단자를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124)는 DMB 등의 시청을 위한 방송신호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신호의 원활한 수신을 위하여 사용자는 바디에서 안테나(124)를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b)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측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후면 카메라(121b)는, 입체화된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좌안(left eye)용 영상과 우안(right eye)용 영상을 촬영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후면 카메라(121b)에 인접하여 위치될 수 있다. 카메라 플래쉬(123)는, 영상의 촬영시에 작동할 수 있다.
사이드키버튼(170)은, 이동 단말기(100)의 측면에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볼륨조절스위치(170)의 상측 또는 하측을 푸쉬(push)하는 동작을 통하여, 이동 단말기(100)의 음량을 조절할 수 있다.
도 3은 도 2 이동 단말기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는, 리어 바디(103)와 프론트 바디(101)를 포함하는 바디(104)와, 리어 바디(103) 측에 결합되는 배터리커버(102)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는, 교환 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250)를 차폐하여 외관을 미려하게 할 수 있다. 배터리커버(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후면 방향으로 잡아당겨 결합이 해제되는 풀타입(pull type) 방식일 수 있다. 또한, 배터리 커버(102)는, 이동 단말기(100)의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되며 결합이 해제되는 슬라이딩 타입(sliding type) 또는 버튼을 누르면 결합이 해제되는 팝업 타입(pop-up type) 방식일 수도 있다.
바디(104)는, 리어 바디(103)와 프론트 바디(101)의 결합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리어 바디(103)에는 배터리(250)의 결합을 위한 배터리 결합공(251)과 후방 카메라(121b)의 위치에 대응되는, 제1 카메라 결합공(121c)이 위치할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는, 리어 바디(103)에 대응된 형상일 수 있다. 프론트 바디(101)에는 PCB(230)가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PCB(230)는, 이동 단말기(100)의 동작에 필요한 전자 부품 및 전자 회로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도면에 자세히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이동 단말기(100)는 복수개의 PCB(Printed Circuit Board)를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후방 카메라(121b)는 PCB(230)의 하단측에서 상단측으로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리어 바디(103)에 위치한 제1 카메라 결합공(121c)와 배터리 커버(102)에 위치한 제2 카메라 결합공(121d)은, PCB(230)에 위치한 후방 카메라(121b)에 대응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도 4는 도 3 프론트 케이스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100)의 후방 카메라(121b)는 PCB(230)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PCB(230)에는 제3 카메라 결합공(121e)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즉, 후방 카메라(121b)가 제3 카메라 결합공(121e)에 삽입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PCB(230)에는, 전술한 바와 같이 각종 전자소자(70) 및 진동모터 어셈블리(10)가 실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전자소자(70)는 트랜지스터와 같은 능동형과 저항, 캐패시터와 같은 수동형을 포함한다. 집적도가 높아지며, 각종 전자소자(70)의 크기가 작아지고 있으며, PCB(230)에 실장되는 전자소자(70) 사이의 간격도 좁아지고 있다.
진동모터 어셈블리(10)는, PCB(230)의 일측에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진동모터 어셈블리(10)는,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하여 진동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콜(call)이 수신되는 경우 및/또는 터치가 입력된 경우에 선택적으로 진동모터 어셈블리(10)가 동작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다만, 콜이 수신되는 경우와 터치가 입력되는 경우의 진동 지속시간 및/또는 강도는 다를 수 있다.
도 5는 도 3 진동모터 어셈블리의 결합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 어셈블리(10)는, PCB(230)의 일측에 솔더링(soldering) 결합되어 있을 수 있다.
진동모터 어셈블리(10)는, 진동몸체(20)와, 진동몬체의 일측에서 연장된 판형(板形)의 접속단자(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동몸체(20)는, 진동모터 등으로 구성된 진동자(振動子, 미도시)를 내부에 포함하고 있을 수 있다. 진동몸체(20)는, 플라스틱재질 및/또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접속단자(30)는, 진동몸체(20)의 일측에서 연장되어 있을 수 있다. 접속단자(30)는, 진동몸체(20) 내부의 진동자(미도시)와 제어부 사이에서 전기신호의 통로로 역할 할 수 있다.
접속단자(30)는, 판형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정한 두께의 평편한 PCB로 구성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속단자(30)에는 배선(35)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배선(35)을 통하여 전기신호가 전달될 수 있다. 배선(35)은 접속단자(30)에 형성된 인쇄회로(printed circuit)일 수 있다.
접속단자(30)는, 결합공(37, 39)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적절한 지점에 결합공(37, 39)을 위치시킨 후에, 결합공(37, 39) 상단에 납땜(soldering)할 수 있다. 남땜된 납은 결합공(37, 39)을 통하여 PCB(230)에 접촉될 수 있다. 결합공(37, 39)을 통하여 PCB(230)에 접촉된 납의 온도가 떨어져 고형화되면, 접속단자(30)와 PCB(230)가 일정한 강도 이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즉, 진동모터 어셈블리(10)가 PCB(230)에 결합됨을 의미한다.
접속단자(30)를 통해 진동모터 어셈블리(10)를 PCB(230)에 결합하면, 종래와 달리 추가의 공정이 필요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진동몸체(20)에서 연장된 와이어(44)의 끝단을 PCB(230)에 결합시키던 종래에는, 진동몸체(20)에서 일정 길이 연장된 와이어(44)를 구부려 결합 지점에 와이어(44)의 끝단이 위치하도록 조절하는 공정이 필요했다. 또한, 납땜 결합한 와이어(44)가 PCB(230)에 결합된 전자소자 등과 간섭되지 않도록, 와이어(44)를 적절히 수납하는 공정이 필요했다. 나아가, 와이어(44)가 적절히 수납되지 못하여 다른 전자소자에 간섭되면, 간섭된 다른 전자소자의 무선 성능에 영향을 주는 경우도 발생할 수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에는, 와이어(44)를 결합하는 공정과 진동몸체(20)를 결합하는 공정을 별도로 수행해야 했다. 이에 반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접속단자(3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접속단자(30)를 결합하는 공정이 완료되면 자연스럽게 진동몸체(20)도 PCB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와이어(44) 등을 수납해야 하는 등의 후처리 공정이 필요하지 않다.
도 6은 도 3 진동모터 어셈블리의 분해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 어셈블리(10)는, 진동몸체(20)에 결합되는 접속단자(30)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단자(30)는, 제1 영역(A1)과 제2 영역(A2)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제2 영역(A2)은 삽입공(22)을 통하여 진동몸체(20)의 내부로 삽입될 수 있다. 진동몸체(20) 내부로 삽입된 제2 영역(A2)은, 진동몸체(20) 내부의 진동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접속단자(30)의 제1,2 영역(A1, A2)에는 보강판(40)이 결합될 수 있다. 보강판(40)은, 접속단자(30)가 진동몸체(20)에 결합되기 전에 접속단자(30)의 하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보강판(40)은, 접속단자(30)와 같은 판형이며 플라스틱 또는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다.
보강판(40)이 접속단자(30)에 결합되면, 접속단자(30)의 강성이 증가될 수 있다. 따라서 반복된 진동 및/또는 외력에 의하여 진동몸체(20)가 최초위치에서 이탈하는 현상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도 7은 도 3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PCB에 결합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진동모터 어셈블리(10)는 솔더링 방법을 통하여 PCB(230)에 결합될 수 있다. 즉, PCB(230) 상의 특정 지점에 위치한 접속단자(30)의 상부에서 납땜하는 방식을 통하여 PCB(230)와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접속단자(30)가 PCB(230)에 결합되면, 일정한 강성을 지닌 판상의 접속단자(30)에 결합된 진동몸체(20)도 PCB(230)에 결합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 어셈블리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진동모터 어셈블리(10)는, 다수의 결합공(37, 39)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공(37, 39)는, 일측에 각 2개씩 위치하고 있을 수 있다. 즉, 2개의 제1 결합공(37a, 37b)와 2개의 제2 결합공(39a, 39b)가 마련되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각 측에 복수의 결합공(37, 39)이 위치함으로 인하여, 접속단자(30)는 보다 견고히 PCB(230)에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 : 진동모터 어셈블리 20 : 진동몸체
30 : 접속단자 40 : 보강판

Claims (5)

  1. 진동자를 수용한 진동몸체; 및
    상기 진동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된 판형(板形)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진동자와의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통로인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의 각 끝단에 위치하여 솔더링(slodring) 포인트를 제공하는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제1 배선 그리고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의 끝단은 상기 진동자에서 연장되는 접속단자와 교차되는 제1 방향으로 밴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배선의 끝단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위치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1 배선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배선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2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보강판의 일부는 상기 진동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어셈블리.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 각 끝단에 복수 개 마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진동모터 어셈블리.
  4. 케이스;
    상기 케이스에 수용된 PCB; 및
    상기 PCB에 결합되는 진동모터 어셈블리를 포함하며,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는,
    진동자를 수용한 진동몸체; 및
    상기 진동몸체의 일측에서 연장된 판형(板形)의 접속단자를 포함하며,
    상기 접속단자는,
    상기 진동자와의 전기신호를 교환하는 통로인 적어도 하나의 배선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배선의 각 끝단에 위치하여 상기 PCB와의 솔더링(slodring) 포인트를 제공하는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접속단자의 적어도 일 측면에 결합되어, 상기 접속단자의 강성을 보강하는 보강판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제1 배선 그리고 제2 배선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배선의 끝단은 상기 진동자에서 연장되는 접속단자와 교차되는 제1 방향으로 밴딩되어 위치되고, 상기 제2 배선의 끝단은 상기 제1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밴딩되어 위치되고,
    상기 결합공은
    상기 제1 배선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배선의 끝단에 연결되는 제2 결합공을 포함하고,
    상기 보강판은 상기 제1 결합공과 상기 제2 결합공 사이에 위치되고, 상기 보강판의 일부는 상기 진동몸체의 내부에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4 항에 있어어서,
    콜(call) 수신 이벤트, 사용자의 터치입력의 수신 이벤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이벤트가 발생하면 상기 진동모터 어셈블리가 동작되도록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10119991A 2011-11-17 2011-11-17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802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91A KR101880220B1 (ko) 2011-11-17 2011-11-17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10119991A KR101880220B1 (ko) 2011-11-17 2011-11-17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52A KR20130054552A (ko) 2013-05-27
KR101880220B1 true KR101880220B1 (ko) 2018-08-17

Family

ID=486633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10119991A KR101880220B1 (ko) 2011-11-17 2011-11-17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8022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048B1 (ko) 2013-10-01 2020-06-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5605A (ja) * 2009-08-31 2011-03-17 Nidec Copal Corp モータ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4973B1 (ko) * 2002-05-09 2004-08-21 자화전자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의 전원인가 구조
KR100876781B1 (ko) * 2007-06-20 2009-01-07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의 가요성 인쇄회로
KR20100005290A (ko) * 2008-07-07 2010-01-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진동 발생 장치 및 방법
KR20110110613A (ko) * 2010-04-01 2011-10-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55605A (ja) * 2009-08-31 2011-03-17 Nidec Copal Corp モー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54552A (ko) 2013-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8880B1 (ko) 카메라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US9237389B2 (en) Audio port configuration for compact electronic devices
EP2066126A2 (en) Portable communications terminal having camera assembly with two cameras
DE202013103089U1 (de) Schutzhülle, welche eine Kameraverschluss-Betätigungs-Struktur und ein Bild-Aufnahme-Verfahren hat
EP2515198A2 (en) Slidable mobile terminal
US20050117763A1 (en) Hearing aid or similar audio device and method for producing a hearing aid
KR101880220B1 (ko) 진동모터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76464B1 (ko) 이동단말기 및 이에 구비된 배터리를 성형하는 프레스 금형 장치
CN208424571U (zh) 摄像头模组及具有其的电子设备
EP2610961A2 (en) Antenna assembly, method of manufacturing antenna assembly and mobile terminal having antenna assembly
US9693444B2 (en) Mobile terminal
KR101899072B1 (ko) 카메라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976182B1 (ko) Fpcb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65079A (ko) 단말기
JP2009290561A (ja) 携帯電子機器
KR20130047317A (ko) 쉴드캔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804915B1 (ko) 이동 단말기
KR100865147B1 (ko) 휴대 단말기
KR101942505B1 (ko) 이동 단말기
KR101850387B1 (ko) 이동 단말기
KR20130096923A (ko) 마이크로 폰 홀더용 장착 판을 구비하는 휴대용 단말기
KR20130055310A (ko) 터미널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20130050573A (ko) Pcb 어셈블리 및 이를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KR101789536B1 (ko) 이동 단말기
JP2009290600A (ja) アンテナ素子及び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