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275B1 - 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 - Google Patents

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275B1
KR101937275B1 KR1020170082305A KR20170082305A KR101937275B1 KR 101937275 B1 KR101937275 B1 KR 101937275B1 KR 1020170082305 A KR1020170082305 A KR 1020170082305A KR 20170082305 A KR20170082305 A KR 20170082305A KR 101937275 B1 KR101937275 B1 KR 1019372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hole
base
wire
hemispher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823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190002017A (en
Inventor
조정산
박병윤
박상신
김진탁
박상덕
Original Assignee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생산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생산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1700823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275B1/en
Publication of KR201900020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02017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75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articulated lin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6Exoskeletons, i.e. resembling a human fig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6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ulti-articulated ar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fluid
    • B25J9/144Linear actuators

Abstract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링크 구조체가 경직된 상태(rigid state) 또는 유연한 상태(flexible state)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착용자가 넘어지는 상황과 같이 착용자의 신체를 구속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는, 웨어러블 로봇의 이웃하는 조인트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구조체로서, 일측에 구비된 베이스 링크, 타측에 구비된 엔드 링크 및 상기 베이스 링크와 엔드 링크 사이에 직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미들 링크를 포함한 링크부; 및 상기 베이스 링크, 미들 링크, 엔드 링크를 서로 압착시키는 압착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압착구동력을 해제하여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압착구동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present invention allows a link structure to be switched to a rigid state or a flexible state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reby preventing a safety accident caused by restraining the body of the wearer, To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a link structure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joints of a wearable robot. The link structure includes a base link provided on one side, an end link provided on the other side, A link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middle link arranged in a first direction; And a compression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compression driving force for pressing the base link, the middle link, and the end link to each other to allow the link unit to be in a rigid state or to release the compression driving force so that the link unit is in a flexible state.

Description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0001] 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 [0002]

본 발명은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상황에 따라 링크 구조체가 경직된 상태(rigid state) 또는 유연한 상태(flexible state)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절 및 뼈 구조가 다른데서 발생하는 이질감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BACKGROUND OF THE INVENTION 1. Field of the Invention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nd more particularly, to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in which a link structure can be switched to a rigid state or a flexible state, And to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from occurring.

최근 하지 근력이 저하된 노약자나 환자는 물론 일반인의 경우에도 보행 훈련을 위하여 하체에 착용하는 외골격 로봇과, 보행 중 사용자의 체중을 지지해 주는 갖는 캐스트 워커로 구성된 지능형 보행훈련 장치가 개발되고 있다. An intelligent gait training device composed of an exoskeleton robot to be worn on the lower body for gait training and a cast walker to support the weight of the user during walking has been developed not only for the elderly or the patient who have recently lowered leg strength, but also for the general public.

한편, 위와 같은 외골격 로봇과 관련하여 한국등록특허 제10-1186540호에서는 고관절, 무릎관절 및 발목관절 부분에 모터 회동부를 구비하여 보행을 보조하는 착용식 외골격 로봇용 구조체에 대해 개시되어 있다. Meanwhile, Korean Patent No. 10-1186540 discloses a structure for a wearable exoskeletal robot provided with a motor pivot portion on the hip joint, knee joint, and ankle joint to assist walking.

그러나, 한국등록특허 제10-1186540호와 같은 종래의 외골격 로봇의 링크부재(20)는 딱딱한 막대 형태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외골격 로봇을 착용하여 사용 중에 다리를 들어 옮길 때 공중에서 다리가 구속되어 있어 움직임이 자유롭지 못하며, 특히 넘어지면 딱딱한 링크로 인해 뼈가 부러지거나 인대가 손상되는 등의 사고를 당할 우려가 있다. However, since the link member 20 of the conventional exoskeletal robot such as Korean Patent No. 10-1186540 is configured in the form of a rigid rod, when a user wears an exoskeleton robot and lifts the leg while using the robot, The movement is not free, especially when it fall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an accident such as a bone broken or a ligament damage is caused by a hard link.

따라서, 사용자가 외골격 로봇을 착용하여 사용할 때, 사람의 관절 구조와 다른 외골격 로봇의 기구학적 구조가 상이한데서 발생하는 이질감을 줄이고, 특히 힘이 들어가지 않은 상태에서 자유롭게 움직이는 것을 방해하지 않으며, 특히 넘어지는 상황 등 특별한 상황일 경우에, 링크부재가 유연한 상태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 요구된다. Therefore, when a user wears an exoskeleton robot, it is possible to reduce the sense of heterogeneity caused by the difference in the kinematic structure of the human joint structure and the exoskeletal robot, especially, There is a need for a technique that allows the link member to be switched to a flexible state in a special situation such as a losing situation.

한국등록특허 제10-1186540호(등록일자 2012년09월21일)Korean Registered Patent No. 10-1186540 (registered on September 21, 2012)

상기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상황에 따라 링크 구조체가 경직된 상태(rigid state) 또는 유연한 상태(flexible state)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절 및 뼈 구조가 다른데서 발생하는 이질감을 줄이고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를 제공함에 있다.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solve the above problems of the prior art,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link structure which can be changed into a rigid state or a flexible state according to a situation, And to provide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that can prevent a safety accident and reduce a sense of heterogeneity.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는, 웨어러블 로봇의 이웃하는 조인트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구조체로서, 일측에 구비된 베이스 링크, 타측에 구비된 엔드 링크 및 상기 베이스 링크와 엔드 링크 사이에 직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미들 링크를 포함한 링크부; 및 상기 베이스 링크, 미들 링크, 엔드 링크를 서로 압착시키는 압착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압착구동력을 해제하여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압착구동부;를 포함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including a base link provided at one side, an end link provided at the other side, A link portion including at least one middle link arranged in series between the end links; And a compression drive unit for providing a compression driving force for pressing the base link, the middle link, and the end link to each other to allow the link unit to be in a rigid state or to release the compression driving force so that the link unit is in a flexible state.

바람직하게, 상기 압착구동부는, 일단이 엔드 링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미들 링크 및 상기 베이스 링크를 관통하여 연장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당겨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당김해제하여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crimping driver includes: a wir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end link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middle link and the base link; And an actuator for pull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to make the link part to be in a rigid state or pull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to make the link part flexible.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는 상기 링크부의 중앙에 하나로 구성되거나, 상기 링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개가 등각도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ires may be formed at the center of the link portion, or a plurality of the wires may be arranged at an equal angle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ink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 링크와 상기 엔드 링크의 사이를 적어도 1회 왕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wire may be configured to reciprocate at least once between the base link and the end link.

바람직하게,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링크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튜브; 및 상기 실린더튜브 내에서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왕복 운동이 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베이스 링크에서 이격시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베이스 링크에 근접시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actuator includes: a cylinder tu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e link; And a piston capable of reciprocating motion by the pressure of fluid or gas in the cylinder tube, wherein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piston, and when the piston is separated from the base link, And the link is in a flexible state when the piston is close to the base link.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링크, 미들 링크, 엔드 링크의 사이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한 고무재질의 탄성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rubber elastic means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se link, the middle link, and the end link.

바람직하게, 상기 링크부의 외부에는 상기 링크부를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유연한 재질의 보호스킨이 구비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outer portion of the link portion may be provided with a protective skin of a flexible material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link portion.

바람직하게, 상기 미들 링크의 일측면에는 반구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타측면에는 상기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의 반구형 볼록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반구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hemispherical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of the middle link And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of the middle link.

바람직하게, 상기 미들 링크의 일측면에는 반원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타측면에는 상기 반원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의 반원형 볼록부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원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반원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원형 볼록부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a semicircular convex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the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a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ular convex portion of the middle link And a semicircular convex portion may be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of the middle link.

바람직하게, 상기 미들 링크와 베이스 링크의 반원형 볼록부의 지름 방향 일측 단부에는 경사홈부가 형성되고, 지름 방향 타측 단부에는 단턱부 형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radial convex portion of the middle link and the base link may be formed with an inclined groove at one end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stepped portion may be formed at the other end in the radial direction.

바람직하게, 상기 베이스 링크와 엔드 링크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의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구형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미들 링크의 내부 및 상기 구형 탄성수단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the base link and the end link ar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middle link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spherical elastic means of rubber material is provided between the middle links, And may be configured to penetrate the spherical elastic means.

바람직하게, 상기 미들 링크의 일측면에는 반구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타측면에는 상기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의 반구형 볼록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반구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링크, 미들 링크 및 엔드 링크에는 와이어가 관통하기 위한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제3 관통홀, 제4 관통홀이 시계방향으로 등각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엔드 링크의 제1 관통홀 외측에 고정되어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엔드 링크의 제4 관통홀 외측에 고정되어 위치되되,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서 상기 엔드 링크의 제1 관통홀, 상기 미들 링크의 제1 관통홀, 상기 베이스 링크의 제1 관통홀을 순차 관통하여 외측으로 1차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링크의 제2 관통홀, 상기 미들 링크의 제2 관통홀, 상기 엔드 링크의 제2 관통홀, 상기 엔드 링크의 제3 관통홀, 상기 미들 링크의 제3 관통홀, 상기 베이스 링크의 제3 관통홀을 순차 관통하여 외측으로 2차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링크의 제4 관통홀, 상기 미들 링크의 제4 관통홀, 상기 엔드 링크의 제4 관통홀을 순차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의 타단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와이어의 제1 연장된 부분과 제2 연장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제1 연장된 부분과 제2 연장된 부분이 서로 꼬이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와이어의 제1 연장된 부분과 제2 연장된 부분의 꼬임을 해제하여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줄 꼬임 구동기(Twisted String Actuator)로 구성될 수 있다. Preferably, hemispherical convex portions are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of the middle link A semi-spherical 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of the middle link, and the base link, the middle link, and the end link are provid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 second through hole, 3 through holes and fourth through holes are formed in an equiangular arrangement in a clockwise direction, one end of the wire is fixedly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end link,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connected to the fourth through- A first through hole in the end link, a first through hole in the middle link, a second through hole in the middle link, And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base link,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middle link, the second through hole of the end link, the third through hole of the end link, A second through hole in the base link, a third through hole in the middle link, a third through hole in the middle link, and a second through hole in the base link, a fourth through hole in the base link, Wherein the actuator is connected to a first extended portion of the wire and a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wire to form a first extended portion of the wire and a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wire, The two elongated portions are twisted to each other so that the link portion is in a rigid state or the first extended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wire are untwisted so that the link portion is in a flexible state, It may be of a driver (Twisted String Actuator).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상황에 따라 링크 구조체가 경직된 상태(rigid state) 또는 유연한 상태(flexible state)로 전환될 수 있도록 함에 따라 관절 및 뼈 구조가 다른데서 발생하는 이질감을 줄이고 착용자가 넘어지는 상황과 같이 착용자의 신체를 구속함에 따른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is possible to change the link structure into a rigid state or a flexible state according to circumstances, thereby reducing the sense of heterogeneity caused by different joints and bone structures, It is possible to prevent safety accidents due to restraining the body of the wearer as in the situation.

도 1은 종래의 웨어러블 로봇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의 경직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의 유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의 적용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 및 제2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를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의 단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를 구성하는 각 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의 경직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의 유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를 구성하는 각 링크를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view showing a conventional wearable robot.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gid state of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state of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4 is a view showing an application example of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cross-sectional view illustrating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6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and secon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7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8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9 is a view showing links constituting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rigid state of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flexible state of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 view showing links constituting a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 fourth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그 기술적 사상 또는 주요한 특징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다른 여러가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모든 점에서 단순한 예시에 지나지 않으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many other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its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Accordingly,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as merely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제1, 제2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The term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 terms.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도 제1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Th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and similarly, the second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And / or < / RTI > includes any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or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lis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It is to be understood that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or connected to the other element, .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On the other hand,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elem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elements in between.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The terminology used in this application is used only to describe a specific embodiment and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The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비하다",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application, the terms "comprises", "having", "having", and the like are intended to specify the presence of stated features, integ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Steps, operations, elements, components, or combinations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Unless defined otherwise,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one of ordinary skill in the art to which this invention belongs.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Terms such as those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are to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art and are to be interpreted as either ideal or overly formal in the sense of the present application Do not.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wherein like or corresponding elements ar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a duplicate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웨어러블 로봇의 이웃하는 조인트(J1, J2, J3)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구조체로 적용될 수 있다. The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applied to a link structure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joints J1, J2, and J3 of the wearable robot as shown in FIG.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링크 구조체는 골반부 조인트(J1)와 무릎부 조인트(J2)의 사이에 구비되거나, 무릎부 조인트(J2)와 발목부 조인트(J3)의 사이 등과 같이 이웃하는 조인트(J1, J2, J3) 사이를 연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For example, the link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may be provided between the pelvis joint J1 and the knee joint J2, or may be provided between the knee joint J2 and the ankle joint J3, , J2, J3).

본 실시예의 링크 구조체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링크부(100)와 압착구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2 to 5, the link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a link portion 100 and a compression driving portion 200. [

상기 링크부(100)는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베이스 링크(110)는 링크부(100)의 일측에 구비되고, 상기 엔드 링크(120)는 링크부(100)의 타측에 구비되며, 상기 미들 링크(130)는 상기 베이스 링크(110)와 엔드 링크(120) 사이에 직렬로 배열되도록 구비된다. The link unit 100 includes a base link 110, a middle link 130 and an end link 120. The base link 110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link unit 100, The link 120 is provided on the other side of the link unit 100 and the middle link 130 is arranged in series between the base link 110 and the end link 120.

상기 압착구동부(200)는 상기 링크부(100)의 상태가 경직된 상태(도 2의 상태) 또는 유연한 상태(도 3의 상태)가 되도록 구동시키는 부분으로서,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를 서로 압착시키는 압착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압착구동력을 해제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한다.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200 is a part that drives the link unit 100 to be in a rigid state (state of FIG. 2) or in a flexible state (state of FIG. 3) 130 and the end link 120 to each other so that the link unit 100 is in a rigid state or the link unit 100 is in a flexible state by releasing the compression driving force.

<제1실시예>&Lt; Embodiment 1 >

제1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는,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를 포함하는 링크부(100) 및 와이어(210),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하는 압착구동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The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includes a link portion 100 including a base link 110, a middle link 130, and an end link 120, as shown in FIGS. And a compression driving unit 200 including a wire 210 and an actuator 220.

먼저, 상기 링크부(1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First, the link unit 100 will be described.

상기 베이스 링크(110)와 엔드 링크(120) 사이에 직렬로 배열되어 복수로 구성된 미들 링크(130)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측면에 반구형 볼록부(131)가 형성되고, 타측면에 반구형 오목부(132)가 형성되며, 이웃하는 미들 링크(130)는 반구형 볼록부(131)와 반구형 오목부(132)가 서로 마주하도록 직렬 배열된다.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middle link 130, which is arranged in series between the base link 110 and the end link 120, has a semi-spherical convex portion 131 formed on one side surface thereof And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13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The neighboring middle link 130 is arranged in series so that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131 and the hemispherical concavity 132 face each other.

한편,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구형 볼록부(131)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110)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오목부(111)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반구형 오목부(111)와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구형 볼록부(131)가 서로 마주하도록 직렬 배열된다. 2 and 3,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111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110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131 of the middle link 130,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111 of the link 110 and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131 of the middle link 130 face each other.

그리고,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구형 오목부(132)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120)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볼록부(122)가 형성되며, 상기 엔드 링크(120)의 반구형 볼록부(122)와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구형 오목부(132)가 서로 마주하도록 직렬 배열된다. 2 and 3,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122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120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132 of the middle link 130,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122 of the link 120 and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132 of the middle link 130 are arranged in series so as to face each other.

상술한 바와 같이, 반구형 오목부와 반구형 볼록부가 서로 마주하는 구조로 구성됨에 따라 상기 링크부(100)의 상태가 경직된 상태로 전환되는 과정에서, 반구형 오목부와 반구형 볼록부에 의해 가이드되면서 직렬 배열로 정렬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since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and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are opposed to each other, the link portion 100 is guided by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and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 &Lt; / RTI &gt;

한편,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의 사이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한 고무재질의 탄성수단(140)이 구비될 수 있다. A rubber elastic means 140 may be provided between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to increase frictional force.

다음으로, 상기 압착구동부(200)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Next,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200 will be described.

상기 압착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와이어(21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단이 엔드 링크(120)의 중앙외부측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미들 링크(13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중앙부로 연장되어 위치된다. 5, one end of the wire 210 constituting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200 is fixed to the outer side of the center of the end link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passes through the middle portion of the middle link 130 And extends to the center of the base link 110. [

상기 와이어(210)는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와 고정되어 있지 않으며,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는 상기 와이어(210)가 관통된 상태로 상기 와이어(210)의 길이방향으로 위치 이동이 가능한 상태이다. The wire 210 is not fixed to the base link 110 and the middle link 130 and the base link 110 and the middle link 130 are connected to the wire 210 21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은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중앙부를 관통하여 상기 압착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220)에 연결된다.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passes through a central portion of the base link 110 and is connected to an actuator 220 constituting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200.

상기 액추에이터(22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튜브(221) 및 상기 실린더튜브(221) 내에서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왕복 운동이 가능한 피스톤(22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5, the actuator 220 includes a cylinder tube 221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e link 110, and a piston 224 reciprocating in the cylinder tube 221 by the pressure of fluid or gas. And a piston (222) capable of being operated.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은 상기 피스톤(222)의 중앙부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222)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에서 이격시 상기 링크부(100)가 경직된 상태가 되고, 상기 피스톤(222)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에 근접시 상기 링크부(100)가 유연한 상태가 될 수 있다.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is fixed to a central portion of the piston 222 so that the link portion 100 is rigid when the piston 222 is separated from the base link 110, The link portion 100 may be in a flexible state when the base link 110 is close to the base link 110. [

즉, 상기 액추에이터(22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트(P1)로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22)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을 당김에 따라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가 서로 압착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2, as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first port P1, the actuator 220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link 110 to move the wire 210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s the other end is pulled, so that the link portion 100 is in a rigid state.

또한, 상기 액추에이터(2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트(P2)로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22)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에 근접하여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을 당김해제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 간의 압착이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3, as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second port P2, the actuator 220 moves the piston 222 close to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are disengaged from each other, so that the link unit 100 can be operated in a flexible state.

상술한 바와 같이, 링크부(100)와 압착구동부(200)로 구성된 링크 구조체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웃하는 조인트(J1, J2, J3)를 서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본 실시예의 링크 구조체가 골반부 조인트(J1)와 무릎부 조인트(J2)의 사이 및 무릎부 조인트(J2)와 발목부 조인트(J3)의 사이에 각각 구비된 경우에, 웨어러블 로봇을 착용한 착용자의 다리가 입각시 시 링크부(100)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압착구동부(200)가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을 당기도록 동작하고, 착용자의 다리가 유각시 시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압착구동부(200)가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을 당김해제하도록 동작할 수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link structure composed of the link portion 100 and the compression driving portion 200 is configured to connect the neighboring joints J1, J2, and J3 to each other as shown in FIG. 4, In the case where the link structure of the present embodiment is provided between the pelvis joint J1 and the knee joint J2 and between the knee joint J2 and the ankle joint J3, The pressing operation unit 200 is operated so as to pull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so that the legs of the wearer are in a rigid state when the legs of the wearer are in an upright state, May be operable to pull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off.

한편,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링크부(100)의 외부에는 상기 링크부(100)를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유연한 재질의 보호스킨(150)이 구비될 수 있다. 4 and 5, a flexible skin protection cover 150 may be provided on the outer side of the link unit 100 to protect the link unit 100 from being wrapped.

한편, 상기에서는, 도 6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와이어(210)가 상기 링크부(100)의 중앙에 하나로 구성된 경우에 예시하였지만, 도 6의 (b) 내지 (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로 분리 구성된 복수의 와이어(210)가 등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6 (a), the wire 210 is formed as one unit at the center of the link unit 100. However, as shown in FIGS. 6 (b) to 6 (d) As shown in the drawing, it is needless to say that a plurality of wires 210 separated from each other may be arranged in an equiangular manner.

이때, 각각의 와이어(210)는 등각으로 배열되도록 구성되고, 각 와이어(210)의 일단은 엔드 링크(120)에 고정되고, 각 와이어(210)의 타단은 상기 미들 링크(130)를 관통하여 상기 베이스 링크(110)로 연장되어 위치된 후 상기 압착구동부(200)를 구성하는 액추에이터(220)의 피스톤(222)에 연결된다. One end of each wire 210 is fixed to the end link 120 and the other end of each wire 210 passes through the middle link 130 And is connected to the piston 222 of the actuator 220 constituting the compression driving unit 200 after being extended to the base link 110.

<제2실시예>&Lt; Embodiment 2 >

제2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를 포함하는 링크부(100)의 구성이 제1실시예와 상이하고, 와이어(210),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하는 압착구동부(2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The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is configured such that the configuration of the link portion 100 including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The crimping driver 200, which is different from the first embodiment and includes the wire 210 and the actuator 220, is configur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구체적으로, 상기 베이스 링크(110)와 엔드 링크(120)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13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130)의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구형 탄성수단(140)이 구비된다. Specifically, the base link 110 and the end link 120 are formed in a plate-like shape, and the middle link 13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between the middle link 130, 140 are provided.

상기 압착구동부(200)의 와이어(210)는 상기 미들 링크(130)의 내부 및 상기 구형 탄성수단(140)을 관통하도록 구성된다. The wire 210 of the squeezing drive unit 200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inside of the middle link 130 and the spherical elastic means 140.

따라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포트(P1)로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22)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을 당김에 따라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구형 탄성수단(140), 엔드 링크(120)가 서로 압착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7, when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first port P1, the piston 222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link 110 and pulls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Th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the spherical elastic means 140, and the end link 12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so that the link portion 100 is in a rigid state.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포트(P2)로 유압이 공급됨에 따라 상기 피스톤(222)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에 근접하여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을 당김해제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구형 탄성수단(140), 엔드 링크(120) 간의 압착이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7, as the piston 222 is pulled close to the base link 110 to pull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as the hydraulic pressure is supplied to the second port P2, The compression of the link between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the spherical elastic means 140, and the end link 120 is released so that the link unit 100 can be operated in a flexible state.

한편, 상기에서는, 도 6의 (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와 엔드 링크(120)가 원형인 경우에 대해 예시하였지만, 도 6의 (f) 내지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사각형, 삼각형, 정사각형 형태로 변형이 가능하다. 6 (e), the case where the base link 110 and the end link 120 are circular is exemplified. However, as shown in (f) to (h) of FIG. 6, It can be deformed into a rectangular, triangular or square shape.

또한, 도 6의 (e) 및 (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들 링크(130), 구형 탄성수단(140), 와이어(210) 그룹이 2그룹으로 구성된 경우 이외에도, 도 6의 (g) 및 (h)에 도시된 바와 같이, 등각 배열로 3그룹, 4그룹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6 (e) and 6 (f), in addition to the case where the middle link 130, the spherical elastic means 140, and the wire 210 groups are formed of two groups, And as shown in (h), it may be composed of three groups, four groups, etc. in conformal arrangement.

<제3실시예>&Lt; Third Embodiment >

제3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를 포함하는 링크부(100)의 구성과, 와이어(210),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하는 압착구동부(200)는 제1실시예와 상이하게 구성된다. The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includes a link portion 100 including a base link 110, a middle link 130, and an end link 120, as shown in Figs. 8 and 9, And the crimping driver 200 including the wire 210 and the actuator 220 are configured differently from the first embodiment.

상기 미들 링크(130)의 일측면에는 반구형 볼록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130)의 타측면에는 상기 반구형 오목부(132)가 형성된다.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1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iddle link 130 and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13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link 130.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구형 볼록부(131)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110)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오목부(111)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구형 오목부(132)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120)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볼록부(122)가 형성된다.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111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110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131 of the middle link 130 to correspond to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132 of the middle link 130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122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120. [

한편,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및 엔드 링크(120)에는 와이어(210)가 관통하기 위한 제1 관통홀(110h1, 120h1, 130h1), 제2 관통홀(110h2, 120h2, 130h2), 제3 관통홀(110h3, 120h3, 130h3), 제4 관통홀(110h4, 120h4, 130h4)이 시계방향으로 등각 배열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through holes 110h1, 120h1 and 130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110h2 and 120h2 are formed in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130h2, third through holes 110h3, 120h3, 130h3, and fourth through holes 110h4, 120h4, 130h4 are equiangularly arranged clockwise.

한편, 상기 와이어(210)는 하나로 구성되고, 제1 관통홀(110h1, 120h1, 130h1), 제2 관통홀(110h2, 120h2, 130h2), 제3 관통홀(110h3, 120h3, 130h3), 제4 관통홀(110h4, 120h4, 130h4)을 통해 상기 베이스 링크(110)와 상기 엔드 링크(120)의 사이를 왕복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The wire 210 is formed of a single wire and includes first through holes 110h1, 120h1 and 130h1, second through holes 110h2, 120h2 and 130h2, third through holes 110h3, 120h3 and 130h3, And is configured to be reciprocally connected between the base link 110 and the end link 120 through the through holes 110h4, 120h4, and 130h4.

구체적으로, 상기 와이어(210)의 일단은 상기 엔드 링크(120)의 제1 관통홀(120h1) 외측에 고정되어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은 상기 엔드 링크(120)의 제4 관통홀(120h4) 외측에 고정되어 위치된다. One end of the wire 210 is fixedly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through hole 120h1 of the end link 120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is connected to the fourth end of the end link 120, And is fixedly positioned outside the hole 120h4.

그리고, 상기 와이어(210)의 일단에서 상기 엔드 링크(120)의 제1 관통홀(120h1), 상기 미들 링크(130)의 제1 관통홀(130h1),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제1 관통홀(110h1)을 순차 관통하여 외측으로 1차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제2 관통홀(110h2), 상기 미들 링크(130)의 제2 관통홀(130h2), 상기 엔드 링크(120)의 제2 관통홀(120h2), 상기 엔드 링크(120)의 제3 관통홀(120h3), 상기 미들 링크(130)의 제3 관통홀(130h3),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제3 관통홀(110h3)을 순차 관통하여 외측으로 2차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제4 관통홀(110h4), 상기 미들 링크(130)의 제4 관통홀(130h4), 상기 엔드 링크(120)의 제4 관통홀(120h4)을 순차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210)의 타단까지 연장형성된다. The first through hole 120h1 of the end link 120, the first through hole 130h1 of the middle link 130, and the first through hole 130h1 of the base link 110 are formed at one end of the wire 210, Holes 110h2 of the base link 1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130h2 of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h2 of the base link 110 after the first through- The third through hole 120h3 of the end link 120, the third through hole 130h3 of the middle link 130, the third through hole 120h2 of the base link 110, Holes 110h3 of the base link 110 and then the fourth through holes 110h4 of the base link 110 and the fourth through holes 130h4 of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s 120 Through the fourth through hole 120h4 of the wire 210 and extends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210. [

상기 와이어(210)는 각 링크(110, 120, 130)의 제5 관통홀(110h5, 120h5, 130h5)만을 관통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The wire 210 may be configured to penetrate only the fifth through holes 110h5, 120h5, and 130h5 of the links 110, 120, and 130, respectively.

한편, 상기 액추에이터(220)는 줄 꼬임 구동기(223, Twisted String Actuator)로 구성된다. Meanwhile, the actuator 220 is composed of a twisted string actuator 223 (Twisted String Actuator).

구체적으로, 상기 줄 꼬임 구동기(223)는 구동축에 의해 회전하는 줄 꼬임 풀리(223-1)가 구비되며, 상기 줄 꼬임 풀리(223-1)를 관통하여 구성되어 양단이 풀리 형상으로 형성된 케이블 샤프트(223-2)가 구비된다. Specifically, the line-twist driver 223 is provided with a line-twist pulley 223-1 that is rotated by a drive shaft. The line-twist driver 223 includes a cable shaft 223-1 having pulley- (223-2).

상기 케이블 샤프트(223-2)의 양단에는 상기 와이어(210)의 제1 연장된 부분(210-1) 및 제2 연장된 부분(210-2)이 각각 걸려지게 된다. The first extended portion 210-1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10-2 of the wire 210 are hooked to both ends of the cable shaft 223-2.

따라서, 상기 줄 꼬임 구동기(223)의 구동축이 회전하게되면, 상기 줄 꼬임 풀리(223-1) 및 케이블 샤프트(223-2)가 회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210)의 제1 연장된 부분(210-1)과 제2 연장된 부분(210-2)이 서로 꼬이게 되어 길이가 짧아지게 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가 서로 압착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Therefore, when the drive shaft of the line-twist driver 223 is rotated, the line-twist pulley 223-1 and the cable shaft 223-2 are rotated, so that the first extended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as the first and second extended portions 210-1 and 210-2 are twisted to shorten each other, So that the link portion 100 is in a rigid state.

또한, 상기 줄 꼬임 구동기(223)의 구동축에 대한 회전력에 제거되면, 상기 줄 꼬임 풀리(223-1) 및 케이블 샤프트(223-2)의 회전력이 제거되며, 이에 따라 상기 와이어(210)의 제1 연장된 부분(210-1)과 제2 연장된 부분(210-2)의 꼬임이 자연적으로 풀릴 수 있는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 간의 압착이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작동할 수 있다. When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re twist driver 223 is removed, the rotational force of the wire twist pulley 223-1 and the cable shaft 223-2 is removed, The middle link 130, the end link 120, and the like can be naturally released as the twist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210-1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210-2 becomes naturally loosened, So that the link portion 100 can be operated in a flexible state.

<제4실시예><Fourth Embodiment>

제4실시예에 따른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를 포함하는 링크부(100)의 구성이 상이하게 구성되고, 와이어(210), 액추에이터(220)를 포함하는 압착구동부(200)는 제1실시예와 동일하게 구성된다. The link structure for a wearable robot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includes a link portion 100 including a base link 110, a middle link 130, and an end link 120, as shown in FIGS. 10 to 12, And the crimping driver 200 including the wire 210 and the actuator 220 are constructed in the same manner as in the first embodiment.

구체적으로, 상기 미들 링크(130)의 일측면에는 반원형 볼록부(131')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130)의 타측면에는 상기 반원형 오목부(132')가 형성된다. Specifically, a semicircular convex portion 131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middle link 130, and the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132' is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middle link 130.

한편,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원형 볼록부(131')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120)의 대응면에는 반원형 오목부(121')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원형 오목부(132')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110)의 대응면에는 반원형 볼록부(112')가 형성된다. On the other hand, a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121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120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ular convex portion 131' of the middle link 130, and a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And a semicircular convex portion 112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110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ular convex portion 132'.

그리고, 상기 미들 링크(130)의 반원형 볼록부(131')와 베이스 링크(110)의 반원형 볼록부(112')의 지름 방향 일측 단부에는 경사홈부(c)가 형성되고, 지름 방향 타측 단부에는 단턱부(d) 형성된다. An inclined groove portion c is formed at one end in the radial direction of the semicircular convex portion 131 'of the middle link 130 and the semicircular convex portion 112' of the base link 110, A step (d) is formed.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및 엔드 링크(120)에는 와이어(210)가 관통하기 위한 제1 관통홀(110h1, 120h1, 130h1), 제2 관통홀(110h2, 120h2, 130h2), 제3 관통홀(110h3, 120h3, 130h3), 제4 관통홀(110h4, 120h4, 130h4)이 시계방향으로 등각 배열되어 형성된다. The first through holes 110h1, 120h1 and 130h1 and the second through holes 110h2, 120h2 and 130h2 are formed in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The third through holes 110h3, 120h3, and 130h3, and the fourth through holes 110h4, 120h4, and 130h4 are equiangularly arranged in the clockwise direction.

한편, 제2 관통홀(110h2, 120h2, 130h2), 제3 관통홀(110h3, 120h3, 130h3)을 통과하는 제1 와이어(210a)와, 제1 관통홀(110h1, 120h1, 130h1), 제4 관통홀(110h4, 120h4, 130h4)을 통과하는 제2 와이어(210b)가 구비된다. The first wire 210a passing through the second through holes 110h2, 120h2 and 130h2 and the third through holes 110h3, 120h3 and 130h3 and the first through holes 110h1, 120h1 and 130h1, And a second wire 210b passing through the through holes 110h4, 120h4, and 130h4.

제1 와이어(210a)는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제2 관통홀(110h2), 제3 관통홀(110h3), 상기 미들 링크(120)의 제2 관통홀(120h2), 제3 관통홀(120h3), 상기 엔드 링크(130)의 제2 관통홀(130h2), 제3 관통홀(130h3)을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The first wire 210a is connected to the second through hole 110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110h3 of the base link 110 and the second through hole 120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120h2 of the middle link 120, 120h3 of the end link 130, the second through hole 130h2 and the third through hole 130h3 of the end link 130, respectively.

제2 와이어(210b)는 상기 베이스 링크(110)의 제1 관통홀(110h1), 제4 관통홀(110h4), 상기 미들 링크(120)의 제1 관통홀(120h1), 제4 관통홀(120h4), 상기 엔드 링크(130)의 제1 관통홀(130h1), 제4 관통홀(130h4)을 관통하여 연결하도록 구성된다. The second wire 210b is connected to the first through hole 110h1 and the fourth through hole 110h4 of the base link 110, the first through hole 120h1 and the fourth through hole 120h1 of the middle link 120, 120h4 of the end link 130, the first through hole 130h1 and the fourth through hole 130h4 of the end link 130, respectively.

한편, 상기 제1 와이어(210a)의 상부는 롤러(r2)에 의해 지지되고, 상기 제2 와이어(210b)의 상부는 롤러(r1)에 의해 지지된다. An upper portion of the first wire 210a is supported by a roller r2 and an upper portion of the second wire 210b is supported by a roller r1.

그리고, 상기 제1 와이어(210a)의 하부와 상기 제2 와이어(210b)의 하부는 상기 베이스 링크(110)로부터 일정 길이만큼 더욱 연장되도록 배출된다.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re 210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ire 210b are further extended from the base link 110 by a predetermined length.

따라서, 제1 와이어(210a)의 하부 및 제2 와이어(210b)의 하부가 액추에이터의 피스톤(또는 액추에이터의 줄 꼬임 구동기)에 연결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re 210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ire 210b may be connected to the piston of the actuator (or the twist driver of the actuator).

따라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에서 이격되어 상기 제1 와이어(210a)의 하부 및 제2 와이어(210b)의 하부를 각각 당김에 따라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가 서로 압착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일렬로 배열되어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할 수 있다. 10, the piston is spaced apart from the base link 110 to pull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re 210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ire 210b, respectively, so that the bas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are pressed against each other, so that the link portions 100 are arranged in a line so as to be in a rigid state.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피스톤이 상기 베이스 링크(110)에 근접하여 상기 제1 와이어(210a)의 하부 및 제2 와이어(210b)의 하부를 각각 당김해제함에 따라 상기 베이스 링크(110), 미들 링크(130), 엔드 링크(120) 간의 압착이 해제되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100)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작동할 수 있으며, 이때, 상기 링크부(100)를 일방향으로만 유연하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11, as the piston pulls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wire 210a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second wire 210b toward the base link 110, The link unit 100 can be flexibly operated in one direction by releasing the compression of the link unit 100, the middle link 110, the middle link 130, and the end link 120. In this case, You can move.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기술되었지만 당업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본 발명의 범주를 벗어남이 없이 많은 다양하고 자명한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주는 이러한 많은 변형예들을 포함하도록 기술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해석돼야 한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thereof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many other obvious modifications can be made therei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by the appended claims to cover many such variations.

100:링크부 110:베이스 링크
120:엔드 링크 130:미들 링크
140:탄성수단 150:보호스킨
200:압착구동부 210:와이어
220:액추에이터
100: link portion 110: base link
120: end link 130: middle link
140: Elastic means 150: Protective skin
200: a crimping driver 210: a wire
220: Actuator

Claims (12)

웨어러블 로봇의 이웃하는 조인트 사이에 구비되는 링크 구조체로서,
일측에 구비된 베이스 링크, 타측에 구비된 엔드 링크 및 상기 베이스 링크와 엔드 링크 사이에 직렬로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미들 링크를 포함한 링크부; 및
상기 베이스 링크, 미들 링크, 엔드 링크를 서로 압착시키는 압착구동력을 제공하여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압착구동력을 해제하여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압착구동부;를 포함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A link structure provided between neighboring joints of a wearable robot,
A link portion including a base link provided on one side, an end link provided on the other side, and at least one middle link arranged in series between the base link and the end link; And
And a compression driving unit for providing a compression driving force for pressing the base link, the middle link, and the end link so that the link unit is in a rigid state or releasing the compression driving force so that the link unit is in a flexible state. Link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착구동부는,
일단이 엔드 링크에 고정되고, 타단이 상기 미들 링크 및 상기 베이스 링크를 관통하여 연장된 와이어; 및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당겨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와이어의 타단을 당김해제하여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액추에이터;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compression drive unit comprises:
A wire having one end fixed to the end link and the other end extending through the middle link and the base link; And an actuator for pull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so that the link portion is in a rigid state or pulling the other end of the wire so as to allow the link portion to be in a flexible stat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링크부의 중앙에 하나로 구성되거나, 상기 링크부의 중앙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개가 등각도로 배열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plurality of wires are arranged at the center of the link portion, or a plurality of the wires are arranged at an equal angle with respect to a center of the link por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는 상기 베이스 링크와 상기 엔드 링크의 사이를 적어도 1회 왕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wire is configured to reciprocate at least once between the base link and the end link.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베이스 링크의 외측에 일체로 형성된 실린더튜브; 및 상기 실린더튜브 내에서 유체 또는 기체의 압력에 의해 왕복 운동이 가능한 피스톤;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와이어의 타단이 상기 피스톤에 고정되어 상기 피스톤이 상기 베이스 링크에서 이격시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고, 상기 피스톤이 상기 베이스 링크에 근접시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actuator comprises:
A cylinder tube integrally formed on the outer side of the base link; And a piston capable of reciprocating motion by the pressure of fluid or gas in the cylinder tube,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to the piston so that when the piston is separated from the base link, the link portion is in a rigid state, and when the piston is close to the base link, the link portion is in a flexible state. A link structure fo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크, 미들 링크, 엔드 링크의 사이에는 마찰력 증대를 위한 고무재질의 탄성수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rubber elastic means for increasing frictional force is provided between the base link, the middle link, and the end link.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의 외부에는 상기 링크부를 감싸서 보호하기 위한 유연한 재질의 보호스킨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nd a protective skin of a flexible material for covering and protecting the link portion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link porti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링크의 일측면에는 반구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타측면에는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의 반구형 볼록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반구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Wherein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of the middle link and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of the middle link Link structur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링크의 일측면에는 반원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타측면에는 반원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의 반원형 볼록부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원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반원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원형 볼록부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A semicircular convex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a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A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ular convex portion of the middle link and a semicircular 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corresponding to the semicircular concave portion of the middle link. Link structur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링크와 베이스 링크의 반원형 볼록부의 지름 방향 일측 단부에는 경사홈부가 형성되고, 지름 방향 타측 단부에는 단턱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10. The method of claim 9,
Wherein an inclined groove is formed at one end of the semicircular convex portion of the middle link and the base link in the radial direction, and a step is formed at the other end in the radial direction.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링크와 엔드 링크는 판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의 사이에는 고무재질의 구형 탄성수단이 구비되고, 상기 와이어는 상기 미들 링크의 내부 및 상기 구형 탄성수단을 관통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Wherein the base link and the end link ar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middle link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a rubber elastic spherical means is provided between the middle links, and the wire is inserted into the middle link and the spherical elasticity Wherein the link mechanism is configured to penetrate the link mechanism.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들 링크의 일측면에는 반구형 볼록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타측면에는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며, 상기 미들 링크의 반구형 볼록부에 대응하는 베이스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오목부가 형성되고, 상기 미들 링크의 반구형 오목부에 대응하는 엔드 링크의 대응면에는 반구형 볼록부가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링크, 미들 링크 및 엔드 링크에는 와이어가 관통하기 위한 제1 관통홀, 제2 관통홀, 제3 관통홀, 제4 관통홀이 시계방향으로 등각 배열되어 형성되고,
상기 와이어의 일단은 상기 엔드 링크의 제1 관통홀 외측에 고정되어 위치되고, 상기 와이어의 타단은 상기 엔드 링크의 제4 관통홀 외측에 고정되어 위치되되,
상기 와이어의 일단에서 상기 엔드 링크의 제1 관통홀, 상기 미들 링크의 제1 관통홀, 상기 베이스 링크의 제1 관통홀을 순차 관통하여 외측으로 1차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링크의 제2 관통홀, 상기 미들 링크의 제2 관통홀, 상기 엔드 링크의 제2 관통홀, 상기 엔드 링크의 제3 관통홀, 상기 미들 링크의 제3 관통홀, 상기 베이스 링크의 제3 관통홀을 순차 관통하여 외측으로 2차 연장된 후 상기 베이스 링크의 제4 관통홀, 상기 미들 링크의 제4 관통홀, 상기 엔드 링크의 제4 관통홀을 순차 관통하여 상기 와이어의 타단까지 연장형성되며,
상기 액추에이터는 상기 와이어의 제1 연장된 부분과 제2 연장된 부분에 연결되어 상기 와이어의 제1 연장된 부분과 제2 연장된 부분이 서로 꼬이도록 하여 상기 링크부가 경직된 상태가 되도록 하거나 상기 와이어의 제1 연장된 부분과 제2 연장된 부분의 꼬임을 해제하여 상기 링크부가 유연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줄 꼬임 구동기(Twisted String Actuator)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웨어러블 로봇을 위한 링크 구조체.
3. The method of claim 2,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one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the other side surface of the middle link, a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base link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of the middle link, A hemispherical convex portion is formed on a corresponding surface of the end link corresponding to the hemispherical concave portion of the link,
The base link, the middle link, and the end link are formed with a first through hole, a second through hole, a third through hole, and a fourth through hole,
Wherein one end of the wire is fixedly positioned outside the first through hole of the end link and the other end of the wire is fixed and positioned outside the fourth through hole of the end link,
A first through hole in the end link, a first through hole in the middle link, and a first through hole in the base link at one end of the wire, , A second through hole of the middle link, a second through hole of the end link, a third through hole of the end link, a third through hole of the middle link, and a third through hole of the base link, And then extends through the fourth through-hole of the base link, the fourth through-hole of the middle link, and the fourth through-hole of the end link to extend to the other end of the wire,
The actuator is connected to a first extended portion and a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wire such that the first extended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of the wire are twisted to each other such that the link portion is in a rigid state, And a twisted string actuator for releasing the twist of the first extended portion and the second extended portion so that the link portion is in a flexible state.
KR1020170082305A 2017-06-29 2017-06-29 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 KR101937275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305A KR101937275B1 (en) 2017-06-29 2017-06-29 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82305A KR101937275B1 (en) 2017-06-29 2017-06-29 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17A KR20190002017A (en) 2019-01-08
KR101937275B1 true KR101937275B1 (en) 2019-01-11

Family

ID=650209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82305A KR101937275B1 (en) 2017-06-29 2017-06-29 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275B1 (en)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76B1 (en) 2020-11-30 2022-05-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of wearer
KR102449950B1 (en) 2021-06-15 2022-10-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posture and muscle strength of wearer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5621A1 (en) * 2013-12-18 2015-06-18 Hyundai Motor Company Wire-driven robot
JP2015190623A (en) * 2014-03-28 2015-11-02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link assembly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165621A1 (en) * 2013-12-18 2015-06-18 Hyundai Motor Company Wire-driven robot
JP2015190623A (en) * 2014-03-28 2015-11-02 三星電子株式会社Samsung Electronics Co.,Ltd. link assembly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02876B1 (en) 2020-11-30 2022-05-27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of wearer
KR102449950B1 (en) 2021-06-15 2022-10-04 한국생산기술연구원 Wearable apparatus for assisting posture and muscle strength of wear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02017A (en) 2019-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852126B2 (en) Flex grip
US20210275383A1 (en) Wearable exoskeleton system and method
KR101693976B1 (en) Apparatus for assisting muscle strength
CN105792994B (en) Robot arm
KR101937275B1 (en) Link structure for wearable robot
CN106335049B (en) A kind of lower limb exoskeleton power assisting device of pneumatic muscles driving
CN106255477A (en) Artificial limb
JP2006000294A (en) Mounting type power assist device
WO2017038599A1 (en) Actuator and body assistance device
WO2021149908A1 (en) Knee brace having changeable pneumatic contact force
Miller-Jackson et al. A wearable soft robotic exoskeleton for hip flexion rehabilitation
KR102042394B1 (en) Assist apparatus of muscular strength for arm
Nordin et al. Grip force measurement of soft-actuated finger exoskeleton
CN108356798A (en) Waist power assisting device
Bharadwaj et al. Spring over muscle (SOM) actuator for rehabilitation devices
CN208645318U (en) Software pneumatic type joint assistance equipment
Sy et al. M-sam: Miniature and soft artificial muscle-driven wearable robotic fabric exosuit for upper limb augmentation
CN109937121A (en) Muscular strength auxiliary device
CN109937122A (en) Muscular strength auxiliary device
CN107598896B (en) Rigid-flexible coupling humanoid robot spine structure
CN208319871U (en) A kind of artifucial limb flippers
CN110974600A (en) Wearable cerebral apoplexy rehabilitation device based on flexible touch
CN107414789A (en) A kind of wearable leg power assisting device of closed hydraulic pressure transmission
KR102336585B1 (en) Devices designed to be positioned near joints and systems incorporating such devices
CN212445219U (en) Passive knee joint assistance exoskelet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