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406B1 -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 Google Patents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406B1
KR101940406B1 KR1020170088353A KR20170088353A KR101940406B1 KR 101940406 B1 KR101940406 B1 KR 101940406B1 KR 1020170088353 A KR1020170088353 A KR 1020170088353A KR 20170088353 A KR20170088353 A KR 20170088353A KR 101940406 B1 KR101940406 B1 KR 1019404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
subdivision
pipe
value
val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3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정복
Original Assignee
조정복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정복 filed Critical 조정복
Priority to KR10201700883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40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4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4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0Controlling by gas-analysis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Feeding, Discharge, Calcimining, Fusing, And Gas-Generation Devices (AREA)

Abstract

염산 등의 화학 물질을 미리 설정된 용적량을 갖는 소분용기에 자동으로 정량 소분하고, 소분 시 발생하는 흄 가스를 자동으로 포집하여 제거하는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는 내부에 화학물질이 저장되고, 하부에는 상기 화학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배관이 설치된 저장탱크와; 상기 배출배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분배관과; 상기 소분배관 상에 설치되어 소분개폐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소분밸브와; 상기 소분배관 아래에 설치되며 상부에 올려 진 소분용기와 그에 수납되는 물체의 중량을 실시간 계량하여 계량 값을 출력하는 계량부와; 소분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계량부의 계량 값이 미리 설정된 소분 중량 값으로 될 때까지 상기 소분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계량 값이 상기 소분중량 값과 같을 때 상기 소분밸브를 닫아 소분을 중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소분배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소분배관의 둘레의 상부로부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가스배관에 연결된 가스포집부를 구비하여 상기 소분용기측 입구에 있는 흄가스를 제거하도록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한다.

Description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device for subdividing of hazardous Chemical substance}
본 발명은 유해화학물질을 소분용기에 정량으로 토출하는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유해가스를 함유하고 있는 염산 등의 유해화학물질을 미리 설정된 용적량을 갖는 소분용기(subdivision container))에 자동으로 정량 소분하고, 소분 시 발생하는 흄 가스(hume gas)를 자동으로 포집하여 제거하는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에 관한 것이다.
화학물질은 인체에 무해한 것과 유해한 것으로 구분될 수 있다. 인체에 무해한 화학물질을 취급하는 경우 그 주위를 크게 기울이지 않아도 되나, 유해화학물질은 그 취급에 있어 각별한 주위를 기울이지 않으면 취급자의 건강을 해치고 대기환경을 그게 오염시키는 등의 문제가 야기된다.
유해화학물질은 다양한 것이 있으나, 우리의 주변에서 폭 넓게 사용되는 염산(hydrochloric acid)을 예로 들 수 있다. 현재 염산은 염료, 무기염화철제조, 니트로화합물 제조, 폐수중화제, 알킬화제, 의약품, 유무기 화학제품 합성원료, 방부제, 세제, 양조업, 피혁업 등의 광범위한 산업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환경부 화학물질안전원에서 2016. 3. 23. 발행한 염산취급시설 안전관리 안내서에는 염산이 호흡기, 눈, 피부 등의 신체부위에 접촉되면 인체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다고 기재되어 있고, 염산 증기를 호흡하면 코나 목의 점막에 염증을 일으키며, 농도가 낮은 염산도 장기간 증기로 접하면 치아가 부식된다고 기재되어 있다. 또한, 염산이 피부나 점막이 노출되면 염증을 일으켜, 가려운 증세나 통증이 생긴다. 또한, 코 점막에서 출혈이 일어날 수 있고 기재되어 있다.
위와 같은 염산은 화학물질 생산 공장에서 대량으로 생산되어 탱크롤리 등과 같은 탱크운반수단을 통해 지상에 있는 저장탱크로 옮겨 저장된 후 미리 설정된 용적량을 갖는 소분용기, 예를 들면, 약 200~220리터의 드럼통, 말통(bulk container)으로 불리는 20~40리터의 플라스틱 용기로 소분되어 소비자에게 판매되고 있다.
따라서 지상에 설치된 저장탱크에 저장된 염산 등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을 미리 설정된 용적량을 갖는 소분용기에 소분하여 옮겨 담는 데는 많은 주위를 필요로 하며, 화학물의 증기(예를 들면, 소분 시 생성되는 염산증기)를 작업자가 호흡기로 들여 마시지 않도록 하는 등의 시설이 요구된다.
드럼통에 저장된 화학물질, 예를 들면, 염산을 10~50리터의 용적량을 갖는 소형 저장용기에 소분하는 것은 드럼펌프(Drum and Container Pump)를 이용하여 손쉽게 소분할 수 있으나, 약 2만ℓ의 저장용량을 갖는 탱크에 저장된 유해화학물질을 10~50리터의 용적량을 갖는 소형 저장용기에 소분하여 옮겨 담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예를 들면, 소분 용기의 용적량에 맞추어 펌프를 구동하고 정지시키기 위해서는 핸드노즐을 일일이 수동으로 조작하여야 함으로써 많은 작업인원이 필요하고, 작업 효율 또한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대형저장탱크에 저장된 유해화학물질을 소분용기의 용적량에 맞추어 자동으로 소분하여 옮겨 담을 수 있는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대형저장탱크에 저장된 유해화학물질을 미리 설정된 용적량을 갖는 소분용기로 이송 저장 시, 유해화학물질의 증기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유해증기의 배출을 차단하는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는, 내부에 화학물질이 저장되고, 하부에는 상기 화학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배관이 설치된 저장탱크와; 상기 배출배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분배관과; 상기 소분배관 상에 설치되어 소분개폐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분밸브와; 상기 소분배관 아래에 설치되며 상부에 올려 진 소분용기와 그에 수납되는 물체의 중량을 실시간 계량하여 계량 값을 출력하는 계량부와; 소분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계량부의 계량 값이 미리 설정된 소분 중량 값으로 될 때까지 상기 소분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계량 값이 상기 소분중량 값과 같을 때 상기 소분밸브를 닫아 소분을 중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분배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소분배관의 둘레의 상부로부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스크로버(Scrubber)의 유입구에 연결된 가스포집부를 더 구비하며, 상기 스크러버는 유입되는 화학물질 가스에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대기로 배출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는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연결된 가스배관으로 배출되는 가스에 액체를 분사하여 그에 함유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대기로 배출하는 스크러버가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소분배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소분배관의 둘레의 상부로부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가스배관에 연결된 가스포집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량부의 계량 값이 영점(zero points)에서 용기중량 만큼 증가된 값을 가질 때 상기 소분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계량 값이 미리 설정된 소분중량 값일 때 상기 소분밸브를 닫아 소분을 중지하도록 동작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는, 저울 등과 같은 계량부의 상부에 소분용기를 올려놓으면 저장탱크의 배출관측에 설치된 밸브를 자동으로 개폐하여 미리 설정된 소분량이 상기 소분용기에 투입되도록 함으로써 수분 작업을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소분 시 소분용기의 입구 측에서 발생하는 화학물질의 기체에 함유된 오염물을 제거함으로써 작업공간은 물론 대기환경을 쾌적하게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를 나타내는 그림이다.
도 2a 및 도 2b는 도 1에 도시된 기체 포집부의 상세한 구성과, 화학물질을 소분용기에 소분시의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그림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의 제어수순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 부호를 유사한 구성 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기술되는 도면의 부호의 첨자로 표기된 영문자 "i, j, k, l 및 m"은 1, 2, 3 등과 같은 자연수로서 "i≠j≠≠k≠l≠m"이고, t는 "i, j, k, l 및 m"를 포함하는 자연수이다. 예를 들어 CTLt는 CTLi, CTLj, CTLk, CTLl, CTLm를 모두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과 도 2a 및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이하 '소분장치'라 칭함)(1)는 수만 리터(ℓ)의 용적량을 갖는 저장탱크(10)에 저장된 화학물질, 예를 들면, 염산 등을 수십 리터(ℓ)의 용적량을 갖는 소분용기(25t)(여기서 25t는 25j, 25j, 25k, 25l 중 어느 하나이다.)에 자동으로 소분하는 것이다.
상기 저장탱크(10)에는 외부, 예를 들면, 탱크로리 차량으로부터 공급되는 유해화학물질을 상기 저장탱크(10)로 공급하는 외부공급관(1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외부공급관(12)에는 수동 또는 전기 제어에 의해 개폐되는 입력밸브(18)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외부공급관(12)으로부터 공급되는 액체 상태의 유해화학물질은 저장탱크(10)로 투입되어 저장된다. 상기 저장탱크(10)의 내부에는 상기 저장탱크(10)내에 레벨을 감지하여 그 감지신호(LSS : Level Sensing Signal)을 출력하는 레벨감지기(11)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레벨감지기(11)의 출력은 제어부(30)로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레벨감지기(11)의 출력(LSS)에 의하여 저장탱크(10)에 저장량을 알 수 있다. 상기 제어부(30)는 상기 저장탱크(10)의 저장량이 미리 설정된 기준량 이하인 경우, 소분동작을 하지 않는다.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에는 화학물질의 증기인 기체를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가스배관(16)이 연결되어 있고, 하부에는 내부에 저장된 화학물질을 외부로 배출하기 위한 배출배관(13)이 설치되며, 상기 배출배관(13)은 다수의 소분배관(14t)으로 분기되어 나누어져 있다. 이때, 필요에 따라서는 상기 배출배관(13)과 소분배관(14t)의 사이에는 메인밸브(19)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나타내는 도 1에서는 상기 저장탱크(10)의 하부에 배출배관(13)을 설치하여 저장탱크(10)의 자연배출압력에 의해 그 내부에 저장된 유해화학물질이 배출배관(13)으로 배출되는 것을 도시하였으나, 필요에 따라서는 전기 신호에 의해 작동되는 펌프(도시하지 않았음)을 상기 배출배관(13)에 연결하여 펌핑에 의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유해화학물질을 배출관(13)에 연결된 소분배관(14t)로 공급할 수 있도 있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상기 저장탱크(10)에서 떨어진 지면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계량부(20t)가 소정의 간격으로 이격되어 놓여져 있다. 상기 계량부(20t)는 상부가 일정한 면을 계량면을 형성하는 전자저울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계량부(20t)는 영점조절부를 가질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서는 외부로부터 전송되는 영점조절신호에 의해 영점을 조절하는 기능을 갖는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계량부(20t)는 계량면에 놓여진 물체의 중량을 실시간 계량하여 계량(측정) 값을 상기 제어부(30)로 전송한다.
상기 배출배관(13)에서 분기되어진 소분배관(14t : 14i, 14j, 14k, 14l)들은 상기 계량부(25t)의 이격 간격을 갖고 떨어져 설치되어 있다. 즉, 소분배관(14t)과 계량부(20t)의 설치 간격은 동일하거나 극히 유사하다.
상기 소분배관(14t)의 배출경로 상에는 개폐제어신호(CTLt)에 의해 각각 개폐되는 소분밸브(22t)가 설치되어 있다. 소분밸브(22t)가 설치된 소분배관(14t)의 단부, 보다 구체적으로 말하면 소분배관(14t)의 아래 부분에는 가스포집부(24)가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스포집부(24)는 상기 소분배관(14t)으로부터 토출되는 화학물질이 계량부(20t)의 계량면에 올려진 소분용기(25t)의 투입구을 통해 상기 소분용기(25t)의 내부로 투입될 때 상기 소분용기(25t)로부터 밀려나오는 약간의 증기(염산증기)를 포집하여 상기 스크러버(50)의 유입구측으로 공급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스크러버(18)은 유입구(18)로 유입되는 가스(증기)에 포인트 방식으로 물을 아래에서 분사하여 상기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을 제거하여 정화된 가스(GAS-OUT)를 외부로 배출하는 정화장치이다. 이러한 스크러버(18)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2017년 3월 8일 출원된 특허출원 제10-2017-29616호 '포인트 주입 및 상향 분사식 스크러버'의 구성을 적용하여 구현할 수 있다.
상기 가스포집기(24)는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일단부가 스크러버(50)의 유입구(18)에 연결된 가스포집관(17)의 타단부가 상기 소분배관(14t)의 하단부 둘레의 상부로부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되어 구성된다. 이때, 상기 가스포집기(24)를 구성하는 소분배관(14t)과 가스포집관(17)의 아래 부분은 개방되며, 평상 시 상기 가스포집관(17)의 아래 부분은 토출관 캡(21)에 의해 막혀 있다.
상기 가스포집기(24)의 내부에 위치된 가스포집관(17)의 단부에는 필요에 따라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깔때기 형상의 원뿔대(24a)를 형성하여, 그 아래 부분의 기체를 효율적으로 유입하도록 하는 것이 좋다.
필요에 따라, 상기 저장탱크(10)의 상부에는 일측이 상기 스크러버(50)의 유입구(18)에 연결된 가스배관(16)을 연결하여 외부공급관(12)를 통해 상기 저장탱크(10)에 염산을 투입 시, 상기 저장탱크(10)에서 밀려나오는 염상증기에 포함된 오염물을 스크러버(50)에서 제거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제어부(30)에는 소분될 소분용적량을 설정하기 위한 설정버튼, 소분개시버튼 등이 구비된 설정부(40)가 연결된다.
도 1 및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압력밸브(18), 메인밸브(19) 및 다수의 소분밸브(22t)는 전기신호인 개폐제어신호에 의해 열리고 닫히는 솔레노이드밸브를 사용하는 것이 좋다.
또한, 상기한 실시 예를 나타낸 도 1에서는 소분밸브(22t)와 계량부(20t)를 4개로 한정한 예를 나타내고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을 인식하여야 한다.
위와 같은 구성을 갖는 소분장치(1)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제어수순에 의해 동작되어 소분용기(25t)에 설정된 소분량을 자동으로 투입하는데, 설명하면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소분장치(1)는 작업자가 설정부(40)를 통해 소분용기(25t)에 투입된 소분량을 설정하고, 소분개시버튼을 작동시키는 것으로부터 시작된다.
소분장치(1)가 동작되면, 제어부(30)는 계량부(20t)의 계량면 상부에 놓아진 소분용기(25t)에 소분 투입될 소분중량이 설정되었는지를 내부 메모리를 참조하여 검색한다(S1 과정). 상기 검색결과 소분중량이 설정되지 아니한 경우 제어부(30)는 설정모드로 대기한다(S2 과정). 여기서 설정모드라 함은 작업자가 소분용기(25t)에 몇 kg(또는 리터)을 소분(담을)할 것인지를 설정하고 소분개시를 설정하는 모드이다. 여기서, 소분중량이라 함은 계량부(20t)에 올려지는 소분용기(25t)의 용적량을 의미한다.
작업자가 도 2와 같이 구성된 가스포집부(24)내 가스포집관(17)의 하단부에 결합된 토출관 캡(21)을 제거한 후, 도 2b와 같이 게량부(20t)의 상부에 놓여지는 소분용기(25t)의 투입구가 소분배관(14t)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놓고, 설정부(40)를 이용하여 소분중량을 설정한다.
상기에서 계량부(20t)의 상면에 놓아질 또는 놓아진 소분용기(25t)에 투입될 소분중량이 설정된 경우라면, 제어부(30)는 계량부(20t)에서 출력되는 계량값이 "영점 + 용기중량" 값인지를 검색한다(S3 과정). 즉, 계량부(20t)의 계량면에 소분용기(25t)가 올려진 상태인지를 검색한다.
상기 검색결과, 소분용기(25t)가 계량부(20t)의 계량면에 올려진 것으로 판단되면, 제어부(30)는 해당 계량부(20t)에 대응하는 소분밸브(22t)를 개방한다.
예를 들어, 작업자가 설정부(40)를 통하여 계량부(20i)(저울)의 상면에 올려질 소분용기(25i)에 투입될 소분중량을 설정한 경우라면, 제어부(30)는 상기 계량부(20i)에 대응한 소분밸브(22i)를 개방하는 밸브제어신호(CTLi)를 출8력하여 해당 소분배관(14i)을 개방하고(S4 과정), 해당 계량부(20i)에서 계량 출력되는 측정값이 소분중량 값과 일치하는지를 검색한다(S5 과정).
상기와 같은 과정에 의해 상기 소분밸브(22i)가 개방되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액체상태의 화학물질인 염산이 배출배관(13), 배출밸브(19) 및 소분배관(14i)을 통해 계량부(20i)의 상부에 놓여진 소분용기(25i)의 투입구로 투입된다.
이와 같은 동작에 의해 저장탱크(10)에 저장된 화학물질이 도 2b의 화살표방항(d1)으로 배출되어 소분용기(25t)로 투입되면, 상기 소분용기(25t)의 투입구로는 소분용기(25t)의 내부로부터 투입량에 대응하는 염산증기가 도 2b의 화살표방향(d2)으로 같이 밀려나오게 된다.
상기 소분용기(25t)로부터 나오는 염산증기는 상기 소분배관(22t)의 하부 둘레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 가스포집관(17)을 통해 스크러버(50)의 유입구(18)로 흡입된다. 이때, 상기 스크러버(50)는 상기 가스포집관(17)로 유입되는 염산가스를 정화하여 외부로 배출함으로써 염산 등과 같이 유해한 화학물질을 소분 시 작업자가 염산증기에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소분밸브(22t)의 개방에 의하여 소분용기(25t)에 화학물질이 지속적으로 투입되어 계량부(20t)의 계량면에 놓여진 중량이 증가되면, 계량부(20t)를 이를 중량의 증가를 실시간 감지하여 그에 따른 중량감지신호(측정값)를 출력한다. 상기 계량된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분중량값과 같게 되면, 제어부(30)는 해당 계량부(20t)에 대응한 소분밸브(22t)를 닫는다(S6과정).
예를 들어, 계량부(20i)(저울)의 상면에 올려진 소분용기(25i)의 중량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소분중량 값과 일치하는 경우, 소분밸브(20i)을 닫아 소분배관(14i)을 폐쇄하여 소분용기(25i)의 넘침을 방지한다.
그후, 제어부(30)는 해당 계량부(20t)로부터 출력되는 측정값이 미리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0초 내지 20초) 내에 영점("0")으로 되는지를 검색한다.(S7, S8과정). 즉, 계량부(20t)의 상면에 놓여진 소분용기(25t)가 들려져 없는지를 검색한다. 작업자가 소분용기(25t)에 화학물질의 소분이 완료되어 해당 소분용기(25t)를 들어 다른 곳으로 옮긴 경우 해당 계량부(20t)의 측정값은 영점이 된다.
상기 S7, S8과정의 검색결과, 해당 계량부(20t)의 측정값이 일정시간 동안 영점으로 되지 않았다면, 제어부(30)는 소분이 완료된 소분용기(25t)가 계량부(20t)의 계량면에서 치워지지 않았다고 판단하고 해당 계량부(20t)에 대응하여 설정된 소분중량 값을 리셋 한다.
만약, 상기 S7, S8과정의 검색결과, 해당 계량부(20t)의 측정값이 일정시간 동안 영점으로 되었다면, 제어부(30)는 소분이 완료된 소분용기(25t)가 계량부(20t)의 계량면에서 치워졌다고 판단하고, 해당 계량부(20t)의 상면에 새로운 소분용기(25t)가 올려진 것인지를 판단한다(S9 과정).
즉, 상기 S7과정에서 계량부(20t)의 측정값이 영점으로 된 후 S9과정에서 계량부(20t)의 측정값이 소분용기(25t)의 중량값으로 측정되는 경우, 제어부(30)는 미리 설정된 소분중량에 대응하는 화학물질이 투입된 소분용기(25t)가 치워진 후 새로운 소분용기(25t)가 해당 계량부(20t)의 계량면에 놓여졌다고 인식하여 전술한 S4과정을 수행하여 소분동작을 반복수행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소분장치(1)는 해당 계량부(20t)에 대한 소분중량을 1회 설정한 후 소분을 개시하여 미리 설정된 용적량이 해당 소분용기(25t)에 투입되도록 소분밸브(22t)를 개폐하고, 미리 설정된 시간 내에 해당 계량부(20t)에 내용이 빈 소분용기(25t)를 올려놓는 동작에 의해 소분작업을 반복적으로 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염산 등과 같은 유해화학물질의 소분을 자동으로 할 수 있어 소분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소분시 발생하는 염산 증기를 자동으로 회수하여 제거함으로써 쾌적한 작업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1 : 소분장치, 10 : 저장탱크,
11 : 레벨감지기, 12 : 외부공급관,
13 : 배출배관, 14i~14ℓ, 14t : 소분배관,
16 : 가스배관, 17 : 가스포집관,
18 : 입력밸브, 19 : 메인밸브,
20i~20ℓ : 계량부, 21 : 토출관 캡,
24 : 포집부, 24a : 원뿔대,
25 : 소분용기, 30 : 제어부,
40 : 설정부, 50 : 스크러버,
CLTi~CTLl, CTLm, CTLt : 밸브제어신호, LSS : 레벨감지신호.

Claims (5)

  1.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에 있어서,
    내부에 화학물질이 저장되고, 하부에는 상기 화학물질을 배출하는 배출배관이 설치된 저장탱크와;
    상기 배출배관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소분배관과;
    상기 소분배관 상에 설치되어 소분개폐신호에 따라 개폐되는 소분밸브와;
    상기 소분배관의 하단부에 상기 소분배관의 둘레의 상부로부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일측이 연결된 가스포집부와;
    상기 저장탱크의 상부에 연결된 가스배관와 상기 가스포집부의 타측과 연결되어 상기 저장탱크와 가스포집부로 부터 유입되는 화학물질 가스에 액체를 분사하여 상기 가스에 포함된 오염물질을 제거하여 대기로 배출하는 스크러버와;
    상기 소분배관 아래에 설치되며 상부에 올려 진 소분용기와 그에 수납되는 물체의 중량을 실시간 계량하여 계량 값을 출력하는 계량부와;
    소분개시신호에 응답하여 상기 계량부의 계량 값이 미리 설정된 소분 중량 값으로 될 때까지 상기 소분밸브를 개방하고, 상기 계량 값이 상기 소분중량 값과 같을 때 상기 소분밸브를 닫아 소분을 중지하는 제어부를 포함하여 구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2. 삭제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분배관의 하단부에는 상기 소분배관의 둘레의 상부로부터 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일측이 결합되며 타측은 상기 가스배관에 연결된 가스포집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5. 제1항 및 제4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계량부의 계량 값이 영점에서 용기중량 만큼 증가된 값을 가질 때 상기 소분밸브를 개방하며, 상기 계량 값이 미리 설정된 소분중량 값일 때 상기 소분밸브를 닫아 소분을 중지하도록 동작됨을 특징으로 하는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KR1020170088353A 2017-07-12 2017-07-12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KR1019404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53A KR101940406B1 (ko) 2017-07-12 2017-07-12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353A KR101940406B1 (ko) 2017-07-12 2017-07-12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406B1 true KR101940406B1 (ko) 2019-01-18

Family

ID=653234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353A KR101940406B1 (ko) 2017-07-12 2017-07-12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40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11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서울아이씨 화학물질 소분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196B1 (ko) * 1981-09-24 1982-07-01 밀러 랄프 배기가스내 이산화유황으로 부터 유화수소의 제조공정
KR19990016544A (ko) * 1997-08-16 1999-03-05 정지완 화학약품 용기내의 유효액량 표시장치
KR20000014679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분말약품 자동 투입장치
JP2011195333A (ja) * 2010-02-23 2011-10-06 Ricoh Co Ltd 自動計量投入システム及び自動計量投入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20001196B1 (ko) * 1981-09-24 1982-07-01 밀러 랄프 배기가스내 이산화유황으로 부터 유화수소의 제조공정
KR19990016544A (ko) * 1997-08-16 1999-03-05 정지완 화학약품 용기내의 유효액량 표시장치
KR20000014679U (ko) * 1998-12-30 2000-07-25 이구택 분말약품 자동 투입장치
JP2011195333A (ja) * 2010-02-23 2011-10-06 Ricoh Co Ltd 自動計量投入システム及び自動計量投入方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074511A (ko) * 2019-12-12 2021-06-22 주식회사 서울아이씨 화학물질 소분장치
KR102325194B1 (ko) * 2019-12-12 2021-11-11 주식회사 서울아이씨 화학물질 소분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FI88211B (fi) Anordning foer emissionsfri provtagning av laett avdunstande vaetskor
US7467890B2 (en) Portable chemical transfer/neutralizing containment system
KR101940406B1 (ko) 유해화학물질 소분장치
CN104964159B (zh) 一种液氨储罐内氨气的置换方法
KR20160002921A (ko) 원자력 발전 플랜트의 배기 시스템의 방출 감시 시스템
JPH02125200A (ja) 掃気ブロツク
CN103691290B (zh) 一种提高脱硝安全性的水泥炉窑sncr烟气脱硝系统
CN209276181U (zh) 一种智能加药装置
CN107519790A (zh) 一种配液系统
CN205760859U (zh) 一种配液系统
CN207521425U (zh) 一种一体化移动式土壤修复处理设备
CN204540515U (zh) 移动式车载智能熏蒸系统
US6783743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absorbing and recycling material in a blender
CN110773029A (zh) 一种配氨系统
CN104604835A (zh) 智能熏蒸系统
CN205084729U (zh) 废液回收处理装置
CN208850501U (zh) 一种智能型车载式熏蒸作业系统
CN203882119U (zh) 一种危化品防泄漏自控系统
US9309173B2 (en) Process stream decontamination systems and methods
CN213983015U (zh) 一种含氚重水的传输装置
CN109163216B (zh) 一种安全智能型液氨汽化系统
CN203663694U (zh) 一种提高脱硝安全性的水泥炉窑sncr烟气脱硝系统
CN210286720U (zh) 一种液体定量灌装装置
CN104064239B (zh) 一种核电站低中水平放射性活性炭处理方法
CN205027548U (zh) 一种在线取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