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951B1 - Apparatus for grinding top portion of strip - Google Patents

Apparatus for grinding top portion of strip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951B1
KR101940951B1 KR1020180021162A KR20180021162A KR101940951B1 KR 101940951 B1 KR101940951 B1 KR 101940951B1 KR 1020180021162 A KR1020180021162 A KR 1020180021162A KR 20180021162 A KR20180021162 A KR 20180021162A KR 101940951 B1 KR101940951 B1 KR 10194095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inding
strip
slider
roll
mo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2116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진용희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1800211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951B1/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95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951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9/00Machines or devices designed for grinding edges or bevels on work or for removing burrs; Accessor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47/00Winding-up, coiling or winding-off metal wire, metal band or other flexible metal material characterised by features relevant to metal processing only
    • B21C47/26Special arrangements with regard to simultaneous or subsequent treatment of the material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vice for grinding a tip part of a strip, comprising: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which support a strip; a first grinding part for grinding one surface of a tip part of the strip protruding between the upper clamp and the lower clamp in an inclined means; and a second grinding part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grinding part and rounding an inclined tip of the strip. An end mark defect caused by the tip part of the strip is able to be suppressed when the strip is wound in a form of a coil, thereby improving quality by preventing defects of a product.

Description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APPARATUS FOR GRINDING TOP PORTION OF STRIP}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brasive strip 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은 코일 형태로 스트립을 권취할 때 단차에 의해 발생하는 엔드마크(End Mark) 결함을 방지하기 위한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에 관한 것이다.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0001]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for preventing an end mark defect caused by a step when a strip is wound in a coil form.

일반적으로, 압연을 통해 가공된 강판과 같은 스트립(Strip)은 텐션릴(Tension Reel)에 의해 코일 형태로 권취되어 보관 및 운송된다.Generally, a strip such as a steel sheet processed through rolling is wound and stored in a coil form by a tension reel.

그러나 텐션릴을 이용하여 스트립을 감을 때 스트립의 선단부가 탄성력에 의해 외측으로 돌출되려고 하는데, 이때 스트립의 선단부를 누르면서 그 상부에 스트립을 계속 권취하게 되면 이 스트립의 선단부에 의해 단차가 형성되고, 이로 인해 스트립과 텐션릴의 러버 슬리브(Rubber Sleeve) 사이에 단차공간(Gap)이 형성되며, 이러한 단차공간 및 스트립의 두께에 의해 권취되는 스트립의 선단부에서 꺾임에 의한 엔드마크가 발생하게 된다.However, when the strip is wound by using the tension reel,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tends to protrude outward due to the elastic force. At this time, when the strip is continuously wound on the upper portion of the strip while pressing the tip thereof, a step is formed by the tip of the strip, A step space is formed between the strip and the rubber sleeve of the tension reel. The step space and the thickness of the strip cause an end mark due to bending at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to be wound.

이와 같이 권취된 스트립에 엔드마크가 생성되면 엔드마크 주변의 스트립이 소성 변형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소성 변형된 스트립은 다른 기계장치를 제작할 때에 사용할 수 없으며, 억지로 사용하고자 하는 경우에도 소성 변형이 일어난 부분을 펴거나 재가공하여 사용하여야 하기 때문에 재료의 손실과 재가공 비용이 증가하는 문제가 있다.When an end mark is formed on the wound strip, the strip around the end mark is subjected to plastic deformation. Such a plastic deformed strip can not be used for manufacturing other mechanical devices, and even when it is intended to be used, There is a problem that the loss of material and the cost of reprocessing are increased.

이에 따라 제조업체에서는 엔드마크의 형성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의 개발에 상당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데, 그 하나의 예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0685035호에서 제안하고 있는 '엔드마크 발생이 방지되는 러버 슬리브' 등을 들 수 있다. 이 기술은 러버 슬리브에 단차진 직선형 스트립 인입부를 형성하고, 스트립의 선단부를 절곡시켜 이 스트립 인입부에 안착되도록 함으로써, 그 위로 권취되는 스트립의 꺾임이 완화되어 엔드마크의 생성이 방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As a result, manufacturers have made considerable efforts to develop a technique for preventing the formation of end marks. One example of such a technique is a rubber sleeve, which is prop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0685035, . This technique is to form a stepped linear stripline inlet in the rubber sleeve and to bend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to be seated in the strip inlet so that the bending of the strip wound thereon is relaxed to prevent the creation of end marks.

하지만, 이러한 방법은 스트립 인입부에 스트립의 선단부를 안착시키기 위해 스트립의 선단부를 인위적으로 절곡시켜야 하는 문제점이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화 설비의 한계로 인해 스트립 인입부에 스트립의 선단부를 일치시키기가 용이하지 않고, 스트립의 두께에 따라 스트립 인입부가 형성된 러버 슬리브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으며, 스트립의 선단부와 그 위에 권취되는 스트립 사이에 여전히 공간이 형성되기 때문에 엔드마크의 형성을 근본적으로 방지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However, this method has a problem that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must be artificially bent in order to place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in the strip receiving portion, and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is easily aligned with the strip receiving portion due to the limitation of the automatic equipment It is troublesome to replace the rubber sleeve provided with the strip inlet portion according to the thickness of the strip and there is still a limit to the prevention of the formation of the end mark because the space is still formed between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and the strip wound thereon .

이에 본 발명은, 강판과 같은 스트립을 코일 형태로 권취할 때 스트립의 선단부에 의해 발생하는 엔드마크 결함을 방지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텐션릴의 초기 권취를 보조하는 벨트 래퍼(Belt Wrapper)가 스트립의 선단부에 의해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를 제공하는 데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Accordingly,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elt retractor capable of preventing an end mark defect caused by a leading end portion of a strip when a strip such as a steel sheet is wound in the form of a coil, Which is capable of preventing breakage by a tip end portion of a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는, 스트립을 눌러 지지하는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 사이로 돌출한 상기 스트립의 선단부의 편면을 경사형으로 연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삭부; 상기 제1연삭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의 경사진 첨단을 라운드지게 연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삭부; 및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제1연삭부와 상기 제2연삭부를 수용하는 무빙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하우징은, 일단이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베어링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하는 너트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스크류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 상에 상기 제1연삭부와 상기 제2연삭부가 인접하게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including: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for pressing and holding a strip; At least one first grinding portion for grinding the one surface of the tip portion of the strip protruding between the upper clamp and the lower clamp in an inclined manner; At least one second grind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grinding portion and rounding the sloped edge of the strip; And a moving housing mov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strip and receiving the first gr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wherein the moving housing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ing motor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first bearing A screw shaft rotatably supported by the driving motor, a nut portion coupled to the screw shaft to move along the screw shaft, and at least one guide disposed parallel to the screw shaft and installed through the slider, Wherein the first gr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lid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과 같은 스트립을 코일 형태로 권취할 때 스트립의 선단부에 의해 발생하는 엔드마크 결함을 억제하여 제품의 결함 방지를 통한 품질 향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trip such as a steel strip is wound in the form of a coil, it is possible to suppress the defects of the end mark caused by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thereby providing an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by preventing defects of the produc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텐션릴의 초기 권취를 보조하는 벨트 래퍼가 스트립의 선단부에 의해 파손되지 않아 설비의 장애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belt wrapper assisting the initial winding of the tension reel is not damaged by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so that it is possible to obtain an additional effect of preventing the equipment failure and shortening the life spa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도면들이다.
1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plan view of Fig.
3 to 6 are views showing an operating state of the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이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BRIEF DESCRIPTION OF THE DRAWINGS FIG. It should be noted that, i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the constituent elements of the drawings, the same constituent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FIG. 1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2 is a plan view of FIG.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는, 스트립(1)을 눌러 지지하는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 사이로 돌출한 스트립의 선단부의 편면을 경사형으로 연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삭부(30); 및 이 제1연삭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스트립의 경사진 첨단을 라운드지게 연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삭부(40)를 포함하고 있다. As shown in these drawings, a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clamp 11 and a lower clamp 12 for pressing and supporting a strip 1; At least one first grinding portion (30) for grinding the one surface of the tip portion of the strip protruding between the upper clamp and the lower clamp in an inclined manner; And at least one second grinding portion (40)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grinding portion and rounding the slanted tip of the strip.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 중 적어도 하나는 예컨대 유체압 실린더와 같은 가압수단(13)에 의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도면들에는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의 각각에 개별적으로 가압수단(13)이 연결되어, 상부 클램프는 하강하고 하부 클램프는 상승되게 함으로써,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가 스트립(1)을 상하로 가압하여 고정시킬 수 있는 예가 도시되어 있다. At least one of the upper clamp 11 and the lower clamp 12 can be moved up and down by a pressing means 13 such as a fluid pressure cylinder. In the figures, the pressing means 13 are connected individually to the upper clamp 11 and the lower clamp 12 so that the upper clamp is lowered and the lower clamp is raised so that the upper clamp and the lower clamp are connected to the strip 1, Are vertically press-fitted and fixed.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의 상류측에는 스트립(1)을 이송하는 롤러테이블(2; 도 3 및 도 4 참조)이 배치될 수 있으며, 이 롤러테이블의 반대측, 즉 하류측에는 슬라이딩테이블(3; 도 3 및 도 4 참조)이 위치될 수 있다. On the upstream side of the upper clamp 11 and the lower clamp 12, a roller table 2 (see Figs. 3 and 4) for feeding the strip 1 can be arranged. On the opposite side of this roller table, (See Figures 3 and 4).

또한, 하부 클램프(12) 혹은 해당 가압수단(13)은,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Further, the lower clamp 12 or the pressing means 13 may be provided on a base (not shown).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는,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의 하류측에, 스트립(1)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이동 가능하면서 제1연삭부(30)와 제2연삭부(40)를 수용 가능한 무빙 하우징(2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The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grinding portion 30 and a second grinding portion 30 which are movable on the downstream side of the upper clamp 11 and the lower clamp 12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strip 1, And a second grinding portion 40.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may include a second grinding portion 40 and a second grinding portion 40,

무빙 하우징(20)은, 일단이 구동모터(21)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베어링(22)에 지지되어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23), 이 스크류축에 결합하는 너트부(24)가 형성되어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25), 및 스크류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26)를 포함할 수 있다. The moving housing 20 includes a screw shaft 2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21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first bearing 22 and rotated by a drive motor, A slider 25 formed along the screw axis and moving along the screw axis and at least one guide member 26 disposed parallel to the screw shaft and installed through the slider.

구동모터(21)의 모터축은 스크류축(23)에 직접 연결되거나, 커플링(28) 또는 임의의 전동기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The motor shaft of the drive motor 21 may be connected directly to the screw shaft 23 or via a coupling 28 or any transmission mechanism.

슬라이더(25)는 대략 평탄한 블록형상의 부재로서, 이를 관통하여 너트부(24)가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예컨대 볼너트와 같은 임의의 너트부가 별도로 형성된 후 슬라이더에 부착되어도 된다. The slider 25 is a member having a substantially flat block shape, through which the nut portion 24 can be formed. Optionally, any nut portion, such as a ball nut, may be separately formed and then attached to the slider.

이 슬라이더(25)에는 너트부(24)와 평행하게 적어도 하나의 관통공(27)이 형성되어, 가이드부재(26)가 삽입 및 관통될 수 있다. At least one through hole 27 is formed in the slider 25 in parallel with the nut portion 24 so that the guide member 26 can be inserted and penetrated.

가이드부재(26)는 관 또는 봉 형상의 부재이다. 가이드부재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부재(29)가 고정될 수 있다. 도 2에는 이들 지지부재를 스크류축(23)이 관통하여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The guide member 26 is a tubular member or a rod-like member. Support members 29 may be fixed to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In FIG. 2, there is shown an example in which the screw shaft 23 is inserted through these support member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지지부재(29)에는 슬라이더(25)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미도시)가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센서로는 리미트 스위치 등을 포함한 접촉센서나 위치센서, 광센서, 초음파센서 등을 포함한 거리센서 중 적절한 것이 선택되어 적용될 수 있다.The support member 29 may be provided with a sensor (not shown)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lider 25. [ As such a sensor, a touch sensor including a limit switch, a distance sensor including a position sensor, an optical sensor, and an ultrasonic sensor may be selected and applied.

이와 같은 센서에 의해, 슬라이더(25)가 일측 지지부재(29)에 인접하여 위치될 때, 센서의 감지신호에 따라 도시되지 않은 제어부가 구동모터(21)의 정역회전을 제어하게 됨으로써, 슬라이더가 타측 지지부재를 향해 이동하면서 왕복이동될 수 있다. By such a sensor, when the slider 25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ne support member 29, a control unit (not shown) controls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21 in accordance with the detection signal of the sensor, And can be reciprocated while moving toward the other support member.

구동모터(21), 제1베어링(22), 지지부재(29) 등은 도시되지 않은 베이스 상에 설치될 수 있다. The drive motor 21, the first bearing 22, the support member 29, and the like may be installed on a base (not shown).

이와 같이 구성된 무빙 하우징(20)에서, 구동모터(21)의 회전력이 스크류축(23)으로 전달되어 스크류축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너트부(24)를 갖춘 슬라이더(25)가 스크류축을 따라, 그리고 가이드부재(26)의 안내에 의해 직선 이동하게 된다. The rotational force of the drive motor 21 is transmitted to the screw shaft 23 so that the screw shaft is rotated so that the slider 25 having the nut portion 24 moves along the screw axis And guided by the guide member 26, as shown in Fig.

무빙 하우징(20)의 슬라이더(25)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부(50)가 설치될 수 있다. 지지롤부(50)는, 슬라이더(25) 상에 장착된 브라켓(51)과, 이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스트립(1)에 접촉하는 지지롤(5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지지롤의 롤축과 브라켓 사이에는 제2베어링(53)이 개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지지롤은 브라켓에 외팔보 형태로 설치될 수 있다. On the slider 25 of the moving housing 20, at least one support roll 50 may be provided. The support roll section 50 may include a bracket 51 mounted on the slider 25 and a support roll 52 rotatably mounted on the bracket and contacting the strip 1. A second bearing (53)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roll shaft of the support roll and the bracket. Accordingly, the support roll can be installed in a cantilever shape on the bracket.

이러한 지지롤부(50)는 스트립(1)의 저면에서 스트립의 선단부를 지지할 수 있어, 후술하는 연삭시 정밀하고 안정된 연삭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The support roll portion 50 can support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strip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ip 1, so that a precise and stable grinding can be performed at the time of grinding described later.

또한, 무빙 하우징(20)의 슬라이더(25) 상에는 프레임(60)이 장착될 수 있다. 이 프레임을 기반으로 하여, 스트립(1)의 선단부의 편면, 즉 상면을 경사형으로 연삭하는 제1연삭부(30)가 설치될 수 있다. Further, a frame 60 may be mounted on the slider 25 of the moving housing 20. On the basis of this frame, a first grinding portion 30 for grinding the one surface of the tip portion of the strip 1, that is, the upper surface thereof in an inclined manner, may be provided.

제1연삭부(30)는, 제1모터(31)와, 이 제1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스트립(1)의 표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제1연삭롤(3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1연삭롤의 경사각은 스트립의 표면에 대해 대략 10 ~ 20도 사이의 범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may include a first motor 31 and a first grinding roll 32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and rotatable and disposed obliquely to the surface of the strip 1 .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grinding roll is preferably in the range of about 10 to 20 degrees relative to the surface of the strip.

제1모터(31)는 프레임(60)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한 경사 프레임(61)에 장착될 수 있다. The first motor 31 may be mounted on the inclined frame 61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rame 60.

제1연삭롤(32)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1연삭롤(32)과 경사 프레임(61)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해 소정 높이로 설치된 한 쌍의 제1이격부재(33)와, 각 제1이격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1연삭롤의 롤축을 지지하는 제3베어링(34)이 구비될 수 있다.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grinding roll 32, a pair of first spacing members 33 provided at a predetermined height for separating the first grinding roll 32 from the inclined frame 61, And a third bearing 34 provided at the end of the spacing member and supporting the roll axis of the first grinding roll.

제1모터(31)의 모터축은 제1연삭롤(32)의 롤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임의의 전동기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벨트와 풀리를 이용한 전동기구가 사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motor 3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oll axis of the first grinding roll 32 or may be connected via any transmission mechanism. The drawings show examples in which a transmission mechanism using a belt and a pulley is used.

예를 들어, 제1모터(31)가 경사 프레임(61)의 일측 표면에 장착되고, 제1연삭롤(32)은 경사 프레임(61)의 타측 표면에 배치될 수 있다. 경사 프레임에는 2곳에 벨트구멍(6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들 벨트구멍을 관통하여 순환하는 벨트(35)가 제1모터의 모터축에 설치된 구동풀리(36)와, 제1연삭롤의 롤축에 설치된 종동풀리(37)를 감아돌 수 있다. For example, the first motor 31 may be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inclined frame 61, and the first grinding roll 32 may be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clined frame 61. Belt holes (62) are formed in the inclined frame, and a belt (35) circulating through these belt holes is provided with a drive pulley (36) provided on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motor and a drive pulley The driven pulley 37 installed can be wound around.

이렇게 하여, 제1모터(31)의 회전력은 그 모터축, 구동풀리(36), 벨트(35), 종동풀리(37), 제1연삭롤(32)의 롤축을 거쳐 제1연삭롤로 전달되어 제1연삭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제1연삭롤이 스트립(1)의 선단부의 편면, 즉 상면을 경사형으로 연삭할 수 있게 한다. The rotational force of the first motor 31 is transmitted to the first grinding roll via the roll axis of the motor shaft, the drive pulley 36, the belt 35, the driven pulley 37 and the first grinding roll 32 By rotating the first grinding roll, the first grinding roll makes it possible to grind one side of the tip of the strip 1, that is, the upper face, in an inclined manner.

더불어, 무빙 하우징(20)의 슬라이더(25) 상에는 제2연삭부(40)가 제1연삭부(30)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설치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on the slider 25 of the moving housing 20.

제2연삭부(40)는, 제2모터(41)와, 이 제2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슬라이더(25) 상에 직립하여 설치된 제2연삭롤(42)을 포함할 수 있다. 이 제2연삭롤의 길이방향 중간은 길이방향 양끝보다 작은 지름을 가져 오목부(43; 도 6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The second grinding unit 40 may include a second motor 41 and a second grinding roll 42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rotatable and provided on the slider 25 upright. The middle portion of the second grinding rol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has a diameter smaller than that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so that the concave portion 43 (see FIG. 6) can be formed.

제2모터(41)는 슬라이더(25) 상에서 그 모터축이 위를 향하도록 하여 고정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second motor 41 may be fixedly mounted on the slider 25 such that the motor shaft thereof faces upward.

제2모터(41)의 모터축은 제2연삭롤(42)의 롤축에 직접 연결되거나, 커플링(44) 또는 임의의 전동기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다. 도면들에는 커플링이 사용된 예가 도시되어 있다. The motor shaft of the second motor 41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roll axis of the second grinding roll 42 or may be connected via the coupling 44 or any transmission mechanism. The drawings show examples in which coupling is used.

제2연삭롤(42)의 길이방향 양측에는, 제2연삭롤(42)과 프레임(60) 사이를 이격시키기 위해 소정 길이로 설치된 한 쌍의 제2이격부재(45)와, 각 제2이격부재의 단부에 설치되어 제2연삭롤의 롤축을 지지하는 제4베어링(46)이 구비될 수 있다. A pair of second spacing members 45 provided on both sid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econd grinding roll 42 in a predetermined length so as to separate the second grinding roll 42 from the frame 60, And a fourth bearing 46 provided at the end of the member for supporting the roll axis of the second grinding roll.

이렇게 하여, 제2모터(41)의 회전력은 그 모터축, 커플링(44), 제2연삭롤(42)의 롤축을 거쳐 제2연삭롤로 전달되어 제2연삭롤을 회전시킴으로써, 제2연삭롤이 스트립의 첨단을 라운드지게 연삭할 수 있게 한다. Thus, the rotational force of the second motor 41 is transmitted to the second grinding roll via the roll axis of the motor shaft, the coupling 44, and the second grinding roll 42 to rotate the second grinding roll, Allows the roll to grind the tip of the strip round.

추가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는, 스트립(1)의 연삭으로 인해 생기는 이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부(65)를 포함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discharge portion 65 for discharging foreign matter caused by grinding of the strip 1.

배출부(65)는, 프레임(60)에 형성된 배출공(66); 프레임의 외측에서 일단이 배출공에 연결된 배출관(67); 및 이 배출관의 타단에 연결된 흡입팬(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The discharge portion 65 includes a discharge hole 66 formed in the frame 60; A discharge pipe 67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outside the frame; And a suction fan (not show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이에 따라, 제1연삭부(30) 또는 제2연삭부(40)의 작동에 의해 스트립(1)이 연삭될 때에 생기는 이물질은 배출공(66) 및 배출관(67)을 통해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의 외부로 보내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The foreign matter generated when the strip 1 is groun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or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hole 66 and the discharge pipe 67 It can be sent out.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는, 슬라이더(25)나 프레임(60)에 고정되어 제1연삭부(30) 및 제2연삭부(40) 주변을 둘러싸는 커버(6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 커버의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 쪽은 개방되어 있다. The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lider 25 and a cover 63 that is fixed to the frame 60 and surrounds the periphery of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 The upper clamp 11 and the lower clamp 12 side of this cover are open.

이러한 커버(63)에 의해, 제1연삭부(30) 또는 제2연삭부(40)의 작동에 의해 스트립이 연삭될 때에 생기는 이물질이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의 외부로 튀어 나가 분산되는 것을 방지하여, 커버(63)와 프레임(60) 및 슬라이더(25)로 구획되는 공간 내에 이물질을 수집할 수 있다. The cover 63 prevents the foreign material generated when the strip is groun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or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from being scattered out of the strip end grinding device and dispersed, The foreign matter can be collec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cover 63, the frame 60 and the slider 25. [

이하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의 작동에 대해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기로 한다. Hereinafter, the operation of the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structed as described above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3 to 6. FIG.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컨대 강판과 같은 스트립(1)의 선단부가 본 발명의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에 접근하여 롤러테이블(2)을 지나고,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의 사이를 통과하면, 절단장치(미도시)가 스트립을 절단하면서 스트립의 이동이 정지된다. The leading end of the strip 1 such as a steel plate approaches the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passes through the roller table 2 and the gap between the upper clamp 11 and the lower clamp 12 The movement of the strip is stopped while the cutting device (not shown) cuts the strip.

각각의 가압수단(13)으로 작동되는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가 스트립(1)을 상하로 가압하여 고정시킨다. The upper clamp 11 and the lower clamp 12 operated by the respective pressing means 13 press the strip 1 up and down to fix it.

스트립(1)이 정지되기 전까지, 제1연삭부(30)와 제2연삭부(40)를 수용한 무빙 하우징(20)은 스트립의 이송경로로부터 벗어나 위치하고 있다. The moving housing 20 accommodating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is located off the conveying path of the strip until the strip 1 is stopped.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트립(1)이 정지되고 상부 클램프(11)와 하부 클램프(12)가 스트립을 가압하면, 무빙 하우징(20)의 구동모터(21)가 작동하면서 그 회전력이 스크류축(23)으로 전달되어 스크류축이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너트부(24)를 갖춘 슬라이더(25)가 스크류축을 따라, 그리고 가이드부재(26)의 안내에 의해 직선 이동하게 된다. 4, when the strip 1 is stopped and the upper clamp 11 and the lower clamp 12 press the strip, the driving motor 21 of the moving housing 20 is operated, The screw shaft is rotated so that the slider 25 having the nut portion 24 is linearly moved along the screw shaft and by the guide member 26. [

슬라이더(25) 상의 지지롤부(50)가 스트립(1)의 저면에서 스트립과 접촉하여 지지할 수 있게 되고, 제1연삭부(30)의 제1모터(31)와 제2연삭부(40)의 제2모터(41)가 동시에 작동하면서 이들에 각각 연결된 제1연삭롤(32)과 제2연삭롤(42)이 회전하게 된다. The support roll portion 50 on the slider 25 can be held in contact with the strip at the bottom surface of the strip 1 and the first motor 31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of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can be supported, The second grinding roll 32 and the second grinding roll 42 connected to the first and second motors 41 and 42 are rotated.

도 5처럼 제1연삭롤(32)의 회전에 의해 제1연삭롤이 스트립(1)의 선단부의 편면, 즉 상면을 경사형으로 연삭할 수 있게 되는 한편, 도 6처럼 제2연삭롤(42)의 회전에 의해 제2연삭롤이 스트립의 경사진 첨단을 라운드지게 연삭할 수 있게 된다. As shown in FIG. 5, the first grinding roll is capable of grinding the one side, that is, the upper side, of the tip end of the strip 1 in an inclined manner by rotation of the first grinding roll 32, while the second grinding roll 42 ), The second grinding roll can grind the sloped edge of the strip roundly.

제1연삭부(30) 또는 제2연삭부(40)의 작동에 의해 스트립(1)이 연삭될 때에 생기는 이물질은 커버(63)와 프레임(60) 및 슬라이더(25)로 구획되는 공간 내에 수집되고, 흡입팬의 작동으로 인하여 프레임의 배출공(66) 및 배출관(67)을 통해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의 외부로 보내어질 수 있게 된다. The foreign substance generated when the strip 1 is ground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or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is collected in the space defined by the cover 63, the frame 60, and the slider 25 And can be sent to the outside of the strip end grinding apparatus through the discharge hole 66 and the discharge pipe 67 of the frame due to the operation of the suction fan.

이렇게 하여, 제1연삭부(30) 및 제2연삭부(40)에 의한 연삭이 완료되고, 무빙 하우징(20)의 슬라이더(25)가 일측 지지부재(29)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센서가 그 위치를 감지하면, 제어부의 제어하에 무빙 하우징(20)의 구동모터(21)가 역회전하면서 슬라이더(25)는 다시 원위치를 향해 복귀하게 되며, 스트립(1)의 이동이 재개되어 스트립의 선단부는 정상적으로 텐션릴에 코일 형태로 권취되기 시작한다.The grinding by the first grinding portion 30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40 is completed and the slider 25 of the moving housing 20 is positioned adjacent to the one supporting member 29, When the position is detected, the drive motor 21 of the moving housing 20 rotates reversely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the slider 25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gain, and the movement of the strip 1 is resumed, It normally starts to be wound on the tension reel in the form of a coil.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강판과 같은 스트립을 코일 형태로 권취할 때 스트립의 선단부의 편면이 경사면을 갖도록 가공됨으로써, 단차공간이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엔드마크 결함을 억제하여 제품의 결함 방지를 통한 품질 향상의 효과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hen a strip such as a steel sheet is wound in the form of a coil, the one side surface of the strip is processed so as to have a sloped surface, whereby a stepped space is not formed. It is possible to provide an effect of quality improvement.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트립의 선단부가 부드러운 라운드를 갖도록 가공됨으로써, 텐션릴의 초기 권취를 보조하는 벨트 래퍼가 스트립의 선단부에 의해 파손되지 않아 설비의 장애 및 수명 단축을 방지하는 부가적인 효과도 얻을 수 있게 된다. Furthe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strip is processed to have a soft round, the belt wrapper assisting the initial winding of the tension reel is not damaged by the leading end portion of the strip, .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 및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foregoing description is merely illustrativ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intended to illustrate rather than limit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construed according to the following claims,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ts should be construed as falling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 스트립 11: 상부 클램프
12: 하부 클램프 20: 무빙 하우징
25: 슬라이더 30: 제1연삭부
40: 제2연삭부 50: 지지롤부
60: 프레임 65: 배출부
1: strip 11: upper clamp
12: Lower clamp 20: Moving housing
25: Slider 30: First grinding part
40: second grinding part 50: supporting roll part
60: frame 65:

Claims (11)

스트립을 눌러 지지하는 상부 클램프와 하부 클램프;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 사이로 돌출한 상기 스트립의 선단부의 편면을 경사형으로 연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1연삭부;
상기 제1연삭부에 인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트립의 경사진 첨단을 라운드지게 연삭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2연삭부; 및
상기 스트립의 이송방향에 대해 교차하여 이동 가능하면서 상기 제1연삭부와 상기 제2연삭부를 수용하는 무빙 하우징
을 포함하고,
상기 무빙 하우징은,
일단이 구동모터에 연결되고 타단은 제1베어링에 지지되어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는 스크류축,
상기 스크류축에 결합하는 너트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크류축을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 및
상기 스크류축에 평행하게 배치되고 상기 슬라이더를 관통하여 설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슬라이더 상에 상기 제1연삭부와 상기 제2연삭부가 인접하게 배치된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An upper clamp and a lower clamp for pressing and supporting the strip;
At least one first grinding portion for grinding the one surface of the tip portion of the strip protruding between the upper clamp and the lower clamp in an inclined manner;
At least one second grinding portion disposed adjacent to the first grinding portion and rounding the sloped edge of the strip; And
And a second grinding portion which is movable in a direction crossing the feeding direction of the strip and accommodates the first gr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 RTI >
The moving housing includes:
A screw shaf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drive motor and the other end supported by the first bearing and rotated by the drive motor,
A slider having a nut portion coupled to the screw shaft and moving along the screw shaft,
At least one guide member disposed parallel to the screw shaft and installed through the slider,
/ RTI >
Wherein the first gr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are disposed adjacent to each other on the sli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클램프와 상기 하부 클램프 중 적어도 하나는 가압수단에 의해 상하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at least one of the upper clamp and the lower clamp moves up and down by a pressing means.
삭제delete 삭제delet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재의 양단에는 각각 지지부재가 고정되고,
상기 지지부재에는 상기 슬라이더의 위치를 감지하는 센서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Support members are fixed to both ends of the guide member,
Wherein the support member is provided with a sensor for sensing the position of the slid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상에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롤부가 설치되고,
상기 지지롤부는, 상기 슬라이더 상에 장착된 브라켓과, 상기 브라켓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스트립에 접촉하는 지지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t least one support roll is provided on the slider,
Wherein the support roll portion includes a bracket mounted on the slider and a support roll rotatably mounted on the bracket and contacting the strip.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삭부는, 제1모터와, 상기 제1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스트립의 표면에 대해 경사지게 배치된 제1연삭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first grinding portion comprises a first motor and a first grinding roll connected to the first motor and rotatable and disposed obliquely to the surface of the strip.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상에는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제1모터는 상기 프레임으로부터 경사지게 연장한 경사 프레임의 일측 표면에 장착되며,
상기 제1연삭롤은 상기 경사 프레임의 타측 표면에 배치되고,
상기 제1모터의 모터축과 상기 제1연삭롤의 롤축은 전동기구를 매개로 하여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8. The method of claim 7,
A frame is mounted on the slider,
Wherein the first motor is mounted on one surface of the inclined frame extending obliquely from the frame,
Wherein the first grinding roll is disposed on the other surface of the inclined frame,
Wherein the motor shaft of the first motor and the roll shaft of the first grinding roll are connected via a transmission mechanis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연삭부는, 제2모터와, 상기 제2모터에 연결되어 회전 가능하고 상기 슬라이더 상에 직립하여 설치된 제2연삭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second grinding portion includes a second motor and a second grinding roll connected to the second motor and rotatable and provided on the slider in a standing upright mann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상에는 프레임이 장착되고,
상기 프레임에 형성된 배출공;
상기 프레임의 외측에서 일단이 상기 배출공에 연결된 배출관; 및
상기 배출관의 타단에 연결된 흡입팬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frame is mounted on the slider,
An exhaust hole formed in the frame;
A discharge pipe having one end outside the frame and connected to the discharge hole; And
A suction fan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discharge pipe
Further comprising: a strip end grinding device for grinding the strip.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더 또는 상기 프레임에 고정되어 상기 제1연삭부 및 상기 제2연삭부 주변을 둘러싸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트립 선단부 연삭장치.
11. The method of claim 10,
And a cover fixed to the slider or the frame and surrounding the first grinding portion and the second grinding portion.
KR1020180021162A 2018-02-22 2018-02-22 Apparatus for grinding top portion of strip KR101940951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62A KR101940951B1 (en) 2018-02-22 2018-02-22 Apparatus for grinding top portion of strip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21162A KR101940951B1 (en) 2018-02-22 2018-02-22 Apparatus for grinding top portion of strip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951B1 true KR101940951B1 (en) 2019-01-21

Family

ID=652775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21162A KR101940951B1 (en) 2018-02-22 2018-02-22 Apparatus for grinding top portion of strip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951B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814B1 (en) 2021-08-13 2022-03-02 (주)비엔에이치 pipe end grinding machin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847A (en) * 2002-01-30 2003-08-12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late material
KR20090071196A (en)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grinding edge of steel-plate for preventing to making line-mark
KR20150134721A (en)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Grinding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25847A (en) * 2002-01-30 2003-08-12 Nakamura Tome Precision Ind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processing plate material
KR20090071196A (en) * 2007-12-27 2009-07-01 주식회사 포스코 Apparatus for grinding edge of steel-plate for preventing to making line-mark
KR20150134721A (en) * 2014-05-22 2015-12-02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Grinding system for flat panel displa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814B1 (en) 2021-08-13 2022-03-02 (주)비엔에이치 pipe end grinding machine
KR20230025321A (en) 2021-08-13 2023-02-21 (주)비엔에이치 pipe end grinding machin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782869B2 (en) Apparatus for detecting abnormality in polishing of a substrate
KR101940951B1 (en) Apparatus for grinding top portion of strip
KR20150011186A (en) Apparatus for supplying solering wire
US20160001458A1 (en) Cutting plotter
JP7364385B2 (en) grinding equipment
TWI271262B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pairing defective substrates
KR20000009633A (en) Device for automatically removing strip foreign substance
JP2004149319A (en) Winding device for sheet-like material, particularly plastic film
KR200408111Y1 (en) An automatic excursion apparatus of roll surface
JPH06182694A (en) Abnormality detecting device for cut material in cutting machine
KR101758494B1 (en) Strip winding apparatus
US20200023486A1 (en) Polishing apparatus and polishing method
FI113039B (en) Belt conveyor and cleaner
KR20010048999A (en) An apparatus for detecting the surface default of the strip
KR101786234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utting material and method for coiling material of the same
KR20130110958A (en) Apparatus for rotating product
KR101282334B1 (en) Roll Sensor Device
JP3785192B2 (en) Conveyor system, strip material transport method, and active guide disk
KR102326248B1 (en) Apparatus for guiding rolling material
JP2004206818A (en) Tension controller device of magnetic tape
JP3753060B2 (en) Tracking device for flaw detection sensors for circular cross-section inspection materials
KR200285931Y1 (en) Strip Specimen Collector
JPH11188599A (en) Wire diameter detection device for wire saw with fixed abrasive grains
KR100888322B1 (en) Short ball inhalation apparatus for strip surface dust removal
KR100300519B1 (en) A Vinyl Disengaging Device of Edge Ta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