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1537B1 -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 - Google Patents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1537B1
KR101941537B1 KR1020180051615A KR20180051615A KR101941537B1 KR 101941537 B1 KR101941537 B1 KR 101941537B1 KR 1020180051615 A KR1020180051615 A KR 1020180051615A KR 20180051615 A KR20180051615 A KR 20180051615A KR 101941537 B1 KR101941537 B1 KR 10194153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air
closing
shaft
shaft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16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볼루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볼루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볼루트
Priority to KR10201800516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153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153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153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0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sealing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10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 F24F13/14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 F24F13/1426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 F24F2013/1433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movable, e.g. dampers built up of tilting members, e.g. louvre characterised by actuating means with electric mo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ir-Flow Control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는 실내외로 급배기 되는 공기(바람)의 흐름 방향을 어느 일측(욕실, 거실, 주방, 각 방 등)으로 집중하여 공급하거나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정 실내 공간을 경유하지 않고 공기의 급배기를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서로 반대되는 개폐 형태(열림 또는 닫힘)로 구분된 두 개의 개폐용 원판이 하나의 모터와 브릿지형 연결링크로 인해 각각 연동되면서 동시 개폐(한 쪽이 열리면 다른 한 쪽이 닫히도록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바, 이러한 유로(기류) 전환구조는 급배기 공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하거나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세대 내 환기 효율이 월등히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Two-way damper with function of adjustable way}
본 발명은 실내외로 급배기 되는 공기(바람)의 흐름 방향을 어느 일측(욕실, 거실, 주방, 각 방 등)으로 집중하여 공급하거나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정 실내 공간을 경유하지 않고 공기의 급배기를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서로 반대되는 개폐 형태(열림 또는 닫힘)로 구분된 두 개의 개폐용 원판이 하나의 모터와 브릿지형 연결링크로 인해 각각 연동되면서 동시 개폐(한 쪽이 열리면 다른 한 쪽이 닫히도록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바, 이러한 유로(기류) 전환구조는 급배기 공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하거나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세대 내 환기 효율이 월등히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댐퍼는 기체나 액체 또는 분말 물질이 통과할 수 있도록 유로를 개방하거나, 또는 차단하는 기구이다.
통상적으로 한 방향 흐름을 제어할 때에는 판 형상의 블레이드를 회전시켜 블레이드가 유로를 가로막도록 하거나 유체가 흐르는 방향과 나란하게 위치시켜 유로를 개방하는 방식을 이용한다.
그러나 3방향 이상의 유로가 만나는 지점에서 유로의 개폐를 제어할 때에는 조금 더 복잡한 방식이 적용된다.
도 6는 종래의 분기 유로에 대한 개폐를 위해 댐퍼가 적용된 분기덕트(10)의 예시를 나타낸 것이다.
즉, 유로C(13)에서 떨어지는 물질이 유로A(11) 또는 유로B(12)로 선택적으로 유입될 수 있도록 블레이드(14)를 모터(15)로 제어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도 6에 도시된 방식에서는 유로C(13)와 유로A(11)를 연결시키거나, 또는 유로C(13)와 유로B(12)를 연결시키는 것은 가능하지만, 유로A(11), 유로B(12) 및 유로C(13)의 연결을 모두 막아주는 것은 불가능하다.
도 7은 다른 형태의 댐퍼가 적용된 분기덕트(20)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분기덕트(20)의 작동을 설명하면, 유로A(21) 측에 제1블레이드(24)가 설치되어 있고, 유로B(22) 측에 제2블레이드(25)가 설치되어 있어서, 제1블레이드(24)를 개방하면 유로A(21)과 유로C(23)가 연결되고, 제2블레이드(25)를 개방하면 유로B(22)와 유로C(23)가 연결되며, 블레이드 모두(24,25)를 개방하거나 닫으면 전체 유로의 연결과 차단이 모두 가능하다.
그러나, 이러한 도 7에 도시된 예시에서는 제1블레이드(24)와 제2블레이드(25)에 별도의 모터(미도시)를 연동시켜 개별적으로 제어해야 하기 때문에 구성이 복잡하다는 단점이 있다.
1.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0785896호(2007.12.07. 등록)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기술적 요지는 서로 반대되는 개폐 형태(열림 또는 닫힘)로 구분된 두 개의 개폐용 원판이 하나의 모터와 브릿지형 연결링크로 인해 각각 연동되면서 동시 개폐(한 쪽이 열리면 다른 한 쪽이 닫히도록 형성)되도록 형성됨으로써, 실내외로 급배기 되는 공기(바람)의 흐름 방향을 어느 일측(욕실, 거실, 주방, 각 방 등)으로 집중하여 공급하거나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정 실내 공간을 경유하지 않고 공기의 급배기를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즉, 본 발명은 이러한 유로(기류) 전환구조로 인해 급배기 공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하거나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세대 내 환기 효율이 월등히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두 개의 개폐용 원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모터 수량을 1/2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바, 이는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부가적인 부속이나 제어선 등의 절감으로 인해 생산성과 작업성 및 제조성이 크게 개선되는 것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메인관(110)에 복수의 분배관(120)이 일체로 형성된 Y자형 관 본체(100)와; 상기 분배관(120)의 내측에는 개폐용 원판(210)이 힌지축(220,220-1)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되, 상기 개폐용 원판(210)은 복수의 분배관(120) 내에 각각 장착시 하나는 열림 상태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닫힘 상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폐용 원판(210)에 대응되는 힌지축 중 어느 하나의 힌지축(220-1) 일단에는 모터(230)의 구동축이 축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230)의 위치와 대향되는 반대측 힌지축(220,200-1)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링크(240)가 결합되어 모터(230)의 축회전시 하나의 힌지축(220-1)이 회동하면 타측 힌지축(220)이 연동 회전하면서 두 개의 개폐용 원판(210)을 각각 반대로 닫힘 및 열림 상태로 개폐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조절구(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다.
이에, 상기 개폐용 원판(210)은 외주면에 기밀용 가스켓(25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메인관(110) 또는 분배관(120) 내주연과 밀착되면서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 본체의 메인관(110) 및 분배관(120)은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오발덕트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실내외로 급배기 되는 공기(바람)의 흐름 방향을 어느 일측(욕실, 거실, 주방, 각 방 등)으로 집중하여 공급하거나 배기시킬 수 있도록 함은 물론 특정 실내 공간을 경유하지 않고 공기의 급배기를 바이패스 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이는 서로 반대되는 개폐 형태(열림 또는 닫힘)로 구분된 두 개의 개폐용 원판이 하나의 모터와 브릿지형 연결링크로 인해 각각 연동되면서 동시 개폐(한 쪽이 열리면 다른 한 쪽이 닫히도록 형성)되도록 형성되는 바, 이러한 유로(기류) 전환구조는 급배기 공간을 신속하고 정확하게 선택하거나 구획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세대 내 환기 효율이 월등히 개선되도록 형성되고, 이에 에너지 손실을 절감하여 경제성이 크게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로 두 개의 개폐용 원판을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모터 수량을 1/2로 감소시킬 수 있는 바, 이는 제조원가가 절감되고 부가적인 부속이나 제어선 등의 절감으로 인해 생산성과 작업성 및 제조성이 크게 개선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댐퍼의 일 예시(원형 단면)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요부 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개폐 조절구의 사용 상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투웨이 댐퍼의 다른 예시(오발덕트형 단면) 사시도,
도 5는 도 4의 요부 투시도,
도 6 내지 도 7은 종래의 공기방향 전환 댐퍼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다음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겠다.
먼저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Y자형 관 본체(100)와 개폐 조절구(200)로 크게 구성된다.
이에, 상기 Y자형 관 본체(100)는 메인관(110)에 복수의 분배관(120)이 일체로 형성된다.
이때, 상기 관 본체는 금속재 또는 합성수지재 중 어느 하나의 소재로 가공 가능하고, 분배관의 일측에는 후술되는 개폐 조절구의 힌지축이 관통될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된다.
또한, 상기 메인관(110)과 분배관(120)의 개구부측 외주면 또는 단부에는 환기용 덕트 또는 전열교환기와의 연결을 위해 조립되는 연결관 또는 조인트 슬리브와 결합될 수 있도록 단턱이 형성될 수도 있고, 직경이 다소 확장되어 끼움식 삽입통이 더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관 본체의 메인관(110) 및 분배관(120)은 단면 형상이 원형 또는 오발덕트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도 1 내지 도 3은 단면 형상이 원형인 것을 도시한 것이고, 도 4 내지 도 5는 단면 형상이 오발덕트 형상인 것을 도시한 것이다.
한편, 상기 개폐 조절구(200)는 상기 분배관(120)의 내측에는 개폐용 원판(210)이 힌지축(220,220-1)에 의해 회동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개폐용 원판(210)은 복수의 분배관(120) 내에 각각 장착시 하나는 열림 상태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닫힘 상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개폐용 원판(210)에 대응되는 힌지축 중 어느 하나의 힌지축(220-1) 일단에는 모터(230)의 구동축이 축결합되도록 형성된다.
이때, 상기 모터(230)의 위치와 대향되는 반대측 힌지축(220,200-1)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링크(240)가 결합되어 모터(230)의 축회전시 하나의 힌지축(220-1)이 회동하면 타측 힌지축(220)이 연동 회전하면서 두 개의 개폐용 원판(210)을 각각 반대로 닫힘 및 열림 상태로 개폐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된다.
또한, 상기 연결링크(240)는 각각의 힌지축들 단부로부터 분기된 회동축(241)의 사이에 하나의 연동축(242)이 힌지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모터에 의한 일측 힌지축이 회전하면 회동축의 선회에 따라 연동축이 일방향 이동되면서 타측 힌지축의 회전시키는 바, 이는 결국 하나의 모터로 두 개의 개폐용 원판을 각각 닫힘(또는 열림) 동작시키거나 열림(또는 닫힘) 동작시키도록 형성된다.
이에, 상기 개폐용 원판(210)은 외주면에 기밀용 가스켓(25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메인관(110) 또는 분배관(120) 내주연과 밀착되면서 개폐되도록 형성된다.
즉, 상기 기밀용 가스켓은 개폐용 원판에 대하여 일단부가 절개된 링 타입의 패킹이 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마찰에 의한 훼손 또는 손상이 쉽게 교환 교체가 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그와 같은 변경은 청구범위 기재의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 관 본체 110 ... 메인관
120 ... 분배관
200 ... 개폐 조절구 210 ... 개폐용 원판
220, 220-1 ... 힌지축 230 ... 모터
240 ... 연결링크 250 ... 기밀용 가스켓

Claims (3)

  1. 메인관(110)에 복수의 분배관(120)이 일체로 형성된 Y자형 관 본체(100)와; 상기 분배관(120)의 내측에는 개폐용 원판(210)이 힌지축(220,220-1)에 의해 회동되도록 하되, 상기 개폐용 원판(210)은 복수의 분배관(120) 내에 각각 장착시 하나는 열림 상태로 배치되고, 다른 하나는 닫힘 상태로 배치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개폐용 원판(210)에 대응되는 힌지축 중 어느 하나의 힌지축(220-1) 일단에는 모터(230)의 구동축이 축결합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모터(230)의 위치와 대향되는 반대측 힌지축(220,200-1)에는 서로를 연결하는 연결링크(240)가 결합되어 모터(230)의 축회전시 하나의 힌지축(220-1)이 회동하면 타측 힌지축(220)이 연동 회전하면서 두 개의 개폐용 원판(210)을 각각 반대로 닫힘 및 열림 상태로 개폐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개폐 조절구(200)가; 구성되어 이루어진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원판(210)은 외주면에 기밀용 가스켓(250)이 결합되도록 형성되어 메인관(110) 또는 분배관(120) 내주연과 밀착되면서 개폐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관 본체의 메인관(110) 및 분배관(120)은 단면 형상이 오발덕트로 형성되며, 상기 연결링크(240)는 각각의 힌지축(220,220-1)들 단부로부터 분기된 회동축(241)의 사이에 하나의 연동축(242)이 힌지 결합되도록 형성되고, 모터에 의한 일측 힌지축(220-1)이 회전하면 회동축(241)의 선회에 따라 연동축(242)이 일방향 이동되면서 타측 힌지축(220)의 회전시키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
  2. 삭제
  3. 삭제
KR1020180051615A 2018-05-04 2018-05-04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 KR10194153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15A KR101941537B1 (ko) 2018-05-04 2018-05-04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1615A KR101941537B1 (ko) 2018-05-04 2018-05-04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1537B1 true KR101941537B1 (ko) 2019-01-23

Family

ID=652800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1615A KR101941537B1 (ko) 2018-05-04 2018-05-04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1537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961B1 (ko) * 2021-04-26 2022-04-04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3방향 에어 실링 댐퍼
KR102425097B1 (ko) 2021-06-25 2022-07-27 (주)정민 투웨이 댐퍼
KR20220116973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티에스넥스젠 선박용 듀얼 댐퍼의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89111B1 (ko) * 2021-10-07 2023-01-13 이원길 이동식 후드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40A (ja) * 1995-06-16 1997-01-07 Tomoe Gijutsu Kenkyusho:Kk 三方口バタフライ弁
JP2003148639A (ja) * 2001-11-16 2003-05-21 Nikkiso Co Ltd 三方切替弁ユニット
KR200353379Y1 (ko) * 2004-03-31 2004-06-16 동해기연(주) 기밀성이 뛰어난 공조용 댐퍼
KR100785896B1 (ko) 2006-09-25 2007-12-17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댐퍼가 설치된 분기닥트
KR101444193B1 (ko) * 2014-03-05 2014-09-26 주식회사 디에이치콘트롤스 3방향 제어 밸브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4740A (ja) * 1995-06-16 1997-01-07 Tomoe Gijutsu Kenkyusho:Kk 三方口バタフライ弁
JP2003148639A (ja) * 2001-11-16 2003-05-21 Nikkiso Co Ltd 三方切替弁ユニット
KR200353379Y1 (ko) * 2004-03-31 2004-06-16 동해기연(주) 기밀성이 뛰어난 공조용 댐퍼
KR100785896B1 (ko) 2006-09-25 2007-12-17 주식회사 프럼파스트 댐퍼가 설치된 분기닥트
KR101444193B1 (ko) * 2014-03-05 2014-09-26 주식회사 디에이치콘트롤스 3방향 제어 밸브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6973A (ko) * 2021-02-16 2022-08-23 주식회사 티에스넥스젠 선박용 듀얼 댐퍼의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443845B1 (ko) 2021-02-16 2022-09-16 (주) 티에스넥스젠 선박용 듀얼 댐퍼의 안전 제어 시스템 및 방법
KR102381961B1 (ko) * 2021-04-26 2022-04-04 겟에스씨알 주식회사 3방향 에어 실링 댐퍼
KR102425097B1 (ko) 2021-06-25 2022-07-27 (주)정민 투웨이 댐퍼
KR102489111B1 (ko) * 2021-10-07 2023-01-13 이원길 이동식 후드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41537B1 (ko) 공기방향 전환 기능을 갖는 투웨이 댐퍼
KR101634168B1 (ko) 선택형 댐퍼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바이패스 공조시스템
US5095942A (en) Plastic self-insulating ductwork system
JP3254324B2 (ja) 4方向流路切替装置
JP5289564B2 (ja) ガスタービンの燃料系統の多管路切換弁
RU2008134149A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утилизации тепла
KR101444193B1 (ko) 3방향 제어 밸브
KR101595073B1 (ko) 전열 교환기
US20110076934A1 (en) Ventilation Device with Alternating Airflows
CA2930376C (en) A valve for an indoor temperature regulating system and an air temperature conditioning unit comprising such valve
CN106016912A (zh) 一种风门机构组件以及冰箱
CN110206916B (zh) 一种八通阀
JPH08121622A (ja) 三方ダンパ
KR20180049595A (ko) 회전축에 수밀구조를 갖춘 버터플라이 밸브 조립체
JP6670784B2 (ja) 分岐チャンバー及び建物の換気システム
JPH03241256A (ja) 自然開閉換気口装置
DK168773B1 (da) Ventilationsanlæg med pladevarmeveksler af krydsstrømstypen
JPH0566046A (ja) 分岐チヤンバー
JPH0213833Y2 (ko)
JPH02256974A (ja) 多口遮断弁
JP7097106B1 (ja) 水栓用多方分岐カプラ
EP4283209A1 (en) Air duct with variable geometry holes and related pipeline
JPS60132177A (ja) コントロ−ル弁
JP2013076501A (ja) 空気調和機
CN205423957U (zh) 一种分调式三通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