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934B1 -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934B1
KR101937934B1 KR1020170088497A KR20170088497A KR101937934B1 KR 101937934 B1 KR101937934 B1 KR 101937934B1 KR 1020170088497 A KR1020170088497 A KR 1020170088497A KR 20170088497 A KR20170088497 A KR 20170088497A KR 101937934 B1 KR101937934 B1 KR 101937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raining
facility
cyber
crisis
status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8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호
박인성
장인숙
양진석
김태균
김인중
Original Assignee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전자통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전자통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849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934B1/ko
Priority to US15/791,759 priority patent/US10621886B2/en
Priority to JP2017205313A priority patent/JP6420879B1/ja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7/00Network arrangements or protocols for supporting network services or applications
    • H04L67/01Protocols
    • H04L67/131Protocols for games, networked simulations or virtual reality
    • H04L67/38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053Computers, e.g. programm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9/00Manipulating 3D models or images for computer graphics
    • G06T19/006Mixed reality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9/00Simulators for teaching or training purpos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3/00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 H04L63/14Network architectures or network communication protocols for network security for detecting or protecting against malicious traffic
    • H04L63/1441Countermeasures against malicious traff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Computer Graph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Abstract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은,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에 상응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대응에 상응하는 훈련 상황 정보와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APPARATUS AND METHOD FOR METHOD FOR CYBER CRISIS RESPONSE TRAIN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본 발명은 증강 현실을 기반으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제공하는 기술에 관한 것으로, 특히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시설 상황 정보를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출력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정보 통신 기술의 발달 및 정보 통신 기기의 보급에 따라, 네트워크에 연결된 시스템에 대한 사이버 위협이 날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사이버 위협에 대응하기 위한 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사이버 위협 관련 교육은 일방적인 강의식으로 진행되는 경우가 많으며, 이론 중심의 일방향 교육이거나, 훈련 시나리오 예고제 방식의 교육으로 진행된다. 그리고 기존의 사이버 보안 관련 교육은 개인 PC, 웹 서버, DB 서버 등의 일반 IT 시스템을 보호 대상으로 하며, 보호 대상이 되는 일반 IT 시스템을 물리적으로 구축하거나 가상으로 구축하여 환경을 제공하는 형태로 동작하였다. 또한, 사이버 위협에 의한 피해 상황은 홈페이지 변조나 서비스 불가 상태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표현하였다.
최근에는 전력, 도로, 원자력, 철도 등의 국가기반시설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위협에 대한 사례가 증가하면서, 기반 시설에 대한 사이버 위협에 대한 경각심과 인식이 고조되었다. 이에 따라, 국가기반시설과 같은 물리적 보호 시설이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훈련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기존의 가상 환경에서만 수행하는 교육은, 모터나 센서 등의 단일 제어 기기를 간략하게 구성해놓고, 단위 기기에 대한 교육을 수행한다. 그리고 단일 위협에 대해서만 교육이 진행되므로, 훈련생이 전체적인 흐름을 파악하기는 힘들다.
또한, 국가기반시설의 제어 시스템은 일반 IT 시스템과 달리 실제 물리장비를 제어한다. 따라서 사이버 위기 발생 시, 장비 제어 실패로 인해 대규모의 인명 피해를 수반하는 사고가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기존의 교육이나 훈련 방식으로는 제어 시스템의 사이버 위기 발생 시 피해 상황을 표현하기 어렵다.
따라서, 물리적 보호 시설이 존재하는 영역에서 발생하는 사이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 등록 특허 제10-1534192호, 2015년 07월 08일 공고(명칭: 사이버보안 실시간 공격대응 교육훈련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보호 시설이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사이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물리적 보호 시설이 존재하는 기관, 회사, 국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이버 위기 발생 상황에서 체계적인 대응 능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훈련생의 훈련 몰입도 및 성과를 극대화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증강 현실 기술 및 물리적 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 보호 시설을 표현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와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훈련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국가기반시설이나 산업제어 시스템 등의 영역에 대한 사이버 위기 대응 능력의 증대로, 국가와 산업의 사이버 위기 대응 능력을 확보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은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에 상응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대응에 상응하는 훈련 상황 정보와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훈련생 단말기의 상기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 판단하여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에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상기 대상 시설의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훈련생 단말기, 출력 장치 및 훈련생이 착용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 객체와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합성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훈련 상황 정보,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된 상기 가상 객체를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할 상기 대상 시설을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대상 시설에 포함된 물리적 설비 및 제어 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는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에 상응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 훈련 환경 제공부,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는 대응 입력부,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대응에 상응하는 훈련 상황 정보와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 그리고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훈련생 단말기의 상기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 판단하여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에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상기 대상 시설의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는, 상기 훈련생 단말기, 출력 장치 및 훈련생이 착용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는, 상기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 객체와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합성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는,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훈련 상황 정보,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가상 객체를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할 상기 대상 시설을 설정하여,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훈련 종류 설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는, 상기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대상 시설에 포함된 물리적 설비 및 제어 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으며, 상기 대응에 따른 훈련 상황 정보 및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그리고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시설에 포함된 물리적 설비 및 제어 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훈련생 단말기의 상기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 판단하여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에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상기 대상 시설의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훈련생이 착용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는, 상기 훈련 상황 정보, 상기 대상 시설의 정보,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생성된 가상 객체와,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이 합성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 보호 시설이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사이버 위기에 대응할 수 있도록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물리적 보호 시설이 존재하는 기관, 회사, 국가 등을 대상으로 하는 사이버 위기 상황에 대응할 수 있도록,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사이버 위기 발생 상황에서 체계적인 대응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훈련생의 훈련 몰입도 및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증강 현실 기술 및 물리적 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 보호 시설을 표현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와 유기적으로 연동하는 훈련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국가기반시설이나 산업제어 시스템 등의 영역에 대한 사이버 위기 대응 능력의 증대로, 국가와 산업의 사이버 위기 대응 능력을 확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4는 도 3의 S360 단계에서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가 적용되는 환경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은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10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 하나 이상의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10, 320)를 포함한다.
훈련생 단말기(100)는 훈련생이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에 접속 시 사용하는 단말기를 의미한다. 그리고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100)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하고, 훈련생 단말기(100)로부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는다.
또한,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훈련생의 대응에 상응하는 훈련 상황 정보,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그리고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10) 및 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를 이용하여,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10)는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20)는 대상 시설에 포함된 물리적 설비 및 제어 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출력 장치를 의미한다.
최근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성능 향상에 힘입어 비약적으로 발전하는 증강 현실 기술은, 카메라로 촬영된 실제 영상에 특정 정보를 기반으로 가상의 객체를 증강하는 기술을 의미한다. 증강된 가상의 객체는 3D 모델링을 통해 생성된 객체이거나, 특정 정보를 덧붙여 표현한 객체일 수 있다.
이때, 지정된 형태의 마커를 부착하여 영상에서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마커 기반 방식 및 마커를 사용하지 않고 특정 정보를 추출하는 마커리스 방식 등으로 특정 정보를 추출할 수 있으며,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에 적용되는 증강 현실 기술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10)를 이용하여, 물리적인 보호 시설(물리적 설비, 제어 설비 등)과 그 피해 상황을 보다 효과적으로 표현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훈련생에게 생동감있고 현실적인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 종류 설정부(210), 훈련 환경 제공부(220), 대응 입력부(230),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240) 및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250)를 포함한다.
먼저, 훈련 종류 설정부(210)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한다. 여기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것은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할 대상 시설을 설정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시작 시, 훈련 종류 설정부(210)는 훈련생에 따라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훈련 종류 설정부(210)는 훈련생에 따라 조(Group)를 분배하여,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조는 전력 분야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수행하고, B조는 해양 분야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그리고 훈련 환경 제공부(220)는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에 상응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한다.
훈련생은 제공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서, 사이버 공격의 탐지, 초동 조치 등의 대응을 수행한다. 이에 따라, 대응 입력부(230)는 훈련생의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는다.
또한,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240)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훈련생의 대응에 상응하는 훈련 상황 정보와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이때,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240)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훈련생의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 판단하여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240)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에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대상 시설의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250)는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이때,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250)는 훈련생 단말기,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250)는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 객체와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합성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여 출력하거나, 합성된 증강 현실 이미지를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250)는 대상 시설에 포함된 물리적 설비 및 제어 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출력하거나, 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250)는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처리하고,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하며, 훈련 상황 정보,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가상 객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250)는 생성된 가상 객체를 영상에 합성하여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3 및 도 4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먼저,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한다(S31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생 단말기로 제공할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한다. 여기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할 대상 시설의 종류를 의미할 수 있다.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할 대상 시설은 전력, 도로, 철도, 해양, 원자력, 정수 시설 등의 국가기반시설일 수 있으며, 종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생 단말기로 훈련 환경을 제공한다(S32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S310 단계에서 설정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에 상응하는 훈련 환경을 훈련생의 훈련생 단말기로 제공한다.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가 전력 분야인 경우,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전력 분야의 대상 시설에 대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한다. 반면,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가 해양 분야인 경우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해양 분야의 대상 시설에 대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훈련생 단말기로 제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대응을 수신하고(S330), 대응에 상응하는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S34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받은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는다. 여기서, 대응은 훈련생으로부터 입력받은 사이버 공격의 탐지 및 초동 조치 등을 의미할 수 있다.
그리고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입력받은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생 단말기로 제공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과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입력받은 대응을 기반으로, 현재의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 판단한다.
또한,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현재의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를 기반으로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으로,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대상 시설의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한다(S35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생 단말기로 제공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S340 단계에서 생성한 훈련 상황 정보 및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대상 시설의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물리적 보호 시설(대상 시설)이 존재하는 국가기반시설이나 산업제어시스템 등을 대상으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대상 시설은 모터, 펌프 등의 물리적 설비와 물리적 설비를 제어하는 PLC 등의 제어 설비, 제어 설비를 디지털로 제어하고 각종 모니터링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시스템 설비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이 전력 분야이고, 훈련 상황 정보가 공격 발생 상황이며, 대상 시설이 PLC, RTU(Remote Terminal Units), FEP(Front End Processor)를 포함한다고 가정한다. 이때,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대상 시설인 PLC, RTU 및 FEP에 공격 발생 상황의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대상 시설의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증강 현실 이미지로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한다(S36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게스트 운영체제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가상 머신 및 가상 네트워크를 기반으로, 훈련생에게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과 유사한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사이버 위기 대응훈련의 실제성과 효율을 극대화 시키기 위하여, 물리적인 장치 및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대상 시설을 표현할 수 있다.
도 4는 도 3의 S360 단계에서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방법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물리적 대상 시설(410) 및 증강된 대상 시설(420)을 출력하여 훈련생(10)에게 제공할 수 있다.
물리적 대상 시설(410)을 출력하는 방법은, 대상 영역이나 대상 공정을 개념화하여 대상 시설을 표현하는 방법이다. 또한, 대상 시설의 장비를 실제로 소형으로 제작하여 표현하거나, 현실성을 위하여 실제 대상 시설의 장비와 구동 로직에 상응하도록 표현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수신하고, 훈련 진행 상황에 따른 시설 상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그러나, 물리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 대상 시설(410)을 출력하는 방식은 공간 제약 등의 여러 제약 사항으로 인하여 소형화 및 단순화되어 표현된다. 이로 인하여,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몰입도가 저하된다. 또한, 훈련의 몰입도를 위하여 고비용의 실제 환경을 무한정으로 구현할 수 없다.
이러한 문제를 보완하기 위하여,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증강된 대상 시설(420)을 출력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생이 대상 시설을 실제와 유사한 형태 및 규모로 체험할 수 있도록 하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특히,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물리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 대상 시설(410)을 표현하는 방식과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증강된 대상 시설(420)을 표현하는 방식을 병행하여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5를 통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에 대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의 동작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먼저,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생의 조를 분배한다(S510).
여기서, 훈련생의 조를 분배하는 과정은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과정 및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할 대상 시설을 설정하는 과정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과정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훈련생의 조를 분배하는 과정은 도 3의 S31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며,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100)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한다(S520). 여기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 과정은 도 3의 S32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받은 훈련생 단말기(100)는 훈련생에게 제공받은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출력하고, 훈련생으로부터 사이버 공격 탐지 및 조치 등의 대응을 입력받는다(S530).
또한, 훈련생으로부터 대응을 입력받은 훈련생 단말기(100)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로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전송한다(S540).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가 훈련생 단말기(100)로부터 대응을 수신하는 과정은 도 3의 S33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S550), 훈련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S560), 하나 이상의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00)로 시설 상황 정보를 전송한다(S570).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00)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증강된 대상 시설을 출력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물리적 대상 시설을 출력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훈련 환경 및 훈련생의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을 판단하여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200)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에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대상 시설의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여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00)로 전송하는 과정은 도 3의 S340 단계 내지 S350 단계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바,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00)는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한다(S580).
증강된 대상 시설을 출력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및 물리적 대상 시설을 출력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는, 수신한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의 구성을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600)은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70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900) 및 네트워크 인프라(1000)를 포함한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는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700)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한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는 게스트 운영체제가 설치된 하나 이상의 가상 머신(810) 및 가상 네트워크(820)를 기반으로, 훈련생 단말기(700)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과 유사한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가상 머신(810)은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시 활용되는 각종 PC, 서버 등의 시스템 가상 머신을 의미하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 또는 대상 시설(대상 영역)에 따라 각종 역할을 할당받아 동작한다. 가상 네트워크(820)는 물리적 스위치로 구성된 실제 환경을 가상으로 구성하여, 네트워크를 구성 할 수 있도록 한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는 제어 설비들을 제어하고, 각종 모니터링 정보를 기록하는 정보 시스템 설비와 유사한 훈련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는 제어 설비들의 제어에 사용되는 각종 PC류, 서버류, 네트워크를 가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는 실제로 구성된 물리적 하드웨어(840)를 기반으로 하이퍼바이저(830)를 통해 자원을 분배하여, 다양한 시스템이 존재하는 것처럼 가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는 훈련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850)를 통해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900)의 훈련 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911)와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 및 훈련 진행 상황에 따른 시설 상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훈련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850)는 훈련생의 대응에 따른 훈련 상황 정보를 제1 출력 장치(910)로 전송하여, 표현 모듈 및 제어 시스템 설비가 훈련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동작을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훈련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850)는 훈련생이 착용한 제2 출력 장치(920)로 훈련 상황 정보를 전달하여, 정상 상황 및 공격 발생 상황에 대한 증강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도록 한다.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900)는 하나 이상의 출력 장치(910, 9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910)는 훈련 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911)를 통하여,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로부터 시설 상황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910)의 표현 모듈은 개념도, 공정도 등의 대상 영역을 간소화하여 표현하고, 제어 시스템 설비는 실제 제어 장치를 소형화하여 표현할 수 있다. 이때, 제어 시스템 설비의 제어 상태에 따라, 표현 모듈에 효과가 발생되도록 표현 모듈과 제어 시스템 설비는 연동될 수 있다.
그리고 제1 출력 장치(910)는 증강 현실 기술을 이용하여 증강된 대상 시설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제1 출력 장치(910)는 물리적인 장치를 이용하여 물리적 대상 시설을 표현하는 방식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제1 출력 장치(910)는 훈련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정상 상황 또는 공격 발생 상황(피해 상황)에 대한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제1 출력 장치(910)는 훈련 상태 연동 모듈(915)을 통하여 제2 출력 장치(920)의 훈련 상태 연동 모듈(925)로 시설 상황 정보, 증강된 객체에 대한 정보 등을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출력 장치(920)는 증강된 객체를 확인하고,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수행하기 위하여, 훈련생이 착용하는 형태의 출력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제2 출력 장치(920)는 안경이나 모자 형태로 착용하는 출력 장치를 의미할 수 있으며, 훈련생이 소지한 단말기이거나 고정된 장치 형태일 수도 있다. 제2 출력 장치(920)는 디스플레이 모듈, 영상처리 모듈, 증강 현실 구현 모듈, 증강 및 디스플레이 모듈, 위치 상태 체크 모듈을 포함하며, 훈련 상태 연동 모듈을 통하여 제1 출력 장치(910)로부터 시설 상황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대상 시설의 주변 환경과 증강된 가상의 객체를 출력하여 훈련생에게 제공한다. 디스플레이 모듈은 훈련 상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정상 상황 또는 공격 발생 상황(피해 상황)에 대한 대상 시설의 주변 환경 및 가상의 객체를 증강하여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영상처리 모듈은 영상을 처리하여 주변 환경을 인식하고, 위치 상태 체크 모듈은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정보 등을 파악하며, 증강 현실 구현 모듈은 파악된 데이터를 기반으로 가상의 객체를 구현하고, 증강 및 디스플레이 모듈은 구현된 가상의 객체를 디스플레이 모듈을 통하여 표현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출력 장치(910)가 훈련 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911)를 통해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와 통신을 수행하고, 훈련 상태 연동 모듈(915)을 통하여 제2 출력 장치(920)로 시설 상황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다. 그러나 이에 한정하지 않고, 제2 출력 장치(920)도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와 직접 통신하여,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 및 훈련 진행 상황에 따른 시설 상황 정보를 공유할 수 있다.
또한,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제1 출력 장치(910) 및 제2 출력 장치(920)로 명명하였으나, 제1 출력 장치(910) 및 제2 출력 장치(920) 각각이 도 1의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10) 및 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320)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800)는 물리적 보호 시설을 표현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900)와 연동하여, 훈련생이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감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다.
종래의 사이버 위협에 대한 대응 훈련은 일반 IT 시스템의 사이버 위협에 대해서만 다룰 뿐, 물리적 보호 시설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한 사이버 위협은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600)은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물리적 보호 시설이 존재하는 영역에서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고, 증강 현실 기술을 적용하여 훈련생의 훈련 몰입도 및 훈련 성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상기한 바와 같이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10: 훈련생 100: 훈련생 단말기
20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210: 훈련 종류 설정부 220: 훈련 환경 제공부
230: 대응 입력부 240: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
250: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 300: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310: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320: 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410: 물리적 대상 시설 420: 증강된 대상 시설
60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
700: 훈련생 단말기
800: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810: 가상머신 820: 가상 네트워크
830: 하이퍼바이저 840: 하드웨어
850: 훈련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
900: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910: 제1 출력 장치
911: 훈련시스템 연계 인터페이스
915, 925: 훈련 상태 연동 모듈
920: 제2 출력 장치 1000: 네트워크 인프라

Claims (20)

  1.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
    설정된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에 상응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상기 대응에 상응하는 훈련 상황 정보 및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에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상기 대상 시설의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훈련생 단말기의 상기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 판단하여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훈련생 단말기, 출력 장치 및 훈련생이 착용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 객체와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합성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처리하는 단계,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하는 단계,
    상기 훈련 상황 정보,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는 단계, 그리고
    생성된 상기 가상 객체를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할 상기 대상 시설을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단계는,
    상기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대상 시설에 포함된 물리적 설비 및 제어 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방법.
  9.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에 상응하는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하는 훈련 환경 제공부,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는 대응 입력부,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대응에 상응하는 훈련 상황 정보와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 그리고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는,
    상기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는 가상 객체와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합성한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출력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훈련생 단말기의 상기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 판단하여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생성부는,
    상기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에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상기 대상 시설의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는,
    상기 훈련생 단말기, 출력 장치 및 훈련생이 착용한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13. 삭제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는,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을 처리하고,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파악하며, 상기 훈련 상황 정보,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상기 가상 객체를 생성하고, 생성된 상기 가상 객체를 상기 영상에 합성하여 상기 증강 현실 이미지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을 실시할 상기 대상 시설을 설정하여,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종류를 설정하는 훈련 종류 설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시설 상황 정보 출력부는,
    상기 시설 상황 정보에 상응하도록 상기 대상 시설에 포함된 물리적 설비 및 제어 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정보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17. 하나 이상의 훈련생 단말기,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을 제공하고, 상기 훈련생 단말기로부터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에 대한 대응을 입력받으며, 상기 대응에 따른 훈련 상황 정보 및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대상이 되는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를 기반으로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출력하는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그리고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대상 시설에 포함된 물리적 설비 및 제어 설비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설비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제2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
    를 포함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환경 및 상기 훈련생 단말기의 상기 대응을 기반으로, 훈련 상황이 정상 상황인지 공격 발생 상황인지 판단하여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대상 시설의 상태 정보에 상기 훈련 상황 정보를 반영하여,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에 따른 상기 대상 시설의 상기 시설 상황 정보를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시설 상황 정보 출력 장치는,
    상기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의 훈련생이 착용하는 착용형 디스플레이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증강 현실 이미지는,
    상기 훈련 상황 정보, 상기 대상 시설의 정보, 상기 훈련생의 시점 및 위치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고려하여 생성된 가상 객체와, 상기 대상 시설에 상응하는 영상이 합성된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시스템.
KR1020170088497A 2017-07-12 2017-07-12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1937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497A KR101937934B1 (ko) 2017-07-12 2017-07-12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US15/791,759 US10621886B2 (en) 2017-07-12 2017-10-24 Apparatus and method for cyber-crisis response training based on augmented reality
JP2017205313A JP6420879B1 (ja) 2017-07-12 2017-10-24 拡張現実ベースのサイバー危機対応訓練提供装置および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8497A KR101937934B1 (ko) 2017-07-12 2017-07-12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934B1 true KR101937934B1 (ko) 2019-01-14

Family

ID=640988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8497A KR101937934B1 (ko) 2017-07-12 2017-07-12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621886B2 (ko)
JP (1) JP6420879B1 (ko)
KR (1) KR10193793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09946B2 (en) 2018-06-06 2023-07-25 Reliaquest Holdings, Llc Threat mitigation system and method
US10965703B2 (en) 2018-06-06 2021-03-30 Reliaquest Holdings, Llc Threat mitigation system and method
US11783724B1 (en) * 2019-02-14 2023-10-10 Massachusetts Mutual Life Insurance Company Interactive training apparatus using augmented reality
USD926809S1 (en) 2019-06-05 2021-08-03 Reliaquest Holding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6810S1 (en) 2019-06-05 2021-08-03 Reliaquest Holding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6200S1 (en) 2019-06-06 2021-07-27 Reliaquest Holding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6811S1 (en) 2019-06-06 2021-08-03 Reliaquest Holding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USD926782S1 (en) 2019-06-06 2021-08-03 Reliaquest Holdings, Llc Display screen or portion thereof with a graphical user interface
CN110544406A (zh) * 2019-09-11 2019-12-06 贵州电网有限责任公司 一种实现变电行业设备培训的系统及其培训方法
CN111696408B (zh) * 2020-06-22 2022-04-15 小狮互联(杭州)科技有限公司 一种实现空间编程的适配方法、装置及编程系统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15B1 (ko) * 2015-10-16 2017-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훈련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80183520A1 (en) * 2006-11-17 2008-07-31 Norwich University Methods and apparatus for evaluating an organization
KR101262848B1 (ko) 2009-12-16 2013-05-09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현실 기반 훈련 시뮬레이터를 위한 가변형 플랫폼 장치
WO2015029195A1 (ja) * 2013-08-29 2015-03-05 三菱電機株式会社 模擬装置、情報生成装置、模擬方法及び模擬プログラム
ES2784258T3 (es) * 2013-11-01 2020-09-23 Cybergym Control Ltd Defensa cibernética
KR101534192B1 (ko) 2014-12-08 2015-07-08 한국인터넷진흥원 사이버보안 실시간 공격대응 교육훈련을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7198836A (ja) * 2016-04-27 2017-11-02 三菱電機株式会社 原子力発電プラントのサイバーテロセキュリティシミュレータ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09115B1 (ko) * 2015-10-16 2017-03-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가상 훈련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9020702A (ja) 2019-02-07
US20190019432A1 (en) 2019-01-17
US10621886B2 (en) 2020-04-14
JP6420879B1 (ja) 2018-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37934B1 (ko) 증강 현실 기반 사이버 위기 대응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Bhattacharya et al. Coalition of 6G and blockchain in AR/VR space: Challenges and future directions
US20180061269A1 (en) Control and safety system maintenance training simulator
JP2021502018A (ja) ブロックチェーンをデジタルツインにリンク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タにより実施されるシステム及び方法
CN103903038A (zh) 动态显示二维码的系统及其实现方法、应用
KR102513334B1 (ko) 픽처 검증 방법, 장치, 전자기기,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4463012A (zh) 虚拟机镜像文件的导出、导入方法及装置
KR102074353B1 (ko) 제어시스템 분야의 실시간 사이버 보안 훈련 제공 장치 및 방법
PH12019500734A1 (en) Crossover interactvie transaction system and method
KR20050082009A (ko) 비행 시뮬레이션 실시간 모니터링 시스템
Lei et al. Web-Based Digital Twin Communication System of Power Systems for Training and Education
EP3783587A2 (en) Simulating aircraft data for tactics training
CN102118429A (zh) 基于远程网络管理的自动售卖控制方法及控制系统
CN107092761A (zh) 一种虚拟现实天气模拟系统
US11449132B2 (en) Emulated computing device in enhanced reality environments
CN112767225A (zh) 前端图像处理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存储介质
Wang et al. Information Steganography Technology of Optical Communication Sensor Network Based on Virtual Reality Technology
CN112116852A (zh) 远程实验方法、装置及终端设备
Hurst et al. MICRO-CI: A Testbed for Cyber-Security Research
KR102428689B1 (ko) 사이버보안 교육/훈련을 위한 가상 산업 제어 시스템 제공 장치 및 방법
CN114186669B (zh) 神经网络模型的训练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US11688143B2 (en)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processing an image
CN117592974B (zh) 基于元宇宙的设备维修方法、装置、电子设备和可读介质
CN212569863U (zh) 一种基于水印处理装置的水印处理系统
Jabbari Tofighi et al. ST360IQ: No-Reference Omnidirectional Image Quality Assessment with Spherical Vision Transformer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