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420B1 -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 Google Patents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420B1
KR101942420B1 KR1020170153505A KR20170153505A KR101942420B1 KR 101942420 B1 KR101942420 B1 KR 101942420B1 KR 1020170153505 A KR1020170153505 A KR 1020170153505A KR 20170153505 A KR20170153505 A KR 20170153505A KR 101942420 B1 KR101942420 B1 KR 10194242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gnetic force
plate
window
cleaning
clean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5350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배경진
Original Assignee
배경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경진 filed Critical 배경진
Priority to KR10201701535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2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00Cleaning windows
    • A47L1/06Hand implements
    • A47L1/12Hand implements for cleaning both sides simultaneously

Landscapes

  • Cleaning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한 쌍의 청소유닛이 자기적 인력에 의해 창문의 양쪽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창문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창문의 외부면을 닦아주는 창문닦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청소유닛을 안정적으로 이동 및 분리시키기 위해 창문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제1청소유닛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자력의 차단 및 개방을 사용자가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창문 세척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Window washer unit has self-regulating magnetism}
본 발명은 한 쌍의 청소유닛이 자기적 인력에 의해 창문의 양쪽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창문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창문의 외부면을 닦아주는 창문닦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문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청소유닛을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창문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창문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제1청소유닛에 내장된 자력체에서 외부로 방사하는 자력의 개방 및 차단을 사용자가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창문 세척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물의 벽면에 설치된 유리 창문들은 오랫동안 방치하게 되면 외부의 먼지, 공해 등의 영향으로 쉽게 오염되어 지저분해지거나 채광성이 떨어지게 되므로 건물의 외벽에 설치된 창문들의 경우 자주 닦아 청소해주는 것이 좋다.
하지만, 이러한 창문 닦기 작업에 있어서 사람의 손이 닿는 안쪽 면의 경우에는 걸레 등을 이용하여 비교적 용이하게 청소할 수 있지만 사람의 손이 잘 닿지 않는 바깥쪽 면의 경우에는 청소작업이 매우 번거로우므로 1년에 몇 번 청소하지 않고 더러운 창문을 그대로 방치해 두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고층 아파트의 베란다 창문과 같은 경우에 있어서 사람이 창문의 바깥쪽 면을 닦기 위해서는 몸을 내밀어 밖을 내다보며 창문을 닦아야 하는바, 청소의 불편함은 물론 안전상으로도 상당히 위험하다는 문제가 있어 보다 편리하고 안전하게 창문을 닦을 수 있는 다양한 창문 닦기 기구들이 개발되어 왔다.
이러한 창문 닦기 기구들로서 현재 가장 편리하게 이용되고 있는 것들은 자석을 이용하여 유리창의 양측면을 건물의 내측에서 청소할 수 있게 하는 이른바 자석식 양면 유리창 청소기구라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기존의 양면 유리창 청소 기구의 구성을 보게 되면, 각 제품에 따라 세부 구성에는 다소 차이가 있지만 기본적으로 자석이 내장된 한 쌍의 청소구를 창문의 실내, 외측면에 각각 위치시켜 자석의 자력에 의해 서로 부착을 유지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실내측의 유리 청소구를 잡고 창문 표면을 따라 이동시키면, 자석의 자력에 의해 실외면의 유리 청소구가 실내면의 청소구를 따라 함께 이동함으로써 유리창의 실내외 면의 세척 작업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자석식 청소 기구들은 실내에서도 유리창의 외부를 청소할 수 있으나, 청소할 수 있는 면적이 작으며, 크기가 커서 자력이 약할 경우 외부 청소 도구가 유리창으로부터 분리되어 낙하할 위험이 있다.
또한, 한 개의 큰 자석으로 외부청소도구와 내부청소도구를 서로 접착시키고, 하나의 자석만으로 안팎의 청소도구를 서로 접착할 경우 두 청소도구가 접착될 때 순간적으로 자석이 접착되는 힘에 의해 서로 분리가 되지 않거나 유리창이 파손될 우려가 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등록특허 제10-1320615호 자기 인력의 조절이 가능한 창문 청소 장치 및 그 제어방법은 2개의 자석 사이의 간격을 능동적으로 조절하여 자기적 인력을 적절한 크기로 유지시킬 수 있도록 하였으나, 센서모듈, 구동모터 등으로 전원을 공급해야하므로 구조가 복잡하고, 무게가 무거워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KR 10-1320615 (등록번호) 2013.10.15 KR 20-0255007 (등록번호) 2001.11.09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한 쌍의 청소유닛을 자기적 인력에 의해 창문의 양쪽면에 각각 부착한 상태에서 창문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시 창문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청소유닛을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창문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창문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제1청소유닛에 내장된 자력체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자력의 개방 및 차단을 사용자가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창문 세척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창문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제1청소유닛의 외측면에 장착된 손잡이를 돌려서 제1청소유닛에 내장된 자력체가 노출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자력을 조절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필요없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창문의 내부면에만 자력체가 구비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하여 창문 외부면에 결합되어 창문의 외부면을 청소하는 제2청소유닛을, 창문의 내부면에서 자기력을 오프시켜 창문 외부면에 결합된 제2청소유닛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내측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는 조절판(110)과; 상기 조절판(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자력체(121)가 삽입고정되는 자력체 결합구(120a)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자석판(120)과; 상기 자석판(1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자력체(121)가 노출되는 자력체 노출구(130a)가 형성되는 덮개판(130)과; 상기 자력체(121)에 대응하는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자력체 조절구(140a)가 형성되고, 래크(141)와 결합되는 피니언(14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되는 기어 이동구(140b)가 형성되는 차단판(140)과; 상기 차단판(140)이 내측에 삽입 안착되도록 단턱(150a)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장착되는 롤러(151)에 의해 상기 덮개판(130) 상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롤러판(150)과; 상기 조절판(110)과 결합되며 창문쪽에 위치하는 부착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청소유닛(100)과; 상기 제1청소유닛(10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청소유닛(100)에 창문을 사이에 두고 부착되는 제2청소유닛(20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조절판(110)은 내측면의 모서리에 볼(111a)과, 상기 볼(111a)이 삽입결합되는 볼결합구(111b)가 삽입되는 볼결합부 삽입구(110a)가 형성되고, 상기 볼(111a)은 상기 부착판(160)을 관통하여 부착판의 외측으로 돌출된다.
아울러, 상기 제1청소유닛(100)에는 상기 조절판(110)의 외측면에서 피니언(142)과 결합장착되는 손잡이(170)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덮개판(130)에 형성되는 자력체 노출구(130a)와, 상기 차단판(140)의 양측에 형성되는 자력체 조절구(140a)는 상기 자력체(121)에 대응하는 형태와 개수로 구비된다.
상기 덮개판(130)은 상기 차단판(140) 및 롤러판(150) 보다 그 면적이 더 넓다.
상기 자력체 노출구(130a) 사이의 간격과, 상기 차단판(140)의 양측에 형성되는 자력체 조절구(140a) 사이의 간격이 동일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한 쌍의 청소유닛을 자기적 인력에 의해 창문의 양쪽면에 각각 부착한 상태에서 창문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시 창문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청소유닛을 안정적으로 이동하도록 하고, 창문으로부터 안정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해 창문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제1청소유닛에 내장된 자력체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자력의 개방 및 차단을 사용자가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창문 세척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창문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제1청소유닛의 외측면에 장착된 손잡이를 돌려서 상기 제1청소유닛에 내장된 자력을 차단하는 차단판이 이동하여 자력체의 노출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자력을 조절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필요없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제1청소유닛의 조절판에 볼을 삽입장착하고, 상기 볼이 창문과 맞닿는 부착판에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에 의해 창문의 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창문의 내부면에만 자력체가 구비된 상태에서 자력에 의하여 창문 외부면에 결합되어 창문의 외부면을 청소하는 제2청소유닛을, 창문의 내부면에서 자기력을 오프시켜 창문 외부면에 결합된 제2청소유닛을 쉽게 분리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의 제1청소유닛의 결합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의 제1청소유닛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의 제1청소유닛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청소유닛의 부분 단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청소유닛의 차단판과 롤러판이 이동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청소유닛의 차단판과 롤러판이 이동되는 상태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청소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청소유닛과 제2청소유닛이 창문의 양면에 부착된 상태의 단면도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청소유닛의 손잡이를 돌려 제2청소유닛이 창문으로부터 분리되는 상태의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도 1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청소유닛이 자기적 인력에 의해 창문(10)의 양쪽면에 각각 부착된 상태에서 창문(10)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건물 내부에서 창문(10)의 외부면을 닦아주는 창문닦이 장치에 있어서,
내측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는 조절판(110)과,
상기 조절판(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자력체(121)가 삽입고정되는 자력체 결합구(120a)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복수개로 형성되는 자석판(120)과,
상기 자석판(120)의 상부에 위치하며, 상기 자력체(121)가 노출되는 자력체 노출구(130a)가 일정간격 이격형성되는 덮개판(130)과,
상기 자력체(121)에 대응하는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자력체 조절구(140a)가 형성되고, 중심부에 래크(141)와 결합되는 피니언(14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되는 기어 이동구(140b)가 형성되는 차단판(140)과,
상기 차단판(140)이 내측에 삽입 안착되도록 단턱(150a)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장착되는 롤러(151)에 의해 상기 덮개판(130) 상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롤러판(150)과,
내측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조절판(110)과 결합되며 창문쪽에 위치하는 부착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청소유닛(100)과,
상기 제1청소유닛(100)의 자력에 의해 창문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청소유닛(100)에 부착되는 제2청소유닛(20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조절판(11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내측면에 오목한 사각형의 홈부가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내측면의 돌출된 가장자리에서 네모서리에 볼(111a)과, 상기 볼(111a)이 삽입결합되는 볼결합구(111b)가 삽입되는 볼결합부 삽입구(110a)가 형성된다.
상기 볼(111a)은 상기 조절판(110)과 결합되는 부착판(160)을 관통하여 창문(10)의 내부면을 따라 이동시 회전하며 창문(10)을 닦는 작업을 용이하게 하도록 한다.
상기 조절판(110)에는 내측으로 상기 자석판(120) 및 덮개판(130)이 차례로 삽입되며, 상기 덮개판(130)과 결합되기 위한 덮개판 결합수단(112)이 삽입되는 덮개판결합수단 삽입구(110b)가 관통형성되어 상기 덮개판 결합수단(112)이 상기 조절판(110)의 외측면에서 상기 덮개판결합수단 삽입구(110b)로 삽입되고 상기 덮개판(130)을 고정시키게 된다.
또한, 상기 조절판(110)에는 가장자리에 상기 부착판(160)과 결합되기 위한 부착판 결합수단(113)이 삽입되는 부착판결합수단 삽입구(110c)가 더 형성구비되어 상기 부착판결합수단 삽입구(110c)로 삽입되는 부착판 결합수단(113)에 의해 상기 부착판(160)과 결합되게 된다.
상기 덮개판 결합수단(112) 및 부착판 결합수단(113)은 일정길이의 나사류인 비스로 이루어지게 되며, 상기 덮개판 결합수단(112)보다 부착판 결합수단(113)의 길이가 더 길게 구비된다.
상기 자석판(120)은 플라스틱판 또는 철판으로 이루어지고, 복수개(도면에서는 3개로 도시함)의 자력체(12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삽입고정되는 자력체 결합구(120a)가 형성된다. 상기 자력체(121)는 일정한 자력을 가지는 영구자석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 자석판(120)의 상부에 배치되는 덮개판(130)은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차단판(140) 및 롤러판(150) 보다 넓은 면적(길이 방향으로 길게)으로 형성되어 상기 자석판(120)을 덮고 상기 조절판(110)에 고정결합하도록 가장자리에 덮개판결합수단 관통구(130b)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며, 상기 덮개판결합수단 관통구(130b)를 관통한 덮개판 결합수단(112)에 결합너트(131)를 끼워 고정결합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덮개판(130)에는 상기 자력체(121)에 대응하는 형태와 개수로 이루어지고 상기 자력체(121)가 노출되도록 하는 자력체 노출구(130a)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형성되어 자력체(121)가 노출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자력체(121)에서 방사되는 자력은 자력체 노출구(130a)로만 덮개판(130)을 통과할 수 있어 자력의 온/오프 제어를 쉽게 할 수 있다. 상기 자력체 노출구(130a)는 자력체와 자력체조절구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자력체의 자력의 세기에 따라 결정되다. 다만, 그 형상과 개수는 서로 동일하다.
상기 덮개판(130)의 상부에는 상기 차단판(140)이 삽입 및 안착되는 롤러판(150)이 배치되고, 상기 차단판(140)에는 통공으로 형성되는 자력체 조절구(140a) 및 중심부에 기어 이동구(140b)가 형성되며, 상기 자력체 조절구(140a)는 상기 자력체(121)에 대응하는 형태와 개수로 이루어진다. 상기 자력체(121)가 세 개이면 상기 자력체 조절구(140a)도 세 개로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기어 이동구(140b)는 상기 자력체 조절구(140a) 중 중앙에 위치한 자력체 조절구와 겹치고 있으나, 자력체의 수가 적거나 조절판의 길이가 길 경우에는 겹치지 않을 수도 있다.
상기 기어 이동구(140b)는 상기 자력체(121)가 노출되어 상기 자력체(121)의 자력을 차단 및 개방할 수 있도록 상기 자력체(121)에 대응하는 형태로 이루어지되, 양측으로 돌출된 홈이 형성되어 상기 래크(141)와 결합되는 피니언(142)이 회전하며 가이드될 수 있도록 공간을 더 형성하게 된다. 상기 피니언(142)은 조절판(110)의 외부면에 형성된 손잡이(170)와 결합되며, 이 결합부가 상기 양측으로 돌출된 홈 사이를 이동한다. 피니언(142)과 손잡이(170)가 충분히 강하게 결합되면 조절판(110)의 손잡이를 회전시킬때에 피니언(142)이 회전되고, 피니언의 회전에 의하여 래크(141)가 이동하며, 래크의 이동에 따라 차단판(140)이 이동하려는 힘을 받고, 이때 차단판(140)과 결합된 롤러판(150)이 롤러의 이동으로 덮개판(130) 상부에서 이동되게 된다.
상기 롤러판(150)은 상하부가 개방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내측으로 돌출되는 단턱(150a)이 형성되어 상기 단턱(150a)에 상기 차단판(140)의 양단이 안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롤러판(150)의 양측면에는 롤러(151)가 일정간격 이격되어 다수개 설치되어 상기 덮개판(130) 상부에서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롤러판(150)의 횡방향 두 측면에는 상기 덮개판(130)의 볼록한 상부면에 대응하는 홈이 하부에 형성되어 상기 덮개판(130)이 상기 롤러판(150)에 걸리지 않고, 상기 덮개판(130) 상부에서 상기 롤러판(150)이 쉽게 이동하도록 구비된다.
상기 차단판(140)은 자력체 조절구가 아닌 판 부분이 상기 자력체(121)를 가리게 되면 상기 자력체(121)의 자력을 차단하도록 구비되며, 래크(141)와, 상기 래크(141)를 따라 회전하는 피니언(142)이 상부에 배치되게 된다. 차단판(140)이 롤러판(150)의 이동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어 하부에 위치한 자력체 조절구(140a)가 덮개판(130)의 자력체 노출구(130a), 또한 그 하부에 위치한 자력체(121)와 상하로 위치하게 되면 자력체(121)에서 방사된 자력이 자력체 노출구와 자력체 조절구를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다. 차단판(140)은 그 재질이 아연 또는 니켈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청소유닛(100)에는 상기 조절판(110)의 외측면에서 상기 피니언(142)과 결합장착되는 손잡이(170)를 더 구비하여 상기 손잡이(170)를 돌리면 피니언(142)이 회전하여 상기 피니언(142)이 회전하며 가이드되는 기어 이동구(140b)가 형성되는 차단판(140)이 삽입 안착된 롤러판(150)이 이동하게 된다. 상기 손잡이는 사용하기 편하도록 좀더 크게 요철이 더 연결체(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손잡이(170)는 상기 조절판(110)의 중심에 관통형성되는 손잡이 결합구(110d)에 삽입되는 중심축(171)에 의해 상기 조절판(110)에 결합되고, 상기 중심축(171)과 피니언(142)이 결합되어 상기 피니언(142)을 회전시키게 되며, 상기 피니언(142)이 회전하며 상기 래크(141)와 결합되는 차단판(140)이 좌우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상기 차단판(140)이 안착된 롤러판(150)이 이동하며 상기 차단판(140)이 자력체(121)를 가리게 되면 상기 자력체(121)의 자성이 차단되며 자력을 조절할 수 있게 되며, 자력이 전혀 나오지 않는 상태까지도 쉽게 조절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자력 조절의 구성은 창문닦기 이외에 자력을 온/오프하여 동작하는 다양한 스위치로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스위치는 부착판(160)과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의 구성과 온/오프를 통하여 개폐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사용 용도는 매우 넓다고 할 수 있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상기 제1청소유닛(100)을 창문(10)의 내부면에 배치하고, 상기 제2청소유닛(200)을 창문(10)의 외부면에 배치하여 상기 제1청소유닛(100)에서 방사되는 자력에 의해 서로를 결합시킨 후 이동시키며 창문(10)의 세척작업을 하게 되며, 세척작업이 끝난 후 제1청소유닛(100)의 손잡이(170)를 돌려서 자력체(121)의 자력을 차단하여 상기 제2청소유닛(200)을 창문(10)으로부터 쉽고 안정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도록 구비된다.
상기 부착판(160)은 상기 창문(10)의 내부면에 맞닿는 면으로 플라스틱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조절판(110)처럼 내측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된 사각의 프레임으로 구비되되, 네모서리에 볼(111a)이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볼관통구(160a)가 형성되어 상기 볼(111a)이 창문(10)을 따라 미끄러지며 쉽게 이동할 수 있게 구비되며, 가장자리에 일정간격 이격되어 부착판결합수단 관통구(160b)가 형성되어 상기 부착판 결합수단(113)이 상기 조절판(110)과 부착판(160)을 관통하여 서로 결합되도록 구비된다.
상기 제2청소유닛(200)은 상기 제1청소유닛(100)에 부착될 수 있는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청소유닛(200)에는 창문(10)을 세척하기 위한 세척수단(210)이 결합구비되며, 상기 세척수단(210)은 청소용 와이퍼 또는 걸레로 이루어지며, 창문 보호를 위하여 청소용 와이퍼 또는 걸레 후면에 부드러운 재질의 플라스틱과 그 후면에 철판, 그 후면에 다시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한 쌍의 청소유닛을 자기적 인력에 의해 창문(10)의 양쪽면에 각각 부착한 상태에서 창문(10) 표면을 따라 이동하면서 청소시 창문(10)의 외부면에 위치하는 제2청소유닛(200)을 안정적으로 이동 및 분리시키기 위해 창문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제1청소유닛(100)에 내장된 자력체(121)에서 외부로 방사되는 자력의 개방 및 차단을 사용자가 조절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창문 세척작업의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창문(10)의 내부면에 위치하는 제1청소유닛(100)의 외측면에 장착된 손잡이(170)를 돌려서 상기 제1청소유닛(100)에 내장된 자력체(121)가 노출되는 면적을 조절하여 자력을 조절함으로써, 전원 공급이 필요없고, 단순한 구조로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제1청소유닛(100)의 조절판(110)에 볼(111a)을 삽입장착하고, 상기 볼(111a)이 창문(10)과 맞닿는 부착판(160)에 돌출되도록 형성함으로써, 상기 볼(111a)에 의해 창문(10)의 표면을 따라 부드럽게 이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는 제1청소유닛(100)이 제2청소유닛(200)을 자력에 의해 창문(10)에 부착하도록 함으로써, 일정한 힘으로 창문 세척작업이 이루어지도록 하고, 상기 제2청소유닛(200)이 창문에서 이탈하여 추락하는 사고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10 : 창문
100 : 제1청소유닛 110 : 조절판
110a : 볼결합부 삽입구 110b : 덮개판결합수단 삽입구
110c : 부착판결합수단 삽입구 110d : 손잡이 결합구
111a : 볼 111b : 볼결합부
112 : 덮개판 결합수단 113 : 부착판 결합수단
120 : 자석판 120a : 자력체 결합구
121 : 자력체 130 : 덮개판
130a : 자력체 노출구 130b : 덮개판결합수단 관통구
131 : 결합너트 140 : 차단판
140a : 자력체 조절구 140b : 기어 이동구
141 : 래크 142 : 피니언
150 : 롤러판 150a : 단턱
151 : 롤러 160 : 부착판
160a : 볼관통구 160b : 부착판결합수단 관통구
170 : 손잡이 171 : 중심축
200 : 제2청소유닛 210 : 세척수단

Claims (6)

  1. 내측에 오목한 홈부가 형성되는 조절판(110)과;
    상기 조절판(110)의 내측에 배치되고, 자력체(121)가 삽입고정되는 자력체 결합구(120a)가 복수개로 구비되는 자석판(120)과;
    상기 자석판(120)의 외측에 위치하며, 상기 자력체(121)가 노출되는 자력체 노출구(130a)가 형성되는 덮개판(130)과;
    상기 자력체(121)에 대응하는 통공으로 이루어지는 자력체 조절구(140a)가 형성되고, 래크(141)와 결합되는 피니언(142)이 회전하면서 가이드되는 기어 이동구(140b)가 형성되는 차단판(140)과;
    상기 차단판(140)이 내측에 삽입 안착되도록 단턱(150a)이 형성되고, 양측면에 장착되는 롤러(151)에 의해 상기 덮개판(130) 상부에서 좌우로 이동되는 롤러판(150)과;
    상기 조절판(110)과 결합되며 창문쪽에 위치하는 부착판(16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제1청소유닛(100)과;
    상기 제1청소유닛(100)의 자력에 의해 상기 제1청소유닛(100)에 창문을 사이에 두고 부착되는 제2청소유닛(200)이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판(110)은 내측면의 모서리에 볼(111a)과, 상기 볼(111a)이 삽입결합되는 볼결합구(111b)가 삽입되는 볼결합부 삽입구(110a)가 형성되고,
    상기 볼(111a)은 상기 부착판(160)을 관통하여 부착판의 외측으로 돌출되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청소유닛(100)에는 상기 조절판(110)의 외측면에서 피니언(142)과 결합장착되는 손잡이(170)를 더 포함하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30)에 형성되는 자력체 노출구(130a)와, 상기 차단판(140)의 양측에 형성되는 자력체 조절구(140a)는 상기 자력체(121)에 대응하는 형태와 개수로 구비되는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판(130)은 상기 차단판(140) 및 롤러판(150) 보다 그 면적이 더 넓은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자력체 노출구(130a) 사이의 간격과, 상기 차단판(140)의 양측에 형성되는 자력체 조절구(140a) 사이의 간격이 동일한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KR1020170153505A 2017-11-17 2017-11-17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KR1019424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05A KR101942420B1 (ko) 2017-11-17 2017-11-17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53505A KR101942420B1 (ko) 2017-11-17 2017-11-17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2420B1 true KR101942420B1 (ko) 2019-01-28

Family

ID=652699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53505A KR101942420B1 (ko) 2017-11-17 2017-11-17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420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250A (ko) 2021-05-18 2022-1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지형 자력조절모듈
KR102637716B1 (ko) 2023-09-14 2024-02-19 정윤태 레일형 창문 클리너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524577U (zh) 2013-08-29 2014-04-09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双面擦窗器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524577U (zh) 2013-08-29 2014-04-09 嘉兴捷顺旅游制品有限公司 双面擦窗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6250A (ko) 2021-05-18 2022-11-25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웨지형 자력조절모듈
KR102637716B1 (ko) 2023-09-14 2024-02-19 정윤태 레일형 창문 클리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420B1 (ko) 자력조절이 가능한 창문닦이 장치
KR100215048B1 (ko) 공기조화기의 토출구 개폐장치
US6595262B2 (en) Roll-up curtain assembly for partitioning space into a private area
CA2727230A1 (en) User-configurable waterproof camera case
US7331369B2 (en) Sliding door magnetic latch
KR200390369Y1 (ko) 창틀 청소용구
CA2590862A1 (en) Automated shutter control
US10638890B2 (en) Toilet paper enclosure
CN105873483A (zh) 用于具有直线型和曲线型形状的层状帘的可消耗用和一次性用的筒状物
JP3622153B2 (ja) 窓開閉装置
KR20190035006A (ko) 유리창 청소 조절수단을 갖는 유리창 청소로봇
CN114901108A (zh) 掩蔽或日光保护装置的机动驱动装置、掩蔽或日光保护装置及相关联的设备
GB2559882B (en) A detachable guide assembly for a shower enclosure door
KR100606286B1 (ko) 마그네틱 슬라이드 장치 및 이를 이용한 마그네틱슬라이드방식의 윈도우 블라인딩 시스템
EP1366698A1 (en) Roll-up curtain assembly for partitioning space into a private area
KR100708424B1 (ko) 유리창 분리가 가능한 주택용 샤시
CN216620212U (zh) 清洁装置及具有其的空调室内机
KR200189671Y1 (ko) 타이머 설정에 따른 자동 창문과 환풍기
KR200481687Y1 (ko) 환기창용 셔터 개폐장치의 결로 방지 장치
KR101999332B1 (ko) 유리판 내외부 습기제거장치
KR200397324Y1 (ko) 통풍구 개폐 수단을 구비하는 통풍창
KR200305524Y1 (ko) 유리창 양면 청소기구
KR200256755Y1 (ko) 블라인드의 분리형 자동개폐장치
JP4142302B2 (ja) リモコンスイッチ
CN220285523U (zh) 一种宠物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