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40216B1 -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 Google Patents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40216B1
KR101940216B1 KR1020180095686A KR20180095686A KR101940216B1 KR 101940216 B1 KR101940216 B1 KR 101940216B1 KR 1020180095686 A KR1020180095686 A KR 1020180095686A KR 20180095686 A KR20180095686 A KR 20180095686A KR 101940216 B1 KR101940216 B1 KR 1019402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mber
foot
deck plate
sides
fix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95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용성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신한씨에스
최용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신한씨에스, 최용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신한씨에스
Priority to KR10201800956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021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02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021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5/00Floors; Floor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04B5/16Load-carrying floor structures wholly or partly cast or similarly formed in situ
    • E04B5/32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 E04B5/36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 E04B5/38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 E04B5/40Floor structures wholly cast in situ with or without form units or reinforcements with form units as part of the floor with slab-shaped form units acting simultaneously as reinforcement; Form slabs with reinforcements extending laterally outside the element with metal form-slab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01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 E04C5/06Reinforcing elements of metal, e.g. with non-structural coatings of high bending resistance, i.e. of essentially three-dimensional extent, e.g. lattice girders
    • E04C5/065Light-weight girders, e.g. with precast par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Abstract

이 건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이 건 발명은 트러스 거더를 플레이트에 연결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는 금속제 연결부재의 길이 방향 양측 하부에 합성수지제 받침부재가 결합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는 단방향 양측에 하부를 향하여 보강리브가 직립되게 절곡되어지고, 상기 보강리브의 하부 양측에 연장풋이 하부로 연장되어
Figure 112018081094612-pat00007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장풋은 하단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풋걸림편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풋걸림편을 포함하는 연장풋은 상기 받침부재에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이 건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슬래브가 시공되는 과정중에 현장 여건에 따라 사각형태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의 모서리 일부가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용이하게 절취시켜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작업성을 향상시키는 가운데 작업공기를 줄이며, 시공비가 증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CONNECTOR FOR DECK PLATE}
이 건 발명은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트러스 거더가 연결구에 의하여 아연도금 강판의 플레이트에 착탈 가능하게 연결되도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데크 플레이트(Deck plate)라 함은 아연도금 강판의 플레이트에 트러스거더를 연결구로 연결 결합하는 바닥구조를 말한다. 상기 트러스거더의 단면을 삼각형 모양으로 성형함으로써 면외방향의 강성과 길이 방향의 내좌굴성을 높게 한 것을 말한다. 종류로는 거푸집용과 구조용이 있으며, 거푸집용과 구조용을 겸할 수도 있다. 또한 거푸집용은 철근트러스형 데크플레이트와 콘크리트 합성 데크플레이트가 있으며, 거푸집용은 콘크리트 타설후에도 해체되지 않고 구조물을 형성할 수 있도록 아연도 강판과 같은 금속제 플레이트에 상기 트러스거더가 결합되어진다.
거푸집용 철근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축조하게 되면 바닥 콘크리트 공사용 형틀이 필요 없으므로 가설 공사에 소요되는 시간 및 비용을 절감할 수 있을 뿐 아니라, 단위 제품을 연속적으로 거치 고정하는 것만으로 시공이 이루어짐으로 공사를 신속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아울러 공장 생산된 제품을 사용함으로써 일정 이상의 품질을 확보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지고 있는 바, 최근 들어 이와 같이 데크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슬래브 구조체를 시공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데크 플레이트 가운데 대형 건물의 슬래브 바닥 축조에 널리 사용되는 대표적인 자재가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이다.
트러스형 데크 플레이트는 통상 소정의 넓이를 갖는 바닥판의 상부에 트러스 거더가 구비되고 상기 트러스 거더의 하부에 연결구(스페이서)가 구비되어 거푸집널이 분리 가능하도록 결합되어지며, 상기 트러스 거더는 상부철근, 하부철근 및 래티스재로 이루어지고 양측 단부에는 지지구가 결합되어 구성되어진다.
한편, 등록특허공보 제10-1642110호(2016.07.18)의 탈형 데크 플레이트가 제안되었고, 제안된 데크 플레이트는 트러스 거더 및 슬래브의 강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트러스 거더와 스페이서가 다수의 지점에서 용접으로 고정됨에 따라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였으나, 현장 여건이 모서리 부분의 일부가 경사진 형태를 가지게 될 경우, 사각형태를 갖도록 제조된 데크 플레이트의 모서리 부분이 일치되도록 하는 과정에서 어려움이 있었다.
트러스 거더가 스페이서의 상부에 얹혀져 용접이음으로 결합되어져 있음으로써, 트러스 거더와 스페이서를 절단하는 과정에서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지 않게 된다. 즉, 트러스 거더와 거푸집널이 절단되도록 할 경우, 절단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나, 절단되는 부분에 스페이서가 위치될 경우, 스페이서를 피하거나 스페이서 까지 절단해야되는 어려움이 있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업성이 낮아지게 됨에 따라 작업 공기가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고, 이로 인해 시공비가 증가되는 또 다른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642110호(2016.07.18)
이 건 발명은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슬래브가 시공되는 과정에 있어 사각형태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가 현장 여건에 따라 모서리의 일부가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용이하게 절취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작업공기를 줄이고, 시공비가 증가되는 것을 막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 건 발명은 트러스 거더(T/G)를 플레이트(P)에 연결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A)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A)는 금속제 연결부재(10)의 길이 방향 양측 하부에 합성수지제 받침부재(20)가 결합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10)는 단방향 양측에 하부를 향하여 보강리브(110)가 직립되게 절곡되어지고, 상기 보강리브(110)의 하부 양측에 연장풋(120)이 하부로 연장되어
Figure 112018131789002-pat00015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장풋(120)은 하단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풋걸림편(1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풋걸림편(121)을 포함하는 연장풋(120)은 상기 받침부재(20)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0) 상부에 고정부재(30)가 얹혀지되, 상기 연결부재(10)는 중앙에 암나사부(S)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중앙에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관통하는 볼트(V)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0)의 장방향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철부(14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고정부재(30)의 장방향 양측에 상부를 향하여 반원형태로 볼록한 하현재 가압편(320)이 형성되어지며, 한 쌍의 하현재 가압편(320)의 외측 하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부재(1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외측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요부(321)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0)의 양측단부 걸림철부(140)에 상기 고정부재(30)의 걸림요부(321)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30)는 단방향 양측단부에 외측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경사리브(330)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으로 분리됨에 있어서 가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0)는 육면체로 형성된 상부면에
Figure 112018131789002-pat00002
형태를 갖는 풋걸림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0)의 풋걸림편(121)에 끼워지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받침부재(20)에 형성된 풋걸림홈(210)은 일측이 개방되며, 타측이 폐쇄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연결부재(10)는 암나사부(S)의 양측으로 각각 장홀(1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고정부재(30)의 관통홀(310)과 하현재 가압편(320)의 걸림요부(321) 사이에 엠보싱 리브(3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받침부재(2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 건 발명은 연결구에 트러스 거더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함으로써,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슬래브가 시공되는 과정중 현장 여건에 따라 사각형태를 갖는 데크 플레이트의 모서리 일부가 경사진 형태를 갖도록 용이하게 절취되어 분리될 수 있도록 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해 작업공기를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를 통해 시공비가 증가되는 것을 더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
도4는 도1의 C-C선 단면도.
도5는 도1의 D-D선 단면도.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에 의하여 플레이트에 트러스 거더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의 모서리 부분이 절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이 건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2는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3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를 도시한 저면 분해 사시도이고, 도4는 도1의 C-C선 단면도이고, 도5는 도1의 D-D선 단면도이고, 도6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에 의하여 플레이트에 트러스 거더가 연결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7은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를 이용하여 플레이트와 트러스 거더의 모서리 부분이 절취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 건 발명에 따른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A)는 건축물의 슬래브가 시공되는 과정중 현장 여건에 맞도록 데크 플레이트의 모서리가 용이하게 절취 및 분리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공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도1 내지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로 위치된 트러스 거더(T/G)가 플레이트(P)의 상부측으로 착탈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연결구(A)는 금속제 연결부재(10)의 길이 방향 양측 하부에 각각 합성수지제로 사출 성형된 받침부재(20)가 결합되어지게 형성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결부재(10)는 단방향 양측에 하부를 향하여 보강리브(110)가 직립되게 절곡되어짐으로써, 연결부재(10)가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고, 상기 보강리브(110)의 하부 양측에 연장풋(120)이 하부로 연장되어
Figure 112018081094612-pat00003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소재의 사용량을 줄이는 가운데 타설되는 콘크리트에 공극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장풋(120)은 플레이트(P)의 상부 즉, 윗면으로부터 연결부재(10)의 상부인 윗면이 일정 간격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가운데 비금속제인 받침부재(2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받침부재(20)의 하부에 플레이트(P)의 윗면이 맞대어진 상태에서 나사(DS)로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를 위해, 상기 연장풋(120)은 하단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풋걸림편(1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풋걸림편(121)을 포함하는 연장풋(120)은 상기 받침부재(20)에 결합됨으로써, 연장풋(120)으로부터 받침부재(20)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연결부재(10)는 중앙에 암나사부(S)가 형성되어 후술하는 고정부재(30)가 볼트(V)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어 있고, 암나사부(S)의 양측으로 각각 장홀(150)이 형성되어 소재의 사용량을 줄일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받침부재(20)는 합성수지재로 사출성형된 것으로 부식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는 가운데 나사(DS) 즉, 직결나사를 이용하여 플레이트(P)가 받침부재(20)의 하부인 밑면에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받침부재(20)는 육면체로 형성된 상부면에
Figure 112018131789002-pat00004
형태를 갖는 풋걸림홈(210)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0)의 풋걸림편(121)에 끼워지게 결합되어 있다. 이때, 상기 받침부재(20)에 형성된 풋걸림홈(210)은 일측이 개방되며, 타측이 폐쇄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에 따라 풋걸림홈(210)의 길이방향으로 풋걸림편(121)이 끼워지게 결합됨으로써, 상부에서 하부 또는 하부에서 상부인 수직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는 연결부재(10)의 상부로 트러스 거더(T/G)가 결합되며, 연결부재(10)의 하부로 구비된 받침부재(20)에 플레이트(P)가 결합된 상태에서 서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부에는 고정부재(30)가 얹혀져 볼트(V)로 결합되어짐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0)의 상부에 얹혀진 트러스 거더(T/G)의 하현재가 상기 고정부재(30)에 가해지는 볼트(V)의 체결력에 의하여 결합됨에 따라 역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볼트(V)를 풀 경우, 고정부재(30)가 연결부재(10)의 상부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연결부재(10)의 상부에 얹혀진 트러스 거더(T/G) 역시 분리될 수 있게 됨에 따라 절단 과정에서 간섭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고정부재(30)가 연결부재(10)의 상부에 안정된 상태로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하기 위한 방안으로 상기 연결부재(10)는 장방향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철부(140)가 형성되어지며, 중앙에 암나사부(S)가 형성되어 3점형태로 결합되도록 구비되어 있다. 즉, 중앙은 볼트(V)에 의하여 결합되고, 양측단부는 걸림철부(140)에 의하여 걸려진 상태가 유지되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0)는 중앙에 볼트(V)가 관통되는 가운데 볼트 머리가 걸려지도록 하는 관통홀(310)이 형성되고, 장방향 양측 단부에 상부를 향하여 반원형태로 볼록한 하현재 가압편(320)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하현재 가압편(320)의 하단부에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요부(321)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0)의 양측단부 걸림철부(140)에 상기 고정부재(30)의 걸림요부(321)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게 결합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0)는 단방향 양측단부에 외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경사리브(330)가 형성됨에 따라 관통홀(310)이 형성된 부분의 강도가 충분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상기 고정부재(30)의 관통홀(310)과 하현재 가압편(320)의 걸림요부(321) 사이에 엠보싱 리브(322)가 형성됨에 따라 충분한 강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상기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A)는 먼저, 트러스 거더(T/G)가 위치될 플레이트(P)의 상부에 일정 간격을 갖도록 연결부재(10)의 하부에 구비된 받침부재(20)가 얹혀지도록 한 후 직결나사(DS)를 이용하여 플레이트(P)에 받침부재(20)가 결합되도록 한다.
다음, 직결나사(DS)에 의하여 결합된 받침부재(20)의 상부로 구비된 연결부재(10)에 트러스 거더(T/G)의 하현재가 안착되도록 한 후 안착된 트러스 거더(T/G)의 하현재의 상부로 고정부재(30)가 안착되도록 한다. 이때, 고정부재(30)의 양측으로 형성된 하현재 가압편(320)의 내측면이 각각의 하현재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 상태에서 하현재 가압편(320)의 단부에 형성된 걸림요부(321)가 연결부재(10)에 형성된 걸림철부(140)에 슬라이드형태로 끼워지도록 한 후 고정부재(30)에 형성된 관통홀(310)을 통해 볼트(V)가 연결부재(10)에 형성된 암나사부(S)에 나사결합되도록 하는 것으로 트러스 거더(T/G)가 플레이트(P)에 연결된 상태가 유지됨으로써, 데크플레이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얻어진 데크 플레이트를 이용하여 건축물의 슬래브가 시공되는 과정에서 시공되어질 슬래브가 사각형이 아닌 모서리가 경사진 형태를 가질 경우, 도6의 상부에 확대 도시된 바와 같이, 볼트(V)를 풀고, 고정부재(30)에 형성된 경사리브(330)를 축방향인 화살표방향으로 가압시킴에 따라 하현재 가압편(320)에 형성된 걸림요부(321)가 연결부재(10)에 형성된 걸림철부(140)로부터 슬라이드 이동되어 분리되도록 한 후 절취된 부분의 절취선을 따라 미도시한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절취하여 분리시키는 것으로 도7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크 플레이트를 얻을 수 있게 된다. 이때, 고정부재(30)와 연결부재(10)가 분리된 상태로 있음에 따라 절취하여 분리시키는 과정에서 간섭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연결구
P:플레이트
TG:트러스 거더
10:연결부재
20:받침부재
110:보강리브
120:연장풋
121:풋걸림편
210:풋걸림홈

Claims (9)

  1. 트러스 거더(T/G)를 플레이트(P)에 연결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A)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A)는 금속제 연결부재(10)의 길이 방향 양측 하부에 합성수지제 받침부재(20)가 결합되어 형성되어지되, 상기 연결부재(10)는 단방향 양측에 하부를 향하여 보강리브(110)가 직립되게 절곡되어지고, 상기 보강리브(110)의 하부 양측에 연장풋(120)이 하부로 연장되어
    Figure 112018131789002-pat00005
    형태를 갖도록 형성되어지며, 상기 연장풋(120)은 하단부에 내측 상부를 향하여 경사지게 절곡된 풋걸림편(121)이 형성되어지고, 상기 풋걸림편(121)을 포함하는 연장풋(120)은 상기 받침부재(20)에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0) 상부에 고정부재(30)가 얹혀지되, 상기 연결부재(10)는 중앙에 암나사부(S)가 형성되어지고, 상기 고정부재(30)는 중앙에 관통홀(310)이 형성되어 관통하는 볼트(V)로 결합되어지며,
    상기 연결부재(10)의 장방향 양측 단부에 외측으로 돌출되는 걸림철부(140)가 형성되어지며, 상기 고정부재(30)의 장방향 양측에 상부를 향하여 반원형태로 볼록한 하현재 가압편(320)이 형성되어지며, 한 쌍의 하현재 가압편(320)의 외측 하단부 사이의 간격은 상기 연결부재(10)의 길이에 대응되도록 형성되되, 각각의 외측 하단부에는 내측으로 절곡된 걸림요부(321)가 형성되어짐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0)의 양측단부 걸림철부(140)에 상기 고정부재(30)의 걸림요부(321)가 슬라이드식으로 끼워지게 결합되고, 상기 고정부재(30)는 단방향 양측단부에 외측 상부를 향하여 절곡된 경사리브(330)가 형성되어 슬라이드 이동으로 분리됨에 있어서 가압시킬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는 육면체로 형성된 상부면에
    Figure 112018131789002-pat00006
    형태를 갖는 풋걸림홈(210)이 형성되어 상기 연결부재(10)의 풋걸림편(121)에 끼워지게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에 형성된 풋걸림홈(210)은 일측이 개방되며, 타측이 폐쇄된 형태를 갖도록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10)는 암나사부(S)의 양측으로 각각 장홀(150)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재(30)의 관통홀(310)과 하현재 가압편(320)의 걸림요부(321) 사이에 엠보싱 리브(32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부재(20)는 합성수지로 사출성형됨을 특징으로 하는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KR1020180095686A 2018-08-16 2018-08-16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KR10194021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686A KR101940216B1 (ko) 2018-08-16 2018-08-16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95686A KR101940216B1 (ko) 2018-08-16 2018-08-16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0216B1 true KR101940216B1 (ko) 2019-01-18

Family

ID=653235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95686A KR101940216B1 (ko) 2018-08-16 2018-08-16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0216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395A (ko) * 2009-03-11 2010-09-24 장광윤 철근트러스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데크의 연결구
KR101237325B1 (ko) * 2012-08-14 2013-02-28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탈형 데크
KR101642110B1 (ko) 2015-12-09 2016-07-25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783034B1 (ko) * 2016-04-12 2017-10-24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101860299B1 (ko) * 2017-04-28 2018-05-23 주식회사 신한씨에스 분리형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02395A (ko) * 2009-03-11 2010-09-24 장광윤 철근트러스 일체형 슬래브 거푸집 데크의 연결구
KR101237325B1 (ko) * 2012-08-14 2013-02-28 주식회사 덕신하우징 탈형 데크
KR101642110B1 (ko) 2015-12-09 2016-07-25 에스와이스틸텍 주식회사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783034B1 (ko) * 2016-04-12 2017-10-24 (주)더나은구조엔지니어링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101860299B1 (ko) * 2017-04-28 2018-05-23 주식회사 신한씨에스 분리형 데크플레이트 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22501B2 (en) Concrete weldment
KR101384609B1 (ko) 측판 강성이 보강된 조립식 보 거푸집
KR100882464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4069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0903212B1 (ko) 트러스거더 연결구
KR101785721B1 (ko) 데크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0903211B1 (ko) 지지구가 보강된 데크플레이트
KR101083698B1 (ko) 단차보강재를 갖는 데크플레이트.
KR101783034B1 (ko) 거푸집 덱 지지용 소켓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탈형 데크, 벽체 거푸집, 보 거푸집, 기둥 거푸집
KR101483908B1 (ko) 탈형 데크용 스페이서 및 탈형 데크
KR101940216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연결구
KR101531493B1 (ko) 탈형 데크플레이트 단부 지지구
KR101946850B1 (ko) 탈형 데크의 스페이서
KR101435004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1642110B1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101382146B1 (ko) 데크 플레이트용 스페이서
KR100859312B1 (ko) 골판형 합성상판
KR101606479B1 (ko) 슬라브 전단 보강용 강판
KR20200133403A (ko) 연결부가 강화된 시스템 동바리 수직재
KR101785905B1 (ko) 프레임 결합 구조
KR20170061463A (ko) 탈형 데크 플레이트
KR200462050Y1 (ko) 거푸집 판넬
KR101940214B1 (ko) 분리 가능한 데크플레이트
KR102429962B1 (ko)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 및 폭변동부를 갖는 강판거푸집보와 춤이 깊은 데크플레이트를 적용한 건식화 공법
KR101791041B1 (ko) 천정보 슬리브 거푸집 고정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