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870B1 -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 - Google Patents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870B1
KR101939870B1 KR1020150108986A KR20150108986A KR101939870B1 KR 101939870 B1 KR101939870 B1 KR 101939870B1 KR 1020150108986 A KR1020150108986 A KR 1020150108986A KR 20150108986 A KR20150108986 A KR 20150108986A KR 101939870 B1 KR101939870 B1 KR 101939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ii
methionine
sample
gold nanoparticles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089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14929A (ko
Inventor
주상우
후앙 리 응웬
오철호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501089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870B1/ko
Publication of KR201700149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149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8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17Systems in which incident light is modified in accordance with the properties of the material investigated
    • G01N21/25Colour; Spectral properties, i.e. comparison of effect of material on the light at two or more different wavelengths or wavelength bands
    • G01N21/31Investigating relative effect of material at wavelengths characteristic of specific elements or molecules, e.g. 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40Concentrating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62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 G01N21/63Systems in which the material investigated is excited whereby it emits light or causes a change in wavelength of the incident light optically excited
    • G01N21/65Raman scattering
    • G01N21/658Raman scattering enhancement Raman, e.g. surface plasm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 G01N31/22Investigating or analysing non-biological materials by the use of the chemical methods specified in the subgroup;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such methods using chemical indicato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33/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specific methods not covered by groups G01N1/00 - G01N31/00
    • G01N33/18Water
    • G01N33/1813Specific cations in water, e.g. heavy met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15/00Nanotechnology for interacting, sensing or actuating, e.g. quantum dots as markers in protein assays or molecular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82NANOTECHNOLOGY
    • B82YSPECIFIC USES OR APPLICATIONS OF NANOSTRUCTURES; MEASUREMENT OR ANALYSIS OF NANOSTRUCTURES; MANUFACTURE OR TREATMENT OF NANOSTRUCTURES
    • B82Y20/00Nanooptics, e.g. quantum optics or photonic crystal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8Diluting, dispersing or mixing samples
    • G01N2001/386Other diluting or mixing processes
    • G01N2001/388Other diluting or mixing processes mixing the sample with a trac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phys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Chemical Reactions (AREA)
  • Investigating, Analyzing Materials By Fluorescence Or Luminesce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물과 같은 시료 중에 함유된 Cr(III) 이온을 메티오닌과 먼저 반응시켜 Cr(III)을 메티오닌으로 둘러싼 후 상기 Cr(III)-메티오닌 복합체가 금나노입자와 결합하고 금나노입자를 응집시켜 비색법, UV-vis 흡광법 또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ERS)법을 통해 시료 중에 함유된 Cr(III) 이온을 300 nM의 검출 한계로 검출할 수 있으며, 특히 방해 이온의 영향 없이 선택적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증류수, 수돗물, 강물 및 바닷물에 함유된 Cr(III)을 검출할 수 있다.

Description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Detecting method of trivalent chromium using methionine}
본 발명은 금나노입자를 이용하며 메티오닌과 복합체를 형성한 Cr(III)의 검출방법에 관한 것이다.
수용액에서 중금속의 검출과 정량에 대한 다양한 방법론들이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나노입자들은 용액에서 중금속 이온을 검출하기 위해 도입되어 왔다.
3가 크롬[Cr(III)]은 인슐린의 민감도를 향상시키므로 당뇨병 식이요법과 치료제로서 이용되고 있다. 물에 함유된 Cr(III)의 정량은 다양한 전통적인 분석 방법(J. Hazard. Mater. 2011, 186, 169-17; J. Hazard. Mater. 2011, 188, 274-280; Electroanalysis 2011, 23, 287-294; Chemosphere 2013, 93, 2467-2472)으로 수행되어 왔으며, 최근 Cr(III)의 검출을 위해 금속 나노구조체가 도입되어 트윈20, 글루타치온, 11-메르캅토운데칸산, 5,5'-디티오-비스-(2-니트로벤조산) 및 구연산을 포함한 몇가지 링커 단위의 조합을 이용한 바 있지만, 검출 방법이 복잡하고 검출 민감도가 낮은 문제가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 검출 민감도가 높으면서도 손쉽고 간편하게 물 시료 중의 Cr(III)을 검출할 수 있는 방법이 여전히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2015-0034871호 (2015.04.06)
본 발명의 목적은 검출 민감도를 향상시키면서 손쉽고 간편한 방법으로 3가 크롬 이온만을 선택적으로 검출할 수 있는 Cr(III)의 검출방법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시료에 메티오닌을 첨가하고 안정화 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용액에 금나노입자를 첨가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650 nm에서 상기 복합체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에 메티오닌을 첨가하고 안정화 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용액에 금나노입자 및 p-아미노벤젠티올을 첨가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체의 표면 증감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과 같은 시료 중에 함유된 Cr(III) 이온을 메티오닌과 먼저 반응시켜 Cr(III)을 메티오닌으로 둘러싼 후 상기 Cr(III)-메티오닌 복합체가 금나노입자와 결합하고 금나노입자를 응집시켜 비색법, UV-vis 흡광법 또는 표면 증강 라만 산란(SERS)법을 통해 시료 중에 함유된 Cr(III) 이온을 300 nM의 검출 한계로 검출할 수 있으며, 특히 방해 이온의 영향 없이 선택적으로 손쉽고 간편하게 증류수, 수돗물, 강물 및 바닷물에 함유된 Cr(III)을 검출할 수 있다.
도 1은 메티오닌(Met) 및 금나노입자(AuNP)의 도입 하에서 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Cr(III)의 검출 모식도를 나타낸다.
도 2a는 Met 및 Met-Cr(III)의 적외선 분석 결과이고, 도 2b는 Met-Cr(III)-AuNP 시료에 대한 Cr의 고성능 XPS 분석 결과이고, 도 2c는 다양한 농도의 Cr(III)에 따른 Met-Cr(III)와 반응하는 금나노입자의 UV-vis 흡광 분석 결과이고, 도 2d는 Cr(III)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650 nm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 것이다.
도 3a은 다양한 이온 복합체를 Met로 처리한 후 금나노입자의 사진을 나타낸 것이고, 도 3b 및 도 3c는 다양한 이온 복합체를 Met로 처리한 후 금나노입자의 UV-vis 흡광 결과이다.
도 4a는 8개의 다양한 아미노산의 선택효과를 검토한 UV-vis 분석 결과이고, 도 4b는 15개의 다양한 이온의 Cr(III) 복합체의 방해효과를 검토한 UV-vis 분석 결과이고, 도 4c는 Cr(III) 또는 Met 중 어느 하나로 처리된 금나노입자의 UV-vis 분석 결과이다.
도 5a는 Cr(III)의 농도에 따른 p-ABT의 SERS 분석 결과이고, 도 5b는 진동밴드 강도에 근거한 Cr(III) 농도에 따른 강도 변화 분석 결과이다.
도 6은 다양한 물 시료에서 Cr(III)의 검출을 위한 UV-vis 분광 분석 결과[(a) 수돗물, (b) 강물 및 (c) 바닷물]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자는 물 시료 중 Cr(III)의 검출방법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던 중, 메티오닌과 Cr(III)이 결합한 후 금나노입자를 처리하면 메티오닌-Cr(III)-금나노입자 간의 응집이 일어나면서 색깔이 변화하는 것을 관찰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시료에 메티오닌을 첨가하고 안정화 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용액에 금나노입자를 첨가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650 nm에서 상기 복합체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메티오닌은 시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2 내지 0.02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흡광도 센서 작동 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는 25 내지 30℃에서 수분 내지 60분 동안 정치할 수 있다.
상기 금나노입자는 상기 안정화된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02 내지 0.02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센서 작동 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복합체는 메티오닌과 Cr(III)이 결합한 후 금나노입자를 처리하여 메티오닌-Cr(III)-금나노입자 간의 응집이 일어난 것으로서, 메티오닌의 카르복시기와 아민기가 시료 중 Cr(III) 이온을 둘러싸고, 메티오닌의 황 원자가 금나노입자와 결합한 것이다.
상기 시료는 증류수, 수돗물, 강물 및 바닷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나노입자는 평균 입자직경이 10 nm 내지 80 nm 사이의 나노입자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료에 메티오닌을 첨가하고 안정화 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용액에 금나노입자 및 p-아미노벤젠티올을 첨가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체의 표면 증감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 SERS)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메티오닌은 시료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라만 센서 작동 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안정화는 25 내지 30℃에서 수분 내지 60분 동안 정치할 수 있다.
상기 금나노입자는 상기 안정화된 용액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 내지 0.1 중량부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함량 범위를 벗어나면 센서 작동 시 문제가 야기될 수 있다.
상기 복합체는 메티오닌과 Cr(III)이 결합한 후 금나노입자를 처리하여 메티오닌-Cr(III)-금나노입자 간의 응집이 일어난 것으로서, 메티오닌의 카르복시기와 아민기가 시료 중 Cr(III) 이온을 둘러싸고, 메티오닌의 황 원자가 금나노입자와 결합한 것이다.
상기 시료는 증류수, 수돗물, 강물 및 바닷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금나노입자는 평균 입자직경이 10 nm 내지 80 nm 사이의 나노입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검출방법에 따르면, 물 시료 중에 300 nM와 같이 마이크로몰 이하의 농도로 함유된 Cr(III)를 수 분 안에 손쉽게 다른 중금속의 방해 없이 검출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1. 금나노입자(AuNPs) 준비
금나노입자는 종래 알려진 방법(J.Phys.Chem. 86, 3391-3395, 1982)에 따라 준비하였다. 즉, 바이알을 피라나 용액으로 세정한 후 30분 내지 1시간 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바이알을 아세톤, 에탄올 및 3차 증류수로 3회 세정하였다. 30 mL의 3차 증류수에 3 mL의 HAuCl4 (14 mM, 0.279 g/ 50 mL)를 첨가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을 가열 및 교반 플레이트에 놓고 끓기 시작할 때 3 mL의 구연산나트륨 (0.57 g/ 50 mL)을 첨가하였다. 이렇게 추가된 구연산나트륨에 의해 혼합용액의 색상이 변하였다. 상기 혼합용액에 3차 증류수를 첨가하고 1시간 동안 유지시켰다. 본 방법의 유용성을 확인하기 위하여, 3차 증류수, 수돗물, 강물 및 바닷물을 이용하여 시험하였다. 강물 시료는 한강으로부터 수집하였고 바닷물 시료는 황해(충청남도 태안)로부터 수집하였다.
2. 분석 방법
금나노입자의 형상은 JEOL JEM-3010 투사전자현미경(TEM)을 이용하여 확인하였고, 금나노입자의 직경은 TEM 측정 결과, ~20 nm이었다. UV-Vis 흡수 스펙트럼은 Mecasys 분광분석기를 사용하였다. 추가적인흡광 거동 확인을 위하여, 금나노입자 표면 상에서 SERS 측정이 수행되었다(J.Am.Chem.Soc. 136, 3833-3841, 2014). 라만 분석은 내부 현미경을 구비한 Renishaw Raman 공초점 시스템 모델 RM1000 분석기(Leica DM LM)을 이용하여 공기-냉각 He-Ne 레이저(Melles Griot Model 25 LHP 928)로부터 유래한 632.8 nm 방사선 조사로 수행하였다. ICP-AES(Inductively Coupled Plasma Emission Spectroscopy, 유도결합 플라즈마 발광광도법)는 ICAP-7400 분석기(Thermo Scientic, USA)를 이용하여 준비된 시료의 원자 조성을 분석하였고, 상기 분석기는 테스트 금속 종들에 대해 10 ppb 이상의 검출한계를 가진다. Hg 측정은 0.6 ppb의 검출한계를 갖는 CETAC M-7500 수은 분석기(USA)를 이용하였다. Cr 측정은 Al-Kα 단색광원을 이용하여 시그마 프로브 기기를 이용하여 X선 광전자(XPS) 분석을 이용하였다. Cr(III) 결합 후 Met의 구조적 변화는 푸리에 트랜스폼 적외선 분광법(FT-IR) 데이터로부터 확인하였으며, 이때 상기 데이터는 MIRacle ZnSe 감쇠 전반사 장치(accessory) 및 협대역 HgCdTe 검출기를 구비한 FT-IR 6700 분광분석기를 이용하여 얻었다.
3. 시료 처리 및 Met-Cr(III)-AuNP의 형성
UV-vis 실험을 위해, 먼저 Met (0.12 M, 3.3 ㎕), Cr(III) (1 mM, 1 ㎕) 및 초순수 (95.7 ㎕)를 1.5 mL 에펜도르프 튜브에 모두 넣은 후, 실온에서 60분 동안 안정화시켰다. 그 후, 100 ㎕의 금나노입자를 첨가하여 Met-Cr(III)-AuNP 복합체를 형성하였다. 그 후, 상기 복합체에 800 ㎕의 초순수를 첨가하였고, pH를 5.35로 유지하여 안정한 Met-Cr(III)-AuNP 어셈블리를 형성하였다.
SERS 실험을 위해, 91.7 ㎕의 H2O, 5 ㎕의 Cr(III) (1 mM) 및 3.3 ㎕의 Met (0.12 M)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60분 이상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에 100 ㎕의 금나노입자 및 1 ㎕의 p-ABT (p-아미노벤젠티올, 10 mM)을 첨가하고 SERS 스펙트럼을 관찰하였다. 과량의 Met을 이용하여 효과적으로 금나노입자와 상호작용하며 얻어진 스펙트럼 변화를 모니터링 하였다.
XPS 실험을 위해, 10 ㎕의 Cr(III) (1 mM) 및 33 ㎕의 Met (0.12 M)을 혼합하고, 실온에서 60분 이상 교반하였다. 그 후, 상기 혼합물에 957 ㎕의 금나노입자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그 후, 1 mL의 혼합물을 1.5 mL의 원심분리 튜브에 넣고, 4℃의 온도에서 10,000 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Met-Cr(III)-AuNP를 수집하고, 상등액을 조심스럽게 제거하였다. 그 후, 20 ㎕의 Met-Cr(III)-AuNP를 커버글라스 (5mm x 5mm) 상에 한 방울씩 떨어뜨리고 75℃에서 밤새도록 건조하였다.
Met-Cr(III)-AuNP의 형성은 시료의 UV-vis 흡광 분석을 기록하여 확인하였다. 금나노입자는 물 (1 μM)에서 Met-Cr(III)에 대한 선택적 턴온 UV-vis 강도 반응을 나타내었다. 반응 거동은 다양하게 환경적으로 관련된 금속 이온의 존재 하에서 Met-Cr(III)-AuNP에 대해 관찰하였다. Met-Mn+-AuNP의 UV-vis 분석 특징은 다른 이온(5 μM의 농도)의 존재 하에서 변화하지 않았다. 테스트된 모든 금속 이온 중에서 단지 Cr3+ 이온만이 Met와 결합한 후 금나노입자의 존재 하에서 증가된 UV-vis 강도를 나타내었다.
4. 실험결과
도 1은 Met 및 금나노입자의 도입 하에서 분광 분석법을 이용한 Cr(III)의 검출 모식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는 도 1과 같이 Met과의 접합 후 Cr(III)이 금나노입자 상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응집이 야기되어 분광적 변화를 나타내었다.
도 2a는 Met 및 Met-Cr(III)의 적외선 분석 결과로서, 1364, 1511 및 1638 cm-1에서의 강한 밴드는 νs(COO-), νas(COO-) 및 βas(NH3 +)에 기인한 것이며, 카르복실기와 아미노기에 의해 Cr(III)은 Met과 강한 결합을 의미한다.
도 2b는 Met-Cr(III)-AuNP 시료에 대한 Cr의 고성능 XPS 분석 결과로서, Met-Cr(III)-AuNP 시료에서 C, N, O, S, Cr 및 Au의 원자 퍼센트는 각각 42.8%, 2.69%, 10.29%, 3.05%, 0.42% 및 40.75%로 나타났다. 따라서, Met-Cr(III) 복합체는 금나노입자 상에 강하게 결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c는 다양한 농도의 Cr(III)에 따른 Met-Cr(III)와 반응하는 금나노입자의 UV-vis 흡광 분석 결과로서, 흡광 밴드가 붉은색으로 이동하여 입자가 응집됨을 알 수 있었다.
도 2d는 Cr(III) 농도가 증가함에 따른 650 nm에서의 흡광도를 나타낸 것으로서, Cr(III)의 농도가 1 μM 이하에서 Cr(III) 농도와 흡광도 간의 선형 관계를 나타내었고, 그 보다 높은 농도에서 안정기를 나타내었다. 검출한계는 300 nM 이하로 나타났다.
도 3a은 다양한 이온 복합체를 Met로 처리한 후 금나노입자의 사진을 나타낸 것으로서, 단지 Cr만이 다른 색상을 나타내었고, 도 3b 및 도 3c는 다양한 이온 복합체를 Met로 처리한 후 금나노입자의 UV-vis 흡광 결과로서, 모든 이온종 중에서 단지 Cr만이 Met 존재 하에서 표면 플라즈몬 밴드의 이동을 나타내었다.
도 4a는 8개의 다양한 아미노산의 선택효과를 검토한 UV-vis 분석 결과로서, 단지 Gly과 Lys이 약한 응집을 나타낼 뿐, Met만이 650 nm에서 증가된 흡광도 변화를 나타내 강한 응집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b는 15개의 다양한 이온의 Cr(III) 복합체의 방해효과를 검토한 UV-vis 분석 결과로서, 다른 15개의 이온 복합체는 Cr(III)의 선택적 검출을 방해하지 않았다. 도 4c는 Cr(III) 또는 Met 중 어느 하나로 처리된 금나노입자의 UV-vis 분석결과로서, Met이 먼저 금나노입자 상에 부착된 후 Cr(III)을 처리하면 어떠한 응집도 유발되지 않았다.
도 5a는 Cr(III)의 농도에 따른 p-ABT의 SERS 분석 결과이며, 도 5b는 진동밴드 강도에 근거한 Cr(III) 농도에 따른 강도 변화 분석 결과로서, 수용액에서 마이크로몰 범위의 Cr(III)도 검출할 수 있었다.
도 6은 다양한 물 시료에서 Cr(III)의 검출을 위한 UV-vis 분광 분석 결과[(a) 수돗물, (b) 강물 및 (c) 바닷물]이며, 하기 표 1에서도 4개의 물 시료(#1: 증류수, #2: 수돗물, #3: 강물, #4: 바닷물)에서 함유하는 Cr(III)의 양을 ICP-AES 분석을 통해 분석한 결과이며, 표면 플라즈몬 이동 및 응집이 단지 Met-Cr(III)에서만 야기되었다. 특히, 다른 이온종들의 방해에도 불구하고 Met-Cr(III) 및 금나노입자를 이용한 본 발명을 통해 실제 물 시료에서 흔적량의 Cr(III) 분석이 선택적으로 가능한 장점이 있다.
[표 1]
Figure 112015074778632-pat00001
이상으로 본 발명 내용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실시양태일 뿐이며, 이에 의해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그것들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7)

  1. 시료에 메티오닌을 첨가하고 안정화 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용액에 금나노입자를 첨가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650 nm에서 상기 복합체의 흡광도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체는 메티오닌의 카르복시기와 아민기가 시료 중 Cr(III) 이온을 둘러싼 후, Cr(III) 이온을 둘러싼 메티오닌의 황 원자가 금나노입자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증류수, 수돗물, 강물 및 바닷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금나노입자는 평균 입자직경이 10 nm 내지 80 nm의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
  5. 시료에 메티오닌을 첨가하고 안정화 시키는 단계;
    상기 안정화된 용액에 금나노입자 및 p-아미노벤젠티올을 첨가하여 복합체를 형성하는 단계; 및
    상기 복합체의 표면 증강 라만 산란(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 SERS)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복합체는 메티오닌의 카르복시기와 아민기가 시료 중 Cr(III) 이온을 둘러싼 후, Cr(III) 이온을 둘러싼 메티오닌의 황 원자가 금나노입자와 결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시료는 수돗물, 강물 및 바닷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금나노입자는 평균 입자직경이 10 nm 내지 80 nm의 나노입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료 중 Cr(III) 이온의 검출방법.
KR1020150108986A 2015-07-31 2015-07-31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 KR101939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86A KR101939870B1 (ko) 2015-07-31 2015-07-31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08986A KR101939870B1 (ko) 2015-07-31 2015-07-31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29A KR20170014929A (ko) 2017-02-08
KR101939870B1 true KR101939870B1 (ko) 2019-01-17

Family

ID=581551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08986A KR101939870B1 (ko) 2015-07-31 2015-07-31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87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255664B (zh) * 2017-06-14 2019-03-29 青岛科技大学 一种检测氯霉素的SnSe/SWNT修饰电极光致电化学传感器制备方法及应用
CN109975267B (zh) * 2019-03-05 2021-06-22 江苏大学 一种融合液液微萃取与sers技术检测铬离子的方法
KR102257447B1 (ko) * 2019-09-16 2021-05-31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표면개질-나노입자를 포함하는 수은 이온(ⅱ) 검출용 비색 센서,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수은 이온(ⅱ) 검출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6866A (zh) * 2012-05-18 2012-10-03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快速检测多种单一金属离子的检测试剂及其制备和应用
JP2015042958A (ja) 2013-08-26 2015-03-05 公立大学法人大阪府立大学 被検出微生物を検出する検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455297T1 (de) * 2006-09-27 2010-01-15 Centre Nat Rech Scient Mikrosensor zur bestimmung von d-aminosäuren
KR101548806B1 (ko) 2013-09-26 2015-09-01 서울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화합물, 이를 이용한 크롬 이온 또는 알루미늄 이온 검출제, 검출방법 및 검출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706866A (zh) * 2012-05-18 2012-10-03 中国科学院宁波材料技术与工程研究所 一种快速检测多种单一金属离子的检测试剂及其制备和应用
JP2015042958A (ja) 2013-08-26 2015-03-05 公立大学法人大阪府立大学 被検出微生物を検出する検出方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Huang, Yi-Fan, et al. "Surface-enhanced Raman spectroscopic study of p-aminothiophenol." Physical Chemistry Chemical Physics 14.24 (2012): 8485-8497.(2012.12.3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14929A (ko) 2017-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awat et al. Visual detection of arginine, histidine and lysine using quercetin-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s
Shrivas et al. Colorimetric and smartphone-integrated paper device for on-site determination of arsenic (III) using sucrose modified gold nanoparticles as a nanoprobe
Chansuvarn et al. Visual and colorimetric detection of mercury (II) ion using gold nanoparticles stabilized with a dithia-diaza ligand
Liu et al. Colorimetric speciation of Cr (III) and Cr (VI) with a gold nanoparticle probe
Parmar et al. Picric acid capped silver nanoparticles as a probe for colorimetric sensing of creatinine in human blood and cerebrospinal fluid samples
Jin et al. Determination of malachite green in environmental water using cloud point extraction coupled with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Ma et al. Selective and sensitive SERS sensor for detection of Hg 2+ in environmental water base on rhodamine-bonded and amino group functionalized SiO 2-coated Au–Ag core–shell nanorods
Qi et al. Terbium (III)/gold nanocluster conjugates: the development of a novel ratiometric fluorescent probe for mercury (II) and a paper-based visual sensor
Jabariyan et al. Colorimetric detection of cadmium ions using modified silver nanoparticles
Apyari et al. Determination of cysteamine using label-free gold nanoparticles
Zhang et al. Determination of cysteine, homocysteine, cystine, and homocystine in biological fluids by HPLC using fluorosurfactant‐capped gold nanoparticles as postcolumn colorimetric reagents
KR101939870B1 (ko) 메티오닌을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
CN108956593B (zh) 一种无适配体纳米金水溶胶可视化检测三聚氰胺的方法
Sahu et al. A simple and cost-effective paper-based and colorimetric dual-mode detection of arsenic (iii) and lead (ii) based on glucose-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s
KR101703436B1 (ko) EDTA를 이용한 Cr(III)의 검출방법
Wu et al. Sensitive and selective localized surface plasmon resonance light-scattering sensor for Ag+ with unmodified gold nanoparticles
Xie et al. A single gold nanoprobe for colorimetric detection of silver (i) ions with dark-field microscopy
Tao et al. A comparative study of different reagentless plasmon sensors based on Ag–Au alloy nanoparticles for detection of Hg
CN109781694B (zh) 一种葡萄酒中金属离子的快速检测方法
Wonjung et al. Solid-phase colorimetric sensor for hypochlorite
Huang et al. Quantitative and ultrasensitive detection of brombuterol by a surface-enhanced Raman scattering (SERS)-based lateral flow immunochromatographic assay (FLIA) using Ag MBA@ Au–Ab as an immunoprobe
Yoon et al. Highly sensitive colorimetric determination of nitrite based on the selective etching of concave gold nanocubes
CN113138185B (zh) 基于mof的sers技术检测牛奶中硫氰酸钠的方法
Pourreza et al. Colorimetric sensing of copper based on its suppressive effect on cloud point extraction of label free silver nanoparticles
Shaikh et al. 2, 3-Pyridine dicarboxylic acid functionalized gold nanoparticles: insight into experimental conditions for Cr3+ sens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17101001914;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70421

Effective date: 20181221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