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885B1 - The steel frame structure - Google Patents

The steel frame structur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885B1
KR101941885B1 KR1020170076927A KR20170076927A KR101941885B1 KR 101941885 B1 KR101941885 B1 KR 101941885B1 KR 1020170076927 A KR1020170076927 A KR 1020170076927A KR 20170076927 A KR20170076927 A KR 20170076927A KR 101941885 B1 KR101941885 B1 KR 10194188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inforcing
bar
hole
reinforcing bars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7692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80137350A (en
Inventor
기언관
Original Assignee
기언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언관 filed Critical 기언관
Priority to KR1020170076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885B1/en
Publication of KR201801373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37350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88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88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1/0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 B66C1/10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 B66C1/62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attached to lifting or lowering gear of cranes or adapted for connection therewith for transmitting lifting forces to articles or groups of articles by mechanical means comprising article-engaging members of a shape complementary to that of the articles to be handl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21/00Preparing, conveying, or working-up building materials or building elements in situ; Other devices or measures for constructional work
    • E04G21/14Conveying or assembling building elements
    • E04G21/142Means in or on the elements for connecting same to handling apparatus

Abstract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을 위한 철골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H빔(102)과; 상기 H빔의 주변에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104)과; 상기 H빔(102) 및 철근(104)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H빔(102)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H빔(102) 및 철근(104)을 지지하는 판상형의 보강판(110)을 포함하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보강판(110)은, 판상형의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H빔 결합홀(114)과; H빔 결합홀(114) 주변에 다수 배치되며, 상기 철근(104)이 관통 설치되는 철근 결합홀(116); 및 상기 H빔 결합홀(114) 일측에 마련되는 콘크리트 타설홀(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
이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구조물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structure for reinforcing a reinforced concrete column, comprising: an H beam (102);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04) disposed around the H beam; The H beam 102 and the reinforcing bars 104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102 to support the H beams 102 and the reinforcing bars 104. The H beams 102, (110).
The reinforcing plate 110 includes a plate-shaped body 112; An H beam coupling hole 11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12;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6 disposed around the H beam coupling hole 114 and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bars 104 are inserted; And a concrete pouring hole (118)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 beam coupling hole (114).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it is possible to simplify the installation work of the structure and to secure the safety of the operator.

Figure 112017058001668-pat00001
Figure 112017058001668-pat00001

Description

철골 구조물{THE STEEL FRAME STRUCTURE}THE STEEL FRAME STRUCTURE

본 발명은 철근콘크리트 기둥의 보강을 위한 철골 구조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수직을 이루는 장축의 H빔 및 철근에 결합 되어 횡방향 철근을 대체하는 보강판을 구비함과 더불어 간편하게 작동되는 인양수단을 구비하여, 구조물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면서 동시에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 구조로 이루어진 새로운 형태에 따른 철골 구조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l structure for reinforcing a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 structure for reinforcing a reinforced concrete column, and more particularly, to a steel structure for reinforcing a reinforced concrete column having a long longitudinal H beam and a reinforcing plate coupled to the reinforcing steel, The present invention also relates to a new structure of a steel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durability is further improved while simplifying the structure installation work.

종래 일반적인 철근콘크리트 기둥(RC 기둥)은 현장에서 수직 철근과 횡방향 철근을 배근한 후 거푸집을 설치하고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제작된다. 이러한 RC 기둥은 타 구조부재에 비해 비용이 저렴하다는 장점이 있으나, 철근 배근시 많은 인력과 공기가 소요되고, 철근 배근의 정밀도가 떨어져 품질 저하의 우려가 있다.Conventional reinforced concrete columns (RC columns) are constructed by placing vertical reinforcing bars and transverse reinforcing bars in the field, installing concrete formwork, and casting concrete. These RC columns are advantageous in cost compared to other structural members, but they require a lot of manpower and air for steel reinforcement.

이러한 종래 RC 기둥의 단점을 극복하기 위한 기술로, 국내공개특허 제2010-0076576호, 국내등록특허 제1253438호, 제1404513호 및 제130747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철골 구조물이 개발되어 왔다. As a technique for overcoming the shortcomings of the conventional RC columns, various steel structures have been developed a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76576, Korean Patent No. 1253438, No. 1404513, and No. 1307471.

그러나 통상 철근 구조물은 건물 3개층 높이의 길이를 가지는 것이므로, 건물 최상층 높이까지 철골 구조물을 수직으로 세우기 위한 별도의 수단 없이 철근과 철근이 겹쳐지도록 배근하거나 또는 철근 끝단에 볼트 및 너트 개념의 연결부재로 결속하므로 철근의 수직 정밀도가 떨어져 건물 수직하중에 대한 기둥의 내구성이 떨어지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However, since the reinforcing structure is generally three stories high,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reinforcing steel so that the reinforcing steel and the reinforcing steel do not overlap each other vertically, The vertical accuracy of the reinforcing bars is reduced and the durability of the column to the vertical load of the building is lowered.

또한, 철근의 배근 작업시 수직 철근이 휘어짐이 빈번하였고, 그로 인해 철골 구조물을 일직선으로 연결하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그리고 이러한 철근의 휘어짐을 방지하기 위해 철근의 길이를 짧게 하는 경우에는, 철근의 절단 작업이 별도로 필요하며, 각 연결 부위마다 용접작업 또는 커플링 부품이 소요되므로 시간 및 비용의 상승을 야기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the vertical steel bars were frequently bent during the steel reinforcing work, which made it difficult to connect steel steel structures in a straight line. In the case of shortening the length of the reinforcing bar to prevent the bending of the reinforcing bars, it is necessary to separately perform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welding operation or the coupling parts are required for each connecting portion. there was.

게다가, 연결된 장축의 철골 구조물을 수직으로 세워 설치하기 위해서 통상적으로 크레인으로써 철골 구조물의 일측을 인양하는 작업이 이루어지는데, 철골 구조물이 매달린 상태에서 흔들릴 수 있으며, 철골 구조물을 베이스면에 고정한 후에는 작업자가 직접 올라가 크레인의 클램프를 해제시켜야 해 작업 현장이 매우 위험한 문제점이 있었다. In addition, in order to erect the steel structure of the long axis connected vertically, a work of lifting one side of the steel structure is usually carried out by a crane, which can be shaken while the steel structure is suspended. After fixing the steel structure to the base side, There was a danger that the work site had to be very dangerous.

한국공개특허공보 제2010-0076576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2010-0076576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253438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253438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404513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404513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307471호Korean Patent Registration No. 130747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수직을 이루는 장축의 H빔 및 철근에 결합 되어 횡방향 철근을 대체하는 보강판을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짐으로써, 구조물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더불어 내구성이 더욱 향상된 구조의 철골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SUMMARY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ccurring in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H-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steel structure having a structure in which installation work can be carried out easily and durability is further improved.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간편하게 작동되는 인양수단을 통해 구조물 설치 작업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함과 더불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구성의 철골 구조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It i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steel structure that can be easily installed in a structure through a lifting means that is easily operated, and can secure the safety of a worker.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에 따르면,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은, H빔과; 상기 H빔의 주변에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과; 상기 H빔 및 철근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H빔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H빔 및 철근을 지지하는 판상형의 보강판을 포함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H beam;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disposed around the H beam; And a plate-like reinforcing plate which is installed through the H beams and the reinforcing bars and equally spac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s to support the H beams and the reinforcing bars.

여기서, 상기 보강판은, 판상형의 몸체와; 상기 몸체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H빔 결합홀과; H빔 결합홀 주변에 다수 배치되며, 상기 철근이 관통 설치되는 철근 결합홀; 및 상기 H빔 결합홀 일측에 마련되는 콘크리트 타설홀을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Here, the reinforcing plate may include a plate-shaped body; An H beam coupling hole formed in a central portion of the body;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disposed around the H beam coupling hole and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bars are installed; And a concrete pouring hole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 beam coupling hole.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은, 상기 H빔의 종단에 결합되며, 장공형 걸림홀이 형성된 연결판과; 일단에 상기 연결판의 걸림홀에 착탈되는 고리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인양후크가 걸리는 후크홀이 마련되며, 상기 인양후크로써 상기 H빔, 철근 및 보강판이 결합된 철근 구조체를 지면과 수직하게 세우는 데 사용되는 인양수단이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a connection plate coupled to an end of the H beam and having a long hole; The H-beam,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reinforcing plate coupled with the reinforcing plate are vertically installed on the ground with the lifting hooks, and the hooks are provided at one end of the hooking hole of the connecting plate, And a lifting means to be used is further provided.

여기서, 상기 인양수단은, 힌지를 중심으로 서로 교차하여 원형 고리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고리와; 상기 고리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리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하는 작동바와; 상기 고리의 내면에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써, 상기 걸림홀의 내주면이 걸리는 안착홈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fting means comprises a pair of rings intersecting each other around the hinge and forming a circular ring shape; An actuating bar each extending from the ring and rotating about the hinge and acting to open or close the pair of rings; And a seating groove recessed in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the seating groove being engaged with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hole.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은, 일단이 상기 인양후크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철근의 하단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철근 구조체의 인양 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바가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Further, the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safety bar for preventing the falling of the iron structure when the lifting structure is lifted, the one end of the steel structure being engaged with the lifting hook and the other end being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steel bar.

그리고 상기 인양수단에는, 상기 작동바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안전바가 통과하는 통공과; 상기 안전바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통공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바를 하측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바를 하측으로 당김으로써 한 쌍의 고리가 벌어지게 하는 당김블록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The lifting means includes a through hole formed vertically through the operation bar and through which the safety bar passes; And a pulling block which is fixed to the safety bar and which is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through hole and pulls the operation bar downward by pulling the safety bar downward so that the pair of hooks is opened.

또한, 상기 철근의 하단에는, 일단이 상기 철근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철근 구조체의 인양 상태에서 위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견인바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In addition, a pull bar is provided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one end of which is fixedly hooked to the reinforcing bar and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in a lifted state.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According to the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ollowing effects can be obtained.

본 발명에서는 H빔이 통과하는 H빔 결합홀과 철근이 관통하는 철근 결합홀이 형성된 판상형의 보강판이 구비되며, 상기 보강판이 H빔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H빔 및 철근을 지지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H-beam coupling hole through which an H beam passes and a plate-like reinforcing plate in which a reinforcing bar hole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bar penetrates are formed, and the reinforcing plate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do.

따라서, 장축의 H빔에 다수의 보강판을 차례로 설치하고, 철근 결합홀에 철근을 통과시킴으로써 상기 H빔, 철근 및 보강판이 결합된 철근 구조체가 간편하게 결합될 수 있어, 설치 작업이 매우 간편해지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a plurality of reinforcing plates are successively installed in the long-axis H beam, and the reinforcing bars coupled with the H beam, the reinforcing bars and the reinforcing plate are easily joined together by passing the reinforcing bars through the reinforcing bars, Lt; / RTI >

또한, 상기 보강판이 일체형 구조를 가지므로, 종래 횡방향 철근을 감아 용접하는 불안정한 결합 방법에 비하여 철근 구조체의 내구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since the reinforcing plate has an integral structure, the durability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is improved compared with the unstable bonding method in which the conventional transverse reinforcing steel is wound around.

그뿐만 아니라, 장축의 철근의 휘어짐이 방지되어 철근의 절단 작업이 별도로 요구되지 않아, 작업 시간의 단축은 물론이며 커플링 부품 수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In addition, the bending of the reinforcing bars on the major axis is prevented, and the cutting operation of the reinforcing bars is not separately required, thereby reducing the working time and minimizing the number of coupling parts.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철근 구조체와 크레인에 연결된 인양후크 사이에 연결되는 별도의 인양수단이 구비되며, 상기 인양수단은 철근 구조체의 인양 시에는 구조체의 하중에 의하여 클램핑을 유지하다가 구조체가 안전하게 고정된 이후 구조체의 하중이 제거된 상태에서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Fur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eparate lifting means connected between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and the lifting hook connected to the crane. In the lifting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the lifting means maintains the clamping by the load of the structure, The clamping can be released in a state in which the load of the load is removed.

또한, 상기 인양수단에 연결된 안전바를 당김으로써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어, 지상에서 클래핑 해제 작업을 할 수 있다. Further, by pulling the safety bar connected to the lifting means, the clamping can be released, and the clipping release operation can be performed on the ground.

따라서, 철근 구조체가 인양되는 중에 클램핑이 해제될 위험이 없으며, 작업자가 클램프를 해제하기 위해 구조체 상부로 직접 올라갈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there is no risk that the clamping is released during the lifting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and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directly ascend to the upper part of the structure to release the clamp, thereby providing the safety of the operator.

더불어, 본 발명에서는 일단이 인양후크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철근의 하단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철근 구조체의 인양 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바가 구비된다. In addition, in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bar is provided to prevent falling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when the lifting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is performed by one end being caught by the lifting hook and the other end being caught by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따라서, 상기 인양수단의 파손 등으로 인해 클램핑이 해제가 되더라도, 상기 안전바를 통해 2차적으로 철근 구조체의 낙하를 방지할 수 있어 작업 안전성이 매우 증진되는 효과를 제공한다. Therefore, even if the clamping is released due to breakage or the like of the lifting means,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secondary structure from falling down through the safety bar,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greatly enhancing work safety.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철골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연결판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인양수단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인양수단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철근 구조체의 측면에 가로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nstruction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4 are enlarged plan views showing the structure of a connecting plat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 front view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configuration of lift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a perspective view and a side view for explaining an operating process of a lift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am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a reinforcing steel structur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골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전체적인 구성이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도 1에는 본 발명에 의한 철골 구조물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2 및 도 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연결판의 구조를 나타낸 확대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정면도가,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인양수단의 상세 구성을 나타낸 분해 사시도가, 도 7 내지 도 9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인양수단의 작동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 및 측면도가,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구성하는 철근 구조체의 측면에 가로보가 설치된 상태를 나타낸 정면도가 각각 도시되어 있다. 1 to 10 schematically show a general structur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1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and FIG. 4 are enlarged plan views illustrating a structure of a connecting plat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5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iled structure of lifting means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front view showing a state in which a beam is installed on a side surface of a reinforcing structure constituting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철골 구조물은, H빔(102)과, 철근(104) 및 상기 H빔(102)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H빔(102) 및 철근(104)을 지지하는 보강판(110)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특히 상기 보강판(110)은 판상형 몸체(112)에 H빔 결합홀(114) 및 철근 결합홀(116)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H빔(102) 및 철근(104)과 결합된 견고한 구조의 철근 구조체(100)를 형성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a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H beam 102, an H beam 102 and a H beam 102 which are equidistant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inforcing bar 104 and the H beam 102, The reinforcing plate 110 includes an H beam coupling hole 114 and a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116 formed in the plate-shaped body 112 So that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having a rigid structure combined with the H beams 102 and the reinforcing bars 104 can be formed.

이를 각 구성별로 더욱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This will be explained in more detail for each configuration.

먼저, H빔(102)은 단면이 H형인 일반적인 철강빔으로써, 철근 구조체(100)의 중심부를 이룬다. First, the H beam 102 is a general steel beam having an H-shaped cross section and forms the center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그리고 철근(104)은 상기 H빔(102)의 주변에 일정하게 배치되어, 상기 H빔의 지지력을 보강한다. 여기서, 상기 철근(104)은 나사 철근인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The reinforcing bars 104 are uniformly arranged around the H beams 102 to reinforce the supporting force of the H beams. Here, the reinforcing bar 104 is most preferably a screw bar.

상기 H빔 및 철근(104)은 서로 간의 연결을 위하여 횡방향 철근과 같은 이음수단이 필요한데,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판(110)이 그 역할을 한다. 즉, 상기 보강판(110)은 상기 H빔(102)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H빔(102) 및 철근(104)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The H beam and the reinforcing bars 104 require a joint means such as a transverse reinforcing bar for connection to each other.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reinforcing plate 110 plays a role. That is,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disposed at equal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102 to support the H beam 102 and the reinforcing bars 104.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보강판(110)은 상기 H빔(102) 및 철근(104)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설치되며, 상기 보강판(110)에 의해 상기 H빔(102) 및 철근(104)이 상호 연결, 지지된다. 1 and 5,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102 and the reinforcing bars 104, (102) and reinforcing bars (104) are interconnected and supported.

여기서, 상기 철근(104)은 나사 철근으로, 돌출된 마디가 경사져 있으므로, 상기 보강판(110)은 상기 철근(104)의 마디 경사에 대응하여, 도 5에서와 같이 경사진 상태로 설치된다. Since the reinforcing bars 104 are threaded reinforcing bars and the projected reinforcing bars are inclined,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installed in a state inclined as shown in FIG. 5 corresponding to the tilt of the reinforcing bars 104.

이와 같은 상기 보강판(110)은, 판상형의 몸체(112)를 관통하여 형성된 H빔 결합홀(114)과, 철근 결합홀(116) 및 콘크리트 타설홀(118)을 포함한다. The reinforcing plate 110 includes an H beam coupling hole 114 formed through a plate-shaped body 112, a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 116, and a concrete casting hole 118.

상기 몸체(112)는 철판으로 이루어진 원형 또는 다각형의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진다. 도 2 및 도 3에는 사각형상의 보강판(110)이, 도 4에는 원형의 보강판(110)이 예시로써 도시되어 있다. 그리고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보강판(110)은 오각형, 육각형 등의 다각형 구조로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The body 112 has a circular or polygonal plate-like structure made of an iron plate. FIGS. 2 and 3 show a rectangular reinforced plate 110, and FIG. 4 shows a circular reinforced plate 110 as an example.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reinforcing plate 110 may have a polygonal structure such as a pentagon, a hexagon, or the like.

그리고 상기 H빔 결합홀(114)은 상기 H빔(102)이 통과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112)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된다. 이에 상기 보강판(110)은 상기 H빔(102)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The H beam coupling hole 114 is formed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body 112 so that the H beam 102 can pass therethrough. The reinforcing plate 110 may b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102.

상기 H빔 결합홀(114)은, 도 2와 같이 상기 H빔(102)의 외형 형상에 대응되는 직사각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도 3 및 4와 같이 상기 H빔(102)의 형상에 대응되는 'H'자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H beam coupling hole 114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corresponding to the outer shape of the H beam 102 as shown in FIG. 2, and may correspond to the shape of the H beam 102 as shown in FIGS. Quot; H "

또한, 상기 철근 결합홀(116)은 상기 H빔 결합홀(114) 주변에 다수 배치되며, 상기 철근(104)의 단면에 대응하는 장공의 형태로 이루어진다. 상기 철근 결합홀(116)에는 철근(104)이 통과하여 설치되므로, 상기 철근 결합홀(116)은 상기 몸체(112)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배치됨이 바람직하다. A plurality of the reinforcing bars 116 are disposed around the H beam coupling holes 114 and have a shape corresponding to a cross section of the reinforcing bars 104. The reinforcing bars 114 are provided in the reinforcing bars 116 so that the reinforcing bars 116 ar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center line of the body 112. [

그리고 상기 콘크리트 타설홀(118)은 H빔(102), 철근(104) 및 보강판(110)이 결합된 철근 구조체(100)의 설치 후 타설되는 콘크리트가 유입되는 공간으로, 상기 H빔 결합홀(114) 일측에 마련된다. The concrete pouring hole 118 is a space into which the concrete to be poured after the installation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in which the H beam 102, the reinforcing bars 104 and the reinforcing plate 110 are coupled, (114).

상기 콘크리트 타설홀(118)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상의 상기 H빔 결합홀(114)에 상기 H빔(102)이 결합된 상태에서 H빔(102)의 일측에 남겨진 빈 공간부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3 및 도 4와 같이 'H'자 형상의 상기 H빔 결합홀(114) 일측에 직사각형상으로 관통 형성될 수도 있다. The concrete pouring hole 118 is an empty space left on one side of the H beam 102 in a state where the H beam 102 is coupled to the rectangular H beam coupling hole 114 as shown in FIG. And may b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 one side of the H beam coupling hole 114 having an 'H' shape as shown in FIGS. 3 and 4. FIG.

다음으로, 본 발명에는 상기 H빔(102), 철근(104) 및 보강판(110)이 결합된 철근 구조체(100)를 지면과 수직하게 세우기 위한 연결판(120) 및 인양수단(200)이 구비된다. A connecting plate 120 and a lifting means 200 for lifting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in which the H beam 102, the reinforcing bars 104 and the reinforcing plate 110 are coupled perpendicularly to the ground, Respectively.

먼저, 연결판(120)은 판상형 구조로 이루어지며, 상기 H빔(102)의 종단에 결합된다. 상기 연결판(120)은 상기 철근 구조체(100)를 들어 올리기 위한 것이므로, 인양 시 균형을 위하여 상기 H빔(102)의 웨브(web) 중앙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연결판(120)은 상기 H빔(102)에 용접으로써 결합되거나 볼트로 체결될 수 있다. First, the connection plate 120 has a plate-like structure and is coupled to an end of the H beam 102. Since the connecting plate 120 is for lifting up the steel structure 100, it is preferably installed at the center of the web of the H beam 102 for balance during lifting. The connecting plate 120 may be welded or bolted to the H beam 102.

다음으로, 상기 인양수단(200)은 인양을 위한 크레인의 인양후크(H)와 상기 연결판(120)을 연결하기 위한 것으로, 일단에 상기 연결판(120)의 걸림홀(122)에 착탈되는 고리(202)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인양후크(H)가 걸리는 후크홀(214)이 마련된다. Next, the lifting means 200 is for connecting the lifting hook H of the crane for hoisting and the connecting plate 120. The lifting means 2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engaging hole 122 of the connecting plate 120 at one end And a hook hole 214 is provided at the other end to which a lifting hook H is hooked.

구체적으로, 상기 인양수단(200)은, 상기 고리(202)를 힌지 지지하는 힌지브라켓(210)과, 상기 힌지(212)를 중심으로 작동하는 한 쌍의 고리(202) 및 작동바(204)를 포함한다. More specifically, the lifting means 200 includes a hinge bracket 210 for hinge-supporting the hook 202, a pair of hooks 202 and an actuating bar 204 operating around the hinge 212, .

상기 힌지브라켓(210)의 일단에는 상기 한 쌍의 고리(202) 및 작동바(204)가 힌지 고정되며, 타단에는 상기 후크홀(214)이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인양수단(200)은 상기 인양후크(H)에 걸린 상태로 사용되므로, 도 7 내지 도 9를 참조로 하여 상기 후크홀(214)은 상기 힌지브라켓(210)의 상단에 형성되며 상기 고리(202)는 상기 힌지브라켓(210)의 하단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The pair of hooks 202 and the actuating bar 204 are hingedly fixed to one end of the hinge bracket 210 and the hook hole 214 is formed at the other end. 7 to 9, the hook hole 21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inge bracket 210, and the hook hole 214 is formed at the upper end of the hinge bracket 210, The ring 202 is rotatably coupled to the lower end of the hinge bracket 210.

그리고 상기 고리(202)는 둥근 갈고리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이 상기 힌지(212)를 중심으로 서로 대칭되게 배치되고, 상기 힌지(212)를 축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집게와 같이 벌어지거나 오므려진다. 여기서, 상기 고리(202)는 오므려진 상태, 즉 닫힌 상태에서 원형 고리 형태를 이룬다. The ring 202 is formed in a round claw shape and is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hinge 212. The hinge 212 is rotated in opposite directions about the axis of the hinge 212, Loses. Here, the ring 202 has a circular ring shape in a closed state, that is, in a closed state.

또한, 상기 작동바(204)는 고리(202)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힌지(212)를 중심으로 서로 교차되게 배치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고리(202)와 작동바(204)가 상기 힌지(212)를 중심으로 교차되어 대략 X자를 이룬다. In addition, the actuating bars 204 extend from the ring 202, respectively, and are arranged to cross each other about the hinge 212. That is, as shown in FIG. 6, the pair of rings 202 and the actuating bar 204 intersect about the hinge 212 to form an approximately X-shaped cross.

따라서, 상기 작동바(204)가 상기 힌지(212)를 축으로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리(202)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한다. Accordingly, the actuating bar 204 rotates in the directions opposite to each other about the hinge 212 to open or close the pair of rings 202.

그리고 상기 고리(202)의 내면에는 상기 걸림홀(122)의 내주면이 걸리는 안착홈(206)이 오목하게 파여 형성된다. 다시 말해, 상기 안착홈(206)은 상기 고리(202)가 닫힌 상태에서 상기 연결판(120)의 걸림홀(122)이 걸리는 부분에 하측으로 오목하게 파여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안착홈(206)에 상기 걸림홀(122)의 내면이 끼워져 결합된다. A seating groove 206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ring 202 so that the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hole 122 is engaged. In other words, the seating groove 206 is formed to be recessed downward at a portion where the engagement hole 122 of the connection plate 120 is hooked when the hook 202 is closed. Therefore, the inner surface of the engagement hole 122 is fitted into the seating groove 206 to be engaged.

한편,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지만 상기 인양수단(200)에는 상기 고리(202)가 벌어진 것을 감지하는 센서와, 상기 센서에 연동되는 LED 점멸등 및 버져(buzzer)가 구비된다. 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lifting means 200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detecting the opening of the loop 202 and an LED blinking light and a buzzer for interlocking with the sensor.

따라서, 상기 연결판(120)으로부터 상기 고리(202)가 분리되면, 이를 상기 센서가 감지한 후 상기 LED 점멸등이 점멸함과 동시에 상기 버져의 신호음이 출력됨으로써 상기 인양수단(200)의 해제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ring 202 is detached from the connecting plate 120, the sensor senses the detachment of the hook 202, and the LED flashes and the beeper sound is output, thereby releasing the lifting state of the lifting means 200 Can be confirmed.

이에 작업자가 상기 인양수단(200)의 해제 확인을 위하여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상단으로 직접 올라가지 않아도돼,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the operator to directly ascend to the upper end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for confirming the lifting of the lifting means 200, and the safety of the worker can be secured.

다음으로, 본 발명에는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인양 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바(300)가 구비된다. Next, in the present invention, a safety bar 300 is provided to prevent the steel structure 100 from falling during lifting.

상기 안전바(300)는 일단이 상기 인양후크(H)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철근(104)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며, 직물제의 벨트나 로프, 또는 와이어 로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One end of the safety bar 300 is hooked to the lifting hook H and the other e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104. The safety bar 300 may be formed of a belt, a rope or a wire rope.

여기서, 상기 안전바(300)는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인양 시 균형을 위하여, 상기 인양수단(200)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The safety bar 300 may be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lifting means 200 in order to balance the lifting force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그리고 상기 인양수단(200)에는 상기 작동바(204)에 상하로 관통 형성된 통공(208)이 구비되는데, 이러한 상기 통공(208)으로 상기 안전바(300)가 통과된다. 즉, 상기 안전바(300)는 일단이 상기 인양후크(H)에 걸린 상태에서 상기 통공(208)을 통과하여 상기 철근(104)의 하단에 고정된다. The lifting means 200 is provided with a through hole 208 penetrating through the operation bar 204 so that the safety bar 300 is passed through the through hole 208. That is, the safety bar 300 passes through the through hole 208 and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104 while one end of the safety bar 300 is hooked on the lifting hook H.

또한, 상기 안전바(300)의 상단에는 당김블록(302)이 고정된다. 상기 당김블록(302)은 상기 통공(208)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통공(208)보다 큰 직경을 가져 상기 통공(208)을 통과하지 못한다. 따라서, 상기 안전바(300)를 하측으로 당기면 상기 당김블록(302)에 의해 상기 작동바(204)가 하측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한 쌍의 고리(202)가 벌어지게 된다. Further, a pulling block 302 is fixed to an upper end of the safety bar 300. The pulling block 302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08 and has a larger diameter than the through hole 208 and can not pass through the through hole 208. Therefore, when the safety bar 300 is pulled downward, the operation bar 204 is pushed downward by the pulling block 302, so that the pair of hooks 202 are opened.

여기서, 작동바(204) 상부의 안전바(300)는 상기 인양후크(H)에서 상기 통공(208)까지의 직선 거리보다 길게 설치된다. 즉, 상기 인양후크(H)에서 상기 당김블록(302)까지, 상기 안전바(300)가 느슨하게 설치된다. Here, the safety bar 300 on the operation bar 204 is installed longer than the straight line distance from the lifting hook H to the through hole 208. That is, the safety bar 300 is loosely installed from the lifting hook H to the pulling block 302.

다음으로, 본 발명에는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인양 상태에서 위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견인바(304)가 구비된다. Next, the present invention is provided with a pulling bar 304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in a lifted state.

상기 견인바(304)는 상기 철근(104)의 하단에 걸려 고정되며, 직물제의 벨트나 로프, 또는 와이어 로프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철근 구조체(100)가 인양된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견인바(304)를 잡고 원하는 방향으로 당김으로써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위치를 조정할 수 있다. The draw bar 304 is fixed to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104, and may be formed of a belt, a rope, a wire rope, or the like. Accordingly, the operator can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100 by holding the pull bar 304 and pulling it in a desired direction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100 is lifted.

여기서, 상기 견인바(304)는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위치를 조정하기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축을 기준으로 양측으로 대칭되게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Here, the pull bar 304 is preferably symmetrically disposed on both sides of the axis of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100 to facilitate adjustment of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100.

이하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eel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철골 구조물은 H빔(102), 철근(104) 및 보강판(110)이 결합된 철근 구조체(100)를 기본으로 한다. 1 and 5, the steel frame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a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in which an H beam 102, a reinforcing bar 104, and a reinforcing plate 110 are combined.

먼저, 상기 철근 구조체(100)를 결합하기 위해서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H빔(102)을 상기 보강판(110)에 형성된 H빔 결합홀(114)에 통과시켜, 상기 H빔(102)의 길이 방향으로 상기 보강판(110)을 일정한 간격으로 설치한다. 여기서, 상기 H빔(102)은 고 중량이므로 상기 H빔(102)에 대하여 상기 보강판(110)을 끼워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 and 5, an H beam 102 is passed through an H beam coupling hole 114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110, and the H The reinforcing plates 110 are installed at regular interval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eam 102. Here, since the H beam 102 has a high weight, it is preferable that the reinforcing plate 110 is engaged with the H beam 102.

이때, 결합의 견고함을 위하여 상기 보강판(110)과 H빔(102)의 연결 부위는 용접으로 접합할 수 있다. At this time, the connecting portion of the reinforcing plate 110 and the H beam 102 may be welded to each other for the purpose of firmness of bonding.

다음으로, 상기 보강판(110)에 형성된 철근 결합홀(116)에 상기 철근(104)을 삽입한다. 이때, 상기 철근(104)은 상기 일정 간격으로 설치된 여러 보강판(110)을 차례로 통과하여 결합된다. Next, the reinforcing bars 104 are inserted into the reinforcing bar coupling holes 116 formed in the reinforcing plate 110. At this time, the reinforcing bars 104 are sequentially passed through the reinforcing plates 110 installed at the predetermined interval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결합이 완료되면, 상기 H빔(102)의 종단에 연결판(120)을 설치한다. 상기 연결판(120)은 상기 H빔(102)의 웨브에 결합시킴이 바람직하며, 볼트로써 결합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when the coupling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is completed, the connecting plate 120 is installed at the end of the H beam 102. The connecting plate 120 is preferably coupled to the web of the H beam 102 and may be coupled with a bolt.

다음으로, 크레인의 인양후크(H)에 인양수단(200) 및 안전바(300)를 걸고, 상기 인양수단(200)의 고리(202)에 상기 연결판(120)의 걸림홀을 건다. 그리고 상기 안전바(300)의 타단은 상기 인양후크(H) 반대편의 철근(104) 일단에 고정한다. Next, the lifting means 200 and the safety bar 300 are hooked on the lifting hook H of the crane, and the hooking hole of the connecting plate 120 is hooked to the hook 202 of the lifting means 200. The other end of the safety bar 300 is fixed to one end of the reinforcing bar 104 opposite to the lifting hook H.

이와 같은 상태에서, 상기 인양후크(H)를 서서히 올리면, 상기 인양수단(200)이 함께 상승하면서 상기 고리(202)에 하중이 걸린다. 따라서, 상기 고리(202)의 안착홈(206)에 상기 걸림홀(122)의 내주가 끼워지면서,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하중에 의해 상기 고리(202)의 닫힘 상태가 고정된다. In this state, when the lifting hook H is gradually lifted, a load is applied to the lifting hook 200 while lifting the lifting means 200 together. Therefore, the inner circumference of the locking hole 122 is fitted into the seating groove 206 of the ring 202, and the closed state of the ring 202 is fixed by the load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그리고 계속해서 상기 인양후크(H)가 상승하면, 상기 철근 구조체(100)가 지면과 수직한 상태로 세워진다. Subsequently, when the lifting hook H rises,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is erected perpendicular to the ground.

상기 철근 구조체(100)가 상기 지면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에서 상시 인양후크(H)의 위치를 이동시켜 상기 철근 구조체(100)가 타설될 위치로 이동한 후에, 작업자는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일단에 설치된 견인바(304)를 당겨 방향을 조정함으로써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설치 정 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After moving the position of the lifting hook H at all times in a state where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100 is separated from the ground surface and moving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100 to a position where the reinforcing bar structure 100 is to be placed, It is possible to set the installation position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by adjusting the direction of pulling the pulling bar 304 installed on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한편, 전술한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인양 과정에서, 상기 인양수단(200)으로부터 상기 철근 구조체(100)가 분리되는 사고가 발생하게 되면, 상기 안전바(300)에 의해 상기 철근 구조체(100)가 매달린 채 지지됨으로써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When the steel structure 100 is separated from the lifting means 200 during the lifting process of the steel structure 100 as described above, the safety bar 300 may prevent the steel structure 100 ) Can be suspended to prevent safety accidents.

그리고 상기 철근 구조체(100)를 지면에 안전하게 고정하는 작업을 거친 후에는, 상기 인양후크(H)를 하강시킴으로써 상기 인양수단(200)의 클램핑을 해제할 수 있다. After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is securely fixed on the ground, the clamping of the lifting means 200 can be released by lowering the lifting hook H.

먼저, 도 7과 같이 상기 고리(202)에 상기 걸림홀(122)이 걸린 상태에서 상기 인양후크(H)를 하강시키면, 도 8과 같이 상기 인양수단(200)이 함께 하강하여 상기 고리(202)가 상기 걸림홀(122)로부터 이탈된다. 7, when the lifting hook H is lowered in a state where the hooking hole 122 is engaged with the hook 202, the hoisting means 200 descends together with the hook 202 as shown in FIG. 8, Is detached from the latching hole 122.

다음으로, 지상에서 작업자가 상기 안전바(300)를 당기면 상기 당김블록(302)이 상기 인양수단(200)의 작동바(204)를 가압하게 되고, 도 9와 같이 상기 작동바(204)와 함께 상기 고리(202)가 회전되면서 상기 고리(202)가 열리게 된다. Next, when the worker pulls the safety bar 300 on the ground, the pulling block 302 presses the actuating bar 204 of the lifting means 200, The ring 202 is rotated while the ring 202 is opened.

따라서, 철근 구조체(100)의 인양을 위해 클램핑 했던 것을 해제하기 위하여 작업자가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상부로 직접 올라갈 필요가 없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다. Therefore, it is not necessary for a worker to directly ascend to the upper part of the steel structure 100 in order to release the clamping for the lifting of the steel structure 100, so that the safety of the worker can be achieved.

상기 철근 구조체(100)가 안전하게 설치된 이후에는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외부에 필요한 높이만큼 거푸집을 설치한 후 콘크리트를 타설함으로써 콘크리트 기둥이 완성된다. 이때, 상기 보강판(110)의 콘크리트 타설홀(118) 내부에 콘크리트가 타설됨으로써 상기 철근 구조체(100)와 콘크리트 간의 결합력이 더욱 증대된다. After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is securely installed, a concrete pillar is completed by installing a concrete as much as necessary to the outside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At this time, since the concrete is poured into the concrete pouring hole 118 of the reinforcing plate 110, the coupling force between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and the concrete is further increased.

한편,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상부에는 다른 철근 구조체(100미도시)를 연장하여 연결할 수 있다. On the other hand, another reinforcing structure 100 (not shown) may be connect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이를 위해서,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상부로 다른 철근 구조체(100미도시)를 인양시킨 후, 서로 맞닿는 철근끼리 커플러(C)로써 연결할 수 있다. To this end, another reinforcing structure 100 (not shown) may be lifted to the upper portion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and then connected by a reinforcing bar coupler C which is in contact with each other.

상기 커플러(C)는 내면에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나선이 반반씩 형성되어 있어, 상기 커플러(C)를 간단히 회전시키는 작업에 의해 상기 철근이 서로 가까워져 연결된다. The coupler (C) is formed with half spiral in the direction opposite to the inner surface, and the reinforcing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a simple operation of rotating the coupler (C).

그리고 견고함을 위해, 서로 맞닿는 H빔의 일면에 결합판(미도시)을 설치하여 서로 연결한다. For the sake of robustness, a coupling plate (not shown) is provided on one surface of the H beams which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and connected to each other.

또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측면에는 가로보(400)를 결합할 수 있다. 10, the beam 400 may be coupled to the side surfac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

상기 철근 구조체(100)는 일반적으로 건물 3층 정도의 높이로 결합되며, 상기 가로보(400)는 1층의 높이 마다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측면에 결합될 수 있다. Generally,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is combined at a height of about three stories, and the beam 400 can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at a height of one layer.

본 발명에서는 상기 보강판(110)에 의해, 상기 H빔(102) 및 다수의 철근(104)이 간결한 구조로써 결합되기 때문에,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측면에 상기 가로보(400)를 결합하는 작업이 매우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Since the H beam 102 and the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04 are coupled by the reinforcing plate 110 with a simple structure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cross beams 400 are coupled to the side surfaces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The work can be performed very easily.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disclosed embodiment, but is capable of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It is self-evident.

H빔 : 102 철근 : 104
보강판 : 110 철근 구조체 : 100
몸체 : 112 H빔 결합홀: 114
철근 결합홀 : 116 콘크리트 타설홀 : 118
연결판 : 120 걸림홀 : 122
인양수단 : 200 고리 : 202
작동바 : 204 안착홈 : 206
통공 : 208 힌지브라켓 : 210
힌지 : 212 후크홀 : 214
안전바 :300 당김블록 : 302
견인바 : 304 가로보 : 400
H beam: 102 rebar: 104
Reinforced plate: 110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100
Body: 112 H Beam coupling hole: 114
Reinforcing Hole: 116 Concrete Casting Hole: 118
Connection plate: 120 Jam hole: 122
Lifting Means: 200 Hooks: 202
Operation Bar: 204 Retaining Grooves: 206
Through hole: 208 Hinge bracket: 210
Hinge: 212 Hook Hole: 214
Safety bar: 300 Pulling block: 302
Tow bar: 304 Cross beam: 400

Claims (5)

H빔(102)과;
상기 H빔의 주변에 배치되는 다수의 철근(104)과;
상기 H빔(102) 및 철근(104)이 관통하여 설치되며, 상기 H빔(102)의 길이 방향으로 등 간격으로 배치되어 상기 H빔(102) 및 철근(104)을 지지하는 판상형의 보강판(110)을 포함하며;
상기 보강판(110)은,
판상형의 몸체(112)와;
상기 몸체(112)의 중앙부에 관통 형성되는 H빔 결합홀(114)과;
H빔 결합홀(114) 주변에 다수 배치되며, 상기 철근(104)이 관통 설치되는 철근 결합홀(116); 및
상기 H빔 결합홀(114) 일측에 마련되는 콘크리트 타설홀(118)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H빔(102)의 종단에 결합되며, 장공형 걸림홀(122)이 형성된 연결판(120)과;
일단에 상기 연결판(120)의 걸림홀(122)에 착탈되는 고리(202)가 마련되고 타단에는 인양후크(H)가 걸리는 후크홀(214)이 마련되며, 상기 인양후크(H)로써 상기 H빔(102), 철근(104) 및 보강판(110)이 결합된 철근 구조체(100)를 지면과 수직하게 세우는 데 사용되는 인양수단(200)이 더 구비되며;
상기 인양수단(200)은,
힌지(212)를 중심으로 서로 교차하여 원형 고리 형상을 이루는 한 쌍의 고리(202)와;
상기 고리(202)로부터 각각 연장되며 상기 힌지(212)를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한 쌍의 고리(202)를 벌리거나 오므리는 동작을 하는 작동바(204)와;
상기 고리(202)의 내면에 오목하게 파인 홈으로써, 상기 걸림홀(122)의 내주면이 걸리는 안착홈(206)을 포함하며;
일단이 상기 인양후크(H)에 걸리고 타단은 상기 철근(104)의 하단에 걸려 고정됨으로써,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인양 시 낙하를 방지하는 안전바(300)가 더 구비되며;
상기 인양수단(200)에는,
상기 작동바(204)에 상하로 관통 형성되어, 상기 안전바(300)가 통과하는 통공(208)과;
상기 안전바(300)에 고정됨과 더불어 상기 통공(208)의 상부에 설치되며, 상기 안전바(300)를 하측으로 당기는 동작에 의해 상기 작동바(204)를 하측으로 당김으로써 한 쌍의 고리(202)가 벌어지게 하는 당김블록(302)이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
An H beam 102;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04) disposed around the H beam;
The H beam 102 and the reinforcing bars 104 are dispos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 beam 102 to support the H beams 102 and the reinforcing bars 104. The H beams 102, (110);
The reinforcing plate (110)
A plate-like body 112;
An H beam coupling hole 114 formed at the center of the body 112;
A plurality of reinforcing bars 116 disposed around the H beam coupling hole 114 and through which the reinforcing bars 104 are inserted; And
And a concrete pouring hole 118 provided at one side of the H beam coupling hole 114;
A coupling plate 120 coupled to an end of the H beam 102 and having a long hole 122 formed therein;
A hook 202 is provided at one end of the connecting plate 120 to be attached to and detached from the hooking hole 122 of the connecting plate 120 and a hooking hole 214 is formed at the other end for hooking the hooking hook H, Further comprising a lifting means (200) used to raise the reinforcing structure (100) with the H beam (102), the reinforcing bars (104) and the reinforcing plate (110)
The lifting means (200)
A pair of rings (202) crossing each other around the hinge (212) and having a circular ring shape;
An actuating bar 204 extending from the ring 202 and rotating about the hinge 212 to open or close the pair of rings 202;
And a seating groove (206) in which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locking hole (122) is engaged with a groove recessed in an inner surface of the ring (202);
The safety bar 300 may further include a safety bar 300 that is engaged with the lifting hook H at one end and is fixed at the lower end of the reinforcing bar 104 to prevent falling of the reinforcing steel structure 100 during lifting.
In the lifting means 200,
A through hole 208 formed in the operation bar 204 so as to pass through the safety bar 300;
The safety bar 300 is fixed to the safety bar 300 and is installe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through hole 208. By pulling the safety bar 300 downward to pull the operation bar 204 downward, 202) is provid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frame (302).
삭제delete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근(104)의 하단에는,
일단이 상기 철근(104)에 걸려 고정되며, 상기 철근 구조체(100)의 인양 상태에서 위치를 조정하는 데 사용되는 견인바(304)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철골 구조물.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reinforcing bars (104)
And a pull bar (304) which is fixed at one end to the reinforcing bar (104) and is used to adjust the position of the reinforcing bar (100) in the lifted state.
KR1020170076927A 2017-06-16 2017-06-16 The steel frame structure KR10194188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27A KR101941885B1 (en) 2017-06-16 2017-06-16 The steel frame structur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76927A KR101941885B1 (en) 2017-06-16 2017-06-16 The steel frame structur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50A KR20180137350A (en) 2018-12-27
KR101941885B1 true KR101941885B1 (en) 2019-01-24

Family

ID=649533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76927A KR101941885B1 (en) 2017-06-16 2017-06-16 The steel frame structur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885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26A (en) * 2019-02-12 2020-08-20 이조은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i type steel ban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854480A (en) * 2021-03-15 2021-05-28 刘盼盼 Beam column weak axis connecting joint and assembling method thereof
CN113187155A (en) * 2021-05-08 2021-07-30 厦门泰睿坤建设工程有限公司 Steel reinforcement cage structure for building column
CN115110780B (en) * 2022-06-20 2023-10-20 中煤第三建设(集团)有限责任公司 Installation operation auxiliary device for assembled building wallboard
CN115613761A (en) * 2022-10-31 2023-01-17 中国十九冶集团有限公司 Steel reinforcement cage expansion assembly and construction method for installing box steel column in steel reinforcement cag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350A (en) * 2002-12-12 2004-07-08 Taisei Corp Reinforcing basket, steel pipe with built-in reinforcing basket, and construction method of infilled steel pipe reinforced concrete column
KR101523532B1 (en) * 2014-04-17 2015-05-28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Closed steel assembly for column
KR200478647Y1 (en) * 2015-04-07 2015-10-29 김일록 clamping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65518U (en) * 1993-02-26 1994-09-16 英守 田中 Reinforcing bar terminal support bracket
KR20100076576A (en) 2008-12-26 2010-07-06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Concrete-filled steel tube
KR101253438B1 (en) 2011-10-17 2013-04-11 최진욱 Concrete filling reinforced frame steel post
KR101404513B1 (en) 2012-11-21 2014-06-10 이창남 Steel Reinforced Concrete with Steel Angles or T Bars
KR101307471B1 (en) 2013-03-27 2013-09-11 주식회사 보경이엔지건축사사무소 Reinforced concrete column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190350A (en) * 2002-12-12 2004-07-08 Taisei Corp Reinforcing basket, steel pipe with built-in reinforcing basket, and construction method of infilled steel pipe reinforced concrete column
KR101523532B1 (en) * 2014-04-17 2015-05-28 주식회사 액트파트너 Closed steel assembly for column
KR200478647Y1 (en) * 2015-04-07 2015-10-29 김일록 clamping devic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98226A (en) * 2019-02-12 2020-08-20 이조은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i type steel band
KR102258888B1 (en) * 2019-02-12 2021-05-31 이조은 Construction method of concrete structure using i type steel ban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37350A (en) 2018-12-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885B1 (en) The steel frame structure
JP5584744B2 (en) Lifting device, rebar top edge positioning jig, rebar lifting method, and rebar erection method
US7950190B2 (en) Concrete panel lifting insert assembly
US3420014A (en) Anchor insert and pick-up unit therefor
KR101457114B1 (en) Pre-fabrication method for steel reinforcement
KR101042026B1 (en) Lifting loop set for Precast Concrete Members
KR20190066241A (en) Gang form safety apparatus with integrated safety hook
JP3181041U (en) Mounting member for scaffolding for bridge
KR101076562B1 (en) Supporting structure of slab form
JP2009108611A (en) Reinforcement erecting tool and reinforcement erecting method
KR102327935B1 (en) Gang-form safety hanger bracket
KR200413590Y1 (en) Scaffold and construction structure thereof
JP6661142B1 (en) Hanging scaffold
JP3977400B2 (en) Concrete structure construction method
KR100812262B1 (en) Device for preventing falling of gangform and method for constructing reinforced concrete structure using the same
JP2018168599A (en) Installation method of formwork and suspending device for formwork
CN113338537A (en) Construction method of ultrahigh large-section concrete frame column
CN220166885U (en) Adjustable reuse hanging bar
KR20170017114A (en) Safty rack supporting structure
KR102524591B1 (en) Temporary worktable
KR102455291B1 (en) Gang form falling prevention and safety apparatus
CN213569101U (en) Auxiliary lifting appliance for reinforcement cage
KR200459397Y1 (en) Gang form support bracket for crash protection structures
CN217268946U (en) Aluminum alloy template pouring elevator in building construction floor
CN212294380U (en) Novel cast-in-place outrigger of light structu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