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914B1 -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 Google Patents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914B1
KR101941914B1 KR1020120069187A KR20120069187A KR101941914B1 KR 101941914 B1 KR101941914 B1 KR 101941914B1 KR 1020120069187 A KR1020120069187 A KR 1020120069187A KR 20120069187 A KR20120069187 A KR 20120069187A KR 101941914 B1 KR101941914 B1 KR 1019419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processing
image processing
origina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1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40001008A (ko
Inventor
오승보
서영조
임준호
전형우
홍승세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1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91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10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0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9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9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3/00Geometric image transformations in the plane of the image
    • G06T3/40Scaling of whole images or parts thereof, e.g. expanding or contrac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387Composing, repositioning or otherwise geometrically modifying originals
    • H04N1/3876Recombination of partial images to recreate the original imag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5/00Details of television systems
    • H04N5/222Studio circuitry; Studio devices; Studio equipment
    • H04N5/262Studio circuits, e.g. for mixing, switching-over, change of character of image, other special effects ; Cameras specially adapted for the electronic generation of special effects
    • H04N5/265Mix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영상 처리 방법이 개시된다. 본 영상 처리 방법은, 원본 이미지 및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신호 처리 장치 중 어느 장치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 정보에 따라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SIGNAL PROCESS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IMAGE PROCESS THEREOF}
본 발명은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개선된 이미지 처리를 제공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전자 기술의 발달에 힘입어 다양한 유형의 전자 제품들이 개발 및 보급되고 있다. 특히, TV, 휴대폰, PC, 노트북 PC, PDA 등과 같은 각종 영상 처리 시스템들은 대부분의 일반 가정에서도 많이 사용되고 있다.
영상 처리 시스템의 사용이 늘어나면서 좀 더 고화질의 영상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가 있었다. 이러한 사용자 요구에 부합하기 위하여 제조사들은 HD TV 및 UHD TV등 고화질 컨텐츠를 디스플레이하는 영상 제품들을 개발하고 있다.
종래에는 소스장치에서 사용자가 직접 해상도를 선택하여 원하는 해상도로 영상 처리를 수행하고,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는 영상처리를 수행하지 않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현재 디스플레이 장치의 경우 고가의 스케일러 및 비디오 프로세서를 사용하므로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화질 처리를 한다면 고성능 화질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스케일링을 할 수 있음에도 불구하고 사용자는 소스장치에서 스케일링 처리를 하게 되어 더 좋은 품질의 영상을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신호 처리 장치에서 영상 처리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처리한 이미지의 화질비교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 여부를 선택적 진행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술한 목적을 수행하기 위한 본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원본 이미지 및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신호 처리 장치 중 어느 장치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선택 정보에 따라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선택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선택 정보는, 신호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을 수 있다.
한편, 전송하는 단계는,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믹싱하여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원본 이미지 및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및,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지정된 이미지를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또는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신하는 단계는,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가 믹싱되어 수신된 경우, 믹싱되어 수신된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를 분리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신호 처리 장치는,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원본 이미지 및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신호 처리 장치 중 어느 장치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선택 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이 경우, 본 신호 처리 장치는,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신호 처리 장치는,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믹싱하는 믹싱부를 더 포함하고,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믹싱된 원본 이미지 및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원본 이미지 및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및,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하는 표시부를 포함한다.
이 경우,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함께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지정된 이미지를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또는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디스플레이 장치는,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가 믹싱되어 수신된 경우, 믹싱되어 수신된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
도 2는 도 1의 신호처리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믹싱된 이미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믹싱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 그리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영상 처리 시스템(1000)은 신호 처리 장치(100) 및 디스플레이 장치(200)를 포함한다.
신호 처리 장치(100)는 원본 이미지 및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한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100)는 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로부터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정보에 따라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여기서 신호 처리 장치(100)는 소스장치로서, 컴퓨터, DVD플레이어, 셋탑 박스, 비디오 플레이어, 기타 영상 입력 장치 등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신호 처리 장치(100)로부터 원본 이미지 및/또는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수신하고, 수신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한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내부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또는 신호 처리 장치(100)로부터 선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선택 정보에 따라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영상 처리 여부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표시하거나 영상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표시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CRT모니터, LCD모니터, LED모니터, TV, PMP, 휴대폰 등일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은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 처리 품질 및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품질을 비교하여 영상 처리 품질이 좋은 장치에서 영상 처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신호 처리 장치(1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2를 참고하면, 신호 처리 장치(100)는 입력부(101), 영상처리부(102), 제어부(103), 믹싱부(104), 통신 인터페이스부(10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6)를 포함한다.
입력부(101)는 이미지 신호를 입력받는다. 구체적으로, 입력부(101)는 통신망 또는 인터넷 망으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또한, 입력부(101)는 기록매체로부터 이미지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기록 매체에는 CD, DVD, 하드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등일 수 있다.
영상처리부(102)는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처리부(102)는 입력부(101)를 통하여 입력된 원본 이미지(또는 입력된 이미지 신호)에 대해서 스케일링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는 스케일링 동작뿐만 아니라,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노이즈 제거, 선명도 향상 등의 조합일 수 있다.
믹싱부(104)는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믹싱한다. 구체적으로, 믹싱부(104)는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된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부(102)에서 생성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믹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원본 이미지를 상부에 배치하고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하부에 배치하는 형태로 믹싱할 수 있으며, 도 5와 같이 원본 이미지를 좌측에 배치하고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우측에 배치하는 형태로 믹싱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두 이미지를 좌우 또는 상하 방법으로 믹싱하는 형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두 가지 방법 이외에 다른 믹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믹싱부(104)는 영상처리부(102)로부터 영상 처리된 이미지 신호 및 입력부(101)로부터 입력된 원본 이미지 신호의 프레임 크기를 비교하여, 더 큰 프레임을 기준으로 결합 될 이미지의 프레임 크기를 설정하고, 영상 처리된 이미지 신호를 배치하고, 중복되지 않게 원본 이미지 신호를 배치하여 결합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부(105)는 원본 이미지 및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105)는 믹싱부(104)에 의해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가 믹싱된 경우, 믹싱된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하기 위해,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6)는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영상 처리한 제1 영상처리 이미지 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영상 처리한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6)를 통하여 선택 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06)은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키보드, 마우스 등과 같은 별도의 입력 장치를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 도는 신호 처리 장치(100) 중 어느 장치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지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 여부를 결정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처리가 선택된 경우 신호 처리 장치 장치(100)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고, 신호 처리 장치(100)의 영상처리가 선택된 경우 신호 처리 장치(100)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 제어부(103)는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선택 정보에 따라 원본 이미지 또는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03)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처리가 선택된 경우 원본 이미지를 전송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고, 신호 처리 장치(100)의 영상처리가 선택된 경우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영상처리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03)는 신호 처리 장치(100)에 포함된 각 구성을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200)와 연결가능한 신호 처리 장치(100)는 도 1의 영상 처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의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구체적인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럭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1), 분리부(202), 영상처리부(203), 제어부(204), 표시부(205) 및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6)를 포함한다.
통신 인터페이스부(201)는 신호 처리 장치로 부터 원본 이미지 및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된 제1 영상처리 이미지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01)은 신호 처리 장치(100)의 믹싱부(104)에 의해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가 믹싱된 경우, 믹싱된 이미지를 수신할 수 있다.
한편, 신호 처리 장치(100)과 연결하기 위해, 무선 또는 유선 방식으로 접속될 수 있다.
분리부(202)는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가 믹싱되어 수신된 경우, 상기 믹싱되어 수신된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를 분리한다. 구체적으로, 신호 처리 장치(100)의 믹싱부(104)에서 좌우 또는 상하로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이미지를 배치할 수 있으므로, 그 형태에 알맞게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이미지를 분리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두 이미지를 좌우 또는 상하 방법으로 믹싱하는 형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두 가지 방법 이외에 다른 믹싱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영상처리부(203)는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한다. 구체적으로, 영상처리부(203)는 분리부(202) 또는 통신 인터페이스부(201)로부터 입력된 원본 이미지를 스케일링 등의 영상 처리를 수행하여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영상 처리는 스케일링 동작뿐만 아니라, 디인터레이싱(Deinterlacing), 노이즈 제거, 선명도 향상 등의 조합 일 수 있다.
표시부(205)는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선택된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한다. 구체적으로, 표시부(205)는 신호 처리 장치(100)의 영상처리부(102)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처리부(203) 중 더 좋은 품질의 이미지를 선택하기 위하여,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과 같이 표시부(205)는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상하대칭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두 이미지를 상하대칭으로 표시하는 형태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상술한 방법 이외에 다른 표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6)는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영상 처리한 제1 영상처리 이미지 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영상 처리한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6)를 통하여 선택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지원하는 각종 기능을 사용자가 설정 또는 선택할 수 있는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제공되는 각종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6)은 터치패드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이 동시에 구현되는 장치로 구현될 수 있고, 버튼 등과 같은 입력 장치일 수 있으며, 또는 리모콘과 같은 외부 장치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제어부(204)는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함께 표시되도록 표시부를 제어하고,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지정된 이미지를 선택된 것으로 판단한다. 구체적으로, 통신 인터페이스부(201)에서 수신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서 영상 처리된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부에 함께 표시할 수 있게 제어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부(206)를 통하여 입력신호를 입력받으면,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이미지로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4)는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또는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선택한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4)는 기정의된 화질판단 동작을 통하여 이미지를 비교할 수 있다. 기정의된 화질 판단 동작의 일 실시 예로, 기저장된 Reference 이미지와 픽셀별로 선명도 및 색감등을 비교하여 Reference 이미지와 더 가까운 화질을 갖는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Reference 이미지를 이용하는 화질 판단 동작에 대해서만 설명하였지만, 구현시에는 다른 방법의 화질 판단 동작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기정의된 화질 판단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제어부(204)는 별도의 화질 판단블럭을 구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제어부(204)는 선택 정보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204)는 신호 처리 장치(100)의 영상처리가 선택된 경우 디스플레이 장치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00)와 연결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도 1의 영상 처리 시스템에 사용될 수 있다.
도 4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믹싱된 이미지 전송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고하면, 믹싱부(104)에서 원본 이미지와 신호처리 장치(100)에서 영상 처리된 이미지를 믹싱하는 제1 실시 예이다.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처리부(102)에서 영상 처리된 이미지(401)를 상부에 배치하고, 원본 이미지(402)를 하부에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처리부(102)에서 영상처리된 이미지(401)이 원본 이미지(402)보다 더 큰 프레임을 가지고 있으므로, 영상처리된 이미지(401)를 기준으로 믹싱 이미지(400)의 프레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믹싱부(104)에서 두 이미지를 결합할 때, 중복되지 않게 일정간격(Gap)를 두어 배치 할 수 있다.
도 5를 참고하면, 믹싱부(104)에서 원본 이미지와 영상 처리된 이미지를 믹싱하는 제2 실시 예이다.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처리부(102)에서 영상 처리된 이미지(401)를 좌측에 배치하고, 원본 이미지(402)를 우측에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처리부(102)에서 영상처리된 이미지(401)이 원본 이미지(402)보다 더 큰 프레임을 가지고 있으므로, 영상처리된 이미지(401)를 기준으로 믹싱 이미지(400)의 프레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믹싱부(104)에서 두 이미지를 결합할 때, 중복되지 않게 일정간격(Gap)를 두어 배치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믹싱된 이미지가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표시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고하면, 믹싱부(104)에서 믹싱된 믹싱 이미지(600)은 신호 처리 장치(100)의 통신 인터페이스부(105)를 통하여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TV내장 비디오 프로세서(620)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처리부(203)와 동일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믹싱 이미지(6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분리부(202)에서 원본 영상(601)과 신호 처리 장치(100)의 영상처리부(102)에서 영상처리된 이미지(602)로 분리될 수 있다. 분리된 원본 이미지(602)는 TV내장 비디오 프로세서(620)에 입력되어 영상처리될 수 있다. 그리고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처리부(102)에서 영상처리된 이미지(602)는 스크린(610)의 좌측(611)에 배치되고, 원본 이미지(602)는 TV내장 비디오 프로세서(620)에서 영상처리된 후 영상처리된 이미지를 스크린(610)의 우측 (612)에 배치되어 대칭되게 표시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원본 이미지(601)는 TV내장 비디오 프로세서(620)에서 영상처리후 스크린의 우측(612)에 이미지의 우측 1/2의 이미지를 표시하고, 신호 처리 장치(100)의 영상처리부(102)에서 영상처리된 이미지(602)는 스크린의 좌측(611)에 이미지의 좌측 1/2의 이미지를 표시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신호 처리 장치(100)의 영상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7의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신호 처리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픽셀 정보 및 기타 화질비교 동작의 지원 여부 등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도 7를 참고하면,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하고(S710), 원본 이미지 및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한다(S72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할 때, 각각 분리하여 전송할 수 있다. 또는 신호 처리 장치에서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믹싱하여 동시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 또는 신호 처리 장치(100) 중 어느 장치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수신한다(S730).
그리고 선택 정보에 따라서,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 여부를 결정한다(S740). 구체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처리가 선택된 경우 신호 처리 장치(100)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를 수행하지 않고, 신호 처리 장치(100)의 영상처리가 선택된 경우 신호 처리 장치(100)의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를 수행한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선택 정보에 따라서, 원본 이미지 또는 신호 처리 장치(100)에서 영상처리된 이미지 중 지정된 어느 하나의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도 7와 같은 영상 처리 방법은, 도 2의 구성을 가지는 신호 처리 장치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신호 처리 장치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8을 단계를 수행하기 전에,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신호 처리 장치(100)에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픽셀 정보 및 기타 화질비교 동작의 지원 여부 등의 정보를 신호 처리 장치(10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8을 참고하면, 원본 이미지 및 제1 영상처리 이미지를 수신하고(S810),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한다(S820). 구체적으로,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가 믹싱되어 수신된 경우, 믹싱되어 수신된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분리할 수 있다.
그리고, 제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의 영상 처리이미지를 선택한다(S830). 구체적으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받고,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지정된 이미지를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제 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제 2 영상처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비교 결과에 따라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또는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선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선택된 것으로 판단된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한다(S840).
한편, 도 8와 같은 영상 처리 방법은, 도 3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디스플레이 장치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영상 처리 시스템의 영상 처리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신호 처리 장치(100)는 신호 처리 장치에 구비된 영상처리부(102)에 의해 원본 이미지를 영상처리한 제1 영상처리 이미지를 생성하고(S910),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믹싱하여(S920), 디스플레이 장치(200)로 믹싱 이미지를 전송한다(S930).
그리고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믹싱 이미지를 수신하여 믹싱된 이미지를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로 분리하고(S940), 원본 이미지를 디스플레이 장치에 구비된 영상처리부(203)에 의해 영상처리한 제2 영상처리 이미지를 생성한다(S950).
그리고 사용자 또는 기정의된 화질판단 동작을 통하여 제1 영상처리이미지와 제2 영상처리이미지를 선택한다(S960).
그리고 선택 정보에 따라, 신호처리 장치는 원본 이미지 또는 제1 영상처리 이미지를 선택적으로 디스플레이 장치(200)에 전송하고(S970), 디스플레이 장치(200)는 디스플레이 장치(200)의 영상처리 여부를 결정하여 신호처리 장치(100)에서 선택적으로 전송된 이미지를 표시한다(S980).
한편, 도 9와 같은 영상 처리 방법은, 도 1의 구성을 가지는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 실시될 수 있으며, 그 밖의 구성을 가지는 영상 처리 시스템에서도 실행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은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방법들을 수행하기 위한 코드는, RAM(Random Access Memory), 플레시메모리, ROM(Read 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on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레지스터, 하드디스크, 리무버블 디스크, 메모리 카드, USB 메모리, CD-ROM 등과 같이, 단말기에서 판독 가능한 다양한 유형의 기록 매체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신호 처리 장치에서 영상 처리한 이미지와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처리한 이미지의 화질비교를 통하여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 처리 여부를 선택적 진행할 수 있는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0: 신호 처리 장치 101: 입력부
102: 영상처리부 103: 제어부
104: 믹싱부 105: 통신 인터페이스부
10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200: 디스플레이 장치
201: 통신 인터페이스부 202: 분리부
203: 영상처리부 205: 표시부
206: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Claims (16)

  1.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신호 처리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 및 상기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 중 어느 장치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서,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서 영상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받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믹싱하여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5. 신호 처리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상 처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원본 이미지 및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가 선택되면, 선택된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
    상기 선택에 대응되는 선택 정보를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서 영상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영상 처리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원본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처리 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함께 표시하는 단계;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받는 단계; 및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지정된 이미지를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비교하는 단계; 및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선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영상 처리 방법.
  8.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제1 영상처리 이미지가 믹싱되어 수신된 경우, 상기 믹싱되어 수신된 상기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처리 이미지를 분리하는, 영상 처리 방법.
  9. 디스플레이 장치와 연결 가능한 신호 처리 장치에 있어서,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는 영상 처리부;
    상기 원본 이미지 및 상기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 또는 상기 신호 처리 장치 중 어느 장치에서 영상처리를 수행할 것인지를 선택한 선택 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한 영상처리 여부를 결정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서 영상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고,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원본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 전송하는, 신호 처리 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는,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로부터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선택 정보를 수신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2.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상하 또는 좌우로 믹싱하는 믹싱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는, 상기 믹싱된 원본 이미지 및 상기 영상 처리하여 획득한 이미지를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호 처리 장치.
  13. 신호 처리 장치와 연결 가능한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원본 이미지 및 상기 원본 이미지에 대해서 영상 처리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수신하는 통신 인터페이스부;
    상기 원본 이미지를 영상 처리하여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생성하는 영상 처리부;
    표시부; 및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가 선택되면, 상기 표시부를 통해 선택된 영상 처리 이미지를 표시하고,
    상기 선택에 대응되는 선택 정보를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부를 통해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 전송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선택 정보에 따라 상기 신호 처리 장치에서 영상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영상 처리된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수신하고,
    상기 디스플레이 장치에서 영상 처리하는 것으로 결정되면, 상기 신호 처리 장치로부터 상기 원본 이미지를 수신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가 함께 표시되도록 상기 표시부를 제어하고,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하나를 지정하는 사용자 입력신호를 입력받으면,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및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 중 지정된 이미지를 선택된 것으로 판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와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비교하여,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 또는 상기 제2 영상 처리 이미지를 선택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3항에 있어서,
    상기 원본 이미지와 상기 제1 영상 처리 이미지가 믹싱되어 수신된 경우, 상기 믹싱되어 수신된 상기 원본 이미지와 제1 영상 처리 이미지를 분리하는 분리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20069187A 2012-06-27 2012-06-27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KR1019419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87A KR101941914B1 (ko) 2012-06-27 2012-06-27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187A KR101941914B1 (ko) 2012-06-27 2012-06-27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08A KR20140001008A (ko) 2014-01-06
KR101941914B1 true KR101941914B1 (ko) 2019-01-24

Family

ID=501387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187A KR101941914B1 (ko) 2012-06-27 2012-06-27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91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8681A (ja) * 2008-02-05 2009-08-20 Canon Inc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映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1122B1 (ko) * 2005-11-04 2007-08-22 엘지전자 주식회사 화면 선택 가능한 영상표시 장치 및 그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188681A (ja) * 2008-02-05 2009-08-20 Canon Inc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映像出力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008A (ko) 2014-01-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70089160A1 (en) Electronic device, video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video display device
EP3062512A1 (en)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3024220A2 (en) Display apparatus and display method
US8878994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remote operation support method and storage medium
US10291967B2 (en) Function upgrade device,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JP2010028224A (ja) 映像処理装置
US9530176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method for processing image thereof
EP3038374A1 (en)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US10110887B2 (en) Display diagnostics for enhancing performance of display devices
EP2750401B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menu thereof
EP2750013A2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display apparatus thereof
JP2015197694A (ja) 携帯端末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EP3699902B1 (en) Display device and image display method of the same
JP6535560B2 (ja) 電子機器、及び表示方法
WO2014119011A1 (ja) 情報処理装置、遠隔操作支援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20140184395A1 (en) Communication device and communication system
KR101941914B1 (ko) 신호 처리 장치,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영상 처리 방법
US8982128B2 (en) Method of providing image and display apparatus applying the same
US20070285565A1 (en) Video display device
US8699847B2 (en) File management apparatus, recording apparatus, and recording program
US9813755B2 (en) Display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s thereof
CN111445427B (zh) 视频图像处理方法以及显示设备
US20140379941A1 (en) Receiving device, transmitting device and transmitting/receiving system
JP2013217972A (ja) 映像処理装置及び映像処理方法
JP5082562B2 (ja) デジタル放送受信方法及び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