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875B1 -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 - Google Patents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875B1
KR101941875B1 KR1020177033495A KR20177033495A KR101941875B1 KR 101941875 B1 KR101941875 B1 KR 101941875B1 KR 1020177033495 A KR1020177033495 A KR 1020177033495A KR 20177033495 A KR20177033495 A KR 20177033495A KR 101941875 B1 KR101941875 B1 KR 1019418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me
support information
core network
time
network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3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631A (ko
Inventor
마르타 마르티네즈 타라델
산지타 반골래
캔디 이유
형남 최
푸니트 자인
Original Assignee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아이피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701306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6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8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8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005Control or signalling for completing the hand-off
    • H04W36/0083Determination of parameters used for hand-off, e.g. generation or modification of neighbour cell lists
    • H04W36/0085Hand-off measurements
    • H04W36/0088Scheduling hand-off measur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8Testing, supervising or monitoring using real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70Services for machine-to-machine communication [M2M] or machine type communication [MTC]
    • H04W72/0406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7Transitions between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4Backbone network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진화 패킷 코어(EPC) 내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기술이 개시된다. UE에 대한 평균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상태 시간이 결정된다. UE에 대한 평균 RRC 유휴 상태 시간도 결정된다. 선택된 기간 내의 셀들 사이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UE가 EPC의 셀들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양이 식별된다.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UE의 서빙 eNB로 통신하여, 서빙 eNB가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Description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ASSISTANCE INFORMATION FOR EVOLVED NODE B (eNB) PARAMETER TUNING}
기계 타입 통신(MTC)은 통상적으로 사람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는 통신이다. 기계 타입 통신의 출현은 무선 표준들 및 무선 통신 시스템들의 새로운 이용 사례들의 세트를 발생시켰다. MTC 또는 MTC 응용들을 위하여 사용되는 무선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유사한 특성들을 갖는다. 예로서, MTC 장치들은 통상적으로 낮은 이동성, 낮은 우선순위를 가지며, 적은 양의 이동 개시 및/또는 이동 종료 데이터를 전송한다. 데이터는 통상적으로 매우 덜 빈번하게, 예로서 일주일에 한 번 또는 한 달에 한 번 전송된다. 대안으로서, MTC 장치들의 일부 타입들은 비교적 적은 양의 MTC 데이터를 더 자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데이터를 더 자주 전송하기 위해, MTC 장치를 무선 네트워크에 접속 및 분리하는 효율적인 방법은 빈번한 접속 및 분리가 무선 네트워크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는 데 유용하다.
본 발명의 특징들 및 이점들은 본 발명의 특징들을 예시적으로 함께 도시하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하여 이루어지는 아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할 것이다. 도면들에서:
도 1은 일례에 따른, EPC(Evolved Packet Core)와 통신하는 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TRAN(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을 나타낸다.
도 2는 일례에 따른 과거 릴리스 정보를 나타내는 타임라인을 나타낸다.
도 3은 일례에 따른,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4는 일례에 따른, UE(user equipment)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eNB(evolved Node B)의 기능을 나타내는 흐름도를 도시한다.
도 5는 일례에 따른, EPC(evolved packet core) 내의 MME로부터 서빙 eNB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6은 일례에 따른 무선 장치(예로서, UE)의 도면을 나타낸다.
이제, 도시된 실시예들이 참조될 것이며, 이들을 설명하기 위해 본 명세서에서는 특정 언어가 사용될 것이다. 그러나, 그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의 어떠한 한정도 의도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본 발명이 개시 및 설명되기 이전에,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특정 구조들, 프로세스 단계들 또는 재료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관련 분야의 숙련된 자들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그 균등물들로 확장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용어는 특정 예들을 설명하려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는 것으로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라는 점 또한 이해해야 한다. 상이한 도면들에서의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흐름도들 및 프로세스들에 제공되는 번호들은 단계들 및 동작들을 예시함에 있어 명료화를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반드시 특정한 순서 또는 시퀀스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
기술 실시예들의 초기 개요가 아래에서 제공되고, 이어서 특정 기술 실시예들이 나중에 더 상세히 설명된다. 이러한 초기 요약은 독자들이 기술을 더 빠르게 이해하는 것을 돕기를 의도하지만, 청구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의도하지 않는다.
도 1은 3GPP LTE 릴리스 8, 9, 10, 11, 12 또는 13에 따라 EPC(evolved packet core)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eNodeB(104)를 포함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와 무선 통신하는 UE(102)의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EPC는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를 포함할 수 있다. MME는 각각의 UE에 대한 제어 평면 통신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 평면 시그널링은 UE의 UMTS(evolved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TRAN(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에 대한 액세스를 위한 이동성 및 보안을 제공한다.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 계층은 UE(user equipment)와 E-UTRAN 내의 eNB(evolved Node B) 사이에 존재하는 하위 계층이다. RRC 프로토콜 계층은 LTE 에어 인터페이스 제어 평면의 일부이다. RRC 프로토콜 계층에 의해 제공되는 주요 서비스들 및 기능들은 NAS(non-access stratum) 및 AS(access stratum)와 관련된 시스템 정보의 방송; 페이징; UE와 e-UTRAN 사이의 RRC 접속의 설정 및 릴리스; 점대점 무선 베어러들의 설정, 구성, 유지 및 릴리스; 및 QOS 측정 보고를 포함한다. MME는 유휴 모드에서의 UE의 추적 및 페이징을 담당한다. MME는 NAS(non-access stratum)의 종단 포인트이다. RRC 프로토콜 계층에 의해 추가적인 특징들도 제공된다.
UE와 EPC 간의 RRC 접속의 설정은 (UE와 eNB 간의 시그널링 무선 베어러 및 eNB와 MME 간의 S1-MME 베어러를 포함하는) 제어 평면을 이용하여 UE와 MME 사이에서 제어 정보 및 데이터가 통신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UE가 RRC 접속 모드에 있을 때, UE에서 비교적 많은 양의 전력이 소비된다. 따라서, 배터리 소스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UE의 동작 시간을 최대화하기 위해 UE에서의 RRC 접속 시간은 최소화된다. UE가 EPS와의 RRC 접속 상태를 유지해야 하는 것이 필요 또는 요구되지 않을 때, UE는 RRC 유휴 상태로 전환할 수 있으며, 이는 RRC 접속 상태를 재설정하는 것이 요구될 때까지 전력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UE는 RRC 접속 릴리스 메시지가 eNB로부터 수신될 때 RRC 접속 상태로부터 RRC 유휴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UE를 너무 오랫동안 RRC 접속 상태로 유지하는 것 - 이는 UE에서의 과도한 전력 낭비를 유발할 수 있음 -과 RRC 접속을 너무 자주 해제하는 것 - 이는 EPS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내의 과도한 시그널링 오버헤드, 및 EPC와의 RRC 접속 및 관련 무선 베어러들을 재설정하기 위한 UE에서의 전력 사용을 유발할 수 있음 - 사이의 신중한 균형이 존재한다.
MTC 장치들의 사용은 MTC 장치로서 동작하는 UE와 EPS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 사이의 RRC 접속의 타이밍을 최적화함에 있어서의 어려움을 더 증가시킬 수 있다. MTC 장치는 매우 적은 전력을 소비하면서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MTC 장치가 RRC 접속 상태에 있는 시간은 전력 소비를 줄이기 위해 최소화된다. 게다가, 비교적 짧은 시간 내에 네트워크에 접속하려고 시도할 수 있는 수천 또는 수만 개의 MTC 장치가 존재할 수 있다.
예로서, MTC 장치로서 동작하는 UE는 도시 내의 모든 전력 계량기에 접속될 수 있다. 계량기들은 전력 사용을 규칙적인 간격으로, 예로서 한 시간마다, 하루마다, 일주일마다 또는 한달마다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네트워크에 대한 수천 또는 수만 개의 MTC 장치의 접속은 E-UTRAN 및 EPC에서 상당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유발할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MTC 장치가 무선 네트워크에서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최소 수의 RRC 접속 및 릴리스로 모든 필요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통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러한 예는 한정을 의도하지 않는다. MTC 장치로서 동작하는 UE에 대해 다양한 동작 조건 및 보고 조건이 존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네트워크의 내부 결정을 향상시키고, UE에서의 절전 및 성능 향상을 제공하기 위해, EPS(evolved packet system)와 UE들 사이에서 지원 정보 파라미터들이 통신될 수 있다.
지원 정보 파라미터들은 네트워크에서 부하 균형화, 자원 할당을 제공하고,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최소화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지원 정보 파라미터들은 RRC 접속 릴리스 타이머, RRC 상태들, 및 상태 전이 관련 상수들 및 카운터들과 관련된 파라미터들에 대한 갱신들을 포함할 수 있다.
지원 정보 파라미터들은 UE, RAN(radio access network)에 의해 또는 EPC(즉, MME 또는 HSS)에서 수집될 수 있다. 지원 정보 파라미터들은 eNB 또는 EPC에 저장될 수 있다. 지원 정보 파라미터들은 UE 및 네트워크에 유리하도록 상이한 방법들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예로서, 지원 정보는 네트워크로부터의 요청 또는 질의 시에, 상이한 eNB로의 UE의 핸드오버 시에, RRC 유휴 상태로부터 RRC 접속의 재설정 시에 또는 UE가 UE에서의 내부 결정으로 인해 정보를 전달할 때 전달될 수 있다. 게다가, 지원 정보 파라미터들은 UE에 대한 DRX(discontinuous reception) 구성들에 대한 타이밍 파라미터들을 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활동이 적거나 없을 때, eNB는 DRX 모드를 활성화할 수 있으며, 따라서 UE는 타이머들의 세트에 의해 정의되는 소정 시간 동안 그의 송수신기들을 파워 다운할 수 있다.
RRC 릴리스 지원 정보
RRC 접속 릴리스 메시지가 통신될 때, UE는 eNB에서 유지되는 타이머의 만료시에 RRC 접속 모드로부터 RRC 유휴 모드로 전환될 수 있다. 이 타이머의 값, 또는 파라미터 정의는 통상적으로 오퍼레이터 또는 네트워크에 고유하다. 이 값은 3GPP LTE 릴리스 8, 9, 10, 11, 12 또는 13 표준에서 이용 가능하지 않다. 각각의 오퍼레이터는 이 타이머에 대해 독점 값을 사용하며, 그 값을 경쟁 판매자들과 차별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한다. 타이머는 "RRC 비활동 타이머" 또는 RRC 접속 릴리스 타이머로서 지칭된다. RRC 접속 릴리스 타이머는 T320 타이머와 같이 사양에서 정의되는 다른 타이머들과 다르다.
UE가 EPC와의 UE 접속을 릴리스하기 전에 걸리는 시간을 제공하는 RRC 접속 릴리스 타이머의 지속기간은 UE 전력 소비에 큰 영향을 줄 수 있다. 기간이 너무 긴 경우, 이것은 UE가 접속 모드에 있지만 데이터를 송신 또는 수신하지 않는 소위 '꼬리 효과(tail effect)'를 유발할 수 있다. 그러나, 기간이 너무 짧을 경우, 이것은 빈번한 RRC 상태 전이를 유발할 수 있으며, 이는 전술한 바와 같은 높은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유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이 구성될 수 있다.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은 UE 접속들을 언제 릴리스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네트워크 절차를 향상시키는 데 사용될 수 있는 지원 정보 파라미터일 수 있다.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은 eNB가 UE의 RRC 접속을 릴리스할 디폴트 시점에 추가될 수 있는 상대 시간 값(δ)이다.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의 값은 양이거나 음일 수 있으며, 따라서 디폴트 RRC 릴리스 시간을 줄이거나 늘릴 수 있다. 델타 RRC 릴리스 시간 파라미터는 eNB에 의해 생성될 수 있다. eNB는 레거시 시스템들에서 eNB와의 RRC 접속을 언제 릴리스할지를 결정하는 노드이다. 일 실시예에서, 각각의 UE에 대한 델타 RRC 릴리스 시간 값은 셀 식별자(ID)와 함께 MME에 의해 저장될 수 있다. 그러나, UE 접속을 릴리스하기 위한 결정은 eNB로 한정되지 않는다. UE에 대한 RRC 접속을 릴리스하는 결정은 다른 노드들에 의해서도 취해질 수 있다. 예로서, UE에 대한 RRC 접속을 릴리스하는 결정 및 델타 RRC 릴리스 시간 값을 결정하는 데 사용되는 지원 정보의 수집은 UE 또는 EPC 내의 노드들, 예로서 MME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UE 전력 사용 및 네트워크 트래픽을 최소화할 접속을 릴리스하기 위한 개선된 인스턴스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델타 RRC 릴리스 시간 정보는 eNB가 그 자신의 절대 RRC 릴리스 시간을 정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게다가, eNB는 미래의 인스턴스에 UE의 RRC 접속을 어떻게, 언제 릴리스할지를 결정하기 위한 그 자신의 메커니즘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지능형 eNB들은 RRC 접속을 언제 릴리스할지를 결정하기 위해 UE에 대한 핸드오버(HO) 레이트, UE 트래픽 패턴, 또는 eNB에서의 다른 내부 알고리즘들과 같은 추가 팩터들을 고려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예로서, eNB는 그의 내부 상수 RRC 릴리스 시간(tD)을 5초로 정의할 수 있다. 3초 동안 아직 데이터 활동을 하지 않은 UE에 대해 핸드오버가 트리거링될 수 있다. 그 포인트에서, eNB는 UE를 릴리스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MME에 의해 마이너스 2초(δA = -2)와 동일한 것으로서 저장될 수 있다. UE가 RRC 접속 상태에 들어가는 다음 번에, eNB는 또한 네트워크 시그널링을 최소화하고 UE 전력 소비 및 네트워크 자원들을 절약하기 위해 RRC 접속을 릴리스할 기간을 결정하는 것을 돕는 데 사용될 수 있는 팩터로서의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유사하게, eNB가 UE를 릴리스하지 않고 더 긴 기간 동안 접속 상태로 유지하기로 결정하는 경우들이 존재할 수 있으며, 이 경우에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의 상대 값은 도 2에 δB로 도시된 양이다.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의 eNB간 핸드오버의 경우,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은 소스 eNB로부터 타겟 eNB로 통신될 수 있다. 이어서, 타겟 eNB는 이러한 정보를 이용하여, 네트워크 시그널링 및 UE 전력 소비를 최소화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델타 RRC 릴리스 시간을 통신하는 것에 더하여, 추가 정보도 통신될 수 있다. 예로서, UE가 유휴 모드로 전이하지 않고 접속 모드로 유지되는 경우와 관련된 지원 정보가 타겟 eNB로 통신될 수 있다.
델타 RRC 릴리스 시간과 같은 지원 정보는 UE가 RRC 접속 모드 및 RRC 유휴 모드에서 소비하는 시간에 기초하여 트래픽 활동을 이해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빈번한 RRC 상태 전이로 인해 발생하는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기 위해 특정 상세들이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가 하나 이상의 UE에 의해 수집될 수 있고, 각각의 UE에 의해 EPC로 통신된다. MME와 같은 EPC 내의 노드는 정보를 이용하여 eNB에 지원 정보를 제공하여, UE 상태 전이들을 최소화하고, 최적의 네트워크 거동을 달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정보는 MME 자체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예로서, UE는 RRC 접속의 설정시에 소정의 이동성 관련 정보를 전달할 수 있다. 이동성 관련 정보는 셀 ID의 리스트 및 각각의 셀에서 UE에 의해 소비된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셀 이력은 60, 120, 240 또는 480초와 같은 사전 결정된 양의 시간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이동성 정보는 다른 시점들에 EPC로 통신될 수 있다. 예로서, eNB 또는 MME가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RRC 상태 정보와 같은 이동성 관련 정보는 소정 기간 동안 UE에 의해 수집되고, 선택된 셀들과 관련될 수 있다. 일례에서, 정보는 이전의 단락들에서 예시된 바와 같이 수집될 수 있다.
셀마다 각각의 상태에서 UE에 의해 소비된 시간은 {(cell_1, time_idle_1, time_connected_1), (cell_2, time_idle_2, time_connected_2), ..., (cell_n, time_idle_n, time_connected_n)}로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cell_x는 cell_ID_x 및/또는 cell_type_x를 지칭하고; time_idle_x는 UE가 Cell_x에서 RRC 유휴 상태에 있었던 시간을 지칭하고; time_connected_x는 UE가 Cell_x에서 RRC 접속 상태에 있는 시간을 지칭한다.
외삽 없이 각각의 상태에서 UE에 의해 소비된 시간은 {(cell_1, time_RRCstate_1, RRCstate_1), (cell_2, time_RRCstate_2, RRCstate_2), ..., (cell_n, time_RRCstate_n, RRCstate_n)}으로 표현될 수 있으며, 여기서 RRCstate_n은 UE가 놓인 RRC 상태를 나타낸다. 예로서, RRC 유휴는 0으로 표시될 수 있고, RRC 접속은 1로 표시될 수 있다.
셀마다의 RRC 상태 전이들의 수는 각각의 셀에서 소비된 시간 또는 셀마다의 RRC 상태 전이 레이트와 함께 {(cell_1, time_cell_1, RRCstate_count_1), (cell_2, time_cell_2, RRCstate_count_2), ..., (cell_n, time_cell_n, RRCstate_count_n)} 또는 {(cell_1, RRCstate_ratio_1), (cell_2, RRCstate_ ratio _2), ..., (cell_n, RRCstate_ ratio _n)}으로 표현될 수 있다. Time_cell은 주어진 셀/eNB에서 소비된 시간이다. RRCstate_count는 주어진 셀 내에 있는 동안 UE에 의해 수행된 RRC 유휴 대 RRC 접속 상태 전이들의 수이다. RRCstate_ratio는 RRC 유휴 상태에서 소비된 시간 대 RRC 접속 상태에서 소비된 시간의 비율 또는 그 반대이다.
일 실시예에서는, 셀 내에서 UE에 의해 소비된 시간에 대한 평균 및 표준 편차(또는 분산)만이 포함된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셀마다 RRC 유휴 모드에서 UE에 의해 소비된 시간 및 RRC 접속 모드에서 UE에 의해 소비된 시간은 소정 기간에 걸친 셀마다의 RRC 상태 전이들의 수로서 표현될 수 있다. 예로서, 수집된 정보는 {(cell_1, average_time_idle_1, average_time_connected_1, std_time_idle_1, std_time_connected_1) 등을 포함하며, 여기서 average_time_idle_n은 UE가 cell_n에서 RRC 유휴 상태에 있는 시간의 평균 양이고; std_time_idle_n은 UE가 cell _n에서 유휴 상태에 있는 시간의 표준 편차이고; average_time_connected_n은 UE가 cell_n에서 RRC 접속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이다.
일 실시예에서, 지원 정보는 가중 방법에 기초하는 UE에 대한 RRC 상태 전이들의 이력을 포함할 수 있다. RRC 상태 전이들 및 대응하는 지속기간들의 원시 정보를 수집하는 eNB 또는 MME와 같은 노드는 정보를 지원 정보로서 공유하기 전에 소정 형태의 가중화를 수행할 수 있다. 정보의 가중화는 전형적인 방법들에 더하여 상이한 방법들로 수행될 수 있다. 예로서, 가중화는 UE가 시간의 윈도에 걸쳐 RRC 접속 상태 및 RRC 유휴 상태에서 소비하는 소비 시간에 대해 상이하게 적용될 수 있다. 시간 기반 가중화도 적용될 수 있다. 윈도는 슬라이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지원 정보는 (셀 ID를 참조하는) UE 셀 이력 정보로부터 분리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의 요청시에, UE는 다음의 정보를 상이한 옵션들로서 전송할 수 있는데, 지원 정보는 유지 시간 및 각각의 전이의 RRC 상태만을 포함하거나, 지원 정보는 UE가 시간의 윈도에 걸쳐 각각의 셀 내에 유지된 시간의 평균 및 편차(또는 분산)일 수 있다.
지원 정보의 전달
일 실시예에서, UE는 기존의 UE 지원 정보 컨테이너를 이용하여, 지원 정보를 전송하여, 지원 정보를 EPC 내의 MME와 같은 네트워크로 전달할 수 있다. 게다가, 새로운 메시지가 지원 정보를 네트워크로 전달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UE는 UE 지원 정보를 eNB로 통신할 수 있다. eNB는 eNB 구성 갱신 또는 S1 셋업 요청 또는 임의의 다른 적절한 S1 메시지를 이용하여, 저장을 위해 정보를 MME로 전달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UE는 RRC 유휴 상태로부터 RRC 접속 상태로 전환할 때 UE 지원 정보를 통신할 수 있다. 지원 정보는 핸드오버의 경우에 네트워크 또는 타겟 eNB로 통신될 수도 있다. 예로서, 정보는 UE가 다른 셀로 핸드오버될 때 X2 접속을 통해 서빙 eNB로부터 타겟 eNB로 전송될 수 있다. 네트워크는 정보를 갱신하고, 전술한 바와 같이 현재 셀 유지 시간 정보를 리스트에 추가할 수 있다. 평균 및 표준 편차(또는 분산) 정보만이 네트워크, 네트워크, 예로서 EPC, EPS 내의 요소, 또는 P-GW를 통해 EPC와 통신하는 외부 요소로 전송되는 경우, 네트워크는 UE가 셀 내에 유지된 시간에 기초하여 평균 및 표준 편차(또는 분산)를 재계산하거나, UE에 정보를 갱신하여 네트워크로 전송하도록 요청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가 RRC 유휴로부터 RRC 접속으로의 UE의 전이시에 eNB로 전송되는 UE 이력 정보와 분리되는 경우, 네트워크가 그러한 정보를 요청하기 위해 RRC 메시지 내에 새로운 시그널링이 추가될 수 있다.
일례에 따르면, 도 3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EPC(evolved packet core) 내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의 기능(300)이 개시된다. 기능은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기능은 기계 상에서 명령어들로서 실행될 수 있으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하나의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포함된다. MME는 블록 310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UE(user equipment)에 대한 평균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상태 시간을 결정하고; 블록 3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에 대한 평균 RRC 유휴 상태 시간을 결정하고; 블록 3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기간 내의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UE가 EPC 내의 셀들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양을 식별하고; 블록 3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접속 상태 시간, RRC 유휴 상태 시간, 및 선택된 기간 내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UE의 서빙 진화 노드 B(eNB)로 통신하여 서빙 eNB가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는 MME와의 S1 접속을 통해 서빙 eNB로 통신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E의 핸드오버 시에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타겟 eNB로 통신하여 타겟 eNB가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예로서, 타겟 eNB는 UE가 RRC 접속 상태와 RRC 유휴 상태 사이에서 전이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다.
다른 예에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E가 RRC 접속 상태에 있는 시간을 MME로부터 서빙 eNB로 통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E가 RRC 유휴 상태에 있는 기간을 MME로부터 서빙 eNB로 통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가 MME에서 수집된 통계 정보에 기초한다는 지시를 MME로부터 서빙 eNB로 통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는 도 4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eNB(evolved Node B)의 기능(400)을 제공한다. 기능은 방법으로서 구현될 수 있거나, 기능은 기계 상에서 명령어들로서 실행될 수 있으며, 명령어들은 적어도 하나의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또는 하나의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 상에 포함된다. eNB는 블록 4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eNB의 진화 패킷 시스템(EPS) 내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가질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는 블록 4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MME와의 접속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 블록 4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MME와 유휴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 및 블록 4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기간 내에 UE에 대해 발생하는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블록 45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에 기초하여 UE에 대한 선택된 파라미터들을 조정하여 UE의 상태 전이들 및 네트워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에서,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MME로부터 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UE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E의 핸드오버 시에 타겟 eNB와의 X2 접속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eNB로부터 타겟 eNB로 통신하여, 타겟 eNB가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E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들 간의 시간 간격을 MME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UE가 접속 상태에 있는 기간 - 접속 상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상태임 -; 및 UE가 유휴 상태에 있는 기간 - 유휴 상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 상태임 -을 MME로부터 수신하도록 더 구성될 수 있다. 또한, eNB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가 MME에서 수집된 통계 정보에 기초한다는 지시를 MM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예는 명령어들이 구현된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하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도 5의 흐름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EPC(evolved packet core) 내의 MME(mobility management entity)로부터 서빙 eNB(evolved Node B)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음의 동작들을 수행한다. 동작들은 블록 5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user equipment)가 MME와의 접속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을 결정하는 동작; 블록 5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가 MME와 유휴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을 결정하는 동작; 블록 53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선택된 기간 내의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UE가 EPC 내의 셀들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양을 식별하는 동작; 및 블록 54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속 상태 시간, 유휴 상태 시간, 및 선택된 기간 내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포함하는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UE의 서빙 eNB로 통신하여 서빙 eNB가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동작을 포함한다.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대한 추가 명령어들은 MME와의 S1 접속을 통해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서빙 eNB로 통신하고; UE의 핸드오버 시에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타겟 eNB로 통신하여, 타겟 eNB가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한다. UE에 대한 상태 전이들은 전술한 바와 같이 RRC 접속 상태와 RRC 유휴 상태 간의 전이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비일시적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에 대한 추가 명령어들은 UE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들 간의 시간 간격을 MME로부터 서빙 eNB로 통신하고; UE가 접속 상태에 있을 기간을 MME로부터 서빙 eNB로 통신하고 - 접속 상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접속 상태임 -; UE가 유휴 상태에 있는 기간을 MME로부터 서빙 eNB로 통신하는 것으로 포함하며, 유휴 상태는 RRC(radio resource control) 유휴 상태이다. 명령어들은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가 MME에서 수집된 통계 정보에 기초한다는 지시를 MME로부터 서빙 eNB로 통신하는 것을 더 포함한다.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6은 사용자 장비(UE), 이동국(MS), 이동 무선 장치, 이동 통신 장치, 태블릿, 핸드셋, 또는 다른 타입의 무선 장치와 같은 무선 장치의 예시를 제공한다. 무선 장치는 기지국(BS), eNB(evolved Node B), BBU(base band unit), RRH(remote radio head), RRE(remote radio equipment), RS(relay station), RE(radio equipment), 또는 다른 유형의 WWAN(wireless wide area network) 액세스 포인트와 같은 노드, 매크로 노드, 저전력 노드(LPN) 또는 송신국과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장치는 3GPP LTE, WiMAX, HSPA(High Speed Packet Access), 블루투스, 및 WiFi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무선 통신 표준을 사용하여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무선 장치는 각각의 무선 통신 표준에 대해 개별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또는 다수의 무선 통신 표준에 대해 공유 안테나들을 이용하여 통신할 수 있다. 무선 장치는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및/또는 WWAN에서 통신할 수 있다.
도 6 또한 무선 장치로부터의 오디오 입력 및 출력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마이크 및 하나 이상의 스피커의 예시를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액정 디스플레이(LCD) 스크린, 또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와 같은 다른 타입의 디스플레이 스크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스크린은 터치스크린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스크린은 용량, 저항, 또는 다른 타입의 터치 스크린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서 및 그래픽 프로세서가 내부 메모리에 결합되어, 처리 및 표시 능력을 제공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가 또한 사용자에게 입출력 옵션들을 제공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비휘발성 메모리 포트는 또한 무선 장치의 메모리 능력을 확장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키보드가 무선 장치와 통합되거나, 무선 장치에 무선 접속되어, 추가적인 사용자 입력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키보드가 또한 터치스크린을 이용하여 제공될 수 있다.
다양한 기술들 또는 그들의 소정 양태들 또는 부분들은 플로피 디스켓, CD-ROM, 하드 드라이브,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또는 임의의 다른 기계 판독 가능 저장 매체와 같은 유형적인 매체들 내에 구현되는 프로그램 코드(즉, 명령어들)의 형태를 취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코드가 컴퓨터와 같은 기계 내에 로딩되고 그에 의해 실행될 때, 기계는 다양한 기술들을 실시하기 위한 기기가 된다. 회로는, 하드웨어, 펌웨어, 프로그램 코드, 실행가능한 코드, 컴퓨터 명령어, 및/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신호를 포함하지 않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일 수 있다. 프로그래밍 가능 컴퓨터들 상에서의 프로그램 코드 실행의 경우, 컴퓨팅 장치는 프로세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판독 가능한 저장 매체, 적어도 하나의 입력 장치, 및 적어도 하나의 출력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휘발성 및 비휘발성 메모리 및/또는 저장 요소들은 RAM, EPROM, 플래시 드라이브, 광학 드라이브, 자기 하드 드라이브, 반도체 드라이브, 또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다른 매체일 수 있다. 노드 및 무선 장치는 또한 송수신기 모듈, 카운터 모듈, 처리 모듈, 및/또는 클럭 모듈 또는 타이머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다양한 기술들을 구현 또는 이용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래밍 인터페이스(API), 재사용 가능 제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그러한 프로그램들은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하기 위해 고레벨 절차 또는 객체 지향 프로그래밍 언어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프로그램(들)은 원한다면 어셈블리어 또는 기계어로 구현될 수 있다. 임의의 경우에, 언어는 컴파일링되거나 해석되는 언어일 수 있으며, 하드웨어 구현들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많은 기능 유닛들은, 그들의 구현 독립성을 보다 특별히 강조하기 위하여, 모듈들로서 라벨링되었음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모듈은 맞춤형 VLSI 회로들 또는 게이트 어레이들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회로, 로직 칩들, 트랜지스터들 또는 기타 개별 컴포넌트들과 같은 기성품 반도체로서 구현될 수 있다. 모듈은 또한 필드 프로그래머블 게이트 어레이, 프로그래머블 어레이 로직, 프로그래머블 로직 장치들 등과 같은 프로그래머블 하드웨어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일례에서,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기능 유닛들을 구현하기 위해 다수의 하드웨어 회로가 사용될 수 있다. 예로서, 제1 하드웨어 회로는 처리 동작들을 수행하는 데 사용될 수 있고, 제2 하드웨어 회로(예로서, 송수신기)는 다른 엔티티들과 통신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제1 하드웨어 회로 및 제2 하드웨어 회로는 단일 하드웨어 회로로 통합될 수 있거나, 대안으로서 제1 하드웨어 회로 및 제2 하드웨어 회로는 개별 하드웨어 회로들일 수 있다.
모듈들은 또한 다양한 유형들의 프로세서들에 의한 실행에 대해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실행가능한 코드의 식별된 모듈은 예를 들어 객체, 절차 또는 함수로서 구성될 수 있는, 컴퓨터 명령어들의 하나 이상의 물리적 또는 논리적 블록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식별된 모듈의 실행 파일들(executables)은 물리적으로 함께 위치할 필요는 없고, 논리적으로 함께 결합될 때, 모듈을 포함하며 모듈의 기술된 목적을 달성하는 상이한 위치들에 저장된 상이한 명령어들을 포함할 수 있다.
실제로, 실행가능한 코드의 모듈은 단일의 명령어 또는 복수의 명령어일 수 있으며, 심지어 여러 상이한 코드 세그먼트들에 걸쳐, 상이한 프로그램들 사이에, 그리고 여러 메모리 장치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유사하게, 동작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서 모듈들 내에서 식별되고 예시될 수 있으며, 임의의 적합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임의의 적합한 유형의 데이터 구조 내에 구성될 수 있다. 동작 데이터는 단일의 데이터 세트로서 수집될 수 있거나, 또는 상이한 저장 장치들을 포함하는 상이한 위치들에 걸쳐 분산될 수 있고, 단순히 시스템이나 네트워크 상에서 전자 신호들로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모듈들은 수동적이거나 능동적일 수 있고, 원하는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할 수 있는 에이전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 전체에 걸쳐 "예"에 대한 언급은 이 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특징, 구조 또는 특성이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 전반적으로 다양한 곳들에서 나타나는 "일 예에서"라는 문구들의 출현이 모두 반드시 동일한 실시예를 언급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복수의 항목, 구조적 요소들, 구성적 요소들, 및/또는 재료들은 편의상 공통 리스트 내에 제시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리스트는 마치 리스트의 각 멤버가 별개의 고유한 멤버로서 개별적으로 식별되는 것처럼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그러한 리스트의 어떤 개별적 멤버도, 반대의 표시 없이 이들이 공통 그룹에 제시되었다는 것에만 기초하여, 동일한 리스트의 임의의 다른 멤버와 실질적으로 동등하다고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및 예는 본 명세서에서 그것의 다양한 컴포넌트들에 대한 대안과 함께 지칭될 수 있다. 그러한 실시예들, 예들 및 대안들은 서로의 사실상의 등가물들로서 해석될 게 아니라, 본 발명의 개별적이고 자율적인 표현들로서 간주되어야 한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한, 설명되는 특정 특징들, 구조들 또는 특성들은 하나 이상의 실시예들에서 임의의 적합한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다음의 설명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레이아웃들, 거리들, 네트워크 예들 등과 같은 다수의 특정 상세가 제공된다. 그러나, 관련 분야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하나 이상의 특정 상세 없이 또는 다른 방법, 컴포넌트, 레이아웃 등을 이용하여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할 것이다. 다른 예들에서, 본 발명의 양태들을 불명확하게 하지 않기 위해 공지 구조들, 재료들 또는 동작들은 상세히 도시 또는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한 예들은 하나 이상의 특정 응용에서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하지만, 본 발명의 원리들 및 개념들로부터 벗어나지 않으면서 그리고 본 발명의 능력의 연습 없이 구현의 상세, 이용, 및 형태에 있어서 복수의 변형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은 본 기술분야의 숙련된 자에게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아래에 제시되는 청구항들에 의한 것을 제외하고는 본 발명은 제한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Claims (22)

  1.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제공하도록 동작가능한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의 장치로서,
    상기 MME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결정하고 -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평균 접속 상태 시간, 상기 UE에 대한 평균 유휴 상태 시간, 또는 선택된 기간 내의 상기 UE에 대해 발생하는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상기 UE에 대한 상기 평균 접속 상태 시간을 결정하고;
    상기 UE에 대한 상기 평균 유휴 상태 시간을 결정하고;
    선택된 기간 내의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UE가 상기 MME에 대해 EPC(Evolved Packet Core)와 관련된 셀들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양을 식별하고;
    상기 평균 접속 상태 시간, 상기 평균 유휴 상태 시간, 또는 상기 선택된 기간 내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에 포함시키고;
    상기 MME로부터 상기 UE의 eNodeB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구성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MME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MME와의 S1 접속을 통해 상기 eNodeB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인코딩하도록 더 구성되는, MME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UE의 핸드오버 시에 타겟 eNodeB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타겟 eNodeB가 상기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MME의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들 간의 시간 간격을 상기 MME로부터 상기 eNodeB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MME의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접속 상태에 있는 기간을 상기 MME로부터 상기 eNodeB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MME의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상기 유휴 상태에 있는 기간을 상기 MME로부터 상기 eNodeB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MME의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가 상기 MME에서 수집된 통계 정보에 기초한다는 지시를 상기 MME로부터 상기 eNodeB로 통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MME의 장치.
  9.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수신하도록 동작가능한 eNodeB의 장치로서,
    상기 eNodeB의 진화 패킷 시스템(EPS) 내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디코딩하고 -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는 상기 UE가 상기 MME와 접속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 상기 UE가 상기 MME와 유휴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 및 선택된 기간 내에 상기 UE에 대해 발생하는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포함함 -;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에 대한 선택된 파라미터들을 조정하여 상기 UE의 상태 전이들 및 네트워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도록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MME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메모리
    를 포함하는, eNodeB의 장치.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E의 핸드오버 시에 X2 접속을 통해 상기 eNodeB로부터 타겟 eNodeB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타겟 eNodeB가 상기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더 구성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eNodeB의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E에 대한 핸드오버 절차들 간의 시간 간격을 상기 MM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eNodeB의 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접속 상태에 있는 기간을 상기 MM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접속 상태는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 상태인, eNodeB의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유휴 상태에 있는 기간을 상기 MM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휴 상태는 무선 자원 제어(RRC) 유휴 상태인, eNodeB의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가 상기 MME에서 수집된 통계 정보에 기초한다는 지시를 상기 MME로부터 수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수신기를 더 포함하는, eNodeB의 장치.
  16.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구현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MME로 하여금,
    상기 MME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결정하는 것 -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는,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평균 접속 상태 시간, 상기 UE에 대한 평균 유휴 상태 시간, 또는 선택된 기간 내의 상기 MME에 대한 EPC와 연관된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함 -;
    상기 UE에 대한 상기 평균 접속 상태 시간을 결정하는 것;
    상기 UE에 대한 상기 평균 유휴 상태 시간을 결정하는 것;
    상기 선택된 기간 내의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UE가 상기 MME에 대해 상기 EPC와 관련된 셀들에서 소비하는 시간의 양을 식별하는 것;
    상기 평균 접속 상태 시간, 상기 평균 유휴 상태 시간, 또는 상기 선택된 기간 내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 중 하나 이상을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에 포함시키는 것; 및
    상기 MME로부터 상기 UE의 eNodeB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
    을 수행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삭제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MME로 하여금, 상기 MME와의 S1 접속을 통해 상기 eNodeB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인코딩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MME로 하여금, 상기 UE의 핸드오버 시에 타겟 eNodeB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타겟 eNodeB가 상기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사용자 장비(UE)에 대한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구현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eNodeB로 하여금,
    상기 eNodeB에서, 상기 eNodeB의 진화 패킷 시스템(EPS) 내의 이동성 관리 엔티티(MME)로부터 수신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디코딩하는 것 -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는, 상기 UE가 상기 MME와 접속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 상기 UE가 상기 MME와 유휴 상태에 있는 평균 시간, 및 선택된 기간 내의 상기 UE에 대해 발생하는 셀들 간의 핸드오버 절차들의 수를 포함함 -; 및
    상기 eNodeB에서,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UE에 대하여 선택된 파라미터들을 조정하여, 상기 UE의 상태 전이들과 네트워크 시그널링 오버헤드를 줄이는 것
    을 수행하게 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
  21. 삭제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상기 eNodeB로 하여금, 상기 UE의 핸드오버 시에 X2 접속을 통해 상기 eNodeB로부터 타겟 eNodeB로의 전송을 위해 상기 코어 네트워크 지원 정보를 인코딩하여, 상기 타겟 eNodeB가 상기 UE에 대한 UE 상태 전이들을 줄이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수행하게 하는 명령어들을 더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 가능 저장 매체.
KR1020177033495A 2014-01-31 2015-01-30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 KR10194187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1933877P 2014-01-31 2014-01-31
US61/933,877 2014-01-31
US14/582,373 2014-12-24
US14/582,373 US9681342B2 (en) 2014-01-31 2014-12-24 Assistance information for evolved node B (eNB) parameter tuning
PCT/US2015/013839 WO2015116966A1 (en) 2014-01-31 2015-01-30 ASSISTANCE INFORMATION FOR EVOLVED NODE B (eNB) PARAMETER TUNING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658A Division KR101801196B1 (ko) 2014-01-31 2015-01-30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631A KR20170130631A (ko) 2017-11-28
KR101941875B1 true KR101941875B1 (ko) 2019-01-25

Family

ID=53757768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3495A KR101941875B1 (ko) 2014-01-31 2015-01-30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
KR1020167014658A KR101801196B1 (ko) 2014-01-31 2015-01-30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4658A KR101801196B1 (ko) 2014-01-31 2015-01-30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2) US9681342B2 (ko)
EP (1) EP3100480B1 (ko)
JP (1) JP6325114B2 (ko)
KR (2) KR101941875B1 (ko)
CN (1) CN105850164B (ko)
TW (3) TWI646849B (ko)
WO (1) WO20151169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122500B2 (en) * 2015-08-26 2018-11-06 Apple Inc. Efficient sparse network resource usage and connection release
EP3386265B1 (en) * 2015-12-04 2021-07-21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ue i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10917786B2 (en) 2016-08-11 2021-02-09 Samsung Electronics Co., Ltd. Low power RRC operating method and device
EP3975636B1 (en) 2016-09-21 2024-03-20 Kyocera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radio terminal
KR20180060282A (ko) * 2016-11-28 2018-06-07 삼성전자주식회사 송신 전력 조절 방법 및 장치
CN110622564B (zh) * 2016-12-21 2021-10-01 鸿颖创新有限公司 无线通信系统的状态转移方法
CN110463252B (zh) * 2017-03-13 2022-12-13 Lg电子株式会社 接收报告的方法、网络设备、执行报告的方法和基站
JP6712560B2 (ja) * 2017-03-17 2020-06-24 Kddi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9000186A1 (en) * 2017-06-26 2019-01-03 Nokia Technologies Oy OPTIMIZATION FOR NON-MOBILE USER EQUIPMENT
WO2020041566A1 (en) * 2018-08-23 2020-02-27 John Mezzalingua Associates, LLC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and managing private subnetworks of lte base stations
CN112825584B (zh) * 2019-11-20 2022-06-14 上海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空闲态终端设备检测方法以及相关设备
CN111642032B (zh) * 2020-05-19 2023-06-27 广东小天才科技有限公司 一种配置rrc状态的方法及网络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816A1 (en) * 2012-07-03 2014-01-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minimisation of drive testing reports to operational mode of user equipment using assistanc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1610494B (zh) * 2008-06-16 2013-04-24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过载控制或差异化服务的方法、系统及设备
WO2011038359A2 (en) 2009-09-26 2011-03-31 Cisco Technology, Inc. Providing services at a communication network edge
EP3157288B1 (en) * 2009-12-15 2022-06-08 Wireless Future Technologies Inc. Method, apparatus and relate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ciding on a signaling scheme for handover
WO2011141154A1 (en) 2010-05-11 2011-11-17 Nec Europe Ltd. Method for handling failure of a mme in a lte/epc network
US8903420B2 (en) * 2011-10-03 2014-12-02 Mediatek Inc. Location for minimization of drive test in LTE systems
US9026156B2 (en) * 2011-11-07 2015-05-05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providing in-device co-existence signaling
WO2013072556A1 (en) * 2011-11-15 2013-05-23 Nokia Corporation Radio usage optimization with intermittent traffic
WO2013144613A1 (en) 2012-03-27 2013-10-03 Research In Motion Limited eNB STORING RRC CONFIGURATION INFORMATION AT ANOTHER NETWORK COMPONENT
CN102665245B (zh) * 2012-04-19 2016-03-30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减少切换信令的方法和设备
US9497674B2 (en) * 2012-04-20 2016-11-15 Nokia Technologies Oy UE reporting of mobility information useful for optimizing UE parameter settings
JP6201993B2 (ja) * 2012-07-06 2017-09-27 日本電気株式会社 タイマの満了期間の決定方法、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プログラム
US20150282009A1 (en) * 2012-10-04 2015-10-01 Nec Corporation Radio access network apparatus, core network apparatus, mobile terminal, methods performed therein, and computer readable medium
WO2014084675A1 (ko) * 2012-11-29 2014-06-05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에 의해 수행되는 단말 상태 정보 보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3974389B (zh) * 2013-02-01 2018-04-06 株式会社日立制作所 蜂窝网络中的基站和基站的休眠控制方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4007816A1 (en) * 2012-07-03 2014-01-09 Nokia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ng minimisation of drive testing reports to operational mode of user equipment using assistance information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3GPP SAWG2 Meeting #99, S2-133206, 2013.0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801196B1 (ko) 2017-11-24
US10257754B2 (en) 2019-04-09
US20170257804A1 (en) 2017-09-07
TW201813426A (zh) 2018-04-01
US20150237547A1 (en) 2015-08-20
TW201717670A (zh) 2017-05-16
TWI619396B (zh) 2018-03-21
CN105850164A (zh) 2016-08-10
CN105850164B (zh) 2019-11-19
EP3100480A4 (en) 2017-09-13
JP2017505042A (ja) 2017-02-09
TW201543917A (zh) 2015-11-16
EP3100480A1 (en) 2016-12-07
JP6325114B2 (ja) 2018-05-16
TWI577201B (zh) 2017-04-01
KR20160081959A (ko) 2016-07-08
WO2015116966A1 (en) 2015-08-06
US9681342B2 (en) 2017-06-13
KR20170130631A (ko) 2017-11-28
TWI646849B (zh) 2019-01-01
EP3100480B1 (en) 2020-1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875B1 (ko) 진화 노드 B(eNB) 파라미터 튜닝을 위한 지원 정보
KR101593358B1 (ko)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강화된 사용자 장비 보조 정보를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129830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enhanced user equipment assistance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s
US10164693B2 (en) Reduction of buffer overflow
EP2742621B1 (en) Reduced signaling overhead during radio resource control (rrc) state transitions
US8428589B2 (en) Method for reducing signalling
US11178635B2 (en) Communication system
WO2022052062A1 (zh) Drx分组唤醒方法及装置、通信设备及存储介质
GB2541009A (en) Power saving for cellular internet of things device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