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667B1 -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 - Google Patents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667B1
KR101939667B1 KR1020180135651A KR20180135651A KR101939667B1 KR 101939667 B1 KR101939667 B1 KR 101939667B1 KR 1020180135651 A KR1020180135651 A KR 1020180135651A KR 20180135651 A KR20180135651 A KR 20180135651A KR 101939667 B1 KR101939667 B1 KR 1019396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blocking member
visually impaired
light blocking
opaque le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56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준용
Original Assignee
김준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준용 filed Critical 김준용
Priority to KR10201801356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66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6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6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6Shades; shields; Obturators, e.g. with pinhole, with slot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시야가 차단될 뿐만 아니라 빛까지 차단하는 구조로 구비하여, 마치 시각 장애인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귀에 걸 수 있는 구조로 된 안경테; 상기 안경테의 안경알 장착 부분에서 그 내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빛 차단 블럭; 상기 빛 차단 불럭에 젖힘 가능하게 힌지로 장착되어 눈을 가려주는 불투명 렌즈; 및 상기 불투명 렌즈의 테두리 부분에 탈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눈 주위에 말착되면서 눈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빛 차단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GLASSES FOR EXPERIENCE A PERSON WHO IS VISUALLY IMPAIRED}
본 발명은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시야가 차단될 뿐만 아니라 빛까지 차단하는 구조로 구비하여, 마치 시각 장애인과 같은 체험을 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에 관한 것이다.
시각 장애란, 시각의 갖가지 기능장애(시력, 시야, 광각, 색각, 안구운동 등)를 총칭하는 것으로서, 시야 및 시력에 따라 맹(盲), 실명, 저시력 등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시각 장애를 보조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독서 확대기, 점자 정보 단말기, 휴대 점자 디스플레이, 인쇄물 음성 변환 출력기, 횡단보도 신호등의 보행신호를 음성으로 알려주는 장비 등 다양하게 개발되고 있다.
대개, 시각 장애인이 물체를 탐지하기 위해서는 시각장애인용 지팡이를 사용하고, 시각 장애인임을 표시하거나 외관 상 이유로 선글래스 타입의 시각 장애용 안경을 착용하고 있다.
최근에는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시각 장애인 등을 위한 사회복지시설이 증가하고 있는 추세에 있으며, 이에 따라 시각 장애인 돌봄을 위한 사회복지사 및 간병인, 간호사, 봉사자 등 해당 전문인력들이 많이 생겨나고 있고, 사회복지시설의 전문인력(종사자)을 양성하기 위하여 대학 및 대학원 등에서 사회복지학을 전공으로 인력이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대학이나 기타 여러 교육 기관을 통하여 전문적으로 사회복지학을 전공하였거나, 또는 장기간 시각 장애인 등을 돌보는 업무에 종사하였다 할지라도 자신이 직접 시각 장애인의 불편함을 겪어보기 전에는 신체 부자유 정도를 실질적으로 인식하지 못하게 되어, 시각 장애인을 위한 보조 및 돌봄 서비스 등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일반인 뿐만 아니라 사회복지사, 전문 요양사 등 각종 복지와 관련된 전문 인력 종사자들도 시각 장애인의 불편함 및 부자유 정도를 시각 장애인 입장에서 체험해 볼 필요가 있다.
하지만, 공개번호 제10-2015-0012173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시각 장애인의 독서를 청각적으로 보조하는 안경과, 그 밖에 청각 및 초음파를 이용한 스마트 안경 등이 존재할 뿐, 실질적으로 시각 장애인을 체험해 볼 수 있는 안경은 전무한 상태이다.
물론, 불투명 안경이나 눈가리개를 이용하여 시각 장애를 체험할 수도 있지만, 착용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빛이 유입되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공개번호 제10-2015-0012173호(2015.02.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전방 시야가 차단될 뿐만 아니라 빛까지 차단하는 구조로 제작하여, 착용시 마치 시각 장애인이 느끼는 상황을 그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한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귀에 걸 수 있는 구조로 된 안경테; 상기 안경테의 안경알 장착 부분에서 그 내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빛 차단 블럭; 상기 빛 차단 불럭에 젖힘 가능하게 힌지부에 의하여 젖힘 가능하게 장착되어 눈을 가려주는 불투명 렌즈; 및 상기 불투명 렌즈의 테두리 부분에 탈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눈 주위에 말착되면서 눈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빛 차단 부재; 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불투명 렌즈의 내면에서 하부쪽 테두리 부분에는 빛 차단 부재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착탈홈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는, 상기 빛 차단 부재의 상부에는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부가 형성되고, 이 체결홈부에 상기 불투명 렌즈의 테두리 부분이 직접 탈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빛 차단 부재의 두께를 얼굴 형상에 따라 다르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빛 차단 부재는 일면에 제1돌기가 형성된 제1차단부재와, 일면에 제1돌기가 체결되는 제1홈이 형성되는 동시에 타면에 제2돌기가 형성된 제2차단부재와, 일면에 제2돌기가 체결되는 제2홈이 형성된 제3차단부재가 적층 결합 가능하게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 해결 수단을 통하여 본 발명은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전방 시야가 차단될 뿐만 아니라 빛까지 차단하는 구조로 제작된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착용하여, 마치 시각 장애인이 느끼는 상황을 그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입장 및 불편함을 이해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에 대한 보조 및 돌봄 서비스 등을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의 빛 차단 부재에 대한 두 께 조절 구조를 도시한 도면.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면부호 20은 안경테를 지시한다.
상기 안경테(20)는 플라스틱 재질로서 일반적인 안경테와 같이 귀에 걸 수 있는 구조로 구비된다.
또한, 상기 안경테(20)의 안경알 장착 부분에서 그 상단 내면에는 안경 착용시 눈 위쪽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 차단 블럭(22)이 일체로 돌출 형성된다.
또한, 상기 빛 차단 불럭(22)의 중간 부분에는 힌지부(23)가 형성되고, 이 힌지부(23)에 실질적으로 눈의 시야를 가려주는 불투명 렌즈(10)가 젖힘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은 보이지 않게 하는 기능 뿐만 아니라, 마치 시각 장애인이 느끼는 상황을 그대로 모사하기 위하여 빛을 차단하는 구조까까지 갖춘 점에 특징이 있다.
이를 위해, 상기와 같이 안경테(20)의 안경알 장착 부분에서 그 상단 내면에 눈 위쪽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기 위한 빛 차단 블럭(22)을 돌출 형성하는 것 외에 상기 불투명 렌즈(10)의 테두리 부분에 눈 주위에 밀착되면서 눈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빛 차단 부재(30)가 부착된다.
실질적으로, 안대 등을 착용하는 경우에도 빛이 가장 많이 유입되는 부분은 눈 주위에서 하부 쪽이기 때문에 불투명 렌즈(10) 만을 착용하면 렌즈와의 틈새를 통하여 눈 하부 쪽으로부터 빛이 가장 많이 유입될 수 있다.
이에, 상기 불투명 렌즈(10)의 하단 테두리 부분에서 그 내면에는 눈 주위에 밀착되면서 눈으로 유입되는 빛을 완전하게 차단할 수 있는 빛 차단 부재(30)가 부착된다.
상기 빛 차단 부재(30)는 빛을 차단하기 위하여 얼굴 부분에서 눈 주위에 직접 밀착되므로, 소프트한 재질(예, 스폰지, 실리콘 등)을 이용하여 불투명 렌즈(10)의 하부 테두리 형상과 동일한 프로파일을 가지도록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빛 차단 부재(30)는 불투명 렌즈(10)의 하단 테두리에서 그 내면에 통상의 접착수단을 이용하여 일체로 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체험자가 착용하면, 빛 차단 블럭(22)이 눈썹 주위에 배치되는 동시에 빛 차단 부재(30)가 눈 하부에 밀착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상기 불투명 렌즈(10)에 의하여 전방 시야가 완전하게 가려지는 동시에 빛 차단 블럭(22) 및 빛 차단 부재(30)에 의하여 눈으로 유입되는 빛이 완전하게 차단되어진다.
이에, 착용자 즉, 체험자는 마치 시각 장애인이 느끼는 상황을 그대로 체험하면서 시각 장애인의 입장 및 불편함을 이해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에 대한 보조 및 돌봄 서비스 등을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제공하는데 일조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빛 차단 부재(30)는 착용자의 눈 주위 피부 표면에 밀착됨에 따라, 다른 체험자 또는 착용자의 사용시 위생 문제가 따르게 되고, 또한 상기 빛 차단 부재(30)는 소프트한 재질로 만들어져 있기 때문이 쉽게 마모되거나 소손될 수 있는 점을 감안하여, 상기 불투명 렌즈(10)에 빛 차단 부재(30)를 교체를 위해 탈거 가능하게 부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투명 렌즈(10)의 내면에서 하부쪽 테두리 부분에 빛 차단 부재(30)를 끼워 넣을 수 있는 착탈홈부(12)가 형성된다.
이에, 상기 빛 차단 부재(30)를 불투명 렌즈(10)의 착탈홈부(12)에 끼워 넣으면, 불투명 렌즈(10)에 빛 차단 부재(30)가 교체 가능하게 부착되는 상태가 된다.
이때, 상기 빛 차단 부재(30)는 소프트한 재질이므로, 도 3에서 보듯이 상기 불투명 렌즈(10)의 착탈홈부(12)에 빛 차단 부재(30)를 압입하듯이 끼워 넣으면 용이하게 락킹되며 고정될 수 있다.
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불투명 렌즈(10)의 착탈홈부를 형성하지 않고, 빛 차단 부재(30) 자체에 체결홈부(34)를 직접 형성하여, 빛 차단 부재(30)를 불투명 렌즈(10)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빛 차단 부재(30)를 상부에 길이방향을 따라 체결홈부(34)가 형성된 구조로 제작하여, 이 체결홈부(34)에 상기 불투명 렌즈(10)의 테두리 부분이 직접 탈거 가능하게 끼워지도록 함으로써, 빛 차단 부재(30)가 불투명 렌즈(10)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되는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빛 차단 부재(30)를 위생상 그리고 마모 손상을 고려하여 불투명 렌즈(10)에 교체 가능하게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의 사용 편의성 및 상품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빛 차단 부재(30)의 두께가 일정하면, 사람마다 얼굴의 형태 및 굴곡도가 다르기 때문에 틈새가 생겨 빛이 눈으로 유입될 소지가 있다.
이에, 상기 빛 차단 부재(30)의 두께를 체험자 얼굴의 형태 및 굴곡도에 따라 조절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부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빛 차단 부재(30)의 두께를 얼굴 형상에 따라 다르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빛 차단 부재(30)가 적층 결합 가능한 여러 개의 조각으로 구비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빛 차단 부재(30)는 일면에 제1돌기(31-1)가 형성된 제1차단부재(31)와, 일면에 제1돌기(31-1)가 체결되는 제1홈(32-1)이 형성되는 동시에 타면에 제2돌기(32-2)가 형성된 제2차단부재(32)와, 일면에 제2돌기(32-2)가 체결되는 제2홈(33-1)이 형성된 제3차단부재(33) 등이 상호 적층 결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체험자가 제1차단부재(31) 만을 불투명 렌즈(10)에 조립하거나, 제1차단부재(31)의 제1돌기(31-1)를 제2차단부재(32)의 제1홈(32-1)에 체결한 빛 차단 부재(30)를 불투명 렌즈(10)에 조립하거나, 또는 상호 결합된 제1 및 제2차단부재(31,32)에 더하여 제3차단부재(33)를 결합하여 불투명 렌즈(10)에 조립함으로써, 빛 차단 부재(30)의 두께를 얼굴 형상에 따라 다르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착용감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및 빛 유입을 용이하게 막을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전방 시야가 차단될 뿐만 아니라 빛까지 차단하는 구조로 제작된 본 발명의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을 착용하여, 마치 시각 장애인이 느끼는 상황을 그대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시각 장애인의 입장 및 불편함을 이해할 수 있고, 그로 인하여 시각 장애인에 대한 보조 및 돌봄 서비스 등을 정확하고도 효율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데 기여할 수 있다.
한편, 불투명 렌즈(10)에는 오염물질의 부착방지 및 제거를 효과적으로 달성할 수 있도록 오염 방지도포용 조성물로 이루어진 오염방지도포층이 도포될 수 있다.
상기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이 1:0.01 ~ 1:2 몰비로 포함되어 있고,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와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의 총함량은 전체 수용액에 대해 1 ~10 중량%이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몰비로서 1:0.01 ~ 1:2가 바람직한 바, 몰비가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에는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거나 도포후 표면의 수분흡착이 증가하여 도포막이 제거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는 전제 조성물 수용액중 1 ~ 10 중량%가 바람직한 바, 1 중량% 미만이면 기재의 도포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고, 10 중량%를 초과하면 도포막 두께의 증가로 인한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쉽다.
한편,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을 불투명 렌즈(10)에 도포하는 방법으로는 스프레이법에 의해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불투명 렌즈(10)의 최종 도포막 두께는 500 ~ 2000Å이 바람직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00 ~ 2000Å이다. 상기 도포막의 두께가 500Å 미만이면 고온 열처리의 경우에 열화되는 문제점이 있고, 2000Å을 초과하면 도포 표면의 결정석출이 발생하기 쉬운 단점이 있다.
또한, 본 오염 방지 도포용 조성물은 알킬레이트 폴리글루코사이드 0.1 몰 및 아미노알킬 슬로베타인 0.05몰을 증류수 1000 ㎖에 첨가한 다음 교반하여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안경테(20)의 둘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된 방향제 물질이 코팅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안경테(20)를 살균 처리하고, 작업자의 스트레스를 완화하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방향제 물질에는 기능성 오일이 혼합될 수 있으며, 그 혼합 비율은 방향제 물질 95~97중량%에 기능성 오일 3~5중량%가 혼합되며, 기능성 오일은,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 50중량%,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 50중량%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기능성 오일은 방향제 물질에 대해 3~5중량%가 혼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기능성 오일의 혼합 비율이 3중량% 미만이면, 그 효과가 미미하며, 기능성 오일의 혼합비율이 3~5중량%를 초과하면 그 기능이 크게 향상되지 않는 반면에 제조 단가는 크게 증가된다.
데알바타아카시아 오일(Acacia dealbata oil)의 주 화학성분은 palmic aldehyde, enanthic acid 등이며, 향이 좋으며 살균, 항울작용, 스트레스 완화작용 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발레리아나 파우리아이 오일(Valeriana fauriei oil)은 주 화학성분은 bornyl acetate, pinene 등이며, 혈압강하작용과 더불어 마음을 가라앉히고 진정시키는 작용을 하므로 불안, 긴장완화 등에 작용효과가 우수하다.
이러한 기능성 오일이 안경테(20)에 코팅되므로 안경테(20)를 살균처리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착용자의 피로 회복에 도움을 준다.
그리고 빛 차단 부재(30)는 스폰지 형태로 이루어질 수도 있지만, 고무재로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빛 차단 부재(30)가 고무재로 이루어질 경우, 그 원료 함량비는 고무 60중량%, 카아본블랙 33~36중량%, 산화방지제 2~5중량%, 촉진제인 유황 1~3중량%를 혼합한다.
카아본블랙은 내마모성을 증대시키는 것이므로 이를 첨가하되, 함유량이 33중량% 미만이면, 탄성과 내마모성이 줄어들며, 36중량%가 초과 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33~36중량%를 혼합한다.
산화방지제는 3C (N-PHENYL-N'-ISOPROPYL- P-PHENYLENEDIAMINE) 또는 RD(POLYMERIZED 2,2,4-TRIMETHYL-1,2- DIHYDROQUINOLINE)을 선택하여 2~5중량%를 첨가하는 것으로, 2중량% 미만이면, 제품이 산화가 되기 쉽고, 너무 많이 첨가하여 5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또한 산화방지제의 가격이 비싸기 때문에 2~5중량%가 적정하다.
촉진제인 유황은 1~3중량%를 혼합한다. 1 중량% 미만은 성형시 가열공정에서 가황작용 효과가 미미하므로, 1 중량% 이상을 첨가한다. 3중량%를 초과하면, 주 성분인 고무의 함량이 상대적으로 적게 되어 탄성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으므로, 1 ~ 3중량%가 적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러 방향에 탄성을 갖는 합성고무로 보강되므로 빛 차단 부재(30)의 탄성, 인성 및 강성이 증대되므로 내구성이 향상되며, 이에 따라 빛 차단 부재(30)의 수명이 증대된다.
또한, 빛 차단 부재(30)는 접착제를 사용하여서 불투명 렌즈(10)에 부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접착제는 테레프탈산 70몰%와 무수프탈산 30몰%가 디카르본산 성분이고,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본산 단위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디올 성분의 75몰%가 에틸렌글리콜, 25몰%가 디에틸렌글리콜의 조성비로 이루어 지도록 구성된 반응계에 폴리에스테르 무게에 대해 40 ∼ 400ppm의 트리멜리트산 성분을 첨가하여 축중합 시킨 접착제이다.
본 발명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구성하는 디카르본산 성분은 테레프탈산과 무수프탈산 및 그것들의 에스테르 형성성 유도체의 혼합물이고, 디카르본산 성분의 70몰%가 테레프탈산 성분이고, 30몰%가 무수프탈산성분이다.
테레프탈산과 무수프탈산의 조성비를 상기 범위로 한정시킨 이유는 얻어진 중합체의 접착 성능 등을 만족 시키기 위해서이다.
본 발명에서 무수프탈산의 함량이 30몰% 미만이면 제조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에 결정이 형성되고 연화온도가 높아짐에 따라 가공 온도의 상승원인이 되고, 또 무수프탈산의 함량이 30몰%을 초과하게 되면 연화 온도 저하 효과는 미약해지면서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물성 저하 등의 원인이 된다.
또 본 발명에서 디올성분의 조성비는 디카르본산 단위의 몰을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기로는 75몰%가 에틸렌글리콜 성분이고 25몰%가 디에틸렌글리콜 성분이 되도록 형성하는 것이다.
에틸렌글리콜과 디에틸렌글리콜의 조성비를 이 범위로 한정시킨 이유는 얻어진 중합체의 연화 온도와 접착 성능 및 가공성을 만족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디에틸렌글리콜의 함량이 25몰% 미만이면 목적하는 성능을 발휘할 수 없고, 또 25몰%을 초과하게 되면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연화시작 온도가 60℃ 미만으로 너무 낮아져서 사용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트리멜리트산 다관능 성분의 첨가량을 상기 범위로 한정한 이유는 본 발명에 관련된 접착제의 축중합시 반응 온도의 저하와 반응 시간의 단축을 가능케 하여 색상 불량을 개선함과 동시에 섬유상으로 방사 및 연신시에 작업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트리멜리트산 다관능 성분의 첨가량이 40ppm 미만에서는 목적하는 가교제의 역할을 하기에는 부족하고, 또 다관능 성분의 첨가량이 400ppm을 초과하게 되면 반대로 급격한 가교 현상에 의하여 중합 및 방사, 연신시에 문제를 일으키는 원인이 되기 때문이다.
10 : 불투명 렌즈
12 : 착탈홈부
20 : 안경테
22 : 빛 차단 블럭
23 : 힌지부
30 : 빛 차단 부재
31 : 제1차단부재
31-1 : 제1돌기
32 : 제2차단부재
32-1 : 제1홈
32-2 : 제2돌기
33 : 제3차단부재
33-1 : 제2홈
34 : 체결홈부

Claims (4)

  1. 귀에 걸 수 있는 구조로 된 안경테(20);
    상기 안경테(20)의 안경알 장착 부분에서 그 내면에 일체로 돌출 형성된 빛 차단 블럭(22);
    상기 빛 차단 불럭(22)에 젖힘 가능하게 힌지로 장착되어 눈을 가려주는 불투명 렌즈(10); 및
    상기 불투명 렌즈(10)의 테두리 부분에 탈거 가능하게 부착되어, 눈 주위에 밀착되면서 눈으로 유입되는 빛을 차단하는 빛 차단 부재(30)를 포함하고;
    상기 빛 차단 부재(30)의 두께를 얼굴 형상에 따라 다르게 조절하기 위하여, 상기 빛 차단 부재(30)는 일면에 제1돌기(31-1)가 형성된 제1차단부재(31)와, 일면에 제1돌기(31-1)가 체결되는 제1홈(32-1)이 형성되는 동시에 타면에 제2돌기(32-2)가 형성된 제2차단부재(32)와, 일면에 제2돌기(32-2)가 체결되는 제2홈(33-1)이 형성된 제3차단부재(33)가 적층 결합 가능하게 구비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80135651A 2018-11-07 2018-11-07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 KR1019396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51A KR101939667B1 (ko) 2018-11-07 2018-11-07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5651A KR101939667B1 (ko) 2018-11-07 2018-11-07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667B1 true KR101939667B1 (ko) 2019-01-17

Family

ID=65279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5651A KR101939667B1 (ko) 2018-11-07 2018-11-07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66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93B1 (ko) * 2022-03-29 2022-09-02 (주)케이아이오티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육용 길안내 체험서비스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036U (ja) * 2011-11-02 2012-01-19 株式会社エニックス インナー枠付き跳ね上げ式サングラス
KR20150012173A (ko) 2013-07-24 2015-02-03 김도영 시각장애인을 위한 독서용 안경
KR20170014196A (ko) * 2015-07-29 2017-02-08 이대우 고글용 차광부재
KR20180047478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지엔일렉 시력 교정용 안경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3036U (ja) * 2011-11-02 2012-01-19 株式会社エニックス インナー枠付き跳ね上げ式サングラス
KR20150012173A (ko) 2013-07-24 2015-02-03 김도영 시각장애인을 위한 독서용 안경
KR20170014196A (ko) * 2015-07-29 2017-02-08 이대우 고글용 차광부재
KR20180047478A (ko) * 2016-10-31 2018-05-10 주식회사 지엔일렉 시력 교정용 안경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39493B1 (ko) * 2022-03-29 2022-09-02 (주)케이아이오티 시각장애인을 위한 교육용 길안내 체험서비스 제공장치 및 제공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65732B2 (en) Wearable protective device
EP0390856A1 (en) Protective surgical face mask
US20100033671A1 (en) Eye Goggles Having Opaque or Restricted View Lenses
KR101939667B1 (ko) 시각 장애인 체험용 안경
CN201331632Y (zh) 护眼型滤光镜片及眼镜
WO1987003382A1 (en) Reading spectacles
JPH08286157A (ja) 簡易眼鏡およびその製造方法
Sheedy et al. Ultraviolet eye radiation: the problem and solutions
JP2864106B2 (ja) 弱視および複視の治療用眼鏡
CN214335390U (zh) 一种带有防蓝光镜片的眼镜
US20070035694A1 (en) Light filtering nonprescription temporary reading glasses
JP2010240116A (ja) 眼帯
CN214846107U (zh) 便捷眼镜
KR102482579B1 (ko) 도수조정이 가능한 고글
EP3885820A1 (en) Device for limiting visual impressions
CN204155022U (zh) 一种具有功能性矫治作用的镜架
KR20210000711U (ko) 핀홀 효과를 이용한 일상 생활용 핀홀 안경
KR102569250B1 (ko) 후방도 볼 수 있는 안경
KR102121230B1 (ko) 저시력체험기
US6578578B2 (en) Eye masks to facilitate sleeping under certain conditions
KR20060015168A (ko) 핀홀렌즈 및 핀홀렌즈 안경
KR101910890B1 (ko) 노안체험안경
US7748841B1 (en) Side-view mirror attachment for spectacles
JPH0415617A (ja) 既着メガネの上からスマートに掛装できるオーバーレィング眼鏡
RU2232565C2 (ru) Способ коррекции зрения в средствах индивидуальной защит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