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757B1 -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 Google Patents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757B1
KR101938757B1 KR1020180055352A KR20180055352A KR101938757B1 KR 101938757 B1 KR101938757 B1 KR 101938757B1 KR 1020180055352 A KR1020180055352 A KR 1020180055352A KR 20180055352 A KR20180055352 A KR 20180055352A KR 101938757 B1 KR101938757 B1 KR 10193875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rt
current
sub
patch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53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현
Original Assignee
김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동현 filed Critical 김동현
Priority to KR10201800553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75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7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7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1/00Details of selecting apparatus or arrangements
    • H04Q1/02Constructional details
    • H04Q1/13Patch panels for monitoring, interconnecting or testing circuits, e.g. patch bay, patch field or jack field; Patching modu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60Contacts spaced along planar side wall transverse to longitudinal axis of engagement
    • H01R24/62Sliding engagements with one side only, e.g. modular jack coupling devi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7/00Four or more po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엔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패치 패널이 제공된다. 패치 패널은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제1 포트, 상기 엔드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 포트, 상기 패치 코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패치 코드의 일단과 타단의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류 또는 전압을 기준 전류 또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LED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Patch panel having the function of connection position indication of patch cord}
본 발명은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패치 코드 일단이 네트워크 스위치 포트에서 분리되었을 때 패치 코드의 타단이 연결된 패치 패널의 포트에 대응하는 LED 램프가 점등되어 패치 코드가 다시 연결될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패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컴퓨터의 보급화 및 통신망의 발전에 따라, 대부분의 가정, 사무실, 공장, 실험실 등은 설치된 컴퓨터를 서로 연결하여 네트워크 환경을 구성하는 것이 자연스러운 추세가 되었다. 이러한 네트워크 환경을 효율적으로 구축하고, 유지 및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컴퓨터 등의 엔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스위치(허브) 사이에 구비되어 신호를 중계하는 패치 패널(Patch panel)이 종래 제안되었다. 패치 패널은 네트워크 장치 또는 통신 회선을 유선 케이블인 패치 코드를 통해 연결 또는 분배하기 위한 단자 포트가 다수 마련되어 신호를 상호 중계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패치 패널과 네트워크 스위치 사이의 연결이 패치 코드로 수행되는 현재의 상황에서, 패치 코드 또는 연결 포트의 수리 및 점검을 위해 패치 코드가 네트워크 스위치의 연결 포트에서 분리되어야 하고, 수리 및 점검이 끝낸 이후 다시 원래의 위치로 연결이 되어야만 한다. 분리된 패치 코드의 수가 적은 경우에는 본래의 위치로 연결이 용이할 수 있지만, 분리된 패치 코드의 수가 많은 경우 본래의 위치로 패치 코드를 다시 연결하는 것에 상당한 어려움이 발생한다. 즉, 네트워크 스위치에서 패치 코드를 분리하였을 때, 본래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장치 및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그리고 작업자는 패치 코드의 정상 여부, 구체적으로 단락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별도의 장비를 사용한다. 수많은 패치 코드가 연결된 복잡한 상태에서 별도의 장비를 적용하여 이를 점검하는 것 또한 용이하지가 않다. 즉, 별도의 장치 없이도 패치 코드의 정상 여부, 단락 여부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요구되고 있다.
한국 특허 출원 문헌 10-2009-0059733 (2009년 06월 11일)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구체적으로 패치 코드 일단이 네트워크 스위치 포트에서 분리되었을 때 패치 코드의 타단이 연결된 패치 패널의 포트에 대응하는 LED 램프가 점등되어 패치 코드가 다시 연결될 위치를 확인할 수 있고, LED 램프 점등에 따라 패치 코드의 정상 유무 또한 판단할 수 있는 패치 패널을 개시한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은 엔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패치 패널로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제1 포트; 상기 엔드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 포트; 상기 패치 코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패치 코드의 일단과 타단의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류 또는 전압을 기준 전류 또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LED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비교부는 상기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이 상기 기준 전류 또는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 검출 신호를 상기 LED 구동부에 제공하고, 상기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이 상기 기준 전류 또는 상기 기준 전압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정상 검출 신호를 상기 LED 구동부에 제공하며, 상기 LED 구동부는 상기 정상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LED 램프를 소등하고, 상기 비정상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LED 램프를 점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치 코드는 제1 내지 제8 가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는 제1 내지 제8 가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8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출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서브 검출부, 제4 및 제5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서브 검출부, 제7 및 제8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3 서브 검출부, 제3 및 제6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4 서브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제1 서브 검출부 및 상기 제4 서브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하는 제1 서브 증폭부 및 상기 제2 서브 검출부 및 상기 제3 서브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하는 제2 서브 증폭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패치 코드는 상기 제1 내지 제8 가닥을 보호하는 외부 피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LED 램프의 점등 시 표시되는 색상은 상기 외부 피복의 색상과 일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통신 신호의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상호 접속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은 연결된 패치 코드가 네트워크 스위치에서 분리되었을 때 연결된 포트에 대응하는 LED 램프가 점등될 수 있다. 따라서, 작업자는 작업 이후 패치 코드가 네트워크 스위치에 연결될 위치를 용이하게 파악할 수 있다.
또한, LED 램프 점등에 따라 패치 코드 또는 네트워크 스위치의 연결 포트 등의 이상 여부를 별도의 장치 없이도 용이하게 판단할 수 있다.
도 1은 패치 패널, 네트워크 시스템, 엔드 디바이스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의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의 블록도이다.
도 4는 제1 포트, 제1 포트와 연결된 패치 코드, LED 램프의 점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를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관례 또는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명세서의 설명 부분에서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실질적인 의미와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패치 패널, 네트워크 시스템, 엔드 디바이스의 관계를 나타낸 예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의 정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의 블록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패치 패널(10)은 제1 포트(100), 제2 포트(110), 상호 접속부(120) 및 LED 램프(130)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10)은,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또는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예컨대, 본 명세서의 패치 패널(10) 및 이에 포함된 각 부(unit)는, 특정 형식 및 내용의 데이터를 전자통신 방식으로 주고받기 위한 장치 및 이에 관련된 소프트웨어를 통칭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module)", "서버(server)", "시스템", "장치" 또는 "단말" 등의 용어는 하드웨어 및 해당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의 조합을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된다. 예를 들어, 여기서 하드웨어는 CPU 또는 다른 프로세서(processor)를 포함하는 데이터 처리 기기일 수 있다. 또한, 하드웨어에 의해 구동되는 소프트웨어는 실행중인 프로세스, 객체(object), 실행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등을 지칭할 수 있다.
또한, 패치 패널(10)을 구성하는 각각의 부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구성요소를 지칭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 도 3에서 제1 포트(100), 제2 포트(110), 상호 접속부(120) 등은 서로 구분되는 별개의 블록으로 도시되나, 이는 패치 패널(10)을 구성하는 장치를 해당 장치에 의해 실행되는 동작에 의해 단지 기능적으로 구분한 것이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각각의 부는 일부 또는 전부가 동일한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 있고, 하나 이상이 다른 부와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별개의 장치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시적으로, 제1 포트(100), 제2 포트(110), 상호 접속부(120)는 하나의 장치 내에 집적화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스위치(20)는 통신망을 통해 서버와 연결된 통신 장치일 수 있으며, 네트워크 허브, 네트워크 라우터 등의 다양한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엔드 디바이스(30)는 동작 과정에서 통신 신호가 필요한 전자 기기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한 통신 신호를 패치 패널(10)로부터 공급받는다. 즉, 패치 패널(10)은 네트워크 스위치(20)와 엔드 디바이스(30) 사이에 위치하여 통신 신호를 중계할 수 있다.
패치 패널(10)의 제1 포트(100)는 네트워크 스위치(20)와 연결되는 패치 코드가 연결된다. 제1 포트(10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네트워크 스위치(20)에 구비된 연결 포트의 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네트워크 스위치(20)와 제1 포트(100) 사이에서, 통신 신호의 전송은 패치 코드(PC)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제2 포트(110)는 엔드 디바이스(30)에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연결된다. 제2 포트(110)는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이는 엔드 디바이스(30)의 개수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엔드 디바이스(30)와 제2 포트(110) 사이에서, 통신 신호의 전송은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10)은 POE 패치 패널일 수 있으며, 엔드 디바이스(30)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제2 포트(110)에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제공해줄 수도 있다. 패치 패널(10)은 외부 전원 공급 모듈(40)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을 수 있고, 엔드 디바이스(30)의 동작 전원 및 통신 신호를 연결된 케이블을 통해 엔드 디바이스(30)에 제공해줄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10)은 상술한 구성들이 하드웨어적으로 구현될 때, 이들을 수용하기 위한 하우징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포트(100)와 제2 포트(110)는 하우징의 일면(전면부)에 함께 위치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의 일면의 상부에 제1 포트(100), 하우징의 일면의 하부에 제2 포트(110)가 위치할 수 있다. 다만, 제1 포트(100) 및 제2 포트(110)의 위치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여기서, 제1 포트(10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제1 포트는 수평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제2 포트(110)가 복수 개로 구비되는 경우, 복수의 제2 포트 또한 수평 방향을 따라 나란히 위치할 수 있다.
상호 접속부(120)는 제1 포트(100)와 제2 포트(110)를 통신 신호의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도록 상호 연결할 수 있다. 상호 접속부(120)는 제1 포트(100)와 대응하는 제2 포트(110)를 연결하여 통신 신호의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도 2에서, 제1 포트(100)는 위아래로 나란히 위치한 제2 포트(110)와 대응될 수 있다. 상호 접속부(120)는 위아래로 나란히 위치한 제1 포트(100)와 제2 포트(110)를 서로 연결하여 통신 신호의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상술한 상호 접속부(120)의 상호 연결 관계는 예시적인 것으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LED 램프(130)는 제1 포트(100)와 제2 포트(110)가 위치한 하우징의 일면에 구비될 수 있다. LED 램프(130) 또한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으며, 각각의 LED 램프(130)는 제1 포트(100) 각각에 대응할 수 있다. 즉, LED 램프(130)의 수는 제1 포트(100)의 수와 동일할 수 있다. LED 램프(130)는 대응하는 제1 포트(100)와 인접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LED 램프(130)의 점등은 대응하는 제1 포트(100)에 연결된 패치 코드(PC)의 연결 상태 변경 또는 이상 상태의 발생을 나타낼 수 있다. 패치 패널(100)의 관리자 또는 유지 보수 작업을 수행하는 작업자는 LED 램프(130)의 점등을 시각적으로 인지함으로써 패치 코드의 연결 상태 및 이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LED 램프(130)는 단순히 패치 코드(PC)가 제1 포트(100)에 연결되었다는 사실을 인식함에 따라 점등 여부가 변경되는 것이 아니다. LED 램프(130)의 점등 원리에 대해 이하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은 제1 포트(100), 제1 포트(100)와 연결된 패치 코드(PC), LED 램프(130)의 점등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4는 특정 하나의 제1 포트(100), 제1 포트(100)에 연결되는 패치 코드(PC) 및 제1 포트(100)에 대응되는 LED 램프(130)를 기준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안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패치 패널(10)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제1 포트(100)를 구비할 수 있으며, 이하의 설명 및 도 4에 표시된 다른 구성들은 패치 패널(10)의 다른 제1 포트(100) 및 다른 LED 램프(130)에도 동일하게 적용된다.
도 4를 참조하면, 패치 패널(10)은 검출부(140), 증폭부(150), 비교부(160), LED 구동부(170)를 더 포함한다.
여기서, 패치 코드(PC)는 UTP 케이블(Unshielded Twisted Pair Cable)일 수 있다. 패치 코드(PC)는 근거리 통신망을 위한 통신 케이블일 수 있으며, 2가닥(2core)씩 짝(Pair)을 구성한 8가닥(8core)으로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제2 가닥이 하나의 짝을 구성하고, 제4, 제5 가닥이 하나의 짝을 구성하며, 제7, 제8 가닥이 하나의 짝을 구성하고, 제3, 제6번 가닥이 하나의 짝을 구성한다. 통신 신호는 하나의 짝을 통해 차동 신호로써 전송될 수 있다. 통신 신호의 전송이 모든 가닥이 사용되는 것은 아니며, 예시적으로 이더넷 속도가 10/100Mbps인 경우에는 제1, 제2 가닥이 하나의 짝, 제3, 제6 가닥이 하나의 짝으로 사용되고, 이더넷 속도가 1Gbps인 경우에는 제4, 제5 가닥이 하나의 짝, 제7, 제8 가닥이 하나의 짝으로 사용된다. 패치 코드(PC)는 이러한 가닥들이 내부에 구비되고 이를 보호하기 위한 피복이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패치 코드(PC)의 양 말단에는 연결 포트 또는 제1 포트(100)와의 연결을 위한 플러그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포트(100)는 이러한 패치 코드(PC)의 제1 내지 제8 가닥과 대응하는 제1 내지 제8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커넥터는 제1 가닥과 연결되어 제1 가닥으로 전송되는 신호를 수신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제1 포트(100)의 커넥터는 네트워크 스위치(20)에 구비된 연결 포트에도 동일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나의 패치 코드(PC)의 일단이 네트워크 스위치(20)의 연결 포트에 연결되고, 타단이 제1 포트(100)에 연결되어, 네트워크 스위치(20)와 패치 패널(10) 간의 통신 신호의 송신, 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패치 코드(PC)의 한 가닥은 도전체일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 구리선이 사용된다. 또한, 네트워크 스위치(20)의 연결 포트와 패치 패널(10)의 제1 포트(100) 간에 외부 전원의 공급이 제공되지 않더라도 전기적 환경이 서로 상이한 바 패치 코드(PC)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는 전위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포트(100)와 연결 포트의 전위 차이에 따른 전압이 형성되고, 제1 내지 제8 가닥을 통해 의도되지 않은 미세한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다만, 패치 코드(PC)가 제1 포트(100) 및 네트워크 스위치(20)의 연결 포트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된 상태가 아닌 경우, 또는 패치 코드(PC)에 단선이 발생한 경우에는 전위차가 형성될 수 없어 전류가 흐를지 않을 수 있다.
검출부(140)는 제1 포트(100)의 커넥터와 연결될 수 있다. 검출부(140)는 패치 코드(PC)를 통해 흐르는 전류 또는 패치 코드(PC)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된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검출한다. 검출부(140)는 제1 내지 제8 가닥을 통해 흐르는 전류 또는 제1 포트(100)와 연결 포트 사이에 형성된 전압을 검출할 수 있다. 검출부(140)는 제1 서브 검출부(140a), 제2 서브 검출부(140b), 제3 서브 검출부(140c), 제4 서브 검출부(140d)를 포함한다. 제1 서브 검출부(140a)는 제1, 제2 커넥터와 연결되어 제1, 제2 가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또는 이에 형성된 전압을 검출한다. 제2 서브 검출부(140b)는 제4, 제5 커넥터와 연결되어 제4, 제5 가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또는 이에 형성된 전압을 검출한다. 제3 서브 검출부(140c)는 제7, 제8 커넥터와 연결되어 제7, 제8 가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또는 이에 형성된 전압을 검출한다. 제4 서브 검출부(140d)는 제3, 제6 커넥터와 연결되어 제3, 제6 가닥으로부터 전달되는 전류, 또는 이에 형성된 전압을 검출한다.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은 증폭부(150)로 제공될 수 있다. 검출부(140)는 실시간으로 전류, 또는 전압을 검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일정 주기에 대응하여 전류 또는 전압을 검출할 수도 있다.
증폭부(150)는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할 수 있다. 검출부(140)에서 검출되는 전류 또는 전압은 통신 신호의 전송과정에서 발생하는 수준으로 전류의 크기가 작고 또는 전압의 세기가 약할 수 있다. 따라서, 증폭부(150)는 검출부(140)에서 검출된 미세 전류 또는 미세 전압을 비교 가능한 수준으로 증폭할 수 있다. 증폭부(150)는 제1 서브 증폭부(150a) 및 제2 서브 증폭부(15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서브 증폭부(150a)는 제1 서브 검출부(140a) 및 제4 서브 검출부(140d)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할 수 있다. 제2 서브 증폭부(150b)는 제2 서브 검출부(140b) 및 제3 서브 검출부(140c)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할 수 있다.
비교부(160)는 증폭부(150)에서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을 기준 전류 또는 기준 전압과 비교한다. 여기서,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이 기준 전류 또는 기준 전압 이상이라는 것은, 패치 코드(PC)가 제1 포트(100)와 네트워크 스위치(20)의 연결 포트에 각각 연결된 상태이며, 단선 등의 장애가 발생하지 않은 정상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또한,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이 기준 전류 또는 기준 전압보다 미만이라는 것은, 패치 코드(PC)가 제1 포트(100)와 네트워크 스위치(20)의 연결 포트 중 어느 하나와 연결이 분리된 상태 또는 패치 코드(PC)에 단선 등의 장애가 발생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비교부(160)는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이 기준 전류 또는 기준 전압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 검출 신호를 LED 구동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비교부(160)는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이 기준 전류 또는 기준 전압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정상 검출 신호를 LED 구동부(170)에 제공할 수 있다.
LED 구동부(170)는 비교부(160)에서 제공되는 검출 신호에 따라 LED 램프(130)의 점등을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LED 구동부(170)는 단순히 패치 코드(PC)가 제1 포트(100)에 연결되는 것을 LED 램프(130)의 점등을 제어하는 것이 아니다. LED 램프(130)는 검출 신호에 따라 점등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LED 구동부(170)는 비교부(160)에서 제공되는 정상 검출 신호에 따라 LED 램프(130)를 소등할 수 있으며, 비교부(160)에서 제공되는 비정상 검출 신호에 따라 LED 램프(130)를 점등할 수 있다. 즉, 패치 코드(PC)가 제1 포트(100)와 네트워크 스위치(20)의 연결 포트 사이에 정상적으로 연결된 상태인 경우 LED 램프(130)는 계속 소등된 상태, 꺼져있는 상태일 수 있다. 또한, 패치 코드(PC)가 제1 포트(100)와 네트워크 스위치(20)의 연결 포트 중 적어도 하나와 연결이 해제된 경우 또는 패치 코드(PC)에 문제가 발생한 경우에는 LED 램프(130)는 점등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다른 실시예에서, LED 구동부(170)는 정상 검출 신호에 따라 LED 램프(130)를 점등하고, 비정상 검출 신호에 따라 LED 램프(130)를 소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10)은 제1 포트(100)에 연결된 패치 코드(PC)의 연결 상태 변화 또는 패치 코드(PC)의 이상 여부 발생을 상기 제1 포트(100)와 대응되는 LED 램프(130)를 통해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패치 패널(10)의 관리자는 LED 램프(130)의 점등 또는 표시 색상 변경을 통해 제1 포트(100)에 연결된 패치 코드(PC)의 연결 상태의 변화 또는 이상 여부 발생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패치 코드(PC)의 수선, 유지 보수 또는 제1 포트(100) 및 네트워크 스위치(20)의 연결 포트의 수선, 유지 보수를 위해서 패치 코드(PC)의 분리되는 경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치 패널(10)의 LED 램프(130)가 점등될 수 있다. 즉, 현재 분리된 패치 코드(PC)가 다시 삽입되어야 하는 위치가 LED 램프(130)를 통해 확인될 수 있으며, 수선, 유지 보수 작업의 효율성이 보다 높아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한 LED 램프(130)의 점등 과정은 패치 코드(PC)의 일단과 타단 사이에 전위차가 형성되면 가능한 것으로, 패치 코드(PC)의 타단이 제1 포트(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이 분리되었을 때, 본래 일단이 연결되어야 하는 네트워크 시스템(20)의 연결 포트가 아닌 다른 연결 포트에 연결되더라도 똑같이 적용될 수 있다. 즉, 패치 코드(PC)의 타단이 제1 포트(100)에 연결된 상태에서 일단이 분리되었을 때 LED 램프가 점등되고, 본래 연결되어야 하는 연결 포트가 아닌 정상 상태의 다른 연결 포트에 일단이 연결되더라도 전류가 흐를 수 있어 LED 램프(130)는 소등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활용하여 패치 코드(PC) 정상 여부 또는 네트워크 시스템(20)의 연결 포트의 정상 여부를 LED 램프의 소등을 확인함으로써 판단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패치 코드(PC)가 본래 연결 포트에 연결된 상태에서 LED 램프가 소등되나, 인접한 다른 연결 포트에 연결 시 LED 램프가 점등되는 경우, 본래 연결 램프에 이상이 생긴 것을 매우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즉, 종래와 같은 별도의 장치가 없더라도 패치 코드(PC) 또는 연결 포트의 정상 여부를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LED 램프(130)가 점등 시 표시하는 색상은 대응하는 패치 코드(PC)의 외부 피복 색상일 수 있다. 즉, LED 램프(130)는 대응하는 패치 코드(PC)의 피복 색상과 동일한 색상을 빛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나란히 위치한 패치 코드(PC)는 피복 색상이 서로 상이할 수 있으며, 이에 대응하여 나란히 위치한 LED 램프(130) 또한 서로 상이한 색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나란히 위치한 패치 코드(PC)를 네트워크 스위치(20)에서 분리하더라도 LED 램프(130)에 점등되는 색상과 외부 피복 색상을 확인하여 서로의 구분이 매우 용이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예들 또는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며,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패치 패널
20: 네트워크 스위치
30: 엔드 디바이스
100: 제1 포트
110: 제2 포트
120: 상호 접속부
130: LED 램프
140: 검출부
150: 증폭부
160: 비교부
170: LED 구동부

Claims (6)

  1. 엔드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스위치 사이에 위치하여 통신 신호를 중계하는 패치 패널로서,
    상기 네트워크 스위치와 연결되는 패치 코드가 접속되는 제1 포트;
    상기 엔드 디바이스에 상기 통신 신호를 전달하는 케이블이 접속되는 제2 포트;
    상기 패치 코드를 통해 흐르는 전류 또는 상기 패치 코드의 일단과 타단의 전위차에 따른 전압을 검출하는 검출부;
    상기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하는 증폭부;
    상기 증폭부에서 증폭된 전류 또는 전압을 기준 전류 또는 기준 전압과 비교하는 비교부; 및
    상기 비교부의 비교 결과에 따라 상기 제1 포트에 대응하는 LED 램프의 점등을 제어하는 LED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비교부는 상기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이 상기 기준 전류 또는 상기 기준 전압 이상으로 판단되는 경우 정상 검출 신호를 상기 LED 구동부에 제공하고, 상기 증폭된 검출 전류 또는 전압이 상기 기준 전류 또는 상기 기준 전압 미만으로 판단되는 경우, 비정상 검출 신호를 상기 LED 구동부에 제공하며,
    상기 LED 구동부는 상기 정상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포트에 대응하는 LED 램프를 소등하고, 상기 비정상 검출 신호에 따라 상기 제1 포트에 대응하는 LED 램프를 점등하는 패치 패널.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코드는 제1 내지 제8 가닥을 포함하고, 상기 제1 포트는 상기 제1 내지 제8 가닥에 각각 대응하는 제1 내지 제8 커넥터를 포함하는 패치 패널.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부는 제1 및 제2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1 서브 검출부, 제4 및 제5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2 서브 검출부, 제7 및 제8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3 서브 검출부, 제3 및 제6 커넥터와 연결되는 제4 서브 검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증폭부는 상기 제1 서브 검출부 및 상기 제4 서브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하는 제1 서브 증폭부 및 상기 제2 서브 검출부 및 상기 제3 서브 검출부에서 검출된 전류 또는 전압을 증폭하는 제2 서브 증폭부를 포함하는 패치 패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패치 코드는 상기 제1 내지 제8 가닥을 보호하는 외부 피복을 더 포함하고,
    상기 LED 램프의 점등 시 표시되는 색상은 상기 외부 피복의 색상과 일치하는 패치 패널.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포트와 상기 제2 포트를 서로 연결하여 상기 통신 신호의 전송과 수신이 가능하게 하는 상호 접속부를 더 포함하는 패치 패널.
KR1020180055352A 2018-05-15 2018-05-15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KR10193875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52A KR101938757B1 (ko) 2018-05-15 2018-05-15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5352A KR101938757B1 (ko) 2018-05-15 2018-05-15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757B1 true KR101938757B1 (ko) 2019-01-16

Family

ID=652810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5352A KR101938757B1 (ko) 2018-05-15 2018-05-15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8757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08B1 (ko) * 2019-06-27 2019-11-20 윤상철 엘이디 패치 패널 애널라이저
WO2023033590A1 (ko) * 2021-09-03 2023-03-09 김경선 커넥터와 연결하는 분배 장치와, 그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455Y1 (ko) * 1987-06-30 1989-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저항 판별기
JP2603784B2 (ja) * 1992-08-26 1997-04-23 松下電工株式会社 情報配線システムの配線切換盤
KR20090059733A (ko) 2007-12-07 2009-06-11 대은전자 주식회사 아이디씨용 패치패널
JP2015142308A (ja) * 2014-01-30 2015-08-03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スイッチ、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接続支援方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890007455Y1 (ko) * 1987-06-30 1989-10-26 삼성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저항 판별기
JP2603784B2 (ja) * 1992-08-26 1997-04-23 松下電工株式会社 情報配線システムの配線切換盤
KR20090059733A (ko) 2007-12-07 2009-06-11 대은전자 주식회사 아이디씨용 패치패널
JP2015142308A (ja) * 2014-01-30 2015-08-03 富士通株式会社 ネットワークスイッチ、情報処理システム及び接続支援方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46908B1 (ko) * 2019-06-27 2019-11-20 윤상철 엘이디 패치 패널 애널라이저
WO2023033590A1 (ko) * 2021-09-03 2023-03-09 김경선 커넥터와 연결하는 분배 장치와, 그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KR20230034797A (ko) * 2021-09-03 2023-03-10 김경선 커넥터와 연결하는 분배 장치와, 그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KR102587756B1 (ko) 2021-09-03 2023-10-11 김경선 커넥터와 연결하는 분배 장치와, 그 연결 상태를 관리하는 서버 장치 및 그 방법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511B2 (en) Cross connect patch guidance system
KR101631455B1 (ko) 인텔리전트 패칭 시스템
US7811119B2 (en) Smart cable provisioning for a patch cord management system
KR101991342B1 (ko) 연결 포트 검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US20130018624A1 (en) System For Manufacturing Cables
KR101938757B1 (ko) 패치 코드의 연결 위치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JP6457509B2 (ja) 視覚標識装置を含むネットワークケーブル及びネットワークケーブルの末端の視覚標識装置
US20120324296A1 (en) System and method for bus network fault detection
KR20130119592A (ko) 양방향 네트워크 상태 진단 및 표시 기능을 구비한 패치 패널
US10090915B2 (en) Optical communication device and optical communication method
US10535954B2 (en) Automatically deducing the electrical cabling between electrical devices
US6888996B2 (en) Fiber optic cable identification kit and its method
KR101990607B1 (ko) 능동형 패치판넬을 이용한 자동선번인식 방법 및 이를 구비한 통합배선반 네트워크 시스템
KR20180129439A (ko) 네트워크 통신상태 진단과 표시가 가능 한 패치 패널
JP4637755B2 (ja) Lanスイッチのネットワーク障害回避装置及びこれを用いたネットワーク障害回避方法
KR20040016236A (ko) 멀티 랜케이블 테스팅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멀티랜케이블 테스팅 방법
KR200473532Y1 (ko) 랜케이블 테스터
CN109274611B (zh) 基板管理控制器切换共享网络协议的方法
KR101938756B1 (ko) 전원 공급 상태 진단 및 표시 기능을 구비한 poe 패치 패널
KR101606648B1 (ko) 선로의 이상유무 검출이 용이한 패치패널
KR100948096B1 (ko) 트위스트 페어 케이블을 이용한 영상정보 전송 및 장애관리시스템
JP5800371B2 (ja) 接続診断装置、判定回路および接続診断方法
WO2017082887A1 (en) Visible indication of a port as configured to management functionality
KR20150115554A (ko) 랜케이블 테스터
EP3419219A1 (en) Monitoring cable connections using ethernet-connection establishment signal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