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940B1 -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940B1
KR101941940B1 KR1020170059245A KR20170059245A KR101941940B1 KR 101941940 B1 KR101941940 B1 KR 101941940B1 KR 1020170059245 A KR1020170059245 A KR 1020170059245A KR 20170059245 A KR20170059245 A KR 20170059245A KR 101941940 B1 KR101941940 B1 KR 101941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record
indoor map
identification information
mapp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592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24527A (ko
Inventor
이세희
Original Assignee
이세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희 filed Critical 이세희
Priority to KR10201700592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940B1/ko
Publication of KR201801245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245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Abstract

서고에 보관된 기록물의 위치와 서고에 보관할 기록물의 위치를 실내지도를 이용해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이 개시된다. 이를 위하여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식별정보 입력부와, 서고의 실내지도 정보가 저장된 실내지도 DB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가 저장된 기록물 위치정보 DB, 및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가 저장된 식별정보 DB가 포함된 저장부와, 상기 기록물 보관위치가 표기된 서고의 실내지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와 상기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백 평 이상의 넓은 공간을 갖는 서고에 보관된 기록물이라고 하더라도 기록물이 보관된 위치를 시각적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므로, 목적하는 기록물의 위치파악이 용이하다.

Description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LIBRARY MANAGING SYSTEM USING INDOOR MAP}
본 발명은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서고에 보관된 지적 기록물, 건축물 기록물 및 시청각 기록물 등의 다양한 형태의 기록물의 위치와 서고에 보관할 기록물의 위치를 실내지도를 이용해 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도와주는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관공서, 도서관, 기업(업체), 사무실 등과 같이 사무직을 수행하는 곳에서는 업무에 관련된 정보를 문서로 보관하고 있다.
이러한 문서는 전자 형식의 문서(전자 문서)와 비 전자 형식의 문서(비 전자 문서)가 있는데, 이 중 전자 문서는 PC 등의 단말기를 통해 관리할 수 있기 때문에 문서 식별이 용이하고, 전자 형식으로 구성되기 때문에 별도의 저장 장치에 저장할 수 있어서 보관이 용이한 장점이 있다.
그러나 관공서, 기업(업체), 사무실의 경우, 처리되는 문서의 많은 부분이 원본보관, 보안성 확보, 이중보관(전자, 비 전자)의 목적으로 비 전자 문서 형태로 생산되고 있다. 또한, 도서관 등과 같이 전자 문서보다 비 전자 문서를 주로 취급해야하는 장소도 있다.
이러한 비 전자 문서는 보관 중에 반출입이 잦아 위치가 수시로 변경되기 때문에 문서의 위치파악이 어렵고, 이관 시에는 애당초 이관예정 목록과 실제 이관 문서가 일치하지 않거나 폐기 시에는 폐기해서는 안 될 중요문서가 종종 유실되는 등 비 전자 문서는 관리 자체가 용이하지 못한 문제가 있다.
이러한 비 전자 문서는 입고되어서 폐기되기까지 반출 또는 이관 등에 의해 보관 위치가 수없이 변경되기 때문에 문서의 위치 파악이 어려운 점 또는 문서의 분실, 파손 등에 의해 보관 관리가 용이하지 못한 점과 같은 문제가 있으며, 이에 따라 비 전자 문서의 식별이 용이하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한편,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도 1과 같은 기록물관리 시스템이 개발되었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의 기록물관리 시스템은 각 기록물에 부착된 RFID태그의 태그정보와 연계하여 각 기록물의 관리데이터를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서버(10)와, 기록물이 보관된 장소에 설치되어 각 기록물에 부착된 RFID태그를 판독하여 태그정보를 취득하고 이 태그정보와 함께 반출, 반입 및 전수검사와 관련된 처리요청정보를 전송하는 이동형 RFID단말(21)과, 상기 이동형 RFID단말(21)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를 취합하며 처리요청정보에 따른 요청내용을 관리서버(10)에 요청하는 이동형 RFID서버(20)와, 출입장소에 설치된 출입통제 게이트장치(40)에 설치되어 반출되는 기록물의 RFID태그를 판독하는 고정형 RFID단말(31) 및, 상기 고정형 RFID단말(31)로부터 수신된 태그정보를 취합하며 각 태그정보와 매칭되는 기록물의 외부 반출여부를 관리서버(10)에 문의하고 무단반출 확인시 경보장치(32)를 구동제어하는 고정형 RFID서버(30)로 구성되었다.
그러나, 종래의 기록물관리 시스템은 상술한 바와 같이 기록물의 반출, 반입 및 전수검사 등의 기록물관리를 위해 서로 다른 이기종의 통신프로토콜로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세 개 이상의 서버(10,20,30)가 독립적으로 운용되기 때문에 시스템 구축비용이 과도해지고 대형화될 뿐만 아니라 각 서버간의 데이터통신 시 통신손실이 발생할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7602호(2014.08.07 공고)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6-0118055호(2016.10.11 공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723830호(2007.05.31 공고)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27364호(2014.08.08 공고)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기록물의 명칭확인을 통해 기록물이 수납된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고, 기록물에 부착된 식별코드의 스캔을 통해 기록물이 수납될 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서는 지적 기록물, 건축물 기록물 및 시청각 기록물 등의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식별정보 입력부와, 서고의 실내지도 정보가 저장된 실내지도 DB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가 저장된 기록물 위치정보 DB, 및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가 저장된 식별정보 DB가 포함된 저장부와, 상기 기록물 보관위치가 표기된 서고의 실내지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및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와 상기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는 회원정보 입력부와,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식별정보 입력부와, 서고의 실내지도 정보가 저장된 실내지도 DB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가 저장된 기록물 위치정보 DB와, 보안등급이 설정된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DB, 및 보안등급이 설정되며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코드가 저장된 식별정보 DB가 포함된 저장부와, 상기 회원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회원정보에 매칭된 보안등급을 상기 회원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사용자의 보안등급에 허가된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와 상기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는 관리자 단말기, 및 서고의 실내지도에 기록물의 보관위치가 함께 나타나도록 상기 매핑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를 포함하는 서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서는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식별정보 입력부와, 서고의 실내지도 정보가 저장된 실내지도 DB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가 저장된 기록물 위치정보 DB, 및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가 저장된 식별정보 DB가 포함된 저장부와, 서고의 실내지도와 기록물의 보관위치가 결합된 매핑정보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와,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 및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기록물 운반카트와, 상기 서고에 배치된 서가에 설치되어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와, 상기 기록물 운반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송출하는 무선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기록물 운반카트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기록물 운반카트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현재 위치정보와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 및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기록물 운반카트의 실시간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이동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경로 정보와 실내지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는 서고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넓은 공간을 갖는 서고에 보관된 지적 기록물, 건축물 기록물 및 시청각 기록물 등의 여러 종류의 기록물이라고 하더라도 기록물이 보관된 위치를 시각적으로 정확히 확인할 수 있으므로, 목적하는 기록물의 위치파악이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은 반납된 기록물을 스캔하면 보관될 위치를 간단히 특정할 수 있기 때문에 기록물 관리 자체가 용이하다.
아울러, 본 발명은 기록물이 입고되어서 폐기되기까지 반출 또는 이관 등에 의해 보관 위치가 수없이 변경되더라도 기록물의 위치 파악이 용이하므로, 기록물이 분실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기록물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실내지도의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지도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실내지도의 또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예시도이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한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이하, '서고 관리 시스템'이라 약칭함.)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식별정보 입력부(100)와, 실내지도 정보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가 저장된 저장부(200)와, 상기 기록물의 보관위치가 표기된 서고의 실내지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300), 및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기반으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추출하고 상기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와 실내지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핑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400)를 포함하며, 선택적으로 기록물을 운반하는 기록물 운반카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별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식별정보 입력부(100)를 포함한다.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00)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연결된 것으로, 서고로부터 기록물을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나 서고에 기록물을 반입하고자 경우에 기록물을 특정하는데 필요한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여기서 기록물은 지적 기록물, 건축물 기록물 및 시청각 기록물 등을 포함한다. 상기 지적 기록물은 토지조사부와 임야원도, 토지 이동 결의서, 측량 결과도, 폐쇄지적도, 복구공사 조서 등을 포함하고, 상기 건축물기록물은 건축물대장과 각종 건축 인·허가 서류를 포함하고, 시청각기록물은 각종 테이프, 디스크, 마이크로 필름 등의 형태의 시청각 자료를 포함한다.
이때, 식별정보 입력부(100)는 안내데스크나, 기록물 운반 카트, 또는 이들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식별정보 입력부(1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거나, 기록물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기록물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는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식별정보 입력부(100)는 서고에 보관된 기록물을 찾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기록물의 명칭을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달하는 것으로, 키보드나 마우스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식별정보 입력부(100)는 반입된 기록물의 보관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기록물의 표면에 구비된 바코드로부터 기록물의 명칭이나 기록물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달하는 것으로, 바코드 리더기를 사용할 수 있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의 식별정보 입력부(100)는 반입된 기록물의 보관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기록물에 부착된 근거리 통신모듈로부터 기록물의 명칭이나 기록물의 식별코드가 포함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달하는 것으로, NFC 리더기나 RFID 리더기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식별정보 입력부(100)로는 키보드, 바코드 리더기, NFC 리더기, RFID 리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저장부(200)를 포함한다.
상기 저장부(200)는 자체 저장된 데이터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제공하거나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400)에 연결된 것으로, 관리자 단말기(400)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장형으로 구성되거나 관리자 단말기(400)의 외부에서 연결되는 외장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저장부(200)는 서고의 실내지도 정보가 저장된 실내지도 데이터베이스(DB : Data Base)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가 저장된 기록물 위치정보 DB, 및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가 저장된 식별정보 DB를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식별정보 DB에는 각 식별코드에 보안등급이 설정될 수 있으며, 기록물 위치정보 DB에는 서고번호, 서가번호, 기록물명칭, 기록물번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저장부(200)에는 식별정보 입력부(100)의 위치정보가 저장된 입력부 위치정보 DB와, 보안등급이 설정된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DB, 또는 이들 모두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디스플레이부(300)를 포함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연결된 것으로, 관리자나 사용자가 기록물이 보관된 위치나 기록물을 보관할 위치를 시각적으로 손쉽게 파악할 수 있도록 기록물 보관위치가 표기된 서고의 실내지도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300)로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유선으로 연결된 모니터를 사용할 수도 있으며, 관리자 단말기(400)에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태블릿 PC를 사용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디스플레이부(300)는 안내데스크 등 고정된 사물에 배치되거나, 기록물 운반 카트 등 이동하는 사물에 배치되거나, 또는 이들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디스플레이부(300)가 안내데스크에 설치되면 실내공간이 수백 평(坪) 이상인 서고에 배치된 기록물이라고 하더라도 사용자가 기록물이 보관된 위치를 쉽게 파악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부(300)가 기록물 운반 카트에 설치되면 관리자가 반납된 기록물의 보관할 위치를 이동하면서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기록물 운반 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록물 운반 카트는 기록물을 미리 지정된 서가로 운반하는데 사용하거나 폐기 또는 교체할 기록물을 서가에서 회수하는데 사용하는 것으로, 관리자가 기록물의 보관위치를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부(3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디스플레이부(300)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기록물 운반 카트에 설치된 관리자 단말기(400)에 유선으로 연결된다.
필요에 따라, 상기 기록물 운반 카트에는 다양한 기록물을 한꺼번에 운반 시 각 기록물의 보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식별정보 입력부(10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식별정보 입력부(100)는 관리자 단말기(400)에 무선으로 연결되거나, 기록물 운반 카트에 설치된 관리자 단말기(400)에 유선으로 연결된다.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사용자 단말기(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400)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서고에 보관된 기록물 중 원하는 임의의 제1 기록물을 찾기 원하는 사용자가 상기 제1 기록물의 보관위치를 실내지도와 함께 지속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무선으로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된 매핑정보를 수신받아 시각적으로 출력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단말기에는 동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액정이 구비된다.
필요에 따라, 사용자 단말기는 블루투스, 와이파이, 인터넷 등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400)에 연결되는 기록물 관리앱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기록물 관리앱은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아 관리자 단말기(400)로 기록물 식별정보를 전송하고,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매핑정보를 다운로드 받으며, 상기 매핑정보를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또한, 사용자 단말기는 서가마다 설치된 비콘(beacon) 등의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와 무선통신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700)와 카메라모듈이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단말기의 기록물 관리앱은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와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로부터 제공된 현재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경로 정보와 카메라를 통해 촬영된 주변영상을 매핑하여 증강현실로 이동경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 단말기는 기록물 관리 서비스에 이용하기 위해 회원정보를 사용자로부터 입력받고, 상기 회원정보를 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한다. 이때, 회원정보에는 사용자의 주민등록번호, 사용자의 주소, 사용자의 전화번호, 로그인을 위한 ID 및 비밀번호 등이 하나 이상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관리자 단말기(400)는 회원의 보안등급에 따라 기록물 위치정보를 차등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의 보안등급에 따라 확인 권한이 부여된 기록물에 대한 매핑정보만을 사용자 단말기로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스마트 안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마트 안경은 블루투스, 와이파이 등을 통해 관리자 단말기(400)에 무선으로 연결되는 것으로,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스마트 안경은 서가마다 설치된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와 무선통신을 통해 현재 위치정보를 제공받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700)가 설치되며, 관리자 단말기(400)로부터 제공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와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로부터 제공된 현재 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경로 정보를 증강현실로 출력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회원정보 입력부(5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회원정보 입력부(500)는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는 것으로, 관리자 단말기(400)에 연결되어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회원정보를 관리자 단말기(400)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회원정보 입력부(500)는 서고로부터 기록물을 반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기록물의 반출 가능 보안등급을 확인하기 위해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러한 회원정보 입력부(500)는 사용자로부터 직접 회원정보 입력받거나, 회원카드에 부착된 바코드로부터 바코드 정보를 입력받거나, 또는 회원카드에 부착된 근거리 무선통신 모듈로부터 회원정보를 입력받는다.
이를 위해, 회원정보 입력부(500)로는 키보드, 바코드 리더기, NFC 리더기, RFID 리더기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회원정보 입력부(500)는 식별정보 입력부(100)와 별도로 구비되거나, 식별정보 입력부(100)와 일체형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보안등급에 따라 차등적으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제공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는 상기 회원정보 입력부(5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회원정보에 매칭된 보안등급을 전술한 회원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 식별정보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보안등급에 허가된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와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핑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한다.
예컨대, 관리자 단말기(400)는 회원정보 입력부(5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에 매칭된 보안등급이 1등급으로 분석되면, 사용자가 모든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입력한 기록물 식별정보에 관련된 매핑정보를 제한 없이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한다.
또한, 관리자 단말기(400)는 회원정보 입력부(5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에 매칭된 보안등급이 2등급으로 분석되면, 사용자가 1등급으로 분류된 기록물을 제외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다시 말해, 식별정보 입력부(100)로 1등급으로 분류된 기록물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관리자 단말기(400)는 해당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지 않는다. 또한, 식별정보 입력부(100)로 2등급이나 3등급으로 분류된 기록물 식별정보가 입력되면, 관리자 단말기(400)는 해당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사용자가 입력한 기록물 식별정보에 관련된 매핑정보를 생성한 후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 및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7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는 서고에 배치된 서가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것으로, 비콘, NFC 태그, RFID 태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700)는 기록물 운반카트(150)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할 수 있도록 기록물 운반카트(150)에 설치되고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600)가 송출하는 무선신호를 탐지하여 무선신호를 관리자 단말기(400)에 제공하는 것으로, 블루투스, NFC 리더, RFID 리더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700)로는 비콘과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도록 관리자 단말기(400)나 사용자 단말기 또는 디스플레이부(300)에 설치된 블루투스를 사용할 수 있다.
예컨데, 비콘은 근거리 내의 관리자 단말기(400)를 감지하고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로 위치신호를 전송하며, 관리자 단말기(400)는 신호 범위별로 배치된 비콘을 통과하는 경우에 상기 비콘으로부터 송신된 위치신호를 블루투스를 통해 제공받아서 실시간 위치를 파악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관리자 단말기(400)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목적하는 기록물의 위치까지의 실시간 이동경로를 파악할 수 있도록 실시간 이동경로를 영상으로 출력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관리자 단말기(400)는 식별정보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관리자 단말기(400)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700)로부터 제공된 현재 위치정보와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 및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기록물 운반카트(150)의 실시간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이동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경로 정보와 실내지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핑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고 관리 시스템은 관리자 단말기(400)를 포함한다.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는 식별정보 입력부(100), 저장부(200), 디스플레이부(300), 사용자 단말기, 스마트 안경,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700)에 연결된 것으로, 안내데스크나, 기록물 운반 카트, 또는 이들 모두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관리자 단말기(400)는 사용자나 관리자가 기록물의 보관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기록물의 보관위치가 표기된 서고의 실내지도를 생성하는 보관위치 표시부를 포함하며, 사용자로부터 입력된 회원정보를 바탕으로 사용자의 보안등급을 확인하는 회원 관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필요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400)는 저장부(200)나 디스플레이부(300) 중 어느 하나 이상이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4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백 평 이상의 넓은 공간을 갖는 서고라고 하더라도 사용자나 관리자가 목적하는 기록물이 보관된 위치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서고의 실내지도에 목적하는 기록물의 위치(10)가 표기된 영상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보관위치 표시부는 식별정보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전술한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보관위치 표시부는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와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한다.
필요에 따라, 관리자 단말기(4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하는 기록물의 위치까지의 이동경로가 표기된 실내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관위치 표시부는 기록물 식별정보가 입력된 식별정보 입력부(100)의 위치정보를 입력부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00)의 위치정보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식별정보 입력부(100)의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이동경로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보관위치 표시부는 상기 이동경로 정보와 실내지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핑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한다.
제2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400)는 기록물의 열람권한을 갖는 사람만이 기록물을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즉, 상기 관리자 단말기(400)는 회원의 보안등급보다 보안등급이 더 높은 기록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없도록 하며, 회원의 보안등급과 보안등급이 동일하거나 더 낮은 기록물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해, 회원 관리부는 회원정보 입력부(500)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회원정보에 매칭된 보안등급을 상기 회원정보 DB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보관위치 표시부는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관리자 단말기(400)는 사용자의 보안등급에 허가된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와 상기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핑정보를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한다.
제3 실시 양태로서, 본 발명에 따른 관리자 단말기(40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록물 운반카트(150)의 현재 위치에서부터 목적하는 기록물의 위치까지의 이동경로가 표기된 실내지도를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보관위치 표시부는 기록물 운반카트(150)에 설치되고,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100)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DB로부터 추출하며, 상기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DB로부터 추출한다. 그리고 보관위치 표시부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700)로부터 제공된 현재 위치정보와 실내지도 DB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 및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기록물 운반카트(150)의 실시간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이동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이동경로 정보와 실내지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300)를 통해 출력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 식별정보 입력부 200 : 저장부
300 : 디스플레이부 400 : 관리자 단말기
500 : 회원정보 입력부 600 :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700 :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Claims (8)

  1.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입력받는 회원정보 입력부;
    기록물 식별정보를 입력받는 식별정보 입력부;
    서고의 실내지도 정보가 저장된 실내지도 데이터베이스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가 저장된 기록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와, 보안등급이 설정된 사용자의 회원정보가 저장된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 및 보안등급이 설정되며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되는 식별코드가 저장된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가 포함된 저장부;
    상기 기록물 보관위치가 표기된 서고의 실내지도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부;
    관리자 단말기에 무선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된 기록물 운반카트;
    상기 서고에 배치된 서가에 설치되어 현재 위치정보가 포함된 무선신호를 송출하는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
    상기 기록물 운반카트에 설치되어 상기 제1 근거리 무선 통신부가 송출하는 무선신호를 감지하여 상기 기록물 운반카트의 현재 위치정보를 수집하는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 및
    상기 회원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의 회원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회원정보에 매칭된 보안등급을 상기 회원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를 통해 입력된 기록물 식별정보를 분석하여 상기 기록물 식별정보에 매칭된 식별코드를 상기 식별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며, 사용자의 보안등급에 허가된 식별코드를 갖는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기록물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제2 근거리 무선 통신부로부터 제공된 현재 위치정보와 실내지도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실내지도 정보 및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분석하여 기록물 운반카트의 실시간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이동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경로 정보와 실내지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매핑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통해 출력하는 관리자 단말기를 포함하며,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는 관리자 단말기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상기 기록물 운반카트에 설치되며,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관리자 단말기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기록물 운반카트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저장부는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의 위치정보가 저장된 입력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며,
    상기 관리자 단말기는 기록물 식별정보가 입력된 식별정보 입력부의 위치정보를 상기 입력부 위치정보 데이터베이스로부터 추출하고, 상기 식별정보 입력부의 위치정보와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분석하여 식별정보 입력부의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나타내는 이동경로 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이동경로 정보와 실내지도 정보를 매핑하여 매핑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3. 삭제
  4. 삭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무선으로 연결되어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매핑정보를 수신받아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자 단말기에 무선으로 연결되며, 관리자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기록물의 보관위치정보를 분석하여 현재 위치에서부터 기록물의 보관위치까지의 이동경로를 증강현실로 출력하는 스마트 안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7. 삭제
  8. 삭제
KR1020170059245A 2017-05-12 2017-05-12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KR101941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45A KR101941940B1 (ko) 2017-05-12 2017-05-12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59245A KR101941940B1 (ko) 2017-05-12 2017-05-12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27A KR20180124527A (ko) 2018-11-21
KR101941940B1 true KR101941940B1 (ko) 2019-04-11

Family

ID=64602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9245A KR101941940B1 (ko) 2017-05-12 2017-05-12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7053B1 (ko) * 2019-12-02 2020-12-04 (주)라온파트너스 도서 정보 제공 서버 및 그에 의한 도서 정보 제공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60B1 (ko) * 2012-07-05 2013-01-21 (주)포스비브테크 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의 위치 확인 방법
KR101427602B1 (ko) * 2014-02-27 2014-08-07 이성철 서고 관리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23830B1 (ko) 2004-10-29 2007-05-31 한국전자통신연구원 Rfid 기술을 이용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 문서 관리방법 및 장치
KR101009093B1 (ko) * 2008-09-04 2011-01-18 (주)리테일테크 유비쿼터스 도서 관리 시스템
KR101069040B1 (ko) * 2008-12-18 2011-09-29 (주)리테일테크 유비쿼터스 기술을 활용한 도서 재배치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427364B1 (ko) 2014-03-27 2014-08-08 (주)아세아항측 라이다 장치를 이용한 3d 실내지도 생성용 스캔시스템
KR20160091662A (ko) * 2015-01-26 2016-08-03 이재선 증강현실을 이용한 도서 위치 안내 제공 시스템
KR20160118055A (ko) 2015-04-01 2016-10-11 주식회사 포에스텍 Rfid를 이용한 기록물관리용 통합형rfid미들웨어 서버 및 이를 포함하는 기록물관리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18260B1 (ko) * 2012-07-05 2013-01-21 (주)포스비브테크 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도서 네비게이션 시스템을 이용한 도서의 위치 확인 방법
KR101427602B1 (ko) * 2014-02-27 2014-08-07 이성철 서고 관리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24527A (ko) 2018-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37962B2 (en) Visible audiovisual annotation of infrared images using a separate wireless mobile device
US6816075B2 (en) Evidence and property tracking for law enforcement
US7023344B2 (en) Smart documents and process for tracking same
US9208382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associating a keyphrase with an image
CN100367292C (zh) 电子设备安全鉴别的方法和系统
KR101427602B1 (ko) 서고 관리 시스템
US20160118085A1 (en) Method and system for systematization of production-process video data
KR101941940B1 (ko) 정리 및 검색이 용이한 매핑 실내지도를 이용한 기록물 서고 관리 시스템
JP2009251919A (ja) Icタグによる管理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
Chen The implementation to intelligent linkage service over AIoT hierarchical for material flow management
TWI515662B (zh) 標籤資料處理方法、標籤識別系統和通訊終端
US20160063010A1 (en) System and method of tracking evidence to establish a chain of custody and prevent loss
US11132519B1 (en) Virtual asset tagging and augmented camera display system and method of use
US20070255728A1 (en) Apparatus and Process for Distributed Autonomous Managing of Documents and Electronic Means
KR101378781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점검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200078880A (ko) 이미지 인식 기술을 이용한 상점 정보 안내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17568B1 (ko) 실시간 물품정보의 확인이 가능한 물품관리장치
WO2020091687A1 (en) Iot smart label system for storage of articles
KR102275899B1 (ko) 보안 화물을 위한 화물 관리 시스템, 방법, 및 상기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판독 가능한 프로그램을 기록한 기록 매체
KR102192682B1 (ko) 초근접 직접통신 기반 nfc 리더를 이용한 문서 및 물품 수납장 및 이를 이용한 문서 및 물품 수납 방법
RU2672307C2 (ru) Способ (варианты) систематизации видеоданных 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процесса и система (варианты)
US20110228974A1 (en) Object ocr and location tagging systems
US10956509B2 (en) Material development assistance system and material development assistance method
CN208110672U (zh) 图书馆借阅系统
GB2604598A (en) Method and system for managing stock of sampl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