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348B1 - 블루투스 저에너지 결합된 리슨 및 스캔 윈도우 - Google Patents

블루투스 저에너지 결합된 리슨 및 스캔 윈도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348B1
KR101942348B1 KR1020187002195A KR20187002195A KR101942348B1 KR 101942348 B1 KR101942348 B1 KR 101942348B1 KR 1020187002195 A KR1020187002195 A KR 1020187002195A KR 20187002195 A KR20187002195 A KR 20187002195A KR 101942348 B1 KR101942348 B1 KR 1019423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device
time period
wireless connection
notification signal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021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34423A (ko
Inventor
후이베르트 덴보어
브라이언 아놀드 레딩
조엘 벤자민 린스키
Original Assignee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80034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34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3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3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20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 H04W4/21Services signaling; Auxiliary data signalling, i.e. transmitting data via a non-traffic channel for social networking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4Direct-mode setu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05Discovery of network devices, e.g. termina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Y02D70/144
    • Y02D70/26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개시된다.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시간 기간 동안에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 제1 통지 신호는,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 제2 통지 신호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그리고 제3 시간 기간 동안에 제3 신호를 리스닝하고, 제3 신호는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3 시간 기간은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한다.

Description

블루투스 저에너지 결합된 리슨 및 스캔 윈도우
[0001]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리슨 및 스캔 윈도우들(listen and scan windows)을 결합함으로써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에 관한 것이다.
[0002] 블루투스? 스마트로서 마케팅된 BLE(Bluetooth? Low Energy)는, 때때로 클래식 블루투스? 디바이스들로 지칭되는 레거시 블루투스? 디바이스들과 비교하여 상당히 감소된 전력 소비로, 2.4 GHz 내지 2.4835 GHz 주파수 범위에서 동작하는 무선 디바이스들 간에 패킷-기반 무선 네트워크들을 설정하기 위한 무선 기술이다. 블루투스?는 워싱턴, 커클랜드 소재의 글로벌 헤드쿼터들을 갖는, 델라웨어 소재의 주식회사(incorporated)인 블루투스? SIG(Special Interest Group)의 등록 상표이다(www.bluetooth.org 참조). 블루투스? SIG는 블루투스? 스마트에 대한 규격들, 현재 블루투스? 규격 4.0 및 블루투스? 규격 4.1을 유지하고, 여기서 버전 4.1은 버전 4.0에 대한 업데이트를 제공한다.
[0003] 블루투스? 스마트 규격을 준수하는 저전력 무선 디바이스들은, 몇몇의 예들을 들자면, 헬스케어, 피트니스, 보안, 홈 얼라이언스들 및 홈 엔터테인먼트에서 적용예들을 발견할 것으로 예상된다. 그러한 디바이스들은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들로 마케팅되고, 버튼 또는 코인 배터리로 오랜 시간 기간들, 아마도 수년간 실행되는 것으로 예상된다.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Ready) 디바이스들은 레거시 클래식 블루투스? 디바이스들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들과 통신할 수 있는 듀얼 프로토콜 스택들을 갖는 무선 디바이스들이다. 예컨대, 셀폰은, 자신이 레거시 클래식 블루투스? 헤드셋뿐만 아니라 블루투스? 스마트 능력을 갖는 개인용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게 하는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 능력을 가질 수 있다.
[0004]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는 중앙장치(마스터) 또는 주변장치(슬레이브)로서 구성될 수 있다. 종종 중앙장치는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개인용 컴퓨터이다. 마스터는 다수의 주변장치들과의 무선 네트워크를 설정할 수 있고, 여기서 연결들은 마스터와 각각의 주변장치 간에 설정된다.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는 또한 서버 또는 클라이언트로서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서버는 관심있는 데이터를 갖는 것으로 여겨질 수 있고, 여기서 클라이언트는 데이터를 요청하고 아마도 서버의 상태를 수정하기 위해 서버와 연결된다. 보통, 중앙장치는 클라이언트이고, 주변장치는 서버이다.
[0005] 예컨대, 블루투스? 스마트 홈 서모스탯(thermostat)은 일정 시간 기간에 걸쳐 온도 값들을 저장하고, 스마트폰이 홈 서모스탯에 근접하게 유도될 때, 스마트폰에 대한 주변장치 및 서버로서 수행할 수 있다. 홈 서모스탯은, 스마트폰이 범위 내에 있을 때, 중앙장치로서 스마트폰과 그리고 주변장치로서 홈 서모스탯과 연결이 설정되도록 자신에게 통지할 수 있다. 이러한 예에서, 스마트폰은 클라이언트로서 홈 서모스탯으로부터 저장된 온도 값들을 요청하는 것을 수행한다. 스마트폰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스마트폰은 서모스탯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고, 이로써 홈 서모스탯의 온도 설정은 저장된 온도 판독들 및 스마트폰이 홈 서모스탯으로부터 또는 아마도 클라우드-기반 데이터베이스들로부터 액세스할 수 있는 다른 정보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된다.
[0006] 블루투스? 스마트 기술은 홈, 사무실 또는 공장 사방에서 흔히 사용되는 많은 디바이스들에서 적용예들을 발견할 것이다. 예컨대, 도 1은, 스마트폰(102)은 다수의 블루투스? 스마트 가능 디바이스들: 맥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갖는 손목시계(104); 홈 서모스탯(106); 자동차 좌석 설정들 및 다른 자동차 선호들이 저장된 키 포브(key fob)(108); 계보기를 갖는 운동화(110); 혈압 및 심박수를 측정하기 위한 센서를 갖는 손목 밴드(112); 개인용 체온계(114); 체중계(weight scale)(116); 랩톱(118); 및 텔레비전(120)에 대한 마스터 및 클라이언트일 수 있는 무선 네트워크를 예시한다. 스마트폰(102)은, 다양한 데이터베이스들이 판독들을 저장하거나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들 중 일부의 상태를 조정하거나, 아마도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로부터의 판독이 헬스 이슈 또는 긴급 상황을 표시하는 경우 헬스 케어 전문가 또는 응급 서비스 요원에 경보하기 위해 액세스될 수 있도록 인터넷(122)에 연결될 수 있다.
[0007] 다음은, 리슨 및 스캔 윈도우들을 결합함으로써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본원에 개시된 메커니즘들과 연관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에 관련된 간략한 요약을 제시한다. 이로써, 다음의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에 관한 광범위한 개요로 고려되지 않아야 하고, 다음의 요약은 모든 고려되는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에 관한 핵심적인 또는 중요한 엘리먼트들을 식별하거나 임의의 특정 양상 및/또는 실시예와 연관된 범위를 기술하는 것으로 간주되지 않아야 한다. 따라서, 다음의 요약은 아래에 제시된 상세한 설명에 선행하여 본원에 개시된 메커니즘들에 관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양상들 및/또는 실시예들에 관한 특정 개념들을 간략한 형태로 제시할 목적만을 갖는다.
[0008]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은,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시간 기간 동안에 제1 통지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송신하는 단계 ― 제1 통지 신호는,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는 단계 ― 제2 통지 신호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및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3 시간 기간 동안에 제3 신호를 리스닝(liste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3 신호는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3 시간 기간은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한다.
[0009]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명령들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시간 기간 동안에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게 하고 ― 제1 통지 신호는,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게 하고 ― 제2 통지 신호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그리고 제3 시간 기간 동안에 제3 신호를 리스닝하게 하고, 제3 신호는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3 시간 기간은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한다.
[0010]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는,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시간 기간 동안에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 제1 통지 신호는,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기 위한 수단 ― 제2 통지 신호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및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3 시간 기간 동안에 제3 신호를 리스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제3 신호는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3 시간 기간은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한다.
[001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비일시적인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는,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시간 기간 동안에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 제1 통지 신호는,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 ― 제2 통지 신호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및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3 시간 기간 동안에 제3 신호를 리스닝하게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명령을 포함하고, 제3 신호는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3 시간 기간은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한다.
[00012] 본원에 개시된 메커니즘들과 연관된 다른 목적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들 및 상세한 설명에 기반하여 당업자들에게 명백할 것이다.
[00013]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 및 이들의 수반되는 이점들 중 많은 것의 더 완전한 이해가, 본 개시내용의 비제한적인 예시만을 위해 제시되는 첨부된 도면들과 관련하여 고려될 때,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더 양호하게 이해되기 때문에, 그 더 완전한 이해가 용이하게 획득될 것이다.
[00014] 도 1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통합될 수 있는 다양한 소비자 디바이스들을 예시한다.
[00015] 도 2는, 다양한 시간들에서 통지기로서 작동하고 다른 시간들에서 스캐너로서 작동할 때, 통신 디바이스의 활동을 예시한다.
[00016]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활동을 예시한다.
[00017] 도 4는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양상에 따른,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를 사용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을 예시한다.
[00018]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따른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아키텍처의 개략도를 예시한다.
[00019] 본 특허 출원은 다음의 공동-계류중인 미국 특허 출원: "BLUETOOTH LOW ENERGY INTERLACED ADVERTISING AND SCANNING"에 관련되고, 상기 특허 출원은 대리인 도켓 번호 146157을 갖고, 본원과 동시에 출원되고, 본원의 양수인에게 양도되었고, 전체 내용이 인용에 의해 본원에 명백히 통합된다.
[00020]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방법들 및 장치들이 개시된다. 실시예에서,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시간 기간 동안에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 제1 통지 신호는,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 제2 통지 신호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 그리고 제3 시간 기간 동안에 제3 신호를 리스닝하고, 제3 신호는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3 시간 기간은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한다.
[00021] 본 개시내용의 이들 및 다른 양상들은 본 개시내용의 특정 실시예들에 관련된 다음의 설명 및 관련 도면들에 개시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들은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고안될 수 있다. 추가로, 본 개시내용의 관련 상세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기 위해, 본 개시내용의 잘 알려진 엘리먼트들은 상세하게 설명되지 않거나 생략될 것이다.
[00022] "예시적인 것" 및/또는 "예"라는 단어들은 본원에서 "예, 사례 또는 예시로서 기능하는 것"을 의미하는데 사용된다. "예시적인 것" 및/또는 "예"로서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들에 비해 반드시 선호되거나 유리한 것으로 해석되지는 않는다. 유사하게,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라는 용어는, 본 개시내용의 모든 실시예들이 논의된 특징, 이점 또는 동작 모드를 포함한다는 것을 요구하지는 않는다.
[00023] 본원에 이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예들만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제한하려고 의도되지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들은, 문맥이 달리 명백히 표시하지 않는다면, 복수 형태들을 물론 포함하도록 의도된다. "포함하다(comprises)", "포함하는(comprising)", "구비하다(includes)" 및/또는 "구비하는(including)"이라는 용어들은, 본원에 이용될 때, 서술된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및/또는 컴포넌트들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다른 특징들, 정수들, 단계들, 동작들, 엘리먼트들, 컴포넌트들 및/또는 그들의 그룹들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는 않음이 더 이해될 것이다.
[00024] 또한, 많은 실시예들은, 예컨대, 컴퓨팅 디바이스의 엘리먼트들에 의해 수행될 동작들의 시퀀스들에 관련하여 설명된다. 특정 회로들(예컨대, ASIC들(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프로그램 명령들을 실행하는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프로세서들, 또는 이 둘의 조합이 본원에 설명되는 다양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될 것이다. 부가적으로, 본원에 설명된 시퀀스들의 동작들은, 실행 시에, 연관된 프로세서로 하여금 본원에 설명된 기능을 수행하게 할 대응하는 세트의 컴퓨터 명령들이 그 안에 저장된 임의의 형태의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내에서 전체적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들로 구현될 수 있고, 이들 모두는 청구된 청구 대상의 범위 내에 있는 것으로 고려된다. 또한, 본원에 설명된 실시예들 각각에 대해, 대응하는 형태의 임의의 그러한 실시예들은, 예컨대,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로직"으로서 본원에 설명될 수 있다. 그러나, "~하도록 구성된 로직"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단독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자신의 기능을 달성하기 위해 하드웨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의존한다.
[00025]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는 2 MHz의 채널 간격을 갖는, 2.4 GHz 내지 2.4835 GHz 주파수 범위 내의 40 개의 채널들 사이에서 동작한다. 데이터 레이트는 각각의 심볼에 대한 GFSK(Gaussian frequency shift keying) 변조의 경우에 1 Mbps이다. 채널의 주파수는
Figure 112018008008920-pct00001
로 표현될 수 있고, 여기서 k는 범위(0, 1,..., 39) 내의 값들을 갖는 RF(Radio Frequency) 채널 인덱스이다. RF 채널 인덱스는 통지 채널들 및 데이터 채널들로 맵핑되고, 여기서 RF 채널 인덱스 값들(0, 12 및 39)은 3 개의 통지 채널 인덱스 값들(37, 38 및 39)로 각각 맵핑된다. 남아있는 RF 채널 인덱스 값들은 37 개의 데이터 채널 인덱스 값들(0, 1,..., 36)로 맵핑된다.
[00026] 다수의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들 간의 간섭을 감소시키기 위해, 각각의 블루투스? 스마트 디바이스는, 일단 데이터 연결이 설정되면, 캐리어 주파수 호핑을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적응형 주파수 호핑은 데이터 연결 동안에 사용될 수 있고, 여기서 제 n 홉에서의 데이터 채널 인덱스 k(n)에 관련하여 제 (n+1) 홉에서의 데이터 채널 인덱스 k(n+1)는
Figure 112018008008920-pct00002
로 주어지고, 여기서 정수 Hop_Inc는 홉 증분이다.
[00027] 본원에 사용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라는 용어는, 블루투스? 스마트 능력을 포함할 수 있는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를 함축(connote)하는데 사용된다. 통신 디바이스는, 예컨대, 몇몇 예들을 들자면,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랩톱 또는 도 1에 대해 논의되는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스마트가 가능한 것에 부가하여, 몇몇 예들을 들자면, 예컨대, Wi-Fi? 네트워크(WiFi는 Wi-Fi 어플라이언스의 등록 상표임)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예컨대, GSM, UMTS, LTE)와 같은 다양한 무선 네트워크들에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무선 네트워크(예컨대, Wi-Fi 네트워크 또는 셀룰러 네트워크)에 의해 인터넷을 통해,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 또는 액세스 서버들과 통신할 수 있다.
[00028] 통신 디바이스는, 데이터 연결이 설정되기 전에 통지 이벤트들을 사용한다. 통지 이벤트들 동안에, 통신 디바이스는 통지 상태 또는 스캐닝 상태에 있을 수 있다. 통지 상태의 통신 디바이스는 통지기로 지칭되고, 스캐닝 상태의 통신 디바이스는 스캐너로 지칭된다. 하나 또는 그 초과의 통지 이벤트들 후에 연결이 설정될 때, 통신 디바이스들은 중앙장치와 주변장치 간에 데이터 패킷들을 전송하기 위해 연결 이벤트들을 사용한다.
[00029] 통지기는 통지 이벤트에서 통지 패킷들을 전송한다. 통지기는 통지 패킷을 통지 채널들 중 하나 상에서 송신함으로써 통지 이벤트를 시작한다. 통지 패킷의 시간 듀레이션은 페이로드에 의해 변동되고, 일 실시예의 경우, 128 ㎲ 내지 366 ㎲의 범위 내에 있을 수 있다. 인터 프레임 공간(T_IFS)으로 지칭되는 대기 시간 후에, 통지기는 임의의 스캐너들을 리스닝한다. 일 실시예의 경우, T_IFS는 150 ㎲일 수 있고, 리스닝 시간은 50 ㎲일 수 있다. 스캐너로서 작동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통지 패킷을 검출하면, 통지 패킷의 타입에 의존하여, 스캐너는 요청 패킷으로 응답할 수 있고, 그 결과로, 통지기는 응답 패킷으로 다시 응답한다.
[00030] 통지기는 3 개의 통지 채널들 중 일부 또는 전부 상에서 순차적으로 통지할 수 있고, 스캐너는 3 개의 통지 채널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순차적으로 리스닝(스캔)할 수 있다. 종래의 블루투스? 스마트 기술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정상적으로, 3 개의 스캐닝 인터벌들의 시퀀스에 대한 스캐너로서 수행하기 전에, 3 개의 통지 패킷들의 시퀀스에 대한 통지기로서 수행한다. 이는 도 2에 예시된다.
[00031] 도 2는, 다양한 시간들에서 통지기로서 작동하고 다른 시간들에서 스캐너로서 작동할 때, 통신 디바이스의 활동을 예시한다. 시간 라인(202)은 통지 이벤트(204)로 시작된다. 통지 이벤트(204)는 화살표(206)로 지시되는 시간 라인(그리고 시간 라인(206)으로 지칭됨)에 더 상세히 도시되는 3 개의 통지 패킷들을 포함한다. 시간 라인(206)에 보여지는 바와 같이, 통지 이벤트(204)는 3 개의 서브-이벤트들을 갖는 것으로 보여질 수 있고, 각각의 서브-이벤트는 리스닝 타임 슬롯이 후속하는 통지 패킷을 포함한다. 예컨대, 제1 서브-이벤트는, 그 사이에 시간 인터벌(T_IFS)을 갖는 통지 패킷(208) 및 리스닝 타임 슬롯(210)을 포함한다. 이러한 제1 서브-이벤트에 대한 RF 채널 인덱스는 0이고, 이는 통지 채널 인덱스(37)로 맵핑된다. 변동될 수 있는 T_END로 표시된 시간 인터벌 후에, 리스닝 타임 슬롯(214)이 후속하는 통지 패킷(212)을 포함하는 제2 서브-이벤트가 시작된다. (실시예가 통지 패킷들(208 및 212)의 시작을 최대 10 ms만큼 이격시킬 수 있기 때문에, 시간 인터벌(T_END)이 변동할 수 있다. 통상적인 구현은 매우 짧은 T_END 듀레이션을 발생시키도록 가능한 서로 가깝게 이러한 통지 패킷들을 압축할 수 있다.)
[00032] RF 채널 인덱스는 통지 패킷(212) 및 리스닝 타임 슬롯(214)을 포함하는 제2 서브-이벤트에 대해 12이고, 여기서 RF 채널 인덱스 12는 통지 채널 인덱스 38로 맵핑된다. 다시, T_END로 표시된 시간 인터벌 후에, 리스닝 타임 슬롯(218)이 후속하는 통지 패킷(216)을 갖는 제3 서브-이벤트가 시작된다. 이러한 제3 서브-이벤트에 대한 RF 채널 인덱스는 39이고, 이는 통지 채널 인덱스 39로 맵핑된다. 도 2의 예에서, 통지 이벤트(204)(시간 라인(206)) 동안에, 스캐너로서 작동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또는 검출되지 않는다고) 가정된다.
[00033] 통지 이벤트(204) 내의 제3 서브-이벤트의 끝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슬립 인터벌(220)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슬립 인터벌(220) 후에, 통신 디바이스는 스캐너가 되고, 222로 라벨링된 스캐닝 이벤트가 시작된다. 시간 라인(202)에서, 슬립 인터벌(224)은 스캐닝 이벤트(222)에 후속되고, 통신 디바이스는, 통지 이벤트(226)로 표시된 바와 같이, 다시 한번 통지기가 된다. 예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스캐너로서 작동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통지 이벤트(226) 동안에 이용 가능하지 않고(또는 검출되지 않고), 그래서 통지 이벤트(226)가 완료된 후에, 통신 디바이스가 슬립 인터벌(228)로 표시된 바와 같이 슬립 모드에 다시 진입한다고 가정된다. 슬립 인터벌(228) 후에, 통신 디바이스는 다시 스캐너가 되고, 스캐닝 이벤트(230)를 시작한다.
[00034] 예시 목적들로, 스캐닝 이벤트(230)는 화살표(232)로 지시된 시간 라인(그리고 시간 라인(232)으로 지칭됨)으로 더 상세히 도시된다. 시간 라인(232)에서 스캐닝 이벤트는 3 개의 스캐닝 윈도우들(234, 236 및 238)을 포함한다. 실시예에서, 스캐닝 윈도우는 775 ㎲ 내지 3.42 초 범위에 있다. 이러한 3 개의 스캐닝 윈도우들 동안에, 스캐너는 통지 패킷을 리스닝한다. 예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통지기로서 작동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2 개의 스캐닝 이벤트들(222 및 230) 동안에 이용 가능하지 않고(또는 검출되지 않고), 그래서 시간 라인(232)이 통지로부터의 어떠한 활동도 없는 3 개의 스캐닝 윈도우들을 도시한다는 것이 가정된다. 스캐닝 윈도우들(234, 236 및 238) 동안에 RF 채널 인덱스 값들은 각각 0, 12 및 39이다. 각각의 스캐닝 윈도우는 스캐닝 인터벌 내에서 발생한다.
[00035] 도 2에 예시된 시간 라인들로부터, 통신 디바이스가 통지 상태들, 스캐닝 상태들 및 슬립 상태들에 진입하고 이들로부터 빠져나오는 것이 이해된다. 예컨대, 통지 이벤트 동안에, 통신 디바이스는 통지 패킷을 송신하는 것, 인터 프레임 공간 동안에 대기하는 것, 리스닝 타임 슬롯 동안에 리스닝하는 것, 및 시간 라인(206)에 T_END로 표시된 시간 인터벌 동안 다시 대기하는 것의 시퀀스를 수행한다. 통신 디바이스가 종종 자신의 주파수 신시사이저(frequency synthesizer)를 재튜닝하고, 자신의 통지들에 대한 응답들을 리스닝하기 전에 대기 및 유휴(idling)하고, 슬립 모드 내외로 스위칭하기 때문에, 그러한 활동은 전력을 소비하게 한다.
[00036] 따라서, 본원에 설명된 방법들 및 장치들은 통지를 먼저 송신하고 결합된 리슨/스캔 수신 윈도우가 후속함으로써 동일한 채널 인덱스 상에서 통지 및 스캐닝 상태들을 인터레이싱하는 것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어떠한 대기/유휴 기간들도 필요로 하지 않는다. 통지 및 스캐닝 상태들을 인터레이싱하는 것은 명칭이 "BLUETOOTH LOW ENERGY INTERLACED ADVERTISING AND SCANNING"인 공동-계류중인 특허 출원에 더 상세히 논의된다.
[00037] 통지를 송신한 직후에, 리슨/스캔 상태들을 결합하기 위해, 블루투스? 안테나와 공조하여, 블루투스? 프로세서(예컨대, 도 5의 블루투스? 프로세서(524) 및 안테나(530))는, 자신이 방금 통지를 송신했던, 동일한 채널 인덱스 상에서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를 개방할 수 있다. 결합된 윈도우의 "리슨" 부분은, 통지 송신이 종료되고 대략 T_IFS 후에 시작할 것이다. 통신 디바이스는 이러한 "리슨" 기간 동안에 수신되는 스캔/연결 요청들에만 응답할 것이다. 스캔/연결 요청이 "리슨" 기간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일정량 외에서 수신되면, 스캔/연결 요청이 무시될 것이고, 블루투스? 안테나는 온(on)으로 유지될 것이다. "리슨" 기간을 포함하는 전체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 동안에, 통신 디바이스는, 임의의 통지 패킷이 수신될 때 적절히 응답할 것이다. 그러한 결합된 리슨/스캔 수신 윈도우는 더 전력 효율적인데, 왜냐하면 대기/유휴 기간들, 신시사이저를 재튜닝하는 것 및 상태들을 스위칭하는데 있어서 더 적은 시간이 소비되기 때문이다.
[00038] 도 3은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의 활동을 예시한다. 도 3에서, 통지 패킷(340)의 시작은, 342로 라벨링된, 동일한 채널 인덱스(여기서 f(1)) 상에서의 인터레이싱된 통지 및 스캐닝 서브-이벤트의 시작을 마킹한다. 통지 패킷(340)을 송신한 후에, 통신 디바이스 상의 블루투스? 프로세서는 즉시 블루투스? 안테나를, 개재 슬립 인터벌에 진입하지 않고서 통지 패킷(340)이 송신되었던 동일한 채널 인덱스(즉, f(1)) 상에서의 스캐닝으로 스위칭한다(스캐닝 윈도우(344)로서 예시됨). 통지 패킷(340)이 종료하고 T_IFS 후에, 블루투스? 안테나는 리스닝 타임 슬롯(346)으로서 예시된, 통지 패킷(340)에 대한 응답을 리스닝한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리스닝 타임 슬롯(346)은, 통신 디바이스의 블루투스? 안테나가 또한 스캐닝 윈도우(344)에서 스캔하는 동안에 발생한다. 따라서, 스캐닝 윈도우(344)는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이다.
[00039] 리스닝 타임 슬롯(346) 동안에, 통신 디바이스는 스캐너로서 작동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리스닝하고, 동시에 스캐너로서 작동하고 통지기로서 작동하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를 리스닝한다.
[00040] 도 3의 예에서,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통지기로서 작동하든지 또는 스캐너로서 작동하든지 간에, 이용 가능하지 않다고(또는 검출되지 않는다고) 가정된다. 그러한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가 제2 통지 채널 상에서 송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되면, 통지 채널 인덱스 f(2) 상에서, 348로 라벨링된,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에서 다른 인터레이싱된 통지 및 스캐닝 서브-이벤트를 시작한다. 구체적으로, 통지기로서 작동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통지 패킷(350)을 송신하기 시작하고, 이후에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스캐너로서 작동하고, 즉시 개재 슬립 인터벌 없이 동일한 채널 인덱스(즉, f(2)) 상에서 스캐닝 윈도우(352)를 시작한다. 통지 패킷(350)에 대응하는 리스닝 타임 슬롯(354)은, 통지 패킷(350)이 종료하고 시간 T_IFS 후에 발생한다.
[00041] 다시, 다른 통신 디바이스가, 통지기로서 작동하든지 또는 스캐너로서 작동하든지 간에, 이용 가능하지 않은(또는 검출되지 않는) 경우에, 그리고 통신 디바이스가 제3 통지 채널 상에서 송신하도록 프로그래밍되는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는 통지 채널 인덱스 f(3) 상에서, 356으로 라벨링된,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에서 다른 인터레이싱된 통지 및 스캐닝 서브-이벤트를 시작한다. 통지기로서 작동하는 통신 디바이스는 통지 패킷(358)을 송신하기 시작하고, 이후에 통신 디바이스는 또한 스캐너로서 작동하고, 즉시 개재 슬립 인터벌 없이 동일한 채널 인덱스(즉, f(3)) 상에서 스캐닝 윈도우(360)를 시작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통지 패킷(358)이 종료하고 시간 T_IFS 후에 통지 패킷(358)에 대응하는 리스닝 타임 슬롯(362)을 시작한다.
[00042] 어떠한 다른 통신 디바이스도 검출되지 않는다고 가정하면, 통신 디바이스는 슬립 인터벌(364) 동안에 슬립 모드에 진입한다. 도 3에서 ADV_delay로 표기되고 슬립 인터벌(366)로 라벨링되는 부가적인 시간 인터벌이 슬립 인터벌(364)에 부가될 수 있다. ADV_delay의 값은 의사-난수 생성기(pseudo-random number generator)로부터 획득될 수 있어서, 디더링(dithering)이 결합된 통지 및 스캐닝 서브-이벤트의 타이밍에 부가된다. 슬립 인터벌들(364 및 366) 동안에 슬립 모드에 있고 난 후에, 실시예에 따른 통신 디바이스는 도 3에 예시된 절차를 다시 시작한다.
[00043] 통신 디바이스가, 슬립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3 개의 채널들(f(1), f(2) 및 f(3)) 상에서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에서 인터레이싱된 통지 및 스캐닝 서브-이벤트를 수행하는 것을 도 3이 예시하지만, 통신 디바이스는 슬립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임의의 수의 개시된 인터레이싱된 통지/스캐닝/리스닝 서브-이벤트들을 수행할 수 있다.
[00044] 도 4는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를 사용하여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예시적인 흐름을 예시한다. 도 4에 예시된 흐름은 통신 디바이스, 이를테면, 도 5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되는 통신 디바이스(50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00045] 410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시간 기간 동안에 제1 통지 신호, 이를테면, 도 3의 통지 패킷(340)을 송신한다. 제1 통지 신호는,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 이를테면, 블루투스? 저에너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00046] 420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시간 기간, 이를테면, 도 3의 스캐닝 윈도우(344) 동안에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한다. 제2 통지 신호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 있고,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 이를테면, 블루투스? 저에너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제2 시간 기간의 시작은 제1 시간 기간의 끝에 있다. 제2 시간 기간은 블루투스? 코어 버전 4.0 규격 또는 블루투스? 코어 버전 4.1 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된다.
[00047] 430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제3 시간 기간, 이를테면, 도 3의 리스닝 타임 슬롯(346) 동안에 제3 신호를 리스닝한다. 제3 신호는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 있고, 제3 시간 기간은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할 수 있고, 이로써 결합된 리슨/스캔 윈도우를 제공한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제1 통지 신호가 송신되었던 채널과 동일한 채널(예컨대, f(1)) 상에서 제3 신호를 리스닝할 수 있다. 제3 신호는 연결 요청 또는 스캔 요청 신호일 수 있다. 또한, 제3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디바이스와 동일한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아닐 수 있다. 제3 시간 기간의 시작은 블루투스? 코어 버전 4.0 규격 또는 블루투스? 코어 버전 4.1 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00048] 통신 디바이스는 제3 시간 기간 외에서 수신되는 연결 요청들 및 스캔 요청들을 무시한다. 그러나, 통신 디바이스는 제2 시간 기간의 전체 듀레이션 동안에 수신된 통지 신호들에 응답할 것이다. 부가적으로, 통신 디바이스는,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한 후에 그리고 인터리빙 슬립 인터벌에 진입하지 않고서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기 시작한다.
[00049] 440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2 통지 신호를 수신한다. 450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2 통지 신호에 기반하여 제2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설정한다.
[00050] 대안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460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제3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470에서, 통신 디바이스는 선택적으로 제3 신호에 기반하여 제3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설정한다.
[00051] 도 4에 예시되지 않지만, 흐름은 제3 시간 기간 동안에 제3 통지 신호, 이를테면 도 3의 통지 패킷(350)을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3 통지 신호는, 통신 디바이스가 제3 무선 연결, 이를테면, 블루투스? 저에너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4 시간 기간, 이를테면, 도 3의 스캐닝 윈도우(352) 동안에 제4 통지 신호를 스캔할 수 있다. 제4 통지 신호는 제4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제4 통신 디바이스가 제4 무선 연결, 이를테면, 블루투스? 저에너지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 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는 제5 시간 기간, 이를테면, 도 3의 리스닝 타임 슬롯(354) 동안에 제5 신호를 리스닝할 수 있다. 제5 신호는 제3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5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될 수 있고, 제5 시간 기간은 제4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채널(예컨대, f(1)) 상에서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제3 신호를 리스닝하는 한편, 제1 채널과 상이한 제2 채널(예컨대, f(2)) 상에서 제3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제4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제5 신호를 리스닝할 수 있다.
[00052] 도 5는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이 적용예를 발견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500)를 예시한다. 통신 디바이스(500)는, 몇몇 예들을 들자면, 스마트폰, 태블릿, 또는 랩톱과 같은 다수의 통신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500)를 위한 메인 프로세서(502)는 통신 디바이스(500)의 사용자에게 가시적인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하고, 도 5에서 시스템 메모리 계층(506)으로 표현된 오프-칩 메모리로부터 데이터 및 명령들을 저장 및 리트리브(retrieve)하기 위한 캐시 메모리(504)뿐만 아니라 인터페이스를 포함한다. 시스템 메모리 계층(506)은 다양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폰(510) 및 스피커(512)와 인터페이싱하기 위한 코덱(코더-디코더)(508)이 도 5에 도시된다. 디스플레이 제어기(514)는, 사용자가 통신 디바이스(500)와 용이하게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518)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00053] 통신 디바이스(500)는 통신 기능 유닛(520) 및 안테나(522)에 의해 다른 무선 네트워크들과 인터페이싱할 수 있다. 통신 기능 유닛은 모뎀(520a) 및 DSP(digital signal processor)(520B)를 포함하는 것으로 예시되지만, 실제로 다른 종류들의 모듈들이 사용될 수 있고, 그러한 모듈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단일 칩 상에 통합될 수 있고, 모듈들 중 일부는 프로세서(502)와 통합될 수 있다.
[00054] 메인 프로세서(502)는, 블루투스? 스마트 또는 블루투스? 스마트 레디 프로토콜 스택 중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기 위한 명령들이 시스템 메모리 계층(506)에 저장되는 그 프로토콜 스택을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도 5의 예에서, 블루투스? 프로세서(524)로서 도시된 별개의 칩 또는 임베딩된 하드웨어 코어는 도 4에 표시된 단계들을 수행하기 위해 프로토콜 스택의 부분들을 구현한다. 블루투스? 프로세서(524)는 온-칩 메모리로서 도시된 메모리(526)를 포함하지만, 메모리(526)는, 일부 메모리가 또한 오프-칩에 상주하는 메모리 계층의 부분일 수 있다. 무선 인터페이스(528)는 블루투스?에 의해 활용되는 지정된 주파수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기에 적절한 인터페이스를 안테나(530)에 제공한다. 단지 2 개의 예들을 들자면, 예컨대, 홈 서모스탯(106) 또는 손목밴드(112)와 같은 임의의 수의 블루투스? 스마트 가능 디바이스들에 의해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00055] 화살표(532)는, 블루투스? 프로세서(524)가 534로 라벨링된 박스로 표현된 프로토콜 스택을 수행한다는 것을 표시하도록 기능한다. 프로토콜 스택(534) 내에 호스트 계층(536), 호스트 제어기 인터페이스(538) 및 제어기(540)가 도시된다. 제어기(540)는 링크 계층(542)을 포함한다. 예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모든 계층들이 도시되는 것은 아니다. 블루투스? 프로세서(524) 상에서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또는 펌웨어는 프로토콜 스택(534) 내의 계층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할 수 있고, ASIC와 같은 특수 목적 하드웨어는 또한 계층들 중 일부를 구현할 수 있다.
[00056] 블루투스? 프로세서(524)가 하나 초과의 프로세서를 나타낼 수 있고, 여기서 예컨대, 프로그래밍 가능 프로세서가 호스트 계층(536)을 구현할 수 있고, DSP가, 아마도 물리 계층(미도시)에 대한 동작들을 제외하고, 제어기(540)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할 수 있다는 것이 인지되어야 한다. 도 4에 표시된 동작들 중 일부 또는 전부를 구현하기 위한 명령들은, 예컨대, 메모리(526)와 같은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메모리(526)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서 지칭될 수 있다.
[00057] 링크 계층(542)은 도 4에 예시된 단계들 중 많은 단계를 구현할 수 있고, 호스트 계층(536)은 수신된 통지에 대한 응답을 핸들링하기 위한 절차들, 연결 요청 또는 스캔 요청에 대한 응답을 핸들링하기 위한 절차들, 또는 도 4의 450 및 470에서와 같이, 다른 통신 디바이스와 블루투스?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절차들을 구현할 수 있다. 실시예는, 호스트 계층(536)이, 도 4의 410-430에서와 같이, 동일한 채널 인덱스 상에서 통지 및 스캐닝 상태들을 인터레이싱하도록 링크 계층(542)에 지시하는 커맨드(블루투스? 저에너지 규격에서 발견되지 않음)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커맨드들은, 호스트 계층(536)이, 본원에 설명된 인터레이싱된 방식으로 통지 및 스캐닝 둘 모두를 수행하지 않지만 통지 상태 또는 스캔 상태로 진행하도록 링크 계층(542)에 지시하도록 허용하는, 블루투스? 저에너지 규격의 표준 커맨드들과 대조적이다. 물리 계층과 같은 제어기(540)는, 주파수 신시사이저를 재-튜닝하지 않고서 동일한 채널 상에서 송신하는 것으로부터 수신하는 것으로 전환하는 능력을 포함한다.
[00058] 통신 디바이스(500)는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를 획득하기 위해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무선 네트워크들에 참여할 수 있다. 도 5의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500)는 AP(access point)(546)로의 Wi-Fi 링크(544)를 갖고, 여기서 ISP(Internet service provider)(548)는 인터넷에 대한 액세스를 제공한다.
[00059] 통신 디바이스(500)는 또한 다수의 셀룰러 네트워크들 중 어느 하나에 참여하기 위한 셀룰러 폰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통신 디바이스(500)는, 예컨대,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s), 및 LTE(Long-Term Evolution)에 따른 호환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들일 수 있는 에어 인터페이스 링크(550)를 갖는다. 에어 인터페이스 링크(550)는 통신을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552)에 제공하고, 여기서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552)의 아키텍처는 네트워크 표준의 타입에 의존한다. 예컨대, GSM 네트워크의 경우에,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552)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여기서 UMTS에 대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552)는 Node-B를 포함하고, 여기서 LTE에 대해 라디오 액세스 네트워크(552)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이, eNode-B를 포함한다.
[00060] 인터넷에 대한 연결을 제공하기 위한 모든 기능 유닛들이 도 5에 예시되는 것은 않지만, 예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PSTN(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556) 및 PDN-GW(packet data network gateway)(558)에 대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한 몇몇의 네트워크 컴포넌트들을 나타내는 게이트웨이(554)와 같은 몇몇의 컴포넌트들이 도시되고, 여기서 PDN-GW(558)는 인터넷(560)에 대한 적절한 통신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명확히, Wi-Fi 링크(544) 및 에어 인터페이스 링크(550)에 대한 도 5에 예시된 네트워크 아키텍처가 예시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간략화된다.
[00061] 당업자들은, 정보 및 신호들이 다양한 상이한 기술들 및 기법들 중 임의의 것을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컨대, 상기 설명 전반에 걸쳐 참조될 수 있는 데이터, 명령들, 커맨드들, 정보, 신호들, 비트들, 심볼들 및 칩들은 전압들, 전류들, 전자기파들, 자기 필드들 또는 자기 입자들, 광 필드들 또는 광 입자들, 또는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표현될 수 있다.
[00062] 더욱이, 당업자들은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에 관련하여 설명되는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이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이 둘의 결합들로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교환가능성을 명확히 예시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컴포넌트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성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상술되었다. 이러한 기능성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지는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제약들 및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의존한다. 당업자들은 설명된 기능을 각각의 특정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다양한 방식들로 구현할 수 있지만, 그러한 구현 결정들이 본 개시내용의 범위를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서 해석되지는 않아야 한다.
[00063]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로직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주문형 집적 회로(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필드 프로그래밍 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로직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 또는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서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이들의 임의의 결합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컨대,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결된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이러한 구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00064] 본원에 개시된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된 방법들, 시퀀스들 및/또는 알고리즘들은 직접 하드웨어로,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로, 또는 이 둘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착탈식 디스크, CD-ROM, 또는 당분야에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에 상주할 수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입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커플링된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 있다.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ASIC에 상주할 수 있다. ASIC는 사용자 단말(예컨대, UE)에 상주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프로세서 및 저장 매체는 사용자 단말에 별개의 컴포넌트들로서 상주할 수 있다.
[00065] 하나 또는 그 초과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서, 설명된 기능들은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능들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하나 또는 그 초과의 명령 또는 코드로서 저장되거나 이를 통해 송신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일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의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한 통신 매체들 및 컴퓨터 저장 매체들 둘 모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 있다. 제한이 아닌 예로서, 그러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은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저장부, 자기 디스크 저장부 또는 다른 자기 저장 디바이스들, 또는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원하는 프로그램 코드를 반송(carry) 또는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고,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로 적절히 지칭된다. 예컨대,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digital subscriber line),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송신된다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DSL, 또는 적외선, 라디오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이 매체의 정의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디스크(disk) 및 디스크(disc)는 컴팩트 디스크(disc)(CD), 레이저 디스크(disc), 광학 디스크(disc), 디지털 다기능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DVD), 플로피 디스크(disk) 및 블루-레이 디스크(disc)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disk)들은 일반적으로 데이터를 자기적으로 재생하지만, 디스크(disc)들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상기한 것들의 결합들이 또한 컴퓨터-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00066] 전술한 개시내용이 본 개시내용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을 도시하지만, 첨부된 청구항들에 의해 정의된 본 개시내용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서, 다양한 변화들 및 수정들이 본원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원에 설명된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 청구항들의 기능들, 단계들 및/또는 동작들은 임의의 특정 순서로 수행될 필요는 없다. 또한, 본 개시내용의 엘리먼트들이 단수 형태로 설명 또는 청구될 수 있지만, 단수에 대한 제한이 명시적으로 언급되지 않는다면, 복수가 고려된다.

Claims (30)

  1.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으로서,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시간 기간 동안 제1 통지 신호(advertising signal)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1 통지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시간 기간 동안 상기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한 후에,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시간 기간의 듀레이션을 갖는 스캐닝 상태로 스위칭하는 단계 ― 상기 스캐닝 상태 동안에,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그리고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함 ―;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스캐닝 상태에 있는 동안,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3 시간 기간 동안 제3 신호를 리스닝(listening)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3 시간 기간은 상기 제1 시간 기간 후의 미리정의된 대기 시간 후에 상기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기간의 시작은 상기 제1 시간 기간의 끝에 있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지 신호가 송신되었던 동일한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신호를 리스닝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는 연결 요청 신호 또는 스캔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3 시간 기간 외에서 수신되는 연결 요청들 또는 스캔 요청들을 무시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2 시간 기간의 전체 듀레이션 동안에 수신되는 통지 신호들에 응답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한 후에 그리고 인터리빙 슬립 인터벌(interleaving sleep interval)에 진입하지 않고서, 상기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기 시작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제4 시간 기간 동안 제3 통지 신호를 송신하는 단계 ― 상기 제3 통지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3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4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제5 시간 기간 동안 제4 통지 신호를 스캔하는 단계 ― 상기 제4 통지 신호는 제4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그리고 상기 제4 통신 디바이스가 제4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제6 시간 기간 동안 제5 신호를 리스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5 신호는 상기 제3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5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그리고 상기 제6 시간 기간은 상기 제4 시간 기간 후의 미리정의된 대기 시간 후에 상기 제5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9. 제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1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신호를 리스닝하고,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상기 제1 채널과 상이한 제2 채널 상에서 상기 제3 통지 신호를 송신하고, 상기 제4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그리고 상기 제5 신호를 리스닝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저에너지-가능 디바이스(Bluetooth? Low Energy-capable device)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무선 연결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연결(Bluetooth? Low Energy connection)을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기간은 블루투스? 코어 버전 4.0 규격(Bluetooth? Core Version 4.0 specification) 또는 블루투스? 코어 버전 4.1 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시간 기간의 시작은 블루투스? 코어 버전 4.0 규격 또는 블루투스? 코어 버전 4.1 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1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지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는 방법.
  15.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커플링되고 그리고 명령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시간 기간 동안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게 하고 ― 상기 제1 통지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시간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통지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1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시간 기간의 듀레이션을 갖는 스캐닝 상태로 스위칭하게 하고 ― 상기 스캐닝 상태 동안에,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그리고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함 ―; 그리고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스캐닝 상태에 있는 동안, 제3 시간 기간 동안 제3 신호를 리스닝하게 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3 시간 기간은 상기 제1 시간 기간 후의 미리정의된 대기 시간 후에 상기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기간의 시작은 상기 제1 시간 기간의 끝에 있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1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지 신호가 송신되었던 동일한 채널 상에서 상기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신호를 리스닝하게 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1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신호는 연결 요청 신호 또는 스캔 요청 신호를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19. 제18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3 시간 기간 외에서 수신되는 연결 요청들 또는 스캔 요청들을 무시하게 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0.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2 시간 기간의 전체 듀레이션 동안에 수신되는 통지 신호들에 응답하게 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1.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지 신호의 송신 후에 그리고 인터리빙 슬립 인터벌에 진입하지 않고서, 상기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기 시작하게 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2.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2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제4 시간 기간 동안 제3 통지 신호를 송신하게 하고 ― 상기 제3 통지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3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4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제5 시간 기간 동안 제4 통지 신호를 스캔하게 하고 ― 상기 제4 통지 신호는 제4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그리고 상기 제4 통신 디바이스가 제4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그리고
    제6 시간 기간 동안 제5 신호를 리스닝하게 하고,
    상기 제5 신호는 상기 제3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5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6 시간 기간은 상기 제4 시간 기간 후의 미리정의된 대기 시간 후에 상기 제5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3. 제22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채널 상에서 상기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게 하고, 상기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신호를 리스닝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채널과 상이한 제2 채널 상에서 상기 제3 통지 신호를 송신하게 하고, 상기 제4 통지 신호를 스캔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5 신호를 리스닝하게 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4.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블루투스? 저에너지-가능 디바이스를 포함하고, 그리고 상기 제1 무선 연결은 블루투스? 저에너지 연결을 포함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5.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시간 기간은 블루투스? 코어 버전 4.0 규격 또는 블루투스? 코어 버전 4.1 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시간 기간의 시작은 블루투스? 코어 버전 4.0 규격 또는 블루투스? 코어 버전 4.1 규격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정의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7.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2 통지 신호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2 통지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8.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들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추가로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로부터 상기 제3 신호를 수신하게 하고; 그리고
    상기 제3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제3 통신 디바이스와 무선 연결을 설정하게 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29.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제1 통신 디바이스로서,
    제1 시간 기간 동안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제1 통지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시간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통지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1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시간 기간의 듀레이션을 갖는 스캐닝 상태로 스위칭하기 위한 수단 ― 상기 스캐닝 상태 동안에,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그리고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함 ―;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스캐닝 상태에 있는 동안, 제3 시간 기간 동안 제3 신호를 리스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3 시간 기간은 상기 제1 시간 기간 후의 미리정의된 대기 시간 후에 상기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장치.
  30.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한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컴퓨터-실행가능 명령들은: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시간 기간 동안 제1 통지 신호를 송신하도록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 상기 제1 통지 신호는,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제1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됨 ―;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시간 기간 동안의 상기 제1 통지 신호의 송신 후에, 상기 제1 시간 기간에 후속하는 제2 시간 기간의 듀레이션을 갖는 스캐닝 상태로 스위칭하도록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 상기 스캐닝 상태 동안에,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는 제2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그리고 상기 제2 통신 디바이스가 제2 무선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이용가능하다는 것을 통지하도록 구성되는 제2 통지 신호를 스캔함 ―; 및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로 하여금, 상기 제1 통신 디바이스가 상기 스캐닝 상태에 있는 동안, 제3 시간 기간 동안 제3 신호를 리스닝하도록 지시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
    을 포함하고,
    상기 제3 신호는 상기 제1 통지 신호에 대한 응답으로 제3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송신되고, 상기 제3 시간 기간은 상기 제1 시간 기간 후의 미리정의된 대기 시간 후에 상기 제2 시간 기간 동안에 발생하는,
    비-일시적 컴퓨터-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187002195A 2015-07-26 2016-05-26 블루투스 저에너지 결합된 리슨 및 스캔 윈도우 KR10194234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4/809,249 2015-07-26
US14/809,249 US9961633B2 (en) 2015-07-26 2015-07-26 Bluetooth low energy combined listen and scan window
PCT/US2016/034384 WO2017019166A1 (en) 2015-07-26 2016-05-26 Bluetooth low energy combined listen and scan window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34423A KR20180034423A (ko) 2018-04-04
KR101942348B1 true KR101942348B1 (ko) 2019-01-25

Family

ID=561180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02195A KR101942348B1 (ko) 2015-07-26 2016-05-26 블루투스 저에너지 결합된 리슨 및 스캔 윈도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9961633B2 (ko)
EP (1) EP3326391B1 (ko)
JP (1) JP6462950B2 (ko)
KR (1) KR101942348B1 (ko)
CN (1) CN107852587B (ko)
BR (1) BR112018001468A2 (ko)
CA (1) CA2989404A1 (ko)
TW (1) TW201705802A (ko)
WO (1) WO2017019166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840A (ko) * 2018-09-27 2020-04-06 애플 인크. 슬립 상태의 액세서리의 저전력 활성화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1516674D0 (en) 2015-09-21 2015-11-04 Nicoventures Holdings Ltd Topology
GB201516673D0 (en) * 2015-09-21 2015-11-04 Nicoventures Holdings Ltd Topology
CN108353277B (zh) * 2015-09-30 2021-09-28 谷歌有限责任公司 低能耗无线电装置和包括低能耗无线电装置的系统
US10492126B2 (en) * 2017-03-02 2019-11-26 Hewlett Packard Enterprise Development Lp Bluetooth low energy device state transition
CN110506426B (zh) * 2017-03-29 2023-01-24 贝克顿·迪金森公司 将两个设备配对以在其间进行无线通信的方法
GB201707050D0 (en) 2017-05-03 2017-06-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Data communication
US10291755B2 (en) * 2017-07-14 2019-05-14 Silicon Laboratorie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adaptive scanning and/or advertising
SG11202004628YA (en) * 2017-11-27 2020-06-29 Willowmore Pte Ltd Gateway device for iot sensors or actuators
GB201722278D0 (en) 2017-12-29 2018-02-14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Device identification and method
KR102511695B1 (ko) 2018-06-21 2023-03-21 루이스 마르셀로 하야시 활성화된 장치로의 비콘 신호 전송을 기반으로 한 위치 결정
CN112640505B (zh) * 2018-12-22 2022-04-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传输速率的控制方法及设备
CN113170279B (zh) 2018-12-26 2022-11-11 华为技术有限公司 基于低功耗蓝牙的通信方法及相关装置
TWI739063B (zh) * 2019-01-31 2021-09-11 和碩聯合科技股份有限公司 數據機及通訊方法
US10959128B2 (en) 2019-02-08 2021-03-23 Arm Limited Bluetooth low energy connected isochronous stream acknowledgement and flush algorithm and implementation
US10856297B2 (en) * 2019-02-08 2020-12-01 Arm Limited Pre-calculation of sub-event RF channel
EP3979679A4 (en) * 2019-06-03 2023-05-03 Intellectual Discovery Co., Ltd.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FOR BROADCASTING DETECTION SERVI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S SYSTEM AND RECORDING MEDIUM THEREOF
US11357020B2 (en) 2020-02-06 2022-06-07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ing computer processing systems and transmitting data
US11290575B2 (en) * 2020-02-06 2022-03-29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ing computer processing systems and transmitting data
US11405766B2 (en) 2020-02-06 2022-08-02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Connecting computer processing systems and transmitting data
DE102020214381A1 (de) 2020-11-16 2022-05-19 Volkswagen Aktiengesellschaft Kraftfahrzeug, Elektronischer Fahrzeugfunkschlüssel und System zum passiven Zugang zu einem Kraftfahrzeug und Verfahren hierfür
CN112437421B (zh) * 2020-11-23 2024-05-10 深圳市纵贯无限科技有限公司 蓝牙控制方法、装置、存储介质及移动终端
KR20220144223A (ko) * 2021-04-19 2022-10-26 삼성전자주식회사 스캔 듀티에 기반한 백 오프 처리 방법 및 장치
DE102022124868A1 (de) * 2022-09-27 2024-03-28 Marquardt Gmbh Authentifizierungssystem für ein Fahrzeug zur Authentifizierung von portablen Authentifizierungseinrichtungen sowie zugehöriges Verfahr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8913A1 (en) 2008-03-25 2009-10-01 Nokia Corporation Wireless coordination of apparatus interaction
WO2015099751A1 (en) 2013-12-27 2015-07-0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bluetooth communication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892042B2 (en) * 2012-06-08 2014-11-18 Apple Inc. Immediate connection following device discovery
US8935411B2 (en) * 2012-08-22 2015-01-13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dvertisements to provide information regarding connection setup
US9628979B2 (en) 2012-08-22 2017-04-18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nd apparatus for utilizing advertisements in conjunction with device discovery
US20140254466A1 (en) 2013-02-21 2014-09-11 Qualcomm Incorporated Interleaving Advertising Packets For Improved Detectability And Security
US9451436B2 (en) * 2013-05-31 2016-09-2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device discovery
EP3026942B1 (en) * 2014-11-28 2017-09-27 Nokia Technologies OY Discovery of neighbour peers and connection establisment for a peer to peer communication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90248913A1 (en) 2008-03-25 2009-10-01 Nokia Corporation Wireless coordination of apparatus interaction
WO2015099751A1 (en) 2013-12-27 2015-07-02 Intel Corporation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bluetooth communicatio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35840A (ko) * 2018-09-27 2020-04-06 애플 인크. 슬립 상태의 액세서리의 저전력 활성화
KR102211767B1 (ko) 2018-09-27 2021-02-03 애플 인크. 슬립 상태의 액세서리의 저전력 활성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26391B1 (en) 2020-12-09
US20170026905A1 (en) 2017-01-26
BR112018001468A2 (pt) 2018-09-11
CN107852587B (zh) 2019-04-02
CA2989404A1 (en) 2017-02-02
WO2017019166A1 (en) 2017-02-02
US9961633B2 (en) 2018-05-01
KR20180034423A (ko) 2018-04-04
JP2018525908A (ja) 2018-09-06
TW201705802A (zh) 2017-02-01
EP3326391A1 (en) 2018-05-30
CN107852587A (zh) 2018-03-27
JP6462950B2 (ja) 2019-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2348B1 (ko) 블루투스 저에너지 결합된 리슨 및 스캔 윈도우
US20170026777A1 (en) Bluetooth low energy interlaced advertising and scanning
KR102377815B1 (ko) 비허가된 무선 주파수 스펙트럼 대역을 이용한 무선 네트워크에서의 셀 발견
CN113056951B (zh) 信息传输方法、装置、通信设备和存储介质
WO2019184404A1 (zh) 信息的发送、接收方法及装置
US981392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discovery messages
KR20210008500A (ko) 짧은 메시지 표시자를 이용한 페이징 설계
CN107925859A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系统、测定方法以及集成电路
WO2021163936A1 (zh) 通信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CN107925897A (zh) 终端装置、基站装置、通信系统、测定方法以及集成电路
US20210160742A1 (en) Selective multi-link operation in wlan
WO2021243714A1 (zh) 定位参考信号的传输方法及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EP3064030A1 (en) Systems, methods and devices for modifying relay operation of a wireless device
WO2021142796A1 (zh) 通信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WO2021003675A1 (zh) 信息处理方法、装置及计算机存储介质
WO2019192456A1 (zh) 配置信息指示方法及通信装置
WO2016127391A1 (zh) 无线网络的数据传输方法及网络节点
US20220408469A1 (en) Downlink control information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and communic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WO2024092806A1 (zh) 发送和接收唤醒响应消息的方法及装置
US11765698B2 (en) Concurrent multi-band operation of a peer-to-peer link
WO2024092807A1 (zh) 确定终端设备睡眠状态的方法及装置
RU2798864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связи
WO2024027678A1 (zh) 扩展非连续接收的配置方法及装置、通信设备
CN110913378B (zh) 基于触发的即时通信的操作优化
WO2024067352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