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328B1 -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 Google Patents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328B1
KR101938328B1 KR1020180059515A KR20180059515A KR101938328B1 KR 101938328 B1 KR101938328 B1 KR 101938328B1 KR 1020180059515 A KR1020180059515 A KR 1020180059515A KR 20180059515 A KR20180059515 A KR 20180059515A KR 101938328 B1 KR101938328 B1 KR 10193832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main body
screen
coupled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595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상기
Original Assignee
(주)브랜딩포커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브랜딩포커스 filed Critical (주)브랜딩포커스
Priority to KR10201800595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32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3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328B1/ko
Priority to PCT/KR2019/002483 priority patent/WO2019225839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16Ornamental frames, e.g. with illumination, speakers or decorative featur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00Mirrors; Picture frames or the like, e.g. provided with heating, lighting or ventilating means
    • A47G1/06Picture frames
    • A47G1/0633Picture frames made of shee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65/00Wrappers or flexible covers; Packaging materials of special type or form
    • B65D65/02Wrappers or flexible covers
    • B65D65/16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 B65D65/18Wrappers or flexible covers with provision for excluding or admitting light with some areas transparent and others opa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입체액자에 관한 것으로, 제1 내지 제4 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제1 본체부 측에 수용되는 제1 프레임유닛, 상기 제1 본체부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유닛의 제2 본체부 측에 수용되는 제2 프레임유닛, 제1 스크린부가 상기 제1 프레임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린부와 마주보는 제2 스크린부가 상기 제2 프레임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크린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스크린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스크린부 및 상기 제3 스크린부와 마주보는 제4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며 절곡된 측면부가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의 제3 및 제4 스크린부와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는 덮개스크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STEREOSCOPIC FRAME AND PACKING MATERIAL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자는 사진이나 그림 등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도록 형성되어 실내 장식용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장식장 등에 올려놓거나 또는 벽에 걸어 장식미를 갖게 한다. 종래 액자는 주로 평면 상태의 사진이나 그림 등과 같은 전시물을 보관 및 디스플레이하는 단순한 목적으로 사용되었으나, 최근에는 전시물이 보다 독특해보이도록 입체적으로 디스플레이하는 입체액자들이 개발되고 있다. 종래의 홀로그램 기법을 이용하여 입체감을 표현하는 입체액자가 있으나, 홀로그램 기법을 이용한 입체액자는 촬영을 위한 별도의 특수 장비가 필요하여 제작비가 고가이며, 제작비에 비해 입체적으로 표현되는 부분에서 만족도가 낮다는 한계가 있다.
종래의 입체액자는 실질적인 공간개념이 적용되지 않음에 따라 그림이나 배경화면이 생동감이 없고 입체감이 떨어지며 전시물을 상황에 따라 부분적으로 변화시키면서 사용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통상 종래의 액자는 오직 1 종의 사진이나 그림을 내부에 끼워 넣을 수 있는 구조를 채택하고 있기 때문에, 2 종 이상의 사진이나 그림을 연출하기 위해서는 그에 해당하는 개수의 액자가 필요했으므로 비용 부담이 상승하고 이로 인해 경제성이 떨어지는 문제가 있다.
한편, 일반적으로 포장 대상물인 제품을 포장하는 포장지 내지 포장박스 등의 포장재는 단순히 제품을 포장하는 기능을 하며 경우에 따라 포장재 표면에 다양한 문양이나 각종 이미지 등을 인쇄하여 장식성을 높이고 있으나, 단순히 표면에 이미지 등이 인쇄된 포장재는 포장재로 사용 후에는 폐기되어 사용이 일회성으로 끝나는 경우가 대부분이므로 자원의 낭비가 심하며, 표면에 인쇄된 이미지 등으로 포장대상인 제품의 장식성이나 고급화를 꾀하기에는 미흡한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제품의 구매욕을 높이고 전시성을 제고할 수 있는 포장재가 요구되고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체유닛, 프레임유닛, 스크린유닛, 포장유닛 등을 이용하여 입체감 있는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는 제1 내지 제4 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제1 본체부 측에 수용되는 제1 프레임유닛, 상기 제1 본체부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유닛의 제2 본체부 측에 수용되는 제2 프레임유닛, 제1 스크린부가 상기 제1 프레임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린부와 마주보는 제2 스크린부가 상기 제2 프레임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크린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스크린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스크린부 및 상기 제3 스크린부와 마주보는 제4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며 절곡된 측면부가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의 제3 및 제4 스크린부와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는 덮개스크린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프레임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유닛과 마주보는 제1 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유닛은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슬릿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유닛은,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기 제1 본체부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1 슬릿부와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기 제2 본체부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2 슬릿부와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슬릿부는, 상기 제1 면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 좌슬릿부, 및 상기 제1 면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 우슬릿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좌슬릿부와 결합되는 제1 좌결합부, 및 상기 제1 우슬릿부와 결합되는 제1 우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좌결합부는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좌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1 좌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우결합부는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상기 제1 우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1 우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제2 면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좌슬릿부, 및 상기 제2 면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우슬릿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좌슬릿부와 결합되는 제2 좌결합부, 및 상기 제2 우슬릿부와 결합되는 제2 우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좌결합부는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상기 제2 좌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2 좌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우결합부는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상기 제2 우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2 우볼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과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본체부 및 상기 제3 본체부와 마주보는 제4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스크린유닛의 측면부는, 상기 제3 본체부와 가까운 방향으로 절곡된 후 먼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이 반복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4 본체부와 가까운 방향으로 절곡된 후 먼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이 반복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3 스크린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절곡 부분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4 스크린부는 상기 제2 측면부의 절곡 부분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의 형태와 소정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다.
상기 덮개스크린유닛은, 평면 형태의 덮개디스플레이부, 상기 덮개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프레임유닛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제1 덮개부, 및 상기 덮개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프레임유닛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제2 덮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부에 단차를 포함하는 제1 단차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에 단차를 포함하는 제2 단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덮개부는 끝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끝단은 상기 제1 단차부와 접촉되어 상기 덮개스크린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2 덮개부는 끝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은 상기 제2 단차부와 접촉되어 상기 덮개스크린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는 상기 입체액자를 수용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1 포장유닛, 및 상기 제1 포장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1 포장유닛에 수용된 상기 덮개스크린유닛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투명부를 포함하는 제2 포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부는 외부에서 상기 스크린유닛 및 상기 덮개스크린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장유닛은 1 개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이고, 상기 제2 포장유닛은 2 개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이며, 상기 제2 포장유닛의 개방된 상기 2 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통해 상기 제1 포장유닛이 삽입 결합되는 입체액자를 이용할 수 있다.
상기 제1 포장유닛에 수용되며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수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을 통해, 각각의 모양이나 색채 등이 동시에 투시됨에 따라 독창적인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와 덮개디스플레이부는 평면 형태로 모양, 색채, 및 빈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감나는 입체액자의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좌볼록부는 제1 좌결합부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제1 좌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어 제1 좌결합부가 제1 좌슬릿부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의 제3 스크린부가 각각 제1 측면부의 절곡 부분에 삽입 결합되고 제4 스크린부가 각각 제2 측면부의 절곡 부분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측면부는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의 소정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게 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평면 형태가 굽어지지 않고 평평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돌출부는 제1 덮개부로부터 절곡된 후 돌출되어 돌출된 끝단이 제1 단차부와 접촉됨으로써 제1 단차부에 제1 돌출부가 걸리게 되어 덮개스크린유닛과 본체유닛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사나 고정핀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이 덮개스크린유닛의 측면부와 결합되어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린유닛의 부분적인 손상 시 손상된 스크린유닛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크린유닛의 교체가 간편함에 따라 다른 캐릭터 그림 및 다른 캐릭터가 표현된 별도의 스크린유닛으로 전면 교체 또는 부분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는 포장재 내부에 입체액자를 수용하여 상품의 구매욕을 높이고 장식적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 일실시예의 프레임유닛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 일실시예의 스크린유닛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 일실시예의 덮개스크린유닛의 전개도이다.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 일실시예의 덮개스크린유닛의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 일실시예의 본체유닛의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 일실시예의 사시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이하 설명되는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서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구분하여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액자(9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 일실시예의 프레임유닛(200, 300)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 일실시예의 스크린유닛(400) 평면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입체액자(900)는 본체유닛(100), 프레임유닛(200, 300), 스크린유닛(400), 및 덮개스크린유닛(5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체액자(900)는 제1 내지 제4 본체부(110, 120, 130, 140)를 포함하는 본체유닛(100), 본체유닛(100)의 제1 본체부(110) 측에 수용되는 제1 프레임유닛(200), 제1 본체부(110)와 마주보는 본체유닛(100)의 제2 본체부(120) 측에 수용되는 제2 프레임유닛(300), 제1 스크린부(410)가 제1 프레임유닛(200)과 결합되고 제1 스크린부(410)와 마주보는 제2 스크린부(420)가 제2 프레임유닛(300)과 결합되며, 제1 스크린부(410)의 일단과 제2 스크린부(420)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스크린부(430) 및 제3 스크린부(430)와 마주보는 제4 스크린부(440)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 및 본체유닛(100)과 결합되며 절곡된 측면부(520)가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제3 및 제4 스크린부(430, 440)와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는 덮개스크린유닛(50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유닛(200)은 제2 프레임유닛(300)과 마주보는 제1 면(21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슬릿부(220)가 형성되며, 제2 프레임유닛(300)은 제1 면(210)과 마주보는 제2 면(310)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슬릿부(320)가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유닛(400)은,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부(450), 디스플레이부(450)로부터 제1 본체부(110)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제1 슬릿부(220)와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부(460), 및 디스플레이부(450)로부터 제2 본체부(120)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제2 슬릿부(320)와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부(47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슬릿부(220)는, 제1 면(2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 좌슬릿부(221), 및 제1 면(2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 우슬릿부(222)를 포함하며, 제1 결합부(460)는, 제1 좌슬릿부(221)와 결합되는 제1 좌결합부(461), 및 제1 우슬릿부(222)와 결합되는 제1 우결합부(465)를 포함하며, 제1 좌결합부(461)는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제1 좌슬릿부(221)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1 좌볼록부(462)를 포함하고, 제1 우결합부(465)는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제1 우슬릿부(222)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1 우볼록부(466)를 포함하며, 제2 슬릿부(320)는, 제2 면(3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좌슬릿부(321), 및 제2 면(3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우슬릿부(322)를 포함하며, 제2 결합부(470)는, 제2 좌슬릿부(321)와 결합되는 제2 좌결합부(471), 및 제2 우슬릿부(322)와 결합되는 제2 우결합부(475)를 포함하며, 제2 좌결합부(471)는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제2 좌슬릿부(321)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2 좌볼록부(472)를 포함하고, 제2 우결합부(475)는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제2 우슬릿부(322)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2 우볼록부(476)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유닛(100)은 후술하는 프레임유닛(200, 300), 스크린유닛(400), 및 덮개스크린유닛(50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내지 제4 본체부(110, 120, 130, 140)와 제1 및 제2 단차부(150, 16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체유닛(100)은 일측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본체부(110)는 육면체 형태의 본체유닛(100)의 일면을 뜻하며, 제2 본체부(120)는 제1 본체부(110)와 마주보는 면을 뜻하고, 제3 본체부(130)는 제1 본체부(110)의 일단과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을 연결하는 면을 뜻하고, 제4 본체부(140)는 제3 본체부(130)와 마주보는 면으로 제1 본체부(110)의 타단과 제2 본체부(120)의 타단을 연결하는 면을 뜻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본체유닛(100)은 개방된 일측의 반대편에 위치되는 바닥면(170)에 입체액자(900)의 배경이 되는 그림이 배치될 수 있다.
도 8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단차부(150)는 제1 본체부(110)에 단차를 형성하는 것으로, 개방된 본체유닛(100) 측의 제1 본체부(110)가 두껍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1 돌출부(550)와 접촉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단차부(160)는 제2 본체부(120)에 단차를 형성하는 것으로, 개방된 본체유닛(100) 측의 제2 본체부(120)가 두껍게 형성되어 후술하는 제2 돌출부(560)와 접촉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1 프레임유닛(200)은 본체유닛(100)의 제1 본체부(110) 측에 수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스크린유닛(400)과 결합하여 스크린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슬릿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슬릿부(220)는 후술하는 제2 프레임유닛(300)과 마주보는 제1 프레임유닛(200)의 제1 면(210)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과 각각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좌슬릿부(221)와 제1 우슬릿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슬릿부(221)는 제1 면(2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1 좌결합부(461)와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좌슬릿부(221)는 제1 면(210)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1 우슬릿부(222)와는 연결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우슬릿부(222)는 제1 면(2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1 우결합부(465)와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우슬릿부(222)는 제1 면(210)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제1 좌슬릿부(221)와는 연결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프레임유닛(300)은 본체유닛(100)의 제2 본체부(120) 측에 수용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스크린유닛(400)과 결합하여 스크린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슬릿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슬릿부(320)는 제1 프레임유닛(200)과 마주보는 제2 프레임유닛(300)의 제2 면(310)에 복수 개가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과 각각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좌슬릿부(321)와 제2 우슬릿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슬릿부(321)는 제2 면(310)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 좌결합부(471)와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좌슬릿부(321)는 제2 면(310)의 좌측 끝단으로부터 우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 우슬릿부(322)와는 연결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우슬릿부(322)는 제2 면(310)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제2 우결합부(475)와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우슬릿부(322)는 제2 면(310)의 우측 끝단으로부터 좌측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것으로, 제2 좌슬릿부(321)와는 연결되지 않게 형성될 수 있다.
스크린유닛(400)은 일측이 제1 프레임유닛(200)과 결합되고 타측이 제2 프레임유닛(300)과 결합되며 양측면이 후술하는 덮개스크린유닛(500)과 결합되는 것으로, 모양을 포함하여 입체액자(900)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부(450), 제1 및 제2 결합부(460, 47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 또는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450)는 평면 형태로 모양, 색채, 및 빈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여 입체액자(900)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내지 제4 스크린부(410, 420, 430, 4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스크린부(410)는 제1 본체부(110)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1 프레임유닛(200)에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제1 프레임유닛(2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2 스크린부(420)는 제1 스크린부(410)와 마주보며 제2 본체부(120) 측에 위치되는 것으로, 제2 프레임유닛(300)과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제2 프레임유닛(300)에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3 스크린부(430)는 제1 스크린부(410)의 일단과 제2 스크린부(420)의 일단을 연결하여 위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덮개스크린유닛(500)의 제1 측면부(521)와 결합하여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제4 스크린부(440)는 제1 스크린부(410)의 타단과 제2 스크린부(420)의 타단을 연결하여 제3 스크린부(430)와 마주보며 위치되는 것으로, 후술하는 덮개스크린유닛(500)의 제2 측면부(522)와 결합하여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유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2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은 디스플레이부(450)의 길이가 되는 제3 및 제4 스크린부(430, 440)의 길이를 통해 제1 및 제2 프레임유닛(200, 300)을 제1 및 제2 본체부(110, 120)와 각각 접촉되게 하여 프레임유닛(200, 3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할 수 있다.
제1 결합부(460)는 디스플레이부(450)로부터 제1 본체부(110)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제1 슬릿부(220)와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스크린유닛(400)과 제1 프레임유닛(2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좌결합부(461)와 제1 우결합부(465)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결합부(461)는 전술한 제1 좌슬릿부(221)와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제1 프레임유닛(200)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좌볼록부(4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좌볼록부(462)는 제1 좌결합부(461)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제1 좌슬릿부(221)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 제1 좌결합부(461)가 제1 좌슬릿부(221)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좌볼록부(462)는 제1 좌결합부(461)의 일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제1 좌슬릿부(221)의 길이 보다 길게 연장되어 제1 좌결합부(461)가 제1 좌슬릿부(221)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우결합부(465)는 전술한 제1 우슬릿부(222)와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제1 프레임유닛(200)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1 우볼록부(46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우볼록부(466)는 제1 우결합부(465)의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제1 우슬릿부(222)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 제1 우결합부(465)가 제1 우슬릿부(222)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우볼록부(466)는 제1 우결합부(465)의 일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1 우슬릿부(222)의 길이 보다 길게 연장되어 제1 우결합부(465)가 제1 우슬릿부(222)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결합부(470)는 디스플레이부(450)로부터 제2 본체부(120)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제2 슬릿부(320)와 삽입 결합되는 것으로, 스크린유닛(400)과 제2 프레임유닛(3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좌결합부(471)와 제2 우결합부(475)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결합부(471)는 전술한 제2 좌슬릿부(321)와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제2 프레임유닛(300)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 좌볼록부(47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좌볼록부(472)는 제2 좌결합부(471)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제2 좌슬릿부(321)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 제2 좌결합부(471)가 제2 좌슬릿부(321)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좌볼록부(472)는 제2 좌결합부(471)의 일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제2 좌슬릿부(321)의 길이 보다 길게 연장되어 제2 좌결합부(471)가 제2 좌슬릿부(321)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우결합부(475)는 전술한 제2 우슬릿부(322)와 결합되어 스크린유닛(400)을 제2 프레임유닛(300)과 결합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제2 우볼록부(476)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우볼록부(476)는 제2 우결합부(475)의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제2 우슬릿부(322)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것으로, 제2 우결합부(475)가 제2 우슬릿부(322)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4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우볼록부(476)는 제2 우결합부(475)의 일단으로부터 좌측으로 제2 우슬릿부(322)의 길이 보다 길게 연장되어 제2 우결합부(475)가 제2 우슬릿부(322)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 일실시예의 덮개스크린유닛(500)의 전개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 일실시예의 덮개스크린유닛(500)의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 일실시예의 본체유닛(100)의 사시도이다.
본체유닛(100)은 제1 본체부(110)의 일단과 제2 본체부(120)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본체부(130) 및 제3 본체부(130)와 마주보는 제4 본체부(140)를 더 포함하며, 덮개스크린유닛(500)의 측면부(520)는, 제3 본체부(130)와 가까운 방향으로 절곡된 후 먼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이 반복되는 제1 측면부(521), 및 제4 본체부(140)와 가까운 방향으로 절곡된 후 먼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이 반복되는 제2 측면부(522)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제3 스크린부(430)는 제1 측면부(521)의 절곡 부분(525)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 개의 제4 스크린부(440)는 제2 측면부(522)의 절곡 부분(525)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형태와 소정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될 수 있으며, 덮개스크린유닛(500)은, 평면 형태의 덮개디스플레이부(510), 덮개디스플레이부(510)로부터 절곡되며 제1 본체부(110)와 제1 프레임유닛(200)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제1 덮개부(530), 및 덮개디스플레이부(510)로부터 절곡되며 제2 본체부(120)와 제2 프레임유닛(300)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제2 덮개부(540)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유닛(100)은, 제1 본체부(110)에 단차를 포함하는 제1 단차부(150), 및 제2 본체부(120)에 단차를 포함하는 제2 단차부(160)를 더 포함하며, 제1 덮개부(530)는 끝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제1 돌출부(550)를 포함하고, 제1 돌출부(550)의 끝단은 제1 단차부(150)와 접촉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하며, 제2 덮개부(540)는 끝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제2 돌출부(560)를 포함하고, 제2 돌출부(560)의 끝단은 제2 단차부(160)와 접촉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할 수 있다.
덮개스크린유닛(500)은 본체유닛(100) 및 스크린유닛(400)과 결합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 각각의 제3 스크린부(430) 및 제4 스크린부(440)와 결합되어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덮개디스플레이부(510), 측면부(520), 제1 및 제2 덮개부(530, 5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 또는 도 5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덮개디스플레이부(510)는 평면 형태로 모양, 색채, 및 빈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으로, 다양한 형태를 포함하여 입체액자(900)의 입체감을 표현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측면부(520)는 덮개스크린유닛(500)의 양측으로 연장되어 절곡되는 것으로, 제3 본체부(130) 측으로 연장되는 제1 측면부(521)와 제4 본체부(140) 측으로 연장되는 제2 측면부(52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측면부(521)는 제3 본체부(13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후 제3 본체부(1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525)이 반복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제3 스크린부(43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제3 스크린부(430)는 각각 제1 측면부(521)의 절곡 부분(525)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소정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고 후술하는 제2 측면부(522)와 함께 디스플레이부(450)의 평면 형태가 굽어지지 않고 평평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2 측면부(522)는 제4 본체부(140)와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절곡된 후 제4 본체부(14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525)이 반복되는 것으로,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제4 스크린부(440)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일례로,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제4 스크린부(440)는 각각 제2 측면부(522)의 절곡 부분(525)에 삽입 결합되어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소정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고 제1 측면부(521)와 함께 디스플레이부(450)의 평면 형태가 굽어지지 않고 평평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덮개부(530)는 덮개디스플레이부(510)로부터 제1 본체부(110) 측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제1 본체부(110)와 제1 프레임유닛(200) 사이에 삽입 결합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1 돌출부(5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돌출부(550)는 제1 덮개부(530) 끝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의 전술한 제1 단차부(150)와 결합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1 돌출부(550)는 제1 덮개부(530)로부터 절곡된 후 돌출되어 돌출된 끝단이 제1 단차부(150)와 접촉됨으로써 제1 단차부(150)에 제1 돌출부(550)가 걸리게 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2 덮개부(540)는 덮개디스플레이부(510)로부터 제2 본체부(120) 측으로 절곡되는 것으로, 제2 본체부(120)와 제2 프레임유닛(300) 사이에 삽입 결합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제2 돌출부(56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또는 도 7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제2 돌출부(560)는 제2 덮개부(540) 끝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것으로, 본체유닛(100)의 전술한 제2 단차부(160)와 결합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을 결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례로, 제2 돌출부(560)는 제2 덮개부(540)로부터 절곡된 후 돌출되어 돌출된 끝단이 제2 단차부(160)와 접촉됨으로써 제2 단차부(160)에 제2 돌출부(560)가 걸리게 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프레임유닛(200, 300)에 결합되는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과 스크린유닛(400)을 본체유닛(100)에 결합시키는 덮개스크린유닛(500)을 통해 외부에서 볼때 형태가 동시에 투사되어 실감나는 입체감이 표현되는 입체액자(900)에 관한 것이다.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을 통해, 각각의 모양이나 색채 등이 동시에 투시됨에 따라 독창적인 입체감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450)와 덮개디스플레이부(510)는 평면 형태로 모양, 색채, 및 빈 공간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여 실감나는 입체액자(900)의 입체감을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다.
제1 좌볼록부(462)는 제1 좌결합부(461)의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제1 좌슬릿부(221)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어 제1 좌결합부(461)가 제1 좌슬릿부(221)에 결합된 후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제3 스크린부(430)가 각각 제1 측면부(521)의 절곡 부분(525)에 삽입 결합되고 제4 스크린부(440)가 각각 제2 측면부(522)의 절곡 부분(525)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측면부(520)는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의 소정의 이격된 간격을 유지하게 하고 디스플레이부(450)의 평면 형태가 굽어지지 않고 평평한 형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제1 돌출부(550)는 제1 덮개부(530)로부터 절곡된 후 돌출되어 돌출된 끝단이 제1 단차부(150)와 접촉됨으로써 제1 단차부(150)에 제1 돌출부(550)가 걸리게 되어 덮개스크린유닛(500)과 본체유닛(100)이 용이하게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나사나 고정핀 등과 같은 별도의 고정구를 사용하지 않고,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400)이 덮개스크린유닛(500)의 측면부(520)와 결합되어 결합과 분리가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스크린유닛(400)의 부분적인 손상 시 손상된 스크린유닛(400)을 선택적으로 간편하게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고, 스크린유닛(400)의 교체가 간편함에 따라 다른 캐릭터 그림 및 다른 캐릭터가 표현된 별도의 스크린유닛(400)으로 전면 교체 또는 부분적으로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입체액자(900)를 이용한 포장재(1000)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를 이용한 포장재(1000) 일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를 이용한 포장재(1000) 일실시예의 분리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입체액자(900)를 이용한 포장재(1000)는 입체액자(900), 제1 및 제2 포장유닛(600, 700), 및 상품수용부(80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입체액자(900)는 본체유닛(100), 프레임유닛(200, 300), 스크린유닛(400), 및 덮개스크린유닛(500)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체유닛(100), 프레임유닛(200, 300), 스크린유닛(400), 및 덮개스크린유닛(500)에 대하여는 앞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입체액자(900)에 대한 설명이 유추 적용될 수 있다.
입체액자(900)를 이용한 포장재(1000)는 입체액자(900)를 수용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1 포장유닛(600), 및 제1 포장유닛(600)과 결합되며 제1 포장유닛(600)에 수용된 덮개스크린유닛(50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투명부(710)를 포함하는 제2 포장유닛(700)을 포함하며, 투명부(710)는 외부에서 스크린유닛(400) 및 덮개스크린유닛(500)의 적어도 일부를 볼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제1 포장유닛(600)은 1 개의 면(610)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이고, 제2 포장유닛(700)은 2 개의 면(720)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이며, 제2 포장유닛(700)의 개방된 2 개의 면(720)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통해 제1 포장유닛(600)이 삽입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입체액자(900)를 이용한 포장재(1000)는 제1 포장유닛(600)에 수용되며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수용부(8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포장유닛(600)은 일측이 개방된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입체액자(900)를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9 또는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1 포장유닛(600)은 1개의 면(620)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포장유닛(700)은 제1 포장유닛(600)과 결합되는 것으로, 제1 포장유닛(600)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으며, 투명부(71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 또는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일례로, 제2 포장유닛(700)은 2 개의 면(720)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례로, 제1 포장유닛(600)은 제2 포장유닛(700)의 2 개의 개방된 면(720) 중 어느 하나의 개방된 면을 통하여 삽입되어 제2 포장유닛(700)과 결합될 수 있다.
투명부(710)는 제1 포장유닛(600)에 수용되는 입체액자(900)의 덮개디스플레이부(510)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것으로, 포장재(1000) 외부에서 입체액자(900)의 디스플레이부(450) 및 덮개디스플레이부(510)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10의 예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상품수용부(800)는 제1 포장유닛(600)에 수용되는 것으로, 상품을 수용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입체액자(900)를 이용한 포장재(1000)는 포장재(1000) 내부에 입체액자(900)를 수용하여 상품의 구매욕을 높이고 장식적 효과를 제고할 수 있다.
한편, 본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는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100 : 본체유닛 110 : 제1 본체부
120 : 제2 본체부 130 : 제3 본체부
140 : 제4 본체부 150 : 제1 단차부
160 : 제2 단차부 200 : 제1 프레임유닛
210 : 제1 면 220 : 제1 슬릿부
221 : 제1 좌슬릿부 222 : 제1 우슬릿부
300 : 제2 프레임유닛 310 : 제2 면
320 : 제2 슬릿부 321 : 제2 좌슬릿부
322 : 제2 우슬릿부 400 : 스크린유닛
410 : 제1 스크린부 420 : 제2 스크린부
430 : 제3 스크린부 440 : 제4 스크린부
450 : 디스플레이부 460 : 제1 결합부
461 : 제1 좌결합부 462 : 제1 좌볼록부
465 : 제1 우결합부 466 : 제1 우볼록부
470 : 제2 결합부 471 : 제2 좌결합부
472 : 제2 좌볼록부 475 : 제2 우결합부
476 : 제2 우볼록부 500 : 덮개스크린유닛
510 : 덮개디스플레이부 520 : 측면부
521 : 제1 측면부 522 : 제2 측면부
530 : 제1 덮개부 540 : 제2 덮개부
550 : 제1 돌출부 560 : 제2 돌출부
600 : 제1 포장유닛 610 : 일면
700 : 제2 포장유닛 710 : 투명부
720 : 2 개의 면 800 : 상품수용부
900 : 입체액자 1000 :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

Claims (10)

  1. 제1 내지 제4 본체부를 포함하는 본체유닛;
    상기 본체유닛의 상기 제1 본체부 측에 수용되는 제1 프레임유닛;
    상기 제1 본체부와 마주보는 상기 본체유닛의 제2 본체부 측에 수용되는 제2 프레임유닛;
    제1 스크린부가 상기 제1 프레임유닛과 결합되고 상기 제1 스크린부와 마주보는 제2 스크린부가 상기 제2 프레임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1 스크린부의 일단과 상기 제2 스크린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스크린부 및 상기 제3 스크린부와 마주보는 제4 스크린부를 포함하는 복수 개의 스크린유닛; 및
    상기 본체유닛과 결합되며 절곡된 측면부가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의 제3 및 제4 스크린부와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을 서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하는 덮개스크린유닛;을 포함하는 입체액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유닛은 상기 제2 프레임유닛과 마주보는 제1 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1 슬릿부가 형성되며,
    상기 제2 프레임유닛은 상기 제1 면과 마주보는 제2 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며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이 각각 결합되는 복수 개의 제2 슬릿부가 형성되는 입체액자.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스크린유닛은,
    평면 형태의 디스플레이부;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기 제1 본체부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1 슬릿부와 삽입 결합되는 제1 결합부; 및
    상기 디스플레이부로부터 상기 제2 본체부 측으로 돌출 연장되어 상기 제2 슬릿부와 삽입 결합되는 제2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액자.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제1 슬릿부는,
    상기 제1 면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 좌슬릿부; 및
    상기 제1 면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1 우슬릿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결합부는,
    상기 제1 좌슬릿부와 결합되는 제1 좌결합부; 및
    상기 제1 우슬릿부와 결합되는 제1 우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좌결합부는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상기 제1 좌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1 좌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우결합부는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상기 제1 우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1 우볼록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슬릿부는,
    상기 제2 면의 일측 끝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좌슬릿부; 및
    상기 제2 면의 타측 끝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제2 우슬릿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결합부는,
    상기 제2 좌슬릿부와 결합되는 제2 좌결합부; 및
    상기 제2 우슬릿부와 결합되는 제2 우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2 좌결합부는 일단으로부터 일방향으로 상기 제2 좌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2 좌볼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우결합부는 일단으로부터 타방향으로 상기 제2 우슬릿부의 길이 보다 소정 길이 길게 연장되는 제2 우볼록부를 포함하는 입체액자.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부의 일단과 상기 제2 본체부의 일단을 연결하는 제3 본체부 및 상기 제3 본체부와 마주보는 제4 본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덮개스크린유닛의 측면부는,
    상기 제3 본체부와 가까운 방향으로 절곡된 후 먼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이 반복되는 제1 측면부; 및
    상기 제4 본체부와 가까운 방향으로 절곡된 후 먼 방향으로 절곡되는 절곡이 반복되는 제2 측면부;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상기 제3 스크린부는 상기 제1 측면부의 절곡 부분에 각각 결합되고, 복수 개의 상기 제4 스크린부는 상기 제2 측면부의 절곡 부분에 각각 결합되어 복수 개의 상기 스크린유닛의 형태와 소정의 이격된 간격이 유지되는 입체액자.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덮개스크린유닛은,
    평면 형태의 덮개디스플레이부;
    상기 덮개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제1 본체부와 상기 제1 프레임유닛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제1 덮개부; 및
    상기 덮개디스플레이부로부터 절곡되며 상기 제2 본체부와 상기 제2 프레임유닛 사이에 삽입 결합되는 제2 덮개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액자.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본체유닛은,
    상기 제1 본체부에 단차를 포함하는 제1 단차부; 및
    상기 제2 본체부에 단차를 포함하는 제2 단차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1 덮개부는 끝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제1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돌출부의 끝단은 상기 제1 단차부와 접촉되어 상기 덮개스크린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결합하며,
    상기 제2 덮개부는 끝단에서 절곡되어 돌출되는 제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돌출부의 끝단은 상기 제2 단차부와 접촉되어 상기 덮개스크린유닛과 상기 본체유닛을 결합하는 입체액자.
  8. 청구항 1에 따른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에 있어서,
    상기 입체액자를 수용하며 일측이 개방된 제1 포장유닛; 및
    상기 제1 포장유닛과 결합되며 상기 제1 포장유닛에 수용된 상기 덮개스크린유닛에 대응하여 배치되는 투명부를 포함하는 제2 포장유닛;을 포함하며,
    상기 투명부는 외부에서 상기 스크린유닛 및 상기 덮개스크린유닛의 적어도 일부를 볼 수 있도록 하는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유닛은 1 개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이고,
    상기 제2 포장유닛은 2 개의 면이 개방된 육면체 형태이며,
    상기 제2 포장유닛의 개방된 상기 2 개의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을 통해 상기 제1 포장유닛이 삽입 결합되는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
  10.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제1 포장유닛에 수용되며 상품을 수용하는 상품수용부를 더 포함하는 입체액자를 이용한 포장재.
KR1020180059515A 2018-05-25 2018-05-25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KR1019383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15A KR101938328B1 (ko) 2018-05-25 2018-05-25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PCT/KR2019/002483 WO2019225839A1 (ko) 2018-05-25 2019-03-05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59515A KR101938328B1 (ko) 2018-05-25 2018-05-25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8328B1 true KR101938328B1 (ko) 2019-01-14

Family

ID=650278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59515A KR101938328B1 (ko) 2018-05-25 2018-05-25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938328B1 (ko)
WO (1) WO201922583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10B1 (ko) * 2019-03-28 2020-10-07 (주)브랜딩포커스 입체 액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36Y1 (ko) 2010-11-16 2012-05-09 안대성 액자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4313507A (ja) * 2003-04-17 2004-11-11 Naosato Yamashita 額縁
KR100930086B1 (ko) * 2008-02-13 2009-12-07 손봉채 입체그림
KR20140140251A (ko) * 2013-05-29 2014-12-09 김경수 Led조명 입체 액자
KR20170017162A (ko) * 2015-08-05 2017-02-15 (주)지식나루 입체 액자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0136Y1 (ko) 2010-11-16 2012-05-09 안대성 액자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2710B1 (ko) * 2019-03-28 2020-10-07 (주)브랜딩포커스 입체 액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9225839A1 (ko) 2019-11-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404436S (en) Gaming machine top box with video display
KR101938328B1 (ko) 입체액자 및 이를 이용한 포장재
KR200486243Y1 (ko) 홀로그램 영상 표시용 접이식 박스
US9227773B2 (en) Packing container and cover package
US20050000128A1 (en) Box body having a grating
CN216103837U (zh) 一种多视角简易裸眼3d卷烟包装条盒
US20150225115A1 (en) Packing container and package
CN216582051U (zh) 可折叠式金字塔全息投影成像体、包装盒及卷烟包装条盒
CN106773477B (zh) 全息投影盒
WO2017033218A1 (ja) 組立式観賞補助装置
CN113716222A (zh) 一种多视角简易裸眼3d卷烟包装条盒及其操作方法
KR101602452B1 (ko) 인조속눈썹 케이스
CN210634897U (zh) 一种包装盒
AU2004226076B2 (en) Package of goods attached with image for forming three-dimension image
JP2000142814A (ja) 包装容器及び内容物支持部材
KR200450663Y1 (ko) 입체영상장치 및 이를 이용한 기기
JP3368215B2 (ja) 化粧料収容装置
JP6672807B2 (ja) 吊り下げ包装箱
JP7366280B2 (ja) 折り畳み可能なピラミッド型ホログラム画像形成体及びこれを含むパッケージ
CN217865326U (zh) 包装盒
JP6464363B2 (ja) バーチャル・リアリティ・ビューア
JP3235206U (ja) 首掛けラベル
JPH10152132A (ja) 芳香剤などの展示用紙箱
CN209973098U (zh) 一种紧凑型遥控玩具车包装盒
JP5301202B2 (ja) 表示片付包装用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