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2051B1 - 바른 내진보강방법 - Google Patents

바른 내진보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2051B1
KR101942051B1 KR1020170000818A KR20170000818A KR101942051B1 KR 101942051 B1 KR101942051 B1 KR 101942051B1 KR 1020170000818 A KR1020170000818 A KR 1020170000818A KR 20170000818 A KR20170000818 A KR 20170000818A KR 101942051 B1 KR101942051 B1 KR 1019420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ule
fixing
reinforcing
seismic
wal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08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992A (ko
Inventor
조문철
Original Assignee
조문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문철 filed Critical 조문철
Priority to KR10201700008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2051B1/ko
Publication of KR201800799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9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20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205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7Preventive constructional measures against earthquake damage in existing build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8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vibrations or shocks; against mechanical destruction, e.g. by air-rai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0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gs
    • E04G23/02Repairing, e.g. filling cracks; Restoring; Altering; Enlarging
    • E04G23/0218Increasing or restoring the load-bearing capacity of building construction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9/00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 E04H9/02Buildings, groups of buildings or shelters adapted to withstand or provide protection against abnormal external influences, e.g. war-like action, earthquake or extreme climate withstanding earthquake or sinking of ground
    • E04H9/021Bearing, supporting or connecting constructio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build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rking Measures On Existing Buildind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강 섬유가 롤링된 제1 모듈와, 고정액을 분사하는 제2 모듈을 구비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는 내진보강방법은 상기 내진보강장치를 대상 벽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벽면에 상기 제1 모듈을 이용하여 보강 섬유를 배치시키는 배치단계 및 상기 벽면에 고정액을 분사하여 상기 보강 섬유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단계와 상기 고정단계는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내진보강장치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수행된다.

Description

바른 내진보강방법{Barun Reinforcement Method for Quake-proof}
본 발명의 일실시예들은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여 건물의 내진보강을 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 자주 발생되고 있는 주변 국가들의 지진으로 인한 인적 물적 피해사례는 상상을 초월하는 수준이라고 할 수 있으며 중, 약진 지역으로 분류되는 우리나라도 지진으로부터 안전하다고 할 수 없는 실정이다.
더구나 국내의 지진 대비 환경은 기존 건축시설물의 80%이상이 지진에 거의 무방비한 상태라고 할 수 있으며 특히 중, 저층 구조물의 대다수인 다세대 주택과 비상시 인근 주민들의 대피장소로 사용되어야 할 학교시설물 등은 이제 겨우 내진보강을 시작하고 있는 실정이다.
일반적인 건축물은 상부구조물을 지지하기 위한 기둥과 보 및 슬래브를 기본 구조로 하여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건축물에 있어서 상기 기둥의 경우는 구조물의 하중(고정, 적재)이나 상부 충격, 횡 하중(지진, 바람)을 지지하는 것으로 매우 중요한 부위이지만, 우리나라의 경우는 종래 큰 지진의 경험이 극히 미미하여 지진에 대한 고려를 소홀히 하였으며, 이로써 우리나라의 구조물은 횡 하중에 취약한 구조물이 많은 실정이다.
물론, 최근에는 전술된 횡 하중의 취약함을 보완할 수 있도록 다양한 구조의 기둥이 제공되고 있으나, 종래에 만들어진 기둥의 경우는 전술된 새로운 형태의 기둥으로 교체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 기둥을 보강하는 방식으로 횡 하중의 취약함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였고, 이러한 보강 방식에는 강판부착식 보강, 세라믹코팅보강재(PC), 철골철근콘크리트 접합프레임(SRC, RCS)공법, 댐퍼시스템(MR, 토글형, 창호형) 등의 방법이 현장 여건에 따라 적용되고 있다.
그러나, 전술된 보강 방식은 내, 외부 철거작업 및 마감 작업이 많고 철근배근작업과 콘크리트 타설 작업이 있으며 현장 용접작업이 필요하고, 별도의 거푸집을 설치해야 하는 등 현장에서의 작업량이 많아 시공기간이 오래 걸리고 공사비용이 증가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접합부의 시공이 어렵고 창문개방성이 취약하며 보강설치 위치에 대한 제약이 많으며 정기적인 성능 점검 등의 필요 등 유지관리에 많은 어려움 이 있었다.
이에 따라, 전술된 문제점들을 개선하기 위해 등록특허 제10-1257752호가 제안되었다. 이러한 선행기술에서는 기존 기둥에 베이스플레이트를 설치하고 미리 제작된 CFT(Concrete Filled Tube) 기둥을 상기 베이스플레이트와 결합한 후 CFT 기둥과 베이스플레이트 사이 공간을 몰탈로 타설하여 기존 기둥의 내진 보강을 함으로써 전술된 종래의 공법들에 비해 현장 용접작업과 철근배근작업 등이 불필요하고, 현장 시공이 용이하며, 시공기간을 줄이면서도 안전하게 기존 기둥의 내진보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이러한 선행기술은 베이스플레이트와 CFT 기둥을 연결하고 그 사이 공간에 몰탈 타설을 수행하기 위해 별도의 거푸집이 필요시되고, 이러한 거푸집의 설치나 제거로 인한 공정수의 증가 및 비용 증가가 야기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철거 및 마감작업, 철근 배근 작업이나 콘크리트 타설작업 등의 전처리 작업을 간략화하면서도, 최소한의 공정으로 보다 빠르고 저렴하게 내진을 보강할 수 있는 방안이 고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기존과는 다른 방법으로 건물의 내진을 보강하는 내진보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즉, 기존 구조체의 성능을 저해하는 앵커고정방식에서 탈피하여, 기존 구조체의 성능 변화없이 내진을 보강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보다 향상된 방법으로 보다 경제적으로 건물의 내진을 보강하는 내진보강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해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보강 섬유가 롤링된 제1 모듈와, 고정액을 분사하는 제2 모듈을 구비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는 내진보강방법은 상기 내진보강장치를 대상 벽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와, 상기 벽면에 상기 제1 모듈을 이용하여 보강 섬유를 배치시키는 배치단계 및 상기 벽면에 고정액을 분사하여 상기 보강 섬유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단계와 상기 고정단계는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내진보강장치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수행된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내진보강장치는 상기 벽면을 연마하거나, 상기 보강 섬유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는 제3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이동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제3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벽면을 연마하거나 상기 홈을 형성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상기 제2 모듈은 서로 다른 고정액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계는 기설정된 회수에 따라 수회 반복될 수 있다.
본 발명과 관련한 일 예에 따르면, 1차로 상기 전처리 단계와 전처리된 상기 벽면에 프라이머를 분사하는 고정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고, 2차로 상기 배치단계와 상기 고정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관련된 내진보강방법은 보다 용이하고, 저렴하게 기 건축된 건축물에 내진보강할 수 있다.
또한, 건축물의 내진보강을 자동 또는 반자동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으므로, 보강에 소요되는 비용과 시간을 대폭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장치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장치의 개념도.
도 4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여 내진보강을 하는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
도 5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여 내진보강을 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내진보강방법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장치의 개념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장치(100)는 본체(101), 제1 모듈(110) 및 제2 모듈(120)을 포함한다.
본체(10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경사지게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체(101)는 그 양측면에 복수의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바퀴는 후술하는 구동부(34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제1 모듈(110)은 본체(101)로부터 연장되고, 본체(1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 모듈(110)은 보강 섬유들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는 롤러부(112)를 포함한다. 롤러부(112)가 회전하면서 보강 섬유들이 내진 보강하고자 하는 보강면에 배치된다. 보강 섬유(170)는 여러개의 가닥이 꼬인 실 형태가 되거나, 여러개의 가닥이 서로 교차하면서 배열되는 직물 형태가 될 수 있다. 보강 섬유들은 본체(101) 내부의 제1 저장소(103)에 배치될 수 있다.
보강 섬유는 탄소섬유, 유리섬유, 아라미드 섬유 등의 섬유들 중 적어도 하나를 일정 비율 이상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제2 모듈(120)은 본체(101)로부터 연장되고, 본체(1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 모듈(120)은 고정액이 분사되도록 대면하는 일면에 복수의 분사구(121)가 형성되는 분사부(122)를 구비한다. 고정액들은 본체(101) 내부의 제2 저장소(102)에 배치될 수 있다.
고정액(180)은 일 예로, 아미노실란화합물에 알칼리실리케이트염을 중합시켜 형성된 그라프트중합물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미노실란화합물은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시킨 후 아민을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액은 프라이머, 함침용수지, 우레탄계 도료 또는 불소계 도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내진보강장치(100)는 제3 모듈(1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모듈(130)은 보강면(W)을 연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모듈(130)은 보강면에 보강 섬유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모듈(130)은 보강 섬유들응 배치하는 작업 이전에 보강면을 전처리할 수 있게 제1 모듈(110)의 앞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모듈(110, 120, 130)은 각각 복수의 암으로 이루어지며, 각 암들이 서버모터에 의해 그 움직임이 제어되어, 대면하는 보강면에 보강작업을 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각 모듈에 감지부(330)가 형성될 수 있다. 감지부(330)는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측정기 등의 거리 감지수단이 될 수 있다. 감지부(330)가 장착된 모듈과 벽과의 거리를 감지하면, 내진보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술하는 제어부(310)가 상시적으로 그 거리를 유지하도록 각 모듈을 제어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사용자의 조작 또는 미리 설정된 이동 경로를 위한 이동을 위해, 본체(101)는 감지부(330), 구동부(340), 카메라부(350), 전원부(380), 통신부(320), 저장부(360) 및 제어부(310)를 구비한다. 감지부(330)는 본체(101)의 위치와 각 모듈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형성된다. 감지부(330)는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글로벌항법위성시스템(GNSS) 수신용 모듈 등을 포함하며, 본체(101)의 속도, 가속도 및 회전각, 위치 및 고도 등을 측정하여 제어부(310)로 전달한다. 구동부(340)는 전기 모터를 구비하며, 본체(101)에 부착되거나 결합될 수 있다. 제어부(310)는 외부의 조종 신호에 따르거나 내부의 미리 정해진 동작에 따라 본체(101)나 모듈의 목표 위치 및 방위를 계산하고 이에 대응하는 제어 명령을 생성하여 구동부(340)에 전송한다.
카메라부(350)는 모듈을 통한 내진보강작업의 진행 상태를 촬영하도록 형성된다. 저장부(360)에는 내진보강의 각 단계에서 구동부(340)와 모듈부 등의 동작 시나리오 등이 저장된다.
본체(101)는 상술한 하나 이상의 구성이 수용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본체(101)는 무선 또는 유선으로 단말기와 통신을 할 수 있으며, 단말기를 통해 본체(101)의 이동이나 각 모듈의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 단말기는 스마트폰(smartphone), 태블릿(tablet) 컴퓨터, 노트북 컴퓨터(notebook),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의 형태로 구현되거나, 서버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체(101)와 단말기는 LAN,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임의의 통신 방법으로 통신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장치(200)의 개념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장치(200)는 본체(201), 고정부(205), 제1 모듈(210) 및 제2 모듈(220)을 포함한다.
본체(201)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지면에 대해 수평 또는 경사지게 이동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체(201)는 그 양측면에 복수의 바퀴를 구비할 수 있다. 각각의 바퀴는 후술하는 구동부(340)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제1 모듈(210)은 본체(201)로부터 연장되고, 본체(2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 모듈(210)은 보강 섬유들이 감겨진 형태로 배치되는 롤러부(212)를 포함한다. 롤러부(212)가 축(211)을 기준으로 회전하면서 보강 섬유들이 내진 보강하고자 하는 보강면에 배치된다. 보강 섬유는 여러개의 가닥이 꼬인 실 형태가 되거나, 여러개의 가닥이 서로 교차하면서 배열되는 직물 형태가 될 수 있다. 보강 섬유들은 본체(201) 내부의 제1 저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듈(220)은 본체(201)로부터 연장되고, 본체(201)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상하 또는 좌우로 이동가능하게 형성된다. 제2 모듈(220)은 고정액이 분사되도록 대면하는 일면에 복수의 분사구가 형성된다. 고정액들은 본체(201) 내부의 제2 저장소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모듈(220)은 복수의 면을 구비하고, 각 면에 서로 다른 고정액이 분사될 수 있다. 즉, 제2 모듈(220)은 복수의 면으로 형성되는 분사부(222)를 구비할 수 있으며, 분사부는 각 면이 보강면을 대면하도록 축(211)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분사부에는 각각 서로 다른 고정액이 분사되는 분사구(223a, 223b, 223c)가 형성된다.
고정액은 일 예로, 아미노실란화합물에 알칼리실리케이트염을 중합시켜 형성된 그라프트중합물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미노실란화합물은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시킨 후 아민을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액은 프라이머, 함침용수지, 우레탄계 도료 또는 불소계 도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그리고, 내진보강장치(200)는 제3 모듈(230)을 구비할 수 있다. 제3 모듈(230)은 보강면을 연마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 모듈(230)은 보강면에 보강 섬유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제3 모듈(230)은 보강 섬유들을 배치하는 작업 이전에 보강면을 전처리할 수 있게 제1 모듈(210)의 앞에 배치될 수 있다. 제3 모듈(230)은 보강면을 전처리할 수 있게 복수의 연마날을 구비하는 연마부(232)를 구비할 수 있으며, 연마부는 축(231)을 기준으로 회전가능하게 형성된다.
제1 실시예와 달리, 제1 내지 제3 모듈(210, 220, 230)은 고정부(205)에 각각 그 일단이 고정된다. 제1 내지 제3 모듈(210, 220, 230)은 각각 복수의 암으로 이루어지며, 각 암들이 서버모터에 의해 그 움직임이 제어되어, 대면하는 보강면에 보강작업을 할 수 있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지 제3 모듈(210, 220, 2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부를 구비하여 상하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실시예와 같이 복수의 암을 구비하여 상하 또는 좌우 운동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실시예와 달리, 각 모듈에 감지부(330)가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고정부(205)에 감지부(330)가 형성된다. 감지부(330)는 적외선 센서나 레이저 측정기 등의 거리 감지수단이 될 수 있다. 감지부(330)가 고정부(205)와 벽과의 거리를 감지하면, 내진보강작업이 이루어질 수 있게 후술하는 제어부(310)가 상시적으로 그 거리를 유지하도록 고정부(205)의 하단에 형성된 높낮이 조절수단(204)을 제어할 수 있다.
각 모듈마다 보강면에 대한 적절한 보강 거리가 다르기 때문에, 각 모듈의 높낮이를 조절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모된다. 따라서, 고정부의 일면에 감지부가 형성되고, 고정부의 일면과 대면하는 본체의 일면에 반사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용이하게 고정부와 본체와의 거리를 감지하고, 본체와 보강면 간의 거리를 보다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일단 각 모듈과 보강면까지의 거리를 결정하면, 고정부의 높낮이만 조절하여 각 모듈과 보강면까지의 거리를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4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여 내진보강을 하는 일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방법은 이동단계, 배치단계 및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이동단계는 내진보강장치의 각 모듈이 대상 보강면을 대면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내진보강장치의 이동은 사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내진보강장치를 조작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경로와 작업순서를 미리 설정해 놓으면, 내진보강장치가 기설정된 경로와 작업순서에 따라 보강면에 내진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배치단계는 제1 모듈을 이용하여 보강면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보강 섬유를 배치하는 단계이다. 보강 섬유는 여러개의 가닥이 꼬인 실 형태가 되거나, 여러개의 가닥이 서로 교차하면서 배열되는 직물 형태가 될 수 있다. 보강 섬유들은 본체 내부의 제1 저장소에 배치되어 있다가 연속적으로 제1 모듈에 형성된 롤러부에 공급된다. 배치단계와 고정단계에서는 보강면과 모듈까지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고정단계는 보강면에 고정액을 분사하여 보강 섬유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 여기서 고정액은 일 예로, 아미노실란화합물에 알칼리실리케이트염을 중합시켜 형성된 그라프트중합물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미노실란화합물은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시킨 후 아민을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액은 프라이머, 함침용수지, 우레탄계 도료 또는 불소계 도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고정단계는 수차례 반복될 수 있다. 또한, 고정액이 프라이머이면 배치단계 이전에 고정단계가 수행될 수도 있다.
그리고, 제3 모듈을 이용하여 보강면을 미리 연마하거나 홈을 형성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전처리 단계는 배치단계 이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배치단계와 고정단계가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이로 인해 작업수행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도 5는 도 1 또는 도 3에 도시된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여 내진보강을 하는 다른 예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내진보강방법은 이동단계, 전처리 및 배치단계, 그리고 배치 및 고정단계를 포함한다.
이동단계는 내진보강장치의 각 모듈이 대상 보강면을 대면하도록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내진보강장치의 이동은 사용자가 현장에서 직접 내진보강장치를 조작하면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달리, 사용자가 경로와 작업순서를 미리 설정해 놓으면, 내진보강장치가 기설정된 경로와 작업순서에 따라 보강면에 내진보강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전처리 및 고정단계는 제3 모듈을 이용하여 보강면을 미리 연마하거나 홈을 형성하면서, 제2 모듈을 이용하여 보강면에 고정액 중의 하나인 프라이머를 분사하는 단계이다.
배치 및 고정단계는 제1 모듈을 이용하여 보강면의 일측에서 타측까지 보강 섬유를 배치하면서, 보강면에 고정액을 분사하여 보강 섬유를 고정시키는 단계이다.보강 섬유는 여러개의 가닥이 꼬인 실 형태가 되거나, 여러개의 가닥이 서로 교차하면서 배열되는 직물 형태가 될 수 있다. 보강 섬유들은 본체 내부의 제1 저장소에 배치되어 있다가 연속적으로 제1 모듈에 형성된 롤러부에 공급된다. 배치 및 고정단계에서는 보강면과 모듈까지의 거리를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여기서 고정액은 일 예로, 아미노실란화합물에 알칼리실리케이트염을 중합시켜 형성된 그라프트중합물에 경화촉진제를 첨가하여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아미노실란화합물은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시킨 후 아민을 중합시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고정액은 함침용수지, 우레탄계 도료 또는 불소계 도료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내진보강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4)

  1. 이동가능하게 형성되는 본체와,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내진 보강하고자 하는 보강면에 보강 섬유를 배치시키는 제1 모듈과, 상기 본체로부터 연장되고, 상기 보강 섬유가 배치된 상기 보강면에 고정액을 분사하는 제2 모듈을 구비하는 내진보강장치를 이용하는 내진보강방법에 있어서,
    상기 내진보강장치를 대상 벽면으로 이동시키는 이동단계;
    상기 벽면에 상기 제1 모듈을 이용하여 보강 섬유를 배치시키는 배치단계; 및
    상기 벽면에 고정액을 분사하여 상기 보강 섬유를 고정시키는 고정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배치단계와 상기 고정단계는 기설정된 경로를 따라 상기 내진보강장치가 이동하면서 동시에 수행되고,
    상기 내진보강장치는,
    상기 보강면을 연마하거나, 상기 보강 섬유가 안착될 수 있도록 홈을 형성하는 제3 모듈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내지 제3 모듈은 상기 본체에 대하여 높이 조절가능하게 결합되는 고정부에 형성되고,
    상기 고정부의 일면에 거리를 감지하도록 형성되는 감지부가 형성되고, 상기 일면을 마주보는 상기 본체의 일면에 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단계가 수행되면, 상기 제3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벽면을 연마하거나 상기 홈을 형성하는 전처리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모듈은 서로 다른 고정액이 분사되는 분사구가 서로 다른 면에 형성되는 분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고정단계는 기설정된 회수에 따라 수회 반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1차로 상기 전처리 단계와 전처리된 상기 벽면에 프라이머를 분사하는 고정단계가 동시에 수행되고,
    2차로 상기 배치단계와 상기 고정단계가 동시에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진보강방법.






KR1020170000818A 2017-01-03 2017-01-03 바른 내진보강방법 KR10194205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18A KR101942051B1 (ko) 2017-01-03 2017-01-03 바른 내진보강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00818A KR101942051B1 (ko) 2017-01-03 2017-01-03 바른 내진보강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92A KR20180079992A (ko) 2018-07-11
KR101942051B1 true KR101942051B1 (ko) 2019-01-24

Family

ID=629178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0818A KR101942051B1 (ko) 2017-01-03 2017-01-03 바른 내진보강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205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361A (ja) * 1999-06-01 2000-12-05 Nippon Steel Corp 水中塗装装置
JP2005200983A (ja) * 2004-01-16 2005-07-28 S G C Gesuido Center Kk 分岐管の調査・洗浄方法、調査・洗浄装置および洗浄システム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6026A (ko) * 2003-02-24 2004-08-31 정영수 섬유보강 합성수지 스프레이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철근콘크리트 구조물의 보강공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334361A (ja) * 1999-06-01 2000-12-05 Nippon Steel Corp 水中塗装装置
JP2005200983A (ja) * 2004-01-16 2005-07-28 S G C Gesuido Center Kk 分岐管の調査・洗浄方法、調査・洗浄装置および洗浄システ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992A (ko) 2018-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206877A1 (zh) 一种3d打印装配式模块化建筑方法
CN103556836A (zh) 受限空间条件下球形网壳拼装施工方法
CN105350639B (zh) 一种立面交叉网格结构外围框架及其安装方法
JP2010242316A (ja) 中路式アーチ橋の架設方法
CN105525753A (zh) 一种构造柱与主体结构同时施工的方法及结构
KR101942051B1 (ko) 바른 내진보강방법
KR101942052B1 (ko) 바른 내진보강장치
CN102003074B (zh) 室内大型钢连桥施工方法
JP2017089097A (ja) 主塔または橋脚の構築方法
CN102296704B (zh) 端部局部伸长型防屈曲支撑-梁-柱连接节点
CN206737145U (zh) 用于安装立体车库钢结构的节点
JP6339923B2 (ja) 建築物躯体の構築方法
Babaev et al. Cast reinforced concrete frame of buildings and methods of its erection
CN106013450B (zh) 核心筒跳层施工方法
CN109610707B (zh) 一种预制钢梁与楼板平齐的装配结构及快速施工方法
CN103850515A (zh) 一种空间结构的超长大倾斜角度桅杆的安装方法
CN102535640A (zh) 钢筋混凝土柱多向转动构造节点及其施工方法
CN105386447A (zh) 一种施工现场后浇带换撑的施工方法
CN106400696B (zh) 活动式组合贝雷架平台、可移动式组合贝雷架搭设平台和钢平台的搭设方法
CN104775363A (zh) 上塔柱钢筋节段的组拼方法
CN106978929A (zh) 并行化存取车的立体车库的钢结构系统
JP2001032524A (ja) 建物の施工方法
CN102704399A (zh) 钢筋绑扎接高操作室及钢筋绑扎接高方法
CN202520315U (zh) 隧道通风竖井井壁衬砌支撑体系
CN112065022A (zh) 一种悬挑钢结构及其悬挑钢结构施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