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37225B1 - Led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Led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37225B1
KR101937225B1 KR1020170146454A KR20170146454A KR101937225B1 KR 101937225 B1 KR101937225 B1 KR 101937225B1 KR 1020170146454 A KR1020170146454 A KR 1020170146454A KR 20170146454 A KR20170146454 A KR 20170146454A KR 101937225 B1 KR101937225 B1 KR 1019372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exible light
led
light transmitting
display device
transmitting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464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영욱
송호영
Original Assignee
(주) 액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액트 filed Critical (주) 액트
Priority to KR10201701464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372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372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372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15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 H01L27/153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 H01L27/156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in a repetitive configuration, e.g. LED bars two-dimensional array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33/00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 H01L33/02Semiconductor devices having potential barriers specially adapted for light emission; Processes or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ufacture or treatment thereof or of parts thereof; Details thereof characterised by the semiconductor bod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lluminated Signs And Luminous Advertising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일정두께를 갖는 가요성투광패널과, 상기 가요성투광패널에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LED소자를 포함하고,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디스플레이부와; 동일평면상에 배치되되 상호 이웃하는 단위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투광패널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가요성투광패널의 연결에 따라 대응하도록 위치된 LED소자의 피치간격이, 각 가요성투광패널 내부 영역의 LED소자의 피치 간격과 동일하도록 연결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LED소자의 피치 간격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여 데드존의 발생염려가 없어 최상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웃하는 단위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로 또는 커넥터를 통해 강력하게 고정되므로, 시간이 오래되더라도 단위디스플레이부의 벌어짐이나 변형이 없어, LED소자의 간격 변화를 야기하지 않음은 물론 구조적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길다. 아울러,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장치는, 투광성커버시트를 이용해 전후면이 커버되어, LED소자는 물론 회로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Description

LED 디스플레이 장치{LED display device}
본 발명은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모든 LED소자의 간격이 균일하게 유지되어 데드존(dead zone)의 발생이 없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각종 디스플레이 장치 중, LED 디스플레이는, 전력소모가 작고 수명이 길며 특히 밝기나 시야각이 뛰어나 가시거리가 멀다는 장점을 가진다. 이에 따라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가령 대형 광고판이나 전광판 등을 포함한 다양한 분야에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기판과, 상기 기판에 일정피치로 실장 배치되는 다수의 LED소자와, 각 LED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전원과, 제어부의 기본 구조를 갖는다. 상기 LED 디스플레이에 있어서, 각 LED소자의 간격, 즉 피치는 화면의 밝기 및 해상도와 관계 깊다. 가령, 디스플레이 면적이 일정할 때 피치가 작을수록 화면의 재현도가 높아지고 선명해지는 것이다.
한편, 종래에 사용되는 대형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조는, 그 전면에 LED 소자가 실장 되어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에 배치되며 상기 LED소자를 구동 및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한다. 그런데, 종래의 대형 LED 디스플레이는,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의 사이즈가 큰 만큼 회로가 복잡하고 사용되는 전자 부품이 많아진다는 단점을 갖는다.
당연히, 하나의 디스플레이 패널에 많은 부품을 배치하려면,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의 면적을 크게 설계해야 하는데, 그렇게 되면 생산비용이 상승하고, 회로가 복잡해져 유지보수가 힘들어진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대형 디스플레이에 비해 상대적으로 작은 사이즈를 갖는 다수의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접시켜 사용하기도 한다. 말하자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작은 사이즈를 갖는 단위디스플레이부(13)를 상하 좌우로 연결하되, 각각의 디스플레이 패널에서의 LED소자를 별도로 제어하는 것이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LED 디스플레이 장치(11)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단위디스플레이부(13)가 상하 좌우로 연접되어 하나의 대형 디스플레이장치(11)를 구성하고 있다. 상기 단위디스플레이부(13)는 일정두께를 갖는 투광성 PET필름으로 이루어진 가요성투광패널(15)과, 상기 가요성투광패널(15)의 전면(前面)에 배치된 다수의 LED소자(17)를 갖는다. 상기 LED소자(17)는 각자의 가요성투광패널(15) 내에서 일정피치(P1)를 이룬다.
그런데 각 가요성투광패널(15)에 수용된 LED소자(17) 중, 가장 외곽라인에 배치되어 있는 LED소자(17)와, 가요성투광패널(15) 에지부와의 간격(D)은 상기한 피치 P1와 다르다. 상기 간격(D)은, 여러 가지 요소, 가령, 디스플레이장치(11)의 전체적인 크기와 단위디스플레이부(13)의 적용 개수 등에 따라 달라지는 것으로서, LED소자(17)의 피치와 어떤 함수관계가 있는 것이 아니다. 상기 간격(D)은 일반적으로 피치 P1보다 넓다.
이러한 이유로 가령 두 개의 단위디스플레이부(13)의 단부를 맞대어 연접시킬 때, 이웃하는 단위디스플레이부(13)간의 최근접 LED소자(17)의 피치(P2)가, 상기 피치 P1보다 클 수밖에 없다.
상기한 바와 같이, 이웃 단위디스플레이부(13) 사이의 LED소자(17)의 피치(P2)가, 단위디스플레이부(13) 내부 영역의 LED소자(17)의 피치(P1)보다 크게 벌어진 구조는, 디스플레이장치(11)를 통해 영상을 출력할 때, 단위디스플레이부(13)의 사이에 검정선이 나타나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즉, 마치 멀티비젼과 같이 각 단위디스플레이부(13) 사이에 검정선(데드존, dead zone)이 나타나는 것이다. 이러한 데드존은 디스플레이의 품격을 크게 훼손시키는 원인이 된다.
아울러 상기 가요성투광패널(15)은 플랙시블한 PET필름으로 제작되므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변형되어, 가령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일측 가요성투광패널(15)은 화살표 a방향, 반대측 가요성투광패널(15)은 화살표 b방향으로 휘어진다는 문제도 갖는다. 상기한 가요성투광패널(15)의 변형은 회로의 단선이나 영상의 왜곡으로 이어질 수 있다.
국내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5-0003943호 (미세 피치를 갖는 LED 디스플레이)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LED소자의 피치 간격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하므로 데드존의 발생염려가 없어 최상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는 LED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시간이 오래되더라도 단위디스플레이부의 벌어짐이나 변형이 없어, LED소자의 간격 변화를 야기하지 않고 구조적 내구성이 뛰어난 LED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LED소자는 물론 회로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한 LED 디스플레이장치를 제공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일정두께를 갖는 가요성투광패널과, 상기 가요성투광패널에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LED소자를 포함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디스플레이부와; 상호 이웃하는 단위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투광패널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가요성투광패널의 연결에 따라 대응하도록 위치된 LED소자의 피치간격이, 각 가요성투광패널 내부 영역의 LED소자의 피치 간격과 동일하도록 연결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이웃하는 가요성투광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측부에는, 결합 연결할 가요성투광패널의 테두리부를 수용 고정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H 자형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투광성 소재로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수용홈의 폭은 상기 가요성 투광패널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수용홈의 내향면에는 대향되게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로서의 탄력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에는,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센터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슬릿에는, 센터슬릿에 끼워져 커넥터의 스티프니스를 보강하는 보강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또한, 상기 커넥터에 의해 연결 구성된 상태의 다수의 단위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및 후면에는 단위디스플레이부를 커버하는 투광성커버시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투광패널에 대해 투광성커버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요성투광패널과 투광성커버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 결합함으로써 가요성투광패널과 투광성커버시트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볼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 장치는, 영상을 출력하는 LED소자의 피치 간격이 균일하여 데드존의 발생염려가 없어 최상의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장치는, 이웃하는 단위디스플레이부가 겹쳐진 상태로 또는 커넥터를 통해 강력하게 고정되므로, 시간이 오래되더라도 단위디스플레이부의 벌어짐이나 변형이 없어, LED소자의 간격 변화를 야기하지 않음은 물론 구조적 내구성이 뛰어나고 수명이 길다.
아울러, 본 발명의 LED 디스플레이장치는, 투광성커버시트를 이용해 전후면이 커버되어, LED소자는 물론 회로가 안전하게 보호하고 내부에 먼지나 이물질의 침입이 방지되어 유지보수가 용이하다.
도 1 및 도 2는 종래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문제점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커넥터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기본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프레이장치(31)는, 동일 평면상에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디스플레이부(33)과, 상기 단위디스플레이부(33)를 연결하여 모든 LED소자(17)의 간격이 일정하도록 유지하는 투광성볼트(39)를 포함한다.
먼저, 상기 단위디스플레이부(33)는, 일정 두께 및 폭을 갖는 PET필름으로 이루어진 가요성투광패널(35)과, 상기 가요성투광패널(35)의 일측면, 가령 전면(前面)에 배열되는 다수의 LED소자(17)를 포함한다.
상기 LED소자(17)가 별도의 전원(미도시) 및 콘트롤러(미도시)와 접속되어 원하는 내용을 디스플레이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LED디스플레이장치(31)의 전체적인 구성과 작동 방식은 일반적인 LED디스플레이장치와 같다. 본 발명은 LED소자(17)의 구동회로와 관련 있는 것이 아니므로, 상기 LED소자(17)와 가요성투광패널(35)을 제외한 설명은 생략한다.
상기 가요성투광패널(35)은 일정두께를 가지며 투명하고 가요성을 가져 구부리거나 말아 놓을 수 있는 사각의 시트형 부재로서, 그 전면(前面)에 상기 LED소자(17)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회로(미도시)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상기 가요성투광패널(35)을 PET 소재로 제작하였지만, 가요성, 투광성, 전기절연성이 있다면 다른 종류의 합성수지 소재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기 LED소자(17)는 가요성투광패널(35)의 전면에 일정 피치 간격(P1)으로 배치된다. 말하자면 X축과 이에 직교하는 Y축 방향으로 동일한 피치 간격을 이루는 것이다.
한편, 상기 각 가요성투광패널(35)의 테두리부에는 겹침부(35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겹침부(35a)는, 가요성투광패널(35)에 있어서, 최외곽 LED소자(17)와 가요성투광패널(35)의 에지라인(35b) 사이의 부분이다. 말하자면, 가요성투광패널(35)의 네 변의 모서리 라인과, 최외곽 LED소자의 연결직선 사이의 부분이다. 상기 겹침부(35a)의 폭은 상기 피치(P1) 간격의 1/2보다 넓다. 하지만 피치간격(P1)보다는 좁다. 겹침부(35a)의 폭은 피치(P1)의 0.6 내지 0.9 정도일 수 있다.
아울러 도 3에 도시한 겹침부(35a)는, 도면상 좌측 겹침부(35a)가 절곡되어 가요성투광패널(35)의 두께만큼 올라와 있고, 우측 겹침부(35a)는 수평의 형태를 취한다. 좌측 겹침부(35a)을 우측 겹침부(35a)에 올리면, 양측의 가요성투광패널(35)은 동일평면상에 위치하게 된다.
여하튼, 상기 각 가요성투광패널(35)은 동일한 평면상에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로 상기 겹침부(35a)가 겹쳐져 결합한다. 특히 이때의 겹쳐짐 정도는 매우 정확하게 결정되어져야 한다.
즉, 상호 이웃하여 결합되게 된 두 개의 가요성투광패널(35)에 있어서, 일측 가요성투광패널(35)의 최외곽 LED소자(17)와, 이에 대응하는 타측 가요성투광패널(35)에 위치한 최외곽 LED소자(17)간의 피치(P2)가, 각 가요성투광패널(35) 내부 영역의 LED소자(17)의 피치(P1)과 동일해야 하는 것이다.
위에 언급한 바와 같이, 상기 피치 P2가 피치 P1보다 넓을 경우, 각 단위디스플레이부(33)의 사이에 검정라인 즉, 데드존(dead zone)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데드존은 디스플레이장치(31)의 디스플레이 품질을 크게 훼손시킨다.
상기 데드존이 각 단위디스플레이부(33)의 테두리마다 균일한 폭으로 발생한다면, 마치 멀티비젼과 같은 형태가 되어 그나마 품질 훼손이 덜할지 모르지만, 상기 피치 P2가 일정하지 않아, 이를테면, 어느 부분은 데드존이 발생하고 또 어느 부분은 데드존이 없는 경우, 화면 중간의 군데 군데에 검정색 라인이 발생하므로 디스플레이 품질이 매우 좋지 않게 된다.
아울러, 처음에는 상기 피치 P2를 정밀하게 시공하였다 하더라도, 시간이 지남에 따라, 상기 가요성투광패널(35)이 변형되어 피치 P2가 서서히 넓어지는 경우, 없던 데드존이 발생하기 시작하기도 한다. 이 경우 디스플레이장치를 철거 후 폐기하거나 보수하여야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의 후술할 간격유지부(37)가 상기 피치 P2를 강력하게 유지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제1실시예에서는 상기 간격유지부(37)로서 투광성볼트(39)가 적용된다. 상기 투광성볼트(39)는 투광성 폴리카보네이트로 성형 제작된 무두(無頭)볼트로서, 상기 겹침부(35a)의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이격된다. 금속재볼트를 사용할 경우, 디스플레이 화면상 검정색 점이 나타날 수 있고, 특히 부식의 문제가 발생한다.
상기 투광성볼트(39)는, 겹쳐진 상태의 두 겹의 겹침부(35a)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겹침부(35a) 내부에 유지됨으로써, 상하 겹침부(35a)의 벌어짐을 방지한다. 당연히, 상기 투광성볼트(39)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일부러 잡아 뜯지 않는 이상) 가요성투광패널(35)이 투광성볼트(39)로부터 이탈될 염려가 없다.
아울러 상기 투광성볼트(39)의 길이를 더욱 길게 연장할 수도 있다. 도 3의 경우, 투광성볼트(39)의 양단부가 가요성투광패널(35)의 상면이나 저면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았으나, 돌출시킬 수도 있는 것이다.
도면부호 39a는 육각렌치홈이다. L렌치를 이용해 상기 투광성볼트(39)의 장착이나 분리 또는 위치조절이 가능하다.
도 4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상호 이웃하는 가요성투광패널(35)의 겹침부(35a)가, 절곡되지 않고 평평한 상태로 겹쳐 있음을 알 수 있다. 일측 가요성투광패널(35)과 타측 가요성투광패널(35)의 양단부가 엇갈린 상태로 겹쳐 있는 것이다. 하지만 가요성투광패널(35)의 넓이에 비해 두께가 매우 작고, 또한 가요성투광패널(35) 자체가 가요성이므로, 모든 LED소자(17)는 동일 평면상에 포함된다.
도 5는 상기 도 3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또 다른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호 이웃하는 가요성투광패널(35)의 겹침부(35a)를 모두 절곡하여 겹칠 수도 있다. 양측 겹침부(35a)는 가요성투광패널(35)의 두께의 절반만큼 올라가거나 내려가 있다.
특히 상기 겹침부(35a)의 내부 영역에는, 투광성볼트(39)가 겹침부의 폭방향으로 2열로 배치되어 있다. 투광성볼트(39)를 작은 사이즈로 사용할 때에는 2열로 배치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는 이웃하는 단위디스플레이부(33)를 고정할 수 있는 한 투광성볼트(39)의 개수나 설치 위치를 적절히 변경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 장치의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단면도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키며 그에 관한 반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면을 참조하면, 조립된 상태의 단위디스플레이부(33)의 전면(前面)과 후면(後面)에 투광성커버시트(41)가 고정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상기 투광성커버시트(41)는 일정한 두께의 투명한 폴리카보네이트필름으로서, 그 사이에 상기 단위디스플레이부(33)를 수용하여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투광성커버시트(41)의 두께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가령 가요성투광패널(35)의 두께와 같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투광성볼트(39)는 그 상하단부가 더욱 연장되어 투광성커버시트(41)를 두께방향으로 관통하여 투광성커버시트(41)에 박혀 고정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투광성볼트(39)의 외주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투광성커버시트(41)가 투광성볼트(39)로부터 분리될 염려는 없다.
아울러, 상기 투광성커버시트(41)의 간격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수의 간격유지볼트(40)가 더 구비된다. 상기 간격유지볼트(40)는 투광성볼트(39)와 마찬가지로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된 투명한 무두볼트로서, 상기 가요성투광패널(35)을 관통한 상태로, 그 상하단부가 투광성커버시트(41)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간격유지볼트(40)의 이격 거리는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도 7은 상기 도 6에 도시한 LED 디스플레이장치(31)의 다른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필요하다면, 상기 투광성볼트(39)를 대신하는 체결볼트(45)와 너트(47)를 적용할 수도 있다. 상기 체결볼트(45)와 너트(47)는 폴리카보네이트 재질의 투명한 볼트 및 너트로서, 그 역할은 투광성볼트(39)와 동일하다.
LED 디스플레이장치(31)가, 가령 바람이 많은 지역에 설치된 경우에는, 상기와 같이 헤드부를 갖는 체결볼트(45)와 너트(47)를 적용하여, 보다 강력한 체결력을 구현하는 것이다.
아울러 상기 투광성커버시트(41)에 있어서, 단위디스플레이부(33)의전면에 위치하는 투광성커버시트(41)의 내측면, 즉 가요성투광패널(35)를 향하는 면에는 다수의 돌출지지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41a)는 가요성투광패널(35)에 면접하는 부분이다.
이와 같이, 투광성커버시트(41)에 돌출지지부(41a)를 형성함으로써, 가요성투광패널(35)에 대한 투광성커버시트(41)의 간격이 안정적으로 유지된다. 가령 투광성커버시트(41)를 가요성투광패널(35) 측으로 가압하더라도, 밀려들어가지 않는 것이다. 이러한 돌출지지부(41a)를 적용한 이유는 LED소자(17)를 보다 적극적으로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LED 디스플레이장치(31)의 기본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동일평면상에서 상호 이웃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가요성투광패널(35)의 사이에 간격유지부(37)로서 커넥터(49)가 개재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49)는 투광성 소재, 이를테면 폴리카보네이트로 제작된 부재로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양측에 수용홈(49a)을 갖는다.
상기 수용홈(49a)은 양측 가요성투광패널(35)의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개방홈으로서, 그 폭은 가요성투광패널(35)의 두께보다 약간 작다. 가령 가요성투광패널(35)을 수용홈(49a)의 내부로 압입할 때 약간 벌어지는 정도이다. 상기와 같이 수용홈(49a)의 폭이 가요성투광패널(35)의 두께보다 작고, 또한 커넥터(49)가 탄성 변형 가능하므로, 양측 가요성투광패널(35)의 단부를 상기 수용홈(49a)의 내부에 압입하면, 상기 커넥터(49)의 수용홈(49a)이 오므라지며 가요성투광패널(35)을 압착 고정시킨다.
여하튼 상기 커넥터(49) 양측의 가요성투광패널(35)을 상기 수용홈(49a)의 내부에 압입함에 따라, 디스플레이장치(31)에 있어서 LED소자(17)의 피치는 일정해진다.
도 9는 상기 도 8에 도시한 커넥터(49)의 변형 예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8에 도시한 커넥터(49)를 도 9와 같이 변형할 수 있는 것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49)는 일정단면을 가지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직선형 부재로서, 그 양측부에 수용홈(49a)을 갖는다. 상기 수용홈(49a)은 가요성투광패널(35)의 단부를 수용 고정하는 개방홈이다.
특히 상기 수용홈(49a)의 내향면에는 탄력가압부(49b)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탄력가압부(49b)는 수용홈(49a)의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로서, 수용홈(49a) 내부에 압입된 가요성투광패널(35)을 더욱 강력하게 압착한다.
또한 상기 커넥터(49)의 상하면 중앙부에는 센터슬릿(49c)이 형성되어있다. 상기 센터슬릿(49c)은 커넥터(49)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홈으로서 그 내부에 보강대(49e)를 수용한다.
상기 보강대(49e)는 일정직경을 갖는 투명한 환봉형 부재로서, 상기 센터슬릿(49c)에 끼워진 상태로 커넥터(49)를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이를테면 커넥터(49)의 스티프니스(stiffness)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상기 보강대(49e)의 또 다른 역할은, 커넥터(49)의 양측부를 화살표 z방향으로 가압 지지하는 것이다. 화살표 z방향으로 가해지는 지지력이 탄력가압부(49b)로 전달되어 탄력가압부(49b)의 죔력(가요성투광패널(35)을 두께 방향으로 누르는 힘)을 증대시킴은 물론이다.
도 10은 상기 도 8에 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구성 예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커넥터(49)를 통해 연결되어 있는 다수의 단위디스플레이부(33)의 전방 및 후방에, 상기한 투광성커버시트(41)가 장착되어 있다. 아울러 상기 전후방 투광성커버시트(41)의 내향면에는 돌출지지부(41a)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돌출지지부(41a)가 가요성투광패널(35)과 면접하는 부분임은 상기한 바와 같다.
또한 상기 간격유지볼트(40)는, 가요성투광패널(35)을 관통한 상태로 상기 돌출지지부(41a)에 나사 결합한다. 상기 가요성투광패널(35)과 투광성커버시트(41)는 간격유지볼트(40)에 의해 견고히 밀착한 상태를 유지한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디스플레이장치 13:단위디스플레이부 15:가요성투광패널
17:LED소자 31:디스플레이장치 33:단위디스플레이부
35:가요성투광패널 35a:겹침부 35b:에지라인
37:간격유지부 39:투광성볼트 39a:육각렌치홈
40:간격유지볼트 41:투광성커버시트 41a:돌출지지부
43:수용공간 45:체결볼트 47:너트
49:커넥터 49a:수용홈 49b:탄력가압부
49c:센터슬릿 49e:보강대

Claims (7)

  1. 일정두께를 갖는 가요성투광패널과, 상기 가요성투광패널에 동일한 피치 간격으로 배열되는 다수의 LED소자를 포함하며 나란하게 배치되는 다수의 단위디스플레이부와;
    상호 이웃하는 단위디스플레이부의 가요성투광패널을 연결하는 것으로서, 가요성투광패널의 연결에 따라 대응하도록 위치된 LED소자의 피치간격이, 각 가요성투광패널 내부 영역의 LED소자의 피치 간격과 동일하도록 연결하는 간격유지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간격유지부는 이웃하는 가요성투광패널의 사이에 개재되며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그 양측부에는, 결합 연결할 가요성투광패널의 테두리부를 수용 고정하는 수용홈이 구비된 H 자형 커넥터를 포함하며,
    상기 커넥터는 투광성 소재로서 탄성변형이 가능하며, 상기 수용홈의 폭은 상기 가요성 투광패널의 두께보다 작으며, 상기 수용홈의 내향면에는 대향되게 내측으로 돌출된 돌기로서의 탄력가압부가 형성되며,
    상기 커넥터에는, 커넥터의 길이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센터슬릿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센터슬릿에는, 센터슬릿에 끼워져 커넥터의 스티프니스를 보강하는 보강대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넥터에 의해 연결 구성된 상태의 다수의 단위디스플레이부의 전면 및 후면에는 단위디스플레이부를 커버하는 투광성커버시트가 더 구비되고,
    상기 가요성투광패널에 대해 투광성커버시트를 고정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요성투광패널과 투광성커버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여 나사 결합함으로써 가요성투광패널과 투광성커버시트의 간격을 유지하는 간격유지볼트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170146454A 2017-11-06 2017-11-06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1019372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54A KR101937225B1 (ko) 2017-11-06 2017-11-06 Led 디스플레이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46454A KR101937225B1 (ko) 2017-11-06 2017-11-06 Led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37225B1 true KR101937225B1 (ko) 2019-01-11

Family

ID=650282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46454A KR101937225B1 (ko) 2017-11-06 2017-11-06 Led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372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20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엘티전자 직물 조명장치의 고정장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7738A (ja) 2003-06-26 2005-01-20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6146204A (ja) * 2004-11-19 2006-06-08 Au Optronics Corp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背面パネル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017738A (ja) 2003-06-26 2005-01-20 Seiko Epson Corp 画像表示装置
JP2006146204A (ja) * 2004-11-19 2006-06-08 Au Optronics Corp フラットパネルディスプレイ用背面パネル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53920A (ko) * 2021-05-12 2022-11-21 주식회사 엘티전자 직물 조명장치의 고정장치
KR102570599B1 (ko) * 2021-05-12 2023-08-28 주식회사 엘티전자 직물 조명장치의 고정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4945B2 (en) Display apparatus
US9323087B2 (en) Display apparatus and television receiver
EP2730968B1 (en) Curved display apparatus
US9202395B2 (en) Curved frame and curved display device having the same
CN104950504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EP1909135B1 (en) Spread illuminating display
US9583046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US20100073959A1 (en) Backlight device and flat display using it
EP2151709A1 (en) Display device and tv receiver
US20110069050A1 (en) Display system
KR20150092408A (ko) 커브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커브드 표시장치
US20160026029A1 (en) Display device
US20080297594A1 (en) Autostereoscopic Display Device
CN104123893B (zh) 一种液晶屏光学无缝拼接装置
KR101937225B1 (ko) Led 디스플레이 장치
KR20170065788A (ko) 디스플레이 장치
US20150077643A1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JP6263747B2 (ja) 画像表示装置および画像表示装置の製造方法
US20190096294A1 (en) Display apparatus
US20170146840A1 (en) Frameless display device
WO2014046033A1 (ja) 光源装置及びそれを備える表示装置
KR20180049362A (ko) 디스플레이 장치
CN106803400A (zh) 无边框显示装置
US9291844B2 (en)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receiver
US9341768B2 (en) Lighting device, display device and televisio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