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9582B1 -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 Google Patents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9582B1
KR101939582B1 KR1020170149810A KR20170149810A KR101939582B1 KR 101939582 B1 KR101939582 B1 KR 101939582B1 KR 1020170149810 A KR1020170149810 A KR 1020170149810A KR 20170149810 A KR20170149810 A KR 20170149810A KR 101939582 B1 KR101939582 B1 KR 1019395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foot
fixing
pipe
trun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98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은선덕
김은주
김호진
이유진
박현주
구도훈
장영민
이민영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701498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958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95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958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05Moveable platforms, e.g. vibrating or oscillating platforms for standing, sitting, laying or lean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61H1/0266Foo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9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spinal colum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3Rotation of a body part around its longitudinal ax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2001/0207Nutating movement of a body part around its articu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28Pelvis
    • A61H2201/1633Sea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6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 A61H2201/1602Physical interface with patient kind of interface, e.g. head rest, knee support or lumbar support
    • A61H2201/164Feet or leg, e.g. pedal
    • A61H2201/1642Holding mean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50Control means thereof
    • A61H2201/5058Sensors or detectors
    • A61H2201/5069Angle sens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3/00Additional characteristics concerning the patient
    • A61H2203/04Position of the patient
    • A61H2203/0425Sitting on the buttocks
    • A61H2203/0431Sitting on the buttocks in 90°/90°-position, like on a chai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착석부, 착석부에 앉은 사용자의 체간을 고정하는 등받이부, 그리고 등받이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등받이부가 착석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지지축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체간을 안정적으로 고정한 상태에서 재활 훈련함으로써 기존의 체간 재활 훈련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하고 체간 재활 훈련의 효과를 높일 수 있다.

Description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Support Apparatus for Rehabilitation Training Trunk of Human Body}
본 발명은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체간을 고정시킨 상태에서 체간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 편마비 환자 및 교통사고나 훈련 중의 골절사고 등으로 오랫동안 병상에 있거나, 만성적인 훈련부족 등으로 팔이나 다리의 근력이 약화된 경우, 환자의 신체 기능을 회복시키고 훈련 조절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체간 재활 훈련을 지속적으로 실시하여야 한다.
사람이 보행하기 위한 조건으로는 체간의 안정, 팔다리의 근력 또는 감각 등이 필요하게 되며, 안정화된 체간의 조건은 사람이 앉아 있을 때 요부는 전만되어 있어야 하며 골반은 앞쪽으로 기울어져야 한다.
그러나 뇌졸중, 외상성 뇌손상, 척수손상 또는 뇌성마비 등에 의해 유발된 편마비 또는 사지마비 등으로 오랫동안 누워 있던 환자들은 안정화된 체간의 조건과는 반대로 요부는 후만되고, 골반은 뒤쪽으로 기울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체간과 골반을 정상화시켜 올바른 재활 훈련이 가능하도록 하는 체간 재활 훈련 기구가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종래에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2014-0056481호와 같이, 제1하중센서를 갖는 좌우한 쌍의 발판을 구비하는 베이스 및 제2하중센서를 구비하는 좌우한 쌍의 엉덩이 받침판을 구비하고 사용자가 착석하는 좌석부를 포함하여 사용자가 좌석에 앉은 상태에서 몸통의 평행을 유지하면서 체간 재활 훈련을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하지만, 종래의 좌석형 재활 운동 장치는 환자의 신체 크기를 고려하지 않았기 때문에 환자의 체간 재활 운동 시 장치의 사용에 있어서 어려움이 있었으며, 체간 재활 운동 시 체간 재활 운동의 동작과 움직임이 제한적이어서 체간 재활 운동에 한계가 있었다.
그리고 임의의 동작이나 복합적 움직임을 구현하는 재활 훈련과, 앉고 서는 등과 같은 기능적 움직임을 수행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따라, 환자의 치료에 다소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체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기존의 체간 재활 훈련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하면서 체간 재활 훈련할 수 있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명시적으로 언급된 목적 이외에도,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달성될 수 있는 다른 목적도 포함한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는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앉은 사용자의 체간을 고정하는 등받이부, 그리고 상기 등받이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착석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지지축을 포함한다.
상기 회전 지지축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축이 상기 착석부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회전 지지축이 상기 착석부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지지축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상기 착석부는 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시트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시트부재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대향 배치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재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 크기에 따라 좌우로 이동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골반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하지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하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지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지 상부를 고정시키는 제1 하지 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의 높이 또는 상기 지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발이 기울어지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판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고정하는 발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지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 하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제2 하지 고정부재와, 상기 제2 하지 고정부재가 상기 발판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결합되는 하지 지지축을 포함하는 제2 하지 고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는 상기 착석부에 설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발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파이프를 상기 제1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발판 고정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판부는 상하 배치되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와, 상기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에 따르면,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체간을 안정적으로 고정시킨 상태에서 기존의 체간 재활 훈련에서 수행하기 어려운 다양한 움직임을 구현하면서 체간 재활 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리고 상하로 이동 가능한 등받이부, 슬라이드 형태의 착석부 및 높이 조절 가능한 발판부의 사용으로 보다 다양한 동작이나 움직임으로 체간 재활 훈련할 수 있으며, 체간 재활 훈련 시 환자의 체간 무너짐을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가 잡아줌으로써 사용자가 보다 안전하게 체간 재활 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게다가 사용자의 체형이나 신체 크기에 맞게 최적의 자세를 유지할 수 있고, 사용자가 앉거나 서는 연습과 상지 회전 훈련을 실행하거나, 앉은 상태에서 다양한 동작이나 움직임을 수행하여 체간 재활 훈련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더불어, 의자, 모션 플랫폼, 액츄에이터, 병렬형 로봇 장치 등과 같은 다양한 장치 위에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보다 집중적인 체간 재활 훈련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와 더불어 보행 및 체간 안정화의 효과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체간 재활 훈련을 통해 사용자의 체간 안정화 및 일상생활에 필요한 기능을 회복하고, 사용자를 치료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본 발명의 효과는 상술된 것에 국한되지 않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도출될 수 있는 다른 효과도 본 발명의 효과에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의 설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다양한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석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 고정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발판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발판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발판부의 높이가 조절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발판부의 각도가 조절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그러면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의 사시도 및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의 설치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는 등받이부(100), 착석부(200), 회전 지지축(300), 전자 제어부(400), 골반 고정부(500), 하지 고정부(600), 발판부(700) 및 발 고정부(8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는 의자 등과 같이 움직임이 없는 장치나, 모션 플랫폼, 액츄에이터 또는 병렬형 로봇 장치 등과 같이 움직임이 있는 다양한 장치 위에 장착되어 사용될 수 있다. 도 1의 점선 부분은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가 장착될 수 있는 다양한 장치의 설치 위치를 보여주며, 도 2는 의자(C) 위에 장착되어 사용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의 예를 보여준다.
그리고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의 각 구성요소는 착탈 가능하게 이루어져 사용자의 특성이나 사용 방법에 따라 구성요소를 선택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이에 따라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는 복합적인 움직임을 구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각 구성요소를 분리하여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선택적인 움직임의 구현이 가능하다.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등받이부(100)는 착석부(200)에 앉은 사용자의 흉부 또는 허리 등과 같은 체간을 고정한다.
예컨대, 등받이부(100)는 사용자의 체간에 착탈 가능한 벨트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사용자의 체간을 감싸는 형태로 밴딩하여 사용자의 체간을 고정하는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등받이부(100)는 사용자에게 필요한 체간 재활 훈련에 맞게 흉부 또는 허리 등을 고정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등받이부의 움직임을 보여주는 다양한 예로서, 도 3과 같이, 등받이부(100)는 사용자의 체간을 수용하거나 고정한 상태에서 상하로 이동하여 높이를 조절할 수 있고, 도 4 및 도 5와 같이, 착석부(20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등받이부(100)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체간 재활 훈련의 움직임에 따라 전, 후, 좌, 우로 기울어지게 움직이거나, 회전 지지축(300)의 중심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또한 등받이부(100)는 기울어진 상태에서 360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등받이부(100)는 상하 이동 및 회전까지 모두 가능한 이동식 등받이 구조와 상하 이동만 가능한 일반 등받이 구조로 모두 이루어질 수 있다.
회전 지지축(300)은 등받이부(100)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지지축(300)은 일단이 등받이부(100)와 결합되고 타단이 착석부(200)와 결합될 수 있으며, 신축 가능한 파이프 형태로 이루어져 등받이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예컨대, 회전 지지축(300)은 파이프를 인입하거나 인출하는 동작을 통해 길이를 다단으로 늘이거나 줄여서 등받이부(100)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회전 지지축(300)은 착석부(20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회전 지지축(300)은 체간 재활 훈련의 움직임에 따라 전, 후, 좌, 우로 기울어지게 움직이거나 중심을 기준으로 360도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는데, 이를 위하여 위치 조절 댐퍼 등이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 지지축(300)을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이거나 회전시키는 방식은 이미 공지된 기술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전자 제어부(400)는 회전 지지축(30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장치로서, 회전 지지축(300)이 착석부(20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가 기준 각도 이상인 경우, 회전 지지축(300)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는 회전 지지축(300)이 착석부(20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부(4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 설명하면, 체간 재활 훈련 시 체간 재활 훈련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자에게 임의의 재활 훈련 동작이 가해질 수 있는데 이때, 사용자의 특성상 균형이 무너지면서 하지가 흔들리거나 체간의 무너짐으로 인해 낙상 등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하여 센서부(450)에서 감지된 회전 지지축(300)이 착석부(200)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가 기준 각도 이상인 경우, 전자 제어부(400)는 회전 지지축(300)의 움직임을 제한하여 하지가 흔들리거나 체간이 무너지는 것을 안전하게 잡아줄 수 있으며, 체간 재활 훈련 시 사용자에게 안전한 체간 재활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전자 제어부(400)는 예컨대, 리밋 스위치(Limit Swtich) 등과 같이 자동 제어 역할을 하는 안전 장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전자 제어부(400)는 체간 재활 훈련 시에는 스위치를 오프 동작시키거나 전기 접점을 개방시키는 동작을 수행하여 회전 지지축(300)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하다가 회전 지지축(300)이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 이상으로 기울어지는 경우, 스위치를 온 동작시키거나 전기 접점을 잠그는 동작을 수행하여 회전 지지축(300)이 고정될 수 있게 한다.
전자 제어부(400)는 상기와 같은 안전 장치의 역할 외에 사용자에게 체간 재활 동작을 자동으로 제공하는 역할도 수행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전자 제어부(400)는 사용자의 선택이나 미리 설정된 조건에 따라 회전 지지축(300)이 자동으로 움직이게 제어하여 사용자가 그에 따라 자동으로 체간 재활 훈련할 수 있게 할 수 있다(자동 제어 방식이라고 함). 또는 전자 제어부(400)에서 제어하는 동작 없이 사용자가 스스로 움직이는 동작에 의해 수동으로 체간 재활 훈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수동 제어 방식이라고 함). 즉 전자 제어부(400)는 자동 제어 방식과 수동 제어 방식을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예컨대, 의자 등과 같이 움직임이 없는 장치에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가 장착될 경우, 전자 제어부(400)는 사용자가 체간 재활 훈련하도록 회전 지지축(300)에 자동으로 움직임을 제공할 수 있으며, 모션 플랫폼, 액츄에이터 또는 병렬형 로봇 장치 등과 같이 움직임이 있는 다양한 장치 위에 장착될 경우 모션 플랫폼, 액츄에이터 또는 병렬형 로봇 장치는 모두 움직이는 장치이기 때문에 전자 제어부(400)는 수동으로 체간 재활 훈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착석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착석부(200)는 사용자의 신체 크기에 맞게 조절하여 사용하기 위하여 전후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착석부(200)는 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210)과,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고 슬라이드 레일(210)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시트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고, 시트부재(220)의 하부는 롤러나 바퀴 등과 같은 슬라이드 부재(222)가 설치될 수 있다. 슬라이드 부재(222)는 슬라이드 레일(210)에 결합되어 슬라이드 이동되도록 가이드 함으로써 시트부재(220)를 용이하게 전후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재(220)를 슬라이드 레일(210)의 일정 위치에 고정함으로써 시트부재(220)를 고정한 상태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컨대, 슬라이드 부재(222)에는 슬라이드 홀이 형성되고, 슬라이드 레일(21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의 레일 홀이 형성되며, 슬라이드 홀과 복수의 레일 홀 중 어느 하나의 레일 홀을 핀이나 고정 나사 등을 사용하여 고정함으로써 시트부재(220)의 위치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는 손잡이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손잡이부는 사용자의 특성에 따라 필요 시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손잡이로, 사용하지 않을 때는 착탈하거나 접어서 사용할 수 있고, 사용이 필요할 때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1)에 부착하거나 펼쳐서 사용할 수 있으며 이동 가능하다. 예컨대, 손잡이부는 착석부(200)에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착석부 주변에 손잡이부를 설치하여 사용자가 손을 거치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골반 고정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골반 고정부(500)는 시트부재(220)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 크기에 맞게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부재(220)의 면적을 조절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
골반 고정부(500)는 시트부재(220)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대향 배치되는 제1 플레이트(510) 및 제2 플레이트(520)와, 시트부재(220)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 크기에 따라 거리가 조절된 제1 플레이트(510) 및 제2 플레이트(520)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530)를 포함한다. 제1 플레이트(510) 및 제2 플레이트(520)는 좌우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고, 사용자의 골반 크기가 작을수록 제1 플레이트(510) 및 제2 플레이트(520) 사이의 거리가 짧아지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그리고 체결부재(530)는 너트 또는 볼트 등과 같이 체결하여 조립할 수 있는 체결 수단으로 이루어짐으로써 사용자의 골반 크기에 따라 거리가 조절된 제1 플레이트(510) 및 제2 플레이트(520)를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지 고정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을 나타낸다.
하지 고정부(600)는 사용자의 하지를 지지 및 고정시킬 수 있으며, 제1 하지 고정부(610) 및 제2 하지 고정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8a를 참조하면, 제1 하지 고정부(610)는 사용자의 하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되어 사용자의 하지 상부(대퇴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하여 제1 하지 고정부(610)는 사용자의 하지 상부에 착탈 가능한 벨트 형태로 이루어지는 제1 하지 지지부재(612) 및 제1 하지 지지부재(612)를 고정하는 제1 하지 고정부재(614)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하지 고정부(610)는 좌우 한 쌍의 대퇴부를 각각 고정시키기 위한 벨트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시트부재(220)의 양측 하부로부터 시트부재(220)의 내측에 있는 제1 하지 고정부재(614)까지 제1 하지 지지부재(612)를 연결하여 좌우 한 쌍의 대퇴부를 각각 고정시킬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제1 하지 고정부(610)는 대퇴부 측면으로부터 대퇴부 안쪽으로 연결하여 대퇴부를 고정시키며, 좌우 다리 모두 대퇴부 위쪽을 고정시켜 하지 상부를 고정할 수 있다. 그리고 제1 하지 고정부(610)는 사용자의 상태나 훈련 방법 등에 따라 제1 하지 지지부재(612)의 길이를 늘이거나 줄여서 고정할 수 있다.
도 8b를 참조하면, 제2 하지 고정부(620)는 무릎이나 종아리 부위 등과 같은 사용자의 하지 하부를 고정시킬 수 있다.
제2 하지 고정부(620)는 좌우 한 쌍으로 이루어질 수 있고, 사용자의 하지 하부의 벌어짐과 흔들림으로 인한 움직임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하지 하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벨트 형태의 제2 하지 고정부재(622)와, 제2 하지 고정부재(622)가 발판부(700)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설치되는 하지 지지축(624)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 지지축(624)은 발판부(700)에 부착되어 사용자의 하퇴부에서 발목 부분까지 파이프 형태로 연결될 수 있으며, 앉고 서는 등과 같은 체간 재활 훈련 시 발목과 다리 각도의 움직임에 따라 다리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각도에 따른 움직임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지 지지축(624)이 소정의 각도로 기울어질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앉고 서는 등과 같은 체간 재활 훈련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지 지지축(624)은 상황에 따라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 발판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발판부의 세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발판부의 높이가 조절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 및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 발판부의 각도가 조절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발판부(700)는 제2 하지 고정부(620)가 부착되어 있는 발판으로서, 발판부(700)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고, 지면으로부터 사용자의 발의 높이 또는 지면에 대해 사용자의 발이 기울어지는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발판부(700)는 제1 발판부(710) 또는 제2 발판부(720)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사용자의 신체 능력 및 체간 재활 훈련 방법에 따라 제1 발판부(710) 및 제2 발판부(720)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도 9와 같이, 제1 발판부(710)는 착석부(200)에 설치되는 제1 파이프(712), 발 고정부(800)에 설치되고 제1 파이프(712)에 결합되어 제1 파이프(71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파이프(714)와, 제1 파이프(712) 및 제2 파이프(714)를 관통하여 제2 파이프(714)를 제1 파이프(712)에 고정시키는 발판 고정부재(7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파이프(714)는 일단이 제1 파이프(714)를 수용하기 위하여 제1 파이프(714)의 직경보다 큰 직경을 가지고, 타단이 발 고정부(800)와 결합될 수 있다. 예컨대, 제1 파이프(712) 및 제2 파이프(714)는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의 제1 파이프 홀 및 복수의 제2 파이프 홀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제1 파이프(712) 및 제2 파이프(714)는 복수의 제1 파이프 홀 중 어느 하나의 제1 파이프 홀과, 복수의 제2 파이프 홀 중 어느 하나의 제2 파이프 홀을 관통하는 고정 나사 등과 같은 발판 고정부재(716)에 의해 고정되어 사용자의 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제1 파이프 홀 및 복수의 제2 파이프 홀은 동일한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발판부(710)는 상황에 따라 착탈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발판부(710)는 제1 파이프(712)와 제2 파이프(714)가 중첩되는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사용자의 발 높이를 조절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제2 발판부(720)는 지면에 설치되고 착탈 가능한 발판으로, 발 고정부(800)를 포함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2 발판부(720)는 상하 배치되는 제1 패널부(722) 및 제2 패널부(724)와, 제1 패널부(722) 및 제2 패널부(724) 사이에 설치되어 제1 패널부(722) 및 제2 패널부(724)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72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널부(722)는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고, 제2 패널부(724)는 제1 패널부(722)에 대향되고, 지면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패널부(722)와 제2 패널부(724)의 대향면에는 높이 조절부(726)가 안착되는 복수 개의 제1 높이 조절 홈(722a) 및 복수 개의 제2 높이 조절 홈(724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높이 조절부(726)는 X형태로 교차되어 내측 각도(θ)의 조절이 가능한 각도 조절 부재(726a), 각도 조절 부재(726a)의 단부에 구비되어 제1 높이 조절 홈(722a) 및 제2 높이 조절 홈(724a)에 각각 수용되는 안착부재(726b)를 포함하고, 내측 각도(θ)가 작아질수록 제2 발판부(720)의 높이가 낮아지고, 도 11과 같이, 내측 각도(θ)가 커질수록 제2 발판부(720)의 높이가 높아질 수 있다. 즉, 안착부재(726b)가 제1 패널부(722) 및 제2 패널부(724)의 내측에 위치한 제1 높이 조절 홈(722a) 및 제2 높이 조절 홈(724a)에 수용될수록 내측 각도(θ)는 커지고, 안착부재(726b)가 제1 패널부(722) 및 제2 패널부(724)의 외측에 위치한 제1 높이 조절 홈(722a) 및 제2 높이 조절 홈(724a)에 수용될수록 내측 각도(θ)는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안착부재(726b)가 제1 높이 조절 홈(722a) 및 제2 높이 조절 홈(724a)의 어느 위치에 수용되는지에 따라 내측 각도(θ)가 조절될 수 있기 때문에 이에 따라 사용자의 발 높이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도 12와 같이, 안착부재(726b)가 수용되는 제1 높이 조절 홈(722a) 및 제2 높이 조절 홈(724a)의 위치에 따라 지면에 대해 사용자의 발이 기울어지는 각도(α)를 조절할 수 있다. 즉 각도 조절 부재(726a)가 비대칭적인 구조로 될 경우 제2 패널부(724)에 대하여 제1 패널부(722)가 기울어지기 때문에 사용자의 발 또한 기울어지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각도(α)의 조절을 통해 사용자가 원하는 각도에 안정적으로 발을 고정시킬 수 있게 된다.
발 고정부(800)는 발판부(700)에 부착되어 발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발을 고정할 수 있다. 발 고정부(800)는 발판부(700)에 발을 고정시키는 장치로, 제1 발판부(710)와 제2 발판부(720)에 모두 사용될 수 있다.
발 고정부(800)는 발판부(700) 위의 부착된 신발에 발을 넣고 벨트 형태로 발등을 고정할 수 있고, 발판부(700)에 의해 양쪽 발 각각의 높이를 조절할 수 있으며, 각도 조절도 가능하다. 발 고정부(800)는 양쪽 발 2개, 즉 1세트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 발의 움직임을 안정적으로 고정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100: 등받이부
200: 착석부
300: 회전 지지축
400: 전자 제어부
500: 골반 고정부
600: 하지 고정부
700: 발판부
800: 발 고정부

Claims (12)

  1.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앉은 사용자의 체간을 고정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착석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지지축,
    상기 사용자의 하지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하지 고정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의 높이 또는 상기 지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발이 기울어지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하지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 하부를 지지 및 고정하는 제2 하지 고정부재와,
    상기 제2 하지 고정부재가 상기 발판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게 결합되는 하지 지지축을 포함하는 제2 하지 고정부를 포함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2. 제 1 항에서,
    상기 회전 지지축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전자 제어부, 그리고
    상기 회전 지지축이 상기 착석부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를 감지하는 센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전자 제어부는,
    상기 회전 지지축이 상기 착석부에 대하여 기울어지는 각도가 미리 정해진 기준 각도 이상인 경우, 상기 회전 지지축의 움직임을 제한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3. 제 1 항에서,
    상기 착석부는,
    일면에 설치되는 슬라이드 레일과,
    상기 사용자가 착석할 수 있고, 상기 슬라이드 레일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하는 시트부재를 포함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4. 제 3 항에서,
    상기 시트부재 상에 서로 이격되게 형성되어 대향 배치되고, 좌우로 이동 가능한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시트부재에 착석한 사용자의 골반 크기에 따라 좌우로 이동된 상기 제1 플레이트 및 제2 플레이트를 체결하여 고정하는 체결부재를 포함하는 골반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5. 삭제
  6. 제 1 항에서,
    상기 하지 고정부는,
    상기 사용자의 하지 상부에 착탈 가능하게 착용되어 상기 사용자의 하지 상부를 고정시키는 제1 하지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7. 삭제
  8. 제 1 항에서,
    상기 발판부에 설치되어 상기 사용자의 발의 움직임을 제어하고 고정하는 발 고정부를 더 포함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9. 삭제
  10. 제 8 항에서,
    상기 발판부는,
    상기 착석부에 설치되는 제1 파이프,
    상기 발 고정부에 설치되고 상기 제1 파이프에 결합되어 상기 제1 파이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제2 파이프와,
    상기 제1 파이프 및 상기 제2 파이프를 관통하여 상기 제2 파이프를 상기 제1 파이프에 고정시키는 발판 고정부재를 포함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11. 착석부,
    상기 착석부에 앉은 사용자의 체간을 고정하는 등받이부,
    상기 등받이부가 상하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등받이부가 상기 착석부에 대하여 미리 설정된 각도로 기울어지거나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 지지축,
    상기 사용자의 하지를 지지 및 고정시키는 하지 고정부, 그리고
    상기 사용자의 발이 안착되고, 지면으로부터 상기 사용자의 발의 높이 또는 상기 지면에 대해 상기 사용자의 발이 기울어지는 각도의 조절이 가능한 발판부
    를 포함하고,
    상기 발판부는,
    상하 배치되는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와,
    상기 제1 패널부 및 제2 패널부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제1 패널부 및 상기 제2 패널부 사이의 거리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부를 포함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12. 제 1 항 또는 제 11 항에서,
    이동 및 착탈 가능하게 설치되는 손잡이부를 더 포함하는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KR1020170149810A 2017-11-10 2017-11-10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KR1019395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10A KR101939582B1 (ko) 2017-11-10 2017-11-10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9810A KR101939582B1 (ko) 2017-11-10 2017-11-10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9582B1 true KR101939582B1 (ko) 2019-01-23

Family

ID=652801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9810A KR101939582B1 (ko) 2017-11-10 2017-11-10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9582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894A (zh) * 2019-05-21 2019-07-23 南阳市中心医院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WO2021096130A1 (ko) * 2019-11-15 2021-05-20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20210103133A (ko) * 2020-02-13 2021-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기립 보조테이블
KR20210108294A (ko) * 2020-02-25 2021-09-02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20210108850A (ko) * 2020-02-25 2021-09-03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2092493A1 (ko) * 2020-10-29 2022-05-05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20220130619A (ko) * 2021-03-17 2022-09-27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무릎 재활훈련기구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5868A1 (en) * 1995-02-21 1996-08-29 Ergorecherche Et Consei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human body
KR20140102394A (ko) * 2013-02-13 2014-08-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체중을 이용한 요추 감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5427A (ko) * 2014-11-10 2016-05-18 안배현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
KR20160096743A (ko) * 2015-02-05 2016-08-1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체간 안정화 운동을 위한 재활치료 로봇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1996025868A1 (en) * 1995-02-21 1996-08-29 Ergorecherche Et Conseil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ositioning a human body
KR20140102394A (ko) * 2013-02-13 2014-08-22 연세대학교 원주산학협력단 체중을 이용한 요추 감압장치 및 그 제어방법
KR20160055427A (ko) * 2014-11-10 2016-05-18 안배현 전동 꺼꾸리 운동기구
KR20160096743A (ko) * 2015-02-05 2016-08-17 한국로봇융합연구원 체간 안정화 운동을 위한 재활치료 로봇

Cited B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037894A (zh) * 2019-05-21 2019-07-23 南阳市中心医院 一种神经内科康复训练装置
WO2021096130A1 (ko) * 2019-11-15 2021-05-20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102381738B1 (ko) * 2020-02-13 2022-03-31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기립 보조테이블
KR20210103133A (ko) * 2020-02-13 2021-08-23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다용도 기립 보조테이블
KR20210108294A (ko) * 2020-02-25 2021-09-02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102352603B1 (ko) * 2020-02-25 2022-01-20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20210108850A (ko) * 2020-02-25 2021-09-03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102471990B1 (ko) 2020-02-25 2022-11-29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WO2022092493A1 (ko) * 2020-10-29 2022-05-05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20220057019A (ko) * 2020-10-29 2022-05-09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102467495B1 (ko) * 2020-10-29 2022-11-15 에이치로보틱스 주식회사 상지 및 하지용 재활 운동 장치
KR20220130619A (ko) * 2021-03-17 2022-09-27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무릎 재활훈련기구
KR102671071B1 (ko) 2021-03-17 2024-06-04 주식회사 헥사휴먼케어 무릎 재활훈련기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9582B1 (ko) 체간 재활 훈련용 보조 장치
KR101110212B1 (ko) 억제, 재위치, 견인 및 운동 장치와 그 방법
CA2977871C (en) Patient transfer and training aid
US8801638B2 (en) Delordosation device
KR101904468B1 (ko) 와상환자용 보행 재활장치
KR20190066221A (ko) 병렬 로봇을 이용한 체간 재활 장치
KR101693795B1 (ko) 근력 지원용 착용형 로봇
KR101556851B1 (ko) 하지 운동장치
JP2008534161A (ja) リクライニング脊椎牽引装置
US7452308B2 (en) Cross-crawl chair
KR101882782B1 (ko) 환자용 다리 고정장치
KR101980571B1 (ko) 환자의 재활 치료를 위한 정형용 운동 장치
JP2020509843A (ja) 肢体不自由者用自立および歩行支援機
JP2006523512A5 (ko)
JP2006523512A (ja) 下腿および足を支持および調節するためのアセンブリ
US7153251B2 (en) Stretching apparatus
KR101477957B1 (ko) 체간 운동장치
KR100739020B1 (ko) 요추 견인 치료장치
KR20150004470U (ko) 진동 스탠딩 테이블 장치
KR102455907B1 (ko) 좌석형 재활훈련모듈과 직립형 재활훈련모듈을 구비한 재활운동장치
US6601922B2 (en) Apparatus with lower leg restraints for contributing to support of a handicapped person
KR102473038B1 (ko) 각도 및 길이 조절이 가능한 조인트 구조를 가진 체간 재활 훈련장치
KR20150004469U (ko) 진동 기립 테이블 장치
KR20190056260A (ko) 체중지지 보조장치
KR101305428B1 (ko) 회전각도조절유닛을 구비한 보행보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