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8148B1 -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 Google Patents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8148B1
KR101938148B1 KR1020160139429A KR20160139429A KR101938148B1 KR 101938148 B1 KR101938148 B1 KR 101938148B1 KR 1020160139429 A KR1020160139429 A KR 1020160139429A KR 20160139429 A KR20160139429 A KR 20160139429A KR 101938148 B1 KR101938148 B1 KR 1019381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module
ballast water
water treatment
sh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1394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45925A (ko
Inventor
이수태
이수규
천상규
김주원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파나시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파나시아
Priority to KR10201601394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8148B1/ko
Priority to PCT/KR2017/011399 priority patent/WO2018080073A2/ko
Priority to CN201780001748.5A priority patent/CN108369720A/zh
Publication of KR20180045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4592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81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81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4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 H04W4/44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vehicles, e.g. vehicle-to-pedestrians [V2P] for communication between vehicles and infrastructures, e.g. vehicle-to-cloud [V2C] or vehicle-to-home [V2H]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BCONTROL OR REGULATING SYSTEMS IN GENERAL; FUNCTIONAL ELEMENTS OF SUCH SYSTEMS;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FOR SUCH SYSTEMS OR ELEMENTS
    • G05B23/00Testing or monitoring of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 G05B23/02Electric testing or monito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2Protocols specially adapted for proprietary or special-purpose networking environments, e.g. medical networks, sensor networks, networks in vehicles or remote metering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203/00Communication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JAUXILIARIES ON VESSELS
    • B63J4/00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3J4/002Arrangements of installations for treating ballast water, waste water, sewage, sludge, or refuse, or for preventing environmental pollu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treating ballast wat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박의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는 원격단말유닛과; 상기 위성통신장치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육상 관제부; 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Marine Satellite Control System for Ballast Water Treatment Device}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되고 이를 육상 관제부가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수개의 선박 각각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실시간 관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고 선주들도 자신들의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모니터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밸러스트수란 선박 운항 시 선박의 무게중심을 유지하기 위해 선박의 밑바닥이나 좌우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탱크에 채워넣는 바닷물을 의미한다. 선박이 다른 국가의 항만에 입항할 때는 기존에 채워져 있던 밸러스트수를 배출하는데, 밸러스트수에는 유해성 플랑크톤이나 박테리아 등이 포함돼 있어, 주변 해역의 토착 생태계를 교란시키는 등 환경적인 문제가 발생한다.
유엔 산하 국제해사기구(IMO)는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지난 2004년 '국제 선박평형수 관리협약'을 채택한 바 있다. 이에 따르면 새로 제조하는 선박은 2012년부터, 기존 영업 중인 기존 선박은 크기에 따라 2014년부터 2020년까지 IMO의 승인을 받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했다. 그러나 아직까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보급률이 낮은 상황에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체계적이고 전문적인 운용도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은 실정이다. 이것은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운용정보가 선박 외부로 원활하게 전달되지 못하여 그 운용의 적정성 판단, 필터나 자외선 램프 등과 같은 부품의 교체 시기 파악, 고장의 진단 및 예측 등이 어렵기 때문이다.
이를 해결하고자 선행기술인 등록특허 제1621347호는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시스템 데이터 수집방법과 선박 평형수 처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제공 장치에 관해 개시하고 있는데, 이를 살펴보면, 이동통신망 접속장치로 선박 운행지역에서 이동통신망 접속가능영역을 탐지하고, 해상 운항 선박이 항구에 접근하여 이동통신망 접속가능영역에 도달하면 망 상태 점검 과정 후 자동 접속하여, 인터넷을 통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를 외부로 전달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방식을 통해서는 선박이 항구의 근처에 머무르는 동안에만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가 외부로 전달될 수 있으므로 선박의 운행 중 실시간으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운영정보를 수집하고, 이를 토대로 육상의 관제부에서 관제정보를 생성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이에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를 언제 어디서든지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주는 관제 시스템에 대한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제1621347호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시스템 데이터 수집방법과 선박 평형수 처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제공 장치", 2016. 05. 17.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육상 관제부로 전송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수개의 선박 각각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실시간 관제정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선주들이 자신들의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모니터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단말유닛이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한 전송이 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기존 선박에 원격단말유닛만을 추가 설치하면 시스템의 선박 측 구현이 이루어져 기존 선박을 가지고도 시스템의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단말유닛이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원격단말유닛이 선박 하부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존에 설치된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운영정보를 위성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박에 이더넷선과 같은 랜(Local Area Network, LAN)선을 새로 포설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원격단말유닛이 선박의 브리지에도 설치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선박에 별도의 컨버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성통신망을 통해 육상 관제부로 전송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가 터미널 서버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어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육상 관제부의 터미널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되어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명령을 터미널 서버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선박의 원격단말유닛에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육상 관제부의 터미널 클라이언트가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선박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관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 운영정보가 생성된 GPS정보, 운영정보가 생성된 일시정보를 기본정보로 포함하고,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상태정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이상을 경고하는 알람정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세팅정보 및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로그 중 하나 이상을 본정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정보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위성통신망을 통해 운영정보를 수신하여 처리 및 수집하는 터미널 서버와 상기 운영정보를 제공받아 관제정보를 생성하는 터미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 서버와 상기 터미널 클라이언트는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를 매개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관제부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영정보의 레이어 중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시스템 레이어(System Layer)가 데이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설계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운영정보의 레이어 중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시스템 레이어(System Layer)가 IEC 61162-450/460을 준용하도록 설계되어 호환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발명은 앞서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성을 가진 실시예에 의해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박의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는 원격단말유닛과; 상기 위성통신장치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육상 관제부; 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과;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이 저장한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하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된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성통신장치에 제공하는 운영정보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이 저장한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가능한 운영정보를 생성하고,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모바일기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운영정보를 상기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운영정보 생성모듈은 생성한 운영정보를 상기 컨트롤 패널과 상기 선박의 브리지 사이에 설치된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위성통신장치는 상기 선박의 브리지에 설치되어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직렬통신라인과 상기 위성통신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전송된 운영정보를 상기 LAN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여 주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하여 새로운 LAN선의 포설이 필요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선박의 브리지에 설치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은 상기 컨트롤 패널과 상기 선박의 브리지 사이에 설치된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운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운영정보 생성모듈은 생성한 운영정보를 LAN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여 줌으로써 별도의 컨버터가 필요없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가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수행을 위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프로토콜 처리모듈과; 상기 운영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목록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과; 상기 운영정보를 처리하는 운영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운영정보 처리모듈이 처리한 운영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여 상기 운영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원격단말유닛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사용자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는 사용자명령 처리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위성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저장된 운영정보를 검색하는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관제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선박을 식별하여 선박별 관제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정보표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정보표시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동작상태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상세정보 전시모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에 관한 차트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차트정보 전시모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관리 보고서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관리보고서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선박별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진단예측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사양 및 관리이력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정보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영정보에 대한 사용자별 접근 범위 및 권한을 관리하는 권한관리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원격단말유닛으로 전송이 요구되는 사용자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명령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사용자명령 입력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전자해도 또는 전자지도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지도 커널모듈과;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이 제공하는 전자해도 또는 전자지도 기반의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설치된 선박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정보 전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는 터미널 서버와, 스토리지와, 터미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 서버는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프로토콜 처리모듈과, 상기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과, 상기 실시간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히스토리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운영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과, 상기 사용자명령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과, 상기 상세정보 전시모듈과 상기 차트정보 전시모듈과 상기 관리보고서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정보표시모듈과, 상기 진단예측모듈과, 상기 관리정보모듈과, 상기 권한관리모듈과,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모듈과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과, 상기 위치정보 전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터미널 서버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프레임워크를 갖추고 상기 터미널 서버의 상태를 전시하는 서버상태 전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원격단말유닛이 생성한 운영정보는,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GPS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일시정보를 기본정보로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상태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이상을 경고하는 알람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세팅정보 및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로그 중 하나 이상을 본정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선박의 IMO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원격단말유닛이 생성한 운영정보는,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시스템 레이어(System Layer)와;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GPS정보 및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일시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상태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이상을 경고하는 알람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세팅정보 및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로그 중 어느 것을 본정보로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함수코드를 포함하는 함수 레이어(Function Layer)와; 상기 함수코드가 지정한 본정보의 내용이 포함된 인스트럭션 레이어(Instruction Lay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1바이트의 STX(Start of Text)와, 메시지의 타입을 알리는 1바이트의 메시지 타입정의와, 2바이트의 데이터 블록 사이즈 정의와, 2바이트의 CRC(Cyclical Redundancy Check)로 이루어진 헤더(Header)와; 데이터 본문을 포함하는 바디(Body); 로 구성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시스템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IEC 61162-450/460에 따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육상 관제부로부터 자신이 소유하거나 운항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해 상기 운영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모니터링정보를 제공받는 선주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는, 상기 육상 관제부에 선주의 권한인증정보, 상기 운영정보를 토대로 하는 모니터링정보의 제공요청을 전송하는 선주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권한인증정보를 검증하는 권한인증모듈과; 상기 권한인증모듈에 의한 권한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된 권한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공요청에 부합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에 제공하는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구성을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육상 관제부로 전송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수개의 선박 각각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실시간 관제정보의 생성을 가능하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선주들이 자신들의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모니터링정보를 실시간으로 제공받을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함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격단말유닛이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한 전송이 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기존 선박에 원격단말유닛만을 추가 설치하면 시스템의 선박 측 구현이 이루어져 기존 선박을 가지고도 시스템의 구현을 용이하게 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원격단말유닛이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모바일기기에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원격단말유닛이 선박 하부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어 기존에 설치된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운영정보를 위성통신장치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여 선박에 이더넷선과 같은 랜(Local Area Network, LAN)선을 새로 포설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원격단말유닛이 선박의 브리지에 설치될 수 있게 해줌으로써 선박에 별도의 컨버터를 설치하지 않고도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효과를 도모한다.
본 발명은, 위성통신망을 통해 육상 관제부로 전송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가 터미널 서버에 의해 수신 및 처리되어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육상 관제부의 터미널 클라이언트를 통해 입력되어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사용자명령을 터미널 서버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선박의 원격단말유닛에 전송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함는 효과를 준다.
본 발명은, 육상 관제부의 터미널 클라이언트가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선박별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관제정보를 생성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 운영정보가 생성된 GPS정보, 운영정보가 생성된 일시정보를 기본정보로 포함하고,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상태정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이상을 경고하는 알람정보,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세팅정보 및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로그 중 하나 이상을 본정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영정보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될 수 있게 해주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위성통신망을 통해 운영정보를 수신하여 처리 및 수집하는 터미널 서버와 상기 운영정보를 제공받아 관제정보를 생성하는 터미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 서버와 상기 터미널 클라이언트는 스토리지의 데이터베이스를 매개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육상 관제부를 포함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함에 효과를 가진다.
본 발명은, 운영정보의 레이어 중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시스템 레이어(System Layer)가 데이터 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효율적으로 설계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에 효과를 발휘한다.
본 발명은, 운영정보의 레이어 중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시스템 레이어(System Layer)가 IEC 61162-450/460을 준용하도록 설계되어 호환성을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을 제공하는 데에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 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운영정보 제공 모식도.
도 3은 컨트롤 패널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4는 원격단말유닛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5는 원격단말유닛의 설치 위치를 나타낸 모식도.
도 6은 위성통신장치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7은 육상 관제부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8은 육상 관제부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9는 도 8의 터미널 서버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10은 도 8의 스토리지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11은 도 8의 터미널 클라이언트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도 12는 선주 모니터링부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 시스템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특별한 정의가 없는 한 본 명세서의 모든 용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기술자가 이해하는 당해 용어의 일반적 의미와 동일하고 만약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의 의미와 충돌하는 경우에는 본 명세서에 사용된 정의에 따른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해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2에는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 시스템의 운영정보 제공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 및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컨트롤 패널(Control Panel, 1), 원격단말유닛(3), 위성통신장치(5), 육상 관제부(7) 및 선주 모니터링부(9)를 포함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1), 상기 원격단말유닛(3) 및 상기 위성통신장치(5)는 각 선박에 설치되는 구성들로,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은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수개의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실시간 모니터링을 가능하게 해주는 것에 특징이 있는 바,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컨트롤 패널(1), 상기 원격단말유닛(3) 및 상기 위성통신장치(5)은 다수개의 선박(ship 1, ship 2, …, ship n) 각각에 개별적으로 설치된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에서의 운영정보 흐름을 살펴보면, 상기 컨트롤 패널(1)이 상기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집하면,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며, 상기 위성통신장치(5)가 생성된 운영정보를 위성통신망으로 전송하게 된다. 위성통신망으로 전송된 운영정보는 상기 육상 관제부(7)가 수신하여 저장한다. 또한,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는 상기 육상 관제부(7)로부터 자신이 소유하거나 운항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해 상기 운영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모니터링정보를 제공받는다.
상기 컨트롤 패널(1)은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집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컨트롤 패널(1)은 도 3의 블록 구성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그래픽 패널(11), PLC(I/O)(13), PLC(CPU)(15), HUB(17)를 포함한다.
상기 그래픽 패널(11)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상태, 예를 들면 자외선 램프의 온/오프 상태나 강도, 밸브의 개폐상태, 유량계의 계측결과, 고장이나 이상에 대한 알람,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설정값(System setting), 가동로그(Operation log) 등을 보여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PLC(I/O)(13)는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로부터 작동상태에 관한 각종 운영데이터를 입력받고, 처리된 데이터를 출력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부분이고, PLC(CPU)(15)는 상기 PLC(I/O)(13)가 입력받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상태에 관한 각종 데이터를 처리하는 부분이다. 상기 PLC(I/O)(13) 및 PLC(CPU)(15)에서 PLC는 "Programmable Logic Controller"를 의미한다. 한편, 상기 운영데이터는 자외선 램프의 온/오프 상태나 강도, 밸브의 개폐상태, 유량계의 계측결과, 고장이나 이상에 대한 알람,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설정값(System setting), 가동로그(Operation log) 등과 관련된 데이터들을 포함한다.
상기 HUB(17)는 상기 컨트롤 패널(1)이 외부의 다른 장치와 연결될 수 있게 해주는 연결 인터페이스로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상기 원격단말유닛(3) 등과의 연결을 위한 각종 통신포트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3)은 상기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1)이 수집한 운영정보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이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4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면,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일 실시예는,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 운영정보 생성모듈(33) 및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5)을 포함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3)은 임베디드(Embedded) 시스템 타입으로 구현되며, 하드웨어적으로는 플래시 메모리, SD카드 등의 저장장치, 이더넷(Ethernet)포트, UART,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무선랜, USB포트 등과 같은 외부기기와의 연결 내지 통신을 위한 장치, VGA나 HDMI방식의 디스플레이 출력장치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0~60℃ 범위의 작동온도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은 상기 컨트롤 패널(1)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은 상기 컨트롤 패널(1)의 HUB(17)와 연결되어 상기 컨트롤 패널(1)의 PLC(CPU)(15)에서 처리되어 PLC(I/O)(13)를 통해 출력되는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과 관련된 각종 운영데이터들을 수신하고 저장한다.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은 상기 컨트롤 패널(1)의 HUB(17)와 TCP/IP 또는 직렬(Serial) 방식으로 연결되어 ModBus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Modbus는 PLC(Programmable Logic Controller)용 시리얼 통신 프로토콜(RS-232, RS-485)로서 직렬통신뿐만 아니라 TCP/IP 및 UDP에서도 구현될 수 있는 확장성을 갖추고 있으며, 산업용 어플리케이션에 적합하고, 오픈 프로토콜로 무료이며, 개발 및 관리가 쉽고, 비트 또는 워드 단위로 정보를 전달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Modbus는 마스터/슬래이브 구조로 여러 주변 장비의 상태 정보를 모니터링 할 수 있는 특징을 가지는데,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은 마스터로서 기능하게 되며, 상기 컨트롤 패널(1)에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상태에 관한 각종 운영데이터를 요청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은 수집된 운영데이터를 저장하는데, SD카드나 USB와 같은 별도의 저장매체를 통한 백업저장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운영정보 생성모듈(33)은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이 저장한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사전에 설정된 통신프로토콜에 따라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고유식별정보를 포함한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성통신장치(5)에 제공하는 모듈이다.
상기 운영정보 생성모듈(33)이 생성한 운영정보는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고유식별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GPS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일시정보를 기본정보로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자외선 램프의 온/오프 상태나 강도, 밸브의 개폐상태, 유량계의 계측결과 등과 같은 상태정보(Status),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고장이나 이상을 경고하는 알람정보(Alarm),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세팅정보(System setting) 및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로그(Operation log) 중 하나 이상을 본정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선박의 IMO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운영정보 생성모듈(33)에 의해 생성된 운영정보는,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시스템 레이어(System Layer),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고유식별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GPS정보 및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일시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자외선 램프의 온/오프 상태나 강도, 밸브의 개폐상태, 유량계의 계측결과 등과 같은 상태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고장이나 이상을 경고하는 알람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세팅정보 및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로그 중 어느 것을 본정보로 하고 있는지를 지정하는 함수코드를 포함하는 함수 레이어(Function Layer) 및 상기 함수코드가 지정한 본정보의 구체적인 내용이 포함된 인스트럭션 레이어(Instruction Layer)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운영정보는 통신프로토콜 측면에서, 보내는 쪽에서 일방적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통신 프로토콜인 UDP(User Datagram Protocol) 통신, 독자적인 자체 사용자 정의 통신 프로토콜, 국제해사기구(IMO) 해사안전위원회(MSC)에서 승인된 선박 네비게이션인 e-Navigation에 적용되는 IEC 61162-450/460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방식에 따라 상기 시스템 레이어의 구성이 달라진다.
만약, UDP 통신을 사용하는 경우 상기 시스템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그에 맞는 형식을 가지게 되며, 전송 전 확인절차나 수신단에서의 수신 확인 절차 등이 생략되므로 전송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자체적인 사용자 정의 통신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경우라면, 상기 시스템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1바이트의 STX(Start of Text)와, 메시지의 타입을 알리는 1바이트의 메시지 타입정의와, 2바이트의 데이터 블록 사이즈 정의와, 2바이트의 CRC(Cyclical Redundancy Check)로 이루어진 헤더(Header)와 데이터 본문을 포함하는 바디(Body)로 구성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의 경우 끝문자, 체크섬 등 최소한의 헤더를 사용하고 예약어를 피하기 위한 인코딩이 요구되지 않아 데이터 손실이 없어 효율성을 확보하여 준다.
한편, 시간, 위치, 방위 등의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규격으로서 e-Navigation에 적용되는 IEC 61162-450/460을 준용할 경우, 그 중에 바이너리 형태의 데이터 송수신을 수행하는 Encapsulation sentence 형식을 따를 수 있는데, 이때에는 예약어를 피하고 visible char로만 전송하도록 하는 규약상 8비트를 6비트의 visible char로 변환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다.
상기 운영정보 생성모듈(33)의 세부적인 동작은 기본적으로 설정되어 있는 설정값에 따라 이루어지되 뒤에서 살펴보는 바와 같이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상기 육상 관제부(7)로부터 사용자명령을 수신하는 경우 상기 사용자명령이 상기 운영정보 생성모듈(33)의 동작과 관련된 것이라면 상기 사용자명령에 따르게 된다.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5)은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이 저장한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가능한 운영정보를 생성하고, 모바일기기(6)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모바일기기(6)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운영정보를 상기 모바일기기(6)로 전송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인 근거리 무선통신방식으로는 무선인터넷, 블루투스 등과 같은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며, 블루투스 방식이 사용될 경우 상기 근거리 무선통신모듈(35)은 상기 모바일기기(6)와 페어링된 상태에서 상기 모바일기기(6)로부터 요청을 받고, 이에 따라 상기 운영정보를 상기 모바일기기(6)로 전송한다.
상기 원격단말유닛(3)은 상기 컨트롤 패널(1) 및 상기 위성통신장치(5)와 달리 종래 선박에 설치되어 있지 않은 구성이기 때문에 본 발명에 따른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 시스템을 구현하는 데에 있어 상기 선박 상에서 그 설치 위치가 문제된다. 도 5에는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설치 위치와 관련된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는데, P1으로 표시된 지점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와 상기 컨트롤 패널(1)이 설치된 선박의 하부지점이고, P2로 표시된 지점은 상기 위성안테나와 연결된 위성통신허브가 설치되는 선박의 브리지에 해당하며, P3로 표시된 지점은 통상적으로 위성안테나가 설치되는 지점인데,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설치 장소로는 P1 또는 P2가 고려될 수 있다.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P1 지점에 설치될 경우 더욱 구체적으로, 선박의 하부에 설치된 컨트롤 패널(1)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 상기 위성통신허브는 상기 선박의 브리지에 설치되어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므로, 상기 원격단말유닛(3)에서 상기 위성통신허브까지 별도의 랜선(통상적으로 이더넷선)을 포설하는 것을 고려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운영정보 생성모듈(33)은 생성한 운영정보를 상기 컨트롤 패널(1)과 상기 선박의 브리지 사이에 기존에 설치되어 있는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전송하되, 상기 직렬통신라인과 상기 위성통신장치(5)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직렬통신라인으로 전송된 운영정보를 상기 LAN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허브로 전달하여 주는 컨버터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상기 컨트롤 패널(1)의 내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컨트롤 패널(1)의 형식 승인이 다시 요구되는 문제가 있다. 다만, 컨버터를 추가적으로 사용하는 방법을 사용하면 별도의 통신라인 포설이 요구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P2 지점에서 설치될 경우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컨트롤 패널(1)이 상기 선박의 하부에 설치된 상태에서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상기 선박의 브리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은 상기 컨트롤 패널(1)과 상기 선박의 브리지 사이에 기존에 설치된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컨트롤 패널(1)이 수집한 운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운영정보 생성모듈(33)은 생성한 운영정보를 LAN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허브로 전달할 수 있다. 물론,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31)과 상기 컨트롤 패널(1) 사이에 새로운 랜선을 연결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상기 선박의 브리지에 설치되는 경우 상기 원격단말유닛(3) 자체의 형식 승인이 필요한 문제가 있으나 추가적인 컨버터의 사용이 필요없는 장점이 있다.
상기 위성통신장치(5)는 상기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생성한 운영정보를 수신하여 위성통신망으로 전송하는 장치이다. 도 6의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면, 상기 위성통신장치(5)의 일 실시예는, 위성통신허브(51) 및 위성안테나(5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위성통신허브(51)는 선박의 다른 기기들과 LAN을 통해 연결되어 정보의 송수신을 수행하며, 상기 위성안테나(53)는 상기 위성통신허브(51)로부터 전송할 정보를 제공받고, 자신이 수신한 정보를 상기 위성통신허브(51)로 전달하여 준다.
상기 위성통신장치(5)는 국제해사위성기구(INMARSAT)에서 주관하는 통신서비스로, 적도상공 3만 5786km의 정지궤도에 있는 인말새트 위성을 이용하여 태평양(POR), 인도양(IOR), 대서양(AOR-E/AOR-W) 지역의 해상ㆍ육상 어디에서나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통신서비스인 인말새트(INMARSAT)를 이용할 수도 있고, VSAT(Very Small Aperture Terminal) 위성통신망을 이용할 수도 있다.
상기 육상 관제부(7)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5)가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도 7에 도시된 블록 구성도를 참조하면, 상기 육상 관제부(7)의 일 실시예는, 통신모듈(701), 프로토콜 처리모듈(702),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703), 실시간정보 처리모듈(7041)과 히스토리정보 처리모듈(7043)을 포함하는 운영정보 처리모듈(704),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705), 사용자명령 처리모듈(706), 데이터베이스(707),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 상세정보 전시모듈(7091)과 차트정보 전시모듈(7093)과 관리보고서 생성모듈(7095)을 포함하는 정보표시모듈(709), 진단예측모듈(710), 관리정보모듈(711), 권한관리모듈(712), 사용자명령 입력모듈(713), 전자지도 커널모듈(714), 위치정보 전시모듈(715)을 포함한다.
상기 통신모듈(701)은 위성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5)가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는 모듈이다. 상기 통신모듈(701)은 UDP 형태의 소켓통신, Unicast 또는 Multicast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프로토콜 처리모듈(702)은 상기 통신모듈(701)의 통신수행을 위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모듈이다. 통신수행을 위한 구체적인 프로토콜의 실시예는 위에서 상기 원격단말유닛(3)의 운영정보 생성모듈(33)을 설명하며 살펴본 바와 같다.
상기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703)은 상기 운영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목록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모듈이다. 상기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703)은 종래 운영정보를 보내왔거나 운영정보를 보내기로 예정된 원격단말유닛(3)의 목록을 저장하여 관리하며 최신화를 수행한다.
상기 운영정보 처리모듈(704)은 운영정보를 처리 및 저장하는 모듈이다. 상기 운영정보 처리모듈(704)은 실시간으로 수신되는 운영정보를 처리하여 저장하는 실시간정보 처리모듈(7041)과 수신후 미처리된 운영정보를 목록화하여 처리하고 저장하는 히스토리정보 처리모듈(7043)을 포함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705)은 상기 데이터베이스(707)에 대한 조작을 수행하여, 상기 운영정보 처리모듈(704)이 처리한 운영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707)에 입력하는 모듈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705)은 상기 데이터베이스(707)에 대해 데이터의 삽입, 삭제, 수정, 조회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필요에 따라 상기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703)이 갱신한 목록정보도 상기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705)에 의해 상기 데이터베이스(707)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명령 처리모듈(706)은 상기 데이터베이스(707)를 검색하여 상기 원격단말유닛(3)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사용자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701)에 전달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상기 사용자명령은 시스템 업데이트, 운영정보의 송신주기 변경에 관한 제어명령 등이 될 수 있다. 뒤에서 살펴볼 바와 같이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나 상기 컨트롤 패널(1)에 전달할 사용자명령이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모듈(713)을 통해 입력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707)에 저장될 수 있는데, 상시 사용자명령 처리모듈(706)은 주기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707)를 스캔하는 방식 등을 통해 상기 사용자명령을 처리하여 상기 통신모듈(701)을 통해 전송한다. 상기 사용자명령이 위성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5)로 전달된 경우, 상기 위성통신장치(5)는 이를 상기 원격단말유닛(3)에 전달한다. 상기 사용자명령이 상기 원격단말유닛(3)에 대한 것이면 상기 원격단말유닛(3)이 이를 실행하게 되고, 상기 사용자명령이 상기 컨트롤 패널(1)에 대한 것이면 상기 원격단말유닛(3)은 상기 사용자명령을 전달받아 상기 컨트롤 패널(1)이 실행할 수 있는 형태로 변환하여 상기 컨트롤 패널(1)로 전달하게 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707)는 상기 운영정보 처리모듈(704)에 의해 처리된 운영정보를 저장하며, 그 밖에 상기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703)이 처리한 원격단말유닛의 목록정보, 뒤에서 살펴볼 사용자명령 입력모듈(713)에 의해 입력되는 사용자명령이 저장되기도 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은 상기 데이터베이스(707)에 접속하여 저장된 운영정보를 검색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모듈이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을 통해 상기 운영정보의 검색 및 수집이 이루어진다.
상기 정보표시모듈(709)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관제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선박을 식별하여 선박별 관제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에서는, 선박의 IMO번호 등으로 이루어진 고육식별번호에 따라 다수개의 선박들은 상호 구분되며, 도 1을 참조하면 상기 정보표시모듈(709)은 운영정보를 송신하는 n개의 선박 각각에 대한 관제정보가 생성된다. 상기 정보표시모듈(709)은 세부적으로 상세정보 전시모듈(7091), 차트정보 전시모듈(7093) 및 관리보고서 생성모듈(709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세정보 전시모듈(7091)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상태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모듈로서, 선박의 명칭, 선사, 현재 위치정보, 해당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상태정보(자외선 램프의 온/오프정보, 자외선 램프의세기정보, 밸브의 개폐정보, 유량계의 계측정보 등), 고장이나 이상 등에 대한 알람정보, 시스템 세팅정보, 가동로그 등을 선박별로 표시하여 준다.
상기 차트정보 전시모듈(7093)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상태에 관한 차트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모듈이다. 상기 차트정보 표시모듈(7523)을 통해 상기 상세정보 전시모듈(7091)이 표시하여 주는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차트로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상기 관리보고서 생성모듈(7095)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관리보고서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모듈이다. 선박이 특정국의 항만에 입항할 경우 선박 안전에 관한 각종 국제 기준의 준수여부 등을 점검하는 항만국 통제 즉, PSC(Port State Control)가 이루어지게 되는데, 상기 관리보고서 생성모듈(7095)는 이와 관련한 보고서를 자동으로 생성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진단예측모듈(710)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선박별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모듈이다. 상기 진단예측모듈(710)은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기존 데이터를 기반으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이상이나 고장 여부의 판단, 자외선램프의 수명 및 교체시기의 판단, 사용자 성향 및 제품 운영 패턴의 파악 등을 수행한다.
상기 관리정보모듈(711)는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사양 및 관리이력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 모듈이다. 상기 관리정보모듈(711)는 상기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스펙(자외선 램프의 전류 및 조사량, 전원의 전압 및 전류 등), 수리나 부품교체 등과 관련된 이력, 고객(선주)의 요청사항 등을 저장 및 관리한다.
상기 권한관리모듈(712)는 상기 육상 관제부(7)에 대한 사용자별 접근 권한을 관리하는 모듈이다. 상기 육상 관제부(7)는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제조 및 관리업체의 관리자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어서 원칙적으로 상기 데이터베이스(707)에 저장된 모든 운영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가지나, 개개의 인원별로 그 접근권한을 다르게 설정하는 것도 얼마든지 생각할 수 있다. 상기 권한관리모듈(712)은 이와 같이 개개의 인원별로 상기 운영정보에 대한 접근권한을 관리하는 모듈로서 사용자의 아이디/패스워드 및 사용자의 아이디별 권한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모듈(713)은 상기 원격단말유닛(3)으로 전송이 요구되는 사용자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명령을 상기 스토리지(73)의 데이터베이스(731)에 입력하는 모듈이다. 상기 사용자명령은 전술한 바와 같이, 시스템 업데이트, 운영정보의 송신주기 변경에 관한 제어명령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714)은 전자해도 또는 전자지도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모듈이다.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714)은 전자해도 또는 구글어스 등과 같은 지도 커널로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선박의 현재 위치가 표시될 수 있는 전자지도 또는 전자해도를 제공한다.
상기 위치정보 전시모듈(715)은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714)이 제공하는 전자해도 또는 전자지도 기반의 인터페이스상에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설치된 선박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모듈이다. 상기 위치정보 전시모듈(715)은 전자해도 또는 전자지도상에 각 선박의 위치를 아이콘과 같이 간단한 식별정보와 함께 표시하여 줌으로써 상기 선박의 위치를 시각적으로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상기 위치정보 전시모듈(715)은 상기 정보표시모듈(709)와 연동되어 전자해도 또는 전자지도상에 표시된 위치정보를 클릭 또는 터치시 해당 선박에 대한 상세한 운영정보를 확인할 수 있게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권한인증모듈(716)은 뒤에서 살펴볼 선주 모니터링부(9)의 선주 인터페이스(91)가 선주의 권한인증정보를 보내온 경우 이를 검증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상기 권한인증정보는 통상적으로 아이디와 비밀번호 등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717)은 상기 권한인증모듈(716)에 의한 권한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된 권한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의 선주 인터페이스(91)가 보내온 제공요청에 부합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주 인터페이스에 제공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예를 들면,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의 선주 인터페이스(91)가 해당 선주가 소유하고 있는 선박 중 현재 태평양을 항해 중인 선박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717)은 해당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여 보내준다. 상기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717)은 위에서 살펴본 상세정보 전시모듈(7091)과 차트정보 전시모듈(7093)과 관리보고서 생성모듈(7095)를 포함하는 정보표시모듈(709), 상기 진단예측모듈(710), 상기 관리정보모듈(711),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714), 상기 위치정보 전시모듈(715) 등과 연동될 수도 있고, 이들 중 전체 또는 일부와 통합적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도 8에는 육상 관제부의 다른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9에는 도 8의 터미널 서버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10에는 도 8의 스토리지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11에는 도 8의 터미널 클라이언트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을 참조하면, 상기 육상 관제부(7)는 터미널 서버(71), 스토리지(73) 및 터미널 클라이언트(7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터미널 서버(71)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5)가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여 처리 및 수집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역할의 수행을 위해 상기 터미널 서버(71)는, 상기 통신모듈(701), 상기 프로토콜 처리모듈(702), 상기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703), 상기 실시간정보 처리모듈(7041)과 상기 히스토리정보 처리모듈(7043)을 포함하는 운영정보 처리모듈(704), 상기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705), 상기 사용자명령 처리모듈(706)를 포함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기 터미널 서버(71)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프레임워크를 갖추고 상기 터미널 서버(71)의 상태를 전시하는 모듈로서, 상기 터미널 서버(71)의 유지보수, 관리 등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서버상태 전시모듈(718)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스토리지(73)는 상기 터미널 서버(71)가 수신하여 처리 및 수집한 운영정보가 저장되는 장치인데, 상기 데이터베이스(707)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터미널 클라이언트(75)는 상기 스토리지(73)의 데이터베이스(731)에 접속하여 저장된 운영정보를 제공받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역할을 위해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708), 상기 상세정보 전시모듈(7091)과 상기 차트정보 전시모듈(7093)과 상기 관리보고서 생성모듈(7095)을 포함하는 정보표시모듈(709), 상기 진단예측모듈(710), 상기 관리정보모듈(711), 상기 권한관리모듈(712),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모듈(713),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714), 상기 위치정보 전시모듈(715)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권한인증모듈(716) 및 상기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717)은 상기 터미널서버(71), 상기 스토리지(73) 및 상기 터미널 클라이언트(75) 중 어느 곳에든지 포함될 수 있다.
도 12에는 선주 모니터링부의 일 실시예의 블록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는 상기 육상 관제부(7)로부터 자신이 소유하거나 운항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해 상기 운영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모니터링정보를 제공받는 부분이다.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는 상기 육상 관제부(7)와 유무선통신을 통해 연결된 선주의 컴퓨터 등과 같은 단말장치를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8에 나타난 육상 관제부(7)의 실시예에서 상기 터미널 클라이언트(75)는 다수개 존재할 수 있는데, 이러한 터미널 클라이언트(75)가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는 상기 육상 관제부(7)에 선주의 권한인증정보, 상기 운영정보를 토대로 하는 모니터링정보의 제공요청을 전송하는 선주 인터페이스(91)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선주 인터페이스(91)는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상기 권한인증정보는 선주의 아이디 및 비밀번호가 되는 것이 일반적이며, 상기 모니터링정보의 제공요청은 선주가 제공받을 권한이 있는 운영정보를 토대로 특정 조건의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여 달라는 내용을 포함한다. 상기 권한인증정보는 위에서 살펴본 육상 관제부(7)의 권한인증모듈(716)에 의해 처리되고, 상기 모니터링정보 제공요청은 상기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717)에 의해 처리될 수 있다.
위세서 살펴본 예와 같이, 상기 선주 인터페이스(91)가 해당 선주가 소유하고 있는 선박 중 현재 태평양을 항해 중인 선박에 대한 모니터링정보를 요청한 경우 상기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717)을 통해 해당 모니터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에 의하면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정보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되고 이를 육상 관제부(7)가 수신하여 저장할 수 있게 되기 때문에 전세계에 흩어져 있는 다수개의 선박 각각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실시간 관제정보의 생성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는 선주의 선박에 설치된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모니터링정보를 상기 육상 관제부(7)를 통해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상기 육상 관제부(7)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해상의 선박들로부터 운영정보를 직접 수신하는 터미널 서버(71)와 상기 운영정보를 토대로 다양한 관제정보를 생성하는 터미널 클라이언트(75)가 분리되어 있으며, 상기 운영정보는 상기 스토리지(73)에 저장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데, 이를 통해 관제 시스템에 있어 안정성과 보안성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다수의 선주가 각각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9)를 통하여 동시에 개별적으로 자신의 선박과 관련된 모니터링정보를 제공받을 수 있게 된다.
이상에서, 출원인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일 실시예일 뿐이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는 한 어떠한 변경예 또는 수정예도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컨트롤 패널
11: 그래픽 패널 13: PLC(I/O)
15: PLC(CPU) 17: HUB
3: 원격단말유닛
31: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 33: 운영정보 생성모듈
35: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5: 위성통신장치
51: 위성통신허브 53: 위성안테나
7: 육상관제부
701: 통신모듈 702: 프로토콜 처리모듈
703: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 704: 운영정보 처리모듈
7041: 실시간정보 처리모듈 7043: 히스토리정보 처리모듈
705: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 706: 사용자명령 처리모듈
707: 데이터베이스
708: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 709: 정보표시모듈
7091: 상세정보 표시모듈 7093: 차트정보 표시모듈
7095: 관리보고서 생성모듈
710: 진단예측모듈 711: 관리정보모듈
712: 권한관리모듈 713: 사용자명령 입력모듈
714: 전자지도 커널모듈 715: 위치정보 표시모듈
716: 권한인증모듈 717: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
718: 서버상태 전시모듈
71: 터미널 서버 73: 스토리지
75: 터미널 클라이언트
9: 선주 모니터링부
91: 선주 인터페이스

Claims (23)

  1.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박의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는 원격단말유닛과; 상기 위성통신장치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육상 관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과;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이 저장한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하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된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성통신장치에 제공하는 운영정보 생성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의 내부에 설치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운영정보 생성모듈은 생성한 운영정보를 상기 컨트롤 패널과 상기 선박의 브리지 사이에 설치된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전송하고, 상기 위성통신장치는 상기 선박의 브리지에 설치되어 LAN(Local Area Network)을 통해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직렬통신라인과 상기 위성통신장치 사이에 설치되어 상기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전송된 운영정보를 상기 LAN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여 주는 컨버터; 를 더 포함하여 새로운 LAN선의 포설이 필요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이 저장한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전송가능한 운영정보를 생성하고, 모바일기기와 근거리 무선통신 방식으로 통신을 수행하며, 상기 모바일기기의 요청이 있을 경우 상기 운영정보를 상기 모바일기기로 전송하는 근거리 무선통신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4. 삭제
  5.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박의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는 원격단말유닛과; 상기 위성통신장치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육상 관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과;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이 저장한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하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된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성통신장치에 제공하는 운영정보 생성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선박의 브리지에 설치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은 상기 컨트롤 패널과 상기 선박의 브리지 사이에 설치된 직렬통신라인을 통해 상기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운영데이터를 수신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운영정보 생성모듈은 생성한 운영정보를 LAN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여 줌으로써 별도의 컨버터가 필요없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6.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박의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는 원격단말유닛과; 상기 위성통신장치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육상 관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원격단말유닛은, 상기 컨트롤 패널로부터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는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과; 상기 운영데이터 수집저장모듈이 저장한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하며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가 포함된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위성통신장치에 제공하는 운영정보 생성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육상 관제부는, 위성통신망을 통해 상기 위성통신장치가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모듈과; 상기 통신모듈의 통신수행을 위한 프로토콜을 처리하는 프로토콜 처리모듈과; 상기 운영정보에 포함된 고유식별정보를 판별하고 상기 고유식별정보를 토대로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목록정보를 관리하고 갱신하는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과; 상기 운영정보를 처리하는 운영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운영정보 처리모듈이 처리한 운영정보가 저장된 데이터베이스와;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조작하여 상기 운영정보를 입력하는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검색하여 상기 원격단말유닛으로 전달되어야 하는 사용자명령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통신모듈에 전달하는 사용자명령 처리모듈;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통신모듈은 위성통신망을 통해 상기 사용자명령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 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접속하여 저장된 운영정보를 검색하는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관제정보를 생성하되, 상기 고유식별정보에 의해 선박을 식별하여 선박별 관제정보를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하는 정보표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정보표시모듈은,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동작상태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상세정보 전시모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에 관한 차트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차트정보 전시모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대한 관리 보고서를 포함하는 관제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여 표시하는 관리보고서 생성모듈;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이 검색한 운영정보를 토대로 선박별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고장여부를 진단하고 예측하는 진단예측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사양 및 관리이력을 포함하는 관리정보를 선박별로 생성하고 저장 및 관리하는 관리정보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운영정보에 대한 사용자별 접근 범위 및 권한을 관리하는 권한관리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원격단말유닛으로 전송이 요구되는 사용자명령을 입력받고, 입력된 사용자명령을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하는 사용자명령 입력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부는,
    전자해도 또는 전자지도 기반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하는 전자지도 커널모듈과;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이 제공하는 전자해도 또는 전자지도 기반의 인터페이스 상에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가 설치된 선박의 위치정보를 디스플레이하는 위치정보 전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육상 관제부는 터미널 서버와, 스토리지와, 터미널 클라이언트를 포함하되,
    상기 터미널 서버는 상기 통신모듈과, 상기 프로토콜 처리모듈과, 상기 원격단말유닛 관리모듈과, 실시간정보 처리모듈과 히스토리정보 처리모듈을 포함하는 운영정보 처리모듈과, 상기 데이터베이스 처리모듈과, 상기 사용자명령 처리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스토리지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터미널 클라이언트는 상기 데이터베이스 조작모듈과, 상기 상세정보 전시모듈과 상기 차트정보 전시모듈과 상기 관리보고서 생성모듈을 포함하는 정보표시모듈과, 상기 진단예측모듈과, 상기 관리정보모듈과, 상기 권한관리모듈과, 상기 사용자명령 입력모듈과 상기 전자지도 커널모듈과, 상기 위치정보 전시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터미널 서버는,
    HMI(Human Machine Interface) 프레임워크를 갖추고 상기 터미널 서버의 상태를 전시하는 서버상태 전시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7. 제1항, 제3항 및 제5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단말유닛이 생성한 운영정보는,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GPS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일시정보를 기본정보로 포함하고,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상태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이상을 경고하는 알람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세팅정보 및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로그 중 하나 이상을 본정보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고유식별정보는 상기 선박의 IMO 번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원격단말유닛이 생성한 운영정보는,
    프로토콜을 식별하는 시스템 레이어(System Layer)와;
    상기 원격단말유닛의 고유식별정보,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GPS정보 및 상기 운영정보가 생성된 일시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와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상태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이상을 경고하는 알람정보,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시스템 세팅정보 및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작동로그 중 어느 것을 본정보로 하고 있는지를 나타내는 함수코드를 포함하는 함수 레이어(Function Layer)와;
    상기 함수코드가 지정한 본정보의 내용이 포함된 인스트럭션 레이어(Instruction Layer);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패킷의 시작을 알리는 1바이트의 STX(Start of Text)와, 메시지의 타입을 알리는 1바이트의 메시지 타입정의와, 2바이트의 데이터 블록 사이즈 정의와, 2바이트의 CRC(Cyclical Redundancy Check)로 이루어진 헤더(Header)와;
    데이터 본문을 포함하는 바디(Body); 로 구성된 사용자 정의 프로토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스템 레이어의 프로토콜은 IEC 61162-450/460에 따라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22. 삭제
  23. 선박에 설치되며, 상기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컨트롤 패널이 수집한 상기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운영데이터를 수신하여 저장하고, 상기 운영데이터를 기초로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가능한 형태의 운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박의 위성통신장치에 전달하는 원격단말유닛과; 상기 위성통신장치가 위성통신망을 통해 전송한 운영정보를 수신하고 저장하는 육상 관제부; 를 포함하고,
    상기 육상 관제부로부터 자신이 소유하거나 운항하는 선박의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에 관해 상기 운영정보를 토대로 만들어진 모니터링정보를 제공받는 선주 모니터링부; 를 더 포함하며,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는, 상기 육상 관제부에 선주의 권한인증정보, 상기 운영정보를 토대로 하는 모니터링정보의 제공요청을 전송하는 선주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고, 상기 육상 관제부는, 상기 권한인증정보를 검증하는 권한인증모듈과; 상기 권한인증모듈에 의한 권한인증이 이루어진 경우 인증된 권한에 상응하는 범위 내에서 상기 제공요청에 부합하는 모니터링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선주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선주 모니터링부에 제공하는 모니터링정보 제공모듈;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KR1020160139429A 2016-10-25 2016-10-25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KR1019381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29A KR101938148B1 (ko) 2016-10-25 2016-10-25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PCT/KR2017/011399 WO2018080073A2 (ko) 2016-10-25 2017-10-16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CN201780001748.5A CN108369720A (zh) 2016-10-25 2017-10-16 压载水处理装置海上卫星管制系统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139429A KR101938148B1 (ko) 2016-10-25 2016-10-25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45925A KR20180045925A (ko) 2018-05-08
KR101938148B1 true KR101938148B1 (ko) 2019-01-15

Family

ID=62025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139429A KR101938148B1 (ko) 2016-10-25 2016-10-25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KR (1) KR101938148B1 (ko)
CN (1) CN108369720A (ko)
WO (1) WO2018080073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36715B1 (ko) * 2018-11-28 2020-07-24 주식회사 파나시아 시뮬레이터를 활용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136734B1 (ko) * 2018-11-28 2020-07-24 주식회사 파나시아 모바일 디바이스에 의한 데이터 전송과 시뮬레이터에 의한 진단이 가능한 선박장비의 원격 감시 진단 시스템 및 그 방법
CN114978539A (zh) * 2022-05-17 2022-08-30 北京微纳星空科技有限公司 一种控制海上风力发电的方法和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33B1 (ko) * 2013-12-12 2014-02-05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원격관리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444119B1 (en) * 1998-11-02 2002-09-03 Gilbert L. Mains, Jr. Bilge water processing system with remote monitoring and control
US20030176971A1 (en) * 2002-03-13 2003-09-18 Daniels John James Method and system for tracking the exchange of ballast water
GB0410478D0 (en) * 2004-05-11 2004-06-16 Foss & Varenhed Entpr As Method
JP4885759B2 (ja) * 2007-02-15 2012-02-29 三井造船株式会社 船舶の情報処理方法及び船舶の情報処理システム
JP5831327B2 (ja) * 2012-03-28 2015-12-09 栗田工業株式会社 バラスト水処理システムの遠隔監視装置、及び遠隔監視方法
US10261063B2 (en) * 2012-11-14 2019-04-16 Ballast Water Monitoring A/S Method and system for monitoring quality of ballast water of a vessel
KR20140076678A (ko) * 2012-12-12 2014-06-23 오종환 선박용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위한 네트워크 비포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CN103812942A (zh) * 2014-02-21 2014-05-21 北京国交信通科技发展公司 渔政监控系统
KR101621347B1 (ko) * 2014-10-31 2016-05-17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선박 평형수 처리시스템 데이터 수집방법과 선박 평형수 처리 빅데이터 분석 시스템제공 장치
CN105858997B (zh) * 2016-05-23 2019-04-19 易俐特自动化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开放的物理式压载水管理系统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54133B1 (ko) * 2013-12-12 2014-02-05 한라아이엠에스 주식회사 증강현실을 이용한 원격관리형 선박평형수 처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080073A3 (ko) 2018-06-21
KR20180045925A (ko) 2018-05-08
WO2018080073A2 (ko) 2018-05-03
CN108369720A (zh) 2018-08-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8148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해상 위성 관제시스템
CN102685036B (zh) Iec 61850变电站网关
US7747710B1 (en) System for detecting changes in preselected measurable conditions
US898995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onfiguring an on-board maintenance information system in an aircraft
WO2007044445A2 (en) A method and system for remotely monitoring and controlling field devices with a street lamp elevated mesh network
US11382170B1 (en) Battery selector system
US20160274557A1 (en) Method, computation apparatus, user unit and system for parameterizing an electrical device
CN105765469B (zh) 无线仪器、无线通信系统、无线模块、接口模块及通信方法
MX2014010084A (es) Metodo para configurar una instalacion de energia eolica, e instalacion de energia eolica.
CN102377657A (zh) 用于航班信息一体化管理系统的外部数据引接系统
CN109792262A (zh) 用于云联网的独立双调制lan的系统和方法
CN106253471B (zh) 低压电力电网载波智能控制系统分站
CN101281409B (zh) 自动操舵仪
KR20140076678A (ko) 선박용 밸러스트수 처리장치를 위한 네트워크 비포서비스 시스템 및 그 제공 방법
KR101938144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 mro 서비스 제공 시스템
CN104181415A (zh) 变压器中性点直流电流管理监测系统
KR20200080587A (ko) 클라우드 기반 선박의 중앙제어 시스템
CN110949458B (zh) 基于微服务架构的轨道交通运维管理系统
KR102094166B1 (ko) 모바일을 이용한 항로표지상태 원격 모니터링, 제어 시스템
KR101648722B1 (ko) 전원 관리 상태가 용이하게 확인되는 전원일체형등명기
KR102085213B1 (ko) 밸러스트수 처리장치의 원격진단예측시스템 및 그 방법
CN116529676A (zh) 显示和/或操作模块
CN105337824A (zh) 船舶机舱综合监控报警远程通信系统
KR102595162B1 (ko) 허브를 이용하여 mpu간 통신에 에러가 발생하거나 mpu와 허브의 통신에 에러가 발생하더라도 정상작동하는 전력자동화시스템용 스카다 시스템
US11449151B1 (en) Switch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