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802B1 -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 Google Patents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802B1
KR101939802B1 KR1020180087770A KR20180087770A KR101939802B1 KR 101939802 B1 KR101939802 B1 KR 101939802B1 KR 1020180087770 A KR1020180087770 A KR 1020180087770A KR 20180087770 A KR20180087770 A KR 20180087770A KR 101939802 B1 KR101939802 B1 KR 1019398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mperature
intake
humidity
condensation
dew condens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7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정훈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77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80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8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8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209Thermal management, e.g. fan control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3Venting aperture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 H05K7/20136Forced ventilation, e.g. by fans
    • H05K7/20145Means for directing air flow, e.g. ducts, deflectors, plenum or guid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 Power Sources (AREA)

Abstract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개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방법은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 단계;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습도 및 외부 온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센싱하는 온습도 센싱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흡배기구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결로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Dew Condens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운용장비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방법과 결로 방지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일반적으로 야외에서 사용되는 운용장비는 외부온도와 내부 온도의 차이로 인해 발생하는 결로를 해결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이다. 여기서, 결로는 운용장비의 온도가 대기 환경의 이슬점 온도보다 낮을 때 발생하게 된다.
종래의 결로 제거 방법은 운용장비 내부에 구비된 가열기 및 팬을 구동시켜 운용장비의 온도를 항상 대기온도보다 높게 만들어 결로의 발생을 막는 것이며, 이러한 방법으로 운용장비의 내외부 결로를 모두 제거할 수 있다.
하지만, 종래의 결로 제거 방법은 결로 방지를 위해 팬과 히터를 사용하기 때문에 많은 소모전력이 발생하며, 운용장비에 공급되는 전원이 차단된 상태에서는 팬과 히터의 구동이 어려워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특히, 공랭식 방식의 운용장비의 경우 흡배기구를 통해 장비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감에 따라 결로를 방지할 수 있는 효율이 매우 낮게 된다. 이에 따라, 옥외 분전반이나 군용 장비와 같이 외부 온도 변화에 노출되어 있는 운용장비의 결로 방지를 위한 기술이 필요로 하다.
본 발명은 운용장비에 공급되는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및 외부 온도를 센싱하고, 운용장비의 내외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흡배기구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를 제공하는 데 주된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결로 방지 제어방법은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 단계;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습도 및 외부 온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센싱하는 온습도 센싱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흡배기구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결로 제어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결로 방지 제어장치는 운용장비로 외부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흡배기구를 개폐하는 흡배기구 개폐부; 상기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습도 및 외부 온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센싱하는 온습도 센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결로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 방지를 위하여 흡배기구를 개방 또는 차폐를 제어하며, 24 시간 동안 단 한번의 흡배기구 개방 및 차폐 제어를 수행할 수 있으므로 최소한의 전원(에너지)를 이용하여 운용장비의 결로를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적은 에너지로 결로를 제거할 수 있으므로, 운용장비의 전원이 차단된 환경에서도 배터리를 사용하여 장기간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잇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가열기(히터)를 사용하여 내외부 결로의 발생을 방지할 때에도, 흡배기구의 차폐를 통해 열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운용장비의 내외부 절대습도량을 계산하여 흡배기구의 개폐 여부를 제어함으로써, 히터에 의한 온도 상승을 최소화하면서 에너지 효율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어장치의 동작방식과 종래의 결로 제거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어장치가 적용된 공랭식 장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할 것이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하거나 제한되지 않고 당업자에 의해 변형되어 다양하게 실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에 대해 자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운용장비는 옥외 분전반, 군용 장비 등일 수 있으며, 운용장비의 구조는 밀폐식 또는 공랭식 장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어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 구성도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전원 제어부(110), 제1 온습도 센서부(120), 제2 온습도 센서부(130), 배기구 개폐부(140), 흡기구 개폐부(150) 및 결로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도 1에 기재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의 구성요소들은 일 실시예에 따른 것으로 필요에 따라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구성요소는 추가, 삭제, 병합될 수 있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내부 또는 외부에 발생하는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흡기구 및 배기구(이하, '흡배기구'로 기재)의 개폐 상태를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에 공급되는 전원 공급 상태에 따라 운용장비의 내부 또는 외부의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한 동작을 수행한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 내에 포함된 구성요소 중 하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에 연동하면서 결로의 생성을 방지하기 위한 별도의 장치일 수 있다.
전원 제어부(110)는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확인하고,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에 사용될 전원을 제어한다.
전원 제어부(110)는 운용장비의 전원이 공급 상태인지 미공급 상태인지를 판단한다. 전원 제어부(110)는 운용장비의 전원이 공급 상태인 경우,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한편, 전원 제어부(110)는 운용장비의 전원이 미공급 상태인 경우, 운용장비 또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를 이용하여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가 동작할 수 있도록 한다.
전원 제어부(110)는 사용자의 조작 또는 입력에 따른 조작신호에 근거하여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용장비의 전원부(미도시)와 연동하여 실시간으로 전원 상태를 확인할 수도 있다.
제1 온습도 센서부(120)는 운용장비의 외부 환경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여 제1 측정값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1 온습도 센서부(120)는 운용장비의 외부 대기환경에 대한 센서의 반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잡음 제거 및 증폭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외부 온도, 습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측정값을 생성한다.
제1 온습도 센서부(120)는 운용장비의 외부 일측면에 구비되며, 정확한 외부 환경의 센싱을 위하여 외부 상측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1 온습도 센서부(120)는 운용장비의 내부 환경을 측정하는 제2 온습도 센서부(130)와 동일한 위치 조건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온습도 센서부(120) 및 제2 온습도 센서부(130)는 운용장비를 관통하는 가상의 일직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제2 온습도 센서부(130)는 운용장비의 내부 환경에 대한 온도 및 습도를 센싱하여 제2 측정값을 생성하는 동작을 수행한다. 제2 온습도 센서부(130)는 운용장비의 내부 대기환경에 대한 센서의 반응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잡음 제거 및 증폭 등의 신호처리를 수행하여 내부 온도, 습도 등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제2 측정값을 생성한다.
제2 온습도 센서부(130)는 운용장비의 내부 일측면에 구비되며, 정확한 외부 환경의 센싱을 위하여 내부 공기가 배출되는 배기구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제2 온습도 센서부(130)는 운용장비의 외부 환경을 측정하는 제1 온습도 센서부(120)와 동일한 위치 조건 상에서 측정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1 온습도 센서부(120) 및 제2 온습도 센서부(130)는 운용장비를 관통하는 가상의 일직선 상에 구비될 수 있다.
배기구 개폐부(140)는 결로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운용장비의 배기구를 개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배기구 개폐부(140)는 결로 제어부(160)로부터 배기구 개방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조정하고, 배기구 차폐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배기구를 차폐 상태로 조정한다. 배기구 개폐부(140)는 운용장비의 배기구와 결합된 하나의 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용장비에 구비된 배기구에 추가 장착된 형태의 개폐 제어장치일 수 있다.
흡기구 개폐부(150)는 결로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운용장비의 흡기구를 개폐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흡기구 개폐부(150)는 결로 제어부(160)로부터 흡기구 개방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흡기구를 개방 상태로 조정하고, 흡기구 차폐 요청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흡기구를 차폐 상태로 조정한다. 흡기구 개폐부(150)는 운용장비의 흡기구와 결합된 하나의 장치일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운용장비에 구비된 흡기구에 추가 장착된 형태의 개폐 제어장치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배기구 개폐부(140) 및 흡기구 개폐부(150)는 별도의 동작하는 장치인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결로 제어부(160)의 제어에 따라 동시에 제어되는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로 제어부(160)는 배기구 개폐부(140) 및 흡기구 개폐부(150)를 동시에 제어하기 위하여 흡배기구 개방 요청신호 또는 흡배기구 차폐 요청신호를 이용하여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결로 제어부(160)는 운용장비의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의 전반적인 제어를 수행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에 포함된 전원 제어부(110), 제1 온습도 센서부(120), 제2 온습도 센서부(130), 배기구 개폐부(140), 흡기구 개폐부(150) 등과 연동하여 운용장비의 결로 발생을 방지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 내외부 온습도 측정값 등에 근거하여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함으로써, 운용장비의 결로 발생을 방지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전원 제어부(110)로부터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획득한다.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는 전원 미공급 상태, 전원 공급 상태로 구분될 수 있다.
이하, 운용장비의 전원 미공급 상태에서 결로 제어부(160)의 동작에 대해 기재하도록 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전원 소모량을 최소화하는 상태에서 운용장비의 결로 발생을 방지하는 제어를 수행하며, 이로 인해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만을 방지하기 위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즉, 결로 제어부(160)는 최소한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제1 온습도 센서부(120)로부터 제1 측정값을 획득하고, 제1 측정값을 기반으로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변화 여부를 판단한다.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결로 제어부(160)는 배기구 개폐부(140) 및 흡기구 개폐부(150)로 흡배기구 차폐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흡배기구를 차폐 상태로 제어한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의 현재 상태가 차폐 상태이면 차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흡배기구의 현재 상태가 개방 상태이면 흡배기구를 차폐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흡배기구를 차폐 상태로 제어하여 운용장비의 표면 온도가 내부 공기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를 방지하거나 기 생성된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결로 제어부(160)는 배기구 개폐부(140) 및 흡기구 개폐부(150)로 흡배기구 개방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의 현재 상태가 개방 상태이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흡배기구의 현재 상태가 차폐 상태이면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여 운용장비의 온도가 내부 공기 온도보다 높게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를 방지하거나 기 생성된 결로를 제거할 수 있다.
이하,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에서 결로 제어부(160)의 동작에 대해 기재하도록 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운용장비의 내부 및 외부의 결로를 모두 방지하기 위한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결로 제어부(160)는 운용장비에 공급되는 전원을 이용하여 운용장비의 내외부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결로 제어부(160)는 제1 온습도 센서부(120) 및 제2 온습도 센서부(130) 각각으로부터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획득하고, 제1 측정값 및 제2 측정값을 기반으로 운용장비의 내부 및 외부의 절대 습도량을 산출한다.
내부 절대 습도량을 기준으로 외부의 절대 습도량이 더 작은 경우, 결로 제어부(160)는 배기구 개폐부(140) 및 흡기구 개폐부(150)로 흡배기구 개방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습도가 적은 외부 공기를 운용장비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외부 공기가 운용장비의 내부로 유입되면서 순간적으로 결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온도 평형 상태 즉,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온도 조건일 때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
한편, 내부 절대 습도량을 기준으로 외부의 절대 습도량이 더 큰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배기구 개폐부(140) 및 흡기구 개폐부(150)로 흡배기구 차폐 요청신호를 전송하여 흡배기구를 차폐 상태로 제어한다.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를 차폐하여, 가열기(히터)로 상승시킨 내부의 열이 외부로 최대한 적게 빠져나가도록 하여 결로 차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확인한다(S210). 여기서,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는 전원 미공급, 전원 공급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 전원 미공급 상태는 운용장비에 인가되는 전원이 없는 상태로서 결로 방지를 위해 배터리의 전원을 사용해야만 하는 상태를 의미하고, 전원 공급 상태는 운용장비에 인가되는 전원이 존재하는 상태를 의미한다. 전원 공급 상태에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장비 운용 또는 미운용에 따라 결로 방지를 위한 제어동작이 달라지게 된다.
단계 S210의 확인 결과, 운용장비의 전원이 미공급 상태인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에 구비된 배터리(미도시)의 전원만을 이용하여 결로를 방지한다. 전원 미공급 상태일 때,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배터리의 사용을 최소화하기 위해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만을 방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를 측정한다(S220).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외부에 구비된 제1 온습도 센서(120)를 이용하여 외부 온도에 대한 측정값을 센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기 설정된 주기 예컨대, 5 분, 15 분, 30 분 등과 같이 설정된 주기마다 반복하여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를 측정할 수 있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단계 S220에서 측정된 외부 온도 측정값을 분석하여 외부 온도가 상승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2).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현재 측정된 측정값을 기 측정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외부 온도의 상승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22에서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상승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의 차폐 상태를 확인하고(S230), 흡배기구를 차폐 상태로 제어한다(S232).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의 현재 상태가 차폐 상태이면 차폐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흡배기구의 현재 상태가 개방 상태이면 흡배기구를 차폐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한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단계 S220에서 측정된 측정값을 분석하여 외부 온도가 하강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224).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현재 측정된 측정값을 기 측정된 측정값을 비교하여 외부 온도의 하강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단계 S224에서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하강하는 것으로 판단된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의 개방 상태를 확인하고(S240),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한다(S242).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의 현재 상태가 개방 상태이면 개방된 상태가 유지되도록 제어하고, 흡배기구의 현재 상태가 차폐 상태이면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변경되도록 제어한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단계 S222 및 S224에서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일정한 온도를 유지하는 경우 즉, 외부 온도의 상승 또는 하강이없는 경우, 현재 흡배기구의 개폐 상태를 유지한다.
단계 S220 내지 S242의 제어를 통해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배터리 전원 즉 최소의 전원을 이용하여 운용장비의 내부의 결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단계 S210의 확인 결과, 운용장비의 전원이 공급 상태인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전원 공급에 따른 장비 운용 여부를 확인한다(S250).
단계 S250에서 운용장비에 전원만 공급되고 장비가 운용되지 않는 경우,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내외부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제어를 수행한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 내의 가열기(히터)가 구동되도록 한다(S252).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공급된 전원을 이용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하여 가열기(히터)를 구동시킨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S260).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외부에 구비된 제1 온습도 센서(120)를 이용하여 외부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측정값을 센싱할 수 있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 및 습도를 측정한다(S262).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외부에 구비된 제2 온습도 센서(130)를 이용하여 내부 온도 및 습도에 대한 측정값을 센싱할 수 있다.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내부의 온습도 측정값 및 외부의 온습도 측정값을 기반으로 내부 절대 습도량 및 외부 절대 습도량을 산출한다(S264). 여기서, 내부 절대 습도량은 운용장비의 내부에 결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기준 습도량을 의미하며, 외부 절대 습도량은 운용장비의 외부 즉 장비의 표면에 결로가 발생할 것으로 예측되는 기준 습도량을 의미한다. 단계 S264는 내부 절대 습도량 및 외부 절대 습도량을 산출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필요에 따라 내부의 절대 습도량만을 산출하여 결로를 방지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내부 절대 습도량을 기준으로 외부의 절대 습도량이 더 작은 경우(S270),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온도 평형 상태에서(S272) 흡배기구가 개방되도록 제어한다(S280).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함으로써, 습도가 적은 외부 공기를 운용장비의 내부로 유입시킬 수 있다.
외부 공기가 운용장비의 내부로 유입될 때, 결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단계 S272와 같이 온도 평형 상태일 경우에만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내부 절대 습도량을 기준으로 외부의 절대 습도량이 더 큰 경우(S270),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가 차폐되도록 제어한다(SS290). 여기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를 차폐하여, 가열기(히터)로 상승시킨 내부의 열이 외부로 최대한 적게 빠져나가도록 하여 결로 차폐 효율을 높일 수 있다.
한편, 단계 S250에서 운용장비에 전원이 공급되고 장비가 운용되는 경우에는 운용장비의 발열 및 팬 구동으로 인해 자체 결로 제거 기능이 동작함에 따라 별도의 결로 방지 제어를 처리하지 않으며, 흡배기구는 차폐 상태로 제어한다.
도 2에서는 각 단계를 순차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기재하고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시 말해, 도 2에 기재된 단계를 변경하여 실행하거나 하나 이상의 단계를 병렬적으로 실행하는 것으로 적용 가능할 것이므로, 도 2는 시계열적인 순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 기재된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 방법은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또는 프로그램)이 기록되고 단말장치(또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컴퓨팅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 또는 매체를 포함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어장치의 동작방식과 종래의 결로 제거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는 종래의 밀폐식 구조의 운용장비에서 결로 발생 및 제거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의 (b)는 종래의 공랭식 구조의 운용장비에서 결로 발생 및 제거되는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의 동작 방식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의 (a), (b), (c)는 운용장비의 가열기(히터)를 미사용한 상태에서 결로가 발생되는 현상과 결로가 제거되는 동작을 24 시간(하루) 동안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의 (a)를 참조하면, 종래의 밀폐식 구조의 운용장비에서는 열의 전도 현상으로 인해 외부의 열이 내부로 전달된다. 이에 따른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운용장비의 표면 온도가 변화하게 되고, 전도에 의해 내부 온도가 변화하게 된다.
도 3의 (a)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밀폐식 구조의 운용장비에서 외부의 공기 온도가 상승할 때에는 운용장비의 표면 온도가 내부 공기 온도보다 높아짐에 따라 장비 내부에 발생한 결로가 제거된다. 반면, 종래의 밀폐식 구조의 운용장비에서 외부의 공기 온도가 하강할 때에는 운용장비의 표면 온도가 내부 공기 온도보다 낮아짐에 따라 장비 내부에 발생한 결로가 발생하게 된다.
도 3의 (b)를 참조하면, 종래의 공랭식 구조의 운용장비에서는 외부의 공기가 대류 현상을 통해 내부로 전달되므로, 외부 온도의 변화에 따라 장비 내부 공기 온도가 우선적으로 변화하게 되고, 전도 현상에 의해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변화하게 된다.
도 3의 (b)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공랭식 구조의 운용장비에서 외부 공기 온도가 상승할 때에는 운용장비의 표면 온도가 내부 공기 온도보다 낮아짐에 따라 결로가 발생하게 되고, 외부 공기 온도가 하강할 때에는 운용장비의 표면 온도가 내부 공기 온도보다 높아짐에 따라 결로가 제거된다.
도 3의 (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상승 또는 하강하더라도 운용장비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3의 (c)의 그래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상승하는 구간에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가 차폐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용장비 내부의 공기 온도가 표면 온도보다 낮아지도록 하여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를 방지 및 제거할 수 있다.
한편,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가 하강하는 구간에서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흡배기구가 개방되도록 제어함으로써, 운용장비 내부의 공기 온도가 표면 온도보다 낮아지도록 하여 운용장비의 결로를 방지 및 제거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방지 제어장치(100)는 운용장비의 외부 온도 변화하더라도 운용장비의 결로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로 제어장치가 적용된 공랭식 장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의 (a)는 공랭식 운용장비(400)의 정면도를 나타내고, 도 4의 (b)는 공랭식 운용장비(400)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랭식 운용장비(400)는 덕트(410), 회로 거치부(420), 송풍팬(430), 흡입구(440) 및 가열기(450)를 포함할 수 있다.
공랭식 운용장비(400)의 외부에는 제1 온습도 센서(120)를 구비하고, 내부에는 제2 온습도 센서(130)를 구비할 수 있으며, 덕트(410) 및 흡입구(440) 각각에는 배기구 개폐장치(140) 및 흡입구 개폐장치(150)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온습도 센서(120) 및 제2 온습도 센서(130)는 운용장비를 관통하는 가상의 일직선 상에 구비되어 내외부 온습도를 측정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실시예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결로 방지 제어장치 120: 제1 온습도 센서부
130: 제2 온습도 센서부 140: 배기구 개폐부
1510: 흡기구 개폐부 160: 결로 제어부

Claims (14)

  1. 운용장비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상기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 단계;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습도 및 외부 온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센싱하는 온습도 센싱 단계;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흡배기구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결로 제어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제어 단계에서 상기 운용장비의 전원이 공급되면서 상기 운용장비는 운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온습도 센싱 단계에서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외부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온습도에 대한 제1 측정값 및 상기 내부 온습도에 대한 제2 측정값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 제어 단계는,
    상기 운용장비의 전원이 미공급되는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배터리 전원을 사용하며, 상기 온습도 센싱 단계에서는 상기 배터리 전원을 이용하여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결로만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온습도에 대한 제1 측정값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싱 단계는,
    기 설정된 시간동안 상기 제1 측정값을 센싱하고,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측정값의 온도가 변화하는 구간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싱 단계에서,
    센싱된 상기 제1 측정값의 온도가 상승하는 경우,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흡배기구가 차폐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는 동안 상기 흡배기구의 차폐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온습도 센싱 단계에서,
    센싱된 상기 제1 측정값의 온도가 하강하는 경우,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흡배기구가 개방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도가 외부 온도보다 낮게 유지되는 동안 상기 흡배기구의 개방 상태를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을 기반으로 내부 절대 습도값 및 외부 절대 습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내부 절대 습도값 및 상기 외부 절대 습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내부 절대 습도량을 기준으로 상기 외부의 절대 습도량이 더 작은 경우, 습도가 적은 외부 공기가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로 유입되도록 상기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외부 공기의 유입 시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이 결로가 발생하지 않는 온도 조건일 때 상기 흡배기구를 개방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어 단계는,
    상기 내부 절대 습도량을 기준으로 상기 외부의 절대 습도량이 더 큰 경우, 내부의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는 것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상기 흡배기구를 차폐 상태로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방법.
  13. 운용장비의 결로를 방지하기 위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운용장비로 외부 공기를 유입 또는 차단되도록 흡배기구를 개폐하는 흡배기구 개폐부;
    상기 운용장비의 전원 공급 상태를 판단하는 전원 제어부;
    상기 전원 공급 상태에 근거하여 상기 운용장비의 내부 온습도 및 외부 온습도 중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센싱하는 온습도 센서부;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정값을 기반으로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 여부를 결정하고, 결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결로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전원 제어부에서 상기 운용장비의 전원이 공급되면서 상기 운용장비는 운용되지 않는 경우, 상기 온습도 센서부에서는 상기 운용장비의 내외부 결로를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외부 온습도에 대한 제1 측정값 및 상기 내부 온습도에 대한 제2 측정값을 센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결로 제어부는,
    상기 제1 측정값 및 상기 제2 측정값을 기반으로 내부 절대 습도값 및 외부 절대 습도값을 산출하고, 상기 내부 절대 습도값 및 상기 외부 절대 습도값을 비교하여 상기 흡배기구의 개폐를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결로 방지 제어장치.
KR1020180087770A 2018-07-27 2018-07-27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KR1019398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70A KR101939802B1 (ko) 2018-07-27 2018-07-27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770A KR101939802B1 (ko) 2018-07-27 2018-07-27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802B1 true KR101939802B1 (ko) 2019-04-11

Family

ID=661672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770A KR101939802B1 (ko) 2018-07-27 2018-07-27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802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2886A (zh) * 2019-10-22 2021-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液冷散热系统、散热控制方法及控制芯片
KR102279481B1 (ko) * 2020-10-15 2021-07-19 이성만 배전반의 결로 방지 시스템
WO2023113208A1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대 습도 산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17B1 (ko) * 2011-02-21 2011-07-12 (주)제이케이알에스티 결로방지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6864B1 (ko) * 2013-01-18 2013-06-18 홍현성 대기전력을 이용한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48517B1 (ko) * 2011-02-21 2011-07-12 (주)제이케이알에스티 결로방지 자동제어 장치 및 그 방법
KR101276864B1 (ko) * 2013-01-18 2013-06-18 홍현성 대기전력을 이용한 결로방지 기능을 갖는 환기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702886A (zh) * 2019-10-22 2021-04-23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液冷散热系统、散热控制方法及控制芯片
KR102279481B1 (ko) * 2020-10-15 2021-07-19 이성만 배전반의 결로 방지 시스템
WO2023113208A1 (ko) * 2021-12-14 2023-06-22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절대 습도 산출 장치 및 그것의 동작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802B1 (ko) 결로 방지 제어 방법 및 그를 위한 장치
US8155922B2 (en) Electrical device cooling efficiency monitoring
EP1988760A1 (en) Temperature control device, management device, system and method
EP2138922B1 (en) Method for fan control according to the position of a device and device implementing the procedure
US7421368B2 (en) Detection of airflow anomalies in electronic equipment
JP4973782B2 (ja) 情報処理装置システムおよびその制御方法
US20130211599A1 (en) System control apparatus and system control method
JP2016142440A (ja) コンテナ型データセンター、評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7249718B2 (en) Cooling system with a variable maximum operation level
US9482632B2 (en) Abnormality detection device
US9506821B1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fan speed
CN107145431A (zh) 服务器bmc系统风道异常监控报警的方法及服务器
CN112449766B (zh) 设备柜和运行冷却装置的方法
JP2008034715A (ja) 電子装置およびラック型電子装置
US8311764B1 (en) System and method for approximating ambient temperature
JP2010050220A (ja) ラックキャビネット及びラックキャビネットに搭載された電子機器の冷却方法
KR101862129B1 (ko) 전자장치를 격납할 수 있는 케이스를 포함하는 온도 제어 시스템
KR101831736B1 (ko) 전자장치를 격납할 수 있는 케이스와 이들을 포함하는 전자시스템
KR100812119B1 (ko) 실내온도 제어장치
US20110178642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US11913662B2 (en) Temperature controller for a temperature control mechanism preventing condensation
CN213067728U (zh) 一种通风口防尘监控机构
CN114295961B (zh) 大功率芯片的功率温度循环试验方法、装置和电子设备
KR100654563B1 (ko) 고도 측정장치 및 이를 이용한 냉각장치
JPWO2018207270A1 (ja) 記憶媒体の評価試験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