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940B1 -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940B1
KR101938940B1 KR1020160110144A KR20160110144A KR101938940B1 KR 101938940 B1 KR101938940 B1 KR 101938940B1 KR 1020160110144 A KR1020160110144 A KR 1020160110144A KR 20160110144 A KR20160110144 A KR 20160110144A KR 101938940 B1 KR101938940 B1 KR 1019389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user terminal
application
server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10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24267A (ko
Inventor
안기중
김태훈
황성태
현승호
조원익
김준호
김남호
김재린
Original Assignee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제주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60110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940B1/ko
Publication of KR2018002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2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9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9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4Travel agenc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41Advertisements
    • G06Q30/0251Targeted advertisements
    • G06Q30/0254Targeted advertisements based on statistic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Econom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Financ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은,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서는 관광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 후 실행시키는 단계;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 및 부가정보가 사용자 단말과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단계;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거나,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거나,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THE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TOUR SERVICE INFORMATION USING INTERNET OF THINGS}
본 발명은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특정 지역에 설치된 비콘 등을 활용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손쉽게 관광 서비스 정보를 제공받게 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인 근거리통신기술(NFC; Near Field Communication)는 아주 가까운 거리내의 무선 통신 기술로, 결제와 정보전송 수단 등 여러 서비스에서 기대 만큼의 성과를 거두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에 따른 보완으로 미국의 애플社 등을 중심으로 비콘(beacon)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 맞추어, 근거리통신(NFC)과 QR코드를 벗어나 새로운 유망 기술인 비콘(beacon)을 활용하여 관광 콘텐츠 등을 제공하기 위한 기술 개발이 활성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을 이용하여 사용자에게 관광 콘텐츠를 유연하게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콘(beacon)과 융합된 관광 콘텐츠의 활용으로 관광 정보 등을 제공받으려는 사용자의 편의성을 대폭 개선하고, 사용자에게 통계에 기반한 관광지 정보 등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관광정보의 활용성이 극대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그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은,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서는 관광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사용자 단말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 후 실행시키는 단계;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 및 부가정보가 사용자 단말과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단계;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거나,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거나,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광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이 커버리지가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고,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비콘의 식별 정보 및 비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고,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설치 여부의 확인 요청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요청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기설치 여부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응답 정보, 관광지에 대한 평가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비콘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버로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송신되고, 서버에서는 서버에 연결된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를 관광지의 방문 빈도수 및 관광지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평가된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순위별로 나열하여 목록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려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비콘이 미리 설치되어 있고, 특정 지점은 관광지에서 노출되지 않은 비공개 지점이고,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 내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카메라에서 촬영 기능이 수행되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방식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방식에는 사용 언어, 정보 제공 형태가 포함되고, 정보 제공 형태에는 시각화, 청각화 또는 정보 제공 횟수가 포함되고, 설정된 방식에 따라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시스템은, 관광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 비콘; 관광지를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및 비콘 및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고,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서는 관광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 후 실행시키며,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 및 부가정보가 사용자 단말과 서버간에 송수신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거나,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거나,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에는 관광지 역사 정보, 관광지 주변의 숙박시설, 편의시설, 공공기관, 오락시실 및 음식점에 대한 정보, 관광지에 인접한 주변의 타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써, 컴퓨터 등과 같은 하드웨어와 결합되어 전술한 방법을 실행시키기 위하여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광지를 관광 중인 개별 사용자의 관광 패턴에 따른 차별화된 관광 콘텐츠 제공으로 관광 콘텐츠 산업 활성화를 유도할 수 있고, 비콘(beacon)의 위치기반 시스템을 활용한 사용자 맞춤형 관광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사용자를 중심으로 한 지역 관광정보 습득의 효율성 및 편의성을 기대할 수 있고, 지역의 거점 관광안내소를 중심으로 비콘의 위치기반 시스템을 이용하여 관광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콘을 활용하여 제주도 전역의 관광지 경로추천, 파파라치 촬영 등이 가능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IoT 환경 기반에서의 관광 서비스 정보의 효율적인 제공이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부가정보의 제공 화면의 일 예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발명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또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에 대한 부가정보의 제공 화면의 일 예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화면의 일 예이다. 또한,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시스템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은,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는 단계(S10);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서는 관광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S20); 사용자 단말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 후 실행시키는 단계(S30);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 및 부가정보가 사용자 단말과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단계(S40); 및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거나,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거나,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단계(S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부가정보에는 관광지 역사 정보, 관광지 주변의 숙박시설, 편의시설, 공공기관, 오락시실 및 음식점에 대한 정보, 관광지에 인접한(에컨대, 약 10km 내외 등) 주변의 타 관광지에 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예컨대, R1 또는 R2) 내에서 사용자 단말이 들어오면 사용자가 별도의 기능을 따로 동작할 필요 없이 자동으로 필요한 기능들을 실행시켜줄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 설치 또한 NFC로 자동적으로 설치될 수 있다. 물론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이용하여 자동으로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는 동작이 방지되도록 사전에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사용자의 승인(예컨대, 승인 요청 팝업 창에 대한 확인 신호 입력 등)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도록 사용자는 미리 동작 환경을 설정해둘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예를 들면, 제주도 전역에 설치된 비콘(들)을 동작의 대상으로 삼기 때문에 관광지에 대한 각종 정보를 용이하게 수집할 수 있고, 최신의 정보를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어플리케이션의 기능 수행 중에(예컨대,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와 동시에 또는 어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중간에 일정 시간 간격 동안) 광고를 삽입하여 사용자 단말에서 함께 출력하게 하거나, 관광지에서 개최될 수 있는 이벤트에 대한 상품 찬조 등을 통하여 관광지에서의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다시 말해서, 어플리케이션에 광고 등의 기능을 부가하여, 광고주들로부터 광고 콘텐츠를 획득하여 어플리케이션의 동작과 함께 광고를 사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수익을 창출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광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이 커버리지가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을 수 있다.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비콘의 식별 정보 및 비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고, 사용자 단말은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에서의 어플리케이션의 기설치 여부의 확인 요청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요청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어플리케이션의 기설치 여부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응답 정보, 관광지에 대한 평가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서버로 송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비콘 및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고, 사용자 단말로부터 서버로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송신되고, 서버에서는 서버에 연결된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를 관광지의 방문 빈도수 및 관광지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평가된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순위별로 나열하여 목록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생성된 정보는 서버로부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어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관광지의 여러 장소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비콘으로부터의 신호에 기초하여 서버에서 사용자 단말의 비콘의 커버리지 내로의 진입을 감지하면 서버에서는 사용자 단말의 식별 정보 등을 통하여 사용자 단말을 식별한 후, 비콘의 식별정보 및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등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의 현재의 위치를 파악한 후, 파악된 위치를 기반으로 어플리케이션을 사용하는 타 사용자 단말의 관광 이력(예컨대, 타 사용자들이 방문했던 관광지 위치 등)을 통계적으로 분석하여 순위별로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보이게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서버에서는 실시간으로 또는 소정의 시간 간격(예컨대, 관광지 개방 운영 시간 내, 5분의 시간 간격 등)으로 사용자 단말로부터 관광 이력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된 관광 이력 정보를 방문 빈도, 평가 정보 등에 기초하여 나열하여 목록을 생성할 수 있다. 서버에서 생성된 목록은 도 2에서와 같이,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어 사용자에게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비콘이 미리 설치되어 있고, 특정 지점은 관광지에서 노출되지 않은 비공개 지점이고,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 내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카메라에서 촬영 기능이 수행되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영상은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어플리케이션에서는 파파라치 촬영 영상의 제공 기능이 실행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관광지에 설치된 카메라로 파파라치 컷이라는 컨셉의 영상을 촬영하고, 사용자에게 보여줌으로써 마치 관광지에서 자신이 연예인 등 유명인이 된 듯한 신선한 경험을 제공할 수 있다. 관광지 지정 장소(예컨대, 실내의 천정, 유물 전시함 내외 등)에 숨겨둔 원격 카메라를 이용하여,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 내에 들어온 사용자 단말이 인식되면, 카메라를 통하여 자동으로 영상의 촬영이 진행되고, 촬영된 영상을 서버를 통하여 사용자 단말로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이러한 파파라치 촬영이 수행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촬영 거부 신호를 사전에 설정하여 서버로 제공되게 할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에 의하여 카메라의 촬영 기능이 on/off 될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방식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방식에는 사용 언어, 정보 제공 형태가 포함되고, 정보 제공 형태에는 시각화, 청각화 또는 정보 제공 횟수가 포함되고, 설정된 방식에 따라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이러한 관광지에 대한 정보 제공은 본 명세서에는 "스토리텔링"으로 지칭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자신의 사용 언어로 관광지 정보가 제공되게 미리 설정할 수 있다. 외국인의 경우 영어, 중국어, 일본어 등 자신의 구사 언어에 따라 관광지 정보가 제공될 수 있도록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미리 사용 언어를 설정해둘 수 있다. 또한, 음성의 종류(예컨대, 남성 목소리, 여성 목소리 등)도 사용자 단말을 통하여 사용자는 미리 설정할 수 있다. 관광지 정보의 음성으로의 제공은 API를 이용하여 텍스트가 자동으로 사운드로 변환되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시스템은, 관광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 비콘; 관광지를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및 비콘 및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고,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고,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 단말에서는 관광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단말에서는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 후 실행시키며,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 및 부가정보가 사용자 단말과 서버간에 송수신되고,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서버로부터 수신한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거나,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거나,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버는 RESTFUL API로 제작될 수 있다. 어플리케이션을 통한 사용자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는 카메라를 이용한 촬영(예컨대, 파파라치 촬영), 스토리텔링, 경로 추천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로부터 카메라 촬영을 위한 이벤트 요청을 수신하게 되면, 서버에서는 비콘의 정보를 수신하여 사용자 단말에 가장 인접하게 설치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들을 작동시켜 사진을 촬영하게 할 수 있다. 서버에서 스토리텔링 이벤트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에서는 미리 구축된 DB 또는 외부 네트워크를 통하여 비콘이 설치된 관광지에 상응하는 스토리를 검색하여 JSON형태의 데이터를 비콘 및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서버에서 경로 추천 이벤트 요청이 수신되면, 서버에서는 다음으로 이동할 수 있을 추천 지역에 대한 이동 경로 등의 정보를 JSON형태의 데이터로 비콘 및 사용자 단말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과 관련하여서는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시스템과 관련하여, 전술한 방법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에 대하여는 설명을 생략하였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통신 매체는 전형적으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의 기타 데이터, 또는 기타 전송 메커니즘을 포함하며,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10, 120: 비콘
200: 사용자 단말
300: 서버

Claims (7)

  1.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으로서,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상기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관광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 후 실행시키는 단계;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 및 부가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버간에 송수신되는 단계; 및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거나,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거나, 상기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비콘이 미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관광지에서 노출되지 않은 비공개 지점이고,
    상기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 내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파파라치 촬영 기능이 상기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수행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파파라치 영상은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방식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방식에는 사용 언어 및 정보 제공 형태가 포함되며,
    상기 정보 제공 형태에는 시각화, 청각화 또는 정보 제공 횟수가 포함되고, 상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광지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비콘이 커버리지가 중첩되지 않도록 설치되어 있고,
    상기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에는 상기 비콘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비콘의 위치 정보가 포함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은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의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설치 여부의 확인 요청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요청 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사용자 단말의 식별정보, 상기 사용자 단말의 위치 정보,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기설치 여부에 대한 응답 정보 및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동작 개시 응답 정보, 상기 관광지에 대한 평가정보가 포함된 신호를 상기 서버로 송신하는 것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서버는 상기 비콘 및 상기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서버로 상기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실시간으로 송신되고,
    상기 서버에서는 상기 서버에 연결된 복수개의 사용자 단말들로부터 실시간으로 수신된 상기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광지의 방문 빈도수 및 상기 관광지에 대하여 사용자로부터 평가된 평가정보에 기초하여 순위별로 나열하여 목록화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생성된 정보는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로 송신되어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 출력되는 것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4. 삭제
  5. 삭제
  6.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시스템으로서,
    관광지에 적어도 하나 이상이 설치된 비콘;
    상기 관광지를 방문한 사용자의 사용자 단말; 및
    상기 비콘 및 사용자 단말과 연결된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으로 사용자 단말이 진입함에 따라, 상기 비콘으로부터 송신되는 신호를 상기 사용자 단말이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신호에 기초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관광 서비스 정보의 제공을 위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에서는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다면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실행시키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면 상기 사용자 단말이 연결된 서버로부터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 후 실행시키며,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 및 부가정보가 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서버간에 송수신되고, 상기 실행된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한 타 사용자의 관광 이력에 대한 정보가 출력되거나,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 설치된 카메라를 통하여 촬영된 영상이 출력되거나, 상기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며,
    상기 관광지의 특정 지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카메라와 상기 비콘이 미리 설치되어 있고, 상기 특정 지점은 상기 관광지에서 노출되지 않은 비공개 지점이고, 상기 비콘의 커버리지 영역 내로 상기 사용자 단말이 진입하여 상기 서버를 통해 인식되면, 상기 인식된 사용자 단말의 사용자에 대한 파파라치 촬영 기능이 상기 카메라에서 자동으로 수행되며, 상기 카메라에 의하여 촬영된 파파라치 영상은 상기 서버를 통하여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되고,
    상기 어플리케이션을 통하여 상기 관광지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방식이 미리 설정될 수 있고, 상기 방식에는 사용 언어 및 정보 제공 형태가 포함되며, 상기 정보 제공 형태에는 시각화, 청각화 또는 정보 제공 횟수가 포함되고, 상기 설정된 방식에 따라 상기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문자, 음성 및 이미지 중 적어도 하나로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부가정보에는 관광지 역사 정보, 관광지 주변의 숙박시설, 편의시설, 공공기관, 오락시실 및 음식점에 대한 정보, 관광지에 인접한 주변의 타 관광지에 대한 정보가 포함되는 것인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0160110144A 2016-08-29 2016-08-29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93894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44A KR101938940B1 (ko) 2016-08-29 2016-08-29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10144A KR101938940B1 (ko) 2016-08-29 2016-08-29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67A KR20180024267A (ko) 2018-03-08
KR101938940B1 true KR101938940B1 (ko) 2019-01-15

Family

ID=617263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10144A KR101938940B1 (ko) 2016-08-29 2016-08-29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9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9246B1 (ko) * 2018-05-23 2020-07-29 군산대학교산학협력단 캐릭터 단말을 이용한 방문지 관련 서비스 보안 처리 장치 및 방법
CN111125473B (zh) * 2019-12-23 2023-10-2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推荐业务处理及信息推荐方法、装置、设备及系统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24267A (ko) 2018-03-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411572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location-based application installation
US9467809B2 (en) Apparatus,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spot location identification
US10210542B2 (en) Venue guest device message prioritization
KR101604390B1 (ko) 개인화 및 사회화 된 정보를 제공하는 인터넷 텔레매틱스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WO2011034453A1 (en) Context - triggered systems and methods for information and services
CN109644220B (zh) 移动终端协作系统以及服务信息分发方法
US9609484B1 (en) Approaches for positioning computing devices
KR101938940B1 (ko) IoT를 활용한 관광 서비스 정보 제공 방법 및 시스템
Adewumi et al. Developing a mobile application for taxi service company in Nigeria
KR20210123065A (ko) 스마트 관광 가이드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EP2403181A1 (en) Method for automatically setting language types of push-based services, client, and server thereof
KR101764916B1 (ko) 항공권 검색시 정보 제공 방법, 사용자 단말,서버 및 프로그램
CN101742705B (zh) 一种通信方法和系统
JP2009205504A (ja) 案内システム、サーバシステム、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118441B1 (ko) 자연공원 관광서비스 관리서버
CN107302753B (zh) 一种寻路服务方法及装置、寻路服务系统
KR102302647B1 (ko) 실시간 온라인 여행 가이드 공유경제 서비스 제공 시스템 및 방법
JP6313059B2 (ja) 情報処理システム
KR20150045745A (ko) 여행 스케쥴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위한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US20200082430A1 (en) Terminal device, display method, and recording medium
KR101431754B1 (ko) 광고 정보 중개 방법 및 그 장치
KR101946202B1 (ko) 사용자 참여형 건축물정보 서비스 플랫폼 서버
KR101746785B1 (ko) 모바일 단말의 위치 기반 온라인 커뮤니티 서비스 제공 방법, 모바일 단말, 서비스 제공 서버 및 기록매체
US20140241330A1 (en) Method and system to provide relevant local service over wi-fi
JP5536285B1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情報処理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