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419B1 -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 Google Patents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419B1
KR101942419B1 KR1020170093747A KR20170093747A KR101942419B1 KR 101942419 B1 KR101942419 B1 KR 101942419B1 KR 1020170093747 A KR1020170093747 A KR 1020170093747A KR 20170093747 A KR20170093747 A KR 20170093747A KR 101942419 B1 KR101942419 B1 KR 1019424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anion animal
plate
mat
enclosure
fasten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937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6087A (ko
Inventor
신재원
고영준
서형수
Original Assignee
알서포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서포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알서포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0937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419B1/ko
Publication of KR201801160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608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4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4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1Removal of dung or urine, e.g. from stables
    • A01K1/0107Cat trays; Dog urinals; Toilets for pe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01G20/20Cultivation on mat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3/00Manure or urine pouch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29/00Other apparatus for animal husbandry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Zoology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받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 함체(40) 내부에는 천연 소재 식생재(31)가 적재되고 식생재(31)에는 초본식물(草本植物)(20)이 조밀하게 식재되어,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초본식물(20) 사이로 은폐됨과 동시에 배설물내 수분이 초본식물(20)의 뿌리 및 식생재(31)에 흡수되되, 다수의 함체(40)가 측면이 상호 결속되는 방식으로 조합됨으로써, 배변매트(10)의 평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잔디 등 초본식물(20)이 조밀하게 식재된 매트를 반려동물의 실내 배변 처리에 활용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효과적으로 은폐하여 미관을 확보함과 동시에 배설물내 수분의 신속한 흡수 및 초본식물(20)의 방취 효과를 통하여 악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다수의 단위 배변매트(10)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반려동물의 종류나 성장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배변매트(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VEGETATION TYPE COMBINATION DEFECATION MAT FOR COMPANION ANIMAL}
본 발명은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받는 매트에 관한 것으로, 장방형 함체(40) 내부에는 천연 소재 식생재(31)가 적재되고 식생재(31)에는 초본식물(草本植物)(20)이 조밀하게 식재되어,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초본식물(20) 사이로 은폐됨과 동시에 배설물내 수분이 초본식물(20)의 뿌리 및 식생재(31)에 흡수되되, 다수의 함체(40)가 측면이 상호 결속되는 방식으로 조합됨으로써, 배변매트(10)의 평면적을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반려동물의 실내 사육이 확산됨에 따라 반려동물 배설물의 위생적이고 간편한 처리 필요성이 대두되었으며, 다양한 관련 제품이 개발되고 있다.
실내에서 사육되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은 지정된 장소에서 배변 훈련을 반복함으로써 배변 장소를 설정하고 배변 장소에 배설된 배설물을 수거하여 폐기하는 방식으로 처리되는데, 배설물과 직접 접촉되어 배설물을 수용하고 배설물내 수분을 흡수하는 일회용 패드가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관련 종래기술로는 공개특허 제2013-45758호 등을 들 수 있다.
공개특허 제2013-45758호를 비롯한 종래의 반려동물용 패드는 일종의 일회용 흡수재로서 투수층, 흡습층 및 방수층 등 다층 구조를 가지며, 지물(紙物) 및 합성수지로 제작된다.
이러한 종래의 반려동물용 패드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간편하게 처리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다음과 같은 다양한 문제점을 가진다.
우선, 종래의 반려동물용 패드는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단순 수용 내지 흡수하는 구조로서, 사용과정에서 반려동물의 배설물이 외부에 그대로 노출될 수 밖에 없을 뿐 아니라, 배설물이 없는 상태의 반려동물용 패드 자체 역시 반려동물의 배변에 대비하여 상시 펼쳐 놓을 수 밖에 없으므로 실내 미관이 심각하게 훼손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일단 배변이 이루어진 패드에서는 악취가 발산되므로 장시간 사용이 불가능하여, 배변 후 신속히 폐기하는 1회용 사용이 불가피한 문제점이 있었다.
즉, 패드의 배설물 수용 내지 흡수 용량을 하회하는 미량의 배변만이 이루어진 경우에도 악취와 미관상 문제로 인하여 빈번하게 패드를 교체할 수 밖에 없는 바, 패드 교체는 물론 폐기물 처리에 막대한 비용이 소모될 수 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종래의 반려동물용 패드에는 흡습재로서 흡수팽윤(吸水膨潤) 특성을 가진 고분자화합물이 적용되며, 피복재로서 다량의 난분해성 합성수지가 적용되는 바, 자연상태에서의 분해가 어려울 뿐 아니라 소각 등의 처리과정에서도 2차오염을 수반하는 등 심각한 환경오염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반려동물의 종류나 성장 상태에 따라 다양한 크기의 배변 처리 수단이 요구됨에도 불구하고, 종래의 반려동물 패드 등은 획일화된 규격이 적용되는 바, 소형 반려동물의 경우 불필요한 자원 낭비가 초래되고, 대형 반려동물의 경우 배변 처리 수단의 적용이 불가능하여 실내 사육에 막심한 애로점이 초래되는 실정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반려동물용 패드 등의 배변 처리 수단은 반복되는 배변 훈련을 통하여 반려동물이 해당 수단을 자신의 배변 장소로 인식하도록 할 필요가 있는데, 종래의 패드는 자연상태의 지면은 물론 실내 공간과도 이질적인 재질 및 외관을 가지는 바, 반려동물이 경계심 내지 공포감을 가질 수 밖에 없으며, 이로 인하여 배변 습관 형성에 장애가 유발되는 심각한 문제점을 가진다.
특히, 이러한 배변 훈련상 문제점은 단순히 배변 처리 편의성 저하에 그 영향이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반려동물의 신체적 건강은 물론 정서상 안정성에도 심대한 악영향을 미칠 수 밖에 없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창안된 것으로, 1회용 반려동물용 패드의 한계를 탈피하여, 장시간 반복 사용이 가능한 반려동물용 배변매트(10)를 제공하되, 실내 미관을 확보하고 악취를 저감하며, 폐기물로 인한 환경오염을 억제함과 동시에, 반려동물의 건전한 배변 습관을 형성하고, 배변매트(10)를 크기를 사용자가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을 목적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창안된 것으로, 반려동물 배변매트에 있어서, 평면상 장방형의 저판(42) 외곽에 측판(41)이 형성된 함체(40)가 구성되고, 함체(40) 내부에는 식생재(31)가 적재되고, 식생재(31)에는 초본식물(20)이 식재되어, 함체(40) 상측으로 초본식물(20)이 노출되며, 함체(40)의 일측 측판(41)에는 결합슬릿(45)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타측 측판(41)에는 돌출판(46)이 형성되어, 다수의 함체(40)가 조합되되, 조합대상 함체(40)의 결합슬릿(45)과 돌출판(46)이 상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이다.
또한, 반려동물 배변매트에 있어서, 평면상 장방형의 저판(42) 외곽에 측판(41)이 형성된 함체(40)가 구성되고, 함체(40) 내부에는 식생재(31)가 적재되고, 식생재(31)에는 초본식물(20)이 식재되어, 함체(40) 상측으로 초본식물(20)이 노출되며, 다수의 함체(40)가 조합되되, 조합대상 함체(40)의 측벽이 상호 밀착되고, 체결홈(51)이 절개 형성된 체결판(50)이 밀착된 측벽에 결합되어, 밀착된 측벽이 상호 결속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이다.
또한, 상기 함체(40)의 모서리 부위의 측벽에는 보강절곡선(47)이 형성되되, 보강절곡선(47)의 상단은 측판(41) 상단에 형성되고, 하단은 함체(40) 모서리에 형성되어, 보강절곡선(47)을 따라 측판(41)이 절곡됨으로써, 함체(40)의 모서리 부위가 보강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이다.
또한, 상기 함체(40)의 상부에는 덮개(60)가 결합되되, 덮개(60)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61)의 내측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침(63)이 형성되어, 덮개(60)의 함체(40) 결합시, 지지침(63)이 초본식물(20)이 식재된 식생재(31)에 압입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이다.
또한, 상기 함체(40)의 측판(41)에는 체결판(50)의 외곽과 동일한 형상의 체결판절개선(55)이 절개 형성되고, 체결판절개선(55) 양측의 측판(41)을 연결하는 연결부(56)가 형성되어, 연결부(56)가 파단되어 체결판절개선(55) 내측 측판(41)이 분리됨으로써 체결판(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이다.
본 발명을 통하여, 잔디 등 초본식물(20)이 조밀하게 식재된 매트를 반려동물의 실내 배변 처리에 활용함으로써, 반려동물의 배설물을 효과적으로 은폐하여 미관을 확보함과 동시에 배설물내 수분의 신속한 흡수 및 초본식물(20)의 방취 효과를 통하여 악취 발생을 억제할 수 있으며, 다수의 단위 배변매트(10)를 조합하는 방식으로, 반려동물의 종류나 성장 상태에 따라 사용자가 자유롭게 배변매트(10)의 크기를 조절할 수 있어 사용자 편의를 획기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미관 확보 및 악취 저감을 통하여, 반려동물 배변매트(10)를 장기간 반복 사용할 수 있어 종래 1회용 반려동물용 패드의 고질적인 문제점이었던 다량의 폐기물 발생 및 이로 인한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으며, 재질 특성상 용이한 자연 분해가 가능하여 폐기물 처리 과정에서 발생되는 환경오염 역시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반려동물의 종류나 성장 상태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배변매트(10)를 적용함으로써, 자원 낭비를 방지하고 폐기물 발생을 억제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특히, 자연상태의 초지에 근접한 환경을 실내에 조성함으로써, 반려동물의 건전한 배변 습관 형성은 물론 정서적 안정을 도모할 수 있으며, 이로써 반려동물의 건강을 증진하고 사용자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위 배변매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 단위 배변매트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조합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사용상태 대표단면도
도 5는 본 발명 함체의 일 실시예 전개도
도 6은 본 발명의 함체 발췌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체결판 적용 실시예 함체 조합방식 설명도
도 8은 본 발명의 체결판 일체형 실시예의 함체 발췌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덮개 결합 실시예 적층상태 사시도
본 발명의 상세한 구성을 첨부된 도면을 통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은 본 발명을 구성하는 단위 배변매트(10)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상기 단위 배변매트(10)의 분해사시도로서,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변매트(10)는 평면상 장방형의 저판(42) 외곽에 측판(41)이 형성된 함체(40)가 구성되고, 함체(40) 내부에는 식생재(31)가 적재되고, 식생재(31)에는 초본식물(20)이 식재되어, 함체(40) 상측으로 초본식물(20)이 노출되며, 함체(40)의 일측 측판(41)에는 결합슬릿(45)이 절개되어 형성되고, 타측 측판(41)에는 돌출판(46)이 형성되어 구성되며, 도 3에서와 같이, 다수의 함체(40)가 조합되되, 조합대상 함체(40)의 결합슬릿(45)과 돌출판(46)이 상호 결속되는 구조를 가진다.
즉, 본 발명의 함체(函體)(40)는 식생재(31) 및 초본식물(20)을 적재하는 일종의 용기로서, 골판지 또는 마분지 등의 지물(紙物)로 제작되며, 함체(40)의 측면부가 상호 결속됨으로써, 다수의 함체(40)가 조합되면서, 평면상 배변매트(10)의 면적이 조절되는 것이다.
도 2에서와 같이, 함체(40)에 적재되는 식생재(31)는 초본식물(20)의 뿌리가 활착되는 기반재로서, 수피(樹皮) 등의 천연 편상체(片狀體)나, 코이어(coir) 또는 황마 등의 천연 섬유가 판상으로 편성되어 적용될 수 있다.
식생재(31)에 대한 초본식물(20)의 식재 방식은 식생재(31)에 식재 대상 초본식물(20)의 종자를 파종하여 발아되도록 하는 방식이 적용되며, 발아된 초본식물(20)의 뿌리가 식생재(31) 조직에 침투 및 결속됨으로써, 초본식물(20)과 식생재(31)가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용되는 초본식물(20)로는 벤트그라스(bent grass) 및 켄터키 블루그라스(Kentucky bluegrass) 등의 잔디류를 들 수 있으며, 이들 잔디류는 파종 후 수일내 발아되고 수개월의 재배 기간을 거치면 식생재(31) 표면에 조밀하게 분포하게 된다.
이렇듯 함체(40)에 적재된 식생재(31)에 초본식물(20)이 조밀하게 식재되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 배변매트(10)는 유통 및 판매 과정에서 별도의 관수(灌水) 없이도, 잔디류의 경우 수십일 이상 생존이 가능하므로 일반 소매 판매는 물론 통신 판매 등 다양한 방식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배변매트(10)를 구성하는 함체(40)는 지물이 절곡 내지 절첩되고 접착되어 제작되는 지물제 장방형 용기인데, 도 2에서와 같이, 저판(42) 상면과, 저판(42) 외곽에서 상측으로 기립, 돌출되는 측판(41) 내부면 사이의 공간에 초본식물(20)이 식재된 식생재(31)가 적재되는 바, 초본식물(20) 및 식생재(31)에 함유된 수분에 함체(40) 본체가 상시 노출될 뿐 아니라, 사용과정에서 반려동물 배설물의 함체(40) 외부 유출도 차단하여야 하는 바, 저판(42) 및 측판(41) 내부 표면에 방수 내지 발수 코팅층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1 및 도 2에서와 같이, 본 발명 배변매트(10) 함체(40)의 측판(41)에는 결합슬릿(45) 및 돌출판(46)이 형성되어, 도 3에서와 같이, 인접한 함체(40)의 결합슬릿(45)과 돌출판(46)이 상호 결속됨으로써, 다수의 함체(40) 즉, 배변매트(10)가 조합되고, 이로써 단위 배변매트(10)에 비하여 확대된 조합 배변매트(10)를 구성할 수 있게 되는데, 여기서 결합슬릿(45)은 측판(41)을 직선으로 절개하여 형성하게 되며, 돌출판(46)은 측판(41)을 U자형으로 절개하고 절개부를 외측으로 접어내는 방식으로 형성하게 된다.
이렇듯, 다수의 단위 배변매트(10)를 조합하여 전체 배변매트(10) 조합체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도 4에서와 같이, 소형 반려동물 또는 유체(幼體)의 경우 단위 배변매트(10)를 사용하고, 대형 반려동물 또는 성체(成體)의 경우 다수의 단위 배변매트(10)를 조합하여 사용하는 방식으로, 사용자가 배변매트(10)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 배변매트(10)에 있어서 함체(40) 적재 식생재(31)에 식재되는 잔디류 등의 초본식물(20)은 발아 후 성장과정에서 그 지상부(地上部) 즉, 뿌리를 제외한 줄기와 잎 등 지면 상측으로 노출되는 부위가 식생재(31) 상면 전체에 조밀하게 분포되어, 결국 초본식물(20)의 지상부가 식생재(31) 상면을 완전히 피복하는 형태의 구조가 구축되는 바, 반려동물의 배설물 중 고형분은 초본식물(20)의 지상부 사이에 은폐될 뿐 아니라, 조밀하게 분포된 초본식물(20) 지상부가 배설물 고형분을 밀봉하는 역할도 수행하게 되어, 미관을 확보하고 악취를 저감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반려동물의 배설물내 수분은 천연 섬유 또는 수피 등의 식생재(31)에 신속하게 흡수될 뿐 아니라, 초본식물(20)의 뿌리로도 신속하게 흡수되는 바, 배설물내 수분으로 인한 악취 및 해충 유입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으며, 잔디류 등의 초본식물(20)이 조밀하게 식재된 본 발명의 반려동물 배변매트(10)는 외관은 물론 감촉이나 향취에 있어서 자연상태의 초지와 동일하므로, 배변 훈련과정에서 반려동물의 거부감 내지 공포감을 현격하게 저감시킬 수 있어, 반려동물의 정서적 안정 및 사용자와 반려동물간 유대감 형성에도 유리하다.
이러한 본 발명 배변매트(10)의 배설물 은폐, 밀봉 효과 및 방취, 방충 효과로 인하여, 반복되는 배변에도 사용 개시 후 수일 이상 사용이 가능한 바, 종래의 1회용 반려동물용 패드에 비하여 교체 주기를 획기적으로 연장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반려동물 배변매트(10)는 초본식물(20)과 식생재(31)는 물론, 용기인 함체(40) 역시 자연상태에서 분해가 용이할 뿐 아니라, 반려동물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의 배변매트(10)를 적용함으로써, 자원의 낭비를 방지함은 물론, 폐기물 발생량을 저감하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 배변매트(10)에 있어서 식생재(31)가 적재되는 함체(40)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골판지 또는 마분지 등의 지물을 재단, 절곡 내지 절첩 및 접착하는 방식으로 제작될 수 있는데, 그 구체적인 실시예로서의 전개도가 도 5에 예시되어 있으며, 동 전개도를 통하여 제작된 함체(40)가 도 6에 예시되어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다수의 배변매트(10)를 조합함에 있어서, 함체(40)간 결속은 함체(40)의 측판(41)에 형성된 결합슬릿(45)과 돌출판(46)을 상호 결합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지는데, 결합슬릿(45)은 측판(41)을 수평으로 절개하여 형성하되, 돌출판(46)과의 용이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그 폭이 돌출판(46)의 폭을 소폭 상회하도록 형성하고, 돌출판(46)은 도 6의 하측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측판(41)을 U자형으로 절개하고, 절개된 부위를 절개부의 상단을 따라 외측으로 접어내는 방식으로 형성함으로써, 돌출판(46)을 별도로 제작하여 접착하는 작업 없이도 돌출판(46)의 형성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함체(40)는 도면상 예시된 바와 같이, 평면상 장방형의 용기로서, 넓이에 비하여 높이가 낮고, 상부가 완전히 개방된 상자인 바, 본 발명의 보관, 운송 및 사용과정에서 외력이나 충격이 집중되는 함체(40)의 모서리 부분이 구조 및 강도상 취약부로 작용할 수 밖에 없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함체(40)의 모서리에 보강절곡선(47)을 형성하고, 이를 통하여 함체(40) 모서리 부분을 내측으로 절곡함으로써, 해당 부위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였다.
즉, 도 6의 상측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함체(40)의 모서리 부위의 측벽에는 보강절곡선(47)을 압입 형성하되, 보강절곡선(47)이 경사를 이루도록, 보강절곡선(47)의 상단은 측판(41) 상단에 형성하고, 하단은 함체(40) 모서리에 형성하여, 도 6의 상부 우측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보강절곡선(47)을 따라 측판(41)이 절곡됨으로써, 함체(40)의 모서리 부위가 보강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한편, 도 7 및 도 8은 체결판(50)을 이용하여 함체(40)의 측판(41)을 결속하는 실시예로서, 도 7에서와 같이, 조합 대상 함체(40)의 측판(41)을 서로 밀착시킨 상태에서, 밀착된 측판(41)에 체결판(50)을 결합함으로써, 양측 함체(40)가 견고하게 결속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다수의 함체(40)가 조합되되, 조합대상 함체(40)의 측벽이 상호 밀착되고, 체결홈(51)이 절개 형성된 체결판(50)이 밀착된 측벽에 결합되어, 밀착된 측벽이 상호 결속되도록 한 것으로, 이때 체결판(50) 뿐 아니라, 체결판(50)이 결합되는 부위의 측판(41)에도 결합홈(49)을 요입(凹入) 형성함으로써, 일층 견고한 결속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체결판(50) 결속식 실시예에 있어서, 밀착된 양측 측판(41)에 결합되는 체결판(50)은, 함체(40)를 구성하는 소재와 동일한 소재의 판체로 제작될 수 있으며, 도 7의 발췌 확대부에서와 같이, 하측의 폭이 점차 좁아지고, 하부가 개방된 체결홈(51)이 중심선을 따라 수직으로 형성된 구조를 가지는 것으로, 초본식물(20) 식재 식생재(31)가 적재된 상태에서도 체결판(50)의 결합시 식생재(31) 내부로 체결판(50)이 용이하게 압입될 수 있다.
특히, 도 8에서와 같이, 함체(40)의 측판(41)과 체결판(50)을 일체로 제작함으로써, 별도의 체결판(50)을 제작하지 않고도, 측판(41)에서 체결판(50)을 분리하는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여, 사용자 편의를 확보하고 제조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즉, 도 8의 타원내 확대부에서와 같이, 함체(40)의 측판(41)에는 체결판(50)의 외곽과 동일한 형상의 체결판절개선(55)을 절개 형성하고, 체결판절개선(55) 양측의 측판(41)을 연결하는 연결부(56)를 형성하여, 단위 배변매트(10)의 제작, 보관 및 운송시에는 체결판(50)이 연결부(56)를 통하여 측판(41)과 연결되어 함체(40)와 일체화된 상태를 유지하고, 배변매트(10)의 조합을 위한 함체(40)간 결속시, 연결부(56)를 파단하여 체결판절개선(55) 내측 측판(41)을 분리함으로써, 비로소 체결판(50)이 분리, 형성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렇듯, 단위 배변매트(10)를 조합하는 본 발명을 통하여 배변매트(10)의 크기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의의는 이러한 배변매트(10)의 조합 구성에 국한되는 것이 아니라, 배변매트(10)의 보관 및 운송상 편의 역시 도모하는 것으로, 도 9에서와 같이, 다수의 단위 배변매트(10) 함체(40)를 상하로 적층함으로써, 보관 및 운송상 이점을 얻을 수 있게 된다.
즉, 배변매트(10)는 그 두께는 상대적으로 얇은데 반하여 평면적은 넓을 수 밖에 없으며, 이러한 불균형은 배변매트(10)가 대형화됨에 따라서 심화될 수 밖에 없어, 대형 반려동물용 배변 처리 수단은 그 운송 및 보관에 있어서 애로점이 클 수 밖에 없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도 9에서와 같이, 다수의 단위 배변매트(10)를 상, 하로 적층하여 용이하게 보관 및 운송할 수 있는 것이다.
이러한, 단위 배변매트(10)의 적층시, 초본식물(20)의 보호를 위하여, 도 9에서와 같이, 함체(40)에 덮개(60)를 결합할 수 있는데, 동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덮개(60) 결합시 함체(40)에 적재된 초본식물(20) 및 식생재(31)에 압입되는 지지침(63)을 구성함으로써, 보관 및 운송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초본식물(20)의 손상 및 식생재(31) 조직의 와해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40)의 상부에는 덮개(60)가 결합되되, 덮개(60)의 상면을 이루는 상판(61)의 내측 저면에는 하방으로 돌출된 지지침(63)을 형성하여, 덮개(60)의 함체(40) 결합시, 지지침(63)이 초본식물(20)이 식재된 식생재(31)에 압입되면서, 덮개(60)가 초본식물(20)을 과도하게 압착하지 않도록 함과 동시에, 지지침(63)이 식생재(31) 조직에 결속되면서 천연 섬유 또는 편상체로 구성되는 식생재(31) 조직이 운송과정의 충격 또는 진동으로 인하여 붕괴 내지 와해되는 현상도 억제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10 : 배변매트
20 : 초본식물
31 : 식생재
40 : 함체
41 : 측판
42 : 저판
45 : 결합슬릿
46 : 돌출판
47 : 보강절곡선
49 : 결합홈
50 : 체결판
51 : 체결홈
55 : 체결판절개선
56 : 연결부
60 : 덮개
61 : 상판
63 : 지지침

Claims (4)

  1. 삭제
  2. 반려동물 배변매트로서, 평면상 장방형의 저판(42) 외곽에 측판(41)이 형성된 함체(40)가 구성되고, 함체(40) 내부에는 식생재(31)가 적재되고, 식생재(31)에는 초본식물(20)이 식재되어, 함체(40) 상측으로 초본식물(20)이 노출되며, 다수의 함체(40)가 조합되되, 조합대상 함체(40)의 측벽이 상호 밀착되고, 체결홈(51)이 절개 형성된 체결판(50)이 밀착된 측벽에 결합되고, 체결판(50)이 결합되는 부위의 측판(41)에는 결합홈(49)이 요입(凹入) 형성되어, 밀착된 측벽이 상호 결속되는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에 있어서,
    함체(40)의 측판(41)에는 체결판(50)의 외곽과 동일한 형상의 체결판절개선(55)이 절개 형성되고, 체결판절개선(55) 양측의 측판(41)을 연결하는 연결부(56)가 형성되어, 연결부(56)가 파단되어 체결판절개선(55) 내측 측판(41)이 분리됨으로써 체결판(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3. 삭제
  4. 삭제
KR1020170093747A 2017-07-24 2017-07-24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KR1019424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747A KR101942419B1 (ko) 2017-07-24 2017-07-24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3747A KR101942419B1 (ko) 2017-07-24 2017-07-24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48773A Division KR101846211B1 (ko) 2017-04-14 2017-04-14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87A KR20180116087A (ko) 2018-10-24
KR101942419B1 true KR101942419B1 (ko) 2019-01-25

Family

ID=64132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93747A KR101942419B1 (ko) 2017-07-24 2017-07-24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4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7060Y1 (ko) * 2020-10-19 2023-07-12 김덕중 반려 동물 위생 배변 매트
US11877557B2 (en) * 2020-11-30 2024-01-23 Bethel Farms, Inc. Living-grass pet waste station system
KR102444496B1 (ko) * 2021-05-25 2022-09-19 송원종 반려동물용 배변 패드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187Y1 (ko) * 2000-08-02 2000-12-15 최영철 딸기 상자
KR200406161Y1 (ko) * 2005-09-20 2006-01-20 이예순 돈사용 바닥판 결합체
JP2007167018A (ja) * 2005-12-26 2007-07-05 Kyodo Ky Tec Corp 植栽設備及び植栽コンテナ
JP2010506593A (ja) * 2006-10-20 2010-03-04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排泄物捕集マット
JP2013183669A (ja) 2012-03-07 2013-09-19 Kao Corp ペット用トイレ
US20130298840A1 (en) 2012-05-11 2013-11-14 Isaac Mishan Pet urinal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89130B2 (ja) * 1997-08-29 2007-03-07 共同カイテック株式会社 植栽マット及び植栽設備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7187Y1 (ko) * 2000-08-02 2000-12-15 최영철 딸기 상자
KR200406161Y1 (ko) * 2005-09-20 2006-01-20 이예순 돈사용 바닥판 결합체
JP2007167018A (ja) * 2005-12-26 2007-07-05 Kyodo Ky Tec Corp 植栽設備及び植栽コンテナ
JP2010506593A (ja) * 2006-10-20 2010-03-04 ネステク ソシエテ アノニム 排泄物捕集マット
JP2013183669A (ja) 2012-03-07 2013-09-19 Kao Corp ペット用トイレ
US20130298840A1 (en) 2012-05-11 2013-11-14 Isaac Mishan Pet urinal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인터넷 네이버 블로그 ‘라군이네’, 포스트명 : [클로펫티 1기] 그린패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6087A (ko) 2018-10-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419B1 (ko)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US4287682A (en) Planter
US4872420A (en) Disposable cat litter system
US20130068169A1 (en) Waste Pad
US5094188A (en) Pet litter box
US20150164039A1 (en) Waste Pad
JP6700100B2 (ja) 天敵昆虫の保護装置
RU2245618C2 (ru) Санитарное приспособление для домашних животных
US20100275853A1 (en) Pet Litter Receptacle
US20160029589A1 (en) Pet waste system
KR101846211B1 (ko) 초본식물 식재형 조합식 반려동물 배변매트
US11570965B2 (en) Coconut-based compostable dog waste collecting system
Shaila et al. Ancient farming methods of seed storage and pest management practices in India—A Review
US20160338312A1 (en) Pet Waste Collection Mat
KR101942414B1 (ko) 초본식물 식재형 반려동물 배변매트의 제조방법
JP2000157064A (ja) 種苗育成ポット
JP3113821U (ja) スプラウト栽培セット
US20150047571A1 (en) Absorbent Pad for Animal Waste
JP5313787B2 (ja) ペット用草栽培具及びこれを備えたペット用草栽培セット
KR20050003546A (ko) 조립식 애완동물 집
US11877557B2 (en) Living-grass pet waste station system
JP3064482U (ja) 砂取り具
AU2004100752A4 (en) Combined herb garden and worm composter
JP3156868U (ja) 野菜培養システム
JPH11103746A (ja) シロアリ駆除箱及びシロアリの餌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